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287B1 - 다용도로 연출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 Google Patents

다용도로 연출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9287B1
KR102459287B1 KR1020220092310A KR20220092310A KR102459287B1 KR 102459287 B1 KR102459287 B1 KR 102459287B1 KR 1020220092310 A KR1020220092310 A KR 1020220092310A KR 20220092310 A KR20220092310 A KR 20220092310A KR 102459287 B1 KR102459287 B1 KR 102459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groove
coupling
shape
frame member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2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희
Original Assignee
김윤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희 filed Critical 김윤희
Priority to KR1020220092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2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7Linkable independent elements with the same or similar cross-s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47B47/005Combination of corners and 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58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without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91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단면이 정사각형인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을 이루는 한쌍의 제1평행면과 한쌍의 제2평행면 및 기둥의 양 단면인 한쌍의 제1단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평행면을 관통하여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제1 결합홈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홈이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 상기 제2평행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결합홈과 동일한 형상의 제2 결합홈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제1 단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2 결합홈과 동일한 형상의 제3 결합홈이 형성되는 프레임부재, 상기 제1 내지 3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동일한 다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 단면에 볼트가 결합할 수 있는 볼트공이 형성된 결합부재, 및 상기 프레임부재와 동일한 정사각 기둥이 'ㄱ'자 형상으로 굴절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ㄱ'자의 양 단면인 제4단면 각각에 상기 제3결합홈에 상응하는 제6결합홈이 각각 형성되고,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6결합홈의 하단에 근접한 위치의 상기 정사각기둥의 측면을 관통하여 제5결합홈이 형성되는 'ㄱ'자형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용도로 연출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Multi-use variable assembly furniture}
본 발명은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활 공간의 구조 및 면적 등의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설계의 자유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다용도로 연출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가구는 소유하여 사용하는 것에만 국한되지 않고 협소한 공간에서 어떻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지와, 시각적으로도 미려하도록 하여 실내의 인테리어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되고 있다.
즉, 가구는 한정된 공간에서 적극적으로 유효 절적하게 이용되는 한편 각 개인의 개성, 생활방식과 기능 및 공간의 사용목적에 따라 다용도성, 경제성, 심미성, 합리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고 다기능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구의 형태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공간 내에서 활용도가 높아지는 다기능 가구는 사용 및 활용뿐만 아니라, 그 가구를 이동 운반하여 설치하는 부분까지도 고려해야 하고, 가구의 원활한 이동과 설치 및 변형이 가능하면서도 다양한 기능 및 새로운 공간 분위기가 연출될 수 있는 가구가 각광받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인 가구들은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가 어려웠고, 다기능 가구의 경우, 그 조립 설치 및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사용자의 목적과 설치 위치와 설치 공간에 따라 복수의 선반을 가지는 가구의 선반의 높이와 넓이를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사용자가 기구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조립이 가능한 형태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기둥 형태의 앵글을 설치하고, 앵글에 설치되는 선반의 높이와 수량에 따라 가로 방향으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앵글을 설치하여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체결한 조립형 가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즉, 복수의 통공을 가지는 앵글을 원하는 크기와 넓이에 따라 재단하여 세로와 가로 방향으로 각각 배열한 상태에서 체결수단으로 체결하여 선반을 설치하는 것으로 설치를 마침에 따라 공간의 형태, 크기 및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한 가변형 조립식 가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가변형 조립식 가구는 앵글을 지지한 상태에서 체결수단으로 체결을 실시하여야 함에 따라 조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설치 위치별로 중력에 의해 걸림되는 고리와 홈이 상호 조합되어 끼움 결합에 의해 설치함에 따라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0359호(2006. 10. 31. 등록)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최소 단위의 부재들을 사용하여 조립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연출이 가능하여 주변 환경에 따라 적절히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다용도로 연출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립식 가구에 있어서,
단면이 정사각형인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을 이루는 한쌍의 제1평행면과 한쌍의 제2평행면 및 기둥의 양 단면인 한쌍의 제1단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평행면을 관통하여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제1 결합홈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홈이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 상기 제2평행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결합홈과 동일한 형상의 제2 결합홈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제1 단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2 결합홈과 동일한 형상의 제3 결합홈이 형성되는 프레임부재;
상기 제1 내지 3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동일한 다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프레임부재와 동일한 정사각 기둥이 'ㄱ'자 형상으로 굴절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ㄱ'자의 양 단면인 제4단면 각각에 상기 제3결합홈에 상응하는 제4결합홈이 각각 형성되고,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4결합홈의 하단에 근접한 위치의 상기 정사각기둥의 측면을 관통하여 제5결합홈이 형성되는 'ㄱ'자형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를 제공한다.
