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946Y1 -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946Y1
KR200246946Y1 KR2020010008611U KR20010008611U KR200246946Y1 KR 200246946 Y1 KR200246946 Y1 KR 200246946Y1 KR 2020010008611 U KR2020010008611 U KR 2020010008611U KR 20010008611 U KR20010008611 U KR 20010008611U KR 200246946 Y1 KR200246946 Y1 KR 2002469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ain body
angle
fixing means
clo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86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림
Original Assignee
캐리어엘지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리어엘지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캐리어엘지 유한회사
Priority to KR20200100086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9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9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946Y1/ko

Links

Landscapes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도어 개폐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일정 각도만큼 기울어지게 장착되어 자중에 의하여 자동으로 닫히며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본체의 일 측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 가능하도록 고정하며 상기 도어의 회전축과 그 중심 축이 일직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도어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도어를 탄성 고정함과 동시에 임의의 각도에서는 일시 정지 및 최대 열림 각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하부 고정수단, 상기 본체의 전면 일 측 상부에 상기 하부 고정수단이 장착된 위치의 수직일직선상에 대하여 일정 각도만큼 편심 되게 장착되어 상기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며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도록 고정하는 상부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간단한 구조로 도어의 자동닫힘 기능과, 상기 도어의 최대 열림 각의 제한 및 임의의 각도에서 일시정지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 AND SHUT A DOOR}
본 고안은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에 있어서 자중에 의하여 자동으로 닫히며, 일정한 각도에서는 도어를 일시 고정할 수 있는 장치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조립이 용이한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부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구조물에서 도어는 내부 수납공간과 외부를 단절시켜 수납된 물건의 보관에 적합한 내부 환경의 특성을 유지시키거나 외부로부터 불순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도어를 개폐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도어는 도어를 열기 위한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만 열리도록 구성되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도어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도어를 닫을 시에는 그 도어를 열기위해 가해졌던 힘이 제거되면 닫기 위해 힘을 가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닫힐 수 있도록 하여 힘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한 도어 개폐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도어 개폐장치 중 쇼케이스의 도어 개폐장치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쇼케이스는 일반적으로 슈퍼마켓 혹은 백화점의 식품 및 음료 판매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식품 전시 및 판매용 장비로써 식품 및 음료가 신선하게 보관될 수 있도록 냉각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소비자가 내부에 진열된 상품을 들여다 볼 수 있도록 구성된 전기 기기이다.
즉 쇼케이스는 냉동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열역학적 성질에 의한 냉매를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등으로 이루어진 냉동싸이클 내로 이동시켜 기화할 때 주위로부터 열을 빼앗아 온도를 낮추는 원리를 이용하여 식품을 오래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쇼케이스의 냉기발생장치는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로 압축시키기 위한 압축기를 포함하여 압축된 냉매를 액화시키기 위한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로부터 배출되는 고압 상태의 냉매 압력을 강하시키는 팽창밸브와 냉매를 기화시켜 냉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로부터 열을 발산시키기는 응축기팬과, 상기 증발기로부터 발생된 냉기를 쇼케이스 내부로 강제 순환시키는 냉각기팬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쇼케이스에 장착된 종래의 도어 개폐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전면 일 측에 장착되어 상기 내부 수용공간을 들여다 볼 수 있으며 상기 내부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와, 상기 본체(1)의 일 측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2)의 일 측 상부를 고정하는 상부 고정수단(3)과, 상기 본체(1)의 일 축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2)의 일 측 상부를 고정하는 하부 고정수단(10)과, 상기 하부 고정수단(10)에 일 측이 고정되고 타 측은 상기 도어(2)의 일 측에 고정된 직선 형상의 스프링(11)과, 상기 하부 고정수단(10)의 상기 스프링(11)이 고정된 부위에 장착되는 텐션너트(12)와, 상기 도어(2)의 하면과 상기 하부 고정수단(10)에 연결된 스토퍼(2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상부 고정수단(3) 및 하부 고정수단(10)은 힌지로 구성되며, 상기 스토퍼(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의 하면 일 측에 고정된 고정핀(21)과, 상기 하부 고정수단(10)에 고정된 고정핀(22)과, 상기 고정핀(21)에 결합되는 원형 홈(24) 및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고정핀(22)이 안내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가공된 안내홈(25) 및 일정 위치에서 상기 고정핀(22)이 일시 고정되도록 돌출 된 걸림쇠(26)등이 형성된 철편(23)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쇼케이스의 도어 개폐장치는 상기 도어(2)를 열기 위해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도어(2)가 상기 상부 고정장치(3) 및 상기 하부 고정장치(1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약 135도 까지 열리게 된다.
