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057B1 - 연결끈 고정력이 향상된 배낭용 버클 - Google Patents

연결끈 고정력이 향상된 배낭용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057B1
KR102461057B1 KR1020220031850A KR20220031850A KR102461057B1 KR 102461057 B1 KR102461057 B1 KR 102461057B1 KR 1020220031850 A KR1020220031850 A KR 1020220031850A KR 20220031850 A KR20220031850 A KR 20220031850A KR 102461057 B1 KR102461057 B1 KR 102461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locking
backpack
string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건수
Original Assignee
서건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건수 filed Critical 서건수
Priority to KR1020220031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0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3/047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with adjustable fastenings for the shoulder straps or waist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5Buckl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with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34Safety buckles with the sliding motion of the buckle providing the opening or clos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46Details
    • A44B11/2549Fastening of other buckle elements to the main buckl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46Details
    • A44B11/2553Attachment of buckle to strap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76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a snap action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버클과 수버클이 서로에 대해 체결되는 것에 의해 배낭의 연결끈이 체결되고, 연결끈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암버클과 수버클의 반대방향으로 당겨주는 동작에 의해 연결끈의 일측과 타측이 암버클과 수버클에 견고하게 체결 고정될 수 있어, 배낭을 매고 활동할 때 연결끈이 풀어져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사용자가 신체에 맞도록 연결끈을 당겨주면 당겨진 연결끈이 암버클과 수버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배낭의 연결끈의 길이조절이 연결끈을 잡아 당겨주는 동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성과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에 의해 암버클과 수버클의 록킹될 수 있기 때문에 생산단가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으며 배낭을 매거나 풀어주는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연결끈 고정력이 향상된 배낭용 버클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연결끈 고정력이 향상된 배낭용 버클{buckle for backpack with improved fastening force}
본 발명은 연결끈 고정력이 향상된 배낭용 버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낭에 장착되어 사용자와 배낭을 견고하게 결속시키는 버클과 연결되는 연결끈을 당겨주는 동작에 의해 고정력이 크게 향상되도록 함은 물론, 암버클과 수버클의 체결 및 분리가 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성과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연결끈 고정력이 향상된 배낭용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낭은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를 형성하여 등산, 낚시, 여행 및 학생의 책가방은 물론 군인들의 각종 휴대품이나 장비 등 필요한 물건을 넣어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며 대용량의 배낭에는 배낭의 골격을 유지하는 프레임이 형성된 것도 있다.