상기 프레임부재는 상기 제1 결합홈이 기둥의 중심 영역과 상기 제3 결합홈의 하단에 근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홈은 상기 제1 결합홈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부재와 동일한 정사각 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기둥의 양 단면인 제3단면에 상기 제3결합홈에 상응하는 제4 결합홈이 형성되고, 일 측면의 중심영역을 관통하여 상기 제2결합홈에 상응하는 제5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자형 연결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l'자형 연결부재의 일 측면의 중심영역에서 상기 프레임부재와 동일한 정사각형 단면의 기둥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T'자 형상의 몸체를 이루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프레임부재 단면의 한변의 길이의 1/2 크기로 돌출되고, 'T'자 형상의 각 단면인 3개의 제3단면에 상기 제3결합홈에 상응하는 제4결합홈이 각각 형성되고, 3개의 상기 제4결합홈의 하단에 근접한 위치인 측면의 중심 영역에 제5결합홈이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자형 연결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T'자형 연결부재의 돌출부에 상응하는 위치의 타측면의 중심 영역에서 상기 돌출부와 상응하는 형상의 제2돌출부가 돌출되어 상기 돌출부와 함께 '+'자 형상의 몸체를 형성하고, '+'자 형상 몸체의 각 단면인 제3단면에 상기 제3 결합홈에 상응하게 제4결합홈이 형성되고, 4개의 상기 제4결합홈의 하단에 근접하여 '+'자 형상 몸체를 관통하여 제5결합홈이 형성되는 '+'자형 연결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재는 양 단면에 볼트가 결합할 수 있는 볼트공이 형성되고,
복수개의 상기 프레임부재와 상기 'ㄱ'자형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하여 형성된 면에 상응하는 크기로 절단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부재의 상기 제1체결홈 또는 제2체결홈에 상응하는 위치와, 상기 'ㄱ'자형 연결부재의 제5결합홈에 상응하는 위치에 볼트공이 관통하여 형성되는 외장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재와 상기 'ㄱ'자형 연결부재의 상기 제1체결홈 또는 제2체결홈 또는 제5결합홈의 상기 외장재의 볼트공에 상응하는 위치에 결합부재가 삽입되고,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육면체의 각 면에서 정육면체의 1/2 높이의 정사각 기둥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돌출된 정사각 기둥의 외측면인 6개의 제3단면 각각에 상기 제3 결합홈에 상응하게 제4결합홈이 형성되고, 정글짐과 같은 형태로 상기 프레임 부재를 결합할 때 6방향으로 상기 프레임부재가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하는 6방향 연결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조건에 따라 가구의 크기와 모양을 선택할 수 있는 조립식 가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이동 및 보관을 가능하도록 조립 해체가 자유로운 조립식 가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해체 후 새로운 디자인으로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의 조립식 가구를 구성하는 프레임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단프레임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도 1의 조립식 가구를 구성하는 결합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를 구성하는 연결부재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는 도 1의 조립식 가구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9 내지 14는 조립식 가구의 결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가구는 프레임부재(100), 결합부재(200), 연결부재(300), 및 외장재(400)를 포함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를 구성하는 프레임부재(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프레임부재(100)는 정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사각 기둥은 서로 수직하는 한쌍의 제1평행면(110)과 제2평행면(120) 및 제1단면(130)으로 구성된다. 