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1313B1 - 움직임이 용이한 배낭용 버클 - Google Patents

움직임이 용이한 배낭용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313B1
KR102391313B1 KR1020220031852A KR20220031852A KR102391313B1 KR 102391313 B1 KR102391313 B1 KR 102391313B1 KR 1020220031852 A KR1020220031852 A KR 1020220031852A KR 20220031852 A KR20220031852 A KR 20220031852A KR 102391313 B1 KR102391313 B1 KR 102391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locking
backpack
connecting str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영
Original Assignee
김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영 filed Critical 김도영
Priority to KR1020220031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42Safety buckles actuated by a rotatable element, e.g. combined with other actu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07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Landscapes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낭을 신체에 고정함에 있어서, 배낭의 좌측 2개의 연결끈과 우측 2개의 연결끈을 각각 제1버클체와 제2버클체에 의해 연결하여 고정함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가슴에 위치되는 제1버클체와 제2버클체에 의해 배낭을 견고하게 밀착 지지할 수 있어 활동 중 배낭이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1버클체가 제1버클과 제2버클이 서로 연결되고 제2버클체가 제3버클과 제4버클이 서로 연결되어 구비되며, 제1버클체와 제2버클체가 서로 끼워져 록킹되어 있기 때문에, 제1버클과 제2버클 및 제3버클과 제4버클이 서로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어 사용자의 가슴에 위치되는 버클의 유동성이 가능함에 따라, 제1버클체 및 제2버클체에 각각 연결된 연결끈이 사용자의 가슴에서 유동될 수 있어 가슴을 압박하거나 조여주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제1버클체와 제2버클체가 서로 끼워진 후 록킹이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록킹된 제1버클체와 제2버클체의 록킹 해제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배낭을 맨 후 배낭의 고정동작은 물론, 배낭을 어깨로부터 풀기 위한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성과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움직임이 용이한 배낭용 버클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움직임이 용이한 배낭용 버클{buckle for the backpack in which movement facilitates}
본 발명은 움직임이 용이한 배낭용 버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낭에 장착되어 사용자와 배낭을 안정적으로 밀착시켜 주는 버클에 연결된 연결끈의 움직임이 용이하도록 하여 연결끈에 의해 사용자의 가슴이 조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며 연결끈이 크로스 연결되도록 하여 배낭을 더욱 안정적으로 밀착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움직임이 용이한 배낭용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낭은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를 형성하여 등산, 낚시, 여행 및 학생의 책가방은 물론 군인들의 각종 휴대품이나 장비 등 필요한 물건을 넣어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며 대용량의 배낭에는 배낭의 골격을 유지하는 프레임이 형성된 것도 있다.
이러한 배낭은,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와 사용자의 등과 접촉하면서 착용감을 높이기 위하여 일정한 쿠션력을 갖는 등판 및 수납부를 메고 벗기 위한 멜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멜빵의 중앙에는 가슴멜빵과 가슴버클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허리멜빵과 허리버클이 구비되어 배낭을 사용자의 가슴과 허리에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즉, 배낭에는 배낭을 어깨에 걸기 위한 기본적인 어깨멜빵과, 허리에 고정하기 위한 허리멜빵 및 가슴에 매도록 된 가슴멜빵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중 가슴멜빵은 배낭의 상단이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배낭이 신체에 보다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낭의 출렁거림을 없애고 안정된 착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가슴멜빵은 가슴멜빵의 중간은 암/수로 이루어지는 체결버클에 의해 착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양단부에는 연결버클이 설치되어 연결버클의 양단으로 가슴멜빵의 단부가 어깨멜빵을 감싸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어깨멜빵의 