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248B1 - 반응조를 직병렬 연결하는 이산화염소가스 연속 발생장치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반응조를 직병렬 연결하는 이산화염소가스 연속 발생장치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248B1
KR102461248B1 KR1020210151631A KR20210151631A KR102461248B1 KR 102461248 B1 KR102461248 B1 KR 102461248B1 KR 1020210151631 A KR1020210151631 A KR 1020210151631A KR 20210151631 A KR20210151631 A KR 20210151631A KR 102461248 B1 KR102461248 B1 KR 102461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tank
chlorine dioxide
reaction
solu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1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승훈
Original Assignee
서승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승훈 filed Critical 서승훈
Priority to KR1020210151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2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1/00Oxides or oxyacids of halogens; Salts thereof
    • C01B11/02Oxides of chlorine
    • C01B11/022Chlorine dioxide (ClO2)
    • C01B11/023Preparation from chlorites or chlorates
    • C01B11/024Preparation from chlorites or chlorates from chlor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53Details of the react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염소산염용액탱크, 차아염소산염용액탱크 및 산용액탱크로 구성된 원료액저장부; 아염소산염용액, 차아염소산염용액 및 산용액으로 조성된 혼합용액이 반응하여 이산화염소를 발생하고, 주입된 공기에 의해서 이산화염소를 배출되며, 상기 혼합용액의 반응이 말기생태가 되면 말기 혼합용액을 배출하는 기능을 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반응조가 병렬로 배열된 1차반응조부; 상기 1차반응조부에서 말기 혼합용액을 공급받아 이산화염소를 발생하며, 주입된 공기에 의해서 이산화염소를 배출하며, 반응이 완료된 혼합용액의 폐액을 배출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반응조가 병렬로 배열되고, 배출되는 이산화염소 배출관은 이웃하는 1차반응조부의 반응조와 엇갈려 연결되어 결합 배관된 2차반응조부; 공기를 발생하여 선택되는 1차반응조부 및 2차반응조부의 반응조에 공기를 발생 주입하는 공기발생주입부;
상기 2차반응조부의 반응조에서 발생한 폐액을 공급받아 저장배출하는 폐액저장부; 상기 이산화염소를 발생하는 1차반응조부의 반응조, 2차반응조부의 반응조를 서로 엇갈려 쌍을 이루어 연결 결합 배관하여 이산화염소를 연속적으로 일정량 배출하는 배출부; 각각의 모든 공정을 통제관리하는 통제부를 갖는 이산화염소 발생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반응조를 직병렬 연결하는 이산화염소가스 연속 발생장치 및 그 운용방법{System of Chloride Dioxide Gas Continuous Production Equipment With Have Series-Parallel connection Reaction Vessel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본 발명은, 반응조를 직병렬 연결하는 이산화염소의 연속발생장치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아염소산염용액, 차아염소산염용액 및 산용액 등의 각 출발물질이 혼합되는 다수의 1차 반응조를 병렬로 배치하여 시차적으로 이산화염소를 발생시키고, 이산화염소 발생이 감소된 말기 혼합용액을 2차 반응조로 보내고, 각각의 반응조가 직병렬로 연결된, 1차반응조와 2차반응조를 짝을 이루어 연결하여 이산화염소가 일정량 효율적으로 연속적으로 제조되는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육류에 대한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소규모로 이루어졌던 가축사육이 대규모화에 따라 가축의 분뇨로부터 발생하는 악취가 매우 심한실정이다.
환경규제에 의한 산업시설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독성물질을 분해 산화 시켜 제거해야하는 문제가 심각하게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악취가스나 독성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염소를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는데, 이산화염소는 악취가스를 분해시키는 탈취기능이 뛰어난 화합물로서, 강산화제로서도 작용하기 때문에 정수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소독제인 염소의 대체물질로서도 부각되고 있다.
