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0207B1 - Grating remover - Google Patents

Grating remo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0207B1
KR102460207B1 KR1020220026092A KR20220026092A KR102460207B1 KR 102460207 B1 KR102460207 B1 KR 102460207B1 KR 1020220026092 A KR1020220026092 A KR 1020220026092A KR 20220026092 A KR20220026092 A KR 20220026092A KR 102460207 B1 KR102460207 B1 KR 102460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grating
hook
hook arm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60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구조컨설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구조컨설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구조컨설턴트
Priority to KR1020220026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020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2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023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using screw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ting removal device that can remove various types of gratings with a simple structure and can be used adaptively according to working conditions around the gra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ting removal device comprises: a handle part (10)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 lever adjusting part (20) bent and exten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a lower end of the handle part (10), and having coupling holes (21 or 22) form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a hook arm (30) extending downward from a front end of the lever adjusting unit (20) and including a hook (31) at the front end; and a lever support part (40)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1) of the lever adjusting part (20) so as to be able to change in position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lever adjusting part (20).

Description

그레이팅 철거장치{GRATING REMOVER}GRATING REMOVER {GRATING REMOVER}

본 발명은 그레이팅 철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다양한 그레이팅의 종류 및 작업조건에 맞추어 적응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그레이팅 철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ting demoli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grating demolition apparatus that can be adaptively used according to various types of gratings and working conditions.

일반적으로 그레이팅은 배수 또는 배기시설에 설치되는 덮개를 말하며, 특히 배수 또는 배기시설이 차량이나 사람이 통행하거나 근접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된 경우 배수 또는 배기능력과 함께 차량이나 사람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설치된다.In general, a grating refers to a cover installed on a drainage or exhaust system, especially when the drainage or exhaust system is installed in a place where vehicles or people can pass or come close to, in order to secure the safety of vehicles or people along with drainage or exhaust capability. is installed

그레이팅의 재질로는 스틸과 같은 금속재질이 주로 사용되지만, 플라스틱과 같은 경질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A metal material such as steel is mainly used as the material of the grating, but a hard material such as plastic may be used.

그레이팅의 크기는 차로변의 우수관에 설치되는 소형 그레이팅부터 지하철 환기구에 설치되는 대형 그레이팅까지 다양하다.The size of the grating varies from a small grating installed in a rainwater pipe on the roadside to a large grating installed in a subway vent.

그레이팅의 형태는 서로 직교하는 크로스바를 구비한 사각형 격자 형태가 일반적이지만, 기능적 목적이나 심미적 목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그레이팅이 제작되고 있다. 도 1a 내지 도 1f는 다양한 형태의 그레이팅의 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은 철거할 때 후크(갈고리)가 끼워지는 틈새(관통공)의 형태가 매우 다양함을 알 수 있다.The shape of the grating is generally a rectangular grid having crossbars orthogonal to each other, but various types of gratings are being manufactured for functional or aesthetic purposes. 1A to 1F show examples of various types of gratings. As shown, it can be seen that the shape of the gap (through hole) into which the hook (hook) is fitted when the grating is removed is very diverse.

그레이팅의 설치장소도 획일적이지 않다. 일반적으로 그레이팅은 주변의 콘크리트구조물이나 도로 등 지표면과 비슷한 높이로 설치되지만, 주변의 지표면보다 높거나 낮은 단턱 구조물에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에 인접하게 화단이나 정원 등이 조성되어 주변 공간이 협소한 경우도 있다.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grating is also not uniform. In general, the grating is installed at a height similar to the ground surface, such as a surrounding concrete structure or road, but there are cases where it is installed on a stepped structure higher or lower than the surrounding ground surface. Also, as shown in FIG. 1F , there is a case where a flower bed or a garden is created adjacent to the grating, so that the surrounding space is narrow.

그레이팅은 배수/배기시설의 정비 또는 그레이팅의 보수나 교체를 위하여 철거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그레이팅을 들어 올리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근래에는 다양한 그레이팅 철거장치가 제안되고 있다.The grating may need to be dismantled for maintenance of drainage/exhaust facilities or for repair or replacement of the grating. Conventionally, a method of directly lifting the grating by the operator has been mainly used, but in recent years, various grating removal devices have been proposed.

예컨대, 한국 실용신안공개 제2014-003129호 “그레이팅 착탈기구”(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 일본 특허공개 제2010-037737호 “그레이팅 착탈장치”(이하 ‘선행기술 2’라 함),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81637호 “그레이팅 개폐기”(이하 ‘선행기술 3’이라 함)를 들 수 있다.For example,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4-003129 “Grating Removal Mechanism”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0-037737 “Grating Removable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81637 “Grating Switchgear”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3').