상기 도어(2)가 열릴 시 상기 스프링(11)이 일 측은 상기 도어(2)에 고정되고, 타 측은 상기 하부 고정수단(1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열림 각도가 점점 커지면 상기 스프링(11)이 점점 비틀리면서 탄성을 갖게 되어 원 위치로 복귀하려는 반 회전력을 갖게된다.
그러므로 상기 도어(2)는 상기 스프링(11)의 비틀림으로 인한 탄성력에 의해 발생되는 반 회전력에 의하여 상기 도어(2)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원 위치로 복귀하므로, 상기 도어(2)가 자동으로 닫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11)의 탄성력은 일 측에 장착된 텐션너트(12)를 조절하여 그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도어(2)가 약 135도 정도 열리면 상기 스토퍼(20)의 철편(23)에 형성된 안내홈(25)을 따라 안내되던 고정핀(22)이 걸림쇠(26)에 일시 고정이 되어 상기 스프링(5)의 반 회전력에 의해 원 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일시 정지시킨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도어 개폐장치가 장착된 쇼케이스는 상기 스프링(11)의 사용빈도가 많아지면 탄성력이 저하되어 상기 텐션너트(12)로 적정 탄성력이 유지되도록 조절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스프링(11)의 양측을 고정하는 구조 및 텐션너트(12)를 장착하는 것 또한 요구되는 기능에 비해 복잡하다.
또한 상기 스토퍼(20)도 상기 도어(2)에 고정된 고정핀(21)과, 상기 하부 고정수단(10)에 고정된 고정핀(22)이 철편(23)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되므로 기능에 비해 많은 부품이 소요되어 제조원가가 높아지고, 조립작업에 많은 조립시간이 소요되며,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를 개폐함에 있어서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구조와 도어의 열림각이 일정각도에 달하면 일시 정지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간단한 구조로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가 장착된 쇼케이스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쇼케이스의 도어 개폐장치가 장착된 부위의 부분 상세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가 장착된 쇼케이스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쇼케이스에 장착된 도어 개폐장치 중 힌지축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힌지축의 우측면도,
도 6은 도 3의 쇼케이스에 장착된 도어 개폐장치 중 힌지 브라케트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힌지 브라케트의 우측면도,
도 8은 도 4 및 도 5의 힌지축이 도 6의 힌지 브라케트에 장착되어 회전하지 않은 상태의 정면도,
도 9는 도 8의 힌지축이 힌지 브라케트에 장착되어 회전하지 않은 상태의 우측면도,
도 10은 도 4 및 도 5의 힌지축이 도 6의 힌지 브라케트에 장착되어 135도 정도 회전한 상태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도어 103 : 상부 고정수단
110 : 힌지축 113 : 바디
114 : 제1원호부 115 : 걸림홈
116 : 제2원호부 117 : 힌지축측 걸림턱
120 : 힌지브라케트 121 : 베이스판부
122 : 제1원통부 123 : 걸림쇠
124 : 제2원통부 125 : 힌지브라케트측 걸림턱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안된 도어 개폐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일정 각도만큼 기울어지게 장착되어 자중에 의하여 자동으로 닫히며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본체의 일 측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 가능하도록 고정하며 상기 도어의 회전축과 그 중심 축이 일직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도어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도어를 탄성 고정함과 동시에 임의의 각도에서는 일시 정지 및 최대 열림 각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하부 고정수단, 상기 본체의 전면 일 측 상부에 상기 하부 고정수단이 장착된 위치의 수직일직선상에 대하여 일정 각도만큼 편심 되게 장착되어 상기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며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도록 고정하는 상부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로 쇼케이스의 도어 개폐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인 도어 개폐장치가 장착된 쇼케이스의 정면도이고, 도시한 바와 같이 쇼케이스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101)와, 상기 본체(101)의 전면에 약 1도 정도 기울어지게 장착된 도어(102)와, 상기 본 체의 일 