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929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3929B1
KR101813929B1 KR1020170034881A KR20170034881A KR101813929B1 KR 101813929 B1 KR101813929 B1 KR 101813929B1 KR 1020170034881 A KR1020170034881 A KR 1020170034881A KR 20170034881 A KR20170034881 A KR 20170034881A KR 101813929 B1 KR101813929 B1 KR 101813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otator
unit
main body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4376A (ko
Inventor
윤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4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929B1/ko
Publication of KR20170034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4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 및 상기 전면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양측면을 구비하는 본체유닛; 상기 본체유닛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테이터; 상기 로테이터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형태로 연장되고, 물이 취출되는 출수구를 구비하는 출수부; 및 상기 본체유닛의 상부 일측에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수평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출수구를 통한 물의 취출과 관련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수부는 상기 로테이터에 의해 상기 본체유닛의 일측면에서 상기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까지 수평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출수구는 수평회전 과정에서 상기 일측면과 상기 타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정수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출수부 및 조작부가 함께 회전가능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돗물이나 지하수와 같은 원수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침전, 여과 그리고 살균 등 다양한 정수방법을 통하여 제거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음용수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출수부는 정수기에서 정수된 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정수기의 본체유닛에 구비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정수기(아래의 선행특허문헌 D1 참조)의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체유닛(10)의 상단부에 출수부(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홀(11)이 형성되고, 복수의 요홈부(11a)가 결합홀(11)의 둘레방향을 따라 90°각도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다. 출수부(20)는 결합기둥(25)의 외주면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돌출되는 복수의 걸림부(25a)를 구비한다.
출수부(20)는 걸림부(25a)를 요홈부(11a)에 결합함으로 설정 각도만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체유닛(10)의 하부에 물받이 유닛이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결합하우징(13)이 90°각도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다. 물받이유닛(30)은 물받이하우징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31)를 구비한다.
물받이유닛(30)은 상기 돌기(31)를 결합하우징(13) 내부로 삽입함으로 설정 각도만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출수부(20) 및 물받이유닛(30)은 본체유닛(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가 출수되는 위치를 임의로 변경함으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정수기를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정수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출수부(20) 또는 물받이유닛(30)을 본체유닛(10)의 전후방향에서 좌우 측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출수구(21)의 방향을 바꾸기 위해서는 출수부(20) 또는 물받이유닛(30)을 본체유닛(10)에서 분리한 후, 재조립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둘째, 본체유닛(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요홈부(11a)와 출수부(20)의 걸림부(25a)가 서로 분리되지 않는 한 출수부(20)가 자유롭게 회전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출수부(20)의 회전 시 걸림부(25a)가 요홈부(11a)에 의해 걸리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셋째, 출수부(20)는 출수구(21)와 연결되며 수평하게 배치되는 제1출수관(22)과, 본체유닛(10) 내부에 장착되는 정수필터와 연결되며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출수관(24)과, 제1 및 제2출수관(22,24)을 연결하는 피팅부(23)로 구성될 수 있다. 피팅부(23) 내부에는 오링이 구비되어, 피팅부(23)와 출수관(22,24)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출수관(24)은 서로 동일한 종류의 재질, 예를 들면 ABS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만약, 서로 동일한 재질(예, ABS 수지)의 출수관(22,24)을 연결한 상태에서 출수부(20)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제2출수관(24)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1출수관(22) 및 피팅부(23)가 함께 회전하고, 피팅부(23)에 내장된 오링이 회전함에 따라 고정된 제2출수관(24)과 마찰하여 오링의 마모가 발생하므로, 제2출수관(24)과 피팅부(23) 사이에 누수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D1: 등록특허 제1381803호(2014.03.31.)
따라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출수부 및 잔수트레이를 본체유닛에 결합한 채로 출수구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출수부의 회전 시 걸리는 느낌 없이 부드럽고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링 등 부품 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본체유닛; 출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유닛에 좌우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테이터; 상기 본체유닛의 내부에 일정한 곡률로 형성되는 회전가이드레일; 및 상기 로테이터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로테이터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가이드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른 정수기는, 본체유닛; 출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유닛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테이터; 및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잔수트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일 목적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유닛은, 일정한 곡률의 회전안내돌기부를 내부에 구비하는 베이스패널; 일측에 장착부를 구비하고, 일부가 상기 회전안내돌기부의 곡률을 따라 상기 베이스패널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링을 포함하고, 상기 잔수트레이는, 상기 장착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링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패널에 대해 좌우 측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오일을 이용하여 상기 로테이터의 회전운동에너지를 흡수하는 오일댐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일댐퍼는, 상기 오일을 저장하는 댐퍼하우징; 및 상기 피니언기어와 연결되고, 상기 댐퍼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본체유닛; 출수구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유닛에 좌우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테이터; 상기 본체유닛의 내부에 로테이터의 회전축 선상으로 고정 배치되는 제1출수관; 상기 출수구와 연결되고, 상기 로테이터 내부에 상기 제1출수관과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출수관; 상기 제1출수관과 제2출수관을 연결하고, 상기 로테이터와 함께 회전하는 피팅부; 및 상기 피팅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팅부 및 출수관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오링을 포함하고, 상기 로테이터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출수관에 대해 상기 오링의 마모를 제한하도록, 상기 제1출수관은 표면조도(표면거칠기)가 낮은 스테인레스 강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출수부를 본체유닛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좌우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여, 출수구의 위치 변경이 쉽다. 이에 의해, 정수기 설치 시 공간적인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사용자가 출수부에 일정한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하기만 하면, 출수부를 걸리는 느낌 없이 일정한 속도로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품의 조작 감성을 부드럽게 하여 품질의 고급화에 기여할 수 있다.
셋째, 회전하는 제1출수관에 대해 고정되는 제2출수관을 표면거칠기가 낮은 스테인레스 강 재질로 형성함으로, 피팅부 내부의 오링 마모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오링 마모로 인해 발생하는 누수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부품 내구성 문제를 해소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품 교체 시기를 늦추므로, 부품 교체 및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정수기(아래의 선행특허문헌 D1 참조)의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지지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회전가이드레일을 보여주는 일부 발췌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로테이터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서 로테이터의 상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유닛에 로테이터와 조작부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본체유닛의 제1회전가이드레일과 로테이터의 제1회전가이드돌기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서 프런트커버의 제2회전가이드레일과 로테이터의 제2회전가이드돌기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탑커버에 설치된 조작부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유닛의 상단부에 장착된 조작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니언기어, 내접기어 및 오일댐퍼의 연결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오일댐퍼 및 피니언기어의 확대된 모습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댐퍼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3의 A-A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댐퍼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톱퍼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출수관이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서 서로 연결된 두 개의 출수관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패널에 잔수트레이가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9에서 회전링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정수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출수부, 조작부 및 잔수트레이의 위치 변경이 쉬운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회전조작이 쉬운 출수부(120)를 구비한다. 정수기는 출수부(120)가 회전함에 따라 출수부(120)와 함께 동시 회전가능한 조작부(14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정수기는 출수부(120)와 별개로 회전가능한 잔수트레이(180)를 더 구비한다.