살균, 소독, 탈취, 표백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상기 이산화염소의 제조방법은, 크게, 염소산염을 환원하는 방법과, 아염소산염을 산화하는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환원방법은 대형시설과 큰 투자가 필요한 반면에, 알칼리금속계 아염소산염을 출발물질로 하는 산화방법은 간단한 시설과 적은 투자로도 생산이 가능한 바, 아염소산염을 이용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들은 아염소산염용액과 산이 혼합 및 반응하는 반응실을 구비하고, 반응실 내로 공급된 아염소산염용액과 산의 혼합액에 폭기장치를 이용하여 공기를 연속적으로 불어 넣음으로써, 이산화염소가스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이 장치에서는 반응실 내로 출발물질로서 아염소산염용액과 산을 공급하는 동시에, 반응완료 폐액을 연속적으로 배출하면서 이산화염소가스를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의 장치는, 출발물질로서 아염소산염용액과 산을 공급하면서 폐액을 배출함에 따라 폐액은 물론, 새로이 공급되는 또는 반응이 완료되지 않은 출발물질이 폐액과 함께 배출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산화염소가 일정량이 계속적으로 발생하고 폐액이 적게 발생하는 기술개발은 요구되고 있으며, 다양한 방면에서 연구개발 진행되고 있다.
한국특허 10-09585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아염소산염용액, 차아염소산염용액 및 산용액이 혼합되는 반응조를 직병렬 연결하여 이산화염소를 일정량 연속으로 효율적으로 발생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이산화염소를 일정량 계속적으로 발생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운영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아염소산염용액탱크, 차아염소산염용액탱크 및 산용액탱크로 구성된 원료액저장부;
아염소산염용액, 차아염소산염용액 및 산용액으로 조성된 혼합용액이 반응하여 이산화염소를 발생하고, 주입된 공기에 의해서 이산화염소를 배출되며, 상기 혼합용액의 반응이 말기생태가 되면 말기 혼합용액을 배출하는 기능을 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반응조가 병렬로 배열된 1차반응조부;
상기 1차반응조부에서 말기 혼합용액을 공급받아 이산화염소를 발생하며, 주입된 공기에 의해서 이산화염소를 배출하며, 반응이 완료된 혼합용액의 폐액을 배출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반응조가 병렬로 배열되고, 배출되는 이산화염소 배출관은 이웃하는 1차반응조부의 반응조와 엇갈려 연결되어 결합 배관된 2차반응조부;
공기를 발생하여 선택되는 1차반응조부 및 2차반응조부의 반응조에 공기를 발생 주입하는 공기발생주입부;
상기 2차반응조부의 반응조에서 발생한 폐액을 공급받아 저장배출하는 폐액저장부;
상기 이산화염소를 발생하는 1차반응조부의 반응조, 2차반응조부의 반응조를 서로 엇갈려 쌍을 이루어 연결 결합 배관하여 이산화염소를 연속적으로 일정량 배출하는 배출부;
각각의 모든 공정을 통제관리하는 통제부를 포함한다.
상기 1차, 2차반응조부의 반응조는 다기공성 세라믹으로 구성된 기포발생기를 포함한다.
상기 1차 반응조부의 반응조는 혼합용액의 반응이 말기생태가 되는 것을 감지하는 ph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원료액저장부는 아염소산염용액탱크, 차아염소산염용액탱크 및 산용액탱크로부터 각 용액을 공급받아 혼합하여 각각의 1차반응조부의 반응조에 분배 공급하는 분배기를 포함한다.
