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8769B1 - 전원 잡음에 둔감한 클럭 분배 네트워크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잡음에 둔감한 클럭 분배 네트워크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58769B1 KR102458769B1 KR1020200106950A KR20200106950A KR102458769B1 KR 102458769 B1 KR102458769 B1 KR 102458769B1 KR 1020200106950 A KR1020200106950 A KR 1020200106950A KR 20200106950 A KR20200106950 A KR 20200106950A KR 102458769 B1 KR102458769 B1 KR 1024587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ock
- control signal
- noise
- power supply
-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3044 adap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2935 Avera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06 compon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58 core compon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3 mas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1—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 H03L7/0812—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04—Generating or distributing clock signals or signals derived directly therefrom
- G06F1/10—Distribution of clock signals, e.g. skew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11C7/222—Clock generating, synchronizing or distributing circuits within memory device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 H03L7/087—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using at least two phase detectors or a frequency and phase detector in the loop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 H03L7/093—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using special filtering or amplification characteristics in the loop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잡음에 둔감한 클럭 분배 네트워크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입력 클럭쌍을 1/N(N=2n n은 1 이상의 자연수) 분주하여 2×N개의 분주 클럭을 생성 및 출력하는 클럭 디바이더; 쓰기 모드시에는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지연 클럭 지터를 상쇄시키고, 읽기 모드시에는 제2 제어 신호(W2*NOISE)를 이용하여 데이터 지터를 상쇄시키는 VCDL(Voltage Controlled Delay Line); 쓰기 및 읽기 모드 각각에서 지터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제1 및 제2 이득을 추적한 후, 상기 제1 및 제2 이득에 전원 잡음을 곱하여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VCDL에 제공하는 적응 필터; 상기 VCDL를 통해 지터 제거된 2×N개의 분주 클럭을 드라이빙하는 드라이버; 및 상기 2×N개의 분주 클럭을 분배하여 다수의 송신/수신 회로 각각에 전달하는 클럭 분배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상기 전원 잡음과 반대되는 위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 잡음에 의해 발생되는 각종 지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잡음에 둔감한 클럭 분배 네트워크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터넷 데이터 트래픽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방대한 데이터 처리를 위해 PC 및 스마트폰의 성능은 폭발적으로 향상되고 있으며, 해당 기기들에 사용되는 핵심 부품들인 CPU 및 DRAM의 성능도 이에 비례하여 꾸준히 향상되고 있다.
CPU나 DRAM 같은 장치의 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클럭 주파수(Clock Frequency)가 높아져야 하며, 고주파수로 동작하는 장치에서 발생하는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는 클럭 지터(Clock Jitter)이다. 이러한 클럭 지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전원잡음(Supply Noise)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원잡음에 의해 클럭 지터가증가하면 고속동작이 불가능해진다.
CPU나 DRAM 등 클럭 기반으로 동작하는 장치의 경우, 칩 내부에서 클럭이 여러 회로로 분배되는 네트워크가 구성되며, 이러한 네트워크에서 전원 잡음에 의 클럭 지터가 발생하게 된다.
