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8100B1 - 밸브 유닛용 연결부재 - Google Patents

밸브 유닛용 연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8100B1
KR102458100B1 KR1020210082886A KR20210082886A KR102458100B1 KR 102458100 B1 KR102458100 B1 KR 102458100B1 KR 1020210082886 A KR1020210082886 A KR 1020210082886A KR 20210082886 A KR20210082886 A KR 20210082886A KR 102458100 B1 KR102458100 B1 KR 102458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valve unit
valve
branch pip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창식
박봉수
Original Assignee
윤창식
박봉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창식, 박봉수 filed Critical 윤창식
Priority to KR1020210082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81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03Housing formed from a plurality of the same valv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F16K27/065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with cylindrical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0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8Details
    • F16K5/14Special arrangements for separating the sealing faces or for pressing them together
    • F16K5/18Special arrangements for separating the sealing faces or for pressing them together for plugs with cylindrical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압 등으로 밸브를 개폐 제어하는 액추에이터, 컨트롤러, 레귤레이터와 같은 밸브 유닛들을 결합시키는 연결부재와 관련되며 실시예로, 포트를 구비하는 제1,2 밸브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있어서, 제1 밸브 유닛의 포트 주변에 면접하며 상기 포트에 대응하여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블록부와, 상기 블록부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홀과 연결되며 상기 제2 밸브 유닛의 포트와 연결되는 분기관부를 구비하는 포트블록 및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1 밸브 유닛의 포트에 나사체결되며, 중공된 내부 유로가 상기 관통홀과 연결되어 있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블록부의 바닥과 접촉하는 헤드부를 구비하는 포트플러그를 포함하는 밸브 유닛용 연결부재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밸브 유닛용 연결부재{Connection member for valve unit}
본 발명은 공압 등으로 밸브를 개폐 제어하는 액추에이터, 컨트롤러, 레귤레이터와 같은 밸브 유닛들을 결합시키는 연결부재와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밸브 장치는 밸브 본체 외에도 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여러 밸브 유닛을 갖추어야 한다. 메이커에 따라 모든 밸브 유닛을 이미 갖춘 밸브 장치가 제공되기도 하지만 통상 밸브를 사용하는 현장 상황에 맞춰 적합한 밸브 유닛들을 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도 1은 밸브 장치(200)의 예를 보여준다. 도 1의 (a)는 버터플라이 밸브로 구성된 공압식 밸브 장치(200)의 전형적인 구성으로, 밸브 본체(210)의 상부에 밸브 디스크를 회전 작동시키는 액추에이터(220)가 장착되고, 액추에이터(220)의 전방측에 액추에이터(220)에 공압을 전달하는 컨트롤러(230)가 구비된다. 또 컨트롤러(230)의 전방에는 적정 공압을 제공하면서 수분 등 불순물을 걸러내는 필터(241)가 구비된 레귤레이터(240)가 장착되며, 액추에이터(220)의 상부에는 작동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출하는 인디게이터(250)가 구비된다.
밸브 유닛들 중 일부는 압축 공기가 유동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니플을 사용하여 결합된다. 도 1의 (b)에서 컨트롤러(230)와 레귤레이터(240)의 결합에는 L 자형 니플(261)과 양단부에 수컷 나사산이 구비된 PT 니플(262)이 사용된다. 작업자는 니플 간의 나사 체결과, 밸브 유닛과 니플의 나사 체결을 수행하게 된다.
하나의 밸브 장치(200)를 조립하는 데에도 여러 번의 나사 체결을 하게 되므로, 조립 작업이 매우 수고로워지며 작업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나사 체결의 특성상 적정한 힘으로 두 밸브 유닛을 결합하였을 때에 밸브 유닛이 고정되는 각도가 일정치 아니한 문제가 있다. 도 1의 (a)와 (c)에서 레귤레이터(240)는, 필터(241) 하단의 드레인 수단으로 모인 수분을 배출하기 위해, 필터(241)가 바닥을 향하도록 설치될 것이 권장되며, 레귤레이터(240)의 인디게이터도 시인성 확보를 위해 가급적 정면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니플(261, 262)을 견고히 조였을 때에 레귤레이터(240)가 향하는 방향이 매번 일정치 아니하므로 이러한 레귤레이터가 수직되게 세우기 위해 니플을 더 회전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일정 수준 이상으로 니플이 조여진 상태에서, 레귤레이터 방향을 맞추기 위해 더 니플을 회전시켜 나사체결 시키는 방식이라 작업자의 피로도를 급격히 늘리는 원인이 된다.