상기 1차반응조부의 반응조의 이산화염소 발생량과 2차반응조부의 반응조의 이산화염소발생량은 부피비 3;l 차이를 갖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직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1차 반응조의 제1, 제2 반응조에 초기반응액, 2차 반응조의 제2 반응조에 말기 반응액을 채워 준비하는 단계;
1차 제1 반응조, 2차 제2 반응조에 공기를 주입하며 이산화염소를 발생하는단계;
1차 제1반응조에 혼합용액이 말기 상태에 도착하면, 나머지 혼합용액은 2차 제2반응조에 보내고, 1차 제2반응조 가동지시하는 단계;
2차 제2 반응조의 폐액을 처리지시하고, 1차 제2반응조, 2차 제1반응조에 공기를 주입하며 이산화염소를 발생하는 단계;
2차 제1반응조의 폐액을 처리 지시하고, 각 반응조가 초기화 상태가 되어 순환작업이 되도록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직병렬로 연결된 1차 제1, 2 반응조에 초기 반응액, 2차 제1,2 반응조에 말기 반응액을 넣고 초기화 하는 단계;
1차 제1 반응조, 2차 제2 반응조에 공기를 주입하여 이산화염소를 발생하는 단계;
1차 제1반응조의 혼합용액이 말기 상태에 도착하면, 나머지 혼합용액은 2차 제3반응조에 보내고, 1차 제2반응조를 가동지시하는 단계;
2차 제2반응조의 폐액을 처리지시하고, 1차 2반응조, 2차 제3 반응조에 공기를 주입하며 이산화염소를 발생하는 단계;
1차 제2 반응조에 혼합용액이 말기 상태에 도착하면, 나머지 혼합용액은 2차 1반응조에 보내고, 1차 제3 반응조 가동지시하는 단계;
2차 제3반응조의 폐액을 처리지시하고, 1차 3반응조, 2차 제1 반응조에 공기를 주입하여 이산화염소를 발생하는 단계;
2차 제3반응조의 폐액을 처리 지시하고, 각 반응조가 초기화 상태가 되어 순환작업이 되도록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각 반응조는 아염소산나트륨, 차아염소산나트륨, 산용액을 혼합 반응시켜 이산화염소를 발생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반응조를 직병렬 연결하여 이산화염소를 일정량 계속적으로 발생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장치를 얻을 수 있다.
이산화염소를 일정량 계속적으로 발생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운영 방법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반응조를 직병렬 연결하여 이산화염소를 일정량 계속적으로 발생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장치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반응조에서 발생하는 시간에 따른 이산화염소 발생량의 비교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운영 공정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운영 공정도이다.
본문에 게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 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반응조를 직병렬 연결하여 이산화염소를 일정량 계속적으로 발생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장치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1,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장치(100)는, 원액저장부(110), 제1반응조부(120), 제2반응조부(130), 공기발생주입부(140), 폐액저장부(150), 배출부(160) 및 통제부(170)를 갖는다.
각각의 블록 구성 및 연결상태 및 기능은 자세한 구성도를 통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반응조에서 발생하는 시간에 따른 이산화염소 발생량의 비교 그래프이다.
도 3, 4,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를 효율적으로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의 제조 시 이산화염소가 중단됨이 없이 효율적으로 연속적으로 발생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한 이산화염소 제조장치(100A, 100B)는, 알칼리금속계 아염소산염용액탱크(113), 차아염소산염용액탱크(115), 및 산용액탱크(117)에 출발물질로 각각 아염소산염용액, 차아염소산염용액, 산용액을 넣고, 3종의 출발물질이 혼합된 혼합용액의 각각의 반응조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이산화염소가 제조 및 배출되도록 한다.
각 반응조 내부에 있는 혼합용액에서 발생하는 화학반응 화학식은, 2NaClO₂+ NaClO + HCl → 2ClO₂+ 3NaCl + H₂O 이다.
화학 반응식에서 보는 것과 같이 혼합용액이 반응을 시작하면, 이산화염소, 소금, 물이 발생하는데, 도5에서 보는 것처럼, 시간에 따라서 이산화염소 발생량은 적어진다. 발생되는 소금 및 물(이하 폐액이라 함) 때문에 중기 이후 이산화염소 발생량은 작아지지만 혼합용액 안에는 반응되지 않은 용액이 남아있어 이산화염소는 발생된다.
