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8619B1 - 명령어 카드가 배치되는 카드 슬롯을 포함하는 카드 보드 - Google Patents

명령어 카드가 배치되는 카드 슬롯을 포함하는 카드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8619B1
KR102458619B1 KR1020200188158A KR20200188158A KR102458619B1 KR 102458619 B1 KR102458619 B1 KR 102458619B1 KR 1020200188158 A KR1020200188158 A KR 1020200188158A KR 20200188158 A KR20200188158 A KR 20200188158A KR 102458619 B1 KR102458619 B1 KR 102458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ommand
control
disposed
card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6040A (ko
Inventor
정용비
Original Assignee
정용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비 filed Critical 정용비
Priority to KR1020200188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8619B1/ko
Publication of KR20220096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53Computers, e.g. programm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1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 G09B23/183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circuits
    • G09B23/18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circuits for digital electronics; for computers, e.g. microproc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명령어 카드가 배치되는 카드 슬롯을 포함하는 카드 보드가 개시된다. 카드 보드는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명령어 카드가 배치될 수 있는 복수의 카드 슬롯들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 카드는, 제어 객체를 구성하는 객체 블록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나타내고, 상기 카드 슬롯에 배치되는 명령어 카드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객체를 구성하는 객체 블록이 제어될 수 있다.

Description

명령어 카드가 배치되는 카드 슬롯을 포함하는 카드 보드 {CARD BOARD INCLUDING CARD SLOT FOR DISPOSITION COMMAND CARD}
본 발명은 명령어 카드가 배치되는 카드 슬롯을 포함하는 카드 보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코딩 교육이 활성화되면서 다양한 방식으로 코딩이 가능한 방식의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코딩을 위해서 어린이들에게 보다 직관적이고 쉬운 방식의 접근이 필요하나, 대부분 사용이 어렵고 이해하기 어려운 제품이 대부분이었다.
그래서, 코딩을 처음 배우는 어린이들도 보다 쉽고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명령어 카드를 카드 보드의 카드 슬롯에 배치하여 명령어 카드를 통해 결정된 제어 명령을 통해 카드 보드로부터 제어 객체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명령어 카드를 카드 슬롯에 배치하는 매우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로 제어 객체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 보드는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명령어 카드가 배치될 수 있는 복수의 카드 슬롯들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 카드는, 제어 객체를 구성하는 객체 블록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나타내고, 상기 카드 슬롯에 배치되는 명령어 카드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객체를 구성하는 객체 블록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 카드는, 상기 객체 블록에 대응하는 명령어 카드, 상기 객체 블록을 정량적인 속성에 따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 카드 및 상기 객체 블록을 정성적인 속성에 따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드 슬롯에 명령어 카드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카드 슬롯이 상기 명령어 카드를 인식하고, 상기 카드 슬롯의 윗면과 상기 명령어 카드의 아랫면에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드 슬롯에 명령어 카드가 배치될 때, 상기 명령어 카드가 상기 카드 슬롯에서 인식되는 센서의 패턴에 따라 제어 명령이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명령어 카드가 카드 슬롯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명령어 카드가 서로 연결된 형태로 배치되면, 연결된 방향으로 제어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 카드가 카드 슬롯에 서로 연결된 형태로 배치될 때, 가장 처음에 배치되는 명령어 카드는, 상기 제어 객체의 객체 블록에 대응하는 명령어 카드일 수 있다.