최신 모바일 DRAM인 LPDDR5(Low Power Double Date Rate 5)를 예로 들면, 기존 LPDDR4에 비해 데이터 전송률(Data Rate)은 1.5배 증가하고, VDD는 1.1V에서 1.0V로 낮아졌다. 전원 잡음은 더욱 증가할 수 밖에 없는 환경이며, 데이터 크기(Data Eye)가 1.5배 작아져 클럭 지터가 커지는 경우 데이터 크기가 작아지게 되어 고속 동작이 매우 어렵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DRAM의 클럭 분배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이를 위해 LPDDR5를 DRAM의 일례로써 선택,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DRAM는 다수의 데이터(DQ0~7), 데이터(DQ0~7)와 동기된 클럭쌍(RDQS_t, RDQS_c), 데이터 제어를 위한 클럭쌍(WCK_t/ WCK_c), 데이터 반전 및 마스킹 신호(DMI) 각각에 대응되는 단자들을 구비하는 입출력 단자부(110), DQ 단자 각각에 연결되는 송신/수신 회로(TX/RX)와 RDQS 단자 각각에 연결된 송신 회로(TX)를 구비하여, DQ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클럭에 동기화하여 셀로 전달하거나, 셀 데이터를 클럭에 동기화하여 DQ 단자로 출력하는 송수신 회로(120), 클럭 입력쌍을 분주하여 입력 클럭의 N배 주기를 가지는 분주 클럭을 생성한 후, 송신 회로와 수신 회로 각각에 분배하는 클럭 분배 네크워크(130)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클럭 분배 네크워크(130)는 다시 클럭 입력쌍(WCK_t/ WCK_c)을 수신 및 버퍼링하는 버퍼(131), 버퍼(131)의 출력 클럭쌍을 분주하여 서로 다른 주기를 입력 클럭의 N배 주기를 갖는 다수의 분주 클럭을 생성하는 클럭 디바이더(132), 클럭 디바이더(120)의 다수의 분주 클럭을 드라이빙하는 드라이버(133), 이진 트리 계층 구조로 연결되는 다수의 리피터(RPT)를 통해, 드라이버(133)의 출력 클럭을 분배하여 다수의 송신/수신 회로 각각에 전달하는 클럭 분배 회로(134) 등을 포함한다.
다만, 도 1의 클럭 분배 네크워크(130)에 따르면, 입력 클럭쌍인 WCK_t/ WCK_c는 데이터 입출력 제어를 위해 단자(DQ/DMI)으로 분배(Distribution)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전원 전압에 의해 클럭 지터가 발생하게 된다.
클럭 지터는 수신 회로에서는 입력 데이터와의 셋업/홀드 시간(setup/hold time)에 영향을 주며, 송신 회로에서는 출력 데이터의 지터를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송신 회로에서는 클럭 지터 뿐만 아니라 전원 잡음에 의해 송신 회로 자체에서 발생하는 지터가 더해져 최종 데이터 지터는 더욱 커지게 된다.
이에 종래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전원 레귤레이션(supply regulation)을 이용하거나, CML(Current-Mode Logic) 타입 클럭 분배를 통해 전원 잡음에 의한 클럭 지터를 해결하는 방법 등이 제안된 바 있다.
도 2의 (a)는 LDO(Low DropOut)를 사용한 전원 레귤레이션(supply regulation) 방법으로, 이는 전원 잡음에 의한 영향을 가장 손쉽게 제거할 수 있으나, 클럭 분배와 송신 회로에서 LDO를 사용하려면 큰 전류 구동 능력과 큰 캐패시터가 필요하여 상대적으로 큰 회로 면적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특히, LDO의 드랍 아웃 전압(drop out voltage)로 인해 Low VDD & High Frequency 동작이 불가능한 추가적인 문제도 가진다.
한편, CML 타입 클럭 분배 방법은 클럭 분배 네크워크 구성 시 클럭 구동(driver)을 인버터가 아닌 CML(Current Mode Logic)를 사용하여 전원 잡음에 영향을 줄이도록 한다. 하지만, 도 2의 (b)의 그래프와 같이 CML의 경우 클럭 주파수와 상관없이 일전한 전류 소모를 하기 때문에 DRAM과 같이 동작 영역이 넓은 장치에는 사용하기 부적합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CML의 경우 고주파수 영역에서만 사용 가능하며, 또한 CML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전원 잡음에 의해 송신 회로에서 발생한 데이터 지터를 해결할 방법이 없는 추가적인 문제도 가진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VCDL(Voltage Controlled Delay Line)과 적응 필터를 이용하여 전원 잡음에 의해 발생되는 클럭 지터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잡음에 둔감한 클럭 분배 네트워크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넓은 대역폭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잡음에 둔감한 클럭 분배 네트워크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입력 클럭쌍을 1/N(N=2n n은 1 이상의 자연수) 분주하여 2×N개의 분주 클럭을 생성 및 출력하는 클럭 디바이더; 읽기 모드시에는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지연 클럭 지터를 상쇄시키고, 쓰기 모드시에는 제2 제어 신호(W2*NOISE)를 이용하여 데이터 지터를 상쇄시키는 VCDL(Voltage Controlled Delay Line); 읽기 및 쓰기 모드 각각에서 지터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제1 및 제2 이득을 추적한 후, 상기 제1 및 제2 이득에 전원 잡음을 곱하여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VCDL에 제공하는 적응 필터; 상기 VCDL를 통해 지터 제거된 2×N개의 분주 클럭을 드라이빙하는 드라이버; 및 상기 2×N개의 분주 클럭을 분배하여 다수의 송신/수신 회로 각각에 전달하는 클럭 분배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상기 전원 잡음과 반대되는 위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잡음에 둔감한 클럭 분배 네트워크를 제공한다.