이산화염소 발생효율을 좋게 하기 위해서 아염소산염용액, 차아염소산염용액, 및 산용액의 잔양이 남아있는 말기 상태에서 폐액으로 처리하면, 다시 폐액을 중화 처리하여 버려야하기 때문에 폐액처리 원가가 발생하고, 아염소산염용액, 차아염소산염용액, 및 산용액의 원재료 원가가 있기 때문에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가장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이산화염소장치(100A, 100B)는, 아염소산염용액탱크(113), 차아염소산염용액탱크(115), 및 산용액탱크(117)에서 각각 아염소산염용액, 차아염소산염용액, 산용액을 공급받아 용액 혼합기(119)에서 혼합용액을 만들어, 분배기(118)에 의해서 병렬로 배열된 1차 제1반응조(121a), 1차제2반응조(121b), 1차제3반응조(121c)에 공급한다. 분배기(118)는 1차제2반응조(121b), 1차제3반응조(121c)에 동시 또는 시차를 두어 통제부(170)의 지시를 받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2개씩 1차, 2차 반응조를 배치하고(100A), 다른 실시예는 3개씩 1차, 2차 반응조를 배치하였다(100B). 모든 구조와 원리는 같기 때문에 중복을 피하기 위해서 두 실시예를 동시에 설명한다.
각 반응조는 아염소산염용액, 차아염소산염용액, 산용액의 혼합용액을 담아 화학반응을 일으킨다. 화학식은, 2NaClO₂+ NaClO + HCl → 2ClO₂+ 3NaCl + H₂O 이다. 이 때 발생되는 이산화염소 혼합용액 안에 용해되어있다.
공기발생주입부(140)에서 발생한 공기는 1차 제1, 2, 3반응조의 기포발생기 (131a, 131b, 131c), 2차제1,2,3 반응조로 내의 기포발생기(135a, 135b, 135c)를 통과하여 반응조 내부에 주입되면 이산화염소는 공기와 혼합되어 배출관을 통해 배출부(160)로 보내진다. 각 반응조로 공기의 주입은 혼합용액이 반응을 일으켜 이산화염소를 배출하는 1차, 2차 반응조 쌍을 선택하여 공급한다.
1차반응조 내부에서 혼합용액이 반응하여 이산화염소, 소금, 물이 발생하면서 ph가 변화를 일으키며 이산화염소 발생이 줄어든다. 1차반응조 내의 ph감지센서(123a, 123b, 123c)에 의해서 반응상태가 감지되어 말기 반응상태가 되면, 1차 제1, 2, 3반응조(121a, 121b,121c)에 있는 말기 혼합용액은 쌍을 이루어 연결된 2차제1,2,3 반응조(131a, 131b, 131c)로 보내진다.
2차제1,2,3 반응조(131a, 131b, 131c)는 병렬로 배열되어, 1차 제1, 2, 3반응조(121a, 121b,121c)와 쌍을 이루어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1차 제1, 2, 3반응조(121a, 121b,121c)에서 초기, 중기반응까지 진행된 말기 혼합용액은 2차제1,2,3 반응조(131a, 131b, 131c)로 보내진다. 2차제1,2,3 반응조(131a, 131b, 131c)에서 말기반응을 진행한다.
상기 1차반응조부의 반응조의 이산화염소 발생량과 2차반응조부의 반응조의 이산화염소발생량은 부피비 3;l 차이를 갖는다.
2차제1,2,3 반응조(131a, 131b, 131c)에서 혼합용액이 반응하여 소금, 물로 변한 폐액은 폐액저장부(150)에 수거되어 저장된다.
배출부(160)는 이산화염소를 발생하는에서 1차 제1, 2, 3반응조(121a, 121b,121c), 2차제1,2,3 반응조(131a, 131b, 131c)중에서 엇갈려 선택하여 쌍을 이루어 서로 연결 결합 배관되어 이산화염소를 연속적으로 배출한다.
