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0005B1 - 냉방기 - Google Patents

냉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0005B1
KR102460005B1 KR1020210023929A KR20210023929A KR102460005B1 KR 102460005 B1 KR102460005 B1 KR 102460005B1 KR 1020210023929 A KR1020210023929 A KR 1020210023929A KR 20210023929 A KR20210023929 A KR 20210023929A KR 102460005 B1 KR102460005 B1 KR 102460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compressor assembly
housing
flow path
gui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3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0172A (ko
Inventor
박현수
Original Assignee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23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0005B1/ko
Publication of KR20220120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9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the layout or mutual arrangement of components, e.g. of compressors 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26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refrigerant piping outside the heat exchanger within the unit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25B31/002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2Mounting a compressor unit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변의 온도를 낮추는 냉방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고, 고압으로 냉매인 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기립된 상태로 내부에 마련할 수 있는 압축기 조립체, 상기 압축기 조립체로부터 냉매인 가스를 받아 응축 액화하는 응축기 및 상기 응축기로부터 액화된 냉매를 받아 기화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의 위치 변화에도 상기 압축기의 기립된 상태를 유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방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냉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주변의 온도를 낮추는 냉방기에 관한 것이다.
실내의 기온을 낮추기 위한 냉방 장치로서 사용되는 에어컨(냉방기)은 무더운 여름철에도 실내를 쾌적한 온도로 유지시켜 줄 수 있어서 필수품으로 사용되는 실정이다.
냉방 효과를 높이고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서는 실내의 공기를 외기와 차단한 상태로 에어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가능한 한 모든 문을 닫고 에어컨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따라서 에어컨 사용에는 실내의 환기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에어컨의 하나로는 외기에 접한 창문이나 벽등에 설치하는 창문형 에어컨이 있다. 창문형 에어컨은 하나의 하우징 내에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를 장착하되, 압축기와 응축기와 같은 발열부는 창밖으로 돌출된 위치에 배치하여 공냉되도록 하고 증발기와 같은 흡열부는 실내 쪽으로 배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045851호에는 종래의 창문형 에어컨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압축기의 경우 기계적인 마모를 줄이기 위해 오일이 사용된다. 압축기 오일의 경우 외부와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압축기 구동의 수명을 늘려주고 소음 및 진동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압축기는 하단에 오일이 위치함으로 인해 압축기를 눕히거나 꺼꾸로 세워 놓는 경우에 오일이 제대로 윤활되지 않아 압축기의 수명을 단축시키기 때문에 항상 세워놓고 사용해야 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압축기가 사용되는 에어컨 같은 경우 압축기의 방향을 바꿀 수 없어 항상 정해진 방향으로 사용해야 되는데 창문형 에어컨 같은 경우 창틀에 따라 가로형 또는 세로형으로 구분된 제품을 구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가로형 및 세로형으로 사용할 수 있는 냉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방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고, 고압으로 냉매인 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기립된 상태로 내부에 마련할 수 있는 압축기 조립체, 상기 압축기 조립체로부터 냉매인 가스를 받아 응축 액화하는 응축기 및 상기 응축기로부터 액화된 냉매를 받아 기화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의 위치 변화에도 상기 압축기의 기립된 상태를 유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축기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고, 일측으로 개구된 설치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틀 및 상기 가이드 틀에 위치 변환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압축기가 형성된 압축기 기립 유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기립 유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상기 압축기 기립 유지부를 취급할 수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틀은 원통형이고, 상기 압축기 기립 유지부는 상기 가이드 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조립체는 상기 가이드 틀의 일측 단부 테두리를 따라 볼록한 단턱부와 상기 단턱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가이드 홈과 상기 압축기 기립 유지부의 내측 둘레부에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기립 유지부는 상기 가이드 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방기는 상기 압축기 조립체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로 각각 연결되는 제1 유로부와 상기 압축기 조립체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로 각각 연결되는 제2 유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부와 상기 제2 유로부는 밸브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방기는 냉방기를 가로형 및 세로형으로 모두 사용할 수 있어 설치 장소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장소에 설치 가능하기 때문에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방기를 세로형으로 도시한 구상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방기를 가로형으로 도시한 구상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방기의 압축기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방기를 도시한 구상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압축기 기립 유지부를 탈착하는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방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방기를 세로형으로 도시한 구상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방기를 가로형으로 도시한 구상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방기는 하우징(100), 압축기 조립체(200), 응축기(300) 및 증발기(4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압축기 조립체(200), 응축기(300) 및 증발기(400)를 설치할 수 있다.