정수기는 크게 본체유닛(110), 출수부(120), 조작부(140) 및 잔수트레이(1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유닛(110)은 정수기 제품의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111)을 포함한다. 캐비닛(111)은 정수기의 전방면 및 후방면을 형성하는 프런트커버(111a) 및 리어커버(111b)와, 프런트커버(111a) 및 리어커버(111b) 사이를 연결하도록 정수기의 양쪽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패널(111c)을 구비한다.
또한, 캐비닛(111)은 정수기의 상면을 형성하는 탑커버(111f)와, 정수기의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패널(111d)을 구비한다.
프런트커버(111a)는 정수기의 전방면을 대부분 형성하는 제1프런트커버(111a')와, 제1프런트커버(111a')에서 상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2프런트커버(111a")로 구성된다. 프런트커버(111a)는 반원형의 곡률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프런트커버(111a)에는 제1 및 제2프런트커버(111a',111a") 사이로 개구부(111a''')가 형성되어, 개구부를 통해 출수부(120)가 돌출되며 좌우 측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프런트커버(111a")의 내측면에는 탑커버(111f)의 전단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캐비닛(111)의 형상은 도 2의 위에서 봤을 때 세로방향으로 길쭉하고 가로방향으로 폭이 상대적으로 좁게 이루어질 수 있다.
출수부(120)는 로테이터(130)의 일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로테이터(13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출수부(120)는 사용자에게 정수를 제공하는 출수구(122)를 구비한다. 출수구(122)는 출수부(120)의 단부 저면에 위치한다.
로테이터(130)는 본체유닛(1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본체유닛(110)의 내부에 로테이터(13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12)가 구비되고, 지지부(112)는 베이스패널(111d)의 상면에 수직하게 설치된다.
지지부(112)의 상단부에는 반원형의 곡률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상단지지부(112a)가 구비된다.
지지부(112)의 앞쪽면에 복수의 필터를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필터장착부(112b)가 구비된다. 상단지지부(112a)와 필터장착부(112b)는 지지부(112)의 상부와 하부를 형성하여 하나의 지지부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필터장착부(112b)는 상단지지부(112a)보다 더 오목하게 평면 형태로 함몰되고, 필터장착부(112b)의 하단에 돌출형성되는 필터지지부를 구비하여 필터의 하부를 지지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필터가 상단지지부(112a) 아래의 함몰된 공간으로 삽입되어 필터장착부(112b)에 수직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복수의 필터는 수돗물 등의 원수를 공급받아 원수 내의 이물질을 걸러내며 정화시킨다.
로테이터(130)는 지지부(112)의 상단에 좌우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조작부(140)는 탑커버(111f)의 앞쪽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조작부(140)는 로테이터(130)의 상부에 위치하고, 로테이터(130)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돌기(144b)를 구비하여, 조작부(140)와 로테이터(130)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조작부(140)는 출수버튼(143)과 디스플레이 패널(142)로 구성될 수 있다.
출수버튼(143)은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누름가능한 구조로 조작부(14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다. 본체유닛(110)은 출수버튼(143)으로부터 출수신호를 받을 수 있도록 출수버튼(143)과 연결되는 PCB 등의 콘트롤러와, 상기 출수신호에 따라 출수관을 개폐하는 출수밸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출수버튼(143)이 눌려짐에 따라 콘트롤러는 출수신호를 출수밸브로 보내고, 출수밸브는 콘트롤러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출수관을 개방하여 출수구(122)를 통해 사용자게 제공된다. 출수버튼(143)의 하부에 LED 램프가 구비되어, 출수버튼(143)의 동작신호를 사용자에 알려줄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42)은 출수버튼(143) 외에 사용자가 정수, 온수 및 냉수를 선택할 수 있는 입력버튼과, 입력버튼의 입력에 따라 현재 선택되는 정수, 온수 및 냉수모드 등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버튼은 온수선택버튼, 정수/냉수선택버튼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콘트롤러는 입력버튼 및 표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의해, 입력버튼으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잔수트레이(180)는 출수구(122)로부터 출수되는 물 중 일부의 물이 사용자의 컵 밖으로 유출되어 정수기의 바닥면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패널(111d)에 구비된다.
잔수트레이(180)는 물을 임시로 저장하기 위해 납작하게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트레이몸체(181)와, 트레이몸체(181)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그릴(18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트레이몸체(181)의 가장자리부 측면은 전후좌우로 막혀 있어서 일정 양의 물을 저장할 수 있다.
상부 그릴(182)은 트레이몸체(181)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 정수기의 바닥면 주변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로방향으로 가늘고 얇게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을 구비한다.
잔수트레이(180)가 베이스패널(111d)에서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잔수트레이(180)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회전링(190)이 베이스패널(111d)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링(190)은 외측링부(191) 및 내측링부(192)를 구비하고, 외측링부(191)의 일측에 장착부(194)를 구비한다.
잔수트레이(180)는, 트레이몸체(181)의 후방 측면에 직사각체 형상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장착부(194)에 탈착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결합부(183)를 구비한다.
잔수트레이(180)는 결합부(183)를 통해 회전링(190)과 연결되어, 베이스패널(111d)에 대해 좌우측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외에도, 본체유닛(110) 내부에는 정수필터에 의해 정수된 물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냉각수단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동사이클장치로 마련될 수 있다.
본체유닛(110) 내부에는 정수된 물을 가열하여 온수로 만들기 위한 히터가 구비될 수 있다. 히터는 전기식 또는 유도가열식 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로테이터(130), 조작부(140) 및 잔수트레이(180)의 회전구조를 부품 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에서 지지부(112)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회전가이드레일(113)을 보여주는 일부 발췌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서 로테이터(130)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서 로테이터(130)의 상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유닛(110)에 로테이터(130)와 조작부(140)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본체유닛(110)의 제1회전가이드레일(113a)과 로테이터(130)의 제1회전가이드돌기(132a)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에서 프런트커버(111a)의 제2회전가이드레일(113b)과 로테이터(130)의 제2회전가이드돌기(132b)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부(112)의 배면은 후방으로 개방되고, 사이드패널(111c)의 전단부에 지지부(112)의 후단부가 결합된다.
본체유닛(110)의 내부에 로테이터(130)가 좌우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일정한 곡률의 회전가이드레일(113)이 구비된다.
