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8222B1 - 직수형 수소수 정수기 - Google Patents
직수형 수소수 정수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58222B1 KR102458222B1 KR1020200116291A KR20200116291A KR102458222B1 KR 102458222 B1 KR102458222 B1 KR 102458222B1 KR 1020200116291 A KR1020200116291 A KR 1020200116291A KR 20200116291 A KR20200116291 A KR 20200116291A KR 102458222 B1 KR102458222 B1 KR 1024582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filter
- supplied
- purified
- pipe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3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8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JEGUKCSWCFPDGT-UHFFFAOYSA-N h2o hydrate Chemical compound O.O JEGUKCSWCFPDGT-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5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809 water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68 elect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2289 Dement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10 cooling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307 prosta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temperature sett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reduc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수형 수소수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수도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정화하여 정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필터고정체에 착탈 가능하게 다수의 제1필터가 배열된 물정화본체가 구비되고, 착탈에 따른 유로의 개폐에 의해 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물정화본체로부터 공급되는 정수를 다시 정화하여 수소수 또는 정수를 생성하기 위해 제2필터모듈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필터, 제2필터에서 공급되는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수소수를 생성하는 전해조 및 전해조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토출되는 출수부로 구성되는 정수기본체로 이루어져, 상기 정수기본체가 방향성을 갖도록 물정화본체의 일측에서 방향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직수로 공급되는 물을 상태에 따라 필터의 개수를 달리하여 물의 정화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필터의 사용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는 것은 물론 깨끗하게 정화된 정수를 이용하여 수소수의 생성이 용이하고, 물정화본체를 기준으로 정수기본체의 방향성을 조절하여 설치환경에 따라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현장에 따른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직수형 수소수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도와 직접 연결되는 연결호수를 통해 물이 직접 공급되어 물의 상태에 따라 필터의 개수를 달리하여 물의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물론 필터모듈에 필터의 분리 시 급수라인이 폐쇄되어 물이 세지않도록 하면서 물정화본체를 기준으로 정수기본체의 방향성을 조절하여 설치환경에 따라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직수형 수소수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는 활성산소가 존재한다. 익히 알려진 것처럼 활성산소는 다양한 질환을 유발시키는 물질이기 때문에 활성산소가 몸 밖으로 배출되지 않고 체내에 계속 쌓이면 건강에 무척 해롭다. 따라서 최근에는 활성산소를 중화시켜 몸 밖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진행되는데 그 중의 하나가 수소수 음용이다.
수소수를 음용하게 되면 활성산소에 수소가 결합되면서 물로 변환된 다음, 노폐물과 함께 몸 밖으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간편한 건강관리 방법의 하나일 수 있다.
물론, 수소수를 한두 번 마시는 걸로는 그 효과가 크기 않다. 때문에 정수기를 두고 정수를 매일 마시는 것처럼 수소수를 꾸준히 마셔야 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수소수를 꾸준히 음용하면 고혈압, 당뇨, 전립선, 성인병, 치매 등의 성인병 예방에도 상당히 좋은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수소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매일 물을 마시는 것처럼 수소수를 마시면 활성산소를 몸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어 다양한 질환을 줄일 수 있다고 예상되나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수소수 제조장치(혹은 시스템)는 그 구조에 비해 실질적으로 수소수의 제조 또는 생성 효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종전기술의 경우에는 전해조(물을 전기분해하는 장치)를 사용해서 수소수를 제조하는 단순한 방식에만 국한되어 있을 뿐이며 냉수소수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제시하고 있지 않는데, 만약 기존의 시스템에 냉수소수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적용하려면 냉장고나 에어컨 등에 적용되는 냉매를 이용한 냉동시스템을 부가해야만 냉수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유지비용이 증가되는 점과 디자인 및 부피, 무게 등의 증가로 사용자의 이용 및 설치상의 난점을 고려해볼 때,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난 신개념의 냉수소수 제조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문헌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8-0011727호(2018.02.02.)의 "냉수소수 제조장치"는 냉수소수가 배출되는 냉수소수 배출부가 일측에 결합되며, 본체 덮개에 의해 상부가 차폐되게 마련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 덮개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냉수소수가 저장되는 냉수소수 탱크(cold hydrogen water tank)가 일체로 형성되는 탱크 하우징과, 상기 냉수소수 탱크의 개구를 개폐하는 탱크 덮개와, 상기 탱크 덮개를 사이에 두고 상기 탱크 하우징에 결합되는 장식 커버를 구비하는 헤드부; 적어도 일측이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며, 라디에이터 워터(radiator water)가 내부에 충전되는 라디에이터 탱크(radiator tank); 일면이 상기 라디에이터 탱크와 접면되되 상기 라디에이터 탱크 내의 라디에이터 워터와 상호작용하여 액체를 냉각시키는 펠티어 모듈과, 상기 펠티어 모듈의 타면과 접면되는 물 가이드 모듈과, 상기 펠티어 모듈과 상기 물 가이드 모듈을 상기 라디에이터 탱크에 결합시키는 블레이드 스프링을 구비하는 액체 냉각용 펠티어 어셈블리; 및 상기 액체 냉각용 펠티어 어셈블리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냉수소수 탱크 내의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수로 생성시키는 수소수 생성용 전해조(hydrogen electrolyz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선행문헌은 물탱크의 용량이 작기 때문에 수시로 물을 보충해 두어야 하고, 또한, 라디에이터 탱크가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어 설치환경에 따라 방향성을 조절하여 설치할 시에 라디에이터 탱크가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본체부 전면에 설치되는 컵홀더가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정수되어 공급되는 수소수를 안전하게 받을 수 없는 것은 물론 수소수를 받는 과정에서 컵이 옆으로 넘어지면서 씽크대에서 떨어져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도와 직접 연결되는 연결호수를 통해 물이 직접 공급되어 물의 상태에 따라 필터의 개수를 달리하여 물의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물론 필터를 필터모듈에 연결 또는 분리 시 급수라인이 개방, 폐쇄에 의해 물의 공급 또는 차단되어 필터의 교환이 용이하도록 한 직수형 수소수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정화본체를 기준으로 정수기본체의 방향성을 조절하여 설치환경에 따라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직수형 수소수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수기본체의 방향성을 조절할 시에 물정화본체와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방향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설치가 용이한 직수형 수소수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환경에 따른 물을 직접 연결하여 공급할 시에 공급되는 물의 상태에 따라 필터의 개수를 다르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직수형 수소수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수도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정화하여 정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필터고정체의 제1필터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다수의 제1필터가 배열된 물정화본체가 구비되고, 착탈에 따른 유로의 개폐에 의해 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물정화본체로부터 공급되는 정수를 다시 정화하여 수소수 또는 정수를 생성하기 위해 제2필터모듈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필터, 제2필터에서 공급되는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수소수를 생성하는 전해조 및 