선행기술 1은 구조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지레 원리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의 힘이 많이 들어간다는 단점이 있다.Prior art 1 has the advantage of a simple structure, bu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requires a lot of power from the operator because it does not use the lever principle.

선행기술 2는 지레 원리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힘을 줄일 수 있고 그레이팅을 철거한 후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들어올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후크의 형태, 후크암의 위치, 지레받침 역할을 하는 바퀴의 위치 등이 모두 고정되어 있어서 다양한 형태의 그레이팅에 적용되기 어렵고, 그레이팅이 높은 단턱에 설치된 경우나 그레이팅 주변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 적용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지레받침으로 바퀴를 사용하므로 구조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Prior art 2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duce the operator's force by using the lever principle and stably grip and lift it after removing the grating, but the shape of the hook, the position of the hook arm, and the position of the wheel serving as a lever support Since the backs are all fixed, it is difficult to apply to various types of gratings, and there are disadvantages in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when the grating is installed on a high step or when the space around the grating is narrow.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because the wheel is used as a lever support.

선행기술 3은 지레 원리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힘을 줄일 수 있고 체인형의 가는 갈고리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그레이팅을 들어올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자세가 일정하지 않게 흔들리는 체인형 갈고리를 작업자가 손으로 그레이팅의 틈새에 걸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고, 선행기술 2와 마찬가지로 그레이팅이 높은 단턱에 설치된 경우나 그레이팅 주변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 적용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지레받침으로 바퀴를 사용하므로 구조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Prior art 3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duce the operator's force by using the lever principle and lifting various types of gratings using the chain-type fine hook, As a result,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walk in the gap of the grating, and like the prior art 2,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when the grating is installed on a high step or when the space around the grating is narrow.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because the wheel is used as a lever support.

한편, 그레이팅의 둘레 부분에 흙이 끼여서 굳거나 동절기에 얼어붙은 경우에는 그레이팅을 철거하기 전에 미리 흙이나 얼음을 파쇄할 필요가 있는데, 상술한 선행기술 2, 3은 이러한 파쇄작업을 수행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soil is stuck in the periphery of the grating or is frozen in winter, it is necessary to crush the soil or ice before dismantling the grating. have.

또한, 그레이팅 주변의 구조물이나 지반이 파손 또는 붕괴된 경우에는 그레이팅이 파손 또는 붕괴된 구조물이나 지반에 끼여서 빠져나오기 어려운 경우가 있고, 그레이팅 가까이에 지레받침을 지지할 적절한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에, 상술한 선행기술 2, 3은 그레이팅을 빼내기에 적합하지 않으며, 지레받침대 역할을 하는 바퀴로부터 후크(갈고리)까지의 거리, 즉 스팬이 고정되어 있어서 그레이팅 철거작업을 수행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In addition, if the structure or ground around the grating is damaged or collapsed, it may be difficult to escape because the grating is caught in the damaged or collapsed structure or ground, and it may be difficult to secure an appropriate space to support the lever support near the grating. . In this case, the above-mentioned prior arts 2 and 3 are not suitable for taking out the grating, and the distance from the wheel serving as a lever support to the hook (hook), that is, the span is fixed, so it is difficult to perform the grating removal work. .

본 발명은 상술한 선행기술들의 단점을 보완하는 것을 그 과제로 삼은 것으로서, 간편한 구조로 다양한 형태의 그레이팅을 철거할 수 있고, 그레이팅 주변의 작업조건에 맞추어 적응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그레이팅 철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rating dismantling device that can be used to remove various types of gratings with a simple structure and can be used adaptively according to the working conditions around the grating, as a task of compensating for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will do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루부(10); 상기 자루부(10)의 하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고, 그 연장 방향을 따라 결합공(21 또는 22)이 형성된 지레조정부(20); 상기 지레조정부(20)의 선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에 후크(31)를 포함하는 후크암(30); 및 상기 지레조정부(20)의 결합공(21)에 상기 지레조정부(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위치 변경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레받침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철거장치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ft portion 10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lever adjusting part 20 bent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shaft part 10 and having coupling holes 21 or 22 forme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a hook arm 3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tip of the lever adjustment unit 20 and including a hook 31 at the tip; and a lever support part 40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1 of the lever adjustment part 20 so as to be changeable in position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lever adjustment part 20; provided with a grating removal device comprising: do.

