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134B1 - V2x 통신에서 동기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V2x 통신에서 동기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9134B1
KR102459134B1 KR1020160014585A KR20160014585A KR102459134B1 KR 102459134 B1 KR102459134 B1 KR 102459134B1 KR 1020160014585 A KR1020160014585 A KR 1020160014585A KR 20160014585 A KR20160014585 A KR 20160014585A KR 102459134 B1 KR102459134 B1 KR 102459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chronization
timing
synchronization signal
gnss
root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4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3333A (ko
Inventor
윤성준
권기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엘
Priority to KR1020160014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134B1/ko
Publication of KR20170093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3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1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one node acting as a reference for the ot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2X 통신에서 동기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동기 신호의 루트 인덱스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의 시퀀스를 확인한 후, 상기 동기 신호의 시퀀스로부터 PSSID(Physical Sidelink Synchronization Identity)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하나의 동기 신호를 선택하는 과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V2X 통신에서 동기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FOR VEHICLE-TO-X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V2X 통신에서 동기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V2X(Vehicle-to-X; Vehicle-to-Everything) 통신은 운전 중 도로 인프라 및 다른 차량과 통신하면서 교통상황 등의 정보를 교환하거나 공유하는 통신 방식을 의미한다. V2X는 차량들 간의 LTE 기반 통신을 뜻하는 V2V(vehicle-to-vehicle), 차량과 개인에 의해 휴대되는 단말 간의 LTE 기반 통신을 뜻하는 V2P(vehicle-to-pedestrian), 차량과 도로변의 유닛/네트워크 간의 LTE 기반 통신을 뜻하는 V2I/N(vehicle-to-infrastructure/network)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도로변의 유닛(roadside unit, RSU)은 기지국 또는 고정된 단말에 의해 구현되는 교통 인프라 구조 독립체(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entity)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에 속도 알림(speed notification)을 전송하는 독립체일 수 있다.
V2X 에서는 기지국(eNodeB) 또는 단말(UE)로부터의 시간 참조(time reference)에 따라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에 추가로,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또는 GNSS와 동등한(equivalent) 장치(이하, GNSS-equivalent 장치)에 따라서도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는 V2X 환경을 고려한다.
따라서, V2X 상황에서 기지국(eNodeB), 단말(UE), GNSS 또는 GNSS-equivalent 장치 등의 각 동기화 소스들로부터의 동기화 신호들에 대해 동기화 우선 순위를 고려하며, 이를 위해 SLSS(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및 PSBCH(Physical Sidelink Broadcast Channel) 등을 통해 각 동기화 소스들을 구분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V2X 통신에서 V2X 단말이 전송 받은 동기화 신호들로부터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동기를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V2X 통신에서 V2X 단말이 선택한 동기신호를 다른 V2X 단말로 효율적으로 전송 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동기화를 수행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의 루트 인덱스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동기 신호의 루트 인덱스가 네크워크 커버리지 내(in-coverage)의 동기에 따른 루트 인덱스인지 또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외(out-of-coverage)의 동기에 따른 루트 인덱스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동기 신호의 루트 인덱스가 기지국 타이밍(eNodeB timing)에 따른 루트 인덱스인지 또는 단말 타이밍(UE timeing)에 따른 루트 인덱스인지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타이밍(GNSS timing)에 따른 루트 인덱스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의 시퀀스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동기 신호의 시퀀스로부터 PSSID(Physical Sidelink Synchronization Identity)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하나의 동기 신호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루트 인덱스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동기 신호의 루트 인덱스가 기지국으로부터 직접 전송되는 동기 신호를 위해 할당되는 루트 인덱스인 25, 29, 34 및 기지국 타이밍(eNodeB timing)과 단말 타이밍(UE timeing)에 따른 동기 신호를 위해 할당되는 루트 인덱스인 26, 37과 구별되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타이밍(GNSS timing)에 따른 동기 신호를 위해 할당되는 루트 인덱스인 X에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루트 인덱스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타이밍(GNSS timing)에 따른 동기 신호를 위해 할당되는 루트 인덱스 값 X로 38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루트 인덱스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PSSID(Physical Sidelink Synchronization Identity)가
Figure 112016012534499-pat00001
Figure 112016012534499-pat00002
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Figure 112016012534499-pat00003
는 루트 인덱스의 값이 26, 37, X 일 때 각각 0, 1, 2의 값을 가지며, 상기
Figure 112016012534499-pat00004
는 0부터 Y(이 때, Y는 167, 168 또는 169)까지의 정수 값을 가질 수 있고, 상기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타이밍(GNSS timing)에 따른 동기 신호의 시퀀스로부터 확인되는 PSSID는 집합 {336} 또는 집합 {336, 337} 또는 집합 {336, ..., 503} 중에 하나의 집합 내의 특정 원소에 대응되는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V2X 단말은 전송 받은 동기화 신호들로부터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동기를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V2X 단말은 선택한 동기신호를 다른 V2X 단말로 효율적으로 전송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V2X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려될 수 있는 시나리오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2X 통신을 위한 동기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2X 통신을 위한 동기화 신호의 물리 자원상에서의 매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2X 통신에서 동기 신호의 흐름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기 신호를 선택하는 과정을 개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장치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내용을 본 발명의 내용과 함께 예시적인 도면과 실시 예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설명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해당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결합한 단말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적용되는 V2X를 정의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V2X는 V2V, V2P 및 V2I/N을 일컫는 말로써 각각은 LTE 통신과 연계하여 아래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 V2V (vehicle-to-vehicle)
운송수단들 사이의 LTE 기반 통신을 커버함.
- V2P (vehicle-to-pedestrian)
개인(예를 들어, 보행자, 자전거, 운전자 또는 승객이 휴대하는 휴대폰 단말)에 의해 운송되는 운송수단 및 장치 사이의 LTE 기반 통신을 커버함.
- V2I/N (vehicle-to-infrastructure/network)
운송수단 및 도로변 유닛/네트워크 사이의 LTE 기반 통신을 커버함, 도로변 유닛(RSU)은 기지국 또는 고정된 단말에 의해 구현되는 운송 인프라구조 독립체임(예를 들어, 속도 알림을 전송하는 독립체)
이 중 D2D 통신 링크인 PC5 기반의 V2V 동작을 위해서는 현재 아래와 같은 다양한 시나리오들이 고려되고 있다.
(Aspect 1) Operation bands used as test points for evaluation
Case 1A: 6 GHz
Case 1B: 2 GHz
Note: Case 1B may not be need to be specifically simulated for all scenarios.
(Aspect 2) eNodeB deployment consideration including possibility of network control
Case 2A: UE autonomous resource allocation, at least Mode 2, based on semi-statically network-configured/pre-configured radio parameters including no eNodeB coverage case.
Case 2B: eNodeBs providing more UE specific or/and more dynamic resource allocation including Mode 1 compared to case 2A.
Note: Related to aspect 2,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ndition to apply any preconfigured radio parameters.
(Aspect 3)
Case 3A: UEs communicating over PC5 across a single carrier.
Case 3B: UEs communicating over PC5 across multiple carriers.
(Aspect 4)
Case 4A: Single operator operation
Case 4B: A set of PC5 operation carrier(s) is shared by UEs subscribed to different operators. This means that UEs belonging to different operators may transmit on the same carrier.
Case 4C: Each operator is allocated with a different carrier. This means that a UE transmits only on the carrier allocated to the operator which it belongs to.
FFS: Case 4D: No operator operation
(Aspect 5) Co-existing with Uu
Case 5A: Dedicated carrier for V2x. There is no uplink (Uu) traffic on the PC5 operation carrier.
Case 5B: V2x carrier is shared with Uu.
V2X를 위해서는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D2D(ProSe)에 정의된 단말(UE)과 단말(UE) 간의 링크인 PC5 링크만을 고려할 수도 있다. 또는,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지국(eNodeB)과 단말(UE) 간의 링크인 Uu 링크만을 고려할 수도 있다. 한편으로는, 도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단말(UE) 형태로 RSU(Road Side Unit)를 포함하여 상기 PC5 링크와 Uu 링크 모두를 고려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약어를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자 한다.
D2D: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ProSe: (Device to Device) Proximity Services
V2X: Vehicle to X
V2V: Vehicle to Vehicle
V2P: Vehicle to Pedestrian
V2I/N: Vehicle to Infrastructure/Network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RSU: Road Side Unit
SL: Sidelink
SCI: Sidelink Control Information
PSSCH: 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
PSBCH: Physical Sidelink Broadcast Channel
PSCCH: 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
PSDCH: Physical Sidelink Discovery Channel
PSS: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LSS: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PSSS: Primary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SSSS: Secondary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PSSID: Physical-layer Sidelink Synchronization Identity
NSL ID : Physical-layer Sidelink Synchronization Identity
nSA ID : Sidelink Group Destination Identity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2D(ProSe)에 따르는 PC5 링크 기반의 V2X 통신을 위한 동기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V2X 통신을 수행하는 V2X 단말(이하, 단말)은 기지국 또는 다른 단말에 의해 생성된 동기화 신호를 기반으로 V2X 통신을 위한 주파수 동기화 및/또는 시간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동기화 대상 단말은 V2X 통신을 위한 동기화를 위해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을 지시하는 용어로 사용한다. 또한, 동기화 신호를 동기화 대상 단말로 전송하는 단말 또는 기지국을 동기화 소스라는 용어로 표현한다.