한편 밸브 장치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본체(210)의 상부에 액추에이터(220) 등 밸브 유닛이 위치하는 상태를 기본 장착 방향으로 하는데, 여러 다른 장비와 간섭이 가능한 복잡한 배관 라인에 설치되다보니 밸브 장치(200)의 설치 방향이 도 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한 측면으로 뉘인 상태로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에 레귤레이터(240)의 필터(241)가 지면을 향하도록 회전시켜야 하는데, 이미 견고하게 잠긴 니플을 90도 또는 270도 더 회전시켜야 한다. 그에 따라 밸브 장치의 설치 작업의 난이도가 상승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9005호 (2013.02.25)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06059호 (2014.09.03)
본 발명은 밸브 장치의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현장 설치 과정 중에 일부 밸브장치의 설치 방향을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게 하는 밸브 유닛용 연결부재를 제시하고자 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포트를 구비하는 제1,2 밸브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있어서, 제1 밸브 유닛의 포트 주변에 면접하며 상기 포트에 대응하여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블록부와, 상기 블록부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홀과 연결되며 상기 제2 밸브 유닛의 포트와 연결되는 분기관부를 구비하는 포트블록 및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1 밸브 유닛의 포트에 나사체결되며, 중공된 내부 유로가 상기 관통홀과 연결되어 있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블록부의 바닥과 접촉하는 헤드부를 구비하는 포트플러그를 포함하는 밸브 유닛용 연결부재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밸브 유닛의 포트 주변에 면접하는 상기 블록부의 접촉면에 대하여 상기 분기관부의 길이 방향이 평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는 공구로 파지할 수 있는 형상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분기관부와 결합되며, 상기 분기관부의 단면 중심을 통과하는 축에 대하여 상기 제2 밸브 유닛의 회전 각도를 90도씩 변경 가능하고, 변경된 각도로 상기 제2 밸브 유닛을 고정시키는 각도조절부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제2 밸브 유닛의 포트에 일단부가 장착되며, 타단부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복수의 함몰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기관부로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팅관부, 상기 함몰홈에 대응하여 상기 분기관부의 둘레에 형성된 각 장착홀에 삽입되는 구속볼 및 상기 분기관부의 둘레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분기관부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함에 따라 상기 구속볼을 상기 함몰홈에 가압시켜 상기 피팅관부의 회전을 억제하거나, 그 가압을 해제하여 상기 피팅관부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작동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하고자 한 밸브 유닛을 연결하는 작업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밸브 장치의 설치 상황에 따라 레귤레이터와 같은 밸브 유닛의 설치 방향 변경이 용이하게 수정될 수 있어 시공 작업의 효율성이 크게 향상된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밸브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 유닛용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포트블록의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포트플러그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포트블록과 밸브 유닛의 장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밸브 유닛용 연결부재의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유닛용 연결부재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과 실시예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기술적 의미가 동일성 범위에 있는 구성요소를 편의상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즉, 어떠한 하나의 구성은 임의적으로 '제1구성' 또는 '제2구성'으로 명명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 유닛용 연결부재의 주요 구성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100)는 압축공기나 고압유 등 작동 유체가 출입하는 포트(P)를 구비하는 제1,2 밸브 유닛(V1, V2)을 연결하는 것으로, 포트(P)를 이용하여 제1,2 밸브 유닛을 상호 결속시키면서 포트 간 작동 유체의 흐름을 보장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1,2 밸브 유닛(V1, V2)은 밸브 장치를 구성하는 것으로, 액추에이터, 컨트롤러, 레귤레이터 등 포트를 구비하는 어떤 유닛이 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을 참고하면, 밸브 유닛(V1, V2)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홀의 형태인 포트(P)를 구비한다. 포트(P)는 통상 평탄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포트의 주변부에는 실링용 개스켓이 장착되는 실링 자리가 ?은 높이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연결하고자 한 밸브 유닛들의 포트는 서로 수직한 관계에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에 포트(P)가 형성된 것을 제1 밸브 유닛(V1)이라 하고, 측면에 포트(P)가 구비된 것을 제2 밸브 유닛(V2)이라 하며, 이렇게 수직 관계에 놓인 두 포트(P)를 연결부재(100)가 연결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다시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연결부재(100)는 포트블록(10)과 포트플러그(20)를 포함한다. 나아가 생략 가능한 추가적인 구성으로 각도조절부(30)를 더 포함하고 있다.
