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7769B1 - 자동차 시트의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의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7769B1
KR102457769B1 KR1020210045093A KR20210045093A KR102457769B1 KR 102457769 B1 KR102457769 B1 KR 102457769B1 KR 1020210045093 A KR1020210045093 A KR 1020210045093A KR 20210045093 A KR20210045093 A KR 20210045093A KR 102457769 B1 KR102457769 B1 KR 102457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eat
striker pin
tub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9010A (ko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5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769B1/ko
Publication of KR20220139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 B60N2/36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센터 시트의 시트백이 폴딩되고 난 후 좌측 또는 우측 시트의 스트라이커 핀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 시트의 백 프레임에 설치되어 제2 시트의 래치에 록(lock) 및 언록(unlock)되는 스트라이커 핀을 상기 제2 시트의 시트백 폴딩 및 언폴딩의 작동 상태에 연동하여 회동시키는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트의 시트백 폴딩 및 언폴딩의 작동에 연동하여 스트라이커 핀을 회전시키는 케이블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는, 상기 제2 시트의 시트백 폴딩 또는 언폴딩의 작동 시 당김 또는 당김 해제되면서 스트라이커 핀을 회전시키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내부에서 이동하는 케이블을 지지 및 안내하는 하부 튜브인 제1 튜브와 상부 튜브인 제2 튜브; 및 상기 제1 튜브와 제2 튜브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튜브의 하단부를 유동 가능하게 탄력 지지하는 컴펜세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의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Apparatus for operating striker pin of vehicle sea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센터백의 래치에 록(lock) 되는 리어 시트의 스트라이커 핀을 센터백의 작동 상태에 연동하여 회동시키는 자동차 시트의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승객이 착석할 수 있는 시트가 설치되고, 이 차량용 시트는 승객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쿠션(seat cushion)과, 승객의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백(seat back)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통상의 차량용 시트에서는 시트백의 상단부에 승객의 머리와 목 부위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headrest)가 장착된다.
그 밖에 차량용 시트에는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암레스트(armrest)나, 캔 또는 병, 컵 등의 음료 용기를 보관할 수 있는 컵 홀더(cup holder), 시트백 전후 각도 조절을 위한 리클라이너(recliner), 시트 위치 조절을 위한 위치 조절 장치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최근 SUV(Sports Utility Vehicle)나 레저용 차량, 승합 차량에서는 리어 시트가 전방으로 접힐 수 있도록 설치되고, 필요할 경우 리어 시트를 전방으로 접어서 트렁크 룸을 포함한 차량 뒤쪽 공간을 적재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리어 시트에는 시트백을 접을 수 있는 폴딩 장치가 구비된다.
또한, 폴딩 가능한 리어 시트로 좌측 시트와 우측 시트 사이에 센터 시트를 배치한 3인용 시트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센터 시트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 시트백(센터백)을 좌측 시트 및 우측 시트와 마찬가지로 전방으로 접어두거나 세워둘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센터 시트에도 시트백 폴딩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자동차용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는 좌측 시트(1)와 센터 시트(2)만을 도시하였고, 우측 시트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1에서는 좌측 시트(1)와 센터 시트(2)를 모두 세워둔 상태(언폴딩 상태)로 도시하였고, 도 2에서는 센터 시트(2)만 전방으로 접어둔 상태(폴딩 상태)로 도시하였다.
3인용 리어 시트에서 좌측 시트(1)와 우측 시트는 세워둔 상태로 센터 시트(2)만 전방으로 접어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즉,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터 시트(2)의 시트백(3)을 전방으로 접어서 시트백(3)의 상측 공간을 확보한 뒤, 그 상측 공간을 적재공간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스키와 같이 긴 물건이 시트백을 접어 확보한 상측 공간을 지나가도록 적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터 시트(2)의 시트백(3)을 전방으로 접어주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미도시된 시트백 릴리즈 레버를 조작하도록 되어 있는데, 시트백 릴리즈 레버를 조작하면 좌측 시트(1)의 스트라이커 핀(5)에 대한 래치(미도시)의 록 상태가 해제되면서 센터 시트(2)의 시트백(3)이 회동 가능해진다. 이때, 사용자가 센터 시트(2)의 시트백(3)을 전방으로 접어주면, 시트백이 시트쿠션과 연결된 힌지부를 중심으로 시트쿠션을 향해 전방으로 회동되면서 접히게 된다.
상기 래치는 리어 시트에서 센터 시트(2)의 시트백(3) 측면부에 설치되고, 스트라이커 핀(5)은 좌측 시트(1) 또는 우측 시트의 시트백 측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래치는 스트라이커 핀(5)과 결합되어 록 상태를 유지하다가 사용자가 시트백 릴리즈 레버를 조작할 경우 스트라이커 핀에 대한 록 상태를 해제하도록 구비된다.
도 3은 종래의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10)가 설치된 시트(1)에서 스트라이커 핀(5)이 측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에서 센터 시트(2)의 시트백(3) 하단부가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에 설치된 폴딩 브라켓(11)과 힌지 브라켓(12), 그리고 힌지 브라겟(12)에 연결된 케이블 어셈블리(13)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5와 도 6a 및 도 6b는 케이블 어셈블리(13)와 회전 브라켓(16), 스트라이커 핀(5)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5에는 마운팅 브라켓(17)이 도시되어 있으나, 도 6a 및 도 6b에는 마운팅 브라켓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먼저, 스트라이커 핀(5)은 래치에 의해 록 상태로 있게 될 때,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시트(도 1 및 도 2에서 도면부호 '1'임) 또는 우측 시트의 시트백 측면부에서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돌출되어 있게 된다.
