KR102461508B1 - 차량용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508B1
KR102461508B1 KR1020170168392A KR20170168392A KR102461508B1 KR 102461508 B1 KR102461508 B1 KR 102461508B1 KR 1020170168392 A KR1020170168392 A KR 1020170168392A KR 20170168392 A KR20170168392 A KR 20170168392A KR 102461508 B1 KR102461508 B1 KR 102461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pillar
cushion
deployed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8219A (ko
Inventor
김태인
임윤석
이창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8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508B1/ko
Publication of KR20190068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하부에서 쿠션부가 상방으로 전개됨으로써 차량 사고시 탑승자의 하체에 발생되는 충격이 쿠션부에 의해 흡수되어 탑승자가 안전하게 보호되고, 다양한 시트의 위치 및 탑승자의 착좌 모드에서도 탑승자의 하체가 실내에 부딪히는 것이 방지되어 탑승자의 안정이 더욱 확보된 차량용 에어백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백 장치 {AIR BAG DEVICE FOR VIEHICLE}
본 발명은 측방 충돌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충돌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에어백이 설치된다. 이러한 에어백 중 차량의 측면 충돌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는 커튼 에어백은 차량의 루프패널의 측면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충돌 발생시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탑승객이 차량 외부로 튕겨나가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커튼 에어백의 경우 충돌 발생시 탑승자의 머리와 상체에만 대응됨에 따라 탑승자의 하체는 보호받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자율주행 차량에서 시트의 방향이 전후방향뿐만 아니라 측방으로도 배치되는데, 측방 충돌 발생시 탑승자의 하체가 차량에 부딪혀 하체에 큰 상해가 발생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6-0034319 A (2006.04.24)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의 하부에서 에어백이 전개되어 차량 사고시 탑승자의 하체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다양한 시트의 위치에서도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차체 필라가 연결되는 사이드실에 설치되고, 인플레이터의 가스를 전달받아 상방으로 전개되어 실내 측면에 배치되는 쿠션부; 쿠션부와 차체 필라에 연결되어 쿠션부 전개시 차체 필라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걸림부; 및 체 필라에서 쿠션부와 상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쿠션부가 전개됨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된 걸림부를 구속하여 쿠션부의 전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구속부;를 포함한다.
쿠션부는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인플레이터는 쿠션부의 하단에서 중앙에 가스가 공급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쿠션부는 전개시 차체 필라와 대응되게 위치되고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를 공급받는 중앙챔버와, 중앙챔버를 중심으로 전방과 후방에 배치되고 상하측으로 분할된 다수의 분할챔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걸림부는, 사이드실에서 차체 필라를 따라 연장되게 설치된 가이드테더; 및 일단이 쿠션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가이드테더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쿠션부 전개시 가이드테더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되는 걸림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체 필라에는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홈이 연장 형성되고, 가이드테더는 가이드홈 내부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걸림기구는, 중앙이 개통되게 형성되어 가이드테더가 중앙에 관통 연결되는 이동고리; 및 이동고리와 쿠션부가 연결되도록 연장된 연결와이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속부는, 일단이 차체 필라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가이드테더에 위치되도록 연장 형성된 락킹후크; 및 일단이 차체 필라에 고정되고 타단이 락킹후크에 연결되어 락킹후크가 가이드테더에 위치되도록 탄발 지지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락킹후크는 일단이 힌지핀을 통해 차체 필라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상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걸림부는, 차체 필라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차체 필라를 향해 탄발 지지되는 격발기구로 이루어지며, 구속부는 차체 필라에서 함몰된 구속홈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쿠션부가 전개됨에 따라 걸림부가 구속부에 도달시 격발기구가 구속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체 필라에는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이 연장 형성되고, 걸림부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격발기구는, 차체 필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연결테더를 통해 쿠션부와 연결된 하우징; 및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격발스프링에 의해 차체 필라측으로 탄발 지지되는 격발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에어백 장치는 차량의 하부에서 쿠션부가 상방으로 전개됨으로써 차량 사고시 탑승자의 하체에 발생되는 충격이 쿠션부에 의해 흡수되어 탑승자가 안전하게 보호된다. 또한, 다양한 시트의 위치 및 탑승자의 착좌 모드에서도 탑승자의 하체가 실내에 부딪히는 것이 방지되어 탑승자의 안정이 더욱 확보된다.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쿠션부를 나타낸 도면.