포트블록(10)은 제1 밸브 유닛(V1)의 포트(P)와 접하는 블록부(11)와, 블록부(11)로부터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분기관부(12)를 포함한다.
블록부(11)는 일정한 체적을 가진 블록 형태로,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홀(112)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홀(112)의 직경은 제1 밸브 유닛의 포트(P)의 직경에 대응하거나 그보다 클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블록부(11)는 대략 육면체로 도시하고 있으나, 상면(111)이 평탄한 면으로 형성되는 조건 하에 블록부의 입체적 형상은 소정의 두께를 가진 원판형 등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블록부(11)의 상면(111), 즉 관통홀(112)의 주변은 평탄한 면으로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포트(P)에 맞추어 관통홀(112)을 위치시키면서, 제1 밸브 유닛(V1)의 평탄한 저면과 블록부(11)의 상면(111)이 면접하게 된다. 이때 제1 밸브 유닛(V1)과 블록부(11) 사이에 개스켓(13)을 설치하여 작동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분기관부(12)는 블록부(11)의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제2 밸브 유닛(V2)과 연결된다.
이때 제1 밸브 유닛(V1)의 포트 주변과 면접하는 블록부(11)의 접촉면, 즉 도면을 기준으로 블록부(11)의 상면(111)과, 분기관부(12)의 길이 방향이 서로 평행하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고하면, 블록부(11)의 상면(111)이 도면상 수평을 이루며, 분기관부(12)의 길이 방향도 블록부의 상면과 마찬가지로 좌우 방향으로 뻗은 형상이다. 이로써 블록부(11)의 상면(111)과 접촉하는 제1 밸브 유닛(V1)의 저면(b)과, 분기관부(12)를 통해 연결되는 제2 밸브 유닛(V2)의 측면(s)은 서로 수직한 위치가 된다. 앞서 설명한 종래의 기술에서와 같이, 컨트롤러 앞에 레귤레이터를 세워 결합한 구조가 실현된다.
분기관부(12)의 내부는 중공되어 있으며, 이는 관통홀(112)과 연결되어 있다. 즉 관통홀(112) 내부로 들어온 작동 유체가 분기관부(12)를 통해 제2 밸브 유닛(V2)으로 이동할 수 있다.
분기관부(12)의 선단부는 제2 밸브 유닛의 포트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 10을 참고하면, 분기관부(12)의 선단부에 나사산(122)을 형성하여 제2 밸브 유닛의 포트와 나사 체결할 수 있게 하거나(도 10의 (a)), 또 다른 배관과 연결되는 배관 피팅 부속(123)이나 치형(124)을 구비하거나(도 10의 (b) 또는 (c)), 선단부에 클램프(125)를 설치할 수 있다(도 10의 (d)). 이와 같이, 분기관부의 선단부에는 이미 공지된 다양한 고정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포트플러그(20)는 포트블록(10)을 제1 밸브 유닛(V1)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바디부(21)와 헤드부(22)를 포함한다.
바디부(21)는 관통홀(112)을 통과하는 대략 원형 기둥 형상의 부재로, 선단부에 나사산(211)이 형성되어 있어 이를 통해 제1 밸브 유닛(V1)의 포트(P)에 나사 체결된다. 바디부(21)는 중공되어 있으며, 바디부(21)의 중간 높이에 측면으로 개구홀(21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밸브 유닛(V1)의 포트(P)에서 토출되는 작동 유체는, 바디부(21)의 중공된 내부와 개구홀(212)을 통과한 후 관통홀(112)과 분기관부(12)를 거쳐 제2 밸브 유닛의 포트에 도달하게 된다.
개구홀(212)이 형성된 바디부(21)의 중간 부위는 직경이 다소 작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간 부위의 상부와 하부에는, 작동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오링 장착홈(213)이 바디부(2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헤드부(22)는 바디부(21)의 하부에 구비되며, 블록부(11)의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헤드부(22)는 공구로 파지할 수 있는 입체적 형상으로,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스패너로 조일 수 있는 육각 머리로 도시되었다.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헤드부는 렌치를 사용해 조일 수 있도록 육각 또는 사각형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헤드부(22)와 바디부(21)를 포함하는 포트플러그(20)는 대략 볼트와 같이 다뤄질 수 있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제1 밸브 유닛(V1)의 저면(b)에 포트블록(10)을 갖다 대고, 관통홀(112)을 통해 포트플러그(20)를 삽입한 후 볼트 조이듯 공구를 써 포트플러그(20)를 조이는 것만으로, 제1 밸브 유닛(V1)의 저면에서 분기관부(12)가 전면으로 돌출된 연결부재(100)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때 포트에 조여진 포트플러그(20)가 얼마나 회전되었는지는 분기관부(12)가 연장된 방향과 전혀 상관이 없다. 즉 종래의 기술에 따른 니플과 달리, 포트플러그를 더 조일 필요 없이 분기관부의 방향을 항상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작업자가 분기관부(12)가 항상 제1 밸브 유닛(V1)의 정면을 향하도록 세팅하기가 매우 용이해진다.