시트백 릴리즈 레버가 조작되어 스트라이커 핀에 대한 래치의 록 상태가 해제되고 나면, 센터 시트(2)의 시트백(3)이 전방으로 회동되면서 접힐 수 있는데(도 2 참조), 센터 시트(2)의 시트백(3)이 접히는 과정에서 좌측 시트(1) 또는 우측 시트에 설치된 스트라이커 핀(5)이 센터 시트(2)의 시트백(3) 움직임에 연동하여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센터 시트(2)의 시트백(3)이 좌측 시트(1) 또는 우측 시트와 함께 세워진 상태일 때, 좌측 시트 또는 우측 시트에 설치된 스트라이커 핀(5)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으로 눕혀져 측방 돌출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스트라이커 핀(5)은 센터 시트(2)의 시트백(3)에 설치된 래치(미도시)에 의해 록(lock)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트라이커 핀(5)이 래치에 의해 록 상태가 되면 센터 시트(2)의 시트백(3)이 언폴딩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게 된다.
반면, 시트백 릴리즈 레버의 조작에 의해 래치의 록 상태가 해제된 뒤, 센터 시트(2)의 시트백(3)을 전방으로 접는 과정에서 스트라이커 핀(5)은 좌측 시트(1) 또는 우측 시트의 측면부에서 측방 돌출되지 않도록 상방으로 회동되어 숨겨져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스트라이커 핀(5)이 설치된 좌측 시트(1) 또는 우측 시트에는, 센터 시트(2)의 시트백(3) 움직임, 즉 이 시트백(3)이 하단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상태에 연동하여 스트라이커 핀(5)을 회동시켜주는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10)가 구비된다.
상기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10)는, 센터 시트의 시트백(센터백) 회동 시 일체로 회전되는 폴딩 브라켓(도 4에서 도면부호 '11'임), 센터 시트의 시트백 회동 시 상기 폴딩 브라켓(11)에 의해 회전되는 힌지 브라켓(도 4에서 도면부호 '12'임), 힌지 브라켓(12)의 회전에 의해 당겨지거나 당김 해제되는 케이블 어셈블리(13), 및 케이블 어셈블리(13)가 당겨지거나 당김 해제될 때 케이블 어셈블리(13)에 의해 회전되면서 스트라이커 핀(5)을 회전시키는 회전 브라켓(도 5에서 도면부호 '16'임)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 중 폴딩 브라켓(11)과 힌지 브라켓(12)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시트에서 센터 시트의 시트백 힌지부 위치에 설치된 힌지축(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폴딩 브라켓(11)은 센터 시트의 시트백이 상기 힌지축(4)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센터 시트의 시트백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폴딩 브라켓(11)이 일정량 이상 회전되고 나면, 폴딩 브라켓(11)의 가압부(11a)가 힌지 브라켓(12)의 걸림부(12a)에 접촉되어 걸리면서 힌지 브라켓(12)을 회전시키는데, 이때 힌지 브라켓(12)이 힌지축(4)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케이블 어셈블리(13)의 케이블(14)이 아래로 당겨지도록 되어 있다.
케이블 어셈블리(13)는, 일단부가 힌지 브라켓(12)에, 타단부가 회전 브라켓(16)에 결합되는 케이블(14)과, 단부가 좌측 시트(1) 또는 우측 시트의 시트백에 내장된 백 프레임(1a)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14)을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내부에서 이동되는 케이블을 지지 및 안내하는 케이블 튜브(15)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 브라켓(16)에는 스트라이커 핀(5)이 일체로 결합된다.
이에 센터 시트(2)의 시트백(3)이 전방으로 접혀질 때, 힌지축(4)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폴딩 브라켓(11) 및 힌지 브라켓(12)에 의해 케이블 어셈블리(13)의 케이블(14)이 당겨지고, 이때 케이블(14)에 의해 회전 브라켓(16)이 당겨져 회전되면서, 회전 브라켓(16)에 의해 스트라이커 핀(5)이 시트 측면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지 않는 비노출 상태가 될 때까지 상방 회동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의 백 프레임(1a) 측면부에 마운팅 브라켓(17)이 고정 설치된다. 마운팅 브라켓(17)에는 내측으로 축(18)이 설치되고, 이 축(18)에는 회전 브라켓(16)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축(18)에 회전 브라켓(16)의 탄력 회전을 위한 리턴 스프링(19)이 설치되는데, 리턴 스프링(19)은 스트라이커 핀(5)이 수평으로 눕혀지는 방향으로 회전 브라켓(16)을 회전시키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
센터 시트(2)의 시트백(3)이 전방으로 접혀질 때, 폴딩 브라켓(11)과 힌지 브라켓(12)이 차례로 회전되면서 케이블 어셈블리(13)의 케이블(14)이 당겨지면, 상기 케이블(14)에 의해 회전 브라켓(16)이 회전되고, 이때 스트라이커 핀(5)이 상방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리턴 스프링(19)은 탄성을 가지도록 변형된다.