상기 카드 슬롯에 서로 연결된 형태로 명령어 카드가 배치된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명령어 카드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이 순차적으로 실행되거나 또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서로 연결된 명령어 카드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이 한번에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통해 카드 보드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은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에 가상의 카드 보드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명령어 카드가 상기 카드 보드의 복수의 카드 슬롯들에 배치되고, 상기 명령어 카드는, 제어 객체를 구성하는 객체 블록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나타내고, 상기 카드 슬롯에 배치되는 명령어 카드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객체를 구성하는 객체 블록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 카드는, 상기 객체 블록에 대응하는 명령어 카드, 상기 객체 블록을 정량적인 속성에 따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 카드 및 상기 객체 블록을 정성적인 속성에 따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드 슬롯에 명령어 카드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카드 슬롯이 상기 명령어 카드를 인식할 수 있고, 상기 카드 슬롯의 윗면과 상기 명령어 카드의 아랫면에 적어도 하나의 가상의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드 슬롯에 명령어 카드가 배치될 때, 상기 명령어 카드가 상기 카드 슬롯에서 인식하는 센서의 패턴에 따라 제어 명령이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명령어 카드가 카드 슬롯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명령어 카드가 서로 연결된 형태로 배치되면, 연결된 방향으로 제어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 카드가 카드 슬롯에 서로 연결된 형태로 배치될 때, 가장 처음에 배치되는 명령어 카드는, 상기 제어 객체의 객체 블록에 대응하는 명령어 카드일 수 있다.
상기 카드 슬롯에 서로 연결된 형태로 명령어 카드가 배치된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명령어 카드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이 순차적으로 실행되거나 또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서로 연결된 명령어 카드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이 한번에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어 카드를 카드 보드의 카드 슬롯에 배치하여 명령어 카드를 통해 결정된 제어 명령을 통해 카드 보드로부터 제어 객체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명령어 카드를 카드 슬롯에 배치하는 매우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로 제어 객체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 보드와 제어 객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명령어 카드와 카드 슬롯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명령어 카드의 조합을 통해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명령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명령어 카드에서 생성될 수 있는 제어 명령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객체와 객체 블록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객체 블록과 명령어 카드 간의 대응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명령어 카드의 배치에 따라 생성되는 제어 명령의 종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의 카드 보드와 가상의 제어 객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제의 카드 보드와 가상의 제어 객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의 카드 보드와 실제의 제어 객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의 카드 보드와 가상의 제어 객체가 하나의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 개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 보드와 제어 객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카드 보드(100)와 제어 객체(103)가 도시된다. 카드 보드(100)는 명령어 카드(101)가 배치될 수 있는 복수의 카드 슬롯(102)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객체(103)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객체 블록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 객체(103)는 카드 슬롯(102)에 배치된 명령어 카드(101)의 조합에 따라 결정된 제어 명령을 통해 객체 블록이 제어될 수 있다. 즉, 객체 블록이 제어됨에 따라 제어 객체도 함께 제어될 수 있다. 객체 블록은 프로세서, 배터리, 통신 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명령어 카드(101)와 각각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객체 블록들 간에 서로 통신이 가능하다.
명령어 카드(101)는 객체 블록들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카드로서, 사용자가 카드 슬롯(102)에 배치하는 명령어 카드(101)의 조합에 따라 결정된 제어 명령을 통해 제어 객체(103)가 제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카드 슬롯(102)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령어 카드(101)를 배치하는 것만으로도 제어 객체(103)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어 객체(103)의 제어 결과에 따라 카드 슬롯(102)에 배치하는 명령어 카드(101)를 바꾸면서 명령어 카드(101)에 따라 결정되는 제어 명령을 변경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코딩에 대한 개념을 보다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명령어 카드와 카드 슬롯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명령어 카드(10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카드 보드(100)에 배치된 카드 슬롯(102)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배치된다는 의미는 사용자의 이동 명령이나 동작에 따라 명령어 카드(101)가 카드 슬롯(102)에 근접하여 명령어 카드(101)가 카드 슬롯(102)에 삽입되어 서로 접촉하거나 또는 카드 슬롯(102)이 명령어 카드(101)를 인식할 수 있는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인 것을 의미한다. 명령어 카드(101)의 하단면에 센서(201)의 패턴이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카드 슬롯(102)의 표면에도 명령어 카드(101)와 유사하게 센서(201)의 패턴이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명령어 카드(101)를 카드 슬롯(102)에 배치하는 경우, 명령어 카드(101)의 센서(201)와 카드 슬롯(102)의 센서(202)가 어떤 방식으로 매핑되는 지에 따라 명령어 카드(102)의 제어 명령이 결정될 수 있다. 도 2에서 센서(201)와 센서(202)는 서로 접촉되어 인식될 수는 터치 센서이거나 또는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더라도 인식될 수 있는 근거리 통신 센서(ex. RFID)일 수 있다. 근거리 통신 센서인 경우에, 센서(201)와 센서(202) 중 어느 하나는 태그가 되고, 나머지 하나는 리더가 될 수 있다.