도 6 내지 9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걸림부 및 구속부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 내지 11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걸림부 및 구속부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내지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쿠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6 내지 9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걸림부 및 구속부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 내지 11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걸림부 및 구속부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는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차체 필라(1)가 연결되는 사이드실(2)에 설치되고, 인플레이터(12)의 가스를 전달받아 상방으로 전개되어 실내 측면에 배치되는 쿠션부(10); 쿠션부(10)와 차체 필라(1)에 연결되어 쿠션부(10) 전개시 차체 필라(1)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걸림부(20); 및 차체 필라(1)에서 사이드실(2)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쿠션부(10)가 전개됨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된 걸림부(20)를 구속하여 쿠션부(10)의 전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구속부(3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쿠션부(10), 걸림부(20), 구속부(30)로 구성되며, 쿠션부(10)는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전개시 도어 트림과 탑승자 사이에 위치된다. 이러한 쿠션부(10)는 사이드실(2)에 설치됨에 따라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전개된다.
특히, 쿠션부(10)의 경우 사이드실(2)에서 차체 필라(1)가 연결되는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차체 필라(1)는 센터 필라가 될 수 있으며, 쿠션부(10)는 사이드실(2)에서 센터 필라가 연결된 지점에 설치됨에 따라 쿠션부(10) 전개시 실내 측면의 중심에서 전후방향으로 신속하게 팽창될 수 있다.
한편, 쿠션부(10)는 걸림부(20)를 통해 차체 필라(1)에 연결되며, 쿠션부(10)의 전개시 걸림부(20)가 차체 필라(1)를 따라 이동됨으로써 쿠션부(10)의 전개가 가이드될 수 있다. 특히, 차체 필라(1)에는 걸림부(2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속부(30)가 마련되어, 쿠션부(10)의 전개시 차체 필라(1)를 따라 이동되는 걸림부(20)가 구속부(30)에 걸려 하방 이동이 제한된다. 여기서, 구속부(30)가 차체 필라(1)에 마련되는 위치는 쿠션부(10)가 완전히 전개된 상태의 높이보다 낮게 위치되어 쿠션부(10) 전개시 걸림부(20)가 구속부(30)에 원활히 걸림 동작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쿠션부(10)는 걸림부(20)가 구속부(30)에 걸린 위치에서 전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쿠션부(10)의 쳐짐이 방지되어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부(10)의 팽창시 실내 측면에서 쿠션부(10)가 상방으로 전개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부(10)의 걸림부(20)가 차체 필라(1)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된 후 구속부(30)에 걸릴 경우 쿠션부(10)의 전개 상태가 유지되어 탑승자의 보호가 수행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전개되는 쿠션부(10)와 루프측에서 하방으로 전개되는 커튼에어백이 함께 측방 충돌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함에 따라 안정성이 더욱 확보된다.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부(10)는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인플레이터(12)는 쿠션부(10)의 하단에서 중앙에 공급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즉, 쿠션부(10)는 실내 측면에 대해 전석 탑승자 및 후석 탑승자를 모두 보호할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쿠션부(10)의 하단에서 인플레이터(12)의 가스를 공급받음에 따라 상방으로 전개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인플레이터(12)는 가스경로가 쿠션부(10)의 중앙에 연결됨으로써 인플레이터(12)에서 공급되는 가스가 쿠션부(10)의 중앙에 집중적으로 공급됨에 따라 쿠션부(10)의 팽창속도가 확보되고 전후방향에 대해 균형있는 팽창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부(10)는 전개시 차체 필라(1)와 대응되게 위치되고 인플레이터(12)로부터 가스를 공급받는 중앙챔버(14)와, 중앙챔버(14)를 중심으로 전방과 후방에 배치되고 상하측으로 분할된 다수의 분할챔버(1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쿠션부(10)는 중앙챔버(14)와 다수의 분할챔버(16)로 이루어지며, 인플레이터(12)로부터 가스를 공급받는 중앙챔버(14)가 차체 필라(1)와 대응되게 위치됨으로써 인플레이터(12)에서 공급받은 가스에 의해 중앙챔버(14)가 가장 먼저 팽창됨에 따라 쿠션부(10)의 전개속도가 향상된다. 아울러, 쿠션부(10)의 중앙부가 차체 필라(1)와 대응되게 위치됨으로써 쿠션부(10)는 차체 필라(1)를 따라 신속히 전개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쿠션부(10)에 연결된 걸림부(20)가 구속부(30)의 위치까지 신속하게 도달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걸림부(20) 및 구속부(30)에 대해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도록 한다.