이러한 배낭은,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와 사용자의 등과 접촉하면서 착용감을 높이기 위하여 일정한 쿠션력을 갖는 등판 및 수납부를 메고 벗기 위한 멜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멜빵의 중앙에는 가슴멜빵과 가슴버클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허리멜빵과 허리버클이 구비되어 배낭을 사용자의 가슴과 허리에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즉, 배낭에는 배낭을 어깨에 걸기 위한 기본적인 어깨멜빵과, 허리에 고정하기 위한 허리멜빵 및 가슴에 매도록 된 가슴멜빵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중 가슴멜빵은 배낭의 상단이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배낭이 신체에 보다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낭의 출렁거림을 없애고 안정된 착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가슴멜빵은 가슴멜빵의 중간은 암/수로 이루어지는 체결버클에 의해 착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양단부에는 연결버클이 설치되어 연결버클의 양단으로 가슴멜빵의 단부가 어깨멜빵을 감싸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어깨멜빵의 외면에는 가슴멜빵의 승강을 안내하는 지지편이 설치되어 연결버클에 결합되어 있는 구성으로 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배낭은 가슴멜빵과 허리멜빵에 의해 배낭이 사용자의 신체에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하고는 있으나, 버클의 구성이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암버클과 수버클의 체결 및 분리작업성이 저하되어 사용에 불편함을 갖을 뿐만 아니라,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원가의 상승과 더불어 생산성이 저하되고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 버클은, 암버클과 수버클이 체결되는 것에 의해서만 배낭이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되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버클과 연결되는 멜빵의 연결끈이 버클로부터 느슨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배낭의 밀착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10-0856453호인 배낭용 허리 버클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배낭의 등판쪽 하부 좌우측에 각각 허리밴드가 설치되고, 상기 허리밴드의 외측에 끈이 연결설치되며, 상기 허리밴드의 선단에 각각 숫버클과 암버클이 상기 끈을 매개로 연결됨으로써 배낭용 허리 버클이 구성되고, 상기 끈의 선단부에 그 일부가 감겨져 설치되는 끈 길이 조절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끈 길이 조절장치에 감겨진 끈의 인출 또는 인입을 통해 상기 허리 밴드와 연결된 끈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숫버클 및 암버클의 위치를 사용자의 몸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배낭의 허리밴드에 설치되는 끈의 길이를 편리하게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향상된 편의를 제공하고, 배낭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길이 조절된 허리 밴드의 끈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 역시 끈 고정홀더에 의해 연결끈이 버클에 고정되도록 함에 따라 끈 고정홀더가 추가로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끈 고정홀더를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젖혀주는 동작에 의해 버클과 연결끈이 고정되도록 함에 따라 연결끈의 길이조절이 자유롭지 못하며, 동절기에 사용자의 손이 얼거나 또는 하절기에 사용자의 손이 젖을 경우 끈 고정홀더의 파지력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끈 고정홀더를 젖혀주는 동작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에 의해 배낭의 연결끈을 서로 연결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신체에 배낭을 안정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으며, 연결끈의 조절이 자유로움은 물론 조절된 연결끈을 버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등록특허 10-0856453호(2008.08.28. 등록) 특허문헌 2 : 대한민국등록특허 10-0561773호(2006.03.09. 등록)