도 2에서 센서(201)와 센서(202)는 검은색 또는 흰색으로 표시된 원으로 표현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201)와 센서(202)의 개수는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명령어 카드(101)의 센서(201)와 카드 슬롯(102)의 센서(202)가 어떻게 맵핑되는지에 따라 명령어 카드(101)의 제어 명령이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카드 슬롯(102)의 센서(202)의 패턴은 고정되지만, 명령어 카드(101)의 센서(201)의 패턴은 사용자가 명령어 카드(101)를 어떤 방향으로 카드 슬롯(102)에 배치하는지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명령어 카드(101)는 사용자가 카드 슬롯(102)에 배치하는 방향에 따라 4가지의 센서(201)의 맵핑 관계가 설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명령어 카드(101)를 회전시켜가면서 카드 슬롯(102)에 명령어 카드(101)를 배치할 수 있고, 명령어 카드(101)가 어떤 방향으로 카드 슬롯(102)에 배치되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 명령이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에서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명령어 카드(101)의 배치 상태에 따라 결정된 제어 명령은 명령어 카드(101)에 포함된 통신 방식(예를 들면, NFC, 블루투스 등)에 기초하여 제어 객체의 객체 블록에 전송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명령어 카드의 조합을 통해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의 A 및 B를 참고하면, 카드 보드(100)에 배치된 명령어 카드(101-1~101-3)이 배치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의 A, B에서 볼 수 있듯이, 제어 객체(103)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카드 보드(100)에 배치하는 명령어 카드들 중 가장 처음에 객체 블록에 대응하는 명령어 카드(101-1)가 배치될 필요가 있다. 그 이후에 객체 블록에 대응하는 명령어 카드(101-1) 이후에 정량적인 값(ex. 횟수, 개수), 속성(ex. 방향, 속도(빠르게/느리게), 색상, 크기) 등을 나타내는 명령어 카드(101-2~101-3)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의 A의 경우, 3개의 명령어 카드(101-1~101-3)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3개의 명령어 카드(101-1~101-3)의 조합에 따라 제어 명령 P가 생성되어 제어 객체(103)에 전송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3의 B의 경우, 3개의 명령어 카드(101-1~101-3)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3개의 명령어 카드(101-1~101-3)의 조합에 따라 제어 명령 Q가 생성되어 제어 객체(103)에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도 3의 A에서 명령어 카드(101-2)는 "빠르게"라는 제어 명령을 나타내나, 도 3의 B에서 명령어 카드(101-2)는 도 3의 명령어 카드(101-2)를 180도 회전하여 배치한 결과로서 "느리게"와 같은 다른 제어 명령이 생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명령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카드 보드(100)에서 복수의 카드 슬롯(102)들에 배치된 명령어 카드(101-1~101-8)들의 배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명령어 카드(101-1)는 음악이라는 종류를 나타내는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로봇과 같은 특정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명령어 카드 이외에도 특정 컨텐츠와 같은 소프트웨어를 지칭하는 명령어 카드(101-1)가 배치될 수 있다.