상기 지레조정부(20)의 결합공(21)은 상기 지레조정부(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나사공일 수 있고, 상기 지레받침부(40)는 상기 복수의 나사공과 선택적으로 나사 결합될 수 있다.The coupling hole 21 of the lever adjustment unit 20 may be a plurality of screw holes dispose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lever adjustment unit 20 , and the lever support unit 40 is selectively screwed with the plurality of screw holes. can be

선택적으로, 상기 지레조정부(20)의 결합공(22)은 상기 지레조정부(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형성된 하나의 장공일 수 있고, 상기 지레받침부(40)는 상기 장공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Optionally, the coupling hole 22 of the lever adjustment part 20 may be a single long hole forme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lever adjustment part 20, and the lever support part 40 can slide along the long hole. can be combined.

상기 지레조정부(20)는 상기 지레받침부(40)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lever adjustment unit 20 may be coupl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relative to the lever support unit 40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후크암(30)은 상기 지레조정부(20)의 선단에 착탈 및 각도 조정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hook arm 30 may be detachably and angle-adjustably coupled to the tip of the lever adjustment unit 20 .

상기 후크암(30)은 상기 후크(31)의 형상, 상기 후크(31)의 굵기, 상기 후크암(30)의 길이, 상기 후크암(30)의 단면형상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복수의 후크암으로 마련되어 상기 지레조정부(20)에 선택적으로 교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hook arm 30 includes a plurality of hook arms having different at least one of a shape of the hook 31 , a thickness of the hook 31 , a length of the hook arm 30 , and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hook arm 30 . It may be provided as a selectively replaceably coupled to the lever adjustment unit (20).

상기 후크암(30)는 상기 지레조정부(20)의 선단에 결합되는 상부후크암(34)과, 상기 상부후크암(34)의 하단에 길이 조정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선단에 상기 후크(31)가 형성된 하부후크암(35)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ok arm 30 includes an upper hook arm 34 coupled to the tip of the lever adjustment unit 20, a length-adjus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hook arm 34, and the hook 31 at the tip. may include a lower hook arm 35 formed thereon.

상기 자루부(10)의 상단 및 상기 후크암(30)의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 끝이 납작 뾰족한 파쇄부(12, 38)가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upper end of the handle 10 and the lower end of the hook arm 30 may be formed with flat and sharp crushing portions 12 and 38 .

상기 결합공(21)은 상기 지레조정부(20)의 연장 방향으로 3열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지레받침부(40)는 상기 3열에 각각 결합될 수 있고, 중앙 열에 결합된 하나의 지레받침부(40)와 가장자리 열에 결합된 두 개의 지레받침부(40)가 3점 지지를 형성할 수 있다.The coupling holes 21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in three rows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lever adjustment unit 20 , and the lever support units 40 may b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three rows, and a single lever coupled to the central row. The support portion 40 and the two lever support portions 40 coupled to the edge row may form a three-point support.

본 발명에 따르면, 간편한 구조로 다양한 형태의 그레이팅을 철거할 수 있고, 그레이팅 주변의 작업조건에 맞추어 적응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그레이팅 철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move various types of gratings with a simple structure,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rating removal device that can be used adaptively according to the working conditions around the grating.

도 1a 내지 도 1f는 다양한 형태의 그레이팅을 예시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철거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그레이팅 철거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지표면보다 높은 단턱에 설치된 그레이팅을 철거할 때 도 2의 그레이팅 철거장치가 사용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철거장치의 부분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그레이팅 철거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철거장치의 부분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철거장치에 사용되는 후크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철거장치에 사용되는 후크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철거장치에 사용되는 후크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철거장치의 부분 개략 평면도이다.
1A to 1F are photographs illustrating various types of gratings.
Figur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grating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grating removal device of Figure 2;
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grating removal device of Figure 2 is used when demolishing the grating installed on the step higher than the ground surface.
Figure 5 is a partial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grating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grating removal device of Figure 5.
7 is a partial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grating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hook arm used in the grating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hook arm used in the grating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hook arm used in the grating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artial schematic plan view of a grating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철거장치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그레이팅 철거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grating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grating removal device of Figure 2.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철거장치는 자루부(10)와, 지레조정부(20)와, 후크암(30)과, 지레받침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and 3 , the grating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aft portion 10 , a lever adjustment portion 20 , a hook arm 30 , and a lever support portion 40 . ) is included.

자루부(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상하 방향”이란 반드시 엄밀한 수직 방향만을 말하는 것은 아니며, 수직 방향에 대해 작업상 불편함이 없을 정도로 일정 각도 경사진 경우를 포함한다.The handle 10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Here, "up and down direction" does not necessarily refer to only a strictly vertical direction, and includes a case where the vertical direction is inclined at a certain angle to the extent that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operation.