본 발명은 배낭의 연결끈을 연결하는 암버클과 수버클로 이루어진 버클의 암버클과 수버클의 구성이 간단하여 생산단가를 최소화하고, 암버클과 수버클의 체결성이 쉽고 용이하여 사용성과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연결끈을 당겨주는 동작에 의해 버클에 연결끈이 고정되도록 하며 연결끈을 버클측으로 밀어줄 때 고정된 연결끈을 풀어지도록 하여 연결끈의 길이조절이 용이하도록 한 연결끈 고정력이 향상된 배낭용 버클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연결끈 고정력이 향상된 배낭용 버클은, 배낭에 구비된 연결끈의 일측이 지지되는 제1지지편이 구비되고 제1록킹부를 갖는 암버클과, 배낭에 구비된 연결끈의 타측이 지지되는 제2지지편이 구비되고 상기 암버클에 끼워져 제1록킹부에 록킹되는 제2록킹부를 갖는 수버클로 이루어진 배낭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암버클에는, 상기 제1지지편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하측에 각각 관통되는 제1가이드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제1가이드구멍에 끼워지는 제1상하가이드돌부가 양측에 각각 돌출되고 상기 제1지지편에 지지되는 연결끈 일측이 걸어져 연결끈의 일측을 제1지지편측으로 잡아당기는 동작에 의해 연결끈 일측이 록킹되는 제1연결끈록킹구가 구비되며, 상기 수버클에는, 상기 제2지지편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하측에 각각 관통되는 제2가이드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제2가이드구멍에 끼워지는 제2상하가이드돌부가 양측에 각각 돌출되고 상기 제2지지편에 지지되는 연결끈 타측이 걸어져 연결끈의 타측을 제2지지편측으로 잡아당기는 동작에 의해 연결끈 타측이 록킹되는 제2연결끈록킹구가 구비되며, 상기 암버클의 제1록킹부는, 상기 암버클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암버클록킹수용부와; 상기 암버클록킹수용부측으로 연장되는 암버클탄성록킹편과; 상기 암버클탄성록킹편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암버클록킹수용부에 위치되는 암버클탄성누름부와; 상기 암버클탄성록킹편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암버클탄성걸림돌기로 구비되고, 상기 수버클의 제2록킹부는, 상기 암버클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수버클탄성연장편과; 상기 수버클탄성연장편으로부터 연장되어 수버클이 암버클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암버클탄성누름부 하단에 위치되고 양측에 상기 암버클탄성걸림돌기에 걸어지는 수버클록킹턱을 갖는 수버클탄성록킹편과; 상기 수버클탄성록킹편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암버클탄성누름부측으로 점차적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수버클탄성가이드돌부로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제1록킹부의 암버클탄성누름부에는, 상기 암버클에 수버클이 체결되어 상기 수버클탄성록킹편이 암버클탄성누름부의 하단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암버클탄성누름부로부터 수버클탄성록킹편이 벗어남을 방지하는 스토퍼돌부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제1연결끈록킹구는, 상기 제1연결끈록킹구에 연결끈의 일측을 걸어준 후 제1지지편측으로 연결끈을 잡아당길 때, 상기 제1지지편과 제1연결끈록킹구 사이에 연결끈의 일측이 밀착되어 록킹되도록, 상기 제1지지편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각도 제1가이드면이 구비되고, 상기 제2연결끈록킹구는, 상기 제2연결끈록킹구에 연결끈의 타측을 걸어준 후 제2지지편측으로 연결끈을 잡아당길 때, 상기 제2지지편과 제2연결끈록킹구 사이에 연결끈의 타측이 밀착되어 록킹되도록, 상기 제2지지편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각도 제2가이드면이 구비된다.
본 발명은 암버클과 수버클이 서로에 대해 체결되는 것에 의해 배낭의 연결끈이 체결되고, 연결끈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암버클과 수버클의 반대방향으로 당겨주는 동작에 의해 연결끈의 일측과 타측이 암버클과 수버클에 견고하게 체결 고정될 수 있어, 배낭을 매고 활동할 때 연결끈이 풀어져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사용자가 신체에 맞도록 연결끈을 당겨주면 당겨진 연결끈이 암버클과 수버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배낭의 연결끈의 길이조절이 연결끈을 잡아 당겨주는 동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성과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에 의해 암버클과 수버클의 록킹될 수 있기 때문에 생산단가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으며 배낭을 매거나 풀어주는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연결끈 고정력이 향상된 배낭용 버클의 일측을 나타낸 일부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연결끈 고정력이 향상된 배낭용 버클의 타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연결끈 고정력이 향상된 배낭용 버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연결끈 고정력이 향상된 배낭용 버클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연결끈 고정력이 향상된 배낭용 버클에 의해 연결끈이 당겨져 록킹되는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연결끈 고정력이 향상된 배낭용 버클에 의해 연결끈의 록킹이 해제되는 상태의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끈 고정력이 향상된 배낭용 버클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낭에 구비된 연결끈의 일측(1)이 지지되는 