이후, 반대로 전방으로 접혀 있던(즉, 폴딩되어 있던) 센터 시트(2)의 시트백(3)이 세워지는 방향(언폴딩되는 방향)으로 회동될 때, 폴딩 브라켓(11)과 힌지 브라켓(12)이 차례로 회전되면서 케이블(14)의 당김이 해제되면, 리턴 스프링(19)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회전 브라켓(16)이 원래의 위치로 회전되고, 이때 스트라이커 핀(5)이 다시 수평 상태가 되도록 눕혀지면서 센터 시트에 위치한 래치에 의해 다시 록(lock) 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는 센터 시트의 시트백 회동 상태에 따라 좌측 시트 또는 우측 시트에 설치된 스트라이커 핀을 자동으로 노출 및 비노출 상태가 되도록 회전시켜줄 수 있어야 한다. 여기서, 노출 상태는 스트라이커 핀이 하방 회동되어 수평으로 눕혀짐으로써 해당 시트의 시트백 측방으로 돌출된 상태, 및 센터 시트의 시트백에 설치된 래치에 의해 록(lock) 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반대로, 비노출 상태는 스트라이커 핀이 상방으로 회동되어 수직으로 세워짐으로써 좌측 시트 또는 우측 시트의 측면부에 최대한 밀착되어 외관상 보이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도 7a와 도 7b는 종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센터 시트의 시트백이 폴딩되기 전 케이블(14) 및 스트라이커 핀(5)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a에 도시된 스트라이커 핀(5)의 상태는 센터 시트의 래치에 록(lock) 될 수 있는 상태이다. 또한, 도 7b는 센터 시트의 시트백이 전방으로 완전히 접힌 상태(폴딩된 상태)에서 케이블(14) 및 스트라이커 핀(5)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의 케이블 어셈블리는 좌측 시트 또는 우측 시트의 백 프레임(1a)에 설치된다. 즉, 케이블(14)의 일단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백 프레임(1a)측에 설치된 회전 브라켓(도 5에서 도면부호 '16'임)에 결합되고, 케이블(14)의 타단부는 센터 시트의 시트백이 힌지 결합된 힌지부 위치에서 힌지축(도 4에서 도면부호 '4'임)에 설치된 힌지 브라켓(도 4에서 도면부호 '12'임)에 결합된다.
요컨대, 케이블 어셈블리(13)의 케이블 일단부가 회전 브라켓(16)이 위치한 백 프레임(도 1 및 도 2에서 도면부호 '1a'임) 측에, 케이블 타단부가 힌지 브라켓(12)이 위치한 쿠션 프레임(도 1 및 도 2에서 도면부호 '1b'임) 측에 결합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 프레임과 쿠션 프레임은 각각 별도로 제작한 뒤 부속 부품들을 조립하여 완성하며, 이후 백 프레임과 쿠션 프레임을 상호 결합한다. 이때, 케이블 어셈블리(13)의 케이블(14)을 2개의 케이블(14a,14b)로 분할하여 제작한 뒤, 분할된 2개 중 하나는 백 프레임(1a) 측의 회전 브라켓(16)에, 다른 하나는 쿠션 프레임(1b) 측의 힌지 브라켓(12)에 사전 결합한다.
즉, 분할된 2개의 케이블(14a,14b) 중 하나가 결합된 상태로 백 프레임(1a)이 공정에 투입되고, 2개의 케이블 중 나머지 하나가 결합된 상태로 쿠션 프레임(1b)이 공정에 투입되면, 백 프레임과 쿠션 프레임을 결합하는 공정에서 분할된 2개의 케이블(14a,14b)을 서로 연결한다. 도 3과 도 7a 및 도 7b에서 도면부호 '14a'와 '14b'가 분할된 2개의 케이블이고, 도면부호 '14c'가 분할된 2개의 케이블(14a,14b)을 중간에서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이다.
센터 시트의 시트백이 전방으로 접혀져 정해진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힌지 브라켓(12)이 정해진 각도만큼 정확히 회전되어야만, 케이블(14)이 정해진 양만큼 당겨지면서 회전 브라켓(16)이 목표로 하는 위치로 정확히 회전되어 스트라이커 핀(5)이 완전한 비노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양측을 케이블로 정확히 연결하는 것이 쉽지 않다.
특히, 부품들 간 치수 오차, 부품들 사이의 간격 오차, 케이블의 길이 오차 등으로 인해 일체의 케이블을 힌지 브라켓과 회전 브라켓에 정확히 연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만약, 센터 시트의 시트백이 폴딩 완료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케이블이 최대로 당겨지도록 하면(최대 스트로크 상태가 되도록 하면), 센터 시트의 시트백을 강제로 폴딩 완료 위치까지 회동시킬 때 케이블이 연결된 부품들이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을 2개로 분할한 상태에서 백 프레임(1a)과 쿠션 프레임(1b)을 조립한 뒤, 분할된 2개의 케이블(14a,14b)을 연결구(14c)를 통해 연결한다. 이때, 연결구(14c)는 상호 연결되는 양측 케이블 간 유격이 존재하도록 구비되어 케이블의 연결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시트백이 폴딩 완료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케이블이 모두 당겨진 최대 스트로크 상태가 되지 않도록 케이블의 길이에 있어 여유를 둘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에 따르면, 상기한 치수 오차 및 간격 오차, 길이 오차, 유격 및 공차 등으로 인해, 센터 시트의 시트백이 전방으로 최대한 접혀져서 폴딩 완료 위치에 도달하더라도, 케이블의 당김량 또는 회전 브라켓의 회전량이 부족할 수 있고, 이에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 핀(5)이 완전히 세워지지 못하고 비스듬히 세워진 상태에서 스트라이커 핀의 일부가 시트백 측방으로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특히, 종래와 같이 2개의 케이블 연결 구조를 적용하여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 케이블의 스트로크가 센터 시트의 시트백 최후방 위치(언폴딩 위치)에 맞게 설정되기 때문에 시트백의 접힘(폴딩) 후 스트라이커 핀이 일부 노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2개의 케이블을 연결한 상태에서 스트라이커 핀을 들어올리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 세팅 조건에 따라 센터 시트의 시트백이 폴딩 완료 위치까지 완전히 폴딩된 상태라 하더라도 스트라이커 핀이 완전한 비노출 상태가 되지 못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케이블 어셈블리의 케이블(14)이 최대한 당겨졌음에도 회전 브라켓(도 5에서 도면부호 '16'임)의 회전량이 부족하여 스트라이커 핀(5)이 완전히 숨지 못하고 일부가 시트백 측면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센터 시트의 시트백이 전방으로 완전히 접혀지고 난 뒤 스트라이커 핀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게 되면 외관 저하의 문제가 있게 된다.
