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192B1 - 데이터 업데이트 통지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업데이트 통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192B1
KR102165192B1 KR1020160160346A KR20160160346A KR102165192B1 KR 102165192 B1 KR102165192 B1 KR 102165192B1 KR 1020160160346 A KR1020160160346 A KR 1020160160346A KR 20160160346 A KR20160160346 A KR 20160160346A KR 102165192 B1 KR102165192 B1 KR 102165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contentinstance
data
value
n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0629A (ko
Inventor
정승명
안일엽
김재호
최성찬
성낙명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60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192B1/ko
Priority to PCT/KR2017/003181 priority patent/WO2018101548A1/ko
Publication of KR20180060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9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logs of notifications; Post-processing of not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컨텐트 인스턴스 데이터 업데이트 통지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지 방법은, 플랫폼에 신규 데이터를 다른 ContentInstance로 계속 저장하는 경우 플랫폼이 ContentInstance의 데이터 변경을 모니터링하고, 변경 감지시 데이터 업데이트를 통지한다. 이에 의해, 기존 데이터와 다른 값의 신규 데이터가 생성된 경우만 통지 받음으로써 오버로드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업데이트 통지 방법{Data Update Notification Method}
본 발명은 subscription/notification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subscription/notification 메커니즘에서 데이터 관련 통지를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oneM2M은 디바이스/어플리케이션 간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container> 및 <contentInstance> 자원을 사용한다.
container는 contentInstance를 저장하는 저장소이며, 실제 데이터는 contentInstance에 저장한다. 또한 container는 신규 데이터를 추가할 때 과거 데이터를 변경하기 않고 기존 데이터는 보관하고 신규 데이터를 추가로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신규 데이터가 생성되면 container의 기존 contentInstance를 수정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contentInstance를 생성한다. contentInstance에는 creationTime 및 stateTag 속성이 있어서 데이터 생성 순서를 판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특성에 기인하여 container는 subscription 대상이나 contentInstance는 그렇지 않다. container의 경우 현재 contentInstance의 개수 등의 저장소 속성 정보가 변경될 수 있으나 contentInstance는 데이터 내용을 갱신하지 않고 새로운 contentInstance를 계속 저장소에 추가 저장하기 때문이다.
현재 oneM2M의 subscription 매커니즘으로 <container> 자원에 subscription을 생성(설정)하는 경우, <contentInstance> 자원에 적용할 수 있는 이벤트 타입은 도 1에서 노란색으로 표시된 이벤트 타입으로 한정되며 이는 곧 <contentInstance> 자원의 생성 또는 삭제뿐이다. 다시 말해 신규 데이터가 생성되었다는 것은 알 수 있으나 이 신규 데이터가 기존 데이터와 비교하여 같은 값인지 다른 값인지 등의 비교는 불가능하다.
상기 이벤트 타입을 보면 모두 1개 자원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도록 정의되어 있다. subscription 대상 자원 갱신 또는 이 자원의 자녀 자원의 생성/삭제만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기존 자원과 신규 생성되는 자원 간의 비교를 통한 모니터링은 oneM2M 플랫폼에서 제공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ContentInstance의 Data Update를 Notification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지 방법은, 플랫폼이 기존 ContentInstance로부터 신규 ContentInstance의 데이터 변경을 모니터링하고, 변경 감지시 데이터 업데이트를 통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평소에는 어플리케이션이 신규 데이터 생성에 대한 notification 및 비교 연산을 수행하지 않고, 기존 데이터와 다른 값의 신규 데이터가 생성된 경우만 통지 받음으로써 오버로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subscription 생성 시 여러 어플리케이션을 notification 수신자로 할 수 있으므로 수신자가 많아질수록 전체 시스템 상 불필요한 메시지 전송으로 인한 네트워크 사용량을 줄이고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의 오버로드를 notification을 수신하는 어플리케이션 수만큼 더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oneM2M의 subscription 매커니즘에서의 이벤트 타입,
도 2는 냉장고 온도 정보의 subscription/notification 예제,
도 3은 eventNotificationCriteria conditions을 나타낸 표, 그리고,
도 4는 데이터 변경 이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subscription/notification 매커니즘은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이를 notification(통지) 받기 위해 사전에 subscription(구독)을 설정하는 기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벤트는 새로운 정보의 생성, 기존 정보의 삭제 또는 기존 정보의 갱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사용자가 oneM2M 플랫폼에 온도 데이터의 저장소에 subscription을 생성하고, 냉장고에서 주기적으로 현재 온도 정보를 저장하는 상황에서 온도 정보에 변화가 있을 경우 이를 subscription을 생성했던 어플리케이션으로 알려주는 예제를 나타낸다.