제1지지편(11)이 구비되고 제1록킹부(30)를 갖는 암버클(10)과, 배낭에 구비된 연결끈의 타측(2)이 지지되는 제2지지편(21)이 구비되고 상기 암버클(10)에 끼워져 제1록킹부(30)에 록킹되는 제2록킹부(40)를 갖는 수버클(20)로 이루어진 배낭용 버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낭의 멜빵이나 가슴고정 연결끈 또는 허리고정 연결끈 등 연결끈을 서로 연결하여 체결하는 것으로, 암버클(10)에 수버클(20)이 삽입되어 암버클(10)에 구비된 제1록킹부(30)에 수버클(20)에 구비된 제2록킹부(40)가 록킹되는 것에 의해 연결끈의 양측이 서로 연결 고정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암버클(10)과 수버클(20)의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성과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킴은 물론, 연결끈의 길이조절이 용이하며 길이조절된 연결끈이 암버클(10)과 수버클(20)에 각각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배낭을 매고 활동할 때 연결끈이 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상기 암버클(10)에는, 상기 제1지지편(11)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하측에 각각 관통되는 제1가이드구멍(1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구멍(12)에 끼워지는 제1상하가이드돌부(51)가 양측에 각각 돌출되고 상기 제1지지편(11)에 지지되는 연결끈 일측(1)이 걸어져 연결끈의 일측(1)을 제1지지편(11)측으로 잡아당기는 동작에 의해 연결끈 일측(1)이 록킹되는 제1연결끈록킹구(5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기 제1연결끈록킹구(50)가 상기 제1가이드구멍(12)을 따라 암버클(10)의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이는 상기 제1연결끈록킹구(5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돌출된 제1상하가이드돌부(51)가 상기 암버클(10)의 상하측에 각각 관통된 제1가이드구멍(12)에 끼워져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끈 일측(1)을 제1연결끈록킹구(50)에 감아준 후,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끈 일측(1)의 하단부를 암버클(10)의 제1지지편(11)측으로 당겨주면, 상기 제1연결끈록킹구(50)가 제1지지편(11)측으로 당겨지면서 연결끈 일측(1)이 제1지지편(11)과 제1연결끈록킹구(50) 사이에 밀착됨에 따라 연결끈 일측(1)이 암버클(10)에 고정된다.
즉, 상기 연결끈 일측(1)의 길이를 사용자의 신체에 맞도록 조절한 다음 연결끈 일측(1)을 암버클(10)의 제1지지편(11)측으로 강하게 당겨주면, 상기 제1연결끈록킹구(50)가 제1지지편(11)측으로 당겨지는 동작에 의해 제1지지편(11)과 제1연결끈록킹구(50) 사이에 위치되는 연결끈 일측(1)이 제1지지편(11)과 제1연결끈록킹구(50) 사이에서 밀착되면서, 제1지지편(11)측으로 당겨지는 제1연결끈록킹구(50)에 의해 강하게 밀착되어 길이가 조절된 연결끈 일측(1)이 암버클(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제1연결끈록킹구(50)에는, 상기 제1지지편(11)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각도 제1가이드면(52)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연결끈록킹구(50)에 연결끈의 일측(1)을 걸어준 후 제1지지편(11)측으로 연결끈의 일측(1)을 잡아당길 때, 상기 제1지지편(11)과 제1연결끈록킹구(50) 사이에 위치된 연결끈의 일측(1)이 상기 하향 경사진 제1가이드면(52)에 밀착되면서 제1지지편(11)의 하단측으로 당겨지기 때문에, 연결끈 일측(1)이 제1지지편(11)과 제1연결끈록킹구(50)에 의해 밀착되어 고정 록킹된다.
본 발명의 상기 수버클(20)에는, 상기 제2지지편(21)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하측에 각각 관통되는 제2가이드구멍(2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구멍(22)에 끼워지는 제2상하가이드돌부(61)가 양측에 각각 돌출되고 상기 제2지지편(21)에 지지되는 연결끈 타측(2)이 걸어져 연결끈의 타측(2)을 제2지지편(21)측으로 잡아당기는 동작에 의해 연결끈 타측(2)이 록킹되는 제2연결끈록킹구(6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기 제2연결끈록킹구(60)가 상기 제2가이드구멍(22)을 따라 수버클(20)의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이는 상기 제2연결끈록킹구(6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돌출된 제2상하가이드돌부(61)가 상기 수버클(20)의 상하측에 각각 관통된 제2가이드구멍(22)에 끼워져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끈 타측(2)을 제2연결끈록킹구(60)에 감아준 후,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끈 타측(2)의 하단부를 수버클(20)의 제2지지편(21)측으로 당겨주면, 상기 제2연결끈록킹구(60)가 제2지지편(21)측으로 당겨지면서 연결끈 타측(2)이 제2지지편(21)과 제2연결끈록킹구(60) 사이에 밀착됨에 따라 연결끈 타측(2)이 수버클(20)에 고정된다.