제1실시예로, 도 6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20)는, 사이드실(2)에서 차체 필라(1)를 따라 연장되게 설치된 가이드테더(22); 및 일단이 쿠션부(10)에 연결되고, 타단이 가이드테더(22)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쿠션부(10) 전개시 가이드테더(22)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되는 걸림기구(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차체 필라(1)에는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홈(1a)이 연장 형성되고, 가이드테더(22)는 가이드홈(1a) 내부에 위치됨으로써 가이드테더(22)를 따라 이동되는 걸림기구(24)가 다른 부품에 의해 간섭되는 것이 회피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걸림부(20)는 가이드테더(22)와 걸림기구(24)로 구성되며, 가이드테더(22)를 따라 걸림기구(24)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게 구성된다. 즉, 쿠션부(10)의 전개시 걸림기구(24)가 가이드테더(22)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되고, 걸림기구(24)가 구속부(30)에 도달시 구속부(30)에 걸림 연결됨으로써 쿠션부(10)가 하방으로 쳐지지 않는다.
상세하게, 걸림기구(24)는, 중앙이 개통되게 형성되어 가이드테더(22)가 중앙에 관통 연결되는 이동고리(241); 및 이동고리(241)와 쿠션부(10)가 연결되도록 연장된 연결와이어(242);로 구성된다. 즉, 이동고리(241)에는 가이드테더(22)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됨으로써 이동고리(241)가 가이드테더(22)를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이동고리(241)에 연결된 연결와이어(242)가 쿠션부(10)와 연결됨으로써 쿠션부(10)의 전개시 쿠션부(10)는 이동고리(241)와 함께 가이드테더(22)의 연장방향을 따라 가이드되어 이동될 수 있다.
한편, 구속부(30)는, 일단이 차체 필라(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가이드테더(22)에 위치되도록 연장 형성된 락킹후크(32); 및 일단이 차체 필라(1)에 고정되고 타단이 락킹후크(32)에 연결되어 락킹후크(32)가 가이드테더(22)에 위치되도록 탄발 지지하는 탄성스프링(3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구속부(30)는 락킹후크(32)와 탄성스프링(34)으로 구성되며, 락킹후크(32)가 탄성스프링(34)에 의해 탄발 지지되어 가이드테더(22)가 연장된 경로상에 위치됨에 따라 걸림기구(24)의 이동고리(241)가 락킹후크(32)에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즉, 쿠션부(10)의 전개시 하방에서 상방으로 이동되는 걸림기구(24)의 이동고리(241)는 락킹후크(32)를 회전시키고,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복귀시 탄성스프링(34)에 의해 원복된 락킹후크(32)에 걸림으로써 위치가 고정되어 쿠션부(10)가 하방으로 쳐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락킹후크(32)는 일단이 힌지핀(H)을 통해 차체 필라(1)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상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락킹후크(32)는 힌지핀(H)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이 상방으로 절곡되어 갈고리 형태를 가짐으로써 걸림부(20)가 상방으로 이동되는 것은 허용하고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시 절곡된 부분에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도 9에서 볼 수 있듯이, 락킹후크(32)는 가이드테더(22)를 중심으로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고, 탄성스프링(34)은 락킹후크(32)의 상측에 위치됨으로써 각 구성들 간의 원활한 작동 관계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걸림부(20) 및 구속부(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부(10)가 상방으로 전개됨에 따라 쿠션부(10)와 연결와이어(242)를 통해 연결된 이동고리(241)가 가이드테더(22)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이동되는 이동고리(241)가 구속부(30)에 도달시, 이동고리(241)에 의해 락킹후크(32)가 힌지핀(H)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탄성스프링(34)을 압축하게 된다. 이렇게, 쿠션부(10)의 전개가 완료됨에 따라 자중에 의해 이동고리(241)가 하방으로 이동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스프링(34)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테더(22)의 연장 경로로 재위치된 락킹후크(32)에 걸림으로써 위치가 고정된다. 이로 인해, 전개된 쿠션부(10)는 하방으로 쳐지지 않고 위치가 고정됨에 따라 탑승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한편, 걸림부(20)와 구속부(30)에 따른 제2실시예로서, 도 10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20)는, 차체 필라(1)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차체 필라를 향해 탄발 지지되는 격발기구(26)로 이루어지며, 구속부(30)는 차체 필라(1)에서 함몰된 구속홈(36)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쿠션부(10)가 전개됨에 따라 걸림부(20)가 구속부(30)에 도달시 격발기구(26)가 구속홈(36)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차체 필라(1)에는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레일(1b)이 연장 형성되고, 걸림부(20)는 가이드레일(1b)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차체필라의 가이드레일(1b)과 걸림부(20)의 슬라이딩 이동은 홈 및 돌기 구조를 통해 구현되는 것으로, 그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에 도식하지 않았다.
