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0910B1 - 데이터 중복 방지를 위한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데이터 플랫폼 - Google Patents

데이터 중복 방지를 위한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데이터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0910B1
KR102460910B1 KR1020200156499A KR20200156499A KR102460910B1 KR 102460910 B1 KR102460910 B1 KR 102460910B1 KR 1020200156499 A KR1020200156499 A KR 1020200156499A KR 20200156499 A KR20200156499 A KR 20200156499A KR 102460910 B1 KR102460910 B1 KR 102460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history table
time
duplicate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6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9413A (ko
Inventor
김성윤
최성찬
정승명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to PCT/KR2020/01648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107931A1/ko
Priority to KR1020200156499A priority patent/KR102460910B1/ko
Publication of KR20220069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9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46Point-in-time backing up or restoration of persistent data
    • G06F11/1448Management of the data involved in backup or backup restore
    • G06F11/1453Management of the data involved in backup or backup restore using de-duplication of th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46Point-in-time backing up or restoration of persistent data
    • G06F11/1458Management of the backup or restore proce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08Saving storage space on storag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Distributed or networked storage systems, e.g. storage area networks [SAN],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데이터 중복 방지를 위한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데이터 플랫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방법은, 수신한 데이터의 시간 필드와 동일한 시간이 수록된 시간 필드를 갖고 있는 중복 데이터가 이력 테이블에 있는지 확인하고, 이력 테이블에 중복 데이터가 있으면 데이터의 수신 시간이 중복 데이터 보다 최신인지 확인하며, 확인 결과 최신이면 이력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한 데이터로 업데이트한다. 이에 의해, 데이터 저장시에 데이터 이력이 중복으로 저장되는 방지함으로써, 데이터 플랫폼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와 데이터 처리/분석에 소요되는 리소스의 불필요한 사용을 배제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데이터 중복 방지를 위한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데이터 플랫폼{Data storage method for preventing data duplication and data platform applying the same}
본 발명은 데이터 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데이터 이력이 중복으로 처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데이터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플랫폼은 IoT/M2M 기술을 통해 센서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서버이다. 데이터 플랫폼에 수집된 데이터는 시스템 모니터링과 제어하는데 활용되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유의미한 정보를 얻는데 활용되기도 한다.
데이터 플랫폼에는 많은 양의 데이터가 저장되기 마련이다. 하지만, 모든 데이터가 축적된 양 만큼 유의미하다고 볼 수 없다. 저장된 데이터가 중복된 경우에 특히 그러하다.
중복 데이터는 저장 공간을 낭비하게 만드는 문제도 있지만, 처리/분석에서 불필요한 리소스 사용을 야기한다는 점에서도 문제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플랫폼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와 데이터 처리/분석에 소요되는 리소스의 불필요한 사용을 배제하기 위한 방안으로, 데이터 이력이 중복으로 처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데이터 플랫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방법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데이터의 시간 필드와 동일한 시간이 수록된 시간 필드를 갖고 있는 중복 데이터가 이력 테이블에 있는지 확인하는 제1 확인단계; 이력 테이블에 중복 데이터가 있으면, 데이터의 수신 시간이 중복 데이터 보다 최신인지 확인하는 제2 확인단계; 제2 확인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최신이면, 이력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한 데이터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확인단계는, 수신한 데이터가 갖고 있는 다수의 시간 필드들과 이력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가 갖고 있는 다수의 시간 필드들을 비교할 수 있다.
제1 확인 단계는, 다수의 시간 필드 중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 필드 만을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방법은, 이력 테이블에 중복 데이터가 없으면, 수신한 데이터를 이력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방법은, 중복 방지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1 확인단계는, 중복 방지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으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방법은, 중복 방지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았으면, 수신한 데이터를 이력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방법은, 데이터의 수신 시간이 최신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의 수신 시간 보다 최신이면, 최신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한 데이터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플랫폼은,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이력 테이블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수신한 데이터의 시간 필드와 동일한 시간이 수록된 시간 필드를 갖고 있는 중복 데이터가 이력 테이블에 있는지 확인하고, 이력 테이블에 중복 데이터가 있으면 데이터의 수신 시간이 중복 데이터 보다 최신인지 확인하며, 확인 결과 최신이면 이력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한 데이터로 업데이트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데이터 저장시에 데이터 이력이 중복으로 저장되는 방지함으로써, 데이터 플랫폼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와 데이터 처리/분석에 소요되는 리소스의 불필요한 사용을 배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데이터 플랫폼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3 내지 도 6은, 중복 데이터 판단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데이터 저장 시스템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8은 데이터 플랫폼의 하드웨어 구조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데이터 플랫폼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시된 데이터 플랫폼(100)은 데이터가 저장되는 서버/시스템으로, ID 마다 최신 테이블(110)과 이력 테이블(120)을 두어 데이터를 저장/관리한다.