또한, 도 7a 및 도 7b에서 알 수 있듯이, 케이블(14) 및 케이블 튜브(15)가 백 프레임(1a)을 안팎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는데, 이때 케이블(14) 및 케이블 튜브(15)가 크게 휘어진 상태로, 상기 케이블이 케이블 튜브의 내부에서 곡선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케이블(14)이 2개로 분할되면서 케이블 튜브(15) 또한 2개로 분할되어 있는데, 이때 케이블 튜브는 휘어지는 것은 가능하지만 내구 및 강도 충족을 위해 경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따라서, 만약 힌지 브라켓(12)과 회전 브라켓(16) 사이에서 전체가 분할되지 않은 1개의 케이블이 사용되고, 이때 케이블과 마찬가지로 전체가 일체로 된 1개의 케이블 튜브가 사용된다면, 케이블 튜브의 양단부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에서 케이블 튜브 내부에서 케이블의 이동 및 동작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케이블(14)과 케이블 튜브(15)가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분할된 구조인 경우에도, 케이블과 케이블 튜브가 백 프레임(1a)을 관통하면서 크게 휘어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케이블의 하단부가 당겨져 케이블 전체가 케이블 튜브를 따라 아래로 이동될 때, 휘어져 있던 케이블이 펴지면서 케이블 튜브도 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때, 케이블 튜브(15)가 경질의 가요성 합성수지 재질이고, 더불어 분할되어 있는 각 케이블 튜브의 양단부가 각각 별도의 지지 브라켓(20,21)에 의해 완전히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하단부를 당기는 힘에 의해 휘어져 있는 케이블이 펴지려고 하는 반면 경질의 케이블 튜브가 펴지지 않고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케이블의 당김 및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센터 시트의 시트백이 폴딩되고 난 후 좌측 또는 우측 시트의 스트라이커 핀 일부가 노출되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시트의 백 프레임에 설치되어 제2 시트의 래치에 록(lock) 및 언록(unlock)되는 스트라이커 핀을 상기 제2 시트의 시트백 폴딩 및 언폴딩의 작동 상태에 연동하여 회동시키는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트의 시트백 폴딩 및 언폴딩의 작동에 연동하여 스트라이커 핀을 회전시키는 케이블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는, 상기 제2 시트의 시트백 폴딩 또는 언폴딩의 작동 시 당김 또는 당김 해제되면서 스트라이커 핀을 회전시키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내부에서 이동하는 케이블을 지지 및 안내하는 하부 튜브인 제1 튜브와 상부 튜브인 제2 튜브; 및 상기 제1 튜브와 제2 튜브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튜브의 하단부를 유동 가능하게 탄력 지지하는 컴펜세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는, 상기 제2 시트의 시트백 힌지부에서 폴딩 및 언폴딩을 위한 시트백의 회동 시 상기 힌지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폴딩 브라켓; 및 상기 폴딩 브라켓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일단부가 결합되어 회전 시 케이블을 당김 또는 당김 해제하는 힌지 브라켓을 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는, 상기 제1 시트의 백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타단부가 결합되어 케이블이 당겨지거나 당김 해제될 때 회전되면서 일체로 결합된 스트라이커 핀을 회전시키는 회전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브라켓은 제1 시트의 백 프레임에 고정된 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축에는 케이블의 당김에 의해 회전된 회전 브라켓을 케이블의 당김 해제 시 원래의 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펜세이터는, 상기 제1 시트의 백 프레임에 고정되고, 내부에 상기 케이블이 통과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하우징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푸시 클립; 상기 제2 튜브의 하단부가 결합된 상태로 푸시 클립에 결합되는 커넥터;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푸시 클립을 탄성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푸시 클립에는 상기 가이드 홀에 삽입된 상태로 가이드 홀을 따라 슬라이드 되고 상기 가이드 홀 상단에 걸리도록 된 걸림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튜브의 하단부에는 제1 고정구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제1 튜브의 상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제1 고정구는 제1 시트의 백 프레임 하단부에서 상기 힌지 브라켓 주변의 위치에 제1 지지 브라켓을 매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튜브의 상단부에 제2 고정구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고정구는 제1 시트의 백 프레임 상단부에서 상기 스트라이커 핀 주변의 위치에 제2 지지 브라켓을 매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의 상부 및 이를 둘러싸고 있는 제2 튜브가 휘어진 상태로 제1 시트의 백 프레임에 형성된 홀을 통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시트의 시트백이 폴딩되는 동안 케이블이 하방으로 당겨짐에 따라, 상기 케이블의 상부 및 제2 튜브가 펴지면서 제2 튜브의 하단부가 커넥터 및 푸시 클립을 하방으로 밀어주어 지지 스프링을 압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에 의하면, 2개로 분할되지 않고 전체가 일체인 1개의 케이블이 사용되고, 상기 케이블을 둘러싸는 케이블 튜브만 2개로 분할된 구성으로 구비되어, 상기 분할된 2개의 케이블 튜브 사이에 컴펜세이터가 설치됨으로써, 케이블의 당김 작동 및 스트라이커 핀의 회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센터 시트의 시트백이 폴딩되는 동안, 백 프레임을 휘어진 상태로 관통하고 