즉, 상기 연결끈 타측(2)의 길이를 사용자의 신체에 맞도록 조절한 다음 연결끈 타측(2)을 수버클(20)의 제2지지편(21)측으로 강하게 당겨주면, 상기 제2연결끈록킹구(60)가 제2지지편(21)측으로 당겨지는 동작에 의해 제2지지편(21)과 제2연결끈록킹구(60) 사이에 위치되는 연결끈 타측(2)이 제2지지편(21)과 제2연결끈록킹구(60) 사이에서 밀착되면서, 제2지지편(21)측으로 당겨지는 제2연결끈록킹구(60)에 의해 강하게 밀착되어 길이가 조절된 연결끈 타측(2)이 수버클(2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제2연결끈록킹구(60)에는, 상기 제2지지편(21)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각도 제2가이드면(62)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연결끈록킹구(60)에 연결끈의 타측(2)을 걸어준 후 제2지지편(21)측으로 연결끈의 타측(2)을 잡아당길 때, 상기 제2지지편(21)과 제2연결끈록킹구(60) 사이에 위치된 연결끈의 타측(2)이 상기 하향 경사진 제2가이드면(62)에 밀착되면서 제2지지편(21)의 하단측으로 당겨지기 때문에, 연결끈 타측(2)이 제2지지편(21)과 제2연결끈록킹구(60)에 의해 밀착되어 고정 록킹된다.
본 발명의 상기 암버클(10)의 제1록킹부(30)는, 상기 암버클(10)의 전면부(13)에 구비되는 암버클록킹수용부(31)와, 상기 암버클록킹수용부(31)측으로 연장되는 암버클탄성록킹편(32)과, 상기 암버클탄성록킹편(32)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암버클록킹수용부(31)에 위치되는 암버클탄성누름부(33)와, 상기 암버클탄성록킹편(32)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암버클탄성걸림돌기(34)로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버클(20)의 제2록킹부(40)는, 상기 암버클(10)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수버클탄성연장편(41)과, 상기 수버클탄성연장편(41)으로부터 연장되어 수버클(20)이 암버클(10)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암버클탄성누름부(33) 하단에 위치되고 양측에 상기 암버클탄성걸림돌기(34)에 걸어지는 수버클록킹턱(42)을 갖는 수버클탄성록킹편(43)과, 상기 수버클탄성록킹편(43)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암버클탄성누름부(33)측으로 점차적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수버클탄성가이드돌부(44)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기 수버클(20)의 제2록킹부(40)가 암버클(10)에 끼워지면서 제2록킹부(40)의 수버클탄성가이드돌부(44)가 암버클(10)에 구비된 제1록킹부(30)의 암버클탄성누름부(33)에 의해 눌러지면서 끼워진다.
또한, 수버클(20)의 제2록킹부(40)가 암버클(10)에 완전히 끼워져 암버클(10)의 제1록킹부(30) 하단에 제2록킹부(40)가 위치되면, 상기 끼워질 때 눌러진 수버클탄성가이드돌부(44)가 수버클탄성연장편(41)에 의해 눌러짐이 해제되면서 상기 수버클록킹턱(42)이 암버클탄성걸림돌기(34)에 걸어지면서 암버클(10)의 제1록킹부(30)와 수버클(20)의 제2록킹부(40)가 서로 록킹된다.
또한, 암버클(10)과 수버클(20)의 록킹 해제는, 상기 제1록킹부(30)의 암버클탄성누름부(33)를 눌러준 상태에서 수버클(20)을 암버클(10)로부터 빼내어 분리하면 되는 바, 상기 제1록킹부(30)의 암버클탄성누름부(33)을 눌러주는 동작에 의해 상기 제2록킹부(40)의 수버클탄성가이드돌부(44)가 눌러지면서, 걸어진 수버클록킹턱(42)이 암버클탄성걸림돌기(34)로부터 벗어나기 때문에 상기 수버클(20)을 암버클(10)로부터 빼내어 분리함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제1록킹부(30)의 암버클탄성누름부(33)에는 스토퍼돌부(35)가 돌출 구비된다.