응축기(300)는 압축기 조립체(200)로부터 고온 고압의 냉매인 가스를 받아 상온으로 응축 액화할 수 있다.
증발기(400)는 응축기(300)로부터 저온 저압으로 감압되어 액화된 냉매를 받아 주위의 공기와 열교환하여 기화시킬 수 있다.
제1 유로부(510) 및 제2 유로부(520)는 압축기 조립체(200)의 내부에 설치된 압축기(210)를 응축기(300) 및 증발기(400)에 각각 연통할 수 있다.
압축기 조립체(200)는 일측부에 제1 유로부(510)를 연결하고 타측부에 제2 유로부(520)를 연결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로부(510)는 압축기 조립체(200)의 일측부에 연결되어 하우징(100)이 세로로 세워질 때 압축기 조립체(200)의 내부에 설치된 압축기(210)와 연통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로부(520)는 압축기 조립체(200)의 타측부에 연결되어 하우징(100)이 가로로 눕혀질 때 압축기 조립체(200)의 내부에 설치된 압축기(210)와 연통할 수 있다.
제1 유로부(510) 및 제2 유로부(520)는 고압의 냉매를 압축기(210)와 응축기(300) 및 압축기(210)와 증발기(400) 사이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고정형 금속 소재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유로부(510)와 제2 유로부(520)는 하우징(100)의 위치(세로형, 가로형)에 따라 변환되는 압축기(210)의 위치에서 압축기(210)와 응축기(300) 및 압축기(210)와 증발기(400) 사이를 연통할 수 있도록 압축기(210)의 기립되는 위치에 대응되게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유로부(510)와 제2 유로부(520) 중 어느 하나는 압축기 조립체(200)의 내부에 설치된 압축기(210)의 위치 변환 시 압축기(210)의 상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유로부(510)와 제2 유로부(520)는 압축기 조립체(200)의 정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90°이격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00)을 세로형으로 세우거나 가로형으로 눕혀도 압축기(210)가 항상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함에 따라 압축기(210)의 기계적인 마모를 줄이기 위해 압축기(210)에 사용되는 윤활유가 정상적으로 윤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유로부(510)와 제2 유로부(520)는 압축기(210)의 위치 변환에 따라 압축기(210)의 상단부에 위치한 유로부로만 냉매를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210)의 상단부에 위치하지 않은 유로부로 미량의 냉매가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제1 유로부(510) 및 제2 유로부(520) 각각에 밸브부(53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유로부(510) 및 제2 유로부(520) 각각에 형성된 밸브부(530)는 제1 유로부(510) 및 제2 유로부(520) 중 압축기(210)의 상단부에 연결된 유로부를 열어 냉매를 이동하게 하고 압축기(210)의 상단부에 연결되지 않은 유로부를 닫아 냉매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방기의 압축기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 조립체(200)는 고압의 냉매인 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210)를 기립된 상태로 내부에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이 가로형 및 세로형으로 위치를 변화하여도 압축기 조립체(200)의 압축기(210)는 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압축기 조립체(200)는 가이드 틀(230) 및 압축기 기립 유지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틀(23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고정되고, 중앙부가 일측으로 개구된 원통형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틀(230)은 개구된 측의 단부 테두리 내측 둘레를 따라 볼록한 단턱부(235)를 형성할 수 있다.
단턱부(235)는 압축기 기립 유지부(250)의 둘레의 길이보다 둘레의 길이를 짧게 형성할 수 있다.
압축기 기립 유지부(250)는 가이드 틀(230)에 위치 변환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압축기(210)를 설치할 수 있다.
압축기 기립 유지부(250)는 가이드 틀(230)의 단턱부(235)의 둘레에 비해 둘레의 길이가 긴 원통형을 형성하고, 중앙부가 가이드 틀(230)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구되어 개구된 중앙부에 단턱부(235)를 삽입하게 결합하고 단턱부(235)의 둘레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단턱부(235)는 오목하게 형성된 가이드 홈(23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압축기 기립 유지부(250)는 가이드 홈(231)에 삽입되도록 가이드 틀(230)과 마주보는 개구부의 내측 둘레부에 볼록하게 형성된 스토퍼(25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압축기 기립 유지부(250)는 스토퍼(251)를 가이드 홈(231)에 삽입한 상태로 단턱부(235)의 둘레를 따라 회전함에 따라 가이드 홈(231)의 형성 범위 내에서 압축기 기립 유지부(250)가 회전 가능하게 회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압축기 기립 유지부(250)는 가이드 틀(230)을 마주보는 측의 반대측을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하고,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된 부위에 볼록하게 형성된 손잡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27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압축기 기립 유지부(250)를 취급하기 쉽게 유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기 조립체(200)는 하우징(100)의 위치에 따라 압축기 기립 유지부(250)를 회전시켜 압축기 기립 유지부(250)의 내부에 설치된 압축기(210)를 기립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방기를 도시한 구상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압축기 기립 유지부를 탈착하는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방기의 압축기 조립체(200a)는 다른 실시예로 가이드 틀(230)의 중앙부에 일측으로 개구된 설치공간(233)을 형성하고, 압축기 기립 유지부(250)는 가이드 틀(230)의 설치공간(233)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 기립 유지부(250)는 가이드 틀(230)의 설치공간(233)에 삽입 설치되기 위해 가이드 틀(230)의 설치공간(233)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압축기 기립 유지부(250)와 가이드 틀(230) 및 설치공간의 형상은 정육면체, 다각면체, 원통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외 압축기 기립 유지부(250)를 가이드 틀(230)에 탈착 결합할 수 있다면 특정 형상으로 제한하지 않을 수 있다.
압축기 조립체(200a)는 하우징(100)의 위치에 따라 압축기 기립 유지부(250)를 가이드 틀(230)로부터 탈착 결합하면서 압축기 기립 유지부(250)의 내부에 설치된 압축기(210)를 기립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방기는 냉방기를 가로형 및 세로형으로 모두 사용할 수 있어 설치 장소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장소에 설치 가능하기 때문에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방기를 예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100: 하우징
200, 200a: 압축기 조립체
210: 압축기
230: 가이드 틀
231: 가이드 홈
233: 설치공간
235: 단턱부
250: 압축기 기립 유지부
251: 스토퍼
270: 손잡이부
300: 응축기
400: 증발기
510: 제1 유로부
520: 제2 유로부
530: 밸브부