전해조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토출되는 출수부로 구성되는 정수기본체로 이루어져, 상기 정수기본체가 방향성을 갖도록 물정화본체의 일측에서 방향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수소수 정수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필터고정체는, 제1고정체, 제2고정체, 필터모듈 및 유로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고정체는 유로관의 결합되는 제1고정체와 제1고정체에 형성되는 복수의 상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체는 제1고정체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부에 형성되는 하부유로홈과 제1고정체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공이 형성되며, 상기 필터모듈은 제1필터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필터결합돌기와 필터결합홈 및 필터결합돌기에 결합되는 제1필터케이스로 이루어져 제1고정체의 상부에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유로관은 수도와 연결되는 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다수의 제1필터를 거치면서 정화가 이루어진 정수를 정수기본체의 제2필터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1고정체와 제2고정체 사이에 위치되어 다수의 제1필터를 연결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로관은, 물의 정화가 이루어져 정수가 정수기본체로 공급되도록 제1필터가 결합되는 필터결합관와; 유로관 및 제1필터를 거쳐 정수된 물이 정수기본체로 공급될 수 있도록 유로연결체가 일체로 형성된 유로고정체와; 유로고정체에 설치되는 물공급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도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물정화본체에 설치된 복수의 제1필터, 정수기본체에 설치된 복수의 제2필터, 제1솔레노이드밸브, 유량센서, 히터, 전해조 및 제2솔레노이드밸브를 거쳐 출수부로 수소수 또는 정수가 출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정수기본체는, 제1받침대와 제2받침대에 걸쳐지게 설치된 실린더에 의해 저수조본체와 거리가 이격된 상태에서 회전되고, 회전된 상태에서 최초 위치로 이동되어 회전된 상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해조는, 일측에 입수관, 출수관, 제1통공이 형성된 제1케이스와, 배수관과 제2통공이 형성된 제2케이스와,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제1전극판 제2전극판 격막 및 분리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케이스에는 제1전극판이 설치되며, 상기 제2케이스는 제2전극판이 설치되고, 상기 제1전극판과 제2전극판의 중앙 각각에는 제1오링과 제2오링이 설치된 제1봉전극 및 제2봉전극이 형성되며, 상기 격막은 둘레에는 패킹이 설치되고, 상기 분리판은 제1전극판과 격막 사이 및 제2전극판과 격막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해조는, 체크밸브가 연결되고, 상기 체크밸브는 전해조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제2전극판에서 발생되는 산소가 포함된 정수가 배출되어 메인연결관으로 공급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출수부는, 터치조작부가 형성되고, 상기 터치조작부는 표시부, 모드버튼, 잠금버튼, 출수버튼, 세정버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직수로 공급되는 물을 상태에 따라 필터의 개수를 달리하여 물의 정화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필터의 사용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는 것은 물론 깨끗하게 정화된 정수를 이용하여 수소수의 생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를 필터모듈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급수라인이 개방되어 물의 유입 및 정수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필터모듈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급수라인이 폐쇄되어 필터 내부에 담긴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필터의 교환 시 물이 세지않는 상태에서 교환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정화본체를 기준으로 정수기본체의 방향성을 조절하여 설치환경에 따라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현장에 따른 장소의 구애를 받지않고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수기본체의 방향성을 조절할 시에 실린더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정수기본체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방향을 회전시키고, 회전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최초 위치로 이동시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설정된 방향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수소수 및 정수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직수형 수소수 정수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물정화본체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필터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필터모듈의 저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받침대에 결합되는 필터모듈에 결합되는 물공급관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배관라인의 결선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2의 물정화본체와 필터모듈 및 정수기탱크를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필터가 결합되는 제2필터모듈과 체크밸브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필터모듈과 필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필터모듈에 필터가 결합하여 필터결합관과 결합관홀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물분배부재와 전해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전해조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소수 정수기의 길이조절부와 회전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분을 분해한 사시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제2받침대에 결합되는 실린더와 결합홈커버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수소수 정수기의 물공급부와 수소생성부의 하부에 설치된 길이조절부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실린더에 의해 정수기본체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소수 정수기의 정수기본체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물정화본체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필터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필터모듈의 저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받침대에 결합되는 필터모듈에 결합되는 물공급관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배관라인의 결선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2의 물정화본체와 필터모듈 및 정수기탱크를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필터가 결합되는 제2필터모듈과 체크밸브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필터모듈과 필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필터모듈에 필터가 결합하여 필터결합관과 결합관홀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물분배부재와 전해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전해조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소수 정수기의 길이조절부와 회전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분을 분해한 사시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제2받침대에 결합되는 실린더와 결합홈커버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수소수 정수기의 물공급부와 수소생성부의 하부에 설치된 길이조절부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실린더에 의해 정수기본체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소수 정수기의 정수기본체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직수형 수소수 정수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직수형 수소수 정수기는 수도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정화하여 정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필터고정체(120)의 제1필터모듈(123)에 착탈 가능하게 다수의 제1필터(125)가 배열된 물정화본체(100)가 구비되고, 착탈에 따른 유로의 개폐에 의해 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물정화본체(100)로부터 공급되는 정수를 다시 정화하여 수소수 또는 정수를 생성하기 위해 제2필터모듈(25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필터(260), 제2필터(260)에서 공급되는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수소수를 생성하는 전해조(240) 및 전해조(24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토출되는 출수부(290)로 구성되는 정수기본체(200)로 이루어져, 상기 정수기본체(200)가 방향성을 갖도록 물정화본체(100)의 일측에서 방향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수형 수소수 정수기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1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직수형 수소수 정수기는 크게 물정화본체(100)와 정수기본체(200)로 구성된다.