도면4에서 보는 것과 같이 1차제1반응조(121a)와 2차제2반응조(131b)를 연결하여 배관하고, 1차제2반응조(121b)와 2차제3반응조(131c)를 연결하여 배관하고, 1차제3반응조(121c)와 2차제1반응조(131a)와 연결 배관할 수 있다.
통제부(170)는, 각각의 모든 공정을 통제 관리한다.
통제부(170)는 실시간 상황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최적의 상황을 판단 공정을 관리하는 인공지능을 기능을 갖는다.
상기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2개씩 1차, 2차 반응조를 배치하고(100A), 다른 실시예는 3개씩 1차, 2차 반응조를(100B)를 배치하여 설명하였으나, 더 많은 반응조를 배치하여 같은 원리로 이산화염소장치를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1차, 2차 반응조를 갖는다 할지라도 아래와 같은 기본 구조를 가지며 다양하게 선택적으로 1차반응조, 2차반응조를 선택 결합 배관하여 이산화염소를 연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아염소산염용액탱크, 차아염소산염용액탱크 및 산용액탱크로 구성된 원료액저장부를 갖는다.
아염소산염용액, 차아염소산염용액 및 산용액으로 조성된 혼합용액이 반응하여 이산화염소를 발생하고, 주입된 공기에 의해서 이산화염소를 배출되며, 상기 혼합용액의 반응이 말기생태가 되면 말기 혼합용액을 배출하는 기능을 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반응조가 병렬로 배열된 1차반응조부를 갖는다.
상기 1차반응조부에서 말기 혼합용액을 공급받아 이산화염소를 발생하며, 주입된 공기에 의해서 이산화염소를 배출하며, 반응이 완료된 혼합용액의 폐액을 배출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반응조가 병렬로 배열되고, 배출되는 이산화염소 배출관은 이웃하는 1차반응조부의 반응조와 엇갈려 연결되어 결합 배관된 2차반응조부를 갖는다.
공기를 발생하여 선택되는 1차반응조부 및 2차반응조부의 반응조에 공기를 발생 주입하는 공기발생주입부를 갖는다.
상기 2차반응조부의 반응조에서 발생한 폐액을 공급받아 저장배출하는 폐액저장부를 갖는다.
상기 이산화염소를 발생하는 1차반응조부의 반응조, 2차반응조부의 반응조를 서로 엇갈려 쌍을 이루어 연결 결합 배관하여 이산화염소를 연속적으로 일정량 배출하는 배출부를 갖고, 각각의 모든 공정을 통제관리하는 통제부를 갖도록 하면서 다수의 반응조를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운영 공정도이다.
직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1차 반응조의 제1, 제2 반응조에 초기반응액, 2차 반응조의 제2 반응조에 말기 반응액을 채워 준비하는 한다(S100).
첫 2차 반응조 말기 반응액은 장비 가동 이전에 사용되었던 말기 반응액이 채워져 있는 경우 채우지 않고 그대로 진행 할 수 있다.
1차 제1 반응조, 2차 제2 반응조에 공기를 주입하며 이산화염소를 발생하여 쌍을 이룬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한다(S110).
1차 제1반응조에 혼합용액이 말기 상태에 도착하면, 말기 혼합용액은 2차 제2반응조에 보내고, 1차 제2반응조 가동을 지시한다.(S120).
2차 제2 반응조의 폐액을 처리지시하고, 1차 제2반응조, 2차 제1반응조에 공기를 주입하며 이산화염소를 발생하여 쌍을 이룬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한다(S130).
2차 제1반응조의 폐액을 처리 지시하고, 각 반응조가 초기화 상태와 같은 상황이 되어 순환작업이 되도록 관리한다(S140).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운영 공정도이다.