동기화 소스 중 다른 동기화 소스에 의해 동기화되지 않고, 자체적인 기준 동기를 기반으로 생성된 동기화 신호를 동기화 대상 단말로 전송하는 소스는 오리지날 동기화 소스(original synchronization source) 또는 액티브 동기화 소스(active synchronization source)라는 용어로 별도로 구분하여 표현될 수 있다. 동기화 소스 중 액티브 동기화 소스를 제외한 동기화 소스(즉, 다른 동기화 소스에 의해 동기화된 동기화 소스)는 패시브 동기화 소스(passive synchronization source)라는 용어로 표현할 수도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패시브 동기화 소스는 하나의 액티브 동기화 소스에 의해 동기화된 후 동기화 대상 단말로 동기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다른 단말 또는 기지국에 의해 동기화되지 않고 자체적인 기준 동기를 기반으로 생성된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므로 액티브 동기화 소스일 수 있다. 또한, 단말 중 다른 단말 또는 기지국에 의해 동기화되지 않고 액티브 동기화 소스로서 동작하는 단말은 ISS(independent synchronization source)라고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간략하게 V2X 통신에서 동기화 방법은 아래와 같은 차이점을 기반으로 도 4의 (A), (B) 및 (C)와 같은 세가지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A)에서는 동기화 대상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수신하여 동기화되는 경우를 개시한다. 도 4의 (B)와 도 4의 (C)에서는 도 4의 (A)와 달리 동기화 대상 단말이 단말로부터 후술할 PSSS(Primary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SSSS(Secondary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를 수신하여 동기화되는 경우에 대해 개시한다. 도 4의 (B)와 도 4의 (C)은 액티브 동기화 소스가 기지국인지 ISS인지 여부에 따라 구분된다.
구체적인 도 4의 (A), (B), (C)에서의 동기화 동작은 아래와 같다.
도 4의 (A)는 D2D 통신에서 동기화 대상 단말이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동기화 신호를 기반으로 동기화되는 방법을 개시한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동기화 대상 단말(410)의 D2D 통신을 위한 동기화 소스가 기지국(400)이고 기지국(400)은 액티브 동기화 소스이다. 기지국(400)에 의해 동기화 대상 단말(410)로 전송되는 동기화 신호는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일 수 있다. 동기화 대상 단말(410)은 PSS/SSS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PSS/SSS를 기반으로 주파수 동기화 및/또는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여 다른 단말과 V2X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의 (B)에서는 동기화 대상 단말(440)이 단말 1(430)에 의해 동기화되되 단말 1(430)은 액티브 동기화 소스인 기지국(420)에 의해 동기화된 패시브 동기화 소스인 경우가 개시된다. 단말 1(430)과 기지국(420) 사이에는 다른 복수의 패시브 동기화 소스가 존재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상 기지국(420)이 단말 1(430)을 직접적으로 동기화시킨 경우를 가정한다.
도 4의 (B)에서 단말 1(430)은 기지국(420)으로부터 전송된 동기화 신호(PSS/SSS)를 기반으로 동기화된 패시브 동기화 소스일 수 있다. 기지국(420)에 의해 동기화된 단말 1(430)은 SLSS(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를 동기화 대상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동기화 대상 단말은 단말 1(430)로부터 수신한 SLSS를 기반으로 단말 1(430)과 동기화될 수 있다. SLSS는 PSSS(Primary SLSS) 및 SSSS(Secondary SLSS)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C)에서는 동기화 대상 단말(470)이 단말 2(460)에 의해 동기화되되 단말 2(460)가 액티브 동기화 소스인 ISS(450)에 의해 동기화된 패시브 동기화 소스이거나 단말 2(460)가 액티브 동기화 소스인 경우에 대해 개시한다. 단말 2(460)가 패시브 동기화 소스인 경우, 단말 2(460)와 ISS(450) 사이에는 다른 복수의 패시브 동기화 소스가 존재할 수도 있다.
즉, 동기화 대상 단말(470)은 액티브 동기화 소스로 동작하는 단말 2(460) 또는 ISS(450)를 기반으로 동기화된 패시브 동기화 소스로 동작하는 단말 2(460)에 의해 전송된 SLSS를 동기화 대상 단말(470)로 전송하여 동기화될 수 있다.
도 4의 (A)의 경우, 동기화 대상 단말(410)은 LTE 시스템에서와 같이 PSS/SSS를 기반으로 기지국의 PCID(physical cell identity)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의 (B)와 도 4의 (C)의 경우와 같이 동기화 대상 단말(440, 470)이 SLSS를 수신하는 경우, 동기화 대상 단말(440, 470)은 상기 SLSS를 기반으로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식별 정보(identity information)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동기화 소스의 식별 정보는 PSSID(Physical-layer Sidelink Synchronization Identity)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하나의 액티브 동기화 소스에 의해 동기화된 후 동기화 대상 단말로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는 패시브 동기화 소스에 대하여, 상기 패시브 동기화 소스의 식별 정보는 상기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식별 정보를 따르므로, 동기화 소스의 식별 정보(PSSID)는 실질적으로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식별 정보가 될 수 있다. V2X 통신에서는 업링크(uplink) 또는 다운링크(downlink) 대신 사이드링크(sidelink)라는 용어를 통해 단말 간 통신 링크를 표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의 (B) 및 (C)의 경우, 동기화 대상 단말(440, 470)은 SLSS를 기반으로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의 (B)의 경우, SLSS를 기반으로 기지국(420)에 해당하는 액티브 동기화 소스에 대한 식별 정보가 동기화 대상 단말에(440) 의해 획득될 수 있고, 도 4의 (C)의 경우, SLSS를 기반으로 ISS(450)에 해당하는 액티브 동기화 소스에 대한 식별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동기화 대상 단말(440, 470)은 상기 액티브 동기화 소스의 식별 정보(PSSID)를 기반으로 액티브 동기화 소스로 동작하는 기지국의 식별 정보 또는 ISS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의 (B)와 같이 액티브 동기화 소스가 기지국(420)인 경우, SLSS는 D2DSSue_net 집합에 포함되는 시퀀스 중 하나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 4의 (C)와 같이 액티브 동기화 소스가 ISS(450)인 경우, SLSS는 D2DSSue_oon 집합에 포함되는 시퀀스 중 하나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기화 대상 단말(440, 470)이 기지국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액티브 동기화 소스가 기지국(420)인지 ISS(450)인지 여부에 따라 동기화 대상 단말이 서로 다른 시퀀스 집합을 기반으로 생성된 동기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 D2DSSue_net은 기지국 소스 시퀀스 집합, D2DSSue_oon은 단말 소스 시퀀스 집합이라는 용어로 표현할 수 있다.
동기화 대상 단말(440, 470)은 수신한 SLSS를 생성한 시퀀스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액티브 동기화 소스가 기지국(420)인지 ISS(450)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를 통해 살펴본 것과 같이, D2D(ProSe)에 따르는 PC5 링크 기반의 V2X 통신을 위한 동기화 방법으로 오리지날 동기화 소스(또는 액티브 동기화 소스)가 기지국(도 4의 (a) 및 도 4의 (b) 경우)인 경우와 단말(도 4의 (c))인 경우를 살펴보았다. 하지만, V2X의 경우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또는 GNSS-equivalent 장치에 따라서도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동기화 소스로 기지국 또는 단말뿐만 아니라 GNSS나 GNSS-equivalent 장치도 고려해야 한다. 이 경우 도 4의 (a) 내지 (c)의 경우에서 오리지날 동기화 소스(또는 액티브 동기화 소스)로 기지국 또는 단말 대신에 GNSS나 GNSS-equivalent 장치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오리지날 동기화 소스(또는 액티브 동기화 소스)에 해당하는 GNSS나 GNSS-equivalent 장치로부터 패시브 동기화 소스에 해당하는 단말로의 동기화 과정은 앞서 기술한 바와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SLSS를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에 대해 개시한다.
PSS는 아래와 같은 자드오프추(Zadoff-Chu) 시퀀스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Figure 112016012534499-pat00005
수학식 1에서 u는 루트 인덱스 값으로 아래의 표 1 중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6012534499-pat00006
즉, PSS는 25, 29 또는 34 중 선택된 하나의 루트 인덱스(root index)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표 1에서 루트 인덱스를 결정하는 N(2)ID는 PSS를 전송한 기지국의 PCID를 기반으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PSS에 사용되는 시퀀스 d(n)는 수학식 2에 따라서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에 매핑된다.
Figure 112016012534499-pat00007
여기서, ak,l은 자원요소로서, k는 부반송파(subcarrier) 번호이고, l은 심볼의 번호, NDL RB는 하향링크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의 개수(PC5 기반의 V2X에서 적용 시는 사이드링크 자원블록의 개수가 되어야 할 것이다), NRB SC는 하나의 자원 블록 내의 부반송파의 개수이다.
심볼 내의 자원 요소 (k, l) 중 수학식 3에 해당하는 자원 요소는 PSS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지 않고 남겨진다(reserved).
Figure 112016012534499-pat00008
또한, SSS에 사용되는 시퀀스 d(0),...,d(61)는 아래와 같은 수학식 4의 인터리빙된(interleaved) 31 길이의 두 개의 m-시퀀스의 조합을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SSS를 정의하는 길이 31의 m-시퀀스 두 개의 조합은 수학식 4에 따라 서브프레임 0 및 서브프레임 5 사이에서 다른 값을 갖는다.
Figure 112016012534499-pat00009
수학식 4에서 n은 0≤n≤30이고 인덱스 m0과 인덱스 m1은 아래와 같은 수학식 5에 따른 물리계층 셀 ID 그룹(Physical Cell Identity Group, 이하 PCID 그룹) N(1) ID 으로부터 유도되는 값이다.
Figure 112016012534499-pat00010
여기서, N(1) ID 는 SSS를 전송하는 기지국의 PCID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즉, SSS는 PCID 그룹 N(1) ID 의 값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5의 결과값은 표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6012534499-pat00011
Figure 112016012534499-pat00012
두 개의 시퀀스 s0(m0)(n) 및 s1(m1)(n)는 수학식 6에 따라, m-시퀀스
Figure 112016012534499-pat00013
의 서로 다른 두 개의 순환 지연(cyclic shift)으로써 정의된다.
Figure 112016012534499-pat00014
수학식 6은
Figure 112016012534499-pat00015
, 및 0≤i≤30를 만족하고, 상기 x(i)는 수학식 7에 의해 정의된다.