제1평행면(110)을 관통하여 관통공의 단면 형상이 다각형인 제1 결합홈(111)이 복수개 형성되고, 제2 평행면(120)을 관통하여 다각형의 제2 결합홈(121)이 복수개 형성되고, 한쌍의 제1단면(130)에 수직으로 다각형의 제3 결합홈(131)이 각각 형성된다. 제1 결합홈(111)은 프레임 부재의 중심 영역과 제3 결합홈(131)의 하단에 근접하게 3개가 형성되고, 제2 결합홈(121)은 3개의 제1 결합홈(111) 사이에 각각 2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결합홈(111), 제2 결합홈(121), 및 제3 결합홈(131)은 단면이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의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결합홈(111) 및 제2 결합홈(121)은 정사각 기둥을 관통하므로 단면인 정사각형의 한변의 길이와 동일한 깊이로 형성되고, 제3 결합홈(131)은 단면의 1/2에 상응하는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결합홈(111), 제2 결합홈(121), 및 제3 결합홈(131)의 단면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3은 단프레임 부재(100')를 나타낸 도면으로, 프레임부재(100) 보다 짧게 형성되어, 프레임부재(100)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단프레임부재(100')는 프레임부재(100)와 같은 사이즈의 정사각형 단면을 가지고, 기둥 형상으로 형성하되,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단프레임부재(100')는 제1 평행면(110)에 제3 결합홈(131)의 하단에 근접하게 2개의 제1 결합홈(111)이 형성되고, 제2 평행면(120)의 중심영역에 제2 결합홈(121)이 1개 형성된다.
도 4는 도 1의 조립식 가구를 구성하는 결합부재(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결합부재(200)는 제1 내지 3 결합홈(111,121,131)에 삽입 결합하도록 제1 내지 3 결합홈(111,121,131)의 단면과 동일한 다각형 형상의 각기둥으로 형성된다. 결합부재(200)는 한쌍의 제2단면(220)에 볼트공(221)이 형성될 수 있다. 다각형 형상의 제1 내지 3 결합홈(111,121,131)에, 동일한 다각형 기둥 형상의 결합부재(200)가 삽입되면 결합부재(200)가 제 1 내지 3 결합홈(111,121,131) 내에서 회전하지 않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결합부재(200)는 제1 결합홈(111) 및 제2 결합홈(121)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형성되거나, 프레임부재(100)의 길이와 같거나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7은 도 1의 조립식 가구를 구성하는 연결부재(300)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연결부재(300)는 기본형 연결부재(300a), 일방향 'ㅣ'자형 연결부재(300b), 양방향 'ㅣ'자형 연결부재(300c), 'ㄱ'자형 연결부재(300d), 'T'자형 연결부재(300e), '+'자형 연결부재(300f), 6방향 연결부재(300g)를 포함한다.
기본형 연결부재(300a)는 프레임부재(100)의 단면 정사각형과 동일한 정사각형을 한면으로 하는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정육면체의 한평행면(310a)을 관통하는 제5결합홈(311) 또는 1/2 깊이의 제3결합홈(131)에 상응하는 제4결합홈(33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a)는 제5결합홈(311)이 형성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일방향 'l'자형 연결부재(300b)는 상기 프레임부재(100)와 동일한 정사각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는데, 기본형 연결부재(300a) 보다 정육면체의 한변 길이의 1/2만큼 연장되는 길이의 정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한쌍의 제3단면(330) 중 일측에 상기 제3결합홈(131)에 상응하는 제4결합홈(331)이 형성되고, 제4결합홈(311)에서 이격하여 일 측면인 제4평행면(310b)을 관통하여 제5결합홈(311)이 형성된다.