상기 VCDL은 쓰기 모드일 때에는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전달하고, 읽기 모드일 때에는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전달하는 먹스; 및 상기 2×N개의 분주 클럭 각각에 대응되며, 트랜지스터로 구현된 다수의 지연 소자를 구비하는 2×N개의 지연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지연 소자는 전원 전압에 변동되는 트랜지스터 전류 도통 속도를 상기 제1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응 필터는 상기 클럭 디바이더의 출력 클럭 중 하나를 1/N 분주하여 기준 클럭을 생성하는 제1 클럭 디바이더; 상기 송신 회로의 출력 신호를 1/2 분주하는 제2 클럭 디바이더; 쓰기 모드인 경우에는 수신 회로의 입력 클럭을 1/N 분주하고, 읽기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제2 클럭 디바이더의 출력 클럭을 1/N 분주하여 딜레이 클럭을 생성하는 제3 클럭 디바이더; 상기 기준 클럭과 상기 딜레이 클럭에 기반하여 전원 잡음 발생 여부에 따른 지연 증감을 파악하고, 지연 증감에 상응하는 신호 값을 가지는 에러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는 제어부; 전원 잡음을 기준 전압에 비교하여 잡음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는 전원 잡음 수신부; 및 상기 에러 신호와 상기 잡음 신호에 기반하여 제1 및 제2 이득을 업데이트한 후, 상기 업데이트된 제1 및 제2 이득에 전원 잡음을 곱하여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클럭과 상기 딜레이 클럭의 위상차를 시간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TDC(Time-to-Tigital Converter); 상기 TDC의 지연 시간을 카운팅하는 CNT(counter); 상기 CNT의 출력을 기 설정 시간 동안 수집 및 평균하여 디지털 코드를 생성하는 DLF(Digital Loop Filter); 기 설정된 기준 코드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상기 디지털 코드의 변동량이 기 설정된 불감대에 진입하면, 인에이블 신호를 비활성화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활성화시키는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디지털 코드와 상기 기준 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에러 신호를 생성하는 에러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응 필터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비활성화되는 경우, 동작 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클럭 분배 및 TX 전체 회로를 위한 LDO(supply regulation)를 사용하지 않고 적응 필터와 VCDL을 이용하여 전원 잡음에 의한 지터를 감소시키도록 한다. 특히, 클럭 분배의 지터 뿐 아니라 최종 데이터의 지터까지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적응 필터는 DLL과 달리 이득 캘리브레이션(이득 잠금)이 완료되면, 동작을 일시 멈출 수 있어 적응 필터에 의한 전력 소모량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적응 필터는 이득 캘리브레이션이 끝나면 피드-포워드(feed-foreword)로 동작하기 때문에 DLL과 같은 피드-백 방식에 비해 넓은 동작 대역폭을 보장할 수 있다. 즉, 보상 가능한 전원 잡음의 주파수가 높아지도록 한다.
뿐 만 아니라, 본 발명은 기준 클럭 생성을 위한 별도의 레플리카 지연(replica delay)를 사용하지 않고, TDC를 이용한 이득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제시하여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VCDL을 각 데이터 채널(DQ/DMI/RDQS 등)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클럭 분배 회로의 맨 앞 단에 설치하여 VCDL의 개수와 이로 인한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DRAM의 클럭 분배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럭 분배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CDL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 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럭 분배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CDL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 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럭 분배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클럭 분배 네트워크(200)는 버퍼(131), 클럭 디바이더(132), 드라이버(133), 클럭 분배 회로(134) 이외에, 클럭 디바이더(132)의 뒷단에 위치되는 VCDL(Voltage Controlled Delay Line, 210), 적응 필터(220), 및 VB-LDO(Voltage Boosting Low DropOut)(230)를 더 포함하도록 한다.