외면에는 가슴멜빵의 승강을 안내하는 지지편이 설치되어 연결버클에 결합되어 있는 구성으로 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배낭은 가슴멜빵에 의해 배낭이 사용자의 신체에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하고는 있으나, 연결끈을 연결하는 버클이 일자형으로 이루어진 암버클과 수버클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끈의 길이를 조절한 후 암버클과 수버클을 서로 체결하면 연결끈의 위치가 사용자의 가슴이나 배에 위치한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가슴과 배를 심하게 압박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버클의 위치가 사용자의 가슴에 위치할 경우에는 가슴을 심하게 압박함에 따라 활동 중, 사용자의 가슴통증을 유발하고 답답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버클의 위치가 사용자의 허리나 배에 위치할 경우에는 허리와 배를 조여줌에 따라 역시 사용자가 활동할 때 움직이는 허리와 배에 버클이 눌러지게 되어 활동의 부자연스러움과 함께 눌러짐에 의한 답답함을 느끼게 되며, 심할 경우에는 통증을 유발시키고 소화불량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10-0856453호인 배낭용 허리 버클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배낭의 등판쪽 하부 좌우측에 각각 허리밴드가 설치되고, 상기 허리밴드의 외측에 끈이 연결설치되며, 상기 허리밴드의 선단에 각각 숫버클과 암버클이 상기 끈을 매개로 연결됨으로써 배낭용 허리 버클이 구성되고, 상기 끈의 선단부에 그 일부가 감겨져 설치되는 끈 길이 조절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끈 길이 조절장치에 감겨진 끈의 인출 또는 인입을 통해 상기 허리 밴드와 연결된 끈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숫버클 및 암버클의 위치를 사용자의 몸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배낭의 허리밴드에 설치되는 끈의 길이를 편리하게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향상된 편의를 제공하고, 배낭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길이 조절된 허리 밴드의 끈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 역시 버클이 연결끈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일자형으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앞서 언급한 가슴이나 배 또는 허리의 압박에 따른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버클의 체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사용자의 가슴이나 배 또는 허리의 움직임에 따라 연결끈과 버클이 유동되도록 하는 기술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등록특허 10-0856453호(2008.08.28. 등록) 특허문헌 2 : 대한민국등록특허 10-0561773호(2006.03.09. 등록)
본 발명은 4개의 버클이 서로 열십자형으로 크로스되어 구비되도록 함에 따라 4개의 연결끈을 이용하여 배낭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배낭의 지지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활동에 의해 움직일 때 4개의 버클이 서로 유동되면서 4개의 버클 각각에 연결된 연결끈 역시 유동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신체압박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버클의 체결이 간단하기 때문에 사용성과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움직임이 용이한 배낭용 버클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움직임이 용이한 배낭용 버클은, 배낭의 좌측제1연결끈과 좌측제2연결끈 및 우측제1연결끈과 우측제2연결끈을 각각 연결하여 배낭이 신체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진 배낭용 버클에 있어서, 배낭의 좌측제1연결끈과 좌측제2연결끈이 각각 연결되는 제1버클체와; 배낭의 우측제1연결끈과 우측제2연결끈이 각각 연결되는 제2버클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버클체는, 배낭의 좌측제1연결끈이 연결되는 좌측제1연결끈연결편이 일측에 구비되고, 원방향으로 복수개 제1버클결합돌부가 돌출되며 보강대를 갖는 제1버클과; 배낭의 좌측제2연결끈이 연결되는 좌측제2연결끈연결편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버클의 복수개 제1버클결합돌부가 끼워져 상기 제1버클이 자유롭게 회전되는 제2버클걸림턱부가 원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버클걸림턱부의 일측에 제1록킹부가 원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버클걸림턱과 제1록킹부 사이에 제1끼움수용부가 구비되는 제2버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버클체는, 배낭의 우측제1연결끈이 연결되는 우측제1연결끈연결편이 일측에 구비되고, 원방향으로 복수개 제3버클결합돌부가 돌출되는 제3버클과; 배낭의 우측제2연결끈이 연결되는 우측제2연결끈연결편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3버클의 복수개 제3버클결합돌부가 끼워져 상기 제3버클이 자유롭게 회전되고 상기 제2버클의 제1끼움수용부에 끼워져 수용되는 제4버클걸림턱부가 원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4버클걸림턱부의 