양방향 'l'자형 연결부재(300c)는 상기 프레임부재(100)와 동일한 정사각 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한쌍의 제3단면(330)에 상기 제3결합홈(131)에 상응하는 제4결합홈(331)이 형성하고, 일 측면인 제5평행면(310c)의 중심영역을 관통하여 제5결합홈(311)이 형성된다. 제5결합홈(311)은 제1 및 제2 결합홈(111,121)에 상응하게 관통하여 형성되고, 제4결합홈(331)은 제3 결합홈(131)에 상응하는 깊이로 형성된다. 양방향 'l'자형 연결부재(300c)의 제5결합홈(311)과 한쌍의 제4결합홈(331)은 서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제5결합홈(311)은 한쌍의 제4결합홈(331) 하단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양방향 'l'자형 연결부재(300c)는 기본형 연결부재(300a)의 한변의 2배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단면(130)에 제3단면(330)이 접하여 결합하고, 제1단면(130)의 제3결합홈(131)과 제3단면(330)의 제4결합홈(331)에 결합부재(200)가 삽입되어 프레임부재(100)와 양방향 'l'자형 연결부재(300c)를 결합할 수 있다. 양방향 'l'자형 연결부재(300c)는 프레임부재(100)의 길이 연장에 주로 사용된다.
'ㄱ'자형 연결부재(300d)는 상기 프레임부재(100)와 동일한 정사각 기둥이 'ㄱ'자 형상으로 굴절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일방향 'l'자형 연결부재(330b)의 제5결합홈(311)이 형성된 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정사각형 한변의 길이의 1/2 길이의 정사각기둥이 돌출하여 'ㄱ'자 형상 기둥이 형성된다. 'ㄱ'자의 양 단면인 제3단면(330) 각각에 상기 제3결합홈(131)에 상응하는 제4결합홈(331)이 각각 형성된다. 'ㄱ'자형 연결부재(300d)의 한쌍의 제4결합홈(331)은 서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제5결합홈(311)은 직각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쌍의 제4결합홈(331)의 하단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ㄱ'자형 연결부재(300d)의 장변은 상기 프레임부재(100) 단면의 한변의 길이의 1.5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ㄱ'자형 기둥의 2개의 제3단면(330) 각각에 프레임부재(100)의 제1단면(130)이 접촉하여 결합한다. 제3단면(330)의 제4결합홈(331)과 제1단면(130)의 제3결합홈(131)에 결합부재(200)가 삽입되어 프레임부재(100)와 'ㄱ'자형 연결부재(300d)를 결합한다. 'ㄱ'자형 연결부재(300d)는 프레임부재(100)들을 직각으로 결합하는 데 사용된다.
'T'자형 연결부재(300e)는 상기 양방향 'l'자형 연결부재(300c)의 제4평행면(310c)에 상응하는 평행면(310e)에 수직인 일측 수직면(320)의 중심 영역에서 프레임부재(100)와 동일한 정사각 기둥 형상으로 돌출되어 'T' 형상을 이룬다. 돌출부는 프레임부재(100) 단면의 한변의 길이의 1/2 크기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 자형상의 각 단면인 3개의 제3단면(330)에 제3결합홈(131)에 상응하는 제4결합홈(331)이 각각 형성된다. 제4결합홈(331)은 3면에 형성되고, 3개의 제4결합홈(331)의 하단에 근접한 위치인 평행면(310e)의 중심 영역에 제5결합홈(311)이 관통하여 형성된다. 'T'자형 기둥의 3개의 제3단면(330) 각각에 프레임부재(100)의 제1단면(130)이 접촉하여 결합한다. 'T'자형 연결부재(300e)의 제3단면(330)의 제4결합홈(331)과 제1단면(130)의 제3결합홈(131)에 결합부재(200)가 삽입되어 'T'자형 연결부재(300e)와 프레임부재(100)들을 결합한다. 'T'자형 연결부재(300e)는 프레임부재(100) 들을 'T'자 형상으로 결합하는 데 사용된다.