상기 물정화본체(100)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내측에 공간을 갖는 정화본체케이스(110)가 구비되고, 상기 정화본체케이스(110)의 하부에는 제1받침대(111)가 설치되며, 상기 정화본체케이스(110)의 상단에 제1뚜껑(112)이 결합된다.
상기 제1받침대(111)에는 수도와 연결된 호스(미도시)가 결합되어 필터고정체(120)로 물을 공급하는 연결잭(130),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잭(140) 및 해제버튼(150)으로 구비된다.
상기 필터고정체(120)는 제1고정체(121), 제2고정체(122) 제1필터모듈(123) 및 유로관(1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고정체(121)는 하부에 유로관(124)의 결합되는 제1상부유로홈(121-1)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유로홈(121-1)에는 복수의 상부통공(121-2)이 형성된다.
상기 제2고정체(122)는 제1고정체(121)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부에 하부유로홈(122-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유로홈(122-1)에는 복수의 고정공(12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고정체(121)와 제2고정체(122)에 각각 형성된 상부유로홈(121-1)과 하부유로홈(122-1)에 결합되면서 유입연결잭(131)과 배출연결잭(132)에 연결되는 유로관(124)이 설치된다.
상기 제1필터모듈(123)은 제1필터(125)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제1필터결합홈(123-2)을 가지며 다수개의 제1필터결합돌기(123-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필터결합돌기(123-1)에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제1필터케이스(122-3)가 설치된다.
상기 유로관(124)에는 물의 정화가 이루어져 정수가 정수기본체(200)로 공급되도록 제1필터(125)가 결합되는 필터결합관(124-1)이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결합관(124-1)은 제1고정체(121)에 형성된 상부통공(121-2)에 끼워져 제1필터결합홈(123-2)의 상방향으로 일측이 돌출되게 위치된다.
또한, 상기 유로관(124)의 끝단에는 유로연결체(124-3)가 일체로 형성된 유로고정체(124-2)가 구비된다. 상기 유로고정체(124-2)는 유로관(124) 및 제1필터(125)를 거쳐 정수된 물이 정수기본체(200)로 공급될 수 있도록 내부에 유로(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유로고정체(124-2)는 제2고정체(122)의 하부에서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유로연결체(124-3)가 제1필터결합홈(123-2)으로 일측이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유로고정체(124-2)에는 물공급관(124-4)이 설치되고, 상기 물공급관(124-4)을 통해 제1필터(125)에서 정화되어 유로관(124)을 거쳐 공급되는 정수를 정수기본체(200)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제1필터결합돌기(123-1)에 설치된 제1필터케이스(122-3)에는 물을 정화하여 정수기본체(200)로 정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제1필터(125)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필터(125)는 필터결합관(124-1)과 결합되어 물의 유입 및 정화된 정수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필터(125)가 제1필터모듈(123)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유로가 개방되어 공급되는 물이 제1필터(125)의 내부로 유입된 후 정화되어 정수가 공급되도록 하며, 필터고정체(120)에서 이탈된 상태에서는 제1필터(125) 내부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게 하여 이동의 편리성을 갖도록 한다. 즉, 상기 제1필터(125)의 내측에는 체크밸브(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잭(130)은 유입연결잭(131)과 배출연결잭(132)으로 이루어져 유입연결잭(131)을 통해 제1필터(125)로 물이 공급되고, 배출연결잭(132)으로는 전해조를 세정한 물과 전기분해과정에서 발생된 오존이 포함된 물이 배출된다.
또한, 상기 제1받침대(111)의 일측에는 정수기본체(20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원잭(140)이 설치되며, 상기 전원잭(140)이 설치된 일측에는 정수기본체(200)의 방향 회전시 물정화본체(100)와 거리를 이격시키는 해제버튼(150) 및 제2받침대(213)를 이동시키는 실린더(160)가 설치된다.
상기 해제버튼(150)은 정수기본체(200)를 이동시키기 위한 버튼축(151)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축(151)에 의해 고정턱(214-3)과 해제 및 결합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후크(152)로 이루어진다.
상기 해제버튼(150)은 버튼축(151)의 이동에 의해 고정후크(152)가 회전하면서 정수기본체의 제2받침대(213)에 형성된 고정턱(214-3)과 분리 또는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해제버튼(150)이 고정턱(214-3)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물정화본체(100)와 정수기본체(200)가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고정턱(214-3)과 고정후크(152)의 결합상태가 해제되면서 물정화본체(100)에서 정수기본체(200)의 거리가 이격되어 정수기본체(200)의 방향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실린더(160)의 일측은 제1받침대(111)에 고정되고, 실린더(160)의 실린더로드(미부호)의 끝단은 정수기본체(200)의 제2받침대(213)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대(213-1)에 고정된다.
상기 실린더(160)는 해제버튼(150)에 의해 고정후크(152)가 고정턱(214-3)과의 결합상태가 해제되면 제2받침대(213)를 밀어 내어 정수기본체(200)가 물정화본체(100)에서 거리가 이격된다.