상세하게, 격발기구(26)는, 차체 필라(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연결테더(262)를 통해 쿠션부(10)와 연결된 하우징(261); 및 하우징(261) 내부에 마련되고 격발스프링(263)에 의해 차체 필라(1)측으로 탄발 지지되는 격발핀(26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격발기구(26)는 하우징(261)과 격발핀(264)으로 구성되며, 하우징(261)의 외주면에는 돌기가 돌출되고, 차체 필라(1)에는 홈이 상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됨에 따라 하우징(261)이 차체 필라(1)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261)은 연결테더(262)를 통해 쿠션부(10)와 연결됨으로써 쿠션부(10)의 전개시 하우징(261)이 쿠션부(10)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하우징(261)의 내부에는 격발스프링(263)에 의해 탄발 지지되는 격발핀(264)이 구비된다. 즉, 격발핀(264)이 하우징(261) 내부에서 격발스프링(263)에 의해 차체 필라(1)측으로 탄발지지됨에 따라 하우징(261)이 차체 필라(1)를 이동함에 따라 구속부(30)에 도달할 경우 구속부(30)를 이루는 구속홈(36)에 격발핀(264)이 삽입됨으로써 걸림부(20)의 하방 이동이 제한됨에 따라 쿠션부(10)가 하방으로 쳐지지 않는다.
즉, 쿠션부(10)의 전개시 하방에서 상방으로 이동되는 격발기구(26)의 하우징(261)은 구속부(30)가 설치된 위치에 도달하면, 하우징(261) 내부의 격발핀(264)이 격발스프링(263)에 의해 구속홈(36)으로 삽입됨으로써 격발기구(26)의 위치가 고정되어 쿠션부(10)가 하방으로 쳐지지 않는다.
상술한 제2실시예에 따른 걸림부(20) 및 구속부(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부(10)가 상방으로 전개됨에 따라 쿠션부(10)와 연결테더(262)를 통해 연결된 하우징(261)이 차체 필라(1)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이동된 하우징(261)이 구속홈(36)에 도달시, 하우징(261) 내부의 격발핀(264)이 격발스프링(263)의 탄성력에 의해 구속홈(36)측으로 격발되어 삽입된다. 이로 인해, 격발기구(26)는 구속부(30)가 설치된 위치에서 고정되고, 이에 따라 전개된 쿠션부(10)는 하방으로 쳐지지 않고 위치가 고정되어 탑승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에어백 장치는 차량의 하부에서 쿠션부가 상방으로 전개됨으로써 차량 사고시 탑승자의 하체에 발생되는 충격이 쿠션부에 의해 흡수되어 탑승자가 안전하게 보호된다. 또한, 다양한 시트의 위치 및 탑승자의 착좌 모드에서도 탑승자의 하체가 실내에 부딪히는 것이 방지되어 탑승자의 안정이 더욱 확보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쿠션부 12:인플레이터
14:중앙챔버 16:분할챔버
20:걸림부 22:가이드테더
24:걸림기구 241:이동고리
242:연결와이어 26:격발기구
261:하우징 262:연결테더
263:격발스프링 264:격발핀
30:구속부 32:락킹후크
34:탄성스프링 36:구속홈

Claims (11)

  1.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차체 필라가 연결되는 사이드실에 설치되고, 인플레이터의 가스를 전달받아 상방으로 전개되어 실내 측면에 배치되는 쿠션부;
    쿠션부와 차체 필라에 연결되어 쿠션부 전개시 차체 필라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걸림부; 및
    차체 필라에서 쿠션부와 상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쿠션부가 전개됨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된 걸림부를 구속하여 쿠션부의 전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쿠션부는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인플레이터는 쿠션부의 하단에서 중앙에 가스가 공급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쿠션부는 전개시 차체 필라와 대응되게 위치되고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를 공급받는 중앙챔버와, 중앙챔버를 중심으로 전방과 후방에 배치되고 상하측으로 분할된 다수의 분할챔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걸림부는, 사이드실에서 차체 필라를 따라 연장되게 설치된 가이드테더; 및
    일단이 쿠션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가이드테더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쿠션부 전개시 가이드테더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되는 걸림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차체 필라에는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홈이 연장 형성되고, 가이드테더는 가이드홈 내부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걸림기구는, 중앙이 개통되게 형성되어 가이드테더가 중앙에 관통 연결되는 이동고리; 및 이동고리와 쿠션부가 연결되도록 연장된 연결와이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구속부는, 일단이 차체 필라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가이드테더에 위치되도록 연장 형성된 락킹후크; 및
    일단이 차체 필라에 고정되고 타단이 락킹후크에 연결되어 락킹후크가 가이드테더에 위치되도록 탄발 지지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락킹후크는 일단이 힌지핀을 통해 차체 필라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상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걸림부는, 차체 필라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차체 필라를 향해 탄발 지지되는 격발기구로 이루어지며,