이 후에, 사용자가 스피커에 대응하는 객체 블록(101-2)을 나타내는 명령어 카드(101-2)를 배치한 후에 노래 X에 대응하는 명령어 카드(101-3), 피아노에 대응하는 명령어 카드(101-4), 기타(101-5)에 대응하는 명령어 카드(101-5), 1회 재생에 대응하는 명령어 카드(101-6)이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명령어 카드(101-4) 내지 명령어 카드(101-6)의 조합에 의해 스피커를 통해 노래 X를 피아노, 기타의 조합으로 1회 재생하라는 제어 명령이 생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마이크(101-7)에 대응하는 명령어 카드(101-7)와 2분 녹음에 대응하는 명령어 카드(101-8)가 연속하여 배치되는 경우, 마이크로 2분 동안 녹음하라는 제어 명령이 생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명령어 카드에서 생성될 수 있는 제어 명령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명령어 카드(101)는 카드 보드(100)의 카드 슬롯(102)에 배치될 수 있다. 명령어 카드(101-1~101-4)는 동일한 종류의 명령어 카드를 사용자가 서로 다른 각도로 회전시켜 카드 슬롯(102)에 배치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즉, 동일한 명령어 카드에 대해 서로 다른 각도로 회전시켜 카드 슬롯(102)에 배치함으로써 서로 다른 제어 명령들이 생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명령어 카드가 카드 슬롯에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 명령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령어 카드(101-1)은 제어 명령 A에 대응되고, 명령어 카드(101-1)을 90도 회전하여 명령어 카드(101-2)와 같은 방향으로 카드 슬롯(102)에 배치하면 제어 명령 B에 대응될 수 있다. 유사하게, 명령어 카드(101-2)을 90도 회전하여 명령어 카드(101-3)와 같은 방향으로 카드 슬롯(102)에 배치하면 제어 명령 C에 대응될 수 있다. 명령어 카드(101-3)을 90도 회전하여 명령어 카드(101-4)와 같은 방향으로 카드 슬롯(102)에 배치하면 제어 명령 D에 대응될 수 있다. 이는 명령어 카드(101-1~101-4)의 하단면에 배치된 센서의 패턴과 카드 슬롯(102)에 배치된 센서의 패턴이 어떻게 매핑되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 명령이 생성될 수 있다.
하지만, 명령어 카드(101-5)와 같이 하나의 센서가 중간에 위치하는 경우, 카드 슬롯(102)에 배치되는 방향과 무관하게 하나의 제어 명령 E가 결정될 수 있다. 다만, 하나의 센서가 명령어 카드(101)의 하단면에서 어느 하나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경우, 명령어 카드(101)가 카드 슬롯(102)에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 다른 제어 명령이 생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객체와 객체 블록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제어 객체(103)은 복수의 객체 블록들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객체 블록은 근접 센서, 디스플레이, 배터리, 모터, RGB 센서 등 제어 객체(103)에 포함된 구성 요소일 수 있다. 객체 블록은 사용자에 의해 분해되거나 또는 조립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조립되어 제어 객체(103)가 결정될 수 있다.
도 6의 경우, 자동차와 같은 제어 객체(103)가 제작되었으나. 객체 블록들이 어떻게 연결되어 조립되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 객체(103)가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객체 블록들은 선을 통해 연결되지 않을 수 있으며, 객체 블록들 간에 통신이 가능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객체 블록과 명령어 카드 간의 대응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객체 블록들 (LCD, 배터리, 모터, 회전, 센서, 볼, 바퀴 등) 각각에 대응하는 명령어 카드(101)의 예시가 도시된다. 특정 객체를 나타내는 명령어 카드(101)가 카드 보드(100)에서 가장 처음에 배치된 이후에 특정 객체와 관련된 정성적인 속성이나 정량적인 값에 대응하는 명령어 카드(101)가 카드 보드(100)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명령어 카드(101)에 표시된 식별자(문자, 아이콘, 이미지 등)을 확인하면서, 명령어 카드(101)를 통해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객체 블록), 제어하고자 하는 속성(정량적인 특징, 정성적인 특징)를 고려하여 카드 보드(100)의 카드 슬롯(102)에 명령어 카드(101)를 배치할 수 있다.