상기 정수기본체(200)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케이스(210)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케이스(210)의 하부에는 회전돌기(210-1)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돌기(210-1)는 제2받침대덮개(213-2)의 통공(213-21) 내주연에 다단으로 형성된 부분에 지지되어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하기에서 설명할 결합체(218)의 결합체돌기(218-2)가 결합될 수 있도록 회전돌기(210-1)에는 단턱돌기(210-2)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전돌기(210-1)에서 거리가 이격되게 슬라이딩돌기(210-3)가 형성되어 본체케이스(210)의 회전 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본체케이스(210)의 상부에는 제2뚜껑(211)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뚜껑(211)의 하부에는 보조덮개(212)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덮개(212)에는 제2필터케이스(256)가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체결공(212-1)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케이스(210)의 하부에는 정화본체케이스(110)의 제1받침대(111) 하부에 위치되는 연결대(213-1)와 결합체가 결합되는 구멍(미부호)이 형성되는 제2받침대(213)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받침대(213)의 상부에는 제2받침대덮개(213-2)가 결합된다. 상기 제2받침대덮개(213-2)는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게 이루어지면서 다단의 형태로 통공(213-21)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213-21)의 외주연에는 반원형의 회전홈(213-22)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대(213-1)에는 실린더(16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 및 측면 일측과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실린더결합체(214)가 형성되고, 실린더결합체(214)에는 실린더결합홈(214-1)이 형성되어 실린더(160)가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결합홈(214-1)의 입구에는 결합홈커버(214-2)가 결합된다.
상기 결합홈커버(214-2)에는 실린더결합홈(214-1)의 내측면에 설치된 걸림홈(미부호)에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걸림돌기(미부호)가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160)의 실린더로드 끝단이 실린더결합홈(214-1)의 내측에 형성된 돌기(미부호)에 나사로 고정되어 정수기본체(2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결합체(214)의 일측에는 고정턱(214-3)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턱(214-3)은 제2받침대(213)의 하부에 설치된 고정후크(152)가 고정되거나 또는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받침대(213)에는 제2받침대덮개(213-2)가 결합되고, 상기 제2받침대덮개(213-2)는 본체케이스(210)가 회전될 수 있도록 본체케이스(210)의 하부에 결합된다. 상기 제2받침대덮개(213-2)는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게 통공(213-21)이 형성되고, 통공(213-21)의 외주연에는 회전홈(213-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고정체(120)에 설치된 유로관(124)으로부터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서브연결관(216-1)에 설치된 메인연결관(216)과 결합되는 물유입관(215)이 연결커넥터(217)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커넥터(217)는 링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에 끼움공(미도시)을 갖는 유입관고정체(215-1)에 결합되어 결합체(218)의 가이드돌기(218-1) 사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물공급관(124-4)과 물유입관(215) 사이에는 메인연결관(216)이 설치되고, 상기 메인연결관(216)은 서브연결관(216-1)에 결합되어 물공급관(124-4)에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서브연결관(216-1)은 정화본체케이스(110)의 저부에 고정된 물공급관(124-4)과 결합된다.
상기 정수기본체(200)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위치가 이동되면, 메인연결관(216)과 결합된 서브연결관(216-1)이 함께 이동하고, 상기 서브연결관(216-1)은 가이드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관(124-4)에는 복수의 패킹(미부호)이 설치되어 서브연결관(216-1) 사이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물유입관(215)이 결합되는 연결커넥터(217)는 브라켓(221)에 설치되어 호스(미도시)를 통해 물유입관(215) 및 제2필터모듈(250)의 홀더결합관(255)과 연결된다.
상기 물유입관(215)이 결합된 상태에서 유입관고정체(215-1)가 고정되는 결합체(218)는 본체케이스(210)의 회전 시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제2받침대(213)의 바닥쪽 구멍(미부호)으로 끼워져 제2받침대덮개(213-2)의 통공(213-21)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체(218)는 본체케이스(210) 하부에 형성된 회전돌기(210-1)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원판형의 상부 가장자리 쪽에 다수의 가이드돌기(218-1)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218-1)의 사이에는 다수의 결합체돌기(218-2)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체돌기(218-2)는 회전돌기(210-1)에 형성된 단턱돌기(210-2)에 결합되어 본체케이스(210)가 이탈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정수기본체(200)의 출수부(290)가 형성된 부분의 하부에는 컵받침대(219)가 설치되고, 상기 컵받침대(219)의 일측에 자석(미도시)이 설치된다. 상기 컵받침대(219)는 정수기본체(200)의 방향이 전환된 상태에서 자석에 의해 제2받침대(213)에서 탈부착이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정수기본체(200)의 내측에는 전해조(24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안착부(231)를 가지는 물분배부재(230)가 설치된다. 상기 물분배부재(230)에는 복수의 제2필터모듈(250), 제1 내지 제3솔레노이드밸브(270a, 270b, 270c) 및 유량센서(270d)가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시 물분배부재(230)에 형성된 결합공은 유로(미도시)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는 제2필터(260)→제1솔레노이드밸브(270a)→유량센서(270d)→히터(280) 순으로 정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물분배부재(230)에 형성된 안착부(231)에는 전해조(240)가 설치되어 히터(280)로부터 공급되는 가열된 정수를 이용하여 수소수를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해조(240)는 일측에 입수관(241-1)과 출수관(241-2)과 제1통공(241-3)이 형성된 제1케이스(241)와, 배수관(243-1)과 제2통공(243-3)이 형성된 제2케이스(243) 및 제1케이스(241)와 제2케이스(243) 사이에 설치되는 격막(24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케이스(241)에는 제1전극판(242)이 설치되고, 상기 제2케이스(243)는 제2전극판(244)이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전극판(242, 244)에는 제1봉전극(242-1)과 제2봉전극(244-1)이 각각 용접되고, 누수방지를 위해 제1봉전극(242-1)과 제2봉전극(244-1)에는 제1오링(242-2)과 제2오링(244-2)이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격막(245)의 둘레에는 패킹(245-1)이 설치된다.
