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0548B1 - 식품 포장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식품 포장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0548B1
KR102460548B1 KR1020200095777A KR20200095777A KR102460548B1 KR 102460548 B1 KR102460548 B1 KR 102460548B1 KR 1020200095777 A KR1020200095777 A KR 1020200095777A KR 20200095777 A KR20200095777 A KR 20200095777A KR 102460548 B1 KR102460548 B1 KR 102460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lower body
sidewall
food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5590A (ko
Inventor
허성용
주동일
Original Assignee
주동일
허성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일, 허성용 filed Critical 주동일
Priority to KR1020200095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0548B1/ko
Publication of KR20220015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eggs
    • B65D85/322Trays made of pressed material, e.g. paper pul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25Containers made of sheet-like material and having a shape to accommodate cont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포장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별도의 완충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외부 충격으로부터 식품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식품이 개별적으로 안착되어 상기 식품의 하부를 감싸는 다수 개의 제1 수용홈이 하측으로 함입형성된 내측하부체와, 상기 내측하부체의 상측에 결합되면서 상기 식품의 상부를 감싸는 다수 개의 제2 수용홈이 상측으로 함입형성된 내측상부체를 포함하는 내부케이스; 상기 내측하부체의 저면과 측면을 감싸는 외측하부체와, 상기 내측상부체의 상면과 측면을 감싸면서 외측하부체와 결합되는 외측상부체를 포함하는 외부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케이스는 외부면이 내부케이스와 이격되어 제2 완충공간이 형성되게끔 내부케이스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품 포장용 트레이{Tray for Packing food}
본 발명은 식품 포장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송시 식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식품 포장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계란, 과일, 채소 등 여러 식품들을 오프라인 매장에 직접 가서 구입할 뿐만 아니라, 온라인 매장을 통해 구입하여 택배 등을 통해 배송받는 방식으로 구입하고 있다.
택배 등을 통해 식품을 배송받는 경우 통상 해당 식품을 골판지로 이루어진 박스를 이용하여 포장하며, 계란 등과 같이 깨지기 쉬운 식품은 계란포장상자를 비닐류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공기를 충전한 완충재를 여러 번 감은 상태로 박스에 넣어 포장하고 있고, 사과, 배, 복숭아 등과 같은 과일도 개별적으로 완충재로 감싸진 상태로 박스에 넣어 포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식품의 손상을 방지하고자 완충재를 이용한 포장을 함에도 불구하고, 포장된 해당 상품을 여러 번 차량에 승하차하는 과정 중 충격을 받아 식품이 손상되는 일이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 또한, 재활용이 어려운 완충재를 사용함에 따라 많은 쓰레기가 발생되어 환경오염을 유발한다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83207호 '사출성형재 계란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완충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외부 충격으로부터 식품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식품 포장용 트레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식품 포장용 트레이는, 식품이 개별적으로 안착되어 상기 식품의 하부를 감싸는 다수 개의 제1 수용홈이 하측으로 함입형성된 내측하부체와, 상기 내측하부체의 상측에 결합되면서 상기 식품의 상부를 감싸는 다수 개의 제2 수용홈이 상측으로 함입형성된 내측상부체를 포함하는 내부케이스; 상기 내측하부체의 저면과 측면을 감싸는 외측하부체와, 상기 내측상부체의 상면과 측면을 감싸면서 외측하부체와 결합되는 외측상부체를 포함하는 외부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케이스는 외부면이 내부케이스와 이격되어 제2 완충공간이 형성되게끔 내부케이스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는, 내측하부체 및 내측상부체 각각의 측면을 둘러싸는 제1 측벽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측벽의 외측으로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상기 외부면인 제2 측벽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측벽의 상단과 제2 측벽의 하단을 연결하면서 제1 측벽의 하단 및 제2 측벽의 하단과 소정의 간격 이격된 제3 측벽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하부체 및 외측상부체에는 상호 결합지점을 향해 제2 측벽 및 제3 측벽이 함입되어 보강홈을 형성하되, 상기 보강홈은 외부케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마다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는, 