직병렬로 연결된 1차 제1, 2 반응조에 초기 반응액, 2차 제1,2 반응조에 말기 반응액을 채워 준비하는 한다(S200).
1차 제1 반응조, 2차 제2 반응조에 공기를 주입하여 이산화염소를 발생하여 쌍을 이룬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한다(S210).
1차 제1반응조의 혼합용액이 말기 상태에 도착하면, 나머지 혼합용액은 2차 제3반응조에 보내고, 1차 제2반응조 가동을 지시한다(S220).
2차 제2반응조의 폐액을 처리지시하고, 1차 2반응조, 2차 제3 반응조에 공기를 주입하며 이산화염소를 발생하여 쌍을 이룬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한다(S230).
1차 제2 반응조에 혼합용액이 말기 상태에 도착하면, 나머지 혼합용액은 2차 1반응조에 보내고, 1차 제3 반응조 가동을 지시한다(S240).
2차 제3반응조의 폐액을 처리지시하고, 1차 3반응조, 2차 제1 반응조에 공기를 주입하여 이산화염소를 발생하여 쌍을 이룬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한다(S250).
2차 제3반응조의 폐액을 처리 지시하고, 각 반응조가 초기화 상태와 같은 상황이 되어 순환작업이 되도록 관리한다(S260).
상기의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운영방법은, 본 발명의 사상을 실현하기 위한 것으로 실시예에 따라 1차, 2차 반응조의 초기 반응액, 말기 반응액의 연결 이동관계를 설명하였으나, 초기 반응액, 말기 반응액, 또는 발생되어야할 이산화염소량에 따라서 설명된 방법에 한하지 않고 유동적으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운용할 수 있다.
아염소산염용액, 차아염소산염용액 및 산용액이 혼합되는 반응조를 직병렬 연결하여 이산화염소를 일정량 연속으로 효율적으로 발생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장치및 그 운용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은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할 것이다.
본 발명은 아염소산염용액, 차아염소산염용액 및 산용액이 혼합되는 반응조를 직병렬 연결하여 이산화염소를 일정량 연속으로 효율적으로 발생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장치를 만드는 것으로,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다양한 장치 및 그 운용 방법을 확대하여 더 다양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를 만들 수 있다.
100A, 100B: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110: 원액저장부
120: 제1저반응조부 130: 제2반응조부
140: 공기발생주입부 150: 폐액저장부
160: 배출부 170: 통제부

Claims (6)

  1. 아염소산염용액탱크, 차아염소산염용액탱크 및 산용액탱크로 구성된 원료액저장부;
    차아염소산염용액, 염소산염용액 및 산용액으로 조성된 혼합용액이 반응하여 이산화염소를 발생하고, 주입된 공기를 다기공성 세라믹으로 구성된 기포발생기에서 분사 발생하여 이산화염소를 배출되며, 상기 혼합용액의 반응이 말기생태가 되면 ph센서가 감지하여 말기 혼합용액을 배출하는 기능을 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반응조가 병렬로 배열된 1차반응조부;