버퍼(131)는 클럭 입력쌍(WCK_t/ WCK_c)을 수신 및 버퍼링한다.
클럭 디바이더(132)는 버퍼(131)의 출력 클럭쌍을 1/N(N=2n n은 1 이상의 자연수) 분주하여 입력 클럭의 N배 주기를 갖는 2×N개의 분주 클럭을 생성 및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이를 위해, N을 2로 설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VCDL(210)는 쓰기 모드시에는 적응 필터(220)의 제1 제어 신호(W1*NOISE)에 따라 지연 클럭 지터를 상쇄시키고, 읽기 모드시에는 적응 필터(220)의 제2 제어 신호(W2*NOISE)를 이용하여 데이터 지터를 상쇄시켜 준다.
이때, VCDL(210)는 클럭 분배 회로(134)의 출력단, 즉 송신/수신 회로의 앞단에 설치될 수 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송신/수신 회로의 개수만큼 VCDL(210)내 지연라인의 구비 개수가 증가 되어야 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VCDL(210)를 클럭 디바이더(132)의 출력단에 설치하여, 지연라인 구비 개수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다.
적응 필터(220)는 읽기 및 쓰기 모드 각각에서 지터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제1 및 제2 이득(W1, W2)을 추적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이득(W1, W2)에 전원 잡음을 곱하여 RX용 클럭의 지터와 반대되는 위상을 가지는 제1 제어 신호(W1*NOISE)과 송신 회로를 통과한 최종 데이터 지터와 반대되는 위상을 가지는 제2 제어 신호(W2*NOISE)를 동시 생성하여 VCDL(210)에 제공한다.
드라이버(133)는 VCDL(210)를 통해 지터 제거된 2×N개의 분주 클럭을 드라이빙한다.
클럭 분배 회로(134)는 이진 트리 계층 구조로 연결되는 다수의 리피터(RPT)를 통해, 드라이버(133)의 출력 클럭을 분배하여 다수의 송신/수신 회로 각각에 전달한다.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VB-LDO(230)를 더 구비하고, 이를 통해 버퍼(131), 클럭 디바이더(132), 및 VCDL(210)의 전원 전압을 레귤레이션하여, 클럭 디바이더(132)의 출력을 기준 클럭으로 사용하고 VCDL의 지연 값 조절을 편하게 할 수도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클럭 분배 네트워크(200)에 적응 필터(220)와 VCDL(210)를 추가하고, 이들을 통해 전원 잡음에 의해 클럭 분배에서 발생하는 지터뿐 아니라 송신 회로에 의해 발생되는 데이터 지터까지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CDL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VCDL(210)은 먹스(211)와 클럭 디바이더(132)의 출력 클럭 각각에 대응되는 2×N개의 지연 라인(212)으로 구성된다.
먹스(211)는 쓰기 모드일 때에는 제1 제어 신호(W1*NOISE)를 수신하여 제어 신호(Vctrl)로써 선택하여 출력하고, 읽기 모드일 때에는 제2 제어 신호(W2*NOISE)를 수신하여 제어 신호(Vctrl)로써 선택하여 출력한다. 제어 신호(Vctrl)는 비반전 제어 신호(VP)와 반전 제어 신호(VN)로 구성됨은 물론 당연하다.
지연 라인(212) 각각은 신호의 지연 전달을 위한 다수의 지연 소자(212_1)와 신호 출력을 위한 버퍼(212_2)를 포함한다.
지연 소자(212_1) 각각은 전원 전압(VDD)에 연결된 소스와 비반전 제어 신호(VP)가 인가되는 게이트를 가지는 제1 트랜지스터(Q1), 접지 전압(GND)에 연결된 드레인과 비반전 제어 신호(VP)가 인가되는 게이트를 가지는 제2 트랜지스터(Q2), 제1 트랜지스터(Q1)와 제2 트랜지스터(Q2)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제1 트랜지스터(Q1)의 드레인에 연결된 소스와 클럭(또는 앞단 지연 소자의 출력 신호)이 인가되는 게이트를 가지는 제3 트랜지스터(Q3), 및 제3 트랜지스터(Q3)의 드레인에 연결된 소스와 클럭(또는 앞단 지연 소자의 출력 신호)이 인가되는 게이트와, 제2 트랜지스터(Q2)의 소스에 연결되는 제4 트랜지스터(Q4)를 구비한다.