Figure 112016012534499-pat00016
여기서, x(i)의 초기 값은 x(0)=0, x(1)=0, x(2)=0, x(3)=0, x(4)=1 으로 설정된다.
두 개의 스크램블링(scrambling) 시퀀스인 c0(n) 및 c1(n) 는 PSS에 의해 정해지고, 수학식 8에 따른 m-시퀀스
Figure 112016012534499-pat00017
의 서로 다른 두 개의 순환 지연에 의해 정의된다.
Figure 112016012534499-pat00018
수학식 8에서 N(2) ID∈ {0,1,2}는 물리 계층 셀 ID 그룹(PCID 그룹) N(1) ID 내의 물리계층 ID이고, 수학식 8은
Figure 112016012534499-pat00019
, 0≤i≤30를 만족하고, 상기 x(i)는 수학식 9에 의해 정의된다.
Figure 112016012534499-pat00020
여기서, x(i)의 초기 값은 x(0)=0, x(1)=0, x(2)=0, x(3)=0, x(4)=1로 설정된다.
스크램블링 시퀀스 z1 (m0)(n) 및 z1 (m1)(n)는 수학식 10에 따른 m-시퀀스
Figure 112016012534499-pat00021
의 순환 지연에 의해 정의된다.
Figure 112016012534499-pat00022
수학식 10에서 m0 및 m1의 값은 상기 표 2에 의해 얻을 수 있으며,
Figure 112016012534499-pat00023
, 0≤i≤30를 만족하고, 상기 x(i)는 수학식 11에 의해 정의된다.
Figure 112016012534499-pat00024
여기서, x(i)의 초기 조건은 x(0)=0, x(1)=0, x(2)=0, x(3)=0, x(4)=1로 설정된다.
상기 SSS에 사용되는 시퀀스 d(n)는 수학식 12에 따른 자원 요소에 맵핑된다.
Figure 112016012534499-pat00025
여기서, ak,l은 자원요소로서, k는 부반송파(subcarrier) 번호이고, l은 심볼의 번호, NDL RB 는 하향링크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의 개수(차후 PC5 기반의 V2X에서 적용 시는 사이드링크 자원블록의 개수가 되어야 할 것이다), NRB SC는 하나의 자원 블록 내의 부반송파의 개수이다.
심볼 내의 자원 요소 (k, l) 중 수학식 13에 해당하는 자원 요소는 SSS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지 않고 남겨진다(reserved).
Figure 112016012534499-pat00026
상기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s0 (m0)(n) 과 s1 (m1)(n), c0(n) 과 c1(n) 및 z1 (m0)(n) 과 z1 (m1)(n) 각각은 길이 31의 m-시퀀스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수학식 4를 기반으로 길이 31의 m-시퀀스들을 기반으로 생성 가능한 시퀀스 중 168개의 시퀀스만을 SSS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한다. N(1) ID는 0부터 167까지의 정수이고 하나의 정수 값은 168개의 시퀀스 중 하나의 시퀀스에 대응될 수 있다.
기지국은 할당된 PCID에 대응되는 N(2) ID 및 N(1) ID 를 기반으로 PSS/SSS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PSS를 기반으로 N(2) ID 를 획득하고 또한,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SSS를 기반으로 N(1) ID 을 획득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의 PCID를 Ncell ID =3N(1) ID +N(2) ID 로 결정될 수 있다. 즉, LTE 시스템에서 단말은 수신한 PSS/SSS를 기반으로 기지국의 PCID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SSS는 앞서 언급한 PSS를 기반으로 생성되나, 루트 인덱스로서 25, 29 또는 34가 아닌 다른 루트 인덱스를 기반으로 생성된 동기화 신호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LSS는 앞서 언급한 SSS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PSS/SSS의 경우 기지국(eNodeB)으로부터 전송되는 동기 신호이다. 기지국(eNodeB)의 PCID를 기반으로 PSS의 경우 3가지 루트 인덱스 값(u=25, 29, 34) 중 하나의 값(이 3가지 값에 대한 파라미터가 N(2) ID)으로 PSS가 구성되며, SSS의 경우 0부터 167까지의 정수 값으로 구성되는 168가지의 값 중 하나의 값(이 168가지 값에 대한 파라미터가 N(1) ID)으로부터 상기 표 2에서 보는 것과 같은 mo, m1 값이 결정되고 이로부터 SSS가 구성된다. PSS의 경우 10ms 주기로 특정 2개의 서브프레임에서 전송이 되며 각각의 서브프레임 내에서는 하나의 심볼을 통해 전송된다. SSS의 경우도 10ms 주기로 특정 2개의 서브프레임에서 전송이 되며 각각의 서브프레임 내에서는 하나의 심볼을 통해 전송된다.
한편, SLSS(PSSS/SSSS)의 경우 단말(UE)로부터 전송되는 동기 신호로 PSSS는 PSS처럼 자드오프추(Zadoff-Chu) 시퀀스를 기반으로 시퀀스를 구성하며, SSSS는 SSS처럼 인터리빙된(interleaved) 31 길이의 두 개의 m-시퀀스의 조합을 기반으로 시퀀스를 구성하는 것 등 기본적인 시퀀스 구성 방법은 아래에서 언급할 일부 사항을 제외하고는 상기 언급한 PSS/SSS의 시퀀스 생성 방안에 따른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SLSS 중 PSSS의 경우 PSS와 달리 2가지 루트 인덱스 값(u=26, 37) 중 하나의 값(이 2가지 값에 대한 파라미터가 N(2) ID로 대응)으로 PSSS가 구성되며, 이는 각각 PSSID NSL ID가 id_net에 속하는지 또는 id_oon에 속하는지에 따라(이는 수식
Figure 112016012534499-pat00027
를 통해 표현됨) 달리 구성된다. SLSS 중 SSSS의 경우 SSS와 동일하게 0부터 167까지의 정수 값으로 구성되는168가지의 값 중 하나의 값(이 168가지 값에 대한 파라미터가 N(1) ID)으로부터 상기 표 2에서 보는 것과 같은 mo, m1 값이 결정되고 이로부터 SSSS가 구성된다. 이때, SSSS를 위한 N(1) ID는 수식
Figure 112016012534499-pat00028
로부터 결정된다.
여기서, SLSS의 PSSS/SSSS의 경우 PSS/SSS와 달리 도 5에서 보는 것과 같이 40ms 주기로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각각 2개의 심볼에 대해서 매핑이 되며, PSSS를 위한 2개의 심볼(1, 2 for Normal CP/ 0,1 for Extended CP) 및 SSSS(11, 12 for Normal CP/ 9, 10 for Extended CP)를 위한 2개에 심볼에 대해서는 동일한 시퀀스가 사용된다.
PC5 링크 기반의 D2D에서 단말은 다수의 동기화 소스(Synchronization Source)들로부터 동기화 신호(Synchronization Signal)들을 받은 후 이 중 하나를 자신의 동기 즉 시간 참조(time reference)로 선택 한 후, 이 시간 참조(time reference)에 해당하는 동기를 동기화 신호인 SLSS(PSSS 및 SSSS)로 전송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다수의 동기화 소스들로부터의 동기화 신호들 중에서 자신의 동기 즉 시간 참조(time reference)를 선택 시에서는 아래 우선 순위(priority)를 따르게 된다. 동일한 우선 순위에 대해서는 동기신호의 전송 파워가 높은 것, 즉 가장 높은 S-RSRP 결과 값(highest S-RSRP result)을 가지는 것을 선택하게 된다.
① 기지국(eNodeB)로 부터 전송된 동기화 신호
- 즉 동기화 소스가 기지국(eNodeB)
- 이 때, 동기화 신호는 PSS/SSS이며, PSS의 루트 인덱스 값 u가 25, 29, 34 중 하나인 것으로, 상기 루트 인덱스 값을 통해 동기화 소스가 기지국임을 알 수 있다.
② in-coverage에 속하는 단말로부터 전송된 동기화 신호
- 즉 동기화 소스가 in-coverage 단말(UE)
- 이 때, in-coverage에 속하는 단말로부터 전송된 것이므로 PSBCH를 통해 전송되는 coverage indicator의 필드 값은 1
- 이 때, 단말은 기지국 타이밍(eNodeB timing)을 기반으로 하는 SLSS를 전송하므로, PSSID는 in-coverage를 위해 정의된 in_net에 속하는 ID(일 예로 PSSS의 루트 인덱스 값 u는 26이 쓰임)이다.
③ out-of-coverage에 속하는 단말로부터 전송된 동기화 신호로 PSSID가 id_net에 속하는 ID
- 즉 동기화 소스가 out-of-coverage 단말(UE)
- 이 때, out-of-coverage에 속하는 단말로부터 전송된 것이므로 PSBCH를 통해 전송되는 coverage indicator의 필드 값은 0
- 이 때, 단말은 기지국 타이밍(eNodeB timing)을 기반으로 하는 SLSS를 전송하므로, PSSID는 in-coverage를 위해 정의된 id_net에 속하는 ID (일 예로, PSSS의 루트 인덱스 값 u는 26이 쓰임)이다.
④ out-of-coverage에 속하는 단말로부터 전송된 동기화 신호로 PSSID가 id_oon에 속하는 ID
- 즉 동기화 소스가 out-of-coverage 단말(UE)
- 이 때, out-of-coverage에 속하는 단말로부터 전송된 것이므로 PSBCH를 통해 전송되는 coverage indicator의 필드 값은 0
- 이 때, 단말은 다른 단말의 단말 타이밍(UE timing)을 기반으로 하는 SLSS를 전송하므로, PSSID는out-of-coverage를 위해 정의된 id_oon에 속하는 ID (일 예로 PSSS의 루트 인덱스 값 u는 37이 쓰임)이다.