자루부(10)의 상단에는 손잡이(11)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11)는 본 실시예서는 자루부(10)의 상단부를 약간 절곡하여 형성한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형태의 손잡이가 가능함은 물론이다.A handle 11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handle 10 . Although the example in which the handle 11 is formed by slightly bending the upper end of the handle 10 is shown in this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types of handles are possible.

손잡이(11)의 선단에는 끝이 납작 뾰족한 상부파쇄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납작 뾰족”이란 ‘납작하고 뾰족한 경우’와 ‘납작하거나 뾰족한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그레이팅이 굳은 흙이나 얼음 등으로 인하여 설치장소에서 잘 빠져나오지 않는 경우에 본 철거장치를 뒤집어서 상부파쇄부(12)를 이용하여 흙이나 얼음을 파쇄하여 그레이팅이 빠져나오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주변의 구조물이나 지반이 파손 또는 붕괴되어 그레이팅이 빠져나오기 어려운 경우에도 상부파쇄부(12)를 이용하여 구조물이나 지반을 타격함으로써 그레이팅이 빠져나오기 용이하게 할 수 있다.An upper crushing part 12 having a flat and sharp tip may be formed at the tip of the handle 11 . Here, “flat-pointed” is a concept that includes both “flat and pointed cases” and “flat or pointed cases.”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grating does not easily come out of the installation site due to hardened soil or ice, it is easy to turn the dismantling device over and crush the soil or ice using the upper crushing part 12 to make the grating come out easily. can do. In addition, even when the surrounding structures or ground are damaged or collapsed and the grating is difficult to escape, the grating can be easily released by striking the structure or the ground using the upper crushing part 12 .

자루부(10)는 본 그레이팅 철거장치의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경량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스틸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속이 빈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bag 10 may be formed of a lightweight material in order to reduce the weight of the present grating removal device, and may have a hollow structure when formed of steel.

지레조정부(20)는 자루부(10)의 하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다. 여기서 “수평 방향”이란 반드시 엄밀한 의미의 수평이 아니라 작업상 불편함이 없을 정도의 경사범위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지레조정부(20)는 자루부(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분리 제작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The lever adjustment part 20 is bent and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shaft part 10 . Here, “horizontal direction” is not necessarily horizontal in a strict sense, but a concept that includes a range of inclinations to the extent that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operation. The lever adjustment unit 2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handle unit 10 or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combined.

지레조정부(20)에는 결합공(21)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공(21)은 지레조정부(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레받침부(40)의 위치를 지레조정부(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공(21)의 개수가 세 개인 경우가 예시되었지만, 결합공(21)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계상 또는 작업상 필요에 따라 적절히 증감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결합공(21)은 나사공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나사 없는 관통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A coupling hole 21 is formed through the lever adjustment unit 20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21 are arrange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lever adjustment unit 20 . Accordingly,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position of the lever support unit 40 can be move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lever adjustment unit 20 .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case where the number of coupling holes 21 is three is illustrated, the number of coupling holes 21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ropriately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design or operational needs.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upling hole 21 is exemplified as a screw hol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as a screwless through hole.

후크암(30)은 지레조정부(20)의 선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하방”이란 반드시 수직 하방을 말하는 것은 아니며, 수직 하방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 경사진 경우를 포함한다.The hook arm 30 extends downward from the tip of the lever adjustment unit 20 . Here, "downward" does not necessarily refer to a vertical downward direction, and includes a case where a certain angle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ownward direction.

후크암(30)의 선단에는 후크(31)가 형성되어 있다. 후크(31)는 그레이팅의 틈새로 삽입되어 그레이팅을 걸어 올리기 위한 구성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후크(31)는 다양한 틈새를 가진 다양한 그레이팅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4에는 그레이팅의 일예로서 격자형 그레이팅(S)에 후크(31)가 걸린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A hook 31 is formed at the tip of the hook arm 30 . The hook 31 is inserted into the gap of the grating and configured to hang the grating.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hook 31 may have various shapes to be suitable for various gratings having various gaps. 4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hook 31 is caught on the grid-type grating S as an example of the grating.