즉, 본 발명은 제3 및 제4 트랜지스터(Q4)를 이용하여 입력 클럭을 뒷단으로 전달시키되, 전원 잡음에 따라 수시 변동되는 제3 및 제4 트랜지스터(Q4)의 전류 도통 속도를, 제어 신호(VP/VN)에 인가되는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Q2)를 통해 일정하게 유지시켜 줌으로써, 전원 잡음에 따른 지터 발생을 사전 차단하도록 한다.
참고로, 트랜지스터의 전류 도통 속도는 소스 전압과 게이트 전압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이에 전원 잡음에 의해 소스 전압이 비정상적으로 변동되게 되면, 트랜지스터의 전류 도통 속도 또한 이에 비례하여 변동되어 지터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제어 신호(VP,VN)를 게이트 전압으로 인가받는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Q2)를 제3 및 제4 트랜지스터(Q4)의 양단에 연결한 후, 제어 신호(VP,VN)가 전원 잡음과 반대되는 위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Q2)가 전원 전압에 따라 변동되는 전류 도통 속도가 게이트 전압을 통해 조절되도록 한다.
그 결과 제3 및 제4 트랜지스터(Q4)는 항상 일정한 전류 도통 속도를 가지게 되고, 제3 및 제4 트랜지스터(Q4)는 지터 없이 클럭을 뒷단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즉, VCDL의 출력(클럭)은 VCDL 뒷 단의 클럭 분배 네트워크에서 발생한 클럭 지터를 미리 보상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클럭 분배 네트워크에서 전원 잡음에 의해 +100ps의 지터가 발생하면, VCDL의 출력은 -100ps의 지연을 같는 클럭을 출력하여 지터를 보상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 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적응 필터(220)는 제1 내지 제3 클럭 디바이더(221~223), 제어부(224), 전원 잡음 수신부(225), 제어 신호 생성부(226), 스위칭부(227) 등을 포함한다.
제1 클럭 디바이더(221)는 클럭 디바이더(132)의 출력 클럭(ICLK_IN) 중 하나(ICLK_IN)를 수신 및 1/N 분주하여 기준 클럭(CLK_REF)을 생성한다.
제2 클럭 디바이더(222)는 송신 회로의 출력 신호(PULL_UP)를 수신 및 1/2 분주하여, 송신 회로의 출력 신호의 주파수가 송신 회로의 입력 클럭과 동일 주파수를 가지도록 한다. 이는 송신 회로의 출력 신호의 주파수가 송신 회로의 입력 클럭 보다 2배 높기 때문이다.
제3 클럭 디바이더(223)는 쓰기 모드인 경우에는 송신 회로의 입력 클럭(ICLK_DIST)을 수신 및 1/N 분주하여 딜레이 클럭(CLK_D)을 생성하고, 일기 모드인 경우에는 제2 클럭 디바이더(222)의 출력 클럭(PULL_UP/2)을 수신 및 1/N 분주하여 딜레이 클럭(CLK_D)을 생성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ICLK_IN, ICLK_DIST, PULL_UP의 높은 주파수를 충분히 낮춘 후, 클럭간 위상차를 비교 분석하도록 한다. 또한 쓰기 모드인 경우에서는 ICLK_DIST, 읽기 모드에서는 PULL_UP 신호를 피드백 클럭으로 이용하는 데, 이는 쓰기 모드에서는 ICLK_DIST가 수신 data의 샘플링 클럭으로 사용 되고, 읽기 모드에서는 RDQS(=PULL_UP)가 data와 같은 주파수로 출력되는 신호이기 때문이다.