상기 전해조(240)에는 체크밸브(220)가 연결되고, 상기 체크밸브(200)은 브라켓(221)에 설치된다.
상기 체크밸브(220)는 전해조(240)의 '+'전극인 제2전극판(244)에서 발생되는 산소가 포함된 정수가 배출되어 메인연결관(216)으로 공급되도록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정수는 체크밸브(220)에 의해 전해조(240)로 역류가 방지된다.
상기 물분배부재(230)의 상부에는 제2필터(260)가 결합되는 제2필터모듈(250)이 고정되고, 상기 제2필터모듈(250)에는 제2필터(260)가 결합되며, 상기 제2필터(260)는 제2필터모듈(250)을 통해 물을 공급하거나 또는 정수된 물을 히터(280)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필터모듈(250)에는 제2필터(260)가 결합되는 제2필터결합홈(251)이 형성되고, 상기 제2필터결합홈(251)의 내측면을 따라 복수의 가이드트랙(252)이 대향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필터결합홈(251)에는 물의 유입 및 배수가 이루어지는 복수의 필터결합관(253)과, 제2필터(260)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 고정관(254)이 삼각형 형태로 위치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필터모듈(250)의 외측에는 복수의 필터결합관(253)과 연결되게 유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형성된 복수의 홀더결합관(255)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홀더결합관(255)은 물분배부재(230)에 형성된 결합공에 결합된다.
상기 제2필터모듈(250)에는 물을 정화하기 위한 제2필터(260)가 결합되며, 상기 제2필터(260)의 하부에는 복수의 결합관홀(261-1) 및 고정관홀(261-2)이 형성되어 제2필터모듈(250)의 복수의 필터결합관(253)과 고정관(254)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필터모듈(250)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게 이루어져 복수의 제2필터(260)가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제2필터케이스(256)가 설치된다.
상기 제2필터(260)는 상부에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필터돌출부(261)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돌출부(261)의 하부에는 복수의 결합관홀(261-1)과 고정관홀(261-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필터돌출부(261)의 일측에는 제2필터모듈(250)에 형성된 가이드트랙(252)을 따라 안내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필터결합돌기(262)가 복수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필터결합돌기(262)는 일측에 '>'이 형성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필터(260)가 제2필터모듈(25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유로가 개방되어 제1필터(125)를 거쳐 공급되는 물이 제2필터(260) 내부로 유입된 후 정화되어 정수가 공급되도록 하며, 제2필터모듈(250)에서 이탈된 상태에서는 제2필터(260) 내부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게 하여 이동의 편리성을 갖도록 한다. 즉, 상기 제2필터(260)의 내측에는 필터결합관(253)에 의해 유로가 개폐되는 유로개폐부재(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물분배부재(230)의 일측에는 제1솔레노이드밸브(270a), 제2솔레노이드밸브(270b), 제3솔레노이드밸브(270c) 및 유량센서(270d)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270a)는 복수의 제2필터(260)로부터 정수가 공급되면, 유량센서(270d)로 공급하여 기설정된 데이터와 같은 양의 정수가 공급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270b)는 전해조(240)로부터 공급되는 정수 또는 수소수를 출수부(29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물분배부재(230)에 설치된다.
상기 제3솔레노이드밸브(270c)는 전해조(240)로부터 수소수가 생성되기 이전에 전해조와 유로에 남아있는 물을 바이패스 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공급되는 정수는 메인연결관(216)으로 공급되어 제2필터(260), 제1솔레노이드밸브(270a), 유량센서(270d), 히터(280) 및 전해조(240)를 거쳐서 제2솔레노이드밸브(270b)에 의해 출수부(290)를 통해 다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유량센서(270d)는 복수의 제2필터(260)에 의해 정화된 정수가 제1솔레노이드밸브(270a)에 의해 히터(280)로 공급되면, 공급되는 정수의 양이 기설정된 데이터와 같은 양으로 공급되지는 체크하여 거치패널(281)에 설치된 컨트롤러(300)로 신호를 인가하여 정수의 양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270a), 제2솔레노이드밸브(270b), 제3솔레노이드밸브(270c) 및 유량센서(270d)가 설치되는 물분배부재(230)와 브라켓(221)의 상단에 걸쳐서 컨트롤러(300), 커넥터(미부호), 터미널블럭(미부호) 등이 설치될 수 있도록 거치패널(281)이 수직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거치패널(281)의 일측에는 유량센서(270d)로부터 공급되는 정수를 공급받아 설정한 온도로 정수를 데우는 히터(280)가 설치되며, 상기 히터(280)는 소정 온도로 데워진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해조(240)와 유로가 연결되게 설치된다.
상기 거치패널(281)에는 전해조(240), 제1 내지 제3솔레노이드밸브(270c), 유량센서(270d) 및 히터(280)를 제어하기 위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300)가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300)는 출수부(290) 전면에 형성된 터치조작부(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정수, 수소수 공급 및 온도 설정에 따라 제어한다.
상기 터치조작부(310)는 출수부(290) 전면에 형성되어 정수 또는 수소수의 공급 및 온도 별로 숫자형태의 표시 및 온도, 출수량, 제2필터(260)의 교환알람 등을 표시하는 상태알림 등이 함께 표시되는 7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표시부(311)와, 수소수, 온도설정, 정수를 각각 선택하여 토출시킬 수 있도록 선택하는 다수의 모드버튼(312)과, 모든 기능에 대한 설정을 잠궈 터치조작부(310)를 조작하지 못하도록 설정하는 잠금버튼(313)과, 모드버튼(312)에 의해 선택 수소수 또는 정수를 선택한 상태에서 토출시키는 출수버튼(314)과, 물이 공급되어 수소수 또는 정수가 공급되는 유로를 세정하는 세정버튼(315)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수소수 정수기를 설치할 시 설치되는 장소의 상황에 따라 수소수 정수기를 출수부 방향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즉, 출수부(290)의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용자가 물정화본체(100)의 제1받침대(111)에 설치한 해제버튼(150)을 누르면, 누른 방향으로 버튼축(151)이 이동하고, 상기 버튼축(151)이 이동하면서 고정후크(152)를 회전시켜 고정턱(214-3)과 결합된 상태가 해제된다.