⑤ ① 내지 ④에 해당하는 동기 신호를 선택하지 못할 경우 스스로 동기화 소스가 되어 동기화 신호를 전송
- out-of-coverage를 위해 정의된 id_oon에 속하는 PSSID를 uniform distribution을 이용하여 랜덤하게 생성하고 이를 통해 동기화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한편, 도 6에서 보는 것과 같이 V2X의 경우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또는 GNSS-equivalent 장치에 따라서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동기화 소스는 기지국(eNodeB) 또는 단말 뿐만 아니라 GNSS나 GNSS-equivalent 장치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서 다음의 경우를 더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 GNSS 또는 GNSS-equivalent 장치로부터 전송된 동기화 신호
- 즉 동기화 소스가 GNSS 또는 GNSS-equivalent 장치
ⓑ GNSS 또는 GNSS-equivalent 장치의 timing을 기반으로 하는 SLSS를 전송하는 단말
- 즉 동기화 소스가 단말
상기 단말은, 아래와 같이 2단계로 좀 더 세분할 수 있다.
ⓑ-1: GNSS 또는 GNSS-equivalent 장치로부터 직접 동기화 신호를 수신 후 SLSS를 전송하는 단말
ⓑ-2: 상기 ⓑⓑ-1에 해당하는 단말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수신 후 SLSS를 전송하는 단말
위와 같이 PC5 기반 D2D에서 단말(UE)은 다수의 동기화 소스(Synchronization Source)들로부터 동기화 신호(Synchronization Signal)들 중에서 시간 참조(time reference)를 선택하고 동기화 신호를 전송 시 ① 내지 ⑤에 해당하는 우선 순위를 고려한다. V2X의 경우도 동일하게 ① 내지 ⑤에 해당하는 우선 순위를 고려하며, 추가로 GNSS나 GNSS-equivalent 장치도 고려하여 ⓐ 및 ⓑ(또는 ⓑ-1 및 ⓑ-2)에 해당하는 우선 순위도 고려할 수 있다. 이를 종합하면 다음 표 3과 같은 우선 순위를 V2X에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표 3의 경우에서는 4가지의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V2X 동기화 소스의 우선 순위는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Figure 112016012534499-pat00029
상기 우선 순위에서 GNSS(또는 GNSS-equivalent 장치, 이하 GNSS는 GNSS 또는 GNSS-equivalent 장치를 의미함)는 기지국(eNodeB)보다 항상 더 우선 순위를 가진다. 이는 기지국(eNodeB)이 없는 지역에서는 GNSS가 항상 우선 순위를 가질 수 밖에 없으며, 기지국(eNodeB)이 있는 지역의 경우도 기지국(eNodeB)이 GNSS를 근간으로 동기 신호를 설정할 경우 소정의 오차를 생각할 경우 GNSS가 더 정확한 동기 정보를 가지기 때문이다. 또한 최초 동기화 소스(eNodeB, GLSS or UE) 로부터 얼마나 적은 홉(hop) 수를 가지고 전송 된 동기화 신호인지도 고려한다.
이상의 경우에서 새로 추가된 GNSS에 따른 우선 순위를 고려 시 단말은 다수의 동기화 소스들로부터 전송된 동기화 신호들로부터 이것이 어떤 동기화 소스로부터 전송된 동기화 신호인지를 구분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이 GNSS timing에 따른 동기화 신호를 각 우선 순위에 따라 구분할 수 있게 생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즉, GNSS로부터 직접 동기 신호를 선택한 후 GNSS timing을 기반으로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는 ⓑ(또는 ⓑ-1 및 ⓑ-2)의 경우에서 생성되는 동기화 신호들을 ① 내지 ⑤의 경우에서 생성되는 동기화 신호들과도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이를 고려한 동기화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이하 본 발명에서는 ⓑ-1 및 ⓑ-2를 고려하는 경우에서는 이 둘로부터 생성되는 동기화 신호들을 서로 구분할 수 있는 방법도 제안한다.
[ 실시예 1 ]
실시예 1: GNSS timing을 기반으로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를 고려 시 (새로운 루트 인덱스 사용)
1) GNSS의 timing을 기반으로 ⓑ의 경우에서 생성되는 동기화 신호에서 PSSS는 새로운 루트 인덱스 X를 통해 생성될 수 있다.
- X는 상기 PSS를 위해 사용되는 루트 인덱스인 25, 29, 34 및 D2D에서 각각 eNodeB timing과 UE timing(또는 id_net과 id_oon)에 해당하는 루트 인덱스인 26, 37을 제외한 임의의 루트 인덱스이며, 1부터 63까지의 정수 중 3의 배수 및 7의 배수를 제외한 수이다. 본 발명의 일 예로,38이 루트 인덱스로 사용될 수 있다.
- 따라서, 상기 ⓑ의 경우에서 생성되는 동기화 신호들은 루트 인덱스를 X를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① 내지 ⑤의 경우에서 생성되는 동기화 신호들과도 구분될 수 있다.
2) 이 때, SSSS를 위한 시퀀스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 방법 1-1 : 단, 하나의 고정된 SSSS 시퀀스를 사용
예 1) N(1) ID = 0을 사용 (따라서 상기 표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mo=0, m1=1)
이 경우, PSSID는 상기
Figure 112016012534499-pat00030
에서
Figure 112016012534499-pat00031
로 확장 될 수 있으며,
Figure 112016012534499-pat00032
Figure 112016012534499-pat00033
이 각각 id_net과 id_oon인 것처럼 {336}은 id_GNSS를 위해서 사용될 수가 있다. 또한 PSSID가 id_net일 때 PSSS를 위한 루트 인덱스 u=26이고, id_oon일 때의 PSSS를 위한 루트 인덱스 u=37인 것처럼, id_GNSS일 때 PSSS를 위한 루트 인덱스 u=X(e.g. 38)일 수가 있다. 또한
Figure 112016012534499-pat00034
를 통해,
Figure 112016012534499-pat00035
를 통해 표현 될 수 있다.
예 2) N(1) ID = 168을 사용 (따라서 상기 표에서 보는 것에서 이어서 mo=3, m1=10, 또는 mo=a, m1=b등으로 다른 값을 사용 할 수도 있다(a, b는 서로 동일한 값 또는 다른 값일 수 있으며 0부터 30까지의 정수 중 상기 표 2에서 사용되지 않은 값))
이 경우, PSSID는 상기
Figure 112016012534499-pat00036
에서
Figure 112016012534499-pat00037
로 확장 될 수 있으며,
Figure 112016012534499-pat00038
Figure 112016012534499-pat00039
이 각각 id_net과 id_oon인 것처럼 {336}은 id_GNSS로 사용될 수가 있다. 또한 PSSID가 id_net일 때 PSSS를 위한 루트 인덱스 u=26이고, id_oon일 때의 PSSS를 위한 루트 인덱스 u=37인 것처럼, id_GNSS일 때 PSSS를 위한 루트 인덱스 u=X(e.g. 38)일 수가 있다. 또한
Figure 112016012534499-pat00040
를 통해,
Figure 112016012534499-pat00041
를 통해 표현 될 수 있다.
- 방법 1-2 : uniform distribution을 이용하여 랜덤하게 선택된 SSSS 시퀀스를 사용
예 1) N(1) ID 는 0부터 167까지의 정수 값 중 랜덤하게 선택된 하나의 값을 사용 (따라서 상기 표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N(1) ID 값에 따라 mo 및 m1를 선택)
이 경우, PSSID는 상기
Figure 112016012534499-pat00042
에서
Figure 112016012534499-pat00043
로 확장 될 수 있으며,
Figure 112016012534499-pat00044
Figure 112016012534499-pat00045
이 각각 id_net과 id_oon인 것처럼
Figure 112016012534499-pat00046
는 id_GNSS를 위해 사용될 수가 있다. 또한 PSSID가 id_net일 때 PSSS를 위한 루트 인덱스 u=26이고, id_oon일 때의 PSSS를 위한 루트 인덱스 u=37인 것처럼, id_GNSS일 때 PSSS를 위한 루트 인덱스 u=X(e.g. 38)일 수가 있다. 또한
Figure 112016012534499-pat00047
를 통해,
Figure 112016012534499-pat00048
를 통해 표현 될 수 있다.
- 방법 1-3 : PCID 또는 uniform distribution을 이용하여 랜덤하게 선택된 SSSS 시퀀스를 사용
예 1) 만약 GNSS timing을 기반으로 하는 단말이 in-coverage에 속하고 해당 in-coverge 내의 기지국(eNodeB)의 PCID를 아는 경우, PCID를 modular 168한 값을 N(1) ID 로 사용한다. 그 외의 경우에서는 N(1) ID 는 0부터 167까지의 정수 값 중 랜덤하게 선택된 하나의 값을 사용 (따라서 상기 표에서 보는 것과 같이 N(1) ID 값에 따라 mo 및 m1를 선택)
이 경우, PSSID는 상기
Figure 112016012534499-pat00049
에서
Figure 112016012534499-pat00050
로 확장 될 수 있으며,
Figure 112016012534499-pat00051
Figure 112016012534499-pat00052
이 각각 id_net과 id_oon인 것처럼
Figure 112016012534499-pat00053
는 id_GNSS일 수가 있다. 또한 PSSID가 id_net일 때 PSSS를 위한 루트 인덱스 u=26이고, id_oon일 때의 PSSS를 위한 루트 인덱스 u=37인 것처럼, id_GNSS일 때 PSSS를 위한 루트 인덱스 u=X(e.g. 38)일 수가 있다. 또한
Figure 112016012534499-pat00054
를 통해,
Figure 112016012534499-pat00055
를 통해 표현 될 수 있다.
[ 실시예 2 ]
실시예 2: GNSS timing을 기반으로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1 및 ⓑ-2를 고려 시 (새로운 루트 인덱스 사용)
1) GNSS의 timing을 기반으로 ⓑ-1 및 ⓑ-2의 경우에서 생성되는 동기화 신호에서 PSSS는 새로운 루트 인덱스 X를 통해 생성될 수 있다.