측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하부 고정수단(104)과, 상기 본체(101)의 전면 일 측 상부에 상기 하부 고정수단(104)이 장착된 위치의 수직 일직선상에 대하여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내 측으로 약 1도 정도 편심되어 상기 도어가 개폐되도록 장착된 상부 고정수단(103)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고정수단(104)은 상기 도어(102)의 일측 하부에 장착되는 원통형의 힌지축(110)과, 상기 도어(102)의 일 측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102)가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축(110)을 내부에 수용하며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고리형상의 힌지브라케트(120)로 구성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축(110)은 원통형의 바디(113)와, 상기 바디(113)의 일 측 단면에 상기 바디(113)의 단면 형상보다 작은 단면형상으로 수직 돌출 된 원통형의 상부 돌출부(111)와, 상기 바디(113)의 타 측 단면에 상기 바디(113)의 단면 형상보다 작은 단면형상으로 수직 돌출 된 원통형의 하부 돌출부(112)로 구성되며, 상기 바디(113)의 외주면에는 단명에 수직하게 90도 간격으로 4등분하였을 시, 그 첫 번째 구간은 일정한 반지름으로 가공된 제1원호부(114)와, 그 두 번째 구간에는 도어가 일정각도 이상 열리지 않게 하기 위해 반경방향으로 수직 함몰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걸림홈(115)과, 그 세 번째 구간은 상기 제1원호부(114)보다 작은 크기의 반지름으로 상기 제1원호부(114)와 중심점의 위치가 다르게 가공된 제2원호부(116)와, 그 네 번째 구간에는 상기 도어가 약 135도 에서 일시 고정되게 하기 위한 걸림턱(117)이 가공되어 형성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브라케트(120)는 상기 본체(101)의 일 측 하부에 장착되기 위한 홀이 일 측면에 형성되어 직각으로 절곡된 베이스판부(121)와, 상기 홀이 형성된 일면에 대해 수직한 타 측면에 일부가 결합되며 상기 힌지축(110)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원통부(122)와, 상기 힌지축(110)과 접촉되는 제1원통부(122)의 내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도어(102)가 약 135도 의 각도로 열렸을 시, 상기 힌지축(110)의 걸림홈(115)이 접촉되어 더 이상 도어(102)가 열리지 않도록 하는 걸림쇠(123)와, 상기 제1원통부(122)에 부채꼴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110)을 내부에 수용하며 부채꼴의 중심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형성된 제2원통부(124)와, 상기 도어(102)가 약 135도 의 각도로 열렸을 시, 상기 힌지축(110)과 접촉되는 제2원통부(124)의 내면에 상기 힌지축측 걸림턱(117)이 수용되도록 함몰되어 형성된 힌지브라케트측 걸림턱(125)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쇼케이스의 도어 개폐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02)의 회전축이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된 내측으로 1도정도 기울어지게 장착되어 상기 도어(102)의 무게중심이 한 쪽으로 치우치게되므로, 상기 도어(102)를 열기 위해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도어(102)는 자중에 의한 복귀 회전력을 갖게되어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도어(102)가 약 135도 정도 열리면 상기 힌지축(110)의 걸림홈(115)이 상기 힌지 브라케트(120)의 걸림쇠(123)에 접촉되어 그 이상 열리지 않으며, 상기 힌지축(110)의 힌지축측 걸림턱(117)이 상기 힌지 브라케트(120)의 힌지 브라케트측 걸림턱(125)에 수용되어 자중에 의한 복귀 회전력으로 도어가 닫히는 것을 일시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힌지 브라케트(120)의 제2원통부(124)는 부채꼴의 중심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지므로 135도정도까지 개폐되는 상기 도어(102)는 상기 힌지 브라케트측 걸림턱(125)에서 힌지축측 브라케트를 수용하거나 이탈시킬 수 있는 외력을 가하면 일시 고정되거나,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기울어지게 장착된 상기 도어(102)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힌지축(110)과, 힌지 브라케트(120)의 상호 접촉에 의하여 일정 각도에서 상기 도어(102)가 일시 정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는 도어를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장착하여 자중에 의해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는 기능을 수행하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부품의 수가 줄게되어 조립이 쉽고 간단해지며 제조원가가 절감된다.