또한 제1 밸브 유닛(V1)의 저면(b)과 포트블록(10) 사이에 개스켓(13)이 개재되고, 포트플러그(20)의 관통홀(112) 내주면이 오링들에 의해 기밀되므로, 나사 체결 부위의 기밀을 위한 테이핑이나 누수제 도포 등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 이 또한 밸브 장치를 조립하는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도 3, 도 7 내지 도 9는 각도조절부와 관련된다.
각도조절부(30)는 분기관부(12)와 결합되는 추가 구성으로, 분기관부(12)와 연결되는 제2 밸브 유닛(V2)을 분기관부의 단면 중심을 통과하는 축에 대하여 제2 밸브 유닛(V2)의 회전 각도를 90도씩 변경 가능하고, 변경된 각도로 상기 제2 밸브 유닛(V2)을 고정시키는 부재이다.
밸브 장치가 옆으로 뉘인 상태로 설치될 경우에 제2 밸브 유닛(V2)을 적절히 회전시켜 의도한 방향으로 제2 밸브 유닛(V2)을 돌릴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도 1의 (c)와 같이 밸브 장치가 수평되게 뉘인 상황에서 레귤레이터를 지면에 수직하게 세우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각도조절부(30)는 피팅관부(31), 구속볼(32), 작동링부(33)를 포함한다.
먼저 분기관부(12)의 끝단부에는 둘레를 따라 4 군데의 장착홀(121)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홀들(121)은 분기관부(12)의 단면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분포되어, 9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피팅관부(31)는 제2 밸브 유닛(V2)의 포트(P)에 장착되는 부재로, 일단부에는 포트(P)와 나사 체결되는 나사산(312)이 형성되어 있다. 타단부(313)는 관체로 길게 연장되어 분기관부(12)의 안으로 진입하게 된다. 이 타단부(313)의 외주면 둘레에는, 분기관부의 장착홀(121)에 대응하여 4개의 함몰홈(314)이 90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속볼(32)은 강체의 구로, 각 장착홀(121)에 삽입된다. 구속볼(32)은 장착홀(121)의 두께 방향(분기관부(12)의 원형 단면에서 방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피팅관부(31)의 함몰홈(314)에 진입하거나 함몰홈(314)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작동링부(33)는 분기관부(12)의 둘레를 감싸는 형상으로, 분기관부(12)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작동링부(33)가 전후 이동함에 따라 구속볼(32)을 함몰홈(314)에 가압시켜 피팅관부(31)의 회전을 억제하거나, 그 가압을 해제하여 피팅관부(31)를 회전 가능하게 한다.
작동링부(33)의 내주면에는 단턱(331)이 형성되어 있어, 내주면의 내경은 작동링부(33)의 길이 방향에 따라 차이가 있다. 작동링부(33)가 전후진 이동하면서, 직경이 좁아지는 단턱(331) 부위가 구속볼들(32) 주변에 위치하거나, 이 단턱(331) 부위가 아닌 직경이 넓은 부분이 구속볼들(32) 주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작동링부(33)는 분기관부(12)의 선단부를 항하도록 스프링(332)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분기관부(12)의 선단부 둘레에 스냅링(333)이 장착되어 작동링부(33)가 분기관부(12)로부터 이탈하지 아니하게 된다.
도 7과 도 8은 작동링부(33)가 스프링(332)에 의해 전진 이동한 상태와 관련된다.
작동링부(33)가 전진 이동함에 따라 단턱(331)으로 인해 직경이 좁아진 부분이 구속볼(32)과 접하여, 구속볼(32)이 분기관부(12)의 중심을 향하게 된다.
각 구속볼(32)이 피팅관부(31)의 함몰홈(314)에 들어가게 되며, 작동링부(33)의 단턱(331) 부위가 구속볼(32)을 지지하여 함몰홈(314)에서 구속볼(32)이 빠지지 아니하게 된다. 이로써 구속볼(32)에 의해 피팅관부(31)가 위치 고정되며, 피팅관부(31)와 제2 밸브 유닛(V2)이 임의로 회전하지 아니하게 된다.