회전가이드레일(113)은 로테이터(130)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해 반원형의 곡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회전가이드레일(113)은 지지부(112)의 상단부 내측에 고정되게 형성되는 제1회전가이드레일(113a)과, 제2프런트커버(111a")의 내부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고정되는 제2회전가이드레일(113b)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회전가이드레일(113a)과 제2회전가이드레일(113b)은 로테이터(130)를 사이에 두고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로테이터(130)는 출수부(120)를 상기 프런트커버(111a)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수평하게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로테이터(130)는 중심부에 회전축을 갖지 않고, 중심부에서 일정한 곡률로 형성되는 회전가이드돌기(132)를 구비하고, 회전가이드돌기(132)를 이용하여 회전가이드레일(113)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가이드돌기(132)는 로테이터(130)에 구비되고, 회전가이드레일(113)은 본체유닛(110)에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지만, 회전가이드돌기(132) 및 회전가이드레일(113)은 동일한 곡률로 이루어지며 서로 맞물리게 결합되어, 로테이터(130)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로테이터(130)는 로테이터하우징(130a)을 구비한다. 로테이터하우징(130a)은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고 직경에 비해 높이가 짧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출수부(120)는 로테이터(130)의 일 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출수부하우징(121)과, 출수부하우징(121)의 단부 저면에 형성되는 출수구(122)로 구성될 수 있다.
로테이터(130)는 상기 로테이터하우징(130a)의 내측 상부와 하부에 서로 이격 배치되는 상부 가이드브라켓(133)과 하부 가이드브라켓(131)을 구비한다.
도 7에 도시된 로테이터하우징(130a)의 내측면에 체결부(134)가 돌출형성되고, 상부 가이드브라켓(133)과 하부 가이드브라켓(131)에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체결홀(135)이 형성된다. 볼트 등이 체결홀(135)을 통해 체결부(134)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부 및 하부 가이드브라켓(131)이 로테이터하우징(130a) 내측면에 서로 이격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로테이터(130)는 상부 가이드브라켓(133) 또는 하부 가이드브라켓(131)에 원주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레일수용홈을 더 포함한다. 레일수용홈은 상기 제1회전가이드레일(113a)을 수용하는 하부 레일수용홈(131a)과, 상기 제2회전가이드레일(113b)을 수용하는 상부 레일수용홈(133a)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돌기(132)는, 상부 레일수용홈(133a) 또는 하부 레일수용홈(131a)의 일 측면에서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거나, 상부 레일수용홈(133a) 및 하부 레일수용홈(131a)의 일 측면에서 상방향과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되는 회전가이드돌기(132)는 하부 가이드브라켓(131)의 하부 레일수용홈(131a)에서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회전가이드돌기(132a)와, 상부 가이드브라켓(133)의 상부 레일수용홈(133a)에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회전가이드돌기(132b)로 구성될 수 있다.
레일수용홈은 회전가이드레일(113)을 수용하고, 이때 회전가이드레일(113)의 일면과 서로 마주보며 회전가이드레일(113)과 두께방향으로 중첩되어 접촉된다.
또한, 회전가이드돌기(132)의 단부는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회전가이드돌기(132)와 회전가이드레일(113)의 결합 시 회전가이드돌기(132)의 단부의 내부면은 회전가이드레일(113)의 일부와 서로 마주보며 두께방향으로 중첩되어 접촉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회전가이드돌기(132)는 레일수용홈의 일부 구간에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출수부(120)가 로테이터(130)의 일 측면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출수부(120)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측방향으로 60°~90°각도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회전가이드돌기(132)는 상기 각도 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회전가이드돌기(132)가 회전가이드레일(113)의 양측 단부 중 어느 일 단부에 로테이터(130)의 회전방향으로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도록, 회전가이드돌기(132)와 회전가이드레일(113)의 양측 단부가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가이드돌기(132)는 회전가이드레일(113)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고 회전가이드레일(113)에 회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회전가이드돌기(132)와 회전가이드레일(113)이 결합되면, 회전가이드돌기(132)의 안쪽으로 형성되는 레일수용홈에 회전가이드레일(113)이 수용되어 레이수용홈과 회전가이드레일(113)의 일면이 두께방향으로 중첩되고, 회전가이드돌기(132)의 단부가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져 회전가이드레일(113)과 두께방향으로 중첩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결합구조에 의하면, 출수부(120)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출수부(120)를 분리하지 않고도 출수구(122)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로테이터(130)의 중심에 회전축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면, 출수부(120)가 로테이터(130)의 일측면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조에서 출수부(120)를 잡고 로테이터(130)를 회전시키더라도 출수부(120)의 편심하중에 의해 출수부(120)가 위로 들리거나 아래로 내려가서 출수부(120) 및 로테이터(130)의 회전이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회전가이드돌기(132)의 후크 형상에 의해, 로테이터(130)가 본체유닛(110)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로테이터(130)의 회전 시 회전가이드돌기(132)와 회전가이드레일(113) 사이의 접촉 면적이 넓기 때문에, 출수부(120)를 잡고 회전시키는 경우 편심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고, 로테이터(130)와 본체유닛(110) 사이에 마찰에 의한 마모 및 스크래치 등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상부 가이드브라켓(133) 및 하부 가이드브라켓(131)은 서로 동일한 재질,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부 및 하부 가이드브라켓(131)이 서로 다른 형상으로 성형될 경우에 부품 성형을 위한 금형이 추가로 구비되어야 하고, 상부 및 하부 가이드브라켓(133,131)을 구분하여 관리해야 하므로, 금형비 및 부품 관리비용이 추가로 든다. 따라서, 비용을 줄이기 위해 로테이터하우징(130a)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브라켓을 동일한 재질, 크기 및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부 가이드브라켓(133) 및 하부 가이드브라켓(131)은 로테이터하우징(130a), 본체유닛(110)의 지지부(112), 프런트커버(111a) 등과 이종재질이다. 특히, 상부 가이드브라켓(133) 및 하부 가이드브라켓(131)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회전가이드돌기(132b)는 본체유닛(110)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가이드레일(113)과 이종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회전가이드돌기(132)는 POM(Poly Oxy Methylene)재질일 수 있다. POM은 Poly Oxy Methylene(폴리옥시메틸렌)의 약자로서 Poly Acetal(아세탈 중합체) 또는 아세탈수지라고도 한다. POM은 내피로성, 강인성, 내마모성 등이 우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다.
지지부(112) 상단부의 제1회전가이드레일(113a)과 제2프런트커버(111a")의 제2회전가이드레일(113b)은 범용 플라스틱 재질인 ABS 재질일 수 있다.
이에 의해, 회전가이드돌기(132)가 회전가이드레일(113)을 따라 회전할 때 회전가이드돌기(132)와 회전가이드레일(113) 상호 간의 마찰로 인한 마모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로테이터(130)는 상부 가이드브라켓(133)과 하부 가이드브라켓(131)의 중심부에 각각 배치되는 원형의 상부 중심링(136b)과 하부 중심링(136a)을 포함한다. 상부 가이드브라켓(133) 및 하부 가이드브라켓(131)의 내측면에서 상부 중심링(136b)과 하부 중심링(136a)으로 각각 상부 연결부(137b)와 하부 연결부(137a)가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부 중심링(136b)과 하부 중심링(136a)은 상부 연결부(137b) 및 하부 연결부(137a)에 의해 상부 가이드브라켓(133)과 하부 가이드브라켓(131)에 연결되며 지지된다. 상부 및 하부 연결부(137a)는 각각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복수의 관통홀을 구비한다.