있는 케이블이 아래로 당겨질 때, 케이블이 펴지는 방향으로 변형됨에 따라 케이블로부터 상부 튜브인 제2 튜브에 힘이 작용하면서 제2 튜브의 변형 및 움직임이 컴펜세이터에 의해 유도될 수 있고, 결국 케이블의 당김 작동 및 스트라이커 핀의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체가 일체인 하나의 케이블을 사용함으로써, 힌지 브라켓과 회전 브라켓 사이에 스트라이커를 완전 비노출 상태가 되도록 작동시킬 수 있는 길이로 케이블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센터 시트의 시트백이 폴딩되고 난 뒤 좌측 또는 우측 시트의 스트라이커 핀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던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통상의 자동차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가 설치된 시트에서 스트라이커 핀이 측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에서 폴딩 브라켓과 힌지 브라켓, 그리고 힌지 브라겟에 연결된 케이블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a및 도 6b 종래의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에서 케이블 어셈블리와 회전 브라켓, 스트라이커 핀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종래의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에 의해 스트라이커 핀이 구동되는 상태를 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의 케이블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에서 컴펜세이터의 설치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에서 컴펜세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에서 컴펜세이터의 부품 간 결합 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에서 컴펜세이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에 의해 스트라이커 핀이 비노출 상태가 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에서 케이블 및 케이블 튜브의 형상 변경 상태 및 컴펜세이터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좌측 시트와 우측 시트(제1 시트) 사이에 센터 시트(제2 시트)가 설치된 3인용 리어 시트에 적용될 수 있는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리어 시트 중 좌측 시트 또는 우측 시트에 설치되어 센터 시트의 래치에 선택적으로 록(lock) 및 언록(unlock)되는 스트라이커 핀을 센터 시트의 시트백(센터백) 작동(폴딩/언폴딩) 상태에 연동하여 자동으로 회동시켜주는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센터 시트의 시트백이 폴딩될 때 케이블의 당김 작동 및 스트라이커 핀의 회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고, 좌측 또는 우측 시트의 스트라이커 핀을 완전 비노출 상태가 될 때까지 회동시킬 수 있는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에서는 전체가 2개로 분할되지 않은 일체의 케이블 1개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케이블을 둘러싸는 케이블 튜브만 2개로 분할된 구성으로 구비하여 상기 분할된 2개의 케이블 튜브 사이에 후술하는 컴펜세이터가 설치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센터 시트의 시트백은 '센터백'으로 약칭하기로 한다. 또한, 센터백 또는 시트백의 폴딩은 센터백 또는 시트백이 하단 힌지부를 중심으로 전방 및 하방 회동되어 시트쿠션을 향해 접혀지는 것, 그리고 센터백 또는 시트백의 언폴딩은 센터백 또는 시트백이 하단 힌지부를 중심으로 후방 및 상방으로 회동되어 세워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는 좌측 시트나 우측 시트의 옆에 폴딩 가능한 센터 시트가 설치된 리어 시트에 적용될 수 있으나, 적용 대상 시트에서 상기 센터백은 암레스트(armrest)로 대체 가능하다. 즉, 이하의 설명에서 센터백은, 동일하게 폴딩 가능하고 좌측 시트 또는 우측 시트의 시트백에 스트라이커 핀과 래치로 록(lock) 및 언록(unlock)되는 암레스트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의 구성 및 설치 상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에서 도면부호 '1a'는 좌측 시트 또는 우측 시트의 시트백에 내장되는 백 프레임을 나타낸다. 또한, 도면부호 '1c'는 백 프레임(1a)에 관통 형성된 홀을 나타내며, 케이블 어셈블리(101)의 케이블(110)이 상기 백 프레임(1a)의 홀(1c)을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케이블(110)이 백 프레임(1a)을 안팎으로 관통하는 구조가 된다.
또한, 도면부호 '129'는 케이블(110)에서 백 프레임(1a)의 홀(1c)을 통과하는 위치에 설치된 댐퍼를 나타낸다. 댐퍼(129)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케이블 튜브(상부 튜브인 제2 튜브)(도 9에서 도면부호 '125'임)가 백 프레임(1a)의 홀(1c) 테두리 부분에 접촉할 때 완충 작용을 하면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100)는 시트의 백 프레임(1a)에 설치된다. 여기서,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100)가 설치되는 시트는 자동차 시트이고, 더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폴딩 가능한 3인용 리어 시트 중에서 측방의 센터백(또는 암레스트)이 록(lock) 및 언록(unlock)될 수 있는 좌측 시트이거나 우측 시트일 수 있다. 이때, 스트라이커 핀(5)은 좌측 시트 또는 우측 시트의 백 프레임(1a)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센터백(도 1 및 도 2에서 도면부호 '3'임)의 상단부에는 스트라이커 핀 대응 위치에 스트라이커 핀(5)이 선택적으로 록 및 언록될 수 있는 래치가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100)가 적용되는 시트 중 좌측 시트(1)와 센터백(센터 시트의 시트백)(3)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에 예시한 바와 차이가 없으므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좌측 시트(1) 또는 우측 시트를 '제1 시트'라 칭하기로 하며, 센터 시트(2)를 '제2 시트'라 칭하기로 한다.