지레받침부(40)는 지레조정부(20)의 결합공(21)에 결합되어 지레받침 역할을 한다. 지레조정부(20)는 복수의 결합공(21)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지레조정부(20)의 연장 방향으로 그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레받침부(40)와 후크(31)와의 거리, 즉 스팬을 조정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다양한 그레이팅의 종류 및 그레이팅 주변의 작업조건에 맞추어 적응적으로 그레이팅 철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The lever support part 40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1 of the lever adjustment part 20 to serve as a lever support. The lever adjustment unit 20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holes 21 to move its position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lever adjustment unit 20 . Accordingly, the distance between the lever support part 40 and the hook 31, that is, the span, can be adjusted, thereby adaptively performing grating removal work according to various types of gratings and working conditions around the gratings.

지레받침부(40)는 상하로 연장된 결합봉(41)과, 결합봉(41)의 상단에 부착된 머리(42)와, 결합봉(41)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바닥지지대(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lever support part 40 includes a coupling rod 41 extending up and down, a head 42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rod 41, and a floor support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rod 41 ( 43) are included.

결합공(21)이 나사공인 경우에, 결합봉(41)은 나사봉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결합봉(41)이 회전함에 따라 지레받침부(40)를 지지하는 지표면(G)과 지레조정부(20) 사이의 거리, 즉 지레조정부(20)의 상하 방향 높이가 조정될 수 있다. 즉, 지레조정부(20)가 지레받침부(4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공(21)과 결합봉(41)이 나사 결합된다. 결합공(21)이 나사공이 아닌 관통공인 경우에는, 결합봉(41)과 바닥지지대(43)는 후술할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When the coupling hole 21 is a screw hole, the coupling rod 41 is formed of a screw rod. With this configuration, as the coupling rod 41 rot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ground surface G supporting the lever support unit 40 and the lever adjustment unit 20, that is, the vertical height of the lever adjustment unit 20 can be adjusted. have. That is, the coupling hole 21 and the coupling rod 41 are screwed so that the lever adjustment unit 20 can be moved up and down relative to the lever support unit 40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coupling hole 21 is a through hole rather than a screw hole, the coupling rod 41 and the bottom support 43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in the embodiments of FIGS. 5 and 6 to be described later.

본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철거장치를 사용하여 그레이팅을 철거할 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31)를 그레이팅(S)에 걸고 지레 원리를 이용하여 자루부(10)를 하방으로, 즉 도 3에서 오른쪽으로 누름으로써 철거작업을 수행한다.When the grating is removed using the grating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 the hook 31 is hung on the grating S, and the handle 10 is moved downward using the lever principle, That is, by pressing to the right in FIG. 3, the demolition operation is performed.

도 4는 지표면보다 높은 단턱에 설치된 그레이팅을 철거할 때 본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철거장치가 사용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4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지레받침부(40)를 단턱 위에 놓음으로써 지레받침부(40)와 후크(31) 사이의 거리, 즉 스팬을 줄인 상태에서 철거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고, 도 4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팬을 넓히고 상하 방향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철거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밖에도 그레이팅의 중량 등을 고려하여 스팬을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grating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used when removing the grating installed on the step higher than the ground surface. In this case, as shown by the solid line in FIG. 4, the distance between the lever support part 40 and the hook 31, that is, the span, is reduced by placing the lever support part 40 on the step. Also, as shown by the dotted line in FIG. 4, the demolition operation may be performed by widening the span and adjusting the vertical height. Of course, the span can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weight of the grating.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철거장치의 부분 개략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그레이팅 철거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Figure 5 is a partial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grating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grating removal device of Figure 5.

본 실시예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결합공(22)이 하나의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점, 결합봉(41)이 바닥지지대(43-1)와 나사 결합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지레조정부(20)를 사이에 두고 결합봉(41)에 두 개의 너트(44)가 체결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지레받침부(40)를 장공(2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스팬을 조정할 수 있고, 또한 결합봉(41)이 회전함에 따라 지레받침부(40)가 놓인 지표면에 대한 지레조정부(2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도 6에서 점선은 이러한 슬라이딩 이동 및 높이 조정의 예를 보여준 것이다. 도면에는 결합봉(41)의 전체에 걸쳐 수나사가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바닥지지대(43-1)와 나사 결합되는 하부 영역에만 수나사가 형성되도록 적절히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is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that the coupling hole 22 is formed as a single long hole, and the coupling rod 41 is screwed with the floor support 43-1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there is, and that the two nuts 44 are fastened to the coupling rod 41 with the lever adjustment unit 20 interposed therebetween.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span can be adjusted by sliding the lever support part 40 along the long hole 22, and as the coupling rod 41 rotates, the lever adjustment part for the ground surface on which the lever support part 40 is placed. The height of (20) can be adjusted. The dotted line in FIG. 6 shows an example of such sliding movement and height adjustment. Although the figure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male screw is formed over the entire coupling rod 41, of course, it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so that the male screw is formed only in the lower region screwed with the floor support 43-1.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철거장치의 부분 개략 사시도이다.7 is a partial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grating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가 상술한 제1, 2실시예와 다른 점은 후크암(30)이 지레조정부(20)의 선단에 착탈 및 각도 조정 가능하게 결합된다는 점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암(30)은 지레조정부(20) 선단에 형성된 수용홈(23) 내에서 회전하여 각도가 조정된 후에 고정볼트(50)에 의해 고정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후크암(30)의 상단부에는 고정볼트(50)와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크암(30)의 각도 조정을 위하여 고정볼트(50)가 사용된 예가 설명되었지만, 기타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다른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n that the hook arm 30 is detachably and angle-adjustably coupled to the tip of the lever adjustment unit 20 . As shown in FIG. 7 , the hook arm 30 is fixed by the fixing bolt 50 after the angle is adjusted by rotating in the receiving groove 23 formed at the tip of the lever adjustment unit 20 .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female screw coupled to the fixing bolt 50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hook arm 30 . In this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he fixing bolt 50 is used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hook arm 30 has been described, but other methods known in other technical fields may be used.