제어부(224)는 전원 잡음이 없을 때 기준 클럭(CLK_REF)과 딜레이 클럭(CLK_D)간의 지연과, 전원 잡음이 있을 때 기준 클럭(CLK_REF)과 딜레이 클럭(CLK_D)간의 지연을 각각 획득한 후 서로 비교하여, 전원 잡음 발생 여부에 따른 지연 증감을 파악한다. 그리고 지연 증감에 상응하는 신호 값을 가지는 에러 신호(S_error)를 생성 및 출력한다.
전원 잡음 수신부(225)는 어커뮬레이터(Accumulator)의 경우에는 업/다운 카운터(up/down counter)로 구현 가능하고, 잡음 증폭기(noise amplifier)의 경우에는 이득 조절이 가능한 VGA(variable gain amplifier)로 구현되는 비교기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전원 잡음을 기준 전압(VREF)에 비교하여 잡음 부호 신호(S_noise)를 생성 및 출력한다.
제어 신호 생성부(226)는 믹서(226_1), 합산기(226_2), 제1 제어 신호 생성부(226_3), 제2 제어 신호 생성부(226_4) 등을 구비하여, 에러 신호(S_error)와 잡음 부호 신호(S_noise)에 기반하여 제1 및 제2 이득(W1, W2)를 업데이트하고, 이를 반영한 제1 및 제2 제어 신호(W1*NOISE, W2*NOISE)를 생성 및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쓰기 모드인 경우에는, 믹서(226_1) 및 합산기(226_2)를 통해 에러 신호(S_error)와 잡음 부호 신호(S_noise)를 곱한 후 현재의 제1 이득(W1)에 더하여 에러 신호의 크기가 최소화되는 새로운 제1 이득(W1)을 획득한다. 그리고 제1 제어 신호 생성부(226_3)를 통해 새로운 제1 이득(W1)과 전원 잡음(NOISE)을 곱하여, 제1 제어 신호(W1*NOISE)를 생성 및 출력한다.
반면 읽기 모드인 경우에는 믹서(226_1) 및 합산기(226_2)를 통해 에러 신호(S_error)와 잡음 부호 신호(S_noise)를 곱한 후 현재의 제2 이득(W2)에 더하여 제2 이득(W2)을 획득하고, 제2 제어 신호 생성부(226_4)를 통해 새로이 획득된 제2 이득(W2)과 전원 잡음(NOISE)를 곱하여 제2 제어 신호(W2*NOISE)를 생성 및 출력한다.
스위칭부(227)는 합산기(226_2)와 제1 제어 신호 생성부(226_3) 사이와 송신 회로의 입력단과 제3 클럭 디바이더(223) 사이에 각각 위치되어, 쓰기 모드시에 턴온되는 두 개의 제1 스위치(SW1)와, 합산기(226_2)와 제2 제어 신호 생성부(226_4) 사이와 송신 회로의 출력단과 제3 클럭 디바이더(223) 사이에 각각 위치되어, 읽기 모드시에 턴온되는 두 개의 제2 스위치(SW2)를 구비한다.
즉, DRAM의 동작 모드에 따라 합산기(226_2)의 신호 출력 경로와. 제3 클럭 디바이더(223)의 신호 입력 경로를 변경해주도록 한다. 이때, DRAM의 동작 모드는 읽기 명령어(READ)를 사용하게 용이하게 확인 가능할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224)는 TDC(Time-to-Tigital Converter)(224_1), CNT(counter)(224_2), DLF(Digital Loop Filter)(224_3), 레지스터(224_4),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224_5), 클럭 수신부(224_6), 및 에러 신호 생성부(224_7) 등을 포함한다.
TDC(224_1)는 기준 클럭(CLK_REF)와 딜레이 클럭(CLK_D)의 위상차를 시간 도메인으로 변환하고, CNT(counter)(224_2)는 TDC(224_1)의 지연 시간을 카운팅하고, DLF(224_3)는 CNT(224_2)의 출력을 수신 및 평균하여 디지털 코드(LPF_CODE)를 생성 및 출력한다.