내측하부체의 상면 및 내측상부체의 저면의 일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내측하부체의 상면 및 내측상부체의 저면 사이에 외부와 연통되는 통기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용홈 및 제2 수용홈은 각각 바둑판 배열을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기 내측하부체의 상면 및 내측상부체의 저면 각각은, 4개의 제1 수용홈 및 4개의 제2 수용홈이 인접하는 지점에 상호 맞닿게끔 통기공간을 향해 돌출되게끔 제3 지지돌부가 함입형성되어 제3 지지돌부의 내측에 부양홈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면 및 저면에서 부양홈과 대응되는 지점에 부양홈을 향해 돌출되어 부양홈에 끼워지는 부양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하부체의 상면 및 내측상부체의 저면 각각은, 모서리에 상호 맞닿게끔 통기공간을 향해 돌출된 제1 지지돌부가 함입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돌부 사이의 가장자리 중, 각각의 제1 수용홈 및 제2 수용홈 끼리 인접하는 지점이 하나이면, 해당 지점에 돌기홈 결합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내측하부체와 내측상부체를 결합시키는 결합돌부가 통기공간을 향해 돌출되게끔 함입형성되고, 각각의 제1 수용홈 및 제2 수용홈 끼리 인접하는 지점이 하나 이상이면, 해당 지점에 상호 맞닿게끔 통기공간을 향해 돌출된 제2 지지돌부와 상기 결합돌부가 번갈아가며 형성되는 한편, 상기 외측하부체의 상면 및 외측상부체의 저면에는, 제1 지지돌부의 내측에 형성된 제1 안착홈에 끼워지는 제1 안착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제2 지지돌부의 내측에 형성된 제2 안착홈에 끼워지는 제2 안착돌기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케이스는 외부케이스의 외부면과 이격되어 모든 방향에 대하여 제2 완충공간으로 둘러싸인 형태를 이루게 되므로, 내부케이스 내에 수용된 식품은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로 인해 전방향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면 별도의 완충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식품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양돌기, 제1 안착돌기, 제2 안착돌기를 통해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을 시 외부케이스 내부에 위치된 내부케이스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식품 포장용 트레이에 적용되는 내부케이스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식품 포장용 트레이에 적용되는 내부케이스가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식품 포장용 트레이에 적용되는 내부케이스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식품 포장용 트레이에 적용되는 내부케이스에 식품이 수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식품 포장용 트레이에 적용되는 내부케이스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식품 포장용 트레이에 적용되는 내부케이스의 제1 지지돌부, 결합돌부, 제2 지지돌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식품 포장용 트레이에 적용되는 내부케이스의 제3 지지돌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식품 포장용 트레이에 적용되는 외부케이스에 내부케이스가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식품 포장용 트레이에 적용되는 외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인 식품 포장용 트레이에 적용되는 외부케이스를 구성하는 외측하부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인 식품 포장용 트레이에 적용되는 외부케이스를 구성하는 외측상부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인 식품 포장용 트레이 적용되는 외부케이스 내에 내부케이스가 수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인 식품 포장용 트레이에 적용되는 외부케이스의 부양돌기와 내부케이스의 부양홈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인 식품 포장용 트레이에 적용되는 외부케이스의 제2 안착돌기와 내부케이스의 제2 안착홈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인 식품 포장용 트레이에 적용되는 외부케이스가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완충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외부 충격으로부터 식품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식품이 개별적으로 안착되어 상기 식품의 하부를 감싸는 다수 개의 제1 수용홈이 하측으로 함입형성된 내측하부체와, 상기 내측하부체의 상측에 결합되면서 상기 식품의 상부를 감싸는 다수 개의 제2 수용홈이 상측으로 함입형성된 내측상부체를 포함하는 내부케이스; 상기 내측하부체의 저면과 측면을 감싸는 외측하부체와, 상기 내측상부체의 상면과 측면을 감싸면서 외측하부체와 결합되는 외측상부체를 포함하는 외부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케이스는 외부면이 내부케이스와 이격되어 제2 완충공간이 형성되게끔 내부케이스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 트레이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식품 포장용 트레이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5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식품 포장용 트레이는 식품(10)이 내부에 수용되는 내부케이스(100)를 포함하며, 여기서의 식품(10)은 계란, 과일, 채소 등을 의미하나, 도면에서는 식품(10)이 계란인 것을 전제로 도시한다.