도 7에서 점선은 후크암(30)이 전후방으로 각도 조정된 후 고정된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후크암(30)은 작업상 필요에 따라 지레조정부(20)에 대해 둔각, 직각, 예각으로 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후크암(30)이 지레조정부(20)에 대해 직각으로 회전하여 지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는 경우, 그레이팅의 외곽이 주변 구조물에 맞물려서 비스듬한 자세로는 빼내기 어려운 경우에 효과적일 수 있다. 여기서 “직각”과 “수직”은 수학적으로 엄밀한 개념이 아니고 작업상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오차범위를 포함하는 개념이다.The dotted line in FIG. 7 illustrates the fixed state after the hook arm 30 is angled forward and backward. Of course you can. In particular, when the hook arm 30 rotates at a r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lever adjustment unit 20 and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surface, it may be effective when the outer part of the grating is engaged with the surrounding structure and it is difficult to remove it in an oblique posture. Here, “perpendicular” and “vertical” are not mathematically rigorous concepts, but are concepts that include a generally acceptable error range for work.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철거장치에 사용되는 후크암을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hook arm used in the grating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상술한 제3실시예(도 7)에서 지레조정부(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후크암(30)과 교체될 수 있는 후크암(30-1)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후크암(30-1)은 밑으로 갈수록 굵기가 가늘어지고 후크(31-1)의 굵기가 도 7에 도시된 후크암(30)에 비해 가늘기 때문에 그레이팅의 틈새가 좁은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는 교체 가능한 다양한 후크암 중 하나의 예일 뿐이며, 후크의 형상, 후크의 굵기, 후크암의 길이, 후크암의 단면형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형된 후크암들이 교체 사용될 수 있다.This embodiment shows the hook arm 30-1 that can be replaced with the hook arm 30 detachably coupled to the lever adjustment part 20 in the third embodiment (FIG. 7) described above. Since the hook arm 30-1 shown in FIG. 8 is thinner and the thickness of the hook 31-1 is thinner than the hook arm 30 shown in FIG. 7, the gap between the gratings is narrow. can be usefully used for The embodiment of FIG. 8 is only one example of a variety of replaceable hook arms, and hook arms in which at least one of a shape of a hook, a thickness of a hook, a length of a hook arm, and a cross-sectional shape of a hook arm is deformed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철거장치에 사용되는 후크암을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hook arm used in the grating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가 상술한 실시예들과 다른 점은 후크암(30)이 지레조정부(20)의 선단에 결합되는 상부후크암(34)과, 상부후크암(34)의 하단에 길이 조정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선단에 후크(31)가 형성된 하부후크암(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는 점이다. 도 9에서 참조부호 36은 상부후크암(34)에 형성된 장공을 나타내고, 참조번호 37은 상부후크암(34)에 대한 하부후크암(35)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를 나타낸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팬의 길이, 지레조정부(20)의 높이, 후크암(30)과 지레조정부(20) 사이의 각도 등 다양한 변수에 따라 자유롭게 후크암(3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The difference between this embodiment 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that the hook arm 30 is coupled to the upper hook arm 34 to be coupled to the tip of the lever adjustment unit 20, an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hook arm 34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and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ower hook arm 35 having a hook 31 formed at its tip. In FIG. 9 , reference numeral 36 denotes a long hole formed in the upper hook arm 34 , and reference numeral 37 denotes a fixing bolt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lower hook arm 35 with respect to the upper hook arm 34 .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length of the hook arm 30 can be freely adjusted according to various variables such as the length of the span, the height of the lever adjustment unit 20 , and the angle between the hook arm 30 and the lever adjustment unit 20 .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철거장치에 사용되는 후크암을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a hook arm used in the grating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가 상술한 실시예들과 다른 점은 제1실시예에서 자루부(10)의 선단에 형성된 상부파쇄부(12)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 즉 끝이 납작 뾰족한 하부파쇄부(38)가 후크(13)에 인접하게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상부파쇄부(12)와 하부파쇄부(38)는 둘 다 형성될 수도 있고, 둘 중 어느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다.This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that it has a configuration that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upper crushing part 12 formed at the tip of the bag 10 in the first embodiment, that is, the lower crushing part 38 with a flat tip. The point is that it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adjacent to the hook (13). Both the upper crushing part 12 and the lower crushing part 38 may be formed, or either one of them may be formed.