만약에 정해진 규칙에 따라 명령어 카드(101)가 카드 보드(100)에 배치되지 않는 경우, 카드 보드(100)는 잘못 배치된 명령어 카드(101)가 카드 슬롯(102)에 배치되는 시점에서 음성이나 진동 등으로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명령어 카드(101)를 정해진 규칙에 따라 배치하지 않은 경우 (예를 들면, 객체 블록에 대응하는 명령어 카드(101)가 가장 처음 배치되지 않은 경우), 객체 블록에 대응하는 명령어 카드(101)를 먼저 배치하라는
또한, 사용자가 카드 보드(100)의 카드 슬롯(102)에 명령어 카드(101)를 배치할 때마다 명령어 카드(101)가 의미하는 제어 명령을 음성이나 텍스트 형태로 카드 보드(100)가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명령어 카드(101)가 카드 슬롯(102)에 배치되면, "왼쪽 방향"과 같이 명령어 카드(101)가 의미하는 제어 명령을 음성이나 텍스트로 외부로 설명함으로써, 사용자가 배치한 명령어 카드(101)가 어떤 제어 명령을 나타내는지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명령어 카드의 배치에 따라 생성되는 제어 명령의 종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카드 보드(100)의 카드 슬롯(102)에 명령어 카드(101)가 배치되는 경우, 명령어 카드(101)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방향으로 명령어 카드(101)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사용자가 카드 보드(100)에 배치된 명령어 실행 버튼을 1번씩 누르면서, 명령어 카드(101)가 나타내는 제어 명령에 따라 제어 객체(103)가 제어되는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명령어 실행 버튼은 한번에 1줄씩 명령어 카드(101)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이 실행되거나 또는 하나의 명령어 카드(101)들 각각에 대해 제어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도 8은 카드 보드(100) 상에서 사용자가 명령어 카드(101)를 카드 슬롯(102)에 배치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8의 A는 명령어 카드(101)를 행 방향으로 나열된 결과이다. 이 경우, 카드 보드(100)의 카드 슬롯(102)에 명령어 카드(101)들이 특정 행에서 연속적으로 배치된 경우, 왼쪽에서 오른쪽 또는 오른쪽에서 왼쪽과 같이 행 방향으로 명령어 카드(101)가 나타내는 제어 명령이 순차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도 8의 B는 명령어 카드(101)를 열 방향으로 나열된 결과이다. 이 경우, 카드 보드(100)의 카드 슬롯(102)에 명령어 카드(101)들이 특정 열에서 연속적으로 배치된 경우, 위쪽에서 아래쪽 또는 아래쪽에서 위쪽과 같이 열 방향으로 명령어 카드(101)가 나타내는 제어 명령이 순차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도 8의 C는 카드 보드(100)에 배치된 명령어 카드(101)들 중 어느 하나의 명령어 카드(101)(ex. Yes or NO)와 같이 명령어 카드(101)의 실행 방향이 분기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분기된 경로에 위치한 명령어 카드(101)에 따라 어느 하나의 경로로 제어 명령이 실행된다. 도 8의 C의 경우, 분기된 명령어 카드(101)에 대응하는 결과에 따라, 그 이후에 행 방향으로 실행되거나 또는 열 방향으로 배치된 명령어 카드(101)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이 순차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도 8에서 제어 명령이 실행되는 방향에서 가장 처음에 위치하는 명령어 카드(101)는 객체 블록에 대응하는 명령어 카드(101)일 수 있다. 그래서, 객체 블록에 대응하는 명령어 카드(101)가 배치된 위치부터 제어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객체 블록에 대응하는 명령어 카드(101)가 배치된 이후에 추가적으로 명령어 카드(101)가 배치되면, 카드 보드(100)는 명령어 카드(101)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이 실행되는 방향을 텍스트, 음성, 광 등을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떤 방향으로 제어 명령이 실행되는지를 확인할 수 이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의 카드 보드와 가상의 제어 객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경우, 카드 보드(100)와 제어 객체(103)는 모두 실제 환경에서 적용되는 하드웨어로 구성된 것이나, 도 9의 경우, 카드 보드(100)와 제어 객체(103)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각각 사용자 단말(901) 및 사용자 단말(902)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현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901)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가상의 카드 보드(100)의 카드 슬롯(102)에 명령어 카드(101)를 손가락이나 기타 입력도구를 통해 이동시켜 배치함으로써 사용자 단말(902)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가상의 제어 객체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901)과 사용자 단말(902)은 유선 또는 무선과 같은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제의 카드 보드와 가상의 제어 객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경우, 카드 보드(100)와 제어 객체(103)는 모두 실제 환경에서 적용되는 하드웨어로 구성된 것이나, 도 10의 경우, 카드 보드(100)는 실제 환경에서 제공되는 하드웨어인 반면에, 제어 객체(103)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사용자 단말(1001)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현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즉, 사용자는 실제의 카드 보드(100)의 카드 슬롯(102)에 명령어 카드(101)를 배치하면, 사용자 단말(1001)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가상의 제어 객체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드 보드(100)와 사용자 단말(1001)은 유선 또는 무선과 같은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의 카드 보드와 실제의 제어 객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경우, 카드 보드(100)와 제어 객체(103)는 모두 실제 환경에서 적용되는 하드웨어로 구성된 것이나, 도 11의 경우, 카드 보드(100)는 가상으로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사용자 단말(1101)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현되고, 제어 객체(103)는 실제 환경에서 제공되는 하드웨어로 구현된 경우를 설명한다.