내부케이스(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고 상면이 개방된 함체 형태를 이루는 내측하부체(100a)와, 내부가 비고 저면이 개방된 함체 형태를 이루는 내측상부체(100b)를 포함하며, 내측상부체(100b)는 내측하부체(100a)의 상측에 결합된다. 내측하부체(100a)는 식품(10)이 개별적으로(낱개로) 안착되어 식품(10)의 하부를 감싸는 다수 개의 제1 수용홈(110)이 하측으로 함입형성되며, 내측상부체(100b)는 식품(10)의 상부를 감싸는 다수 개의 제2 수용홈(120)이 상측으로 함입형성된다.
다수 개의 제1 수용홈(110)과 제2 수용홈(120)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다양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다수 개의 제1 수용홈(110)과 제2 수용홈(120)은 각각 바둑판 배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를 전제로 설명한다.
제1 수용홈(110) 저면과 제2 수용홈(120)의 상면은 각각 수용된 식품(10)과 이격되어, 내부케이스(10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10)의 상측과 하측에 제1 완충공간(130)이 형성된다. 즉, 제1 수용홈(110)과 제2 수용홈(120)에 의해 하부와 상부가 감싸진 식품(10)은 제1 수용홈(110) 및 제2 수용홈(120)을 형성하는 측면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이루는 것이다.
이러한 제1 완충공간(130)은 외부 충격, 특히 상하방향의 충격이 식품(10)으로 전달되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는바, 별도의 완충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배송시 외부 충격으로부터 식품(10)이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1 수용홈(110) 및 제2 수용홈(120)의 측면은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10)과 면접촉되는 지지부(141)와, 지지부(141)보다 작은 폭을 가지면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완충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41)와 완충부(142)는 각각 제1 수용홈(110) 및 제2 수용홈(120) 측면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데, 각 제1 수용홈(110) 및 제2 수용홈(120)은 복수 개의 지지부(141)와 완충부(142)가 제1 수용홈(110) 및 제2 수용홈(120)의 측면 둘레 방향을 따라 번갈아가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용홈(110) 및 제2 수용홈(120)에 수용된 식품(10)은 소정의 간격마다 형성된 복수 개의 완충부(142)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바, 측방향의 충격이 식품(10)으로 전달되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식품(10)의 형태를 고려하여 제1 수용홈(110)은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줄어들도록 형성되고, 제2 수용홈(120)은 상방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완충공간(130)을 형성하는 제1 수용홈(110)의 하단부 및 제2 수용홈(120)의 상단부는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제1 수용홈(110)의 저면과 제2 수용홈(120)의 상면은 제1 수용홈(110)의 하단부 및 제2 수용홈(120)의 상단부보다 작은 폭과 길이을 가지게끔 외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한편, 내부케이스(10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하부체(100a)의 상면 및 내측상부체(100b)의 저면의 일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브릿지(10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릿지(100c)는 소정의 높이를 이루어 내측하부체(100a)와 내측상부체(100b)의 결합시 내측하부체(100a)의 상면과 내측상부체(100b)의 저면 일부가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하부체(100a)의 상면 및 내측상부체(100b)의 저면 사이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통기공간(150)이 형성되고, 통기공간(150)을 통해 식품(10)은 내부케이스(100)에 수용된 상태에서도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통기공간(150)을 통해 내부케이스(100)를 개봉하지 않아도 식품(10)의 손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내측하부체(100a)와 내측상부체(100b)는 통기공간(150)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호 견고히 결합되고, 다수의 제1 수용홈(110) 및 제2 수용홈(120) 각각에 외부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내측하부체(100a)의 상면 및 내측상부체(100b)의 저면 각각은, 도 2, 도 3,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돌부(160), 제2 지지돌부(180), 결합돌부(170), 제3 지지돌부(19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돌부(160), 제2 지지돌부(180) 및 제3 지지돌부(190)는, 상호 맞닿게끔 통기공간(150)을 향해 돌출형성되며, 내측하부체(100a)의 상면이 통기공간(150)을 향해 상측으로 함입되고, 내측상부체(100b)의 저면이 통기공간(150)을 향해 하측으로 함입됨으로써 돌출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제1 지지돌부(160)는 내측하부체(100a)의 상면 모서리 및 내측상부체(100b)의 저면 모서리에 형성되어 내부케이스(100)의 각 모서리를 지지한다. 