상기 고정후크(152)와 고정턱(214-3)과의 결합이 해제되면, 제1받침대(111)와 제2받침대(213) 사이에 설치된 실린더(160)가 작동하여 제2받침대(213)를 일측 방향으로 밀어내어 물정화본체(100)에서 정수기본체(200)가 이격된다.
상기 정수기본체(200)가 물정화본체(100)와 이격된 상태에서 정수기본체(20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정수기본체(200)는 제2받침대(213)에 설치된 결합체(218)에 의해 이탈되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이 이루어진다.
즉, 결합체(218)의 끝단에 형성된 가이드돌기(218-1)에 의해 정수기본체(200)의 상승 폭이 제한되어 이탈이 방지되고, 상승된 상태에서 정수기본체(200)의 회전 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용이하게 회전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정수기본체(200)를 회전시켜 출수부(290)의 위치를 설정한 상태에서 제2받침대(213)를 제1받침대(111)로 밀면 실린더로드가 실린더(160) 내부로 인입되면서 고정턱(214-3)에 고정후크(152)가 결합되면서 정수기본체(200)가 물정화본체(100)의 일측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정수기본체(200)의 출수부(290)의 위치를 조정한 상태에서 수소수 정수기를 이용하여 수소수 또는 정수가 출수되기 위해서는 출수부(290)의 전면에 형성된 터치조작부(310)를 이용하여 모드버튼(312)을 통해 수소수 또는 정수를 선택하고, 온도를 설정한 후 출수버튼(314)을 조작하면, 설정된 상태데로 제어신호가 컨트롤러(300)로 인가된다.
상기 컨트롤러(300)는 터치조작부(310)의 모드버튼(312)을 조작하여 수소수 또는 정수 중 하나를 선택한 상태에서 출수버튼(314)을 조작하면, 수도와 연결된 호스를 통해 유입연결잭(131)을 거쳐 유로관(124)으로 물이 공급된다. 이때 물은 수도에 의해 소정압력으로 공급이 이루어진다.
상기 유로관(124)으로 유입되는 물은 다수의 제1필터(125)를 거치면서 정화가 이루어져 물공급관을 통해 메인연결관을 거쳐 복수의 제2필터(260)로 공급되고, 상기 복수의 제2필터(260)로 공급된 물은 정화되어 정수로 출수된다.
상기 출수되는 정수는 물분배부재(230)에 설치된 제1솔레노이드밸브(270a)로 공급되고,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270a)를 통해 유량센서(270d)를 거쳐 공급되는 정수의 유량을 체크하여 터치조작부(310)의 표시부(311)에 출수되는 수소수 또는 정수의 양을 표시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300)에 데이터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유량센서(270d)를 거친 정수는 히터(280)로 공급되고, 히터(280)는 터치조작부(310)에서 설정된 온도에 맞쳐 정수를 히팅한 후 전해조(240)로 출수한다. 이때 터치조작부(310)를 통해 수소수의 출수를 선택하였다면 전해조(240)로 공급되는 정수는 전기분해에 의해 수소수를 생성한다.
상기 수소수의 생성은 격막(245)에 설치된 제2전극판(244) 측의 제2봉전극(244-1)에 '+'전류를 인가하고, 반대측 제1전극판(242)측의 제1봉전극(242-1)에는 '-'전류를 연결하여 제1전극판(242)과 제2전극판(244)으로 '-'전류와 '+'전류가 각각 인가되도록 한다.
상기 제1전극판(242)과 제2전극판(244)으로 인가되는 '-'전류와 '+'전류는 절연체인 분리판(246)에 의해 제1전극판(242)과 제2전극판(244)이 분리되어 쇼트를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전류가 인가되면, 격막(245)을 중심으로 '+'전류가 인가되는 제2전극판(244)에 의해 산소가 발생되고, '-'전류가 인가되는 제1전극판(242)에 의해 수소가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원리에 의해 발생된 수소는 정수에 녹아들어 생성된 수소수가 출수관(241-2)을 거쳐 제2솔레노이드밸브(270b)에 의해 출수부(290)에서 출수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정수를 출수하기 위해 모드버튼(312)을 통해 정수를 선택한 상태에서 출수버튼(314)을 조작하면, 전해조(240)에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로 제1솔레노이드밸브(270a), 히터(280) 및 제2솔레노이드밸브(270b)가 구동되어 출수부(290)로 정수가 출수된다.