최신 테이블(110)은 최신 데이터가 저장되는 테이블이다. 최신 테이블(110)에는 수신 시간이 최신인 하나의 데이터만이 저장된다.
이력 테이블(120)은 수신 데이터 모두가 저장된다. 즉, 최신 데이터는 물론이고 과거 데이터 까지 이력 테이블(120)에 저장된다. 이력 테이블(120)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이를 테면, 수신 시간의 초기와 종기를 지정하거나, 만료 시갖(expiration time)을 설정함으로써, 이력 테이블(120)에 너무 많은 데이터가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력 테이블(120)에는 데이터들이 중복하여 저장될 수 있으므로, 데이터 플랫폼(100)은 이력 테이블(120)에 데이터 저장시 데이터 중복 여부를 확인하고, 중복으로 판단시에는 이를 방지한다.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플랫폼(100)에 의한 데이터 중복 방지 과정에 대해,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가 수신되면(S210), 데이터 플랫폼(100)은 수신한 데이터와 최신 테이블(110)에 저장된 데이터의 수신 시간을 비교한다(S220).
수신한 데이터의 수신 시간이 최신 테이블(110)에 저장된 데이터의 수신 시간 보다 최신으로 확인되면(S220-Y), 데이터 플랫폼(100)은 최신 테이블(110)에 저장된 데이터를 S210단계에서 수신한 데이터로 업데이트한다(S230).
만약, 수신 데이터의 수신 시간이 최신 테이블(110)에 저장된 데이터의 수신 시간 보다 최신이 아닌 것으로 확인, 즉, 양자가 동일하거나 최신 테이블(110)에 저장된 데이터의 수신 시간이 최신인 것으로 확인되면(S220-N), 최신 테이블(110)에서의 데이터 업데이트(S230)는 수행되지 않는다.
다음, 수신 데이터에 대해 데이터 중복 방지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240). 중복 방지 플래그는 이력 테이블(120)에 데이터의 중복 저장을 허용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따라서, 중복 방지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이력 테이블(120)에 데이터의 중복 저장을 허용되므로, 데이터 플랫폼(100)은 S210단계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이력 테이블(120)에 저장한다(S280).
반면, 중복 방지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으면, 이력 테이블(120)에 데이터의 중복 저장이 허용되지 않으므로, 데이터 플랫폼(100)은 S210단계에서 수신한 데이터와 중복하는 데이터가 이력 테이블(120)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250).
S250단계에서의 데이터 중복 확인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시간 필드에 수록된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행해진다.
이를 테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데이터(좌측)에 포함되어 있는 시간 필드인 "waterLevel"의 "observedAt"에 수록된 시간 정보 "2018-11-15T20:10:00,000+09:00"와 이력 테이블(120)에 저장되어 있는 이력 데이터(우측)에 포함되어 있는 시간 필드 "waterLevel"의 "observedAt"에 수록된 시간 정보 "2018-11-15T20:10:00,000+09:00"가 동일한 경우, 중복 데이터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도 3에서 이력 데이터는 하나만을 도시하였으나, 실제로 이력 데이터는 다수가 있으며,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만을 도시한 것임에 유념하여야 하며, 이는 이하에서도 동일하다.
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데이터(좌측)에 포함되어 있는 시간 필드 "waterLevel"의 "observedAt"에 수록된 시간 정보 "2018-11-15T20:10:01,000+09:00" 와 이력 테이블(120)에 저장되어 있는 이력 데이터(우측)에 포함되어 있는 시간 필드 "waterLevel"의 "observedAt"에 수록된 시간 정보 "2018-11-15T20:10:00,000+09:00" 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중복 데이터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위 예에서 데이터 중복 확인은 하나의 시간 필드를 기준으로 하였으나, 다수의 시간 필드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이를 테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데이터(좌측)에 포함되어 있는 시간 필드들인 "waterLevel"의 "observedAt" 및 "pondage"의 "observedAt"에 수록된 시간 정보들인 "2018-11-15T20:10:00,000+09:00"와 "2018-11-15T20:10:00,000+09:00"가 이력 테이블(120)에 저장되어 있는 이력 데이터(우측)에 포함되어 있는 시간 필드들인 "waterLevel"의 "observedAt" 및 "pondage"의 "observedAt"에 수록된 시간 정보들인 "2018-11-15T20:10:00,000+09:00"와 "2018-11-15T20:10:00,000+09:00"과 각각 동일한 경우에는, 양자가 중복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데이터(좌측)에 포함되어 있는 시간 필드들 중 하나만이라도 시간 정보가 다르면, 양자는 중복되는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데이터 중복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시간 필드는 설정이 가능하다. 이를 테면, 시간 필드 "waterLevel"의 "observedAt"에 대해서만 중복 여부를 확인하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도 5에 도시된 경우와 도 6에 도시된 경우 모두 중복으로 판단된다.