구성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100)는, 센터백(또는 암레스트)(3)의 회동 시 일체로 회전되는 폴딩 브라켓(도 4에서 도면부호 '11'임), 센터백(3)의 회동 시 회전되는 폴딩 브라켓(1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힌지 브라켓(도 4에서 도면부호 '12'임), 상기 회전되는 힌지 브라켓(12)에 의해 당겨지거나 당김 해제되는 케이블 어셈블리(101), 및 상기 스트라이커 핀(5)에 결합되어 케이블 어셈블리(101)가 당겨지거나 당김 해제될 때 케이블 어셈블리(101)에 의해 회전되면서 스트라이커 핀(5)을 회전시키는 회전 브라켓(도 5에서 도면부호 '16'임)을 포함한다.
상기 폴딩 브라켓(11)과 힌지 브라켓(12)은 종래의 구성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으므로, 이하 폴딩 브라켓(11)과 힌지 브라켓(12)에 대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한다. 케이블 어셈블리(101)의 케이블(110) 단부는 힌지 브라켓(12)에 결합되어 있는데, 이러한 케이블(110) 단부와 힌지 브라켓(12)의 결합 구조 또한 종래의 구성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다.
상기 폴딩 브라켓(11)과 힌지 브라켓(12)은 센터백(3)의 하단부가 힌지 결합되는 제1 시트(1)의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제1 시트(1)에서 센터백 힌지부 위치에 설치된 힌지축(4)에 폴딩 브라켓(11)과 힌지 브라켓(1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회전 브라켓(도 5에서 도면부호 '16'임)은 제1 시트(1)에서 스트라이커 핀(5)이 위치된 백 프레임(1a)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이 회전 브라켓(16)에는 스트라이커 핀(5)이 일체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마운팅 브라켓(17), 축(18), 리턴 스프링(19), 스트라이커 핀(5), 회전 브라켓(16), 그리고 이들 부품 간의 결합 구조 등은 종래의 구성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으므로, 이하 이들 구성에 대해 설명함에 있어서 도 5와 도 6a, 도 6b를 참조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트라이커 핀(5)은 도 5와 도 6a, 도 6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회전 브라켓(16)을 매개로 백 프레임(1a)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스트라이커 핀(5)은 회전 브라켓(16)에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회전 브라켓(16)은 백 프레임(1a)에 고정 설치된 마운팅 브라켓(17)에 힌지 결합된다. 이에 회전 브라켓(16)에 일체로 결합된 스트라이커 핀(5)이 마운팅 브라켓(17) 및 백 프레임(1a)에서 회동 가능한 구조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마운팅 브라켓(17)의 내측에는 축(18)이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이 축(18)에 회전 브라켓(16)이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다. 또한, 축(18) 상에는 마운팅 브라켓(17)과 회전 브라켓(16) 사이에 개재되는 리턴 스프링(19)이 설치된다. 리턴 스프링(19)은 회전 브라켓(16) 및 이에 일체로 결합된 스트라이커 핀(5)의 탄력 회전을 위한 것으로, 리턴 스프링(19)의 일단부는 마운팅 브라켓(17)에, 리턴 스프링(19)의 타단부는 회전 브라켓(16)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리턴 스프링(19)은 축(18) 상에 설치되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리턴 스프링(19)은, 케이블 어셈블리(101)의 케이블(110)이 하방으로 당기는 힘에 의해 회전 브라켓(16)이 회전될 때 탄성을 가지도록 변형되었다가, 이후 케이블(110)가 당기는 힘이 해제될 경우 탄성 변형되면서 회전 브라켓(16)을 원래의 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
스트라이커 핀(5)에 대한 래치(미도시)의 록이 해제된 상태에서, 케이블 어셈블리(101)가 하방으로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회전 브라켓(16)이 상기 축(18)을 중심으로 회전되면, 상기 회전 브라켓(16)에 일체로 결합된 스트라이커 핀(5)이 상방으로 회동된다. 이때, 회전 브라켓(16)은 리턴 스프링(19)을 변형시키면서 회전되고, 동시에 스트라이커 핀(5)은 제1 시트(1)의 시트백 측면부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수직으로 세워진 비노출 상태가 될 때까지 상방으로 회동된다.