한편 도 9는 작동링부(33)가 후퇴한 상태와 관련된다.
작동링부(33)가 후퇴 이동함에 따라 단턱 부위가 아닌 내경이 큰 선단부 부분이 구속볼(32) 둘레에 위치되고, 구속볼(32)이 장착홀(121)의 두께 방향으로 다소 이동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이 생성된다.
구속볼(32)이 함몰홈(314)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제2 밸브 유닛(V2)을 자유롭게 회전시키거나, 피팅관부(31)를 분기관부(1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후퇴시켰던 작동링부(33)를 놓아 작동링부(33)가 스프링(332)에 의해 탄성 지지되게 한 상태에서, 제2 밸브 유닛(V2)을 회전시키면 단턱(331)에 의해 눌린 구속볼(32)이 피팅관부(31)의 어느 한 함몰홈(314)에 다시 들어가면서 제2 밸브 유닛(V2)의 설치 각도가 90도의 배수 각도로 고정된다. 이 후 작동링부(33)가 도 7과 같이, 구속볼(32)을 고정시키면서 제2 밸브 유닛(V2)의 각도가 고정된다.
구속볼(32)이 함몰홈(314)에 찾아들어가면서 피팅관부(31) 및 제2 밸브 유닛(V2)의 회전 각도가 결정되는 것으로, 함몰홈(314)이 90도 간격으로 배치됨에 따라 제2 밸브 유닛(V2)도 90도 간격으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각도조절부(30)는, 제2 밸브 유닛(V2)에 피팅관부(31)를 나사 체결시킨 이후 밸브 장치가 설치되는 시공 현상에서 제2 밸브 유닛(V2)을 장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 밸브 장치를 선조립한 후 시공 현장에 밸브 장치를 장착할 때에 제2 밸브 유닛의 설치 방향을 90도씩 전환시키면서 변경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로써 레귤레이터와 같은 제2 밸브 유닛(V2)의 설치 각도 조정을 위해 나사 조임을 더 조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는 밸브 유닛들을 연결함에 있어서 작업 공수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종래에는 모든 나사 체결 부위마다 방수 테이프를 감고, 밸브 유닛들 간의 각도 관계를 고려하면서 나사 체결을 진행했어야 하나,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번거로움이 최소로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종래의 기술에서 충분한 강도로 나사 체결을 하고 나서도, 밸브 유닛들 간의 각도를 직각으로 맞추기 위해 더 조여야 했던 번거로움이 해소된다. 분기관부의 방향을 의도한 방향으로 놓아둔 상태에서 포트플러그를 충분히 조이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므로 작업의 편의성 및 작업 속도가 향상된다.
각도조절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제2 배관 유닛의 각도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즉 배관 장치의 시공 현장에서 해당 배관 장치의 설치 방향에 따라 제2 배관 유닛의 각도 조절이 즉각적으로 손쉽게 이루어져, 시공 작업의 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100 : 연결부재
10 : 포트블록
11 : 블록부 111 : 상면 112 : 관통홀
12 : 분기관부 121 : 장착홀 122 : 나사산 123 : 피팅 부속
124 : 치형 125 : 클램프 13 : 개스켓
20 : 포트플러그
21 : 바디부 211 : 나사산 212 : 개구홀 213 : 오링 장착홈
22 : 헤드부
30 : 각도조절부
31 : 피팅관부 312 : 나사산 313 : 타단부 314 : 함몰홈
32 : 구속볼 33 : 작동링부 331 : 단턱 332 : 스프링
333 : 스냅링
V1 : 제1 밸브 유닛 b : 저면 V2 : 제2 밸브 유닛 s: 측면
P : 포트
200 : 밸브 장치
210 : 밸브 본체 220 : 액추에이터 230 : 컨트롤러
240 : 레귤레이터 241 : 필터 250 : 인디케이터 261, 262 : 니플

Claims (5)

  1. 포트를 구비하는 제1,2 밸브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있어서,
    제1 밸브 유닛의 포트 주변에 면접하며 상기 포트에 대응하여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블록부와,
    상기 블록부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홀과 연결되며 상기 제2 밸브 유닛의 포트와 연결되는 분기관부를 구비하는
    포트블록;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1 밸브 유닛의 포트에 나사체결되며, 중공된 내부 유로가 상기 관통홀과 연결되어 있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블록부의 바닥과 접촉하는 헤드부를 구비하는
    포트플러그; 및
    상기 분기관부와 결합되며, 상기 분기관부의 단면 중심을 통과하는 축에 대하여 상기 제2 밸브 유닛의 회전 각도를 90도씩 변경 가능하고, 변경된 각도로 상기 제2 밸브 유닛을 고정시키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제2 밸브 유닛의 포트에 일단부가 장착되며, 타단부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복수의 함몰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기관부로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팅관부,
    상기 함몰홈에 대응하여 상기 분기관부의 둘레에 형성된 각 장착홀에 삽입되는 구속볼 및
    상기 분기관부의 둘레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분기관부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함에 따라 상기 구속볼을 상기 함몰홈에 가압시켜 상기 피팅관부의 회전을 억제하거나, 그 가압을 해제하여 상기 피팅관부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작동링부를 포함하는
    밸브 유닛용 연결부재.