<subscription> 자원의 eventNotificationCriteria 속성의 eventType 값이 C. Creation of direct child of the subscribed-to resource인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container>/<contenInstance> 부모/자녀 자원, <timeSeries>/<timeSeriesInstance> 부모/자녀 자원 그리고 <flexContainer>/<flexContainer> 부모/자녀 자원에 적용할 수 있다. 이는 어플리케이션이 <subscription> 자원의 eventNotification 속성에 instanceDataChange와 같은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경우 플랫폼은 subscribed-to 자원의 신규 생성된 자녀 자원의 특정 속성 값과 종래 자원의 동일 속성값에 대한 비교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종래 자원은 종래 생성된 자원 중 마지막에 생성된 자원을 가리킬 수 있다.
저장소, 예를 들면, container, timeSeries, flexContainer(부모)에 따라 도 3에 제시된 표와 같은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도 3은 eventNotificationCriteria conditions을 나타낸 표이다.
<container> 자원에 subscription을 생성(설정)한 경우, 자녀 자원 중 <contentInstance> 자원에 대해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비교 연산을 하는 속성은 실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content 속성이다.
추가적으로 contentInfo 값이 함께 설정되어 있는 경우 해당 설정값과 동일한 값을 가지는 신규 <contentInstance> 자원 생성에 대해 모니터하여 비교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contentInfoCheck 값이 함께 설정되어 있는 경우 플랫폼이 신규 생성된 <contentInstance> 자원에 설정된 contentInfo 값으로 이를 해석하여 추출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비교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JSON, base64와 같은 포맷 및 인코딩이 적용된 content 속성값 그대로 비교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timeSeries> 자원에 subscription을 생성한 경우 자녀 자원인 <timeSeriesInstance> 자원에 대해 상기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다만 <timeSeriesInstance>는 contentInfo를 속성으로 가지지 않으므로 상기 contentInfo 및 contentInfoCheck는 적용되지 않는다.
<flexContainer> 부모 자원에 subscription을 생성한 경우, <flexContainer> 자녀 자원 타입을 특정하기 위해 containerDefinition을 함께 설정할 수 있다. <flexContainer>는 플랫폼/서비스 제공자가 기본 자원 타입을 확장 정의하여 사용하고 이 확장 타입의 정보를 containerDefinition으로 저장하므로 특정 타입의 <flexContainer> 자원에 대해 모니터링 및 비교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 이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값이 설정된 경우 해당 값과 동일한 타입의 신규 <flexContainer> 자녀 자원에 대해서 특정 속성 값들에 대한 모니터링 및 비교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subscription 설정에 의해 신규 데이터 값의 변화를 확인한 플랫폼은 이를 notification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notification 메시지의 정보는 예를 들어, 데이터 값의 변화가 생겼다는 지시 정보, 신규 데이터 값 및 기존 데이터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로직을 플랫폼에서 모니터링하여 데이터 변경을 도 4와 같이 판단할 수 있다면 어플리케이션은 신규 데이터 생성 시 notification을 수신하여 이전에 수신한 데이터와 비교하는 동작을 스스로 하는 대신, 평소에는 신규 데이터 생성에 대한 notification 및 비교 연산을 수행하지 않고, 기존 데이터와 다른 값의 신규 데이터가 생성된 경우만 통지 받음으로써 오버로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subscription 생성 시 여러 어플리케이션을 notification 수신자로 할 수 있으므로 수신자가 많아질수록 전체 시스템 상 불필요한 메시지 전송으로 인한 네트워크 사용량을 줄이고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의 오버로드를 notification을 수신하는 어플리케이션 수만큼 더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방법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데이터 저장 장치이더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간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subscription/notification
<container>/<contentInstance>
<timeSeries>/<timeSeriesInstance>
<flexContainer>/<flexContainer>

Claims (8)

  1. 기존 <ContentInstance> 자원으로부터 신규 <ContentInstance> 자원의 데이터 변경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변경 감지시 데이터 업데이트를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모니터링 단계는,
    <ContentInstance> 자원들이 생성되는 <container>에 생성된 <subscription> 자원의 eventNotification 속성에 데이터 변경을 모니터링할 것을 지시하는 조건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데이터 변경을 모니터링하며,
    contentInfo 값이 설정되어 있으면, 설정된 contentInfo 값이 동일한 신규 <ContentInstance> 자원에 대해, 데이터 변경을 모니터링하고,
    contentInfoCheck 값이 더 설정되어 있으면, 신규 <ContentInstance> 자원의 contentInfo 값을 해석하여 추출한 데이터를 기초로, 데이터 변경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지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기존 <ContentInstance> 자원은,
    <container>에 생성된 <ContentInstance> 자원들 중 가장 마지막에 생성된 <ContentInstance> 자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지 방법.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모니터링 단계는,
    <subscription> 자원의 eventNotificationCriteria 속성의 eventType 값이 특정 값인 경우, 데이터 변경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지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기존 <timeSeriesInstance> 자원으로부터 신규 <timeSeriesInstance> 자원의 데이터 변경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변경 감지시 데이터 업데이트를 통지하는 단계;
    기존 <flexContainer> 자원으로부터 신규 <flexContainer> 자원의 데이터 변경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변경 감지시 데이터 업데이트를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지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통지 단계는,
    데이터 업데이트를 나타내는 정보, 신규 데이터 및 기존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지 방법.