이와 같이 스토퍼돌부(35)가 암버클탄성누름부(33)에 구비됨에 따라, 상기 암버클(10)에 수버클(20)이 끼워져 체결되면서 상기 수버클탄성록킹편(43)이 암버클탄성누름부(33)의 하단에 위치될 때, 상기 암버클탄성누름부(33)로부터 수버클탄성록킹편(43)이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연결끈 일측 2 : 연결끈 타측
10 : 암버클 11 : 제1지지편
12 : 제1가이드구멍 13 : 암버클 전면부
20 : 수버클 21 : 제2지지편
22 : 제2가이드구멍 30 : 제1록킹부
31 : 암버클록킹수용부 32 : 암버클탄성록킹편
33 : 암버클탄성누름부 34 : 암버클탄성걸림돌기
35 : 스토퍼돌부 40 : 제2록킹부
41 : 수버클탄성연장편 42 : 수버클록킹턱
43 : 수버클탄성록킹편 44 : 수버클탄성가이드돌부
50 : 제1연결끈록킹구 51 : 제1상하가이드돌부
52 : 제1가이드면 60 : 제2연결끈록킹구
61 : 제2상하가이드돌부 62 : 제2가이드면

Claims (3)

  1. 배낭에 구비된 연결끈의 일측(1)이 지지되는 제1지지편(11)이 구비되고 제1록킹부(30)를 갖는 암버클(10)과, 배낭에 구비된 연결끈의 타측(2)이 지지되는 제2지지편(21)이 구비되고 상기 암버클(10)에 끼워져 제1록킹부(30)에 록킹되는 제2록킹부(40)를 갖는 수버클(20)를 포함하고, 상기 암버클(10)에는, 상기 제1지지편(11)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하측에 각각 관통되는 제1가이드구멍(12)이 구비되고, 상기 제1가이드구멍(12)에 끼워지는 제1상하가이드돌부(51)가 양측에 각각 돌출되고 상기 제1지지편(11)에 지지되는 연결끈 일측(1)이 걸어져 연결끈의 일측(1)을 제1지지편(11)측으로 잡아당기는 동작에 의해 연결끈 일측(1)이 록킹되는 제1연결끈록킹구(50)가 구비되며, 상기 수버클(20)에는, 상기 제2지지편(21)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하측에 각각 관통되는 제2가이드구멍(22)이 구비되고, 상기 제2가이드구멍(22)에 끼워지는 제2상하가이드돌부(61)가 양측에 각각 돌출되고 상기 제2지지편(21)에 지지되는 연결끈 타측(2)이 걸어져 연결끈의 타측(2)을 제2지지편(21)측으로 잡아당기는 동작에 의해 연결끈 타측(2)이 록킹되는 제2연결끈록킹구(60)가 구비된 배낭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암버클(10)의 제1록킹부(30)는,
    상기 암버클(10)의 전면부(13)에 구비되는 암버클록킹수용부(31)와; 상기 암버클록킹수용부(31)측으로 연장되는 암버클탄성록킹편(32)과; 상기 암버클탄성록킹편(32)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암버클록킹수용부(31)에 위치되는 암버클탄성누름부(33)와; 상기 암버클탄성록킹편(32)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암버클탄성걸림돌기(34)로 구비되고,
    상기 수버클(20)의 제2록킹부(40)는,
    상기 암버클(10)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수버클탄성연장편(41)과; 상기 수버클탄성연장편(41)으로부터 연장되어 수버클(20)이 암버클(10)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암버클탄성누름부(33) 하단에 위치되고 양측에 상기 암버클탄성걸림돌기(34)에 걸어지는 수버클록킹턱(42)을 갖는 수버클탄성록킹편(43)과; 상기 수버클탄성록킹편(43)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암버클탄성누름부(33)측으로 점차적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수버클탄성가이드돌부(44)로 구비되며,
    상기 제1록킹부(30)의 암버클탄성누름부(33)에는,
    상기 암버클(10)에 수버클(20)이 체결되어 상기 수버클탄성록킹편(43)이 암버클탄성누름부(33)의 하단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암버클탄성누름부(33)로부터 수버클탄성록킹편(43)이 벗어남을 방지하는 스토퍼돌부(3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끈 고정력이 향상된 배낭용 버클.