'+'자형 연결부재(300f)는 상기 'T'자형 연결부재(300e)의 돌출부에 상응하는 위치의 타측 수직면(320)의 중심 영역에서 제2돌출부(313)가 프레임부재(100)와 동일한 정사각 기둥 형상으로 돌출되어 돌출부(312)와 함께 '+'자 형상을 형성한다. '+'자 형상의 4개의 단면인 제3단면(330)에 제4결합홈(331)이 각각 형성된다. '+'자형 연결부재(300f)의 4개의 제4결합홈(331)의 하단에 근접하여 제4평행면(310f)의 중심영역을 관통하여 제5결합홈(311)이 형성된다. '+'자형 기둥의 4개의 제3단면(330) 각각에 프레임부재(100)의 제1단면(130)이 접촉하여 결합할 수 있다.'+'자형 연결부재(300f)의 제3단면(330)의 제4결합홈(331)과 제1단면(130)의 제3결합홈(131)에 결합부재(200)가 삽입되어 '+'자형 연결부재(300f)와 프레임부재(100) 들을 결합한다. '+'자형 연결부재(300f)는 프레임부재(100)들을 '+'자 형상으로 결합하는 데 사용된다.
도 7은 6방향 연결부재(300g)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6방향 연결부재(300g)는 정육면체의 각 면에서 정육면체의 한변의 1/2 높이의 정사각 기둥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돌출된 정사각 기둥의 외측면인 제3단면(330) 각각에 제4 결합홈(331)이 형성된다 깊이는 정육면체 한변 길이의 1/2 깊이로 제4결합홈(331)이 형성된다. 6방향 연결부재(300g)는 정글짐과 같은 형태로 프레임 부재(100)를 결합할 때 6방향으로 프레임부재(100)를 결합하는 데 사용된다.
도 8 은 도 1 의 외장재(400)가 결합된 조립식 가구의 분리사시도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레임부재(100)를 연결부재(300)를 이용하여 결합하여 가구의 프레임을 만들고, 외장재(400)를 결합하여 테이블을 만든 실시예이다. 외장재(400)는 프레임부재(100)와 연결부재(300)가 결합하여 형성된 면에 상응하는 크기로 절단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프레임부재(100)의 제1체결홈(111) 또는 제2체결홈(121)에 상응하는 위치와, 연결부재(300)의 제5결합홈(311)에 상응하는 위치에 볼트공이 형성된다. 외장재(400)가 결합할 면의 프레임부재(100)와 연결부재(300)의 제1체결홈(111) 또는 제2체결홈(121)과 제5체결홈(311)에 결합부재(200)가 삽입되고, 볼트는 외장재(400)의 볼트공을 관통하여 결합부재(200)의 볼트공(221)에 결합하여 외장재(400)를 프레임에 결합한다.
도 9 내지 14는 조립식 가구의 결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프레임부재(100)를 연결부재(300)를 이용하여 박스형으로 프레임을 짜고, 프레임부재(100)로 다리를 형성한 스툴이다.박스형 프레임의 각 면에는 다양한 외장재(400a,b,c)를 결합할 수 있다.
도 10은 프레임부재(100)와 'ㄱ'자형 연결부재(300d)와 'T'자형 연결부재(300e)를 이용하여 '目'자형 프레임을 구성한 예를 나타낸다. 중간에 큰 직사각형 면을 형성할 수 있는 프레임을 짤 수 있다.
도 11은 프레임부재(100)와 단프레임부재(100')를 조합하고, 'ㄱ'자형 연결부재(300b), 'T'자형 연결부재(300c), '+'자형 연결부재(300d)를 이용하여 큰 직사각형 프레임을 구성한 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도 10의 '目'자형 프레임에 결합부재(200',200")를 연결한 도면으로, 중심 영역에 결합된 결합부재(200')는 프레임부재(10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사각형의 평행한 프레임부재(100) 사이에 결합할 수 있고, '目'자형 프레임의 외측으로 결합부재(200')가 돌출되도록 결합할 수도 있다.