S250단계에서 데이터 중복으로 판단되면(S250-Y), 데이터 수신 시간을 기초로 이력 테이블(120)에 데이터 저장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S210단계에서 수신한 데이터의 수신 시간이 이력 테이블(120)에 저장된 데이터의 수신 시간 보다 최신으로 확인되면(S260-Y), 데이터 플랫폼(100)은 이력 테이블(110)에 저장된 데이터를 S210단계에서 수신한 데이터로 업데이트한다(S270).
이를 테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중복인 상황에서는, 수신 데이터의 수신 시간인 "modifiedAt":"2018-11-15T20:10:01,000+09:00"가 이력 테이블(12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수신 시간인 "modifiedAt":"2018-11-15T20:10:00,000+09:00" 보다 최신이므로, 이력 테이블(120)에 저장된 데이터가 수신 데이터로 업데이트 된다.
반면, 수신 데이터의 수신 시간이 이력 테이블(120)에 저장된 데이터의 수신 시간 보다 최신이 아닌 것으로 확인, 즉, 양자가 동일하거나 이력 테이블(120)에 저장된 데이터의 수신 시간이 최신인 것으로 확인되면(S260-N), 데이터 플랫폼(100)은 S210단계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이력 테이블(120)에 저장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데이터 저장 시스템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시된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는, 데이터 플랫폼(100) 외에, 사용자 단말(310)과 관리자 단말(320)이 더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310)은 데이터 플랫폼(1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생성(Create)/조회(Retireve)/업데이트(Update)/삭제(Delete) 요청하는 단말이다.
관리자 단말(320)은 데이터 플랫폼(100)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단말고, 전술한 중복 방지 플래그를 설정하고, 데이터 중복 여부를 판단할 시간 필드를 설정하기 위한 단말이다.
한편, 관리자 단말(320)에 의해 최초로 중복 방지 플래그가 설정되고 데이터 중복 여부를 판단할 시간 필드가 설정되면, 데이터 플랫폼(100)은 이력 테이블(120)에 기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들에 대해 중복 데이터들을 취합하는 절차, 즉, 중복 데이터들 중 하나만 남기고 삭제하는 절차를 수행하여야 한다.
구현에 따라서는, 사용자 단말(310)이 관리자 단말(320)의 기능을 포함하는 것으로도 가능하다.
도 8은 데이터 플랫폼(100)의 하드웨어 구조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플랫폼(100)은, 통신부(101), 프로세서(102) 및 저장부(103)를 포함하는 서버 시스템이다.
통신부(101)는 사용자 단말(310) 및 관리자 단말(320)과 통신하고 외부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이다. 통신부(101)는 저장할 데이터를 수신한다.
프로세서(102)는 적어도 하나의 AE(Application Entitr)와 CSE(Common Service Entity)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02)의 데이터 저장/관리에 필요한 절차들을 수행한다.
저장부(103)는 전술한 최신 테이블(110)과 이력 테이블(120)이 구축되는 저장 공간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방법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데이터 저장 장치이더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간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데이터 플랫폼
110 : 최신 테이블
120 : 이력 테이블
310 : 사용자 단말
320 : 관리자 단말

Claims (8)

  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데이터의 수신 시간이 최신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의 수신 시간 보다 최신이면, 최신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한 데이터로 업데이트하는 단계;
    중복 방지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중복 방지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으면, 수신한 데이터의 시간 필드와 동일한 시간이 수록된 시간 필드를 갖고 있는 중복 데이터가 이력 테이블에 있는지 확인하는 제1 확인단계;
    이력 테이블에 중복 데이터가 있으면, 데이터의 수신 시간이 중복 데이터 보다 최신인지 확인하는 제2 확인단계;
    제2 확인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최신이면, 이력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한 데이터로 업데이트하는 단계;
    중복 방지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았으면, 수신한 데이터를 이력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확인단계는,
    수신한 데이터가 갖고 있는 다수의 시간 필드들과 이력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가 갖고 있는 다수의 시간 필드들을 비교하되,
    다수의 시간 필드 중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 필드 만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력 테이블에 중복 데이터가 없으면, 수신한 데이터를 이력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최신 테이블과 이력 테이블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데이터의 수신 시간이 최신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의 수신 시간 보다 최신이면 최신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한 데이터로 업데이트하고, 중복 방지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며, 중복 방지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으면 수신한 데이터의 시간 필드와 동일한 시간이 수록된 시간 필드를 갖고 있는 중복 데이터가 이력 테이블에 있는지 확인하고, 이력 테이블에 중복 데이터가 있으면 데이터의 수신 시간이 중복 데이터 보다 최신인지 확인하며, 확인 결과 최신이면 이력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한 데이터로 업데이트하고, 중복 방지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았으면 수신한 데이터를 이력 테이블에 저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수신한 데이터가 갖고 있는 다수의 시간 필드들과 이력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가 갖고 있는 다수의 시간 필드들을 비교하되,
    다수의 시간 필드 중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 필드 만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플랫폼.