즉, 사용자는 가상의 카드 보드(100)의 카드 슬롯(102)에 명령어 카드(101)를 손가락이나 기타 입력도구를 통해 이동시켜 배치함으로써, 실제 환경에서 하드웨어로 구현된 제어 객체(103)가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카드 보드(100)를 표현하는 사용자 단말(1101)과 제어 객체(103)는 유선 또는 무선과 같은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의 카드 보드와 가상의 제어 객체가 하나의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경우, 카드 보드(100)와 제어 객체(103)는 모두 실제 환경에서 적용되는 하드웨어로 구성된 것이나, 도 12의 경우, 도 9와 마찬가지로 카드 보드(100)와 제어 객체(103)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경우를 설명한다. 다만, 도 12의 경우, 가상의 카드 보드(100)와 가상의 제어 객체가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1200)의 디스플레이에서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 영역(1201)과 인터페이스 영역(1202)에 각각 표시되는 경우이고, 도 9는 가상의 카드 보드(100)와 가상의 제어 객체가 서로 다른 사용자 단말(901) 및 사용자 단말(902)에서 각각 표시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200)의 디스플레이의 인터페이스 영역(1201)에 표시된 가상의 카드 보드(100)의 카드 슬롯(102)에 명령어 카드(101)를 손가락이나 기타 입력도구를 통해 이동시켜 배치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200)의 인터페이스 영역(1202)에 표시된 가상의 제어 객체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되어 마그네틱 저장매체, 광학적 판독매체, 디지털 저장매체 등 다양한 기록 매체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각종 기술들의 구현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조직으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들은 데이터 처리 장치, 예를 들어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의 동작에 의한 처리를 위해, 또는 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즉 정보 캐리어, 예를 들어 기계 판독가능 저장 장치(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또는 전파 신호에서 유형적으로 구체화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들)과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된 또는 인터프리트된 언어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록될 수 있고, 독립형 프로그램으로서 또는 모듈, 구성요소, 서브루틴, 또는 컴퓨팅 환경에서의 사용에 적절한 다른 유닛으로서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서 하나의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 상에서 처리되도록 또는 다수의 사이트들에 걸쳐 분배되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처리에 적절한 프로세서들은 예로서, 범용 및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둘 다, 및 임의의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둘 다로부터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요소들은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들, 예를 들어 자기, 자기-광 디스크들, 또는 광 디스크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이것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이것들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양쪽으로 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구체화하는데 적절한 정보 캐리어들은 예로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특수 목적 논리 회로조직에 의해 보충되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매체일 수 있고, 컴퓨터 저장매체 및 전송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장치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카드 보드
101: 명령어 카드
102: 카드 슬롯
103: 제어 객체

Claims (14)

  1. 카드 보드에 있어서,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명령어 카드가 배치될 수 있는 복수의 카드 슬롯들
    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 카드는,
    제어 객체를 구성하는 객체 블록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나타내고,
    상기 카드 슬롯에 배치되는 명령어 카드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객체를 구성하는 객체 블록이 제어되고,