레지스터(224_4)는 기 설정된 기준 코드(REF_CODE)를 저장한다. 이때, 기준 코드(REF_CODE)는 전원 잡음이 없는 경우에 획득되는 LPF_CODE이다.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224_5)는 도 8에서와 같이, 디지털 코드(LPF_CODE)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불감대(DEAD ZONE)로의 진입 여부를 확인하고, 불감대(DEAD ZONE) 미진입시에만 인에이블 신호를 활성화한다. 즉, 디지털 코드(LPF_CODE)의 변동량이 불감대(DEAD ZONE)에 진입하면, 에러가 최소가 되는 이득이 획득되었다고 판단하고 인에이블 신호를 비활성화시킴으로써, 적응 필터(220)의 동작(특히, 제1 내지 제3 클럭 디바이더의 동작)이 중지되도록 한다.
클럭 수신부(224_6)는 인에이블 신호가 활성화되면, 기준 클럭(CLK_REF)를 에러 신호 생성부(224_7)의 동작 클럭로써 획득 및 제공한다.
에러 신호 생성부(224_7)는 디지털 코드(LPF_CODE)와 기준 코드(REF_CODE)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값에 상응하는 에러 신호(S_error)를 생성 및 출력한다. 즉, 디지털 코드(LPF_CODE)가 기준 코드(REF_CODE)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1”을, 그렇지 않을 때에는 “0"의 신호값을 가지는 에러 신호 신호(S_error)를 생성 및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적응 필터는 제어부를 통해 이득 캘리브레이션(gain calibration)을 수행하고, 이득 캘리브레이션이 완료되면, 더 이상 적응 필터 동작을 위한 피드백 루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적응 필터는 DLL을 이용하여 전원 잡음을 보상하는 방식에 비해 전력 소모량을 줄일 수 있으며, 이득 잠금 이후 피드-포워드(feed-foreword)로 동작하기 때문에 DLL에 비해 좀 더 높은 주파수의 전원 잡음에도 대응이 가능한 장점(DLL에 비해 넓은 대역폭을 가짐)을 가지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6)
- 입력 클럭쌍을 1/N(N=2n n은 1 이상의 자연수) 분주하여 2×N개의 분주 클럭을 생성 및 출력하는 클럭 디바이더;
쓰기 모드시에는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지연 클럭 지터를 상쇄시키고, 읽기 모드시에는 제2 제어 신호(W2*NOISE)를 이용하여 데이터 지터를 상쇄시키는 VCDL(Voltage Controlled Delay Line);
쓰기 및 읽기 모드 각각에서 지터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제1 및 제2 이득을 추적한 후, 상기 제1 및 제2 이득에 전원 잡음을 곱하여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VCDL에 제공하는 적응 필터;
상기 VCDL를 통해 지터 제거된 2×N개의 분주 클럭을 드라이빙하는 드라이버; 및
상기 2×N개의 분주 클럭을 분배하여 다수의 송신/수신 회로 각각에 전달하는 클럭 분배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상기 전원 잡음과 반대되는 위상을 가지며,
상기 VCDL은
쓰기 모드일 때에는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전달하고, 읽기 모드일 때에는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전달하는 먹스; 및
상기 2×N개의 분주 클럭 각각에 대응되며, 트랜지스터로 구현된 다수의 지연 소자를 구비하는 2×N개의 지연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지연 소자는
전원 전압에 변동되는 트랜지스터 전류 도통 속도를 상기 제1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잡음에 둔감한 클럭 분배 네트워크.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 필터는
상기 클럭 디바이더의 출력 클럭 중 하나를 1/N 분주하여 기준 클럭을 생성하는 제1 클럭 디바이더;
송신 회로의 출력 신호를 1/2 분주하는 제2 클럭 디바이더;
쓰기 모드인 경우에는 송신 회로의 입력 클럭을 1/N 분주하고, 읽기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제2 클럭 디바이더의 출력 클럭을 1/N 분주하여 딜레이 클럭을 생성하는 제3 클럭 디바이더;
상기 기준 클럭과 상기 딜레이 클럭에 기반하여 전원 잡음 발생 여부에 따른 지연 증감을 파악하고, 지연 증감에 상응하는 신호 값을 가지는 에러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는 제어부;
전원 잡음을 기준 전압에 비교하여 잡음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는 전원 잡음 수신부; 및
상기 에러 신호와 상기 잡음 신호에 기반하여 제1 및 제2 이득을 업데이트한 후, 상기 업데이트된 제1 및 제2 이득에 전원 잡음을 곱하여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잡음에 둔감한 클럭 분배 네트워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클럭과 상기 딜레이 클럭의 위상차를 시간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TDC(Time-to-Tigital Converter);
상기 TDC의 지연 시간을 카운팅하는 CNT(counter);
상기 CNT의 출력을 기 설정 시간 동안 수집 및 평균하여 디지털 코드를 생성하는 DLF(Digital Loop Filter);