KR1020200156499A 2020-11-20 2020-11-20 데이터 중복 방지를 위한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데이터 플랫폼 KR102460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6483 WO2022107931A1 (ko) 2020-11-20 2020-11-20 데이터 중복 방지를 위한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데이터 플랫폼
KR1020200156499A KR102460910B1 (ko) 2020-11-20 2020-11-20 데이터 중복 방지를 위한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데이터 플랫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499A KR102460910B1 (ko) 2020-11-20 2020-11-20 데이터 중복 방지를 위한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데이터 플랫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413A KR20220069413A (ko) 2022-05-27
KR102460910B1 true KR102460910B1 (ko) 2022-10-31

Family

ID=81709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6499A KR102460910B1 (ko) 2020-11-20 2020-11-20 데이터 중복 방지를 위한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데이터 플랫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60910B1 (ko)
WO (1) WO202210793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639B1 (ko) * 2013-05-03 2015-10-3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147528B1 (ko) * 2019-10-31 2020-08-24 (주)케이아이티원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테이블, 속성, 관계의 동적 관리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613192D0 (en) * 2006-07-01 2006-08-09 Ibm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s for managing persistence
KR101614890B1 (ko) * 2014-05-27 2016-04-2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멀티 테넌시 이력 생성 방법, 이를 수행하는 멀티 테넌시 이력 생성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102165192B1 (ko) * 2016-11-29 2020-10-13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데이터 업데이트 통지 방법
KR102429491B1 (ko) * 2017-09-12 2022-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데이터 수집 장치 및 그 방법
JP2020181533A (ja) * 2019-04-26 2020-11-05 アズビル株式会社 データ収集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収集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639B1 (ko) * 2013-05-03 2015-10-3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147528B1 (ko) * 2019-10-31 2020-08-24 (주)케이아이티원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테이블, 속성, 관계의 동적 관리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413A (ko) 2022-05-27
WO2022107931A1 (ko) 202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1383B1 (ko) 계층적 데이터 구조의 노드 상에서 재귀적 이벤트 리스너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0255148B2 (en) Primary role reporting service for resource groups
EP2921974A1 (en) Data restoration method and system
CN111475483A (zh) 数据库迁移方法、装置及计算设备
US20130311425A1 (en) Database update notification method
CN108595505A (zh) 数据查询的方法和装置
US20200409683A1 (en) Updating method,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KR102460910B1 (ko) 데이터 중복 방지를 위한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데이터 플랫폼
CN112805964B (zh) 用于通信装置的可靠操作的方法和系统
CN107422991B (zh) 一种存储策略管理系统
US20050188380A1 (en) Cache control device,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CN113742355A (zh) 更新库存的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CN107203559B (zh) 一种划分数据条带的方法和装置
CN111259375A (zh) 应用于物联网操作系统的访问请求的处理方法及装置
US10938701B2 (en) Efficient heartbeat with remote servers by NAS cluster nodes
KR102665749B1 (ko) 클라우드 저하 모드에서 지속적인 디바이스 동작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9101187B (zh) 一种进行数据重构的方法和装置
WO2019120629A1 (en) On-demand snapshots from distributed data storage systems
CN112714020B (zh) 数据有效性的确定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15543225B (zh) 数据处理方法、系统、装置、计算机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6431566B (zh) 数据迁移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11580755B (zh) 分布式数据处理系统、分布式数据处理方法
CN117742598A (zh) 一种缓存数据的管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6932635A (zh) 处理读请求的方法、分布式数据库与服务端
CN115827027A (zh) 数据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