Claims (8)

  1.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고, 고압으로 냉매인 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기립된 상태로 내부에 마련할 수 있는 압축기 조립체;
    상기 압축기 조립체로부터 냉매인 가스를 받아 응축 액화하는 응축기; 및
    상기 응축기로부터 액화된 냉매를 받아 기화시키는 증발기;
    상기 압축기 조립체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로 각각 연결되는 제1 유로부;
    상기 압축기 조립체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로 각각 연결되는 제2 유로부;
    상기 제1유로부와 상기 제2 유로부 각각을 열거나 닫을 수 있게 상기 제1 유로부와 상기 제2 유로부 각각에 형성된 밸브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고, 일측으로 개구된 설치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틀 및
    상기 가이드 틀에 위치 변환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압축기가 형성된 압축기 기립 유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기 조립체는 일측부에 상기 제1 유로부를 연결하고 타측부에 상기 제2 유로부를 연결하되,
    상기 제1 유로부는 상기 압축기 조립체의 일측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이 세로로 세워질 때 상기 압축기 조립체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압축기와 연통하여 냉매를 이동하게 하고,
    상기 제2 유로부는 상기 압축기 조립체의 타측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이 가로로 눕혀질 때 상기 압축기 조립체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압축기와 연통하여 냉매를 이동하게 하고,
    상기 압축기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의 위치 변화에도 상기 압축기의 기립된 상태를 유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기립 유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상기 압축기 기립 유지부를 취급할 수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틀은 원통형이고, 상기 압축기 기립 유지부는 상기 가이드 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조립체는,
    상기 가이드 틀의 일측 단부 테두리를 따라 볼록한 단턱부와
    상기 단턱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가이드 홈과,
    상기 압축기 기립 유지부의 내측 둘레부에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기립 유지부는 상기 가이드 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기.
  7. 삭제
  8. 삭제
KR1020210023929A 2021-02-23 2021-02-23 냉방기 KR102460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929A KR102460005B1 (ko) 2021-02-23 2021-02-23 냉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929A KR102460005B1 (ko) 2021-02-23 2021-02-23 냉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172A KR20220120172A (ko) 2022-08-30
KR102460005B1 true KR102460005B1 (ko) 2022-10-26

Family

ID=83114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929A KR102460005B1 (ko) 2021-02-23 2021-02-23 냉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000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9455A (ja) * 2003-06-20 2005-01-13 Toshiba Kyaria Kk ロータリ式密閉形圧縮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5778A (ja) * 1988-09-08 1990-03-15 Toshiba Corp 横型コンプレッサの脚取付装置
KR102269827B1 (ko) * 2017-07-05 2021-06-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9455A (ja) * 2003-06-20 2005-01-13 Toshiba Kyaria Kk ロータリ式密閉形圧縮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172A (ko)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0845B1 (ko) 냉장고 및 이에 구비되는 하부힌지모듈
KR102460005B1 (ko) 냉방기
KR20050096341A (ko) 매입형 냉장고
WO2021103787A1 (zh) 门体及具有其的冰箱
CN212431447U (zh) 冰箱
JP6727792B2 (ja) 車両用エアコンシステムの膨張バルブ及びこれを含む車両用エアコンシステム
JP2012145307A (ja) 密閉型圧縮機
CN115435126A (zh) 气压平衡阀及具有该气压平衡阀的冷柜
CN206989568U (zh) 一种齿条齿轮控制的风门装置
JP2005009698A (ja) 温度調整庫および冷蔵庫
KR200306582Y1 (ko) 김치저장고의 도어
US5791154A (en) Energy transfer system for refrigeration components
CN109114870B (zh) 一种冰箱内使用的隔板定位装置
KR200246946Y1 (ko) 도어 개폐장치
CN220153057U (zh) 压差开闭器及制冷设备
CN217654150U (zh) 一种冰箱
CN219199606U (zh) 一种分体式冰箱
JP2013147973A (ja) 圧縮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2010210133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200309592Y1 (ko) 냉장고의 접철식 선반
JP4895707B2 (ja) 冷蔵庫
KR200246681Y1 (ko) 김치저장고의 힌지조립체커버구조
CA2365765A1 (en) Sealed damper assembly
JP2024051556A (ja) 空気調和装置
KR200412889Y1 (ko) 스탠드형 에어컨의 리모컨 수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