- X는 상기 PSS를 위해 사용되는 루트 인덱스인 25, 29, 34 및 D2D에서 각각 eNodeB timing과 UE timing(또는 id_net과 id_oon)에 해당하는 루트 인덱스인 26, 37을 제외한 임의의 루트 인덱스이며, 1부터 63까지의 정수 중 3의 배수 및 7의 배수를 제외한 수이다. 본 발명의 일 예로, 38이 루트 인덱스로 사용될 수 있다.
- 따라서, 상기 ⓑ-1 및 ⓑ-2의 경우에서 생성되는 동기화 신호들은 루트 인덱스를 X를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① 내지 ⑤의 경우에서 생성되는 동기화 신호들과도 구분될 수 있다.
2) 이 때, SSSS를 위한 시퀀스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 방법 2-1 : 단, 하나의 고정된 SSSS 시퀀스를 사용
예 1)
Figure 112016012534499-pat00056
을 사용 (따라서 상기 표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mo=0, m1=1)
이 경우, PSSID는 상기
Figure 112016012534499-pat00057
로 확장 될 수 있으며,
Figure 112016012534499-pat00058
이 각각 id_net과 id_oon인 것처럼 {336}은 id_GNSS로 사용될 수가 있다. 또한 PSSID가 id_net일 때 PSSS를 위한 루트 인덱스 u=26이고, id_oon일 때의 PSSS를 위한 루트 인덱스 u=37인 것처럼, id_GNSS일 때 PSSS를 위한 루트 인덱스 u=X(e.g. 38)일 수가 있다. 또한
Figure 112016012534499-pat00059
를 통해,
Figure 112016012534499-pat00060
를 통해 표현 될 수 있다.
예 2)
Figure 112016012534499-pat00061
을 사용 (따라서 상기 표 2에서 보는 것에서 이어서 mo=3, m1=10, 또는 mo=a, m1=b등으로 다른 값을 사용 할 수도 있다(a, b는 서로 동일한 값 또는 다른 값일 수 있으며 0부터 30까지의 정수 중 상기 표 2에서 사용되지 않은 값))
이 경우, PSSID는 상기
Figure 112016012534499-pat00062
로 확장 될 수 있으며,
Figure 112016012534499-pat00063
이 각각 id_net과 id_oon인 것처럼 {336}은 id_GNSS가 사용될 수가 있다. 또한 PSSID가 id_net일 때 PSSS를 위한 루트 인덱스 u=26이고, id_oon일 때의 PSSS를 위한 루트 인덱스 u=37인 것처럼, id_GNSS일 때 PSSS를 위한 루트 인덱스 u=X(e.g. 38)일 수가 있다. 또한
Figure 112016012534499-pat00064
를 통해 표현 될 수 있다.
이 경우 ⓑ-1 및 ⓑ-2의 구분은 PSBCH를 통해 전송되는 1비트의 필드 값을 통해 구분할 수 있다. 상기 PSBCH를 통해 전송되는 필드 값은 새로운 필드 일 수도 있으며, 이는 기존 필드 값을 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재 사용하는 경우의 예로는, coverage indicator 필드 값이 1인 경우는 ⓑ-1의 경우에서 생성되는 동기화 신호의 연계되어 전송되며, coverage indicator 필드 값이 0인 경우는 ⓑ-2의 경우에서 생성되는 동기화 신호의 연계되어 전송되므로 이를 통해 ⓑ-1 및 ⓑ-2를 구분할 수가 있다.
- 방법 2-2 : uniform distribution을 이용하여 랜덤하게 선택된 SSSS 시퀀스를 사용
예 1)
Figure 112016012534499-pat00065
0부터 167까지의 정수 값 중 랜덤하게 선택된 하나의 값을 사용 (따라서 상기 표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Figure 112016012534499-pat00066
값에 따라 mo 및 m1를 선택)
이 경우, PSSID는 상기
Figure 112016012534499-pat00067
로 확장 될 수 있으며,
Figure 112016012534499-pat00068
이 각각 id_net과 id_oon인 것처럼
Figure 112016012534499-pat00069
는 id_GNSS로 사용될 수가 있다. 또한 PSSID가 id_net일 때 PSSS를 위한 루트 인덱스 u=26이고, id_oon일 때의 PSSS를 위한 루트 인덱스 u=37인 것처럼, id_GNSS일 때 PSSS를 위한 루트 인덱스 u=X(e.g. 38)일 수가 있다. 또한
Figure 112016012534499-pat00070
를 통해,
Figure 112016012534499-pat00071
를 통해 표현 될 수 있다.
여기서 ⓑ-1 및 ⓑ-2의 경우 모두에서 상기 예 1)에서처럼 "uniform distribution을 이용하여 랜덤하게 선택된 SSS 시퀀스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1의 경우에서는 상기 예 1)에서처럼 "uniform distribution을 이용하여 랜덤하게 선택된 SSS 시퀀스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2의 경우에서는 ⓑ-1이 선택한 PSSID를 기반으로 한
Figure 112016012534499-pat00072
로 부터 SSSS 시퀀스를 생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1 및 ⓑ-2의 구분은 PSBCH를 통해 전송되는 1비트의 필드 값을 통해 구분한다. 상기 PSBCH를 통해 전송되는 필드 값은 새로운 필드 일 수도 있으며, 상기 기존 필드 값을 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재 사용하는 경우의 예로는, coverage indicator 필드 값이 1인 경우는 ⓑ-1의 경우에서 생성되는 동기화 신호의 연계되어 전송되며, coverage indicator 필드 값이 0인 경우는 ⓑ-2의 경우에서 생성되는 동기화 신호의 연계되어 전송되므로 이를 통해 ⓑ-1 및 ⓑ-2를 구분할 수가 있다.
- 방법 2-3 : PCID 또는 uniform distribution을 이용하여 랜덤하게 선택된 SSSS 시퀀스를 사용
예 1) 만약 GNSS timing을 기반으로 하는 단말이 in-coverage에 속하고 해당 in-coverge 내의 기지국(eNodeB)의 PCID를 아는 경우, PCID를 modular 168한 값을
Figure 112016012534499-pat00073
로 사용한다. 그 외의 경우에서는
Figure 112016012534499-pat00074
는 0부터 167까지의 정수 값 중 랜덤하게 선택된 하나의 값을 사용할 수 있다(따라서 상기 표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Figure 112016012534499-pat00075
값에 따라 mo 및 m1를 선택)
이 경우, PSSID는 상기
Figure 112016012534499-pat00076
로 확장 될 수 있으며,
Figure 112016012534499-pat00077
이 각각 id_net과 id_oon인 것처럼
Figure 112016012534499-pat00078
는 id_GNSS로 사용될 수가 있다. 또한 PSSID가 id_net일 때 PSSS를 위한 루트 인덱스 u=26이고, id_oon일 때의 PSSS를 위한 루트 인덱스 u=37인 것처럼, id_GNSS일 때 PSSS를 위한 루트 인덱스 u=X(e.g. 38)일 수가 있다. 또한
Figure 112016012534499-pat00079
를 통해,
Figure 112016012534499-pat00080
를 통해 표현 될 수 있다.
여기서 ⓑ-1 및 ⓑ-2의 경우 모두에서 상기 예 1)에서처럼 "PCID 또는 uniform distribution을 이용하여 랜덤하게 선택된 SSS 시퀀스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1의 경우에서는 상기 예 1)에서처럼 "PCID 또는 uniform distribution을 이용하여 랜덤하게 선택된 SSS 시퀀스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2의 경우에서는 ⓑ-1이 선택한 PSSID를 기반으로 한
Figure 112016012534499-pat00081
로 부터 SSSS 시퀀스를 생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1 및 ⓑ-2의 구분은 PSBCH를 통해 전송되는 1비트의 필드 값을 통해 구분한다. 상기 PSBCH를 통해 전송되는 필드 값은 새로운 필드 일 수도 있으며, 상기 기존 필드 값을 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재 사용하는 경우의 예로는, coverage indicator 필드 값이 1인 경우는 ⓑ-1의 경우에서 생성되는 동기화 신호의 연계되어 전송되며, coverage indicator 필드 값이 0인 경우는 ⓑ-2의 경우에서 생성되는 동기화 신호의 연계되어 전송되므로 이를 통해 ⓑ-1 및 ⓑ-2를 구분할 수가 있다.
- 방법 2-4 :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SSSS 시퀀스를 사용
예 1)
Figure 112016012534499-pat00082
=0, 1을 사용 (따라서 상기 표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Figure 112016012534499-pat00083
=0인 경우 mo=0, m1=1이며
Figure 112016012534499-pat00084
=1인 경우 mo=0, m1=2)
이 경우, PSSID는 상기
Figure 112016012534499-pat00085
로 확장 될 수 있으며,
Figure 112016012534499-pat00086
이 각각 id_net과 id_oon인 것처럼
Figure 112016012534499-pat00087
은 id_GNSS를 위해 사용될 수가 있다. 또한 PSSID가 id_net일 때 PSSS를 위한 루트 인덱스 u=26이고, id_oon일 때의 PSSS를 위한 루트 인덱스 u=37인 것처럼, id_GNSS일 때 PSSS를 위한 루트 인덱스 u=X(e.g. 38)일 수가 있다. 또한
Figure 112016012534499-pat00088
를 통해,
Figure 112016012534499-pat00089
를 통해 표현 될 수 있다.