또한 상기 도어를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자중에 의한 복귀 회전력은 시간이 경과하여도 그 힘의 세기가 줄어들지 않기 때문에 그 세기를 조절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상기 도어의 회전축과 그 중심 축이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하부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도어의 최대 열림 각의 제한 및 임의의 각도에서 일시정지기능을 수행하므로 단순한 조립구조로 구성되어 미관상 보기 좋으며, 조립시간이 단축되며, 제조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일정 각도만큼 기울어지게 장착되어 자중에 의하여 자동으로 닫히며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본체의 전면 일 측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하부 고정수단과, 상기 본체의 전면 일 측 상부에 상기 하부 고정수단이 장착된 위치의 수직일직선상에 대하여 일정 각도만큼 편심 되게 장착되어 상기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며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도록 고정하는 상부 고정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편심각은 상기 하부 고정수단이 장착된 위치의 수직일직선상에 대하여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내 측으로 1도 기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장치.
  3.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장착되어 소정의 면적을 갖고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본체의 일 측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상부 고정수단과, 상기 본체의 일 측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 가능하도록 고정하며 상기 도어의 회전축과 그 중심 축이 일직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도어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도어를 탄성 고정함과 동시에 임의의 각도에서는 일시 정지 및 최대 열림 각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하부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수단은 제1원호부와 도어가 일정각도 이상 열리지 않게 하기 위한 걸림홈과, 상기 제1원호부와 중심점이 다른 제2원호부와, 상기 도어가 일정각도에서 일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힌지축측 걸림턱이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일 측 하부에 장착되는 원통형의 힌지축과; 상기 본체의 일 측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베이스판부와, 상기 베이스판부에 일부가 결합되며 상기 힌지축을 내부에 수용하는 부채꼴 형상의 제1원통부와, 상기 힌지축을 내부에 수용하며 원통 중심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갖고 제1원통부에 연장 형성된 부채꼴 형상의 제2원통부와, 상기 걸림홈과 접촉하는 걸림쇠와, 상기 힌지축측 걸림턱과 접촉하는 힌지브라케트측 걸림턱이 구비된 고리형상의 힌지브라케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호부는 상기 제2원호부보다 반지름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과 걸림쇠의 접촉 및 힌지축측 걸림턱과 힌지브라케트측 걸림턱의 접촉은 도어가 135도 열렸을 경우에 발생되어 일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장치.
KR2020010008611U 2001-03-28 2001-03-28 도어 개폐장치 KR2002469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611U KR200246946Y1 (ko) 2001-03-28 2001-03-28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611U KR200246946Y1 (ko) 2001-03-28 2001-03-28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6946Y1 true KR200246946Y1 (ko) 2001-10-29

Family

ID=73098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8611U KR200246946Y1 (ko) 2001-03-28 2001-03-28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9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68844A (zh) * 2019-09-30 2021-03-30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水槽式洗碗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68844A (zh) * 2019-09-30 2021-03-30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水槽式洗碗机
CN112568844B (zh) * 2019-09-30 2024-05-17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水槽式洗碗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4549B1 (ko) 냉장고의 힌지장치
KR100446492B1 (ko) 저장고용 힌지장치 및 이를 갖춘 저장고
EP1691153A1 (en) Refrigerator
KR20050096341A (ko) 매입형 냉장고
KR200246946Y1 (ko) 도어 개폐장치
KR20140102081A (ko) 냉장고
KR200469021Y1 (ko) 냉장고의 도어 힌지장치
KR100467492B1 (ko) 냉장고용 접이식 와인선반
KR100436276B1 (ko) 냉장고 도어의 회전각 조절장치
KR200222902Y1 (ko) 쇼케이스 도어 스톱퍼
KR200463724Y1 (ko) 냉장고의 도어 힌지장치
KR200327338Y1 (ko) 쇼케이스의 도어 닫힘장치
KR200250609Y1 (ko) 김치저장고의 힌지조립체 커버구조
KR200182882Y1 (ko) 냉장고의 도어장치
KR102460005B1 (ko) 냉방기
KR200308198Y1 (ko) 김치저장고 도어 힌지조립체의 임시 결합구조
KR200246681Y1 (ko) 김치저장고의 힌지조립체커버구조
KR200331664Y1 (ko) 김치저장고의 도어 개폐용 힌지조립체
KR0137351Y1 (ko) 도어의 열림 구조
KR100324628B1 (ko) 김치저장고의 상부도어 작동구조
KR100495508B1 (ko) 김치저장고의 도어 연결부위 구조
KR0135219Y1 (ko) 쇼케이스의 바스프링 고정구조
KR200290943Y1 (ko) 반찬 냉장고의 도어
KR100247360B1 (ko) 냉장고용 도어의 하부힌지
KR19980078451A (ko) 냉장고용 압축기의 완충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