도 11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철거장치의 부분 개략 평면도이다.11 is a partial schematic plan view of a grating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가 상술한 실시예들과 다른 점은 결합공(22)이 지레조정부(20)의 연장 방향으로 3열로 배치되어 있다는 점이다. 특히,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 열에 결합된 하나의 지레받침부(40)와 가장자리 열에 결합된 두 개의 지레받침부(40)가 3점 지지를 형성하면 안정적으로 지레받침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면에는 3열로 배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2열로 배치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도 1열로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지레받침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that the coupling holes 22 are arranged in three rows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lever adjustment unit 20 .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10, when one lever support part 40 coupled to the center row and two lever support parts 40 coupled to the edge row form a three-point support, it can stably serve as a lever support. There is an advantage that Although the drawing shows an example arranged in three rows, it may be arranged in two rows if necessary, and even in this case, the lever support can be stably supported compared to the case of being arranged in one row.

이상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져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와 균등예가 있을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may b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지만, 이는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Although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components described in the claims, these are only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자루부
11: 손잡이
12: 상부파쇄부
20: 지레조정부
21, 22: 결합공
23: 수용홈
30, 30-1: 후크암
31, 31-1: 후크
34: 상부후크암
35: 하부후크암
36: 장공
37: 고정볼트
38: 하부파쇄부
40: 지레받침부
41: 결합봉
42: 머리
43, 43-1: 바닥지지대
44: 너트
45: 암나사
50: 고정볼트
G: 지표면
S: 그레이팅
10: handle
11: handle
12: upper crushing part
20: Leverage
21, 22: coupling hole
23: accommodation home
30, 30-1: hook arm
31, 31-1: hook
34: upper hook arm
35: lower hook arm
36: long hole
37: fixing bolt
38: lower crushing unit
40: lever support part
41: coupling rod
42: head
43, 43-1: floor support
44: nut
45: female thread
50: fixing bolt
G: surface
S: grating