이때 유량센서(270d)에서 정수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으면 컨트롤러(300)는 정수의 출수를 정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2필터(260)를 제2필터모듈(250)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급수라인이 개방되어 물의 유입 및 정수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제2필터모듈(250)에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급수라인이 폐쇄되어 필터 내부에 담긴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차단됨으로써 제2필터(260)의 교환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물정화본체(100)를 기준으로 정수기본체(200)의 방향성을 조절하여 설치환경에 따라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으면서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수기본체(200)의 방향성을 조절할 시에 정수기본체(200)가 실린더(160)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방향을 회전시키고, 회전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물정화본체(100)로 밀착시켜 방향이 전환된 상태가 고정됨으로써 수소수 및 정수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물정화본체 110: 정화본체케이스
111: 제1받침대 112: 제1뚜껑
120: 필터고정체 121: 제1고정체
121-1: 상부유로홈 121-2: 상부통공
122: 제2고정체 122-1: 하부유로홈
122-2: 고정공 123: 제1필터모듈
123-1: 제1필터결합돌기 123-2: 제1필터결합홈
122-3: 제1필터케이스 124: 유로관
124-1: 필터결합관 124-2: 유로고정체
124-3: 유로연결체 124-4: 물공급관
125: 제1필터 130: 연결잭
131: 유입연결잭 132: 배출연결잭
140: 전원잭 150: 해제버튼
151: 버튼축 152: 고정후크
160: 실린더 200: 정수기본체
210: 본체케이스 210-1: 회전돌기
210-2: 단턱돌기 210-3: 슬라이딩돌기
211: 제2뚜껑 212: 보조덮개
212-1: 체결공 213: 제2받침대
213-1: 연결대 213-2: 제2받침대덮개
213-21: 통공 213-22: 회전홈
214: 실린더결합돌기 214-1: 실린더결합홈
214-2: 결합홈커버 214-3: 고정턱
215: 물유입관 215-1: 유입관고정체
216: 메인연결관 216-1: 서브연결관
217: 연결커넥터 218: 결합체
218-1: 가이드돌기 218-2: 결합체돌기\
219: 컵받침대 220: 체크밸브
221: 브라켓 230: 물분배부재
231: 안착부 240: 전해조
241: 제1케이스 241-1: 입수관
241-2: 출수관 241-3: 제1통공
242: 제1전극판 242-1: 제1봉전극
242-2: 제1오링 243: 제2케이스
243-1: 배수관 243-3: 제2통공
244: 제2전극판 244-1: 제2봉전극
244-2: 제2오링 245: 격막
245-1: 패킹 246: 분리판
250: 제2필터모듈 251: 필터결합홈
252: 가이드트랙 253: 필터결합관
254: 고정관 255: 홀더결합관
256: 필터케이스 260: 제2필터
261: 필터돌출부 261-1: 결합관홀
261-2: 고정관홀 262: 필터결합돌기
270a: 제1솔레노이드밸브 270b: 제2솔레노이드밸브
270c: 제3솔레노이드밸브 270d: 유량센서
280: 히터 281: 거치패널
290: 출수부 300: 컨트롤러
310: 터치조작부 311: 표시부
312: 모드버튼 313: 잠금버튼
314: 출수버튼 315: 세정버튼
111: 제1받침대 112: 제1뚜껑
120: 필터고정체 121: 제1고정체
121-1: 상부유로홈 121-2: 상부통공
122: 제2고정체 122-1: 하부유로홈
122-2: 고정공 123: 제1필터모듈
123-1: 제1필터결합돌기 123-2: 제1필터결합홈
122-3: 제1필터케이스 124: 유로관
124-1: 필터결합관 124-2: 유로고정체
124-3: 유로연결체 124-4: 물공급관
125: 제1필터 130: 연결잭
131: 유입연결잭 132: 배출연결잭
140: 전원잭 150: 해제버튼
151: 버튼축 152: 고정후크
160: 실린더 200: 정수기본체
210: 본체케이스 210-1: 회전돌기
210-2: 단턱돌기 210-3: 슬라이딩돌기
211: 제2뚜껑 212: 보조덮개
212-1: 체결공 213: 제2받침대
213-1: 연결대 213-2: 제2받침대덮개
213-21: 통공 213-22: 회전홈
214: 실린더결합돌기 214-1: 실린더결합홈
214-2: 결합홈커버 214-3: 고정턱
215: 물유입관 215-1: 유입관고정체
216: 메인연결관 216-1: 서브연결관
217: 연결커넥터 218: 결합체
218-1: 가이드돌기 218-2: 결합체돌기\
219: 컵받침대 220: 체크밸브
221: 브라켓 230: 물분배부재
231: 안착부 240: 전해조
241: 제1케이스 241-1: 입수관
241-2: 출수관 241-3: 제1통공
242: 제1전극판 242-1: 제1봉전극
242-2: 제1오링 243: 제2케이스
243-1: 배수관 243-3: 제2통공
244: 제2전극판 244-1: 제2봉전극
244-2: 제2오링 245: 격막
245-1: 패킹 246: 분리판
250: 제2필터모듈 251: 필터결합홈
252: 가이드트랙 253: 필터결합관
254: 고정관 255: 홀더결합관
256: 필터케이스 260: 제2필터
261: 필터돌출부 261-1: 결합관홀
261-2: 고정관홀 262: 필터결합돌기
270a: 제1솔레노이드밸브 270b: 제2솔레노이드밸브
270c: 제3솔레노이드밸브 270d: 유량센서
280: 히터 281: 거치패널
290: 출수부 300: 컨트롤러
310: 터치조작부 311: 표시부
312: 모드버튼 313: 잠금버튼
314: 출수버튼 315: 세정버튼
Claims (8)
- 수도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정화하여 정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필터고정체(120)의 제1필터모듈(123)에 착탈 가능하게 다수의 제1필터(125)가 배열된 물정화본체(100)가 구비되고,
착탈에 따른 유로의 개폐에 의해 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물정화본체(100)로부터 공급되는 정수를 다시 정화하여 수소수 또는 정수를 생성하기 위해 제2필터모듈(25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필터(260), 제2필터(260)에서 공급되는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수소수를 생성하는 전해조(240) 및 전해조(24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토출되는 출수부(290)로 구성되는 정수기본체(200)로 이루어져,
상기 정수기본체(200)가 방향성을 갖도록 물정화본체(100)의 일측에서 방향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수소수 정수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고정체(120)는,
제1고정체(121)와 제2고정체(122), 필터모듈(123) 및 유로관(12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고정체(121)는 유로관(124)의 결합되는 상부유로홈(121-1)와 상부유로홈(121-1)에 형성되는 복수의 상부통공(121-2)이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체(122)는 제1고정체(121)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부에 형성되는 하부유로홈(122-1)과 상부유로홈(121-1)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공(122-2)이 형성되며,
상기 필터모듈(123)은 제1필터(125)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필터결합돌기(123-1)와 제1필터결합홈(123-2) 및 필터결합돌기(123-1)에 결합되는 제1필터케이스(122-3)로 이루어져 제1고정체(121)의 상부에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유로관(124)은 수도와 연결되는 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다수의 제1필터(125)를 거치면서 정화가 이루어진 정수를 정수기본체(200)의 제2필터(260)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1고정체(121)와 제2고정체(122) 사이에 위치되어 다수의 제1필터(125)를 연결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수소수 정수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관(124)은,