반면, 상기와 같은 스트라이커 핀(5)의 비노출 상태에서, 케이블 어셈블리(101)가 당기는 힘이 점차 해제되면, 회전 브라켓(16)이 축(18) 상에 설치된 리턴 스프링(19)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반대로 복원 회전되고, 이때 회전 브라켓(16)에 일체로 결합된 스트라이커 핀(5)이 하방으로 회동된다. 이때, 스트라이커 핀(5)은 제1 시트(1)의 시트백 측면부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어 수평 상태가 될 때까지 눕혀지는데, 스트라이커 핀(5)이 하방으로 회동되어 수평 상태에 도달하면 센터백(3)의 래치에 록(lock) 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의 케이블 어셈블리(101)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에서 케이블 어셈블리의 컴펜세이터(130)가 백 프레임(1a)에 설치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100)에서, 케이블 어셈블리(101)는, 제1 단부가 힌지 브라켓(12)에, 반대쪽의 제2 단부가 회전 브라켓(16)에 결합되어 힌지 브라켓(12)의 회전력을 회전 브라켓(16)에 전달하는 케이블(110)과, 상기 케이블(110)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내부에서 이동하는 케이블(110)을 지지 및 안내하는 제1 튜브(121) 및 제2 튜브(125)와, 상기 제1 튜브(121)와 제2 튜브(125) 사이에 설치되고 제2 튜브(125)의 하단부를 유동 가능하게 탄력 지지하는 컴펜세이터(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달리 전체가 일체인 케이블(110)이 사용된다. 즉, 종래의 케이블은 2개로 분할되어 분할된 케이블이 연결구에 의해 연결된 구조인 반면, 본 발명에서는 전체가 일체인 1개의 케이블(110)이 사용된다. 이때, 케이블(110)의 제1 단부가 힌지 브라켓(12)에, 케이블(110)의 제2 단부가 회전 브라켓(16)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1개의 케이블(110)이 힌지 브라켓(12)과 회전 브라켓(16)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케이블(110)에 의해 힌지 브라켓(12)의 회전력이 회전 브라켓(16)에 전달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케이블 튜브(120)는 2개로 분할된 구조로 구비되며, 이때 분할된 2개의 케이블 튜브는 상기 컴펜세이터(130)를 매개로 연결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에서 컴펜세이터(13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에서 컴펜세이터(130)의 부품 간 결합 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의 (b)는 컴펜세이터(130)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해 (a)의 하우징(131)을 제거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의 (c)는 (b)의 지지 스프링(137)을 추가로 제거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케이블 어셈블리(101)는 케이블(110), 케이블 튜브(120) 및 컴펜세이터(130)를 주요 구성으로 하며, 케이블(110)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2개로 나뉜 구성이 아닌, 전체가 일체인 1개의 케이블(110)이 사용된다. 또한, 케이블(110)의 제1 단부에는 제1 결합구(111)가 결합되는데, 상기 케이블(110)의 제1 단부가 제1 결합구(111)의 내부통로를 통과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제1 결합구(111)의 내부통로를 통과한 케이블(110)의 제1 단부 끝에는 볼(113)이 형성되고, 상기 볼(113)은 제1 결합구(111)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이에 볼(113)이 제1 결합구(111)의 내부통로를 통과하지 못하고 제1 결합구(111)의 끝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케이블(110)의 제1 단부가 상기 볼(113)에 의해 제1 결합구(111)의 내부통로에서 빠지지 않고 제1 결합구(111)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결합구(111)는 힌지 브라켓(12)에 결합되며(도 4 참조), 이에 힌지 브라켓(12)의 회전 시 제1 결합구(111)를 매개로 결합된 케이블(110)(도 4에서는 도면부호 '14'임)이 당겨지면서 힌지 브라켓(12)의 회전력이 케이블(110)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110)의 제2 단부 끝에는 제2 결합구(115)가 설치되는데, 이 제2 결합구(115)는 회전 브라켓(16)의 측면부에 일체로 결합된다(도 6a 및 도 6b 참조). 이에 케이블(110)은 제2 결합구(115)를 매개로 회전 브라켓(16)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케이블(110)과 회전 브라켓(16) 사이에 힘이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즉, 힌지 브라켓(12)의 회전력이 케이블(110)을 통해 회전 브라켓(16)에 전달되거나, 회전 브라켓(16)의 회전력이 케이블(110)을 통해 힌지 브라켓(12)에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힌지 브라켓(12)이 회전될 때, 회전되는 힌지 브라켓(12)에 의해 케이블(110)이 아래로 당겨지고, 아래로 당겨지는 케이블(110)에 의해 회전 브라켓(16)이 회전되면서 스트라이커 핀(5)이 상방으로 회동된다. 반면, 리턴 스프링(19)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회전 브라켓(16)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때, 스트라이커 핀(5)이 하방으로 회동되고, 이때 회전 브라켓(16)에 의해 케이블(110)이 위로 당겨지면서 힌지 브라켓(12)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케이블 튜브(120)는 케이블(110)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며, 이는 케이블(110)의 경로를 설정하고 케이블(110)을 지지 및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케이블 튜브(120)는 2개로 분할된 구성을 가지는바, 컴펜세이터(130)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는 제1 튜브(121)와 제2 튜브(125)로 구성된다. 분할된 2개의 케이블 튜브 중 하부 튜브인 제1 튜브(121)는 케이블(110)의 제1 단부에서 컴펜세이터(130) 일측까지의 구간에 배치되고, 상부 튜브인 제2 튜브(125)는 케이블(110)의 제2 단부에서 컴펜세이터(130) 타측까지의 구간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케이블(110)이 제1 튜브(121)와 컴펜세이터(130), 제2 튜브(125)의 내부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결합되는데, 제1 튜브(121)의 하단부에는 제1 고정구(123)가 일체로 고정 설치되고, 이때 케이블(110)이 제1 고정구(123)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 튜브(121)의 상단부는 컴펜세이터(130)의 하우징(131)에 일체로 고정 결합된다.
또한, 제2 튜브(125)의 하단부는 컴펜세이터(130)의 커넥터(135)에 결합된다. 이때, 제2 튜브(125)의 상단부에는 제2 고정구(127)가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데, 케이블(110)이 제2 고정구(127)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고정구(123)는 제1 시트의 백 프레임(1a) 하단부에서 힌지 브라켓(12)의 주변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지지 브라켓(도 4에서 도면부호 '124'임)에 고정되도록 결합된다. 또한, 제2 고정구(127)는 제1 시트의 백 프레임(1a)에서 스트라이커 핀(5) 및 회전 브라켓(16)의 주변에 고정 설치되는 제2 지지 브라켓(도 8 및 도 15에서 도면부호 '128'임)에 고정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제1 튜브(121)와 제2 튜브(125)는 휘어질 수 있는 가요성 튜브로서, 내부를 통과하는 케이블(110)을 지지 및 안내할 수 있는 수준의 강도와 경도를 가지는 경질의 가요성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휘어질 수 있도록 가요성을 가지지만 길이방향(축방향)으로 신장 및 압축되지 않는 재질로 제작된다.