일측에 제2록킹부가 원형으로 구비되는 제4버클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복수개 제1버클결합돌부는 각각, 상기 제1버클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제1탄성연장편과; 상기 제1탄성연장편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2버클걸림턱부에 걸어지도록 제1탄성연장편의 외측방향으로 걸림각을 갖는 제1걸림편으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 제3버클결합돌부는 각각, 상기 제3버클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제2탄성연장편과; 상기 제2탄성연장편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4버클걸림턱부에 걸어지도록 제2탄성연장편의 외측방향으로 걸림각을 갖는 제2걸림편으로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제1록킹부는, 상기 제2버클걸림턱부의 일측에 위치되는 원형의 제1록킹가이드와; 상기 제1록킹가이드의 중앙에 위치되되 제1록킹가이드로부터 연장되는 제1탄성록킹연장편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에 제1록킹돌기를 갖는 원형의 제1록킹구와; 상기 제1록킹가이드와 제1록킹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1록킹공간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록킹부는, 상기 제4버클걸림턱부의 일측에 위치되되 상기 제1록킹가이드의 전방측에 위치되는 원형의 제2록킹가이드와; 상기 제2록킹가이드의 중앙에 위치되되 제2록킹가이드로부터 연장되는 제2탄성록킹연장편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에 누름편을 갖는 원형의 제2록킹구와; 상기 제2록킹가이드와 제2록킹구 사이에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록킹구의 제1록킹돌기가 걸어지는 제2록킹공간으로 구비된다.
본 발명은 배낭을 신체에 고정함에 있어서, 배낭의 좌측 2개의 연결끈과 우측 2개의 연결끈을 각각 제1버클체와 제2버클체에 의해 연결하여 고정함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가슴에 위치되는 제1버클체와 제2버클체에 의해 배낭을 견고하게 밀착 지지할 수 있어 활동 중 배낭이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1버클체가 제1버클과 제2버클이 서로 연결되고 제2버클체가 제3버클과 제4버클이 서로 연결되어 구비되며, 제1버클체와 제2버클체가 서로 끼워져 록킹되어 있기 때문에, 제1버클과 제2버클 및 제3버클과 제4버클이 서로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어 사용자의 가슴에 위치되는 버클의 유동성이 가능함에 따라, 제1버클체 및 제2버클체에 각각 연결된 연결끈이 사용자의 가슴에서 유동될 수 있어 가슴을 압박하거나 조여주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제1버클체와 제2버클체가 서로 끼워진 후 록킹이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록킹된 제1버클체와 제2버클체의 록킹 해제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배낭을 맨 후 배낭의 고정동작은 물론, 배낭을 어깨로부터 풀기 위한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성과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움직임이 용이한 배낭용 버클에 배낭의 연결끈이 연결된 상태의 개념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움직임이 용이한 배낭용 버클을 나타낸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움직임이 용이한 배낭용 버클을 나타낸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움직임이 용이한 배낭용 버클의 제1버클체와 제2버클체가 연결되는 상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움직임이 용이한 배낭용 버클의 제1버클체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움직임이 용이한 배낭용 버클의 제2버클체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움직임이 용이한 배낭용 버클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움직임이 용이한 배낭용 버클의 제1버클체와 제1버클체가 록킹된 상태의 개념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움직임이 용이한 배낭용 버클의 제1버클체와 제2버클체의 록킹이 해제되는 상태의 개념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이 용이한 배낭용 버클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낭의 좌측제1연결끈(1)과 좌측제2연결끈(2) 및 우측제1연결끈(3)과 우측제2연결끈(4)을 각각 연결하여 배낭이 신체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진 배낭용 버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낭의 좌측제1연결끈(1)과 좌측제2연결끈(2)이 각각 연결되는 제1버클체(100)와, 배낭의 우측제1연결끈(3)과 우측제2연결끈(4)이 각각 연결되는 제2버클체(2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버클체(100)는 서로에 대해 끼워지는 제1버클(110) 및 제2버클(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버클체(200)는 서로에 대해 끼워지는 제3버클(210) 및 제4버클(220)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낭의 좌측제1연결끈(1)과 