물의 정화가 이루어져 정수가 정수기본체(200)로 공급되도록 제1필터(125)가 결합되는 필터결합관(124-1)와;
유로관(124) 및 제1필터(125)를 거쳐 정수된 물이 정수기본체(200)로 공급될 수 있도록 유로연결체(124-3)가 일체로 형성된 유로고정체(124-2)와;
유로고정체(124-2)에 설치되는 물공급관(124-4);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수소수 정수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도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물정화본체(100)에 설치된 복수의 제1필터(125), 정수기본체(200)에 설치된 복수의 제2필터(260), 제1솔레노이드밸브(270a), 유량센서(270d), 히터(280), 전해조(240) 및 제2솔레노이드밸브(270b)를 거쳐 출수부(290)로 수소수 또는 정수가 출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수소수 정수기. -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본체(200)는,
제1받침대(111)와 제2받침대(213)에 걸쳐지게 설치된 실린더(160)에 의해 저수조본체(100)와 거리가 이격된 상태에서 회전되고, 회전된 상태에서 최초 위치로 이동되어 회전된 상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정수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조(240)는,
일측에 입수관(241-1), 출수관(241-2), 제1통공(241-3)이 형성된 제1케이스(241)와, 배수관(243-1)과 제2통공(243-3)이 형성된 제2케이스(243)와, 제1케이스(241)와 제2케이스(243) 사이에 설치되는 제1전극판(242) 제2전극판(244) 격막(245) 및 분리판(24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케이스(241)에는 제1전극판(242)이 설치되며,
상기 제2케이스(243)는 제2전극판(244)이 설치되고,
상기 제1전극판(242)과 제2전극판(244)의 중앙 각각에는 제1오링(242-2)과 제2오링(244-2)이 설치된 제1봉전극(242-1) 및 제2봉전극(244-1)이 형성되며,
상기 격막(245)은 둘레에는 패킹(245-1)이 설치되고,
상기 분리판(246)은 제1전극판(242)과 격막(245) 사이 및 제2전극판(244)과 격막(245)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수소수 정수기. -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조(240)는,
체크밸브(220)가 연결되고,
상기 체크밸브(220)는 전해조(240)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제2전극판(244)에서 발생되는 산소가 포함된 정수가 배출되어 메인연결관(216)으로 공급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수소수 정수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290)는,
터치조작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터치조작부(310)는 표시부(311), 모드버튼(312), 잠금버튼(313), 출수버튼(314), 세정버튼(31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수소수 정수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6291A KR102458222B1 (ko) | 2020-09-10 | 2020-09-10 | 직수형 수소수 정수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6291A KR102458222B1 (ko) | 2020-09-10 | 2020-09-10 | 직수형 수소수 정수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3884A KR20220033884A (ko) | 2022-03-17 |
KR102458222B1 true KR102458222B1 (ko) | 2022-10-24 |
Family
ID=80936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16291A KR102458222B1 (ko) | 2020-09-10 | 2020-09-10 | 직수형 수소수 정수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822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87361A (ko) | 2022-12-12 | 2024-06-19 | 코웨이 주식회사 | 정수기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762307A1 (en) | 2004-06-29 | 2007-03-14 | Kagoshima Supersonic Technical Laboratoy Co., Ltd. | Ultrasonic cleaning method and apparatus |
KR100870572B1 (ko) * | 2007-02-28 | 2008-11-27 | 주식회사 영우워터라인 | 회동형 커넥터를 가지는 정수기용 필터 어셈블리 |
KR101413756B1 (ko) * | 2012-09-12 | 2014-07-01 | 강송식 | 부품조립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정수기의 조립구조 |
KR20140004092U (ko) | 2012-12-26 | 2014-07-04 | 주식회사 심스바이오닉스 | 순환식 수소수 정수기 |
KR102053377B1 (ko) | 2016-07-25 | 2019-12-06 | 최병규 | 냉수소수 제조장치 |
KR101813929B1 (ko) * | 2017-03-20 | 2018-01-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정수기 |
KR101974147B1 (ko) * | 2017-07-17 | 2019-04-30 | 주식회사 태영이앤티 | 전해조 및 전해조 제어방법 |
-
2020
- 2020-09-10 KR KR1020200116291A patent/KR102458222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3884A (ko) | 2022-03-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71884B1 (ko) | 수소수 정수기 | |
US20190022564A1 (en) | Point-of-use water treatment system | |
EP2562130B1 (en) | Water dispenser with pivoted spill collector | |
AU2022201388B2 (en) | Liquid dispensing device | |
PL220123B1 (pl) | Dystrybutor wody do programowalnego uzdatniania wody | |
AU2020201282B2 (en) | Liquid dispensing device | |
AU2020201284B2 (en) | Liquid dispensing device | |
KR102458222B1 (ko) | 직수형 수소수 정수기 | |
CN109549478B (zh) | 水处理装置 | |
KR200472378Y1 (ko) | 스마트형 파우셋 | |
CN220799556U (zh) | 宠物饮水机 | |
KR102481846B1 (ko) | 워터 디스펜싱 장치 | |
KR200367973Y1 (ko) | 음용수 공급부와 산성수 저장부를 본체내에 갖는 이온수기 | |
TWM659145U (zh) | 檯面式多功能淨飲機 | |
KR0148776B1 (ko) | 청정급수 패키지 유니트 운전제어 시스템 | |
US20120325342A1 (en) | Water Filtration System | |
KR20220028491A (ko) | 냉장고 | |
CN118021153A (zh) | 一种商用饮水机 | |
WO2014009984A1 (en) | Device for collecting water and for adjusting the output water flow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