상부 중심링(136b) 및 하부 중심링(136a)은 출수관의 설치 위치를 작업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출수관은 정수유로, 냉수유로 및 온수유로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제1출수관(170)과, 제1출수관(17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출수구(122)와 연결되는 제2출수관(172)과, 제1출수관(170)과 제2출수관(172)을 연결하는 피팅부(171)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수, 냉수 또는 온수는 제1 및 제2출수관(172)을 따라 출수구(122)로 이동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바, 제1출수관(170)은 하부 중심링(136a)을 관통하고, 제1출수관(170)의 상단부, 피팅부(171) 및 제2출수관(172)은 로테이터하우징(130a)의 중심부와 출수구(122)하우징의 내부를 경유하여 출수구(122)로 연장되도록 조립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탑커버(111f)에 설치된 조작부(140)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유닛(110)의 상단부에 장착된 조작부(140)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작부(140)는 본체유닛(110)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조작부(140)는 로테이터(130)와 동시에 회전가능하다.
도 2, 도 7,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조작부(140)는 조작부(140)하우징, 디스플레이 패널(142) 및 출수버튼(14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조작부(140)하우징은 상부하우징(141a)과 하부하우징(141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하우징(141a)과 하부하우징(141b) 사이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수용공간에는 인쇄회로기판 등의 전자부품들이 수용될 수 있다.
상부하우징(141a)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42)이 설치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42)의 하부에 콘트롤러의 일 구성요소인 인쇄회로기판(PCB)이 인접하게 배치되고, PCB는 디스플레이 패널(142)의 입력버튼의 조작과 연결되어 동작됨에 따라, 콘트롤러가 입력버튼의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하부하우징(141b)은 상부하우징(141a)과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본체유닛(110)의 탑커버(111f)에는 조작부(140)를 장착하기 위한 원형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탑커버(111f)의 관통홀 가장자리부에 회전가이드홈(114)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회전가이드홈(114)에 조작부(14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부하우징(141a) 또는 하부하우징(141b)은 탈거방지돌기를 구비하여, 조작부(140)가 탑커버(111f)로부터 상방향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탈거방지돌기는 상부하우징(141a) 또는 하부하우징(141b)에서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탈거방지돌기의 단부가 후크형상으로 이루어져 탑커버(111f)의 일부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조작부(140)와 로테이터(130)가 함께 회전하도록 조작부(140) 및 로테이터(130)를 연결하는 연결유닛(144)이 조작부(140)와 로테이터(130)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연결유닛(144)은 결합링(144a) 및 결합돌기(144b)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유닛(144)의 일 실시예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결합돌기(144b)가 조작부(140)의 하부하우징(141b) 저면에 형성되고, 결합링(144a)은 로테이터(130)의 상부 가이드브라켓(133)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링(144a)은 내부에 원형의 결합홀을 구비한다. 결합링(144a)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링(144a)은 각각 로테이터(130)의 가상의 회전축에서 반경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복수의 결합링(144a)은 상기 회전축을 직경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링(144a)은 상부 가이드브라켓(133)과 하부 가이드브라켓(131)에 모두 형성되거나 상부 가이드브라켓(133)에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링(144a)은 링이음부에 의해 상부 및 하부 가이드브라켓(133, 131)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유닛(144)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결합돌기는 로테이터(130)의 상부 가이드브라켓(133)에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결합홀은 조작부(14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결합돌기가 결합홀 내부로 삽입 결합되어, 로테이터(130)가 회전할 때 조작부(140)도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40)와 로테이터(130)의 연결유닛(144)에 따르면, 조작부(140)와 로테이터(130)가 함께 회전할 때 출수버튼(143) 및 출수부(120)도 함께 회전한다. 이에 의해, 출수버튼(143)과 출수구(122)가 동일 선상으로 위치하며 회전됨에 따라 출수버튼(143)과 출수구(122)의 위치를 별도로 맞추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종래와 같이 출수부(120)가 정수기의 본체유닛(11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고정되면, 정수기의 설치 시 다른 주방용품들 사이에서 공간적인 제약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출수부(120)를 사용자가 좌우 측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므로, 제품 설치 시 공간적인 제약을 덜 받고, 편리한 방향으로 출수부(120)의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니언기어(152), 내접기어(151) 및 오일댐퍼(150)의 연결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서 오일댐퍼(150) 및 피니언기어(152)의 확대된 모습을 보여주는 확대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댐퍼(150)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3의 A-A 단면도이다. 도 15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댐퍼(15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출수부(120)의 회전 시 걸리는 느낌 없이 부드럽고 출수부(120) 등에 일정한 크기의 힘을 가하기만 하면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오일댐퍼(150)를 구비한다.
또한, 본체유닛(110)의 내부에 내접기어(151)와 피니언기어(152)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 출수부(120)를 손으로 잡고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 출수부(120)에 가해지는 회전력을 오일댐퍼(15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내접기어(151)는 지지부(112)의 상단부에 일정한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내접기어(151)는 제1회전가이드레일(113a)과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내접기어(151)는 지지부(112)의 상단부 외측 가장자리부와 인접하게 위치하고, 제1회전가이드레일(113a)과 동심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내접기어(151)의 내주면에 치(齒)들이 돌출 형성되고, 치들의 돌출방향 및 치 사이에 형성되는 홈의 개구방향은 제1회전가이드레일(113a)을 향할 수 있다.
도 5 및 도 12를 참조하면, 피니언기어(152)는 로테이터(130)의 저면에 구비되고, 내접기어(151)의 곡률반경에 비해 훨씬 작은 곡률반경의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치의 갯수도 작다. 로테이터(130)가 지지부(112)의 상단부에 장착되면 피니언기어(152)는 내접기어(151)의 내측면에 위치하고, 내접기어(151)와 맞물리게 결합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오일댐퍼(150)는 오일을 저장하는 댐퍼하우징(154)과, 댐퍼하우징(154)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155)로 구성될 수 있다.
댐퍼하우징(154)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여, 오일을 저장하거나 회전체(155)를 수용할 수 있다. 댐퍼하우징(154)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댐퍼하우징(154)은 피니언기어(152)와 두께 또는 높이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회전체(155)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타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체(155)의 외측 가장자리부는 일정한 곡률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곡면부(155a)와, 직선 형태로 이루어지며 곡면부(155a)를 연결하는 직선부(155b)로 구성될 수 있다.
댐퍼하우징(154)의 중심부에 회전축(153)이 수직하게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축(153)의 일측은 댐퍼하우징(154)의 내부에 삽입되어 회전체(155)와 결합되고, 회전체(155)의 타측은 댐퍼하우징(154)의 외부에 돌출되어 피니언기어(152)와 결합된다. 이에 의해, 피니언기어(152)가 회전될 때 회전체(155)도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곡면부(155a)는 댐퍼하우징(154)의 내측면과 일정한 틈새(156a)를 두고 이격 되게 형성된다.