도 13 및 14는 제2연결부재(600)를 이용하여 반원통형 플레이트(500)를 박스형 프레임에 장착한 예를 나타낸다. 제2연결부재(600)는 사각 블럭의 상면에 반원통형 플레이트(500)의 단면이 삽입될 홈이 형성되고, 사각블럭의 저면에는 결합부재(200)가 수직으로 부착된다. 결합부재(200)가 프레임부재(100)의 제1결합홈(111)에 삽입되어 프레임부재(100)에 제2연결부재(600)를 결합한다. 반원통형 플레이트(500)를 결합하여 반려동물의 숨숨집을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부재(100), 결합부재(200), 및 연결부재(300)는 원목, 집성목, 합판, 금속, 합성수지재로 구현될 수 있고, 재질에 제한이 되지 않는다. 외장재(400)는 원목, 집성목, 합판, 합성수지, 금속, 유리, 대리석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재질에 제한이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는 테이블, 의자, 책장 등과 같은 생활 가구, 캣타워, 토일렛과 같은 반려동물 가구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가구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Claims (7)

  1. 조립식 가구에 있어서,
    단면이 정사각형인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을 이루는 한쌍의 제1평행면과 한쌍의 제2평행면 및 기둥의 양 단면인 한쌍의 제1단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평행면을 관통하여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제1 결합홈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홈이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 상기 제2평행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결합홈과 동일한 형상의 제2 결합홈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제1 단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2 결합홈과 동일한 형상의 제3 결합홈이 형성되는 프레임부재;
    상기 제1 내지 3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동일한 다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프레임부재와 동일한 정사각 기둥이 'ㄱ'자 형상으로 굴절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ㄱ'자의 양 단면인 제4단면 각각에 상기 제3결합홈에 상응하는 제4결합홈이 각각 형성되고,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4결합홈의 하단에 근접한 위치의 상기 정사각기둥의 측면을 관통하여 제5결합홈이 형성되는 'ㄱ'자형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는 상기 제1 결합홈이 기둥의 중심 영역과 상기 제3 결합홈의 하단에 근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홈은 상기 제1 결합홈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와 동일한 정사각 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기둥의 양 단면인 제3단면에 상기 제3결합홈에 상응하는 제4 결합홈이 형성되고, 일 측면의 중심영역을 관통하여 상기 제2결합홈에 상응하는 제5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자형 연결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립식 가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l'자형 연결부재의 일 측면의 중심영역에서 상기 프레임부재와 동일한 정사각형 단면의 기둥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T'자 형상의 몸체를 이루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프레임부재 단면의 한변의 길이의 1/2 크기로 돌출되고, 'T'자 형상의 각 단면인 3개의 제3단면에 상기 제3결합홈에 상응하는 제4결합홈이 각각 형성되고, 3개의 상기 제4결합홈의 하단에 근접한 위치인 측면의 중심 영역에 제5결합홈이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자형 연결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립식 가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T'자형 연결부재의 돌출부에 상응하는 위치의 타측면의 중심 영역에서 상기 돌출부와 상응하는 형상의 제2돌출부가 돌출되어 상기 돌출부와 함께 '+'자 형상의 몸체를 형성하고, '+'자 형상 몸체의 각 단면인 제3단면에 상기 제3 결합홈에 상응하게 제4결합홈이 형성되고, 4개의 상기 제4결합홈의 하단에 근접하여 '+'자 형상 몸체를 관통하여 제5결합홈이 형성되는 '+'자형 연결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립식 가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양 단면에 볼트가 결합할 수 있는 볼트공이 형성되고,