    상기 카드 슬롯에 상기 명령어 카드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카드 슬롯이 상기 명령어 카드를 인식하고, 상기 카드 슬롯의 윗면과 상기 명령어 카드의 아랫면에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배치되고,
    상기 카드 슬롯에 상기 명령어 카드가 배치될 때, 상기 카드 슬롯이 인식하는 상기 명령어 카드에 배치된 센서의 패턴에 따라 제어 명령이 다르게 결정되는 카드 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 카드는,
    상기 객체 블록에 대응하는 명령어 카드,
    상기 객체 블록을 정량적인 속성에 따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 카드 및
    상기 객체 블록을 정성적인 속성에 따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 카드를 포함하는 카드 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은,
    동일한 명령어 카드라도 상기 카드 슬롯에 서로 다른 각도로 회전시켜 배치하는 경우, 다르게 결정되는 카드 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명령어 카드와 상기 카드 슬롯에 배치된 센서의 패턴이 어떠한 각도에서도 매핑 되지 않는 경우, 동일한 명령어 카드를 상기 카드 슬롯에 서로 다른 각도로 회전시켜 배치하더라도 동일하게 결정되는 카드 보드.
  5.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명령어 카드가 카드 슬롯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명령어 카드가 서로 연결된 형태로 배치되면, 연결된 방향으로 제어 명령이 실행되는 카드 보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 카드가 카드 슬롯에 서로 연결된 형태로 배치될 때, 가장 처음에 배치되는 명령어 카드는, 상기 제어 객체의 객체 블록에 대응하는 명령어 카드인 카드 보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슬롯에 서로 연결된 형태로 명령어 카드가 배치된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명령어 카드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이 순차적으로 실행되거나 또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서로 연결된 명령어 카드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이 한번에 실행되는 카드 보드.
  8. 디스플레이를 통해 카드 보드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에 가상의 카드 보드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명령어 카드가 상기 카드 보드의 복수의 카드 슬롯들에 배치되고,
    상기 명령어 카드는,
    제어 객체를 구성하는 객체 블록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나타내고,
    상기 카드 슬롯에 배치되는 명령어 카드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객체를 구성하는 객체 블록이 제어되고,
    상기 카드 슬롯에 상기 명령어 카드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카드 슬롯이 상기 명령어 카드를 인식하고, 상기 카드 슬롯의 윗면과 상기 명령어 카드의 아랫면에 적어도 하나의 가상의 센서가 배치되고,
    상기 카드 슬롯에 상기 명령어 카드가 배치될 때, 상기 카드 슬롯이 인식하는 상기 명령어 카드에 배치된 가상의 센서의 패턴에 따라 제어 명령이 다르게 결정되는 사용자 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 카드는,
    상기 객체 블록에 대응하는 명령어 카드,
    상기 객체 블록을 정량적인 속성에 따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 카드 및
    상기 객체 블록을 정성적인 속성에 따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 카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은,
    동일한 명령어 카드라도 상기 카드 슬롯에 서로 다른 각도로 회전시켜 배치하는 경우, 다르게 결정되는 사용자 단말.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명령어 카드와 상기 카드 슬롯에 배치된 가상의 센서의 패턴이 어떠한 각도에서도 매핑 되지 않는 경우, 동일한 명령어 카드를 상기 카드 슬롯에 서로 다른 각도로 회전시켜 배치하더라도 동일하게 결정되는 사용자 단말.
  12.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명령어 카드가 카드 슬롯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명령어 카드가 서로 연결된 형태로 배치되면, 연결된 방향으로 제어 명령이 실행되는 사용자 단말.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 카드가 카드 슬롯에 서로 연결된 형태로 배치될 때, 가장 처음에 배치되는 명령어 카드는, 상기 제어 객체의 객체 블록에 대응하는 명령어 카드인 사용자 단말.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슬롯에 서로 연결된 형태로 명령어 카드가 배치된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명령어 카드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이 순차적으로 실행되거나 또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서로 연결된 명령어 카드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이 한번에 실행되는 사용자 단말.