직선부(155b)는 댐퍼하우징(154)의 내측면과 이격 배치되고, 회전체(155)의 중심부로 갈수록 직선부(155b)와 댐퍼하우징(154) 사이의 간격은 증가한다. 직선부(155b)와 댐퍼하우징(154) 사이의 간격은 곡면부(155a)와 댐퍼하우징(154)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더 크다.
상기 오일댐퍼(150)와 피니언기어(152)의 연결 구조에 의하면, 회전체(155)가 오일을 회전시킬 때 직선부(155b)와 댐퍼하우징(154) 사이에 저장되어 있는 오일의 상당량은 직선부(155b)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고, 상기 오일 중 나머지는 곡면부(155a)와 댐퍼하우징(154) 사이의 틈새(156a)를 통해 빠져나감에 따라 회전체(155)의 회전력을 감쇄하고 로테이터(130)의 운동에너지를 흡수한다. 오일은 좁은 틈새(156a)를 통해 빠져나가면서 회전체(155)와 마찰을 일으키며 오일 자체의 점성에 의해 흡수된 회전체(155)의 운동에너지의 일부를 마찰열로 방출한다.
여기서, 상기 틈새(156a)가 작을수록, 그리고 오일의 점도가 클수록 오일댐퍼(150)의 감쇄력은 커진다.
만약 오일댐퍼(150)의 작용이 없다면, 사용자가 출수부(120)에 가하는 힘의 크기에 따라 출수부(120)의 회전속도가 늦거나 출수부(120)가 지나치게 빨리 회전될 수 있다. 심한 경우 출수부(120)가 지나치게 빠른 속도로 회전하여 출수부(120)가 파손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오일댐퍼(150)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의 크기와 상관 없이 출수부(120)를 일정한 속도로 부드럽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오일 점도 등에 의해 설정되는 오일댐퍼(150)의 감쇄력보다 작은 힘으로 출수부(120)를 회전시키면, 출수부(120)가 회전하지 않는다. 일정한 크기 이상의 힘을 출수부(120)에 가하는 경우에만 회전가능하다.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일댐퍼(15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회전체(155) 내부에 복수의 오일이동홀(156b)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오일이동홀(156b)은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155)의 내부에 일정한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오일이동홀(156b)은 회전체(155)의 회전축(153)을 가로지르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오일이동홀(156b)은 원호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직선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오일이동홀(156b)의 단면형상도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출수부(120)를 특정 위치로 제한하는 스톱퍼(160)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출수부(120)는 프런트커버(111a)의 정중앙에 위치하도록 제한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특정 위치는 프런트커버(111a)의 정중앙에 위치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출수부(120)가 프런트커버(111a)의 정중앙에서 좌우 측방향으로 30°, 45°, 60°등 다양한 위치로 더 한정될 수 있다.
스톱퍼(160)는 걸림부(162)와 스톱돌기(161)로 구성될 수 있다. 스톱돌기(161)가 걸림부(162) 내부에 삽입됨에 따라 지지부(112)의 상단에서 로테이터(13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걸림부(162)는 지지부(112) 또는 로테이터(130)에 형성될 수 있다.
스톱돌기(161)는 걸림부(162)와 마주보게 위치하며, 로테이터(130) 또는 지지부(112)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스톱돌기(161a)는 지지부(112) 상단에 형성된 모습을 보여준다. 복수개의 스톱돌기(161a)는 제1회전가이드레일(113a)의 곡률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지지부(112) 상단부에서 후방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스톱돌기(161a)는 원주방향으로 180도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톱돌기(161a)는 지지부(112)의 상단에서 제1회전가이드레일(113a)과 내접기어(151) 사이로 위치하여 스톱돌기(161a)의 전단부가 고정되고 스톱돌기(161)의 후단부가 상하 이동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도 5에 도시된 걸림부(162)는 로테이터(130)의 하부 가이드브라켓(131)의 저면에 형성된 모습을 보여준다. 복수의 걸림부(162a)는 로테이터(130)의 중심축과 출수구(122)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부 가이드브라켓(131)의 저면에 대칭되게 형성된다. 걸림부(162a)는 원주방향으로 18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걸림부(162a)는 중앙부에 걸림홈을 구비하고, 걸림홈으로 갈수록 걸림부(162a)의 높이가 더 높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은 걸림부(162a)의 중앙부에서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스톱돌기(161a)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다. 걸림홈은 로테이터(130)의 회전각도에 따라 스톱돌기(161a)의 단부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톱돌기(161a) 및 걸림부(162a)의 형상 및 개수는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수부(120)가 프런트커버(111a)의 정중앙에 위치할 때, 2개의 걸림부(162a)를 가로지르는 가로방향의 가상선, 출수부(120)의 폭 중심과 로테이터(130)의 회전축을 가로지르는 세로방향의 가상선은 수직하게 교차하며, 상기 걸림부(162a)가 스톱돌기(161a)에 의해 걸림으로, 출수부(120)의 위치가 프런트커버(111a)의 정중앙으로 제한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162a) 및 스톱돌기(161a)는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걸림부(162a)가 지지부(112)에 형성되고, 스톱돌기(161a)가 로테이터(13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톱퍼(160)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스톱퍼(160)는 로테이터(130)의 하부 가이드브라켓(131)에 형성되는 스톱돌기(161b)와, 지지부(112) 상단에 형성되는 걸림부(162b)로 구성된다.
걸림부(162b)는 하부 가이드브라켓(131)의 두께방향으로 뚫린 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톱돌기(161b)는 중앙부에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탄성지지되는 볼록부를 구비한다.
로테이터(130)가 지지부(112)의 상단에서 회전될 때 스톱돌기(161b)가 걸림부(162b)에 삽입되어 걸림에 따라 로테이터(13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테이터(130)의 회전이 제한된 상태에서 스톱돌기(161b)와 걸림부(162b)의 체결력을 이길 수 있는 힘을 가하면 스톱돌기(161b)와 걸림부(162b)는 체결이 해제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출수구(122)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출수관이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에서 서로 연결된 두 개의 출수관의 단면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로테이터하우징(130a)은 정수된 물을 출수시키기 위한 출수유로를 제공하는 제1출수관(170), 제2출수관(172) 및 피팅부(171)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1출수관(170)은 본체유닛(110)의 내부에 로테이터(130)의 회전축 선상으로 고정되게 배치된다. 상기 회전축은 로테이터(130)에 실질적으로 구비되지는 않으나, 출수부(120)가 회전할 때 회전 중심이 되고 로테이터(130)의 중심부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가상의 축이다. 제1출수관(170)은 직수식 정수기의 경우 냉수유로 또는 온수유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출수관(170)은 저수식 정수기의 경우 냉수조 또는 온수조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출수관(172)은 상기 제1출수관(170)과 교차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출수관(172)의 일단부는 출수구(122)와 연결된다.