Claims (9)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루부(10);
상기 자루부(10)의 하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고, 그 연장 방향을 따라 결합공(21 또는 22)이 형성된 지레조정부(20);
상기 지레조정부(20)의 선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에 후크(31)를 포함하는 후크암(30); 및
상기 지레조정부(20)의 결합공(21)에 상기 지레조정부(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위치 변경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레받침부(4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공(21)은 상기 지레조정부(20)의 연장 방향으로 3열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지레받침부(40)는 상기 3열에 각각 결합되고, 중앙 열에 결합된 하나의 지레받침부(40)와 가장자리 열에 결합된 두 개의 지레받침부(40)가 3점 지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철거장치.
a shaft portion 10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lever adjusting part 20 bent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shaft part 10 and having coupling holes 21 or 22 forme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a hook arm 3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tip of the lever adjustment unit 20 and including a hook 31 at the tip; and
and a lever support part 40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1 of the lever adjustment part 20 to be changeable in position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lever adjustment part 20;
The coupling holes 21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ree rows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lever adjustment unit 20,
The lever support part 40 i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three rows, and one lever support part 40 coupled to the central row and two lever support parts 40 coupled to the edge row form a three-point support. grating remov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레조정부(20)의 결합공(21)은 상기 지레조정부(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나사공이고, 상기 지레받침부(40)는 상기 복수의 나사공과 선택적으로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철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hole 21 of the lever adjustment unit 20 is a plurality of screw holes dispose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lever adjustment unit 20, and the lever receiving portion 40 is selectively screwed with the plurality of screw holes. Grating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레조정부(20)의 결합공(22)은 상기 지레조정부(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형성된 하나의 장공이고, 상기 지레받침부(40)는 상기 장공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철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hole 22 of the lever adjustment part 20 is a single long hole forme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lever adjustment part 20, and the lever support part 40 is slidably coupled along the long hole. A grating removal device wi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레조정부(20)는 상기 지레받침부(4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철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grating dismant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ver adjustment unit (20) is coupl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relatively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ever support unit (4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암(30)은 상기 지레조정부(20)의 선단에 착탈 및 각도 조정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철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ook arm (30) is a grating dismant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lever adjustment unit (20) to be detachably and angle-adjustab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암(30)은 상기 후크(31)의 형상, 상기 후크(31)의 굵기, 상기 후크암(30)의 길이, 상기 후크암(30)의 단면형상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복수의 후크암으로 마련되어 상기 지레조정부(20)에 선택적으로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철거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hook arm 30 includes a plurality of hook arms having different at least one of a shape of the hook 31 , a thickness of the hook 31 , a length of the hook arm 30 , and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hook arm 30 . A grating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as a selectively replaceably coupled to the lever adjustment unit (2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암(30)는 상기 지레조정부(20)의 선단에 결합되는 상부후크암(34)과, 상기 상부후크암(34)의 하단에 길이 조정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선단에 상기 후크(31)가 형성된 하부후크암(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철거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hook arm 30 includes an upper hook arm 34 coupled to the tip of the lever adjustment unit 20, a length-adjus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hook arm 34, and the hook 31 at the tip. Grating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wer hook arm (35)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부(10)의 상단 및 상기 후크암(30)의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 끝이 납작 뾰족한 파쇄부(12, 3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철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grating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upper end of the shaft portion (10) and the lower end of the hook arm (30) is formed with flat and sharp crushing portions (12, 38).
삭제delete
KR1020220026092A 2022-02-28 2022-02-28 Grating remover KR1024602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092A KR102460207B1 (en) 2022-02-28 2022-02-28 Grating remo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092A KR102460207B1 (en) 2022-02-28 2022-02-28 Grating remov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0207B1 true KR102460207B1 (en) 2022-10-31

Family

ID=83802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092A KR102460207B1 (en) 2022-02-28 2022-02-28 Grating remo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020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874U (en) * 1998-11-03 1999-02-25 김교운 Manhole Cover Switch
KR20080081566A (en) * 2007-03-06 2008-09-10 지연호 Opening apparatus for manhole cover
JP2010037737A (en) * 2008-07-31 2010-02-18 Ogihara Kogyo Kk Grating attaching/detaching apparatus
JP2011106185A (en) * 2009-11-18 2011-06-02 Chubu Corporation Removing device for lattice-like ditch cov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874U (en) * 1998-11-03 1999-02-25 김교운 Manhole Cover Switch
KR20080081566A (en) * 2007-03-06 2008-09-10 지연호 Opening apparatus for manhole cover
JP2010037737A (en) * 2008-07-31 2010-02-18 Ogihara Kogyo Kk Grating attaching/detaching apparatus
JP2011106185A (en) * 2009-11-18 2011-06-02 Chubu Corporation Removing device for lattice-like ditch cov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8785A (en) Versatile impact-type hand tool
US11027954B2 (en) Multipurpose device
US6976670B1 (en) Hydraulic puller apparatus
US20040042886A1 (en) Portable manhole cover remover
KR102460207B1 (en) Grating remover
US7387463B2 (en) Manhole cover removal apparatus and method of use
CN103964352A (en) Novel well cover opening tool
US11518661B2 (en) Cover lift and move apparatus
JP6270881B2 (en) Concrete wall cutting equipment
US20130098649A1 (en) Support frame for a jack hammer
CN203807096U (en) Novel manhole cover opening tool
EP0988848A3 (en) Electrically driven wheelchair
DE202012011595U1 (en) Mobile sunshade stand
US6866248B1 (en) Post extracting device
JP2010193656A (en) Line hardware replacing device
JP3010469U (en) Lid receiving frame pulling machine
CN111112730A (en) Convenient-to-use bridge stainless steel railing cutting equipment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RU2466518C1 (en) Method of plants extraction
CN111587758B (en) Seedling remover
US20120319369A1 (en) Cutting edge handlers for plows and graders
JP2012041800A (en) Lifter for removing manhole cover receiving frame
CN204917888U (en) Housing gate dolly for dismouting
DE102006058261A1 (en) Paving stone lifter, at paved surfaces, has a twin-lever with a flat pointed tine mounted on wheels
CN202164631U (en) Manual dozer blade
JP5492128B2 (en) Walking type work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