좌측제2연결끈(2)이 제1버클체(100)의 제1버클(110)과 제2버클(120)에 연결되고 배낭의 우측제1연결끈(3)과 우측제2연결끈(4)이 제2버클체(200)의 제3버클(210)과 제4버클(220)에 연결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배낭을 매었을 때 가해지는 배낭의 하중을 분산 지지할 수 있으며, 배낭을 사용자의 신체에 대해 더욱 밀착 지지할 수 있어 배낭을 매고 활동할 때 배낭이 흔들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버클체(100)를 이루고 있는 제1버클(110)과 제2버클(120) 및 제2버클체(200)를 이루고 있는 제3버클(210)과 제4버클(220)이 서로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 유동됨에 따라 제1좌측연결끈(1)과 제2좌측연결끈(2) 및 제1우측연결끈(3)과 제2우측연결끈(4)이 사용자가 활동함에 있어 상체가 움직일 때 고정되지 않고 유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1좌측연결끈(1)과 제2좌측연결끈(2) 및 제1우측연결끈(3)과 제2우측연결끈(4)이 고정에 의해 사용자의 상체를 압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버클체(100)의 제1버클(110)은, 배낭의 좌측제1연결끈(1)이 연결되는 좌측제1연결끈연결편(111)이 일측에 구비되고, 원방향으로 복수개 제1버클결합돌부(112)가 돌출되며 보강대(11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버클(120)은, 배낭의 좌측제2연결끈(2)이 연결되는 좌측제2연결끈연결편(121)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버클(110)의 복수개 제1버클결합돌부(112)가 끼워져 상기 제1버클(110)이 자유롭게 회전되는 제2버클걸림턱부(122)가 원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버클걸림턱부(122)의 일측에 제1록킹부(130)가 원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버클걸림턱부(122)와 제1록킹부(130) 사이에 제1끼움수용부(123)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기 제1버클(110)의 복수개 제1버클결합돌부(112)가 원방향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버클(120)의 원형으로 이루어진 제2버클걸림턱부(122)에 끼워진 후 걸어짐에 따라, 원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 제1버클결합돌부(112)가 원형으로 이루어진 제2버클걸림턱부(122)에 대해 회전됨이 가능함에 따라, 제1버클(110)과 제2버클(120)이 서로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된다.
또한 상기 제2버클체(200)의 제3버클(210)은, 배낭의 우측제1연결끈(3)이 연결되는 우측제1연결끈연결편(211)이 일측에 구비되고, 원방향으로 복수개 제3버클결합돌부(212)가 돌출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4버클(220)은, 배낭의 우측제2연결끈(4)이 연결되는 우측제2연결끈연결편(221)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3버클(210)의 복수개 제3버클결합돌부(212)가 끼워져 상기 제3버클(210)이 자유롭게 회전되고 상기 제2버클(120)의 제1끼움수용부(123)에 끼워져 수용되는 제4버클걸림턱부(222)가 원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4버클걸림턱부(222)의 일측에 제2록킹부(230)가 원형으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기 제3버클(210)의 복수개 제3버클결합돌부(212)가 원방향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4버클(220)의 원형으로 이루어진 제4버클걸림턱부(222)에 끼워진 후 걸어짐에 따라, 원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 제3버클결합돌부(212)가 원형으로 이루어진 제4버클걸림턱부(222)에 대해 회전됨이 가능함에 따라, 제3버클(210)과 제4버클(220)이 서로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된다.
또한, 상기 복수개 제1버클결합돌부(112)는 각각, 상기 제1버클(110)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제1탄성연장편(112a)과, 상기 제1탄성연장편(112a)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2버클걸림턱부(122)에 걸어지도록 제1탄성연장편(112a)의 외측방향으로 걸림각을 갖는 제1걸림편(112b)으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제1버클결합돌부(112)가 제1탄성연장편(112a) 및 제1탄성연장편(112a)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걸림편(112b)으로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제1탄성연장편(112a)은 원형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2버클걸림턱부(122) 내면에 위치되고 상기 제1걸림편(112b)은 원형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2버클걸림턱(122)의 상단에 걸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제1버클체(100)의 제1버클(110)과 제2버클(120)이 서로에 대해 끼워진 상태에서 원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 제1버클결합돌부(112)가 원형으로 이루어진 제2버클걸림턱부(122)에 대해 회전되어 제1버클(110)과 제2버클(120)이 서로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된다.