    구속부는 차체 필라에서 함몰된 구속홈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쿠션부가 전개됨에 따라 걸림부가 구속부에 도달시 격발기구가 구속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차체 필라에는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이 연장 형성되고, 걸림부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격발기구는, 차체 필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연결테더를 통해 쿠션부와 연결된 하우징; 및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격발스프링에 의해 차체 필라측으로 탄발 지지되는 격발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20170168392A 2017-12-08 2017-12-08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2461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392A KR102461508B1 (ko) 2017-12-08 2017-12-08 차량용 에어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392A KR102461508B1 (ko) 2017-12-08 2017-12-08 차량용 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219A KR20190068219A (ko) 2019-06-18
KR102461508B1 true KR102461508B1 (ko) 2022-11-02

Family

ID=67103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392A KR102461508B1 (ko) 2017-12-08 2017-12-08 차량용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5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80541A1 (en) 2001-10-30 2003-05-01 Kalandek Bruce A. Side impact or curtain air bag with position enhancing or locating mechanism
JP2004051016A (ja) 2002-07-22 2004-02-19 Takata Corp カーテンエアバッグのガイド部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9311A (en) * 1998-02-21 2000-05-09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Pillar-mounted side impact and rollover air bag
KR100629635B1 (ko) 2004-10-15 2006-09-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커튼 에어백 모듈
US7618057B2 (en) * 2006-07-17 2009-11-17 Delphi Technologies, Inc. Side curtain airbag with extended shoulder por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80541A1 (en) 2001-10-30 2003-05-01 Kalandek Bruce A. Side impact or curtain air bag with position enhancing or locating mechanism
JP2004051016A (ja) 2002-07-22 2004-02-19 Takata Corp カーテンエアバッグのガイド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219A (ko) 201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8179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에어백
KR101241157B1 (ko) 내장 에어백 장치
KR102589026B1 (ko) 차량용 에어백
KR101836601B1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
KR101846710B1 (ko) 차량용 커튼에어백
US9744936B2 (en) Curtain airbag for a vehicle and a restraining arrangement
KR101360434B1 (ko) 사이드 에어백
KR102602954B1 (ko) 차량의 에어백 장치
JP6703436B2 (ja)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
KR102427805B1 (ko) 차량의 커튼에어백 시스템
US9701272B2 (en) Curtain airbag with offset countermeasure
KR101708217B1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1708200B1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
US8876155B2 (en) Curtain airbag device for vehicle
KR101143987B1 (ko) 안전성능이 개선된 후방에어백 장치
KR20190138488A (ko) 루프탑 에어백 장치
US20180134244A1 (en) Front airbag for vehicle
KR20220047836A (ko) 에어백 장치
KR101931125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101627499B1 (ko) 차량의 에어백
KR102461508B1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2263721B1 (ko) 동승석 에어백 장치
KR100803306B1 (ko) 커튼 에어백 장착구조
JP6390487B2 (ja) 車両用乗員拘束装置
KR100794012B1 (ko)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