제2 지지돌부(180)와 결합돌부(170)는 제1 지지돌부(160) 사이의 가장자리 중 각각의 제1 수용홈(110) 및 제2 수용홈(120) 끼리 인접한 지점의 개수에 따라 형성여부 및 그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지지돌부(160) 사이의 가장자리 중, 각각의 제1 수용홈(110) 및 제2 수용홈(120) 끼리 인접하는 지점이 하나이면 해당 지점에 결합돌부(170)가 형성되고, 각각의 제1 수용홈(110) 및 제2 수용홈(120) 끼리 인접하는 지점이 하나 이상이면 해당 지점에 제2 지지돌부(180)와 결합돌부(170)가 번갈아가며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돌부(170)는 돌기홈 결합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내측하부체(100a)에 돌출형성된 결합돌부(170)은 그 상면 중앙이 하방으로 함입되어 홈을 형성할 수 있으며, 내측상부체(100b)에 돌출형성된 결합돌부(170)는 이에 대응되는 내측하부체(100a)의 결합돌부(170) 홈에 억지끼워지게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케이스(100)는 제1 지지돌부(160), 제2 지지돌부(180) 및 결합돌부(170)에 의해 식품(10)이 수용된 부분에 통기공간(150)을 확보하면서도 내측하부체(100a) 및 내측상부체(100b)가 상호 지지되고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지지돌부(190)는 4개의 제1 수용홈(110) 및 4개의 제2 수용홈(120)이 인접하는 지점에 형성된다. 제3 지지돌부(190)는 내부케이스(10)에 인접하게 수용된 4개의 식품(10) 사이에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내측하부체(100a)와 내측상부체(100b)를 지지하면서 충격 발생시 인접한 식품(10)으로의 충격 전달을 완화시켜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인 식품 포장용 트레이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내부케이스(100)가 수용되는 외부케이스(200)를 포함하며, 외부케이스(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고 상면이 개방된 함체 형태를 이루어 내측하부체(100a)의 저면과 측면을 감싸는 외측하부체(200a)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고 저면이 개방된 함체 형태를 이루어 내측상부체(100b)의 상면과 측면을 감싸는 외측상부체(200b)를 포함하며, 외측상부체(200b)는 외측하부체(100a)의 상측에 결합된다.
외부케이스(2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면이 내부케이스(100)와 이격되어 제2 완충공간(210)이 형성되게끔 내부케이스(100)와 결합된다. 즉, 내부케이스(100)는 모든 방향에 대하여 제2 완충공간(210)으로 둘러싸인 형태를 이루는바, 내부케이스(100)와 외부케이스(200)로 감싸진 식품(10)은 전방향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되므로 식품(10)의 손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2 완충공간(210)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벽(221a,221b), 제2 측벽(222a,222b) 및 제3 측벽(223a,223b)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측하부체(200a)는, 내측하부체(100a)의 측면을 둘러싸는 제1 측벽(221a)이 구비되고, 제1 측벽(221a)의 외측으로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외부케이스(200)의 외부면인 제2 측벽(222a)이 구비되며, 제1 측벽(221a)의 상단과 제2 측벽(222a)의 하단을 연결하면서 제1 측벽(221a)의 하단 및 제2 측벽(222a)의 상단과 소정의 간격 이격된 제3 측벽(223a)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외측상부체(200b)는, 내측상부체(100b)의 측면을 둘러싸는 제1 측벽(221b)이 구비되고, 제1 측벽(221b)의 외측으로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외부케이스(200)의 외부면인 제2 측벽(222b)이 구비되며, 제1 측벽(221b)의 하단과 제2 측벽(222b)의 상단을 연결하면서 제1 측벽(221b)의 상단 및 제2 측벽(222b)의 하단과 소정의 간격 이격된 제3 측벽(223b)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완충공간(210)은 제1 측벽(221a,221b)과 제2 측벽(222a,222b) 사이를 비롯하여 제2 측벽(222a,222b)과 제3 측벽(223a,223b)에 형성되며, 내부케이스(100)는 이중으로 형성된 제2 완충공간(210)을 통해 측방향 외부충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된다.