예 2)
Figure 112016012534499-pat00090
=168, 169를 사용 (따라서 상기 표 2에서 보는 것에서 이어서
Figure 112016012534499-pat00091
=168인 경우 mo=3, m1=10이며
Figure 112016012534499-pat00092
=169인 경우 mo=4, m1=11를 사용하거나 또는
Figure 112016012534499-pat00093
=168인 경우 mo=a, m1=b이며
Figure 112016012534499-pat00094
=169인 경우 mo=c, m1=d 등으로 다른 값을 사용 할 수도 있다(a와 b, c와 d는 서로 동일한 값 또는 다른 값일 수 있으며 0부터 30까지의 정수 중 상기 표 2에서 사용되지 않은 값))
이 경우, PSSID는 상기
Figure 112016012534499-pat00095
로 확장 될 수 있으며,
Figure 112016012534499-pat00096
이 각각 id_net과 id_oon인 것처럼 {336,337}은 id_GNSS를 위해 사용될 수가 있다. 또한 PSSID가 id_net일 때 PSSS를 위한 루트 인덱스 u=26이고, id_oon일 때의 PSSS를 위한 루트 인덱스 u=37인 것처럼, id_GNSS일 때 PSSS를 위한 루트 인덱스 u=X(e.g. 38)일 수가 있다. 또한
Figure 112016012534499-pat00097
를 통해 표현 될 수 있다.
이 경우 ⓑ-1 및 ⓑ-2의 구분은 SSLID를 통해 생성되는 SSSS 시퀀스를 통해 서로 구분이 가능하다. 즉 PSSID가 ⓑ-1 및 ⓑ-2에서 서로 다르며, 이에 따라
Figure 112016012534499-pat00098
가 ⓑ-1 및 ⓑ-2 간에는 서로 다르므로(e.g. ⓑ-1의 경우
Figure 112016012534499-pat00099
=0이고 ⓑ-2의 경우
Figure 112016012534499-pat00100
=1, 또는 ⓑ-1의 경우
Figure 112016012534499-pat00101
=168이고 ⓑ-2의 경우
Figure 112016012534499-pat00102
=169)서로 다른 SSS 시퀀스를 통해 구분이 가능하다.
만약 ⓑ-3의 경우가 존재한다면 (상기 ⓑ-2에 해당하는 단말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수신 후 SLSS를 전송하는 단말), 동일한 방식으로 세 개의 고정된 SSSS 시퀀스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며(
Figure 112016012534499-pat00103
=0, 1, 2 또는
Figure 112016012534499-pat00104
=168, 169, 170), 이는 GNSS timing을 기반으로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들 간에서 stratum level 또는 hop 수가 서로 다른 SSSS 시퀀스(서로 다른 PSSID로부터 서로 다른
Figure 112016012534499-pat00105
를 가짐으로 인해)로 구분되어 지시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실시예 3 ]
실시예 1: GNSS timing을 기반으로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를 고려 시 (기존 루트 인덱스 사용)
1) GNSS의 timing을 기반으로 ⓑ의 경우에서 생성되는 동기화 신호에서 PSSS는 기존 루트 인덱스 26 또는 37를 통해 생성될 수 있다.
2) 이 때, SSSS를 위한 시퀀스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 방법 3-1 : 단, 하나의 고정된 SSSS 시퀀스를 사용
예 1)
Figure 112016012534499-pat00106
=168을 사용 (따라서 상기 표에서 보는 것에서 이어서 mo=3, m1=10, 또는 mo=a, m1=b등으로 다른 값을 사용 할 수도 있다(a, b는 서로 동일한 값 또는 다른 값일 수 있으며 0부터 30까지의 정수 중 상기 표 2에서 사용되지 않은 값))
이 경우, PSSID는 상기
Figure 112016012534499-pat00107
로 확장 될 수 있으며,
Figure 112016012534499-pat00108
이 각각 id_net과 id_oon인 것처럼 {336}은 GNSS의 timing을 기반으로 ⓑ의 경우에서 생성되는 동기화 신호를 지시하는 경우이지만, id_net 또는 id_oon에 속할 수가 있다.
만약, GNSS의 timing을 기반으로 ⓑ의 경우에서 생성되는 동기화 신호에서 PSSS가 기존 루트 인덱스 26를 사용할 경우 상기 {336}은 id_net(
Figure 112016012534499-pat00109
)에 속한다.
이 때,
Figure 112016012534499-pat00110
를 통해,
Figure 112016012534499-pat00111
를 통해 표현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동일한 결과 값을 지시하는 한도 내에서 다른 수식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만약, GNSS의 timing을 기반으로 ⓑ의 경우에서 생성되는 동기화 신호에서 PSSS가 기존 루트 인덱스 37를 사용할 경우 상기 {336}은 id_oon(
Figure 112016012534499-pat00112
)에 속한다.
이 때,
Figure 112016012534499-pat00113
를 통해,
Figure 112016012534499-pat00114
를 통해 표현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동일한 결과 값을 지시하는 한도 내에서 다른 수식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 실시예 4 ]
실시예 4: GNSS timing을 기반으로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1 및 ⓑ-2를 고려 시 (기존 루트 인덱스 사용)
1) GNSS의 timing을 기반으로 ⓑ-1 및 ⓑ-2의 경우에서 생성되는 동기화 신호에서 PSSS는 기존 루트 인덱스 26 또는 37를 통해 생성될 수 있다.
2) 이 때, SSSS를 위한 시퀀스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 방법 4-1 : 단, 하나의 고정된 SSSS 시퀀스를 사용
예 1)
Figure 112016012534499-pat00115
=168을 사용 (따라서 상기 표에서 보는 것에서 이어서 mo=3, m1=10, 또는 mo=a, m1=b등으로 다른 값을 사용 할 수도 있다(a, b는 서로 동일한 값 또는 다른 값일 수 있으며 0부터 30까지의 정수 중 상기 표 2에서 사용되지 않은 값))
이 경우, PSSID는 상기
Figure 112016012534499-pat00116
로 확장 될 수 있으며,
Figure 112016012534499-pat00117
이 각각 id_net과 id_oon인 것처럼 {336}은 GNSS의 timing을 기반으로 ⓑ-1 및 ⓑ-2의 경우에서 생성되는 동기화 신호를 지시하는 경우이지만, id_net 또는 id_oon에 속할 수가 있다.
만약, GNSS의 timing을 기반으로 ⓑ-1 및 ⓑ-2의 경우에서 생성되는 동기화 신호에서 PSSS가 기존 루트 인덱스 26를 사용할 경우 상기 {336}은 id_net(
Figure 112016012534499-pat00118
)에 속한다.
이 때,
Figure 112016012534499-pat00119
를 통해,
Figure 112016012534499-pat00120
를 통해 표현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동일한 결과 값을 지시하는 한도 내에서 다른 수식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만약, GNSS의 timing을 기반으로 ⓑ-1 및 ⓑ-2의 경우에서 생성되는 동기화 신호에서 PSSS가 기존 루트 인덱스 37를 사용할 경우 상기 {336}은 id_oon(
Figure 112016012534499-pat00121
)에 속한다.
이 때,
Figure 112016012534499-pat00122
를 통해,
Figure 112016012534499-pat00123
를 통해 표현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동일한 결과 값을 지시하는 한도 내에서 다른 수식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1 및 ⓑ-2의 구분은 PSBCH를 통해 전송되는 1비트의 필드 값을 통해 구분할 수 있다. 상기 PSBCH를 통해 전송되는 필드 값은 새로운 필드 일 수도 있으며, 이는 기존 필드 값을 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재 사용하는 경우의 예로는, coverage indicator 필드 값이 1인 경우는 ⓑ-1의 경우에서 생성되는 동기화 신호의 연계되어 전송되며, coverage indicator 필드 값이 0인 경우는 ⓑ-2의 경우에서 생성되는 동기화 신호의 연계되어 전송되므로 이를 통해 ⓑ-1 및 ⓑ-2를 구분할 수가 있다.
- 방법 4-2 :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SLSS 시퀀스를 사용
예 1)
Figure 112016012534499-pat00124
=168을 사용 (따라서 상기 표에서 보는 것에서 이어서 mo=3, m1=10, 또는 mo=a, m1=b등으로 다른 값을 사용 할 수도 있다(a, b는 서로 동일한 값 또는 다른 값일 수 있으며 0부터 30까지의 정수 중 상기 표 2에서 사용되지 않은 값))
이 경우, PSSID는 상기
Figure 112016012534499-pat00125
로 확장 될 수 있으며,
Figure 112016012534499-pat00126
이 각각 id_net과 id_oon인 것처럼 {336, 337}은 GNSS의 timing을 기반으로 ⓑ-1 및 ⓑ-2의 경우에서 생성되는 동기화 신호를 지시하는 경우이지만, 각각 id_net 및 id_oon에 속할 수가 있다.
만약, GNSS의 timing을 기반으로 ⓑ-1의 경우에서 생성되는 동기화 신호에서 PSSS가 기존 루트 인덱스 26를 사용할 경우 상기 {336}은
Figure 112016012534499-pat00127
=168이며, id_net(
Figure 112016012534499-pat00128
)에 속한다.
만약, GNSS의 timing을 기반으로 ⓑ-2의 경우에서 생성되는 동기화 신호에서 PSSS가 기존 루트 인덱스 37를 사용할 경우 상기 {337}은
Figure 112016012534499-pat00129
=168이며, id_oon(
Figure 112016012534499-pat00130
)에 속한다.
이 경우 ⓑ-1 및 ⓑ-2의 구분은 SSLID를 통해 서로 구분이 가능하다. 즉 PSSID가 각각 336과 337로 ⓑ-1 및 ⓑ-2에서 서로 다르며, 이에 따라
Figure 112016012534499-pat00131
가 ⓑ-1 및 ⓑ-2 간에는 서로 다르므로(e.g.
Figure 112016012534499-pat00132
=168로 동일하지만 ⓑ-1의 경우
Figure 112016012534499-pat00133
=0 0이고 ⓑ-2의 경우
Figure 112016012534499-pat00134
=1) 구분이 가능하다.