    상기 1차반응조부에서 말기 혼합용액을 공급받아 이산화염소를 발생하며,주입된 공기를 다기공성 세라믹으로 구성된 기포발생기에서 분사 발생하여 이산화염소를 배출되며, 반응이 완료된 혼합용액의 폐액을 배출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반응조가 병렬로 배열되고, 배출되는 이산화염소 배출관은 이웃하는 1차반응조부의 반응조와 엇갈려 연결되어 결합 배관된 2차반응조부;
    공기를 발생하여 선택되는 1차반응조부 및 2차반응조부의 반응조에 공기를 발생 주입하는 공기발생주입부;
    상기 2차반응조부의 반응조에서 발생한 폐액을 공급받아 저장배출하는 폐액저장부;
    상기 이산화염소를 발생하는 1차반응조부의 반응조, 2차반응조부의 반응조를 서로 엇갈려 쌍을 이루어 연결 결합 배관하여 이산화염소를 연속적으로 일정량 배출하는 배출부;
    각각의 모든 공정을 통제관리하면서, 다수의 1차반응조부의 반응조, 2차반응조부의 반응조의 상태를 실시간 파악하여 배출부에서 이산화염소를 연속적으로 일정량 발생할 수 있도록 통제하는 통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2. 삭제
  3. 삭제
  4. 직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1차 반응조의 제1, 제2 반응조에 초기반응액, 2차 반응조의 제2 반응조에 말기 반응액을 채워 준비하는 단계;
    1차 제1 반응조, 2차 제2 반응조에 공기를 주입하여 다기공성 세라믹으로 구성된 기포발생기에서 분사 발생하여 이산화염소를 발생하는단계;
    1차 제1반응조에 혼합용액이 말기 상태에 도착하면 ph센서가 감지하여, 나머지 혼합용액은 2차 제2반응조에 보내고, 1차 제2반응조 가동지시하는 단계;
    2차 제2 반응조의 폐액을 처리지시하고, 1차 제2반응조, 2차 제1반응조에 공기를 주입하여 다기공성 세라믹으로 구성된 기포발생기에서 분사 발생하여 이산화염소를 발생하는 단계;
    2차 제1반응조의 폐액을 처리 지시하고, 각 반응조가 초기화 상태가 되어 순환작업이 되도록 관리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운용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조는 아염소산나트륨, 차아염소산나트륨, 산용액을 혼합 반응시켜 이산화염소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운용방법.
  6. 직병렬로 연결된 1차 제1, 2 반응조에 초기 반응액, 2차 제1,2 반응조에 말기 반응액을 넣고 초기화 하는 단계;
    1차 제1 반응조, 2차 제2 반응조에 공기를 주입하여 다기공성 세라믹으로 구성된 기포발생기에서 분사 발생하여 이산화염소를 발생하는 단계;
    1차 제1반응조의 혼합용액이 말기 상태에 도착하면 ph센서가 감지하여, 나머지 혼합용액은 2차 제3반응조에 보내고, 1차 제2반응조를 가동지시하는 단계;
    2차 제2반응조의 폐액을 처리지시하고, 1차 2반응조, 2차 제3 반응조에 공기를 주입하여 다기공성 세라믹으로 구성된 기포발생기에서 분사 발생하여 이산화염소를를 발생하는 단계;
    1차 제2 반응조에 혼합용액이 말기 상태에 도착하면 ph센서가 감지하여, 나머지 혼합용액은 2차 1반응조에 보내고, 1차 제3 반응조 가동지시하는 단계;
    2차 제3반응조의 폐액을 처리지시하고, 1차 3반응조, 2차 제1 반응조에 공기를 주입하여 다기공성 세라믹으로 구성된 기포발생기에서 분사 발생하여 이산화염소를 발생하는 단계;
    2차 제3반응조의 폐액을 처리 지시하고, 각 반응조가 초기화 상태가 되어 순환작업이 되도록 관리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운용방법.