또한, 외측하부체(200a) 및 외측상부체(200b)에는 상호 결합지점을 향해 제2 측벽(222a,222b) 및 제3 측벽(223a,223b)이 함입되어 보강홈(224)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보강홈(224)은 외측하부체(200a)의 제2 측벽(222a)과 제3 측벽(223a)이 상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며, 외측상부체(200b)의 제2 측벽(222b)과 제3 측벽(223b)이 하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된다. 보강홈(224)은 외부케이스(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마다 형성되어,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강도가 취약해질 수 있는 외부케이스(200)를 보강함으로써 제2 완충공간(210)이 제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8 및 도 12에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하부체(200a)에서 제1 측벽(221a)의 상단과 제2 측벽(222a)의 상단이 만나는 지점을 따라 내측하부체(100a)가 안착되어, 내측하부체(100a)와 외측하부체(200a) 사이에 제2 완충공간(210)이 형성되며, 외측상부체(200b)에서 제1 측벽(221b)의 하단과 제2 측벽(222b)의 하단이 만나는 지점을 따라 내측상부체(100b)가 맞닿아, 내측상부체(100b)와 외측상부체(200b) 사이에 제2 완충공간(210)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200) 내부에 위치된 내부케이스(100)는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을 시 흔들림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내부케이스(100)의 제3 지지돌부(19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입형성됨으로써 내측에 부양홈(191)이 형성되며, 외부케이스(200)는 도 9 내지 도 11,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및 저면에서 부양홈(191)과 대응되는 지점에 부양홈(191)을 향해 돌출되어 부양홈(191)에 끼워지는 부양돌기(2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부양홈(191)과 부양돌기(230)는 횡단면이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흔들림이나 회전을 방지함에 효과적이게끔 다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양돌기(230) 중 제2 완충공간(210) 내에 위치하는 부분은 그 상측 부분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상측 부분이 견고히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내부케이스(100)의 제1 지지돌부(1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입형성됨으로써 내측에 제1 안착홈(161)이 형성되고, 내부케이스(100)의 제2 지지돌부(180)는 함입형성됨으로써 제2 안착홈(18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하부체(200a)의 상면 및 외측상부체(200b)의 저면에는 도 9 내지 도 11,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안착홈(161)에 끼워지는 제1 안착돌기(240)가 돌출형성됨과 더불어 제2 안착홈(181)에 끼워지는 제2 안착돌기(250)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제1 안착돌기(240) 및 제2 안착돌기(250)는 상호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1 안착홈(161)과 제1 안착돌기(240), 그리고 제2 안착홈(181)과 제2 안착돌기(250)는 횡단면이 원형을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흔들림이나 회전을 방지함에 효과적이게끔 다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외부케이스(200)의 상면 및 저면에는 적층시 움직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외측하부체(200a)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 중 부양돌기(230)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상측으로 함입된 결합홈(27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상부체(200b)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중 부양돌기(230)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결합홈(270)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측으로 돌출된 결합돌기(26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케이스(200)를 적층할 경우 일 외부케이스(200)에 형성된 결합돌기(260)는 일 외부케이스(200)의 상측에 위치하는 타 외부케이스(200)에 형성된 결합홈(270)에 끼워지게 되는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적으로 다수 개의 외부케이스(200)를 적층시킬 수 있다.