또한, 상기 복수개 제3버클결합돌부(212)는 각각, 상기 제3버클(210)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제2탄성연장편(212a)과, 상기 제2탄성연장편(212a)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4버클걸림턱부(222)에 걸어지도록 제2탄성연장편(212a)의 외측방향으로 걸림각을 갖는 제2걸림편(212b)으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제3버클결합돌부(212)가 제2탄성연장편(212a) 및 제2탄성연장편(212a)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걸림편(112b)으로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제2탄성연장편(212a)은 원형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3버클걸림턱부(222) 내면에 위치되고 상기 제2걸림편(212b)은 원형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4버클걸림턱(222)의 상단에 걸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제2버클체(200)의 제3버클(210)과 제4버클(220)이 서로에 대해 끼워진 상태에서 원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 제3버클결합돌부(212)가 원형으로 이루어진 제4버클걸림턱부(222)에 대해 회전되어 제3버클(210)과 제4버클(220)이 서로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배낭을 매고 활동함에 따라 사용자의 상체가 움직일 때 제1좌측연결끈(1)과 제2좌측연결끈(2) 및 제1우측연결끈(3)과 제2우측연결끈(4)이 고정되지 않고 유동될 수 있어, 제1좌측연결끈(1)과 제2좌측연결끈(2) 및 제1우측연결끈(3)과 제2우측연결끈(4)이 고정에 의해 사용자의 상체를 압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1록킹부(130)는, 상기 제2버클걸림턱부(122)의 일측에 위치되는 원형의 제1록킹가이드(131)와, 상기 제1록킹가이드(131)의 중앙에 위치되되 제1록킹가이드(131)로부터 연장되는 제1탄성록킹연장편(132)에 의해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에 제1록킹돌기(133)를 갖는 원형의 제1록킹구(134)와, 상기 제1록킹가이드(131)와 제1록킹구(134) 사이에 형성되는 제1록킹공간(135)으로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록킹부(230)는, 상기 제4버클걸림턱부(222)의 일측에 위치되되 상기 제1록킹가이드(131)의 전방측에 위치되는 원형의 제2록킹가이드(231)와, 상기 제2록킹가이드(231)의 중앙에 위치되되 제2록킹가이드(231)로부터 연장되는 제2탄성록킹연장편(232)에 의해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에 누름편(233)을 갖는 원형의 제2록킹구(234)와, 상기 제2록킹가이드(231)와 제2록킹구(234) 사이에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록킹구(134)의 제1록킹돌기(133)가 걸어지는 제2록킹공간(235)으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제1버클체(100)와 제2버클체(20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버클체(200)를 이루고 있는 제4버클(220)의 제4버클걸림턱부(222)가 제1버클체(100)를 이루고 있는 제2버클(120)의 제1끼움수용부(123)에 끼워지도록 끼우면 되는 것으로, 이 때, 상기 누름편(233)과 제1록킹돌기(133)가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끼우면 된다.
이와 같이 제1버클체(100)와 제2버클체(200)를 끼워주면 상기 제2버클체(200)의 제2록킹부(230)가 제1버클체(100)의 제1록킹부(130) 전방측에 위치되어 제1록킹부(130)를 덮어주는 것으로, 상기 제1버클체(100)와 제2버클체(200)가 끼워지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록킹돌기(133)가 제2록킹공간(235) 내측으로 위치되어 걸어짐에 따라 제1버클체(100)와 제2버클체(200)가 록킹된다.
또한, 상기 제2록킹부(230)의 누름편(233)을 눌러주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록킹돌기(133)가 눌러지면서 제2록킹공간(235)의 내측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는 바, 이 때 제1버클체(100)와 제2버클체(200)를 서로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당겨주면 끼워진 제1버클체(100)와 제2버클체(200)가 쉽게 분리된다.