KR1020210151631A 2021-11-05 2021-11-05 반응조를 직병렬 연결하는 이산화염소가스 연속 발생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2461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631A KR102461248B1 (ko) 2021-11-05 2021-11-05 반응조를 직병렬 연결하는 이산화염소가스 연속 발생장치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631A KR102461248B1 (ko) 2021-11-05 2021-11-05 반응조를 직병렬 연결하는 이산화염소가스 연속 발생장치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1248B1 true KR102461248B1 (ko) 2022-11-01

Family

ID=84042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1631A KR102461248B1 (ko) 2021-11-05 2021-11-05 반응조를 직병렬 연결하는 이산화염소가스 연속 발생장치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24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4606A (ja) * 1999-03-19 2000-09-26 Chisso Corp 二酸化塩素水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100958516B1 (ko) 2008-07-02 2010-05-17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2차 컨텐츠에 관하여 기초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을보호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015542B1 (ko) * 2009-12-28 2011-02-1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이산화염소가스의 연속 제조방법과 장치
KR20170120569A (ko) * 2014-12-22 2017-10-31 상하이 팡룬 뉴 머티리얼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염화수소 촉매성 산화를 통한 염소 가스 제조 방법
KR101793957B1 (ko) * 2017-04-05 2017-11-06 주식회사 더존이엔티 이산화염소가스 발생 장치 및 방법
KR101806283B1 (ko) * 2015-12-09 2017-12-0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이산화염소 가스 및 이산화염소수 발생 장치 및 방법
KR101989035B1 (ko) * 2018-11-23 2019-06-13 (주)한영 이산화염소가스 연속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2279087B1 (ko) * 2020-11-17 2021-07-21 주식회사알라딘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4606A (ja) * 1999-03-19 2000-09-26 Chisso Corp 二酸化塩素水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100958516B1 (ko) 2008-07-02 2010-05-17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2차 컨텐츠에 관하여 기초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을보호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015542B1 (ko) * 2009-12-28 2011-02-1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이산화염소가스의 연속 제조방법과 장치
KR20170120569A (ko) * 2014-12-22 2017-10-31 상하이 팡룬 뉴 머티리얼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염화수소 촉매성 산화를 통한 염소 가스 제조 방법
KR101806283B1 (ko) * 2015-12-09 2017-12-0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이산화염소 가스 및 이산화염소수 발생 장치 및 방법
KR101793957B1 (ko) * 2017-04-05 2017-11-06 주식회사 더존이엔티 이산화염소가스 발생 장치 및 방법
KR101989035B1 (ko) * 2018-11-23 2019-06-13 (주)한영 이산화염소가스 연속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2279087B1 (ko) * 2020-11-17 2021-07-21 주식회사알라딘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9035B1 (ko) 이산화염소가스 연속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1793957B1 (ko) 이산화염소가스 발생 장치 및 방법
KR101015542B1 (ko) 이산화염소가스의 연속 제조방법과 장치
KR101602722B1 (ko) 저비용 고효율의 이산화염소 연속 발생장치 및 방법
CN102145932A (zh) 一种利用过硫酸盐催化臭氧的水处理方法
US20030031621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generation of chlorine dioxide using a replenished foam system
DE60236154D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hlordioxid
US20090250396A1 (en) Drainage water-treating method and drainage water-treating apparatus
US2012000086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infecting water
KR102461248B1 (ko) 반응조를 직병렬 연결하는 이산화염소가스 연속 발생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190066102A (ko) 반응 가스의 연속 생산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3003540A (zh) 一种环保型二氧化氯纯液制备装置与工艺
US10881111B1 (en) Composition for providing room temperature long-term constant-concentration chlorine dioxide solution in aqueous mediu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050010143A (ko) 연속 복합 오존 수처리 시스템 및 방법
RU2329197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и активированного дезинфицирующего раствора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2291292B1 (ko) 이산화염소 제조시 발생되는 처리수를 재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 이산화염소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WO1990011248A1 (en) Controlled release of desired product through the controlled reaction of precursor
KR100738987B1 (ko) 선박 밸러스트수 처리를 위한 해수에서의 아염소산염과염소를 이용한 이산화염소 제조 장치 및 방법
CN112960760B (zh) 羟基自由基的制备装置及其制备方法、羟基自由基溶液
KR102323494B1 (ko) 유해가스 제거장치 및 유해가스 제거방법
JPH1177087A (ja) 有機性廃水の嫌気性生物処理方法及び装置
JPH09276881A (ja) 窒素化合物含有水の処理方法
JP4025972B2 (ja) 排水の高度処理方法及び高度処理装置
JP2005118626A (ja) 酸化剤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HUT76127A (en) Process and device for disposing of ethylene oxide gas used for sterilisation purpo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