KR1020200188158A 2020-12-30 2020-12-30 명령어 카드가 배치되는 카드 슬롯을 포함하는 카드 보드 KR102458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158A KR102458619B1 (ko) 2020-12-30 2020-12-30 명령어 카드가 배치되는 카드 슬롯을 포함하는 카드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158A KR102458619B1 (ko) 2020-12-30 2020-12-30 명령어 카드가 배치되는 카드 슬롯을 포함하는 카드 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040A KR20220096040A (ko) 2022-07-07
KR102458619B1 true KR102458619B1 (ko) 2022-10-25

Family

ID=82398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158A KR102458619B1 (ko) 2020-12-30 2020-12-30 명령어 카드가 배치되는 카드 슬롯을 포함하는 카드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861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511B1 (ko) 2015-09-25 2017-01-18 주식회사 로보로보 완구용 로봇 제어 시스템
JP2017121283A (ja) 2016-01-05 2017-07-13 株式会社セガ トイズ コーディング玩具、ブロック、ステージ、形象体玩具及びコーディン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356B1 (ko) * 2016-10-04 2018-08-28 (주)모션블루 블록을 이용한 코딩 교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062163B1 (ko) * 2017-12-06 2020-01-03 김진욱 장난감 식별 블록을 구비한 알고리즘 생성 장치
KR102128306B1 (ko) * 2018-02-20 2020-06-30 주식회사 뎁스 아이용 코딩학습시스템 및 방법
KR102175316B1 (ko) * 2018-12-12 2020-11-06 유준배 코딩교육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511B1 (ko) 2015-09-25 2017-01-18 주식회사 로보로보 완구용 로봇 제어 시스템
JP2017121283A (ja) 2016-01-05 2017-07-13 株式会社セガ トイズ コーディング玩具、ブロック、ステージ、形象体玩具及びコーディング方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37631호(2018.4.13. 공개) 1부.*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67035호(2019.6.14. 공개) 1부.*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71954호(2020.6.22. 공개)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040A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47198A (ko) 사용자 기록을 사용자 기록 가능 요소와 연관시키는 방법및 기기
US9996255B2 (en) Touch screen finger tracing device
KR20090102108A (ko) 터치스크린에서 화면 분할과 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WO2008013761A2 (en) Associating a region on a surface with a sound or with another region
WO2006076076A2 (en) Providing a user interface having interactive elements on a writable surface
KR20070047195A (ko) 상호작용 장치 및 방법
US2009024896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and using virtual flash cards
KR101676676B1 (ko) 저항과 자석이 내장된 카드키 및 보드를 이용한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용 키트 및 방법
KR101551462B1 (ko) 모듈형 학습 블럭
KR102458619B1 (ko) 명령어 카드가 배치되는 카드 슬롯을 포함하는 카드 보드
WO2014173549A1 (en) A method for interfacing between a device and information carrier with transparent area(s)
US20130056540A1 (en) Payment card comprising an electronic game chip
US7671269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graphical actuation of a velocity and directionally sensitive sound generation application
KR102338019B1 (ko) 펜모션 인식 멀티디바이스 콘텐츠 구현 시스템 및 방법
CN206584378U (zh) 感测装置及光学感测模块
US9134822B2 (en) Dot pattern recognizing device and content executing device
KR20120064206A (ko) 스마트 카드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로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102251867B1 (ko) 사물인터넷의 스타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코딩 교육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2866851A (zh) 信息处理装置及信息处理方法
CN105940361A (zh) 电子板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391401B1 (ko) 음악 데이터 생성 도구 및 재생 장치
KR200432663Y1 (ko) Mp3기능 및 컨텐츠 검색기능을 가지는 학습기
KR20230128702A (ko) 스마트 광학 팬의 이동 경로 인식 방법 및 장치
KR200426164Y1 (ko)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부재
KR101413277B1 (ko)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기호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