기 설정된 기준 코드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상기 디지털 코드의 변동량이 기 설정된 불감대에 진입하면, 인에이블 신호를 비활성화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활성화시키는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디지털 코드와 상기 기준 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에러 신호를 생성하는 에러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잡음에 둔감한 클럭 분배 네트워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 필터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비활성화되는 경우, 동작 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잡음에 둔감한 클럭 분배 네트워크. - 제1항, 제 3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원 잡음에 둔감한 클럭 분배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6950A KR102458769B1 (ko) | 2020-08-25 | 2020-08-25 | 전원 잡음에 둔감한 클럭 분배 네트워크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6950A KR102458769B1 (ko) | 2020-08-25 | 2020-08-25 | 전원 잡음에 둔감한 클럭 분배 네트워크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26204A KR20220026204A (ko) | 2022-03-04 |
KR102458769B1 true KR102458769B1 (ko) | 2022-10-26 |
Family
ID=80814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6950A KR102458769B1 (ko) | 2020-08-25 | 2020-08-25 | 전원 잡음에 둔감한 클럭 분배 네트워크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8769B1 (ko)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81035A (ko) * | 2009-01-05 | 2010-07-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클럭 신호 발생 회로 |
KR101559501B1 (ko) * | 2009-04-08 | 2015-10-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지터를 보상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및 지터 보상 방법 |
-
2020
- 2020-08-25 KR KR1020200106950A patent/KR102458769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26204A (ko) | 2022-03-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449377B1 (en) | Methods and apparatuses including command delay adjustment circuit | |
US6650157B2 (en) | Using a push/pull buffer to improve delay locked loop performance | |
US9202542B2 (en) | Power supply induced signal jitter compensation | |
US20020015338A1 (en) | Delay locked loop for use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US8032778B2 (en) | Clock distributio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 |
US10044359B1 (en) | Injection locked phase locked loop | |
JP2007097135A (ja) | ロックフェイル防止のための遅延固定ループクロックの生成方法及びその装置 | |
US20060152260A1 (en) | Semiconductor device having delay drift compensation circuit that compensates for delay drift caused by temperature and voltage variations in clock tree | |
KR20100095262A (ko) | 지연 동기 루프 회로 및 지연 동기 루프 회로의 동작 방법 | |
KR20210109328A (ko) | 클럭 생성 회로, 이를 이용하는 반도체 장치 | |
US8704561B2 (en) | Delay locked loop | |
JP2000357963A (ja) | 遅延ロックループ回路 | |
US7202714B2 (en) | Amplifier circuit with output delay selectively changed according to common mode voltage level, associated replica delay circuit and internal clock generator | |
US7227396B2 (en) | Clock signal input/output device for correcting clock signals | |
KR102458769B1 (ko) | 전원 잡음에 둔감한 클럭 분배 네트워크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
KR20210151399A (ko) | 바이어스 생성 회로, 바이어스 생성 회로를 포함하는 버퍼 회로 및 버퍼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 |
KR20210069530A (ko) | 다위상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는 반도체 장치 | |
US20100118626A1 (en) | Delay device for shifting phase of strobe signal | |
US9190125B2 (en) | Clock generation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mploying the same | |
US7471157B2 (en) | Low power/zero-offset charge pump circuits for DLLs and PLLs | |
JP7351632B2 (ja) | 位相ロックループ回路を含む集積回路 | |
US7269093B2 (en) | Generating a sampling clock signal in a communication block of a memory device | |
KR100885486B1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 | |
KR20000031481A (ko) | 클럭신호의 지연을 가변시키는 지연동기루프 및 이를 채용한 반도체 메모리장치 | |
KR20000043819A (ko) | 클럭 발생기를 가지는 위상 동기 루프 회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