예 2)
Figure 112016012534499-pat00135
=168, 169를 사용 (따라서 상기 표 2에서 보는 것에서 이어서
Figure 112016012534499-pat00136
=168인 경우 mo=3, m1=10이며
Figure 112016012534499-pat00137
=169인 경우 mo=4, m1=11를 사용하거나 또는
Figure 112016012534499-pat00138
=168인 경우 mo=a, m1=b이며
Figure 112016012534499-pat00139
=169인 경우 mo=c, m1=d 등으로 다른 값을 사용 할 수도 있다(a와 b, c와 d는 서로 동일한 값 또는 다른 값일 수 있으며 0부터 30까지의 정수 중 상기 표 2에서 사용되지 않은 값))
이 경우, PSSID는 상기
Figure 112016012534499-pat00140
에서
Figure 112016012534499-pat00141
로 확장 될 수 있으며,
Figure 112016012534499-pat00142
이 각각 id_net과 id_oon인 것처럼 {336,337}은 GNSS의 timing을 기반으로 ⓑ-1 및 ⓑ-2의 경우에서 생성되는 동기화 신호를 지시하는 경우이지만, id_net 또는 id_oon에 속할 수가 있다.
만약, GNSS의 timing을 기반으로 ⓑ-1 및 ⓑ-2의 경우에서 생성되는 동기화 신호에서 PSSS가 기존 루트 인덱스 26를 사용할 경우 상기 {336, 337}은 id_net(
Figure 112016012534499-pat00143
)에 속한다.
이 때,
Figure 112016012534499-pat00144
를 통해,
Figure 112016012534499-pat00145
를 통해 표현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동일한 결과 값을 지시하는 한도 내에서 다른 수식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만약, GNSS의 timing을 기반으로 ⓑ-1 및 ⓑ-2의 경우에서 생성되는 동기화 신호에서 PSSS가 기존 루트 인덱스 37를 사용할 경우 상기 {336, 337}은 id_oon(
Figure 112016012534499-pat00146
)에 속한다.
이 때,
Figure 112016012534499-pat00147
를 통해,
Figure 112016012534499-pat00148
를 통해 표현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동일한 결과 값을 지시하는 한도 내에서 다른 수식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1 및 ⓑ-2의 구분은 SSLID를 통해 생성되는 SSSS 시퀀스를 통해 서로 구분이 가능하다. 즉 PSSID가 ⓑ-1 및 ⓑ-2에서 서로 다르며, 이에 따라
Figure 112016012534499-pat00149
가 ⓑ-1 및 ⓑ-2 간에는 서로 다르므로(e.g.
Figure 112016012534499-pat00150
=0 또는 1로 동일하지만, ⓑ-1의 경우
Figure 112016012534499-pat00151
=168이고 ⓑ-2의 경우
Figure 112016012534499-pat00152
=169) 서로 다른 SSS 시퀀스를 통해 구분이 가능하다.
만약 ⓑ-3의 경우가 존재한다면 (상기 ⓑ-2에 해당하는 단말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수신 후 SLSS를 전송하는 단말), 동일한 방식으로 세 개의 고정된 SSSS 시퀀스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며(
Figure 112016012534499-pat00153
=168, 169, 170), 이는 GNSS timing을 기반으로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들 간에서 stratum level 또는 hop 수가 서로 다른 SSSS 시퀀스(서로 다른 PSSID로부터 서로 다른
Figure 112016012534499-pat00154
를 가짐으로 인해)로 구분되어 지시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기 신호를 선택하는 과정을 개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확인한다(s700).
상기 확인은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를 확인하는 것으로, 오리지날 동기화 소스(또는 액티브 동기화 소스)가 기지국, 단말, 또는 GNSS/GNSS-equivalent인지를 확인한다. 즉, 상기 동기화 신호가, ① 기지국(eNodeB)로부터 전송된 동기화 신호인지, ② in-coverage에 속하는 단말로부터 전송된 동기화 신호인지, ③ out-of-coverage에 속하는 단말로부터 전송된 동기화 신호로 PSSID가 id_net에 속하는 ID인지, ④ out-of-coverage에 속하는 단말로부터 전송된 동기화 신호로 PSSID가 id_oon에 속하는 ID인지, 상기 ① 내지 ④에 해당하는 동기 신호를 선택하지 못한 경우인지(이는 추후 단말 스스로 동기화 소스가 되어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동기 신호가 ⓐ GNSS 또는 GNSS-equivalent 장치로부터 전송된 동기화 신호인지 ⓑ GNSS 또는 GNSS-equivalent 장치의 timing을 기반으로 하는 SLSS를 전송하는 단말로부터 전송된 신호인지를 더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은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의 PSSS 시퀀스로 통해 루트 인덱스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①의 경우를 위해서는 루트 인덱스가 PSS를 위해 사용되는 25, 29 및 34 중에 하나인지 확인할 수가 있으며, 상기 ②, ③ 및 ④의 경우를 위해서는 루트 인덱스가 각각 eNodeB timing과 UE timing(또는 id_net과 id_oon)에 해당하는 26 및 37 중 하나인지 확인 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의 경우를 위해서는 상기 ②, ③ 및 ④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루트 인덱스가 26 및 37 중 하나이거나, 또는 PSS를 위해 사용되는 루트 인덱스인 25, 29, 34 및 각각 eNodeB timing과 UE timing(또는 id_net과 id_oon)에 해당하는 루트 인덱스인 26, 37을 제외한 다른 루트 인덱스 X(일례로 38)에 대응하는지 확인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SSSS 시퀀스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Figure 112016012534499-pat00155
를 알 수가 있으며,
Figure 112016012534499-pat00156
값 및 상기 PSSS 시퀀스로 통해 확인한 루트 인덱스 값에 대응되는
Figure 112016012534499-pat00157
값을 통해 PSSID를 알 수가 있다.
단말은 상기 동기 신호가 상기 PSSS 시퀀스로 통해 확인한 루트 인덱스 또는 상기 PSSS/SSSS 시퀀스를 통해 확인한 PSSID를 통해 GNSS 또는 GNSS-equivalent 장치의 timing을 기반으로 하는 SLSS를 전송하는 단말로부터 전송된 신호인지를 더 확인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확인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를 확인 및 비교한 후, 상기 언급된 ①, ②, ③, ④의 경우 및 ⓐ, ⓑ의 경우의 조합을 통해 나올 수 있는 우선 순위들을 고려하여 동기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s710).
여기서, 동기 신호를 선택하는 것은 단말 스스로 동기화 소스가 되어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상기 ⓐ 의 경우가 상기 ①, ②, ③ 및 ④의 경우보다 우선 순위를 가지고 동기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의 경우가 상기 ①, ②, ③ 및 ④의 경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경우 보다 우선 순위를 가지고 동기 신호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최초 동기화 소스(eNodeB, GNSS or UE)로부터 얼마나 적은 홉(hop) 수를 가지고 전송된 동기화 신호인지도 고려하여 최종 동기 신호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단말은 선택된 동기 신호를 다른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장치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통신장치(800)와 제2 통신장치(850)가 서로 V2X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장치는 V2X 통신을 수행하는 V2X 단말일 수가 있다.
제1 통신장치(800)는 프로세서(810), RF 모듈(820) 및 메모리(825)를 포함한다.
우선, 프로세서(810)는 시퀀스 생성부(811) 및 시퀀스 매핑부(8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퀀스 생성부(811)는 시퀀스 생성 및 생성된 시퀀스를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시퀀스 매핑부(811)는 상기 시퀀스 생성부(811)로부터 생성된 시퀀스의 매핑 및 매핑 확인 동작을 수행한다. 프로세서(810)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10)는 본 명세서에서 게시된 도 3 내지 도 7까지의 V2X 단말의 모든 동작 및, 실시예에 따라 PSSS와 SSSS에 해당하는 시퀀스를 생성하고 상기 시퀀스를 맵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절차를 사용하여 제2 통신장치(850)와 V2X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10)은 상기 RF 모듈(820)을 통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를 확인한다. 이 때, 상기 동기화 신호와 관련하여 오리지날 동기화 소스(또는 액티브 동기화 소스)가 기지국, 단말, 또는 GNSS/GNSS-equivalent인지를 확인한다. 즉, 상기 동기화 신호가, ① 기지국(eNodeB)로부터 전송된 동기화 신호인지, ② in-coverage에 속하는 단말로부터 전송된 동기화 신호인지, ③ out-of-coverage에 속하는 단말로부터 전송된 동기화 신호로 PSSID가 id_net에 속하는 ID인지, ④ out-of-coverage에 속하는 단말로부터 전송된 동기화 신호로 PSSID가 id_oon에 속하는 ID인지, 상기 ① 내지 ④에 해당하는 동기 신호를 선택하지 못한 경우인지(이는 추후 단말 스스로 동기화 소스가 되어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동기 신호가 ⓐ GNSS 또는 GNSS-equivalent 장치로부터 전송된 동기화 신호인지 ⓑ GNSS 또는 GNSS-equivalent 장치의 timing을 기반으로 하는 SLSS를 전송하는 단말로부터 전송된 신호인지를 더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프로세서(810)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의 PSSS 시퀀스로 통해 루트 인덱스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①의 경우를 위해서는 루트 인덱스가 PSS를 위해 사용되는 25, 29 및 34 중에 하나인지 확인할 수가 있으며, 상기 ②, ③ 및 ④의 경우를 위해서는 루트 인덱스가 각각 eNodeB timing과 UE timing(또는 id_net과 id_oon)에 해당하는 26 및 37 중 하나인지 확인 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의 경우를 위해서는 상기 ②, ③ 및 ④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루트 인덱스가 26 및 37 중 하나이거나, 또는 PSS를 위해 사용되는 루트 인덱스인 25, 29, 34 및 각각 eNodeB timing과 UE timing(또는 id_net과 id_oon)에 해당하는 루트 인덱스인 26, 37을 제외한 다른 루트 인덱스 X(일례로 38)에 대응하는지 확인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8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SSSS 시퀀스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Figure 112016012534499-pat00158
를 알 수가 있으며,
Figure 112016012534499-pat00159
값 및 상기 PSSS 시퀀스로 통해 확인한 루트 인덱스 값에 대응되는
Figure 112016012534499-pat00160
값을 통해 PSSID를 알 수가 있다.