피팅부(171)는 직각으로 굽은 형태의 관으로 이루어지고, 제1출수관(170)의 상단부과 제2출수관(172)의 타단부를 연결한다. 이에 의해, 제2출수관(172) 및 피팅부(171)는 로테이터(13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피팅부(171)의 내부에 오링(173)이 설치된다. 오링(173)은 피팅부(171) 및 출수관 사이의 기밀을 유지한다. 오링(173)은 피팅부(171)의 양측 단부에 각각 직경이 확장된 확관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확관부의 내부에 한 쌍의 관체결부재(174)가 구비된다. 관체결부재(174)는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하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공부를 통해 출수관이 관체결부재(174)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한 쌍의 관체결부재(174) 중 제1관체결부재(174a)는 일단부 내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타단부 외측으로 90도 꺽인 형상의 플랜지부를 형성한다. 제2관체결부재(174b)는 일단부에 후크부를 형성하고, 타단부에 플랜지부를 형성한다. 제1관체결부재(174a)는 확관부에 고정되고, 제2관체결부재(174b)는 제1관체결부재(174a)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제2관체결부재(174b)의 후크부는 제1관체결부재(174a)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직경방향으로 좁아지거나 넓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출수관(170)이 제2관체결부재(174b)의 내부에 삽입되면, 제1출수관(170) 내부에 흐르는 수압에 의해 제2관체결부재(174b)의 단부가 관의 외측 직경방향으로 벌려지게 가압되고, 이 상태에서 제1출수관(170)이 피팅부(171)에 대해 당겨지거나, 또는 제1출수관(170)에 대해 피팅부(171)가 잡아 당겨져도 상기 제2관체결부재(174b)의 후크부가 제1관체결부재(174a)의 경사면을 따라 안쪽으로 이동하면서 좁아져 제1출수관(170)을 조이므로 제1출수관(170)이 피팅부(171)에서 빠지지 않는다.
제2관체결부재(174b)는 사용자 등에 의해 확관부의 길이방향 안쪽으로 눌려질 경우 제1관체결부재(174a) 안쪽으로 들어갈수록 상기 경사면의 직경이 넓어지는 쪽으로 이동하여, 제2관체결부재(174b)의 후크부가 벌려진다. 이에 의해, 제1출수관(170)이 제2관체결부재(174b)에서 해제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피팅부(171)는 제2출수관(172)과 함께 회전하고, 제1출수관(170)은 고정되어 있으며, 제1출수관(170)을 감싸고 있는 오링(173)도 회전한다.
상기 제1출수관(170)과 오링(173)의 상호 마찰에 의한 오링(173)의 마모를 제한하기 위해, 제1출수관(170)은 표면조도(표면거칠기)가 낮은 스테인레스 강 재질(stainless steel)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제1출수관(170)은 제2출수관(172)과 동일한 재질의 ABS 수지로 형성되어, 오링(173) 마모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제1출수관(170)은 표면조도가 낮은 스테인레스 강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오링(173)의 마모 발생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오링(173) 마모에 따른 누수현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오링(173)의 교체시기를 늦출 수 있다. 장기간 출수구(122)의 회전 변경에 따른 제품의 신뢰성 확보 및 내구성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패널(111d)에 잔수트레이(180)가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9에서 회전링(190)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본체유닛(1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장치와, 상기 본체유닛(110)에 대해 좌우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잔수트레이(180)를 포함한다.
잔수트레이(180)는 출수부(1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출수부(120)로부터 떨어지는 잔수를 저장한다.
상기 회전장치는 회전링(190)으로 마련될 수 있고, 잔수트레이(180)는 회전링(190)의 일측에 구비되어 본체유닛(11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잔수트레이(180)는 회전링(19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회전링(190)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잔수트레이(180)는 내부에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트레이몸체(181)와, 트레이몸체(181)의 상부를 덮도록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그릴(182)로 구성될 수 있다.
트레이몸체(181)의 내부에 저장공간이 하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내부에 잔수를 저장한다. 트레이몸체(181)의 가장자리부는 상부 그릴(182)의 테두리 측면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트레이몸체(181)의 내부에 상부 그릴(182)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부 그릴(182)에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어, 잔수가 슬릿을 통해 트레이몸체(181)의 저장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고, 잔수가 트레이몸체(181)의 내부에서 외부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트레이몸체(181)의 저면에 하부지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하부지지부가 잔수트레이(180)의 저면을 지지하여, 잔수트레이(180)가 좌우 측방향으로 회전 시 정수기의 설치자리면에서 처짐 발생 없이 일정한 높이로 지지될 수 있다.
트레이몸체(181)의 후방면과 상부 그릴(182)의 후방부에는 오목부가 원호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오목부가 회전링(190)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몸체(181)의 후방면 외측 단부에서 돌출부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돌출부의 외측면은 트레이몸체(181)의 일 측면에서 동일 평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잔수트레이(180)와 회전링(190)의 연결 부위에 움푹 들어간 부분을 가려줌에 따라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의 내측면은 회전링(190)의 외주면과 접촉되도록 오목부의 곡면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잔수트레이(180)와 회전링(190)의 결합을 위해 트레이몸체(181)의 오목부에서 결합부(183)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베이스패널(111d)의 전방부에 회전링(190)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잔수트레이(180)는 회전링(190)의 전방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링(190)과 연결되어 본체유닛(110)에 대해 좌우 측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패널(111d)의 전방부는 사용자가 물을 취수하기 위해 정수기의 앞쪽에 섰을 때 사용자와 가까운 베이스패널(111d)의 앞쪽 부분이며, 베이스패널(111d)의 전방부 길이는 베이스패널(111d)의 전후방향(세로방향, 길이가 긴 쪽임) 길이 중 대략 절반 정도 된다.
상기 베이스패널(111d)의 전방부는 베이스패널(111d)의 후방부보다 더 낮게 단차지게 형성되어, 베이스패널(111d)의 전방부와 제2프런트커버(111d")의 하단부 사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개구부를 통해 잔수트레이(180)가 본체유닛(110)의 외부로 노출되고, 회전링(190)과 결합된 상태로 좌우 측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패널(111d)의 전방부와 후방부 사이에 단차진 부분은 잔수트레이(180)의 회전 시 스톱퍼 역할을 하여, 잔수트레이(180)의 양쪽 측면이 상기 단차진 부분에 걸림에 따라 잔수트레이(180)의 회전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베이스패널(111d)의 내부에는 회전안내돌기부(184)가 구비된다. 회전안내돌기부(184)는 베이스패널(111d)에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제1회전안내돌기부(184a)와 제2회전안내돌기부(184b)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회전안내돌기부(184a)가 제2회전안내돌기부(184b)의 외측에 배치된다. 제1회전안내돌기부(184a)와 제2회전안내돌기부(184b)는 베이스패널(111d)의 저면에서 일정한 곡률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회전링(190)과 결합하여 회전링(190)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다.