    복수개의 상기 프레임부재와 상기 'ㄱ'자형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하여 형성된 면에 상응하는 크기로 절단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부재의 상기 제1결합홈 또는 제2결합홈에 상응하는 위치와, 상기 'ㄱ'자형 연결부재의 제5결합홈에 상응하는 위치에 볼트공이 관통하여 형성되는 외장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재와 상기 'ㄱ'자형 연결부재의 상기 제1결합홈 또는 제2결합홈 또는 제5결합홈의 상기 외장재의 볼트공에 상응하는 위치에 결합부재가 삽입되고,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정육면체의 각 면에서 정육면체의 1/2 높이의 정사각 기둥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돌출된 정사각 기둥의 외측면인 6개의 제3단면 각각에 상기 제3 결합홈에 상응하게 제4결합홈이 형성되고, 정글짐과 같은 형태로 상기 프레임 부재를 결합할 때 6방향으로 상기 프레임부재가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하는 6방향 연결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KR1020220092310A 2022-07-26 2022-07-26 다용도로 연출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KR102459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310A KR102459287B1 (ko) 2022-07-26 2022-07-26 다용도로 연출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310A KR102459287B1 (ko) 2022-07-26 2022-07-26 다용도로 연출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9287B1 true KR102459287B1 (ko) 2022-10-25

Family

ID=83803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310A KR102459287B1 (ko) 2022-07-26 2022-07-26 다용도로 연출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928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8507Y2 (ko) * 1972-11-06 1976-09-21
JPH0526215A (ja) * 1991-11-29 1993-02-02 Morisaki Kogei Kk 木工製品の組み立て方法
JP2000283126A (ja) * 1999-03-31 2000-10-13 Misawa Homes Co Ltd 収納家具の部材結合構造
KR100300753B1 (ko) * 1999-05-01 2001-09-26 김헌재 선반 또는 수납장용 조립식 프레임 부재세트
KR100600066B1 (ko) * 2004-06-12 2006-07-13 이창환 프레임 체결구조
KR200430359Y1 (ko) 2006-08-24 2006-11-13 원욱성 조립식가구
KR101359491B1 (ko) * 2006-12-21 2014-02-1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조립식 가구 시스템
JP2017125514A (ja) * 2016-01-12 2017-07-20 株式会社パイオニア・コーポレーション 組み立て構造体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8507Y2 (ko) * 1972-11-06 1976-09-21
JPH0526215A (ja) * 1991-11-29 1993-02-02 Morisaki Kogei Kk 木工製品の組み立て方法
JP2000283126A (ja) * 1999-03-31 2000-10-13 Misawa Homes Co Ltd 収納家具の部材結合構造
KR100300753B1 (ko) * 1999-05-01 2001-09-26 김헌재 선반 또는 수납장용 조립식 프레임 부재세트
KR100600066B1 (ko) * 2004-06-12 2006-07-13 이창환 프레임 체결구조
KR200430359Y1 (ko) 2006-08-24 2006-11-13 원욱성 조립식가구
KR101359491B1 (ko) * 2006-12-21 2014-02-1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조립식 가구 시스템
JP2017125514A (ja) * 2016-01-12 2017-07-20 株式会社パイオニア・コーポレーション 組み立て構造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35354A (en) Furniture and room partition components
US8359985B2 (en) Modular components for constructing larger system
US4432590A (en) Structural system for supporting furniture, shelf and wall panels
US6645032B2 (en) Erection set—posts and panels
US20150017377A1 (en) Modular Building System
US20060059824A1 (en) Block structure
KR102459287B1 (ko) 다용도로 연출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JP2017125514A (ja) 組み立て構造体
WO2006114589A1 (en) Structural joint
KR200465616Y1 (ko) 책상 및 침대로 확장가능한 조립식 책장형 가구
KR102474820B1 (ko) 조립식 수납장
KR20050105309A (ko) 다용도 조립식 블록
KR101430558B1 (ko) 다용도 조립식 구조물
JP3214510U (ja) 猫用遊戯棚
US20140124288A1 (en) Sound Suppressing Fence
KR20160000210U (ko) 조립식 가구 및 교육완구
KR20090010039U (ko) 판넬과 판넬을 수직, 수평하게 연결하여 조립하는 조립식가구
JPH05324Y2 (ko)
KR200228552Y1 (ko) 조립식 칸막이
KR200324319Y1 (ko) 조립식 가구의 지지프레임
KR102598229B1 (ko) 조립식 책장
RU2812376C1 (ru) Мебельный модуль
KR102513043B1 (ko) 조립 타입 시스템 가구 프레임
JP2004011404A (ja) 併せ梁の構成とその接合構造と関連構造
JPH024408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