이와 같이 제1버클체(100)와 제2버클체(200)의 록킹동작은 물론 록킹해제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배낭을 맨 사용자로 하여금 배낭의 제1좌측연결끈(1)과 제2좌측연결끈(2) 및 제1우측연결끈(3)과 제2우측연결끈(4)을 제1버클체(100)와 제2버클체(200)를 이용하여 쉽게 체결함은 물론 제1좌측연결끈(1)과 제2좌측연결끈(2) 및 제1우측연결끈(3)과 제2우측연결끈(4)을 쉽게 분리할 수 있어 배낭의 매고 벗음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좌측제1연결끈 2 : 좌측제2연결끈
3 : 우측제1연결끈 4 : 우측제2연결끈
100 : 제1버클체 110 : 제1버클
111 : 좌측제1연결끈연결편 112 : 제1버클결합돌부
112a : 제1탄성연장편 112b : 제1걸림편
113 : 보강대 120 : 제2버클
121 : 좌측제2연결끈연결편 122 ; 제2버클걸림턱부
123 : 제1끼움수용부 130 : 제1록킹부
131 : 제1록킹가이드 132 : 제1탄성록킹연장편
133 : 제1록킹돌기 134 : 제1록킹구
135 : 제1록킹공간
200 : 제2버클체 210 : 제3버클
211 : 우측제1연결끈연결편 212 : 제3버클결합돌부
212a : 제2탄성연장편 212b : 제2걸림편
220 : 제4버클 221 : 우측제2연결끈연결편
222 : 제4버클걸림턱부 230 : 제2록킹부
231 : 제2록킹가이드 232 : 제2탄성록킹연장편
233 : 누름편 234 : 제2록킹구
235 : 제2록킹공간

Claims (3)

  1. 배낭의 좌측제1연결끈(1)과 좌측제2연결끈(2) 및 우측제1연결끈(3)과 우측제2연결끈(4)을 각각 연결하여 배낭이 신체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진 배낭용 버클에 있어서,
    배낭의 좌측제1연결끈(1)과 좌측제2연결끈(2)이 각각 연결되는 제1버클체(100)와; 배낭의 우측제1연결끈(3)과 우측제2연결끈(4)이 각각 연결되는 제2버클체(2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버클체(100)는,
    배낭의 좌측제1연결끈(1)이 연결되는 좌측제1연결끈연결편(111)이 일측에 구비되고, 원방향으로 복수개 제1버클결합돌부(112)가 돌출되며 보강대(113)를 갖는 제1버클(110)과;
    배낭의 좌측제2연결끈(2)이 연결되는 좌측제2연결끈연결편(121)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버클(110)의 복수개 제1버클결합돌부(112)가 끼워져 상기 제1버클(110)이 자유롭게 회전되는 제2버클걸림턱부(122)가 원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버클걸림턱부(122)의 일측에 제1록킹부(130)가 원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버클걸림턱부(122)와 제1록킹부(130) 사이에 제1끼움수용부(123)가 구비되는 제2버클(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버클체(200)는,
    배낭의 우측제1연결끈(3)이 연결되는 우측제1연결끈연결편(211)이 일측에 구비되고, 원방향으로 복수개 제3버클결합돌부(212)가 돌출되는 제3버클(210)과;
    배낭의 우측제2연결끈(4)이 연결되는 우측제2연결끈연결편(221)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3버클(210)의 복수개 제3버클결합돌부(212)가 끼워져 상기 제3버클(210)이 자유롭게 회전되고 상기 제2버클(120)의 제1끼움수용부(123)에 끼워져 수용되는 제4버클걸림턱부(222)가 원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4버클걸림턱부(222)의 일측에 제2록킹부(230)가 원형으로 구비되는 제4버클(2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이 용이한 배낭용 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제1버클결합돌부(112)는 각각,
    상기 제1버클(110)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제1탄성연장편(112a)과;
    상기 제1탄성연장편(112a)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2버클걸림턱부(122)에 걸어지도록 제1탄성연장편(112a)의 외측방향으로 걸림각을 갖는 제1걸림편(112b)으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 제3버클결합돌부(212)는 각각,
    상기 제3버클(210)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제2탄성연장편(212a)과;
    상기 제2탄성연장편(212a)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4버클걸림턱부(222)에 걸어지도록 제2탄성연장편(212a)의 외측방향으로 걸림각을 갖는 제2걸림편(212b)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이 용이한 배낭용 버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록킹부(130)는,
    상기 제2버클걸림턱부(122)의 일측에 위치되는 원형의 제1록킹가이드(131)와;
    상기 제1록킹가이드(131)의 중앙에 위치되되 제1록킹가이드(131)로부터 연장되는 제1탄성록킹연장편(132)에 의해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에 제1록킹돌기(133)를 갖는 원형의 제1록킹구(134)와;
    상기 제1록킹가이드(131)와 제1록킹구(134) 사이에 형성되는 제1록킹공간(135)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록킹부(230)는,