10 : 식품
100 : 내부케이스 100a : 내측하부체
100b : 내측상부체 100c : 브릿지
110 : 제1 수용홈 120 : 제2 수용홈
130 : 완충공간 141 : 지지부
142 : 완충부 150 : 통기공간
160 : 제1 지지돌부 161 : 제1 안착홈
170 : 결합돌부 180 : 제2 지지돌부
181 : 제2 안착홈 190 : 제3 지지돌부
191 : 부양홈
200 : 외부케이스 200a : 외측하부체
200b : 외측상부체 210 : 완충공간
221 : 제1 측벽 222 : 제2 측벽
223 : 제3 측벽 224 : 보강홈
230 : 부양돌기 240 : 제1 안착돌기
250 : 제2 안착돌기 260 : 결합돌기
270 : 결합홈

Claims (5)

  1. 식품(10)이 개별적으로 안착되어 상기 식품(10)의 하부를 감싸는 다수 개의 제1 수용홈(110)이 하측으로 함입형성된 내측하부체(100a)와, 상기 내측하부체(100a)의 상측에 결합되면서 상기 식품(10)의 상부를 감싸는 다수 개의 제2 수용홈(120)이 상측으로 함입형성된 내측상부체(100b)를 포함하는 내부케이스(100);
    상기 내측하부체(100a)의 저면과 측면을 감싸는 외측하부체(200a)와, 상기 내측상부체(100b)의 상면과 측면을 감싸면서 외측하부체(200a)와 결합되는 외측상부체(200b)를 포함하면서, 외부면이 내부케이스(100)와 이격되어 제2 완충공간(210)이 형성되게끔 내부케이스(100)와 결합되는 외부케이스(200);를 포함하되,
    상기 외측하부체(200a)는, 내측하부체(100a)의 측면을 둘러싸는 제1 측벽(221a)이 구비되고, 제1 측벽(221a)의 외측으로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상기 외부면인 제2 측벽(222a)이 구비되며, 제1 측벽(221a)의 상단과 제2 측벽(222a)의 하단을 연결하면서 제1 측벽(221a)의 하단 및 제2 측벽(222a)의 상단과 소정의 간격 이격된 제3 측벽(223a)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외측상부체(200b)는, 내측상부체(100b)의 측면을 둘러싸는 제1 측벽(221b)이 구비되고, 제1 측벽(221b)의 외측으로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상기 외부면인 제2 측벽(222b)이 구비되며, 제1 측벽(221b)의 하단과 제2 측벽(222b)의 상단을 연결하면서 제1 측벽(221b)의 상단 및 제2 측벽(222b)의 하단과 소정의 간격 이격된 제3 측벽(223b)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하부체(200a) 및 외측상부체(200b)에는 상호 결합지점을 향해 제2 측벽(222a,222b) 및 제3 측벽(223a,223b)이 함입되어 보강홈(224)을 형성하되,
    상기 보강홈(224)은 외부케이스(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마다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 트레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100)는, 내측하부체(100a)의 상면 및 내측상부체(100b)의 저면의 일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브릿지(100c)를 더 포함하여, 상기 내측하부체(100a)의 상면 및 내측상부체(100b)의 저면 사이에 외부와 연통되는 통기공간(15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용홈(110) 및 제2 수용홈(120)은 각각 바둑판 배열을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기 내측하부체(100a)의 상면 및 내측상부체(100b)의 저면 각각은, 4개의 제1 수용홈(110) 및 4개의 제2 수용홈(120)이 인접하는 지점에 상호 맞닿게끔 통기공간(150)을 향해 돌출되게끔 제3 지지돌부(190)가 함입형성되어 제3 지지돌부(190)의 내측에 부양홈(191)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케이스(200)는 상면 및 저면에서 부양홈(191)과 대응되는 지점에 부양홈(191)을 향해 돌출되어 부양홈(191)에 끼워지는 부양돌기(2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 트레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하부체(100a)의 상면 및 내측상부체(100b)의 저면 각각은, 모서리에 상호 맞닿게끔 통기공간(150)을 향해 돌출된 제1 지지돌부(160)가 함입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돌부(160) 사이의 가장자리 중, 각각의 제1 수용홈(110) 및 제2 수용홈(120) 끼리 인접하는 지점이 하나이면, 해당 지점에 돌기홈 결합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내측하부체(100a)와 내측상부체(100b)를 결합시키는 결합돌부(170)가 통기공간(150)을 향해 돌출되게끔 함입형성되고, 각각의 제1 수용홈(110) 및 제2 수용홈(120) 끼리 인접하는 지점이 하나 이상이면, 해당 지점에 상호 맞닿게끔 통기공간(150)을 향해 돌출된 제2 지지돌부(180)와 상기 결합돌부(170)가 번갈아가며 형성되는 한편,
    상기 외측하부체(200a)의 상면 및 외측상부체(200b)의 저면에는, 제1 지지돌부(160)의 내측에 형성된 제1 안착홈(161)에 끼워지는 제1 안착돌기(240)가 돌출형성되고, 제2 지지돌부(180)의 내측에 형성된 제2 안착홈(181)에 끼워지는 제2 안착돌기(250)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 트레이.