회전안내돌기부(184)는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원호(360도 원주 전체 구간 중 일부가 개방됨)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제1회전안내돌기부(184a)는 베이스패널(111d)의 전방부의 중심부 뒤쪽에 위치하고, 후방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원호의 길이는 전체 원주 길이 중 대략 30도 내지 60도 사이의 원호 구간일 수 있다.
제2회전안내돌기부(184b)의 일부는 베이스패널(111d)의 전방부의 중심부와 제1회전안내돌기부(184a) 사이에 일정한 곡률의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원호의 길이는 전체 원주 길이 중 대략 180도 정도의 원호 구간일 수 있다. 또한, 제2회전안내돌기부(184b)의 다른 일부는 베이스패널(111d)의 전방부의 중심부 앞쪽에 위치하고, 전방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원호의 길이는 전체 원주 길이 중 대략 45도 내지 90도 사이의 원호 구간일 수 있다. 제2회전안내돌기부(184b)의 일부 및 다른 일부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직각으로 교차하는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호 구간의 각도는 상기한 각도에 한정되지 않는다.
회전링(190)이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며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안내돌기부(184)와 함께 안착부(185)를 포함한다. 안착부(185)는 베이스패널(111d)의 저면에서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고, 회전링(190)의 저면이 안착부에 접촉하여 지지된다. 안착부는 외측과 내측에 서로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제1안착부 및 제2안착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회전링(190)이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며 회전될 수 있다.
제1안착부(185a)는 제1회전안내돌기부(184a)의 배면에 일체로 돌출되고, 제1회전안내돌기부(184a)의 반대측으로 베이스패널(111d)의 전단부에도 형성될 수 있다. 제1안착부(185a)는 제1회전안내돌기부(184a)와 동일한 곡률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안착부(185a)는 베이스패널(111d)의 저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며, 제1안착부(185a)의 상부는 수평면으로 이루어져, 회전링(190)의 외측링부(191)의 일부가 제1안착부에 안착된다.
제2안착부(185b)는 제2회전안내돌기부(184b)의 일부의 배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제2회전안내돌기부(184b)의 다른 일부의 앞쪽 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안착부(185b)는 복수 개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회전링(190)은 회전안내돌기부(184)에 의해 안내되어 베이스패널(111d)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잔수트레이(18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링(190)은 외측링부(191), 내측링부(192) 및 링이음부(193)로 구성될 수 있다. 외측링부(191)는 회전링(190)의 외부 골격 및 형태를 이룬다. 외측링부(191)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외측링부(191)의 일부가 제1회전안내돌기부(184a)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제1회전안내돌기부(184a)를 따라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회전링(190)은 베이스패널(111d)의 전방부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제자리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내측링부(192)는 회전링(190)이 상기 베이스패널(111d)의 중심부에서 중심 이동되지 않도록 외측링부(19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만약 상기 내측링부(192)가 없다면,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제1회전안내돌기부(184a) 및 제1안착부(185a)의 구조에서는 잔수트레이(180)가 회전될 때 외측링부(191)의 중심을 잡아주는 지지구조, 즉 외측링부(191)가 회전 시 제1회전안내돌기부(184a) 및 제1안착부(185a)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기 위한 지지구조가 없으므로, 외측링부(191)가 정수기의 후방으로 중심 이동될 수 있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외측링부(191)가 회전할 때 외측링부(191)의 중심을 잡아주는 별도의 지지물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내측링부(192)는 외측링부(191)의 내부에 동심적으로 배치된다. 내측링부(192)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제2회전안내돌기부(184b)의 일부 및 다른 일부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정수기 및 베이스패널(111d)의 전후방향으로 움직임이 제한되고 제2회전안내돌기부(184b)에 의해 안내됨에 따라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회전링(190)은 동심원으로 배치되는 외측링부(191)와 내측링부(192)의 이중 링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잔수트레이(180)의 하부가 정수기의 설치자리면(예, 주방의 싱크대 및 테이블 등)에 닿아 있지 않고 회전링(190)만으로 지지될 경우에 잔수트레이(180)의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잔수트레이(180)에 대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외측링부(191)는 잔수트레이(180)와의 결합을 위해 일측에 장착부(194)를 구비한다. 장착부(194)는 결합부(183)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의 수용홀(194b)을 구비한다. 수용홀(194b)은 결합부(183)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결합부(183)가 수용홀(194b)을 통해 장착부(194)에 삽입 결합된다. 결합부(183)가 장착부(194)의 내부로 삽입 결합되면, 장착부(194)는 결합부(183)를 감싸서 결합부(183)의 외측면과 접촉되며 결합부(183)가 상하/좌우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결합부(183)를 지지한다. 다만, 결합부(183)는 장착부(194)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장착부(194)의 상부면에 후방으로 지지리브(194a)가 돌출 형성되어, 결합부(183)의 삽입 시 지지리브(194a)의 저면이 결합부(183)의 상부면에 접촉 지지하여 결합부(183)에 대한 지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리브(194a)의 저면에 돌출턱이 형성되고, 결합부(183)의 상부면에 체결홈(183a)이 형성되어, 결합부(183)가 장착부(194)에 삽입 시 돌출턱이 체결홈(183a)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돌출턱과 체결홈(183a)의 결합 및 분리 시 짤깍 소리가 날 수 있고 작동감을 느낌에 따라, 결합부(183)가 장착부(194)에 결합 및 탈거되었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외측링부(191)와 내측링부(192)는 링이음부(193)에 의해 연결된다. 링이음부(193)는 장착부(194) 하부에서 내측링부(192)로 연장되어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링이음부(193)는 내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리세스부(193a)를 구비한다. 리세스부(193a)는 결합부(183)의 삽입 시 결합부(183)의 양쪽 측면과 접촉함으로 결합부(183)의 삽입을 안내하고 결합부(183)의 양쪽 측면을 지지한다. 이에 의해, 결합부(183)가 장착부(194)에 용이하게 삽입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83)가 장착부(194)에 삽입 결합됨에 따라, 잔수트레이(180)가 상기 회전링(190)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패널(111d)에 대해 좌우 측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2회전안내돌기부(184b)에는 이탈방지돌기(186)가 형성되어, 회전링(190)이 제2회전안내돌기부(184b)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탈방지돌기(186)의 상단부는 내측링부(192)의 상면에 걸리도록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탈방지돌기(186)의 양측면은 회전안내돌기부(184)의 일부분에서 절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잔수트레이(180)가 회전될 때 회전링(190)이 상방향으로 들림에 따라 회전링(190)이 제2회전안내돌기부(184b)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잔수트레이(180)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정수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10 : 본체유닛
111 : 캐비닛
111a : 프런트커버
111a' : 제1프런트커버
111a" : 제2프런트커버
111b : 리어커버
111c : 사이드패널
111d : 베이스패널
111f : 탑커버
112 : 지지부
112a : 상단지지부
112b : 필터장착부
113 : 회전가이드레일
113a : 제1회전가이드레일
113b : 제2회전가이드레일
114 : 회전가이드홈
120 : 출수부
121 : 출수부하우징
122 : 출수구
130 : 로테이터
130a : 로테이터하우징
131 : 하부 가이드브라켓
131a : 하부 레일수용홈
132 : 회전가이드돌기
132a : 제1회전가이드돌기
132b : 제2회전가이드돌기
133 : 상부 가이드브라켓
133a : 상부 레일수용홈
134 : 체결부
135 : 체결홀
136a : 하부 중심링
136b : 상부 중심링
137a : 하부 연결부
137b : 상부 연결부
140 : 조작부
141 : 조작부하우징
141a : 상부하우징
141b : 하부하우징
142 : 디스플레이 패널
143 : 출수버튼
144 : 연결유닛
144a : 결합링
144b : 결합돌기
150 : 오일댐퍼
151 : 내접기어
152 : 피니언기어
153 : 회전축
154 : 댐퍼하우징
155 : 회전체
155a : 곡면부
155b : 직선부
156a : 틈새
156b : 오일이동홀
160 : 스톱퍼