  8. <container>에 <subscription> 자원을 생성하는 단계;
    <subscription> 자원이 생성된 <container>에 생성된 기존 <ContentInstance> 자원으로부터 <container>에 생성된 신규 <ContentInstance> 자원의 데이터 변경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변경 감지시 데이터 업데이트를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모니터링 단계는,
    <ContentInstance> 자원들이 생성되는 <container>에 생성된 <subscription> 자원의 eventNotification 속성에 데이터 변경을 모니터링할 것을 지시하는 조건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데이터 변경을 모니터링하며,
    contentInfo 값이 설정되어 있으면, 설정된 contentInfo 값이 동일한 신규 <ContentInstance> 자원에 대해, 데이터 변경을 모니터링하고,
    contentInfoCheck 값이 더 설정되어 있으면, 신규 <ContentInstance> 자원의 contentInfo 값을 해석하여 추출한 데이터를 기초로, 데이터 변경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독-통지 방법.
KR1020160160346A 2016-11-29 2016-11-29 데이터 업데이트 통지 방법 KR102165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346A KR102165192B1 (ko) 2016-11-29 2016-11-29 데이터 업데이트 통지 방법
PCT/KR2017/003181 WO2018101548A1 (ko) 2016-11-29 2017-03-24 데이터 업데이트 통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346A KR102165192B1 (ko) 2016-11-29 2016-11-29 데이터 업데이트 통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629A KR20180060629A (ko) 2018-06-07
KR102165192B1 true KR102165192B1 (ko) 2020-10-13

Family

ID=62242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346A KR102165192B1 (ko) 2016-11-29 2016-11-29 데이터 업데이트 통지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65192B1 (ko)
WO (1) WO201810154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7931A1 (ko) * 2020-11-20 2022-05-27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데이터 중복 방지를 위한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데이터 플랫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8442A1 (ko) 2014-10-27 2016-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메시지의 동작을 보장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9747A (ko) * 2013-03-06 2014-09-16 주식회사 케이티 M2m 멀티홉 환경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67037A (ko) * 2013-12-06 2015-06-17 주식회사 케이티 M2m 시스템에서 구독의 기준정보 최적화 방법 및 장치
US10375021B2 (en) * 2015-02-06 2019-08-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request for stopping notification receip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8442A1 (ko) 2014-10-27 2016-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메시지의 동작을 보장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송재승 등, 'oneM2M 어플리케이션 개발자 가이드 표준 해설서,'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TTA), TTA-15099-SD, 2015.11.30.*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7931A1 (ko) * 2020-11-20 2022-05-27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데이터 중복 방지를 위한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데이터 플랫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01548A1 (ko) 2018-06-07
KR20180060629A (ko)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16574B1 (en) Enterprise graph method of threat detection
US869331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fault detection and management
US8713581B2 (en) Selected alert delivery in a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EP3133492A1 (en) Network service incident prediction
US20120328259A1 (en) Multimedia content preview rendering in a cloud content management system
US11050632B2 (en) Automated inventory for IoT devices
CN111934920B (zh) 监控告警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04780185A (zh) 信息分享控制方法及装置
US20200118158A1 (en) Advertising monitor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10545817B2 (en) Detecting computer system anomaly events based on modified Z-scores generated for a window of performance metrics
US2016033477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configurable rules linking triggers with actions to support notifications associated with industrial process control and automation system
JP2019139822A (ja) 店舗訪問データ作成および管理
KR101768365B1 (ko) M2M/IoT 시스템의 구독-통지에서 통지 실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22166187A (ja) クラウドサーバにおけるインスタンスリスクレベルを決定する方法、装置及び電子機器
US20220337809A1 (en) Video playing
KR102165192B1 (ko) 데이터 업데이트 통지 방법
US20200380846A1 (en) Alarm and notification generatio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US10673928B2 (en) Syslog advertisements
CN112585904B (zh) 背景数据传输处理
US11075946B2 (en) Honeypot adaptive security system
KR101845195B1 (ko) M2m 시스템에서 다중 리소스 구독 연관 방법
US20170149893A1 (en) Metadata server, network device and automatic resource management method
US10430582B2 (en) Management apparatus and management method
KR102423755B1 (ko) 패킷 전송을 제어하는 서버 및 방법
JP6488600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