  2. 삭제
  3. 삭제
KR1020220031850A 2022-03-15 2022-03-15 연결끈 고정력이 향상된 배낭용 버클 KR102461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850A KR102461057B1 (ko) 2022-03-15 2022-03-15 연결끈 고정력이 향상된 배낭용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850A KR102461057B1 (ko) 2022-03-15 2022-03-15 연결끈 고정력이 향상된 배낭용 버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1057B1 true KR102461057B1 (ko) 2022-10-28

Family

ID=83835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850A KR102461057B1 (ko) 2022-03-15 2022-03-15 연결끈 고정력이 향상된 배낭용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0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679B1 (ko) * 1994-11-18 1998-04-18 요시다 다다히로 버클
KR100500215B1 (ko) * 1997-12-29 2005-10-04 내셔날 몰딩 코오포레이션 버클조립체
KR100561773B1 (ko) 2003-12-02 2006-03-17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사이드 릴리스 타입의 버클 및 배낭
KR100856453B1 (ko) 2007-01-29 2008-09-04 김문수 배낭용 허리 버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679B1 (ko) * 1994-11-18 1998-04-18 요시다 다다히로 버클
KR100500215B1 (ko) * 1997-12-29 2005-10-04 내셔날 몰딩 코오포레이션 버클조립체
KR100561773B1 (ko) 2003-12-02 2006-03-17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사이드 릴리스 타입의 버클 및 배낭
KR100856453B1 (ko) 2007-01-29 2008-09-04 김문수 배낭용 허리 버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8567B2 (en) Adjustable load carrier device
KR100954496B1 (ko) 슬라이딩 장치, 아기띠, 배낭, 가방 및 허리띠 배낭
US8092087B2 (en) Bag with adjustable strap adapted to be carried on shoulders or back
US8418897B1 (en) Body worn child carrier
US9737122B1 (en) Convertible backpack handbag
JP2010246879A (ja) ストラップ及び付属物の連結装置
EP2674060A2 (en) Separating type backpack
US4217998A (en) Adjustable weight balancing device for a backpack frame
US20140361059A1 (en) Weight transfer carrying device and method
US20200008539A1 (en) Attachment clip assembly
KR102461057B1 (ko) 연결끈 고정력이 향상된 배낭용 버클
JP4941857B2 (ja) 肩掛けと背負いの両方の機能を有するバッグ
KR200462023Y1 (ko) 배낭용 어깨끈 손잡이 및 그 어깨끈 손잡이의 매듭구조
CN212382219U (zh) 设有隐形背带的箱包
KR102575884B1 (ko) 힌지탈착구를 갖는 배낭용 버클
KR102391313B1 (ko) 움직임이 용이한 배낭용 버클
CN210539571U (zh) 一种可调背带的包
KR101191030B1 (ko) 자석을 갖는 배낭의 부속물
CN112007231A (zh) 一种内分泌科用糖尿病治疗辅助装置
CN216534162U (zh) 一种可拆卸多功能妈咪包
KR101356572B1 (ko) 등산 배낭용 소품파우치
KR102459895B1 (ko) 개량형 원터치 버클
CN218219484U (zh) 一种可调节前幅的背包
CN211833179U (zh) 一种背负式雨伞
CN213281913U (zh) 一种带有负重结构的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