  5. 삭제
KR1020200095777A 2020-07-31 2020-07-31 식품 포장용 트레이 KR102460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777A KR102460548B1 (ko) 2020-07-31 2020-07-31 식품 포장용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777A KR102460548B1 (ko) 2020-07-31 2020-07-31 식품 포장용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590A KR20220015590A (ko) 2022-02-08
KR102460548B1 true KR102460548B1 (ko) 2022-10-31

Family

ID=80252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777A KR102460548B1 (ko) 2020-07-31 2020-07-31 식품 포장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05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7071A (ja) 1998-06-24 2000-01-11 Mamoru Kamo 鶏卵包装容器
KR101999593B1 (ko) 2018-11-23 2019-07-12 김찬우 계란보호구, 이를 이용한 계란안전포장박스 및 계란안전포장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3373U (ja) * 1982-03-24 1983-09-27 太栄産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卵容器
JPS6459184A (en) * 1987-08-31 1989-03-06 Nec Corp Sonar image display system
JPH03117683U (ko) * 1990-02-22 1991-12-05
KR200183207Y1 (ko) 1999-12-21 2000-05-15 윤선영 사출성형재 계란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7071A (ja) 1998-06-24 2000-01-11 Mamoru Kamo 鶏卵包装容器
KR101999593B1 (ko) 2018-11-23 2019-07-12 김찬우 계란보호구, 이를 이용한 계란안전포장박스 및 계란안전포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590A (ko)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98375C (en) Tri-fold egg carton
US3771712A (en) Boxes or packs for packaging eggs; fruit or other articles
US20230192348A1 (en) Beverage container packaging
US4205749A (en) Nestable and stackable container
US3038625A (en) Cell partitions for cartons
CN106315024A (zh) 一种小尺寸液晶面板用的托盘及包装箱组件
US6311842B1 (en) Packaging methods and products
KR102460548B1 (ko) 식품 포장용 트레이
KR102527882B1 (ko) 식품 포장용 트레이
US2995272A (en) Beverage bottle receptacle
KR100973838B1 (ko) 완충공간을 갖는 포장박스
US3771689A (en) Shells for holding soft drink bottles
US7070052B2 (en) Packaging system for cathode ray tube components
JP7005839B2 (ja) 緩衝体及び梱包体
JP6175150B2 (ja) 集合包装容器及びその積層体
JP6758123B2 (ja) 集合包装容器
KR20100000157U (ko) 과실 배치부
JP6738633B2 (ja) 集合包装容器及びその積層体
JP6874958B2 (ja) 包装容器及び包装容器の輸送方法
JP6691413B2 (ja) 集合包装容器及びその積層体
US755640A (en) Egg-tray.
US2068812A (en) Shipping container
KR102597061B1 (ko) 택배발송시 파손없이 운반되는 친환경 파이포장박스
US4209094A (en) Bottle tray
US1809559A (en) Packing containers for fragile 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