  2. 제1항에서,
    상기 제1 밸브 유닛의 포트 주변에 면접하는 상기 블록부의 접촉면에 대하여 상기 분기관부의 길이 방향이 평행하고,
    상기 헤드부는 공구로 파지할 수 있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유닛용 연결부재.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82886A 2021-06-25 2021-06-25 밸브 유닛용 연결부재 KR102458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886A KR102458100B1 (ko) 2021-06-25 2021-06-25 밸브 유닛용 연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886A KR102458100B1 (ko) 2021-06-25 2021-06-25 밸브 유닛용 연결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8100B1 true KR102458100B1 (ko) 2022-10-21

Family

ID=83805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886A KR102458100B1 (ko) 2021-06-25 2021-06-25 밸브 유닛용 연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810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6620Y2 (ko) * 1982-07-19 1988-07-19
JPH0234554A (ja) * 1988-07-25 1990-02-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酸化物超電導材料の製造方法
JPH0410475Y2 (ko) * 1985-08-29 1992-03-16
JP2003130222A (ja) * 2001-10-23 2003-05-08 Toyoda Mach Works Ltd ガスケット
KR101239005B1 (ko) 2012-07-24 2013-03-04 윤창식 솔레노이드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밸브
KR20140106059A (ko) 2013-02-25 2014-09-03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의 브라켓 장착부 회전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6620Y2 (ko) * 1982-07-19 1988-07-19
JPH0410475Y2 (ko) * 1985-08-29 1992-03-16
JPH0234554A (ja) * 1988-07-25 1990-02-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酸化物超電導材料の製造方法
JP2003130222A (ja) * 2001-10-23 2003-05-08 Toyoda Mach Works Ltd ガスケット
KR101239005B1 (ko) 2012-07-24 2013-03-04 윤창식 솔레노이드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밸브
KR20140106059A (ko) 2013-02-25 2014-09-03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의 브라켓 장착부 회전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실용신안등록 제 63026620호(1988.07.19.) 1부.*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평성 02-034554(1990.09.17.) 1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1604B1 (en) Fire-control sprinkler system
AU714184B2 (en) Multiple valve manifold for use with a pressure processing apparatus
US4738276A (en) Modular differential pressure transmitter/manifold for a fluid conveying pipeline
US5020570A (en) Combined valve modular control panel
US4977917A (en) Modular differential pressure transmitter/manifold for a fluid conveying pipeline
US9200740B2 (en) Piping system drain down tool
CA1047568A (en) Pivotal screwed fitting
JP2008506904A (ja) 流量調整を有するクイックコネクトを備えた給水遮断弁
CA2927341C (en) Pneumatic pressure relief test plug
KR102458100B1 (ko) 밸브 유닛용 연결부재
JPH0623562B2 (ja) 空気圧シリンダ用空気圧制御組立体
US5076328A (en) Pressure relief valve assembly
CA3025487C (en) Water control valve
US2740425A (en) High capacity, gas tight seating, adjustable safety valve
WO2013147638A1 (ru) Вентиль игольчатый под манометр
US20120132840A1 (en) Needle valve
JP4342660B2 (ja) インラインタイプの制御弁
US4382452A (en) Exhaust flow control valve for manifold plate
KR101117519B1 (ko) 유압 기기의 접속기구
US4565211A (en) Hydraulic manifold with automatic flow control
US4119295A (en) Seal for LP gas cylinder valve
US4827983A (en) Swiveling mount for the outlet of a pressure vessel
WO2009054689A1 (en) Pipe coupling device for use in sprinkler head
US67192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regulatable fire fighting water supply line from a continuously pressurized waterline
JP7255847B2 (ja) サドル付分水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