161a,161b : 스톱돌기
162a,162b : 걸림부
170 : 제1출수관
171 : 피팅부
172 : 제2출수관
173 : 오링
174 : 관체결부재
174a : 제1관체결부재
174b : 제2관체결부재
180 : 잔수트레이
181 : 트레이몸체
182 : 상부 그릴
183 : 결합부
183a : 체결홈
184 : 회전안내돌기부
184a : 제1회전안내돌기부
184b : 제2회전안내돌기부
185 : 안착부
186 : 이탈방지돌기
190 : 회전링
191 : 외측링부
192 : 내측링부
193 : 링이음부
193a : 리세스부
194 : 장착부
194a : 지지리브
194b : 수용홀

Claims (4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전면 및 상기 전면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양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전면을 따라 상기 양측면의 일부까지 좌우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개구부를 구비하는 본체유닛;
    상기 본체유닛의 내부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의 일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로테이터;
    상기 로테이터의 외주면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돌출되고, 물이 취출되는 출수구를 구비하는 출수부; 및
    상기 본체유닛의 상부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출수구를 통한 물의 취출과 관련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수부는 상기 개구부를 따라 상기 본체유닛의 일측면에서 상기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까지 수평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출수부가 상기 개구부의 양단에 위치시, 상기 출수구는 상기 본체유닛의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조작부는 출수버튼과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며, 수평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는 상기 개구부를 따라 상기 본체유닛의 전방을 기준으로 좌측 90도 및 우측 90도로 수평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선택된 모드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의 전면은 내측에 배치되는 상기 로테이터의 외형에 대응하여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가 상기 본체유닛의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었을 때 상기 출수부가 상기 본체유닛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된 길이는, 상기 출수부가 상기 개구부의 양단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출수부가 상기 본체유닛의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길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7. 삭제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터의 수평회전 중심과 상기 조작부의 수평회전 중심은 상기 본체유닛 내부의 동일 축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의 수평회전시 상기 조작부가 함께 수평회전되도록, 상기 로테이터와 상기 조작부를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로테이터에서 상기 로테이터의 수평회전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결합링; 및
    상기 조작부의 저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링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본체유닛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탑커버에 상기 출수부를 향하여 경사진 상태로 수평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모드 선택을 입력 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선택된 모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버튼은 상기 디스플레이 내에 위치하며, 누름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터의 하부에는, 상기 로테이터의 수평회전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레일수용홈이 상기 로테이터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본체유닛의 내부에는, 상기 레일수용홈에 삽입되는 반원형의 회전가이드레일을 구비하여 상기 로테이터를 수평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회전가이드레일의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상기 회전가이드레일과 동심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가이드레일과 마주하는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치들이 돌출 형성되는 내접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로테이터의 하부에는, 상기 내접기어와 맞물려 상기 로테이터의 수평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피니언기어와, 회전축을 통해 상기 피니언기어와 연결되어 피니언기어의 회전력을 감쇄하는 댐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로테이터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와 상기 로테이터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로테이터의 특정 수평회전 위치에서 상기 걸림부에 걸림되는 스톱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가 상기 본체유닛의 전방 정중앙에 위치할 때, 상기 스톱돌기는 상기 걸림부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8. 제12항에 있어서,
    정수유로, 냉수유로 및 온수유로 중 적어도 하나의 유로와 연결되고, 상기 로테이터의 회전 중심축 상에 배치되는 제1출수관;
    상기 제1출수관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출수구와 연결되는 제2출수관; 및
    상기 제1출수관과 상기 제2출수관 상호 간을 연결하는 피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출수관은 고정되되, 상기 제2출수관과 상기 피팅부는 상기 로테이터의 수평회전에 대응하여 함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터의 수평회전 중심에는 상기 제1출수관이 관통하는 중심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유닛에 마련된 축을 중심으로 수평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수평회전에 의해 상기 출수구에 대응되는 상기 전면 또는 상기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출수구를 통하여 출수되는 물을 받도록 형성되는 잔수트레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와 상기 잔수트레이는 상기 본체유닛의 전방을 기준으로 좌측 90도 및 우측 90도로 수평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KR1020170034881A 2017-03-20 2017-03-20 정수기 KR101813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881A KR101813929B1 (ko) 2017-03-20 2017-03-20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881A KR101813929B1 (ko) 2017-03-20 2017-03-20 정수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8211A Division KR101773478B1 (ko) 2015-08-21 2015-08-21 정수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204A Division KR101901615B1 (ko) 2017-11-29 2017-11-29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376A KR20170034376A (ko) 2017-03-28
KR101813929B1 true KR101813929B1 (ko) 2018-01-02

Family

ID=58495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881A KR101813929B1 (ko) 2017-03-20 2017-03-20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39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9942B (zh) * 2018-10-26 2023-08-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净水机壳体及具有其的净水机
KR102458222B1 (ko) * 2020-09-10 2022-10-24 주식회사 잼손 직수형 수소수 정수기
KR102479409B1 (ko) 2021-01-21 2022-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803B1 (ko) * 2013-11-11 2014-04-07 명성희 정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803B1 (ko) * 2013-11-11 2014-04-07 명성희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376A (ko) 201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3478B1 (ko) 정수기
KR101828261B1 (ko) 정수기
KR101828260B1 (ko) 정수기
KR101901615B1 (ko) 정수기
US11673084B2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and filter structure
AU2020202210B2 (en) Water purifier
KR101813929B1 (ko) 정수기
US11186475B2 (en) Liquid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10096346A (ko) 정수기
KR20190021991A (ko) 정수기
KR20190023955A (ko) 정수기
KR101803878B1 (ko) 정수기
KR101948704B1 (ko) 정수기
KR20190040948A (ko) 정수기
KR20190089145A (ko) 정수기
KR101971283B1 (ko)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