상기 프로세서(810)는 상기 동기 신호가 상기 PSSS 시퀀스로 통해 확인한 루트 인덱스 또는 상기 PSSS/SSSS 시퀀스를 통해 확인한 PSSID를 통해 GNSS 또는 GNSS-equivalent 장치의 timing을 기반으로 하는 SLSS를 전송하는 단말로부터 전송된 신호인지를 더 확인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서(810)는 확인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를 확인 및 비교한 후, 상기 언급된 ①, ②, ③, ④의 경우 및 ⓐ, ⓑ의 경우의 조합을 통해 나올 수 있는 우선 순위들을 고려하여 동기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동기 신호를 선택하는 것은 단말 스스로 동기화 소스가 되어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상기 ⓐ 의 경우가 상기 ①, ②, ③ 및 ④의 경우보다 우선 순위를 가지고 동기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의 경우가 상기 ①, ②, ③ 및 ④의 경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경우 보다 우선 순위를 가지고 동기 신호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최초 동기화 소스(eNodeB, GNSS or UE)로부터 얼마나 적은 홉(hop) 수를 가지고 전송된 동기화 신호인지도 고려하여 최종 동기 신호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의 동작에서 미리 정해신 홉 수를 초과/이하에 따라 동기 신호의 선택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은 RF모듈(820)을 통해 상기 선택된 동기 신호를 제2 통신장치로 전송할지 안할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메모리(825)는 프로세서(81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81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라 동기 신호와 관련된 루트 인덱스들에 대한 정보 및 PSSID에 대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RF모듈(820)은 프로세서(81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예를 들어, RF 모듈(820)는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810)에 의해 제어되는 선택된 동기 신호를 제2 통신장치(85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810)의 제어에 따라 PSSS 및/또는 SSSS를 전송하거나, PSSS 및/또는 SSSS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통신장치(850)는 제1 통신장치(80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제1 통신장치(800)과 PSSS 및/또는 SSSS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예시적인 장치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V2X 통신에서 V2X 단말이 전송 받은 동기화 신호들로부터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동기를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V2X 통신에서 V2X 단말이 선택한 동기신호를 다른 V2X 단말로 효율적으로 전송 할 수 있다.

Claims (8)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동기화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의 루트 인덱스를 확인하는 단계로써, 상기 동기 신호의 루트 인덱스가 네크워크 커버리지 내(in-coverage)의 동기에 따른 루트 인덱스인지 또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외(out-of-coverage)의 동기에 따른 루트 인덱스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동기 신호의 루트 인덱스가 기지국 타이밍(eNodeB timing)에 따른 루트 인덱스인지 또는 단말 타이밍(UE timeing)에 따른 루트 인덱스인지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타이밍(GNSS timing)에 따른 루트 인덱스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의 시퀀스를 확인하는 단계로써, 상기 동기 신호의 시퀀스로부터 PSSID(Physical Sidelink Synchronization Identity)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며, 및
    상기 루트 인덱스 및 상기 PSSID에 기초하여 확인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에 대하여 기 결정된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하나의 동기 신호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루트 인덱스는, 상기 동기 신호가 네크워크 커버리지 내의 동기를 따르는 경우 26이고, 네트워크 커버리지 외의 동기를 따르는 경우 26 또는 37이고, 기지국 타이밍을 따르는 경우 25, 26, 29 및 34 중 하나이고, 단말 타이밍을 따르는 경우 27이고, GNSS 타이밍에 따르는 경우 25, 26, 27, 29 및 34를 제외한 1부터 63까지의 정수 중 3의 배수 및 7의 배수를 제외한 수인, 동기화 수행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루트 인덱스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타이밍(GNSS timing)에 따른 동기 신호를 위해 할당되는 루트 인덱스 값 X로 38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수행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루트 인덱스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PSSID(Physical Sidelink Synchronization Identity)가
    Figure 112022040764032-pat00177
    Figure 112022040764032-pat00178
    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Figure 112022040764032-pat00179
    는 루트 인덱스의 값이 26, 37, X일 때 각각 0, 1, 2의 값을 가지되, 상기 X는 25, 26, 29, 34 및 37을 제외한 정수 값이며, 상기
    Figure 112022040764032-pat00180
    는 0부터 Y(이 때, Y는 167, 168 또는 169)까지의 정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타이밍(GNSS timing)에 따른 동기 신호의 시퀀스로부터 확인되는 PSSID는 집합 {336} 또는 집합 {336, 337} 또는 집합 {336, ..., 503} 중에 하나의 집합 내의 특정 원소에 대응되는 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수행 방법.
  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트랜시버;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랜시버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의 루트 인덱스를 확인하되, 상기 동기 신호의 루트 인덱스가 네크워크 커버리지 내(in-coverage)의 동기에 따른 루트 인덱스인지 또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외(out-of-coverage)의 동기에 따른 루트 인덱스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동기 신호의 루트 인덱스가 기지국 타이밍(eNodeB timing)에 따른 루트 인덱스인지 또는 단말 타이밍(UE timeing)에 따른 루트 인덱스인지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타이밍(GNSS timing)에 따른 루트 인덱스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의 시퀀스를 확인하되, 상기 동기 신호의 시퀀스로부터 PSSID(Physical Sidelink Synchronization Identity)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며, 및
    상기 루트 인덱스 및 상기 PSSID에 기초하여 확인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에 대하여 기 결정된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하나의 동기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루트 인덱스는, 상기 동기 신호가 네크워크 커버리지 내의 동기를 따르는 경우 26이고, 네트워크 커버리지 외의 동기를 따르는 경우 26 또는 37이고, 기지국 타이밍을 따르는 경우 25, 26, 29 및 34 중 하나이고, 단말 타이밍을 따르는 경우 27이고, GNSS 타이밍에 따르는 경우 25, 26, 27, 29 및 34를 제외한 1부터 63까지의 정수 중 3의 배수 및 7의 배수를 제외한 수인,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말.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루트 인덱스를 확인하는 경우, 상기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타이밍(GNSS timing)에 따른 동기 신호를 위해 할당되는 루트 인덱스 값 X로 38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말.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루트 인덱스를 확인하는 경우, 상기 PSSID(Physical Sidelink Synchronization Identity)가
    Figure 112022040764032-pat00181
    Figure 112022040764032-pat00182
    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Figure 112022040764032-pat00183
    는 루트 인덱스의 값이 26, 37, X일 때 각각 0, 1, 2의 값을 가지되, 상기 X는 25, 26, 29, 34 및 37을 제외한 정수 값이며, 상기
    Figure 112022040764032-pat00184
    는 0부터 Y(이 때, Y는 167, 168 또는 169)까지의 정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타이밍(GNSS timing)에 따른 동기 신호의 시퀀스로부터 확인되는 PSSID는 집합 {336} 또는 집합 {336, 337} 또는 집합 {336, ..., 503} 중에 하나의 집합 내의 특정 원소에 대응되는 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말.

KR1020160014585A 2016-02-05 2016-02-05 V2x 통신에서 동기화 방법 및 장치 KR102459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585A KR102459134B1 (ko) 2016-02-05 2016-02-05 V2x 통신에서 동기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585A KR102459134B1 (ko) 2016-02-05 2016-02-05 V2x 통신에서 동기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333A KR20170093333A (ko) 2017-08-16
KR102459134B1 true KR102459134B1 (ko) 2022-10-26

Family

ID=59752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4585A KR102459134B1 (ko) 2016-02-05 2016-02-05 V2x 통신에서 동기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91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6026A1 (ko) * 2018-05-25 2019-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이드 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N112425217B (zh) * 2018-07-16 2023-06-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同步源优先级确定方法、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WO2020085853A1 (ko) * 2018-10-25 2020-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Nr v2x에서 동기화 정보를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89206B1 (ko) 2019-01-10 2020-03-1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밀리미터파 차량간 통신을 위한 동기화 방법 및 장치
WO2020175891A1 (ko) * 2019-02-25 2020-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동기화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76238B1 (ko) * 2022-12-08 2023-09-11 주식회사 아이티텔레콤 NB-IoT 모듈 또는 IR-UWB 모듈로부터 수신한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시간 동기화가 가능한 V2X OBU 및 그 V2X OBU의 시간 동기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046B1 (ko) * 2011-09-14 2019-11-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간 직접통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55234
3GPP R1-156603*
3GPP R1-156895*
3GPP R1-1573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333A (ko) 201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0214B1 (ko) V2x 통신에서 동기화 방법 및 장치
KR102459134B1 (ko) V2x 통신에서 동기화 방법 및 장치
KR102402543B1 (ko) D2d 통신을 위한 d2d 데이터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11895622B2 (en) User apparatus, and transmission method
CN108370565B (zh) 用于副链路数据传输的方法以及终端
KR102019716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간 직접통신 방법 및 장치
KR101896905B1 (ko) 네트워크 접근 방법 및 장치
EP3337068A1 (en) User device,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signal reception method
US115885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849431B2 (en) User apparatus
ES2717957T3 (es) Método de transmisión de canal de control de enlace descendente físico, dispositivo de estación base y equipo de usuario
KR102453598B1 (ko) D2d 통신을 위한 동기화 신호 구성 방법 및 장치
US20230156670A1 (en) Partial sensing method and device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18894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동기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US9749818B2 (en) Method for asynchronously allocating a bandwidth, and a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implementing this method
CN113766516B (zh) 上行配置方法、系统、基站和存储介质
US11895624B2 (en) Mini-slot confirmation channel transmission in V2V communications
KR101199124B1 (ko)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환경에서 호 설정을 수행하는 장치
KR102163798B1 (ko) 근접 차량 리스트 공유를 통한 tdma 기반의 v2x 통신 방법
CN117177354A (zh) 定位参考信号的传输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20195157A (ja) 同期方法、ユーザ機器および基地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