    상기 제4버클걸림턱부(222)의 일측에 위치되되 상기 제1록킹가이드(131)의 전방측에 위치되는 원형의 제2록킹가이드(231)와;
    상기 제2록킹가이드(231)의 중앙에 위치되되 제2록킹가이드(231)로부터 연장되는 제2탄성록킹연장편(232)에 의해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에 누름편(233)을 갖는 원형의 제2록킹구(234)와;
    상기 제2록킹가이드(231)와 제2록킹구(234) 사이에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록킹구(134)의 제1록킹돌기(133)가 걸어지는 제2록킹공간(235)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이 용이한 배낭용 버클.
KR1020220031852A 2022-03-15 2022-03-15 움직임이 용이한 배낭용 버클 KR102391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852A KR102391313B1 (ko) 2022-03-15 2022-03-15 움직임이 용이한 배낭용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852A KR102391313B1 (ko) 2022-03-15 2022-03-15 움직임이 용이한 배낭용 버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1313B1 true KR102391313B1 (ko) 2022-04-26

Family

ID=81390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852A KR102391313B1 (ko) 2022-03-15 2022-03-15 움직임이 용이한 배낭용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31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773B1 (ko) 2003-12-02 2006-03-17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사이드 릴리스 타입의 버클 및 배낭
KR100856453B1 (ko) 2007-01-29 2008-09-04 김문수 배낭용 허리 버클
KR20120019556A (ko) * 2010-08-26 2012-03-07 이범규 탄성스트링을 가진 버클장치
US20150129623A1 (en) * 2013-11-12 2015-05-14 Troy Stuart Single action four point harness for a backpac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773B1 (ko) 2003-12-02 2006-03-17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사이드 릴리스 타입의 버클 및 배낭
KR100856453B1 (ko) 2007-01-29 2008-09-04 김문수 배낭용 허리 버클
KR20120019556A (ko) * 2010-08-26 2012-03-07 이범규 탄성스트링을 가진 버클장치
US20150129623A1 (en) * 2013-11-12 2015-05-14 Troy Stuart Single action four point harness for a backpa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8567B2 (en) Adjustable load carrier device
US6290111B1 (en) Harness
US6520391B2 (en) Baby shoulder cradle
US8011545B2 (en) Carrier system
US7600660B2 (en) Harness tightening system
KR101030366B1 (ko) 스트랩 및 부속물의 연결장치
US9756920B2 (en) Backpack with removable straps and adjustable belts
US9737122B1 (en) Convertible backpack handbag
US20180310696A1 (en) Lanyard Assembly
US9498071B2 (en) Harness system for a baby carrier
US20190191855A1 (en) Ergonomic backpack
US20140361059A1 (en) Weight transfer carrying device and method
US5799846A (en) Holder for a container which administers a feeding product to humans
US9521895B2 (en) Single action four point harness for a backpack
KR102391313B1 (ko) 움직임이 용이한 배낭용 버클
US20240167622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US10918528B2 (en) Head support device
US9492004B1 (en) Lightweight suspension harness system for binoculars and method of use
US20170188689A1 (en) Adjustable Strap Height Mechanism
KR200470936Y1 (ko) 링거 휴대 및 지지 고정용 재킷
US20110215126A1 (en) Convertible adjustable strap and harness system
US6684413B2 (en) Shoulder harness
KR20170000988U (ko) 다기능 벨트
KR102461057B1 (ko) 연결끈 고정력이 향상된 배낭용 버클
EP3512609A1 (en) Harness connector and har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