한편, 컴펜세이터(130)는, 내부에 케이블이 통과하고 백 프레임(1a)에 고정되는 하우징(131), 상기 하우징(131)의 상단부에 하우징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푸시 클립(133), 상기 푸시 클립(133)에 결합되는 커넥터(135), 그리고 상기 하우징(131)의 내부에 푸시 클립(133)을 탄성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지지 스프링(13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31)은 정해진 길이의 긴 형상을 가지면서 내부공간을 가지는 구성부로서, 하단부에서 내부공간이 막혀 있는 구조로 되어 있고, 이때 상단부는 개구된 구조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31)은 백 프레임(1a)에 고정 설치된 홀더(139)에 결합된 상태로 위치 고정된다.
상기 하우징(131)에서 하단부에는 제1 튜브(121)의 상단부가 일체로 고정 결합되고, 하우징(131)의 개구된 상단부에는 내측으로 푸시 클립(133)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푸시 클립(133)은 하우징(131)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우징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푸시 클립(133)의 양 측면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의 걸림턱부(134)가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31)에는 상기 걸림턱부(134)가 관통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 홀(132)이 하우징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하우징(131)에서 가이드 홀(132)은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고, 이때 하우징(131)의 단면상에서 원주방향으로 180°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도록 2개의 가이드 홀(13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푸시 클립(133)에 상기 각 가이드 홀(132)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는 2개의 걸림턱부(134)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2개의 걸림턱부(134)가 푸시 클립(133)의 단면상에서 원주방향으로 180°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걸림턱부(134)는 하우징(131)의 해당 가이드 홀(132)에 삽입된 상태로 가이드 홀을 따라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바, 이에 푸시 클립(133)이 하우징(131)에서 하우징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때, 각 걸림턱부(134)가 대응된 가이드 홀(132) 내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걸림턱부(134)가 가이드 홀(132)을 따라 이동하면서 푸시 클립(133)이 하우징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는 있으나, 푸시 클립(133)이 하우징(131) 내에서 회전은 불가하다. 또한, 각 걸림턱부(134)는 가이드 홀(132)의 끝단(상단)에 걸리도록 되어 있는바, 이에 푸시 클립(133)이 하우징(131)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커넥터(135)는 원통 형상을 가지는 부재로서, 내부통로를 따라 케이블(110)이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135)는 푸시 클립(133)의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는데, 커넥터(135)와 푸시 클립(133)이 안팎에 위치하도록 동심 상에 배치된다. 이때, 내측의 커넥터(135)가 외측의 푸시 클립(133)에서 하우징 길이방향(축 방향)으로의 이동은 불가하지만 동심 상에서 상대 회전은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제1 튜브(121)의 단부(상단부)가 하우징(131)의 하단부에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제2 튜브(125)의 단부(하단부)가 상기 커넥터(135)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제1 튜브(121) 및 제2 튜브(125) 내부의 케이블(110)이 컴펜세이터(130)의 하우징(131), 푸시 클립(133), 커넥터(135), 지지 스프링(137)의 내부를 지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푸시 클립(133)은 하우징(131)의 내부에 설치된 지지 스프링(137)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하우징(131)의 내부에서 지지 스프링(137)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이때, 제2 튜브(125)의 하단부가 커넥터(135)를 매개로 푸시 클립(133)에 연결된 구조이므로, 제2 튜브(125)의 하단부가 도면상 하방으로 축 방향 이동될 때 하우징(131) 내측으로 결합된 커넥터(135)와 푸시 클립(133)을 하방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튜브(125)의 하단부가 밀어줄 때 커넥터(135)와 푸시 클립(133)은 제2 튜브(125)의 하단부에 의해 하우징(131)의 내부에서 축 방향 이동되면서 상기 지지 스프링(137)을 압축하게 된다.
또한, 지지 스프링(137)의 압축 상태에서 제2 튜브(125)의 하단부가 밀어주는 힘이 제거되면, 지지 스프링(13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커넥터(135)와 푸시 클립(133)이 상방으로 축 방향 이동되면서 위치 복원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이하에서는 작동 상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과 도 14는 컴펜세이터(13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에 의해 스트라이커 핀(5)이 비노출 상태가 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에서 센터백이 폴딩될 때 케이블(110)이 당겨지는 동안 케이블(110) 및 제2 튜브(125)의 형상 변경 및 컴펜세이터(13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센터백의 폴딩 시 케이블(110, 도 4에서는 도면부호 '14'임)이 당겨지는 과정에 대해 우선 설명하기로 한다. 센터백이 하단 힌지부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접혀지면서 폴딩되는 동안, 제1 시트에 설치된 힌지축(4)에서 폴딩 브라켓(11)이 센터백의 힌지부(미도시)와 함께 회전된다.
또한, 폴딩 브라켓(11)이 프리 구간을 지나 일정량 이상 회전되고 나면, 폴딩 브라켓(11)의 가압부(11a)가 힌지 브라켓(12)의 걸림부(12a)에 걸리면서 힌지 브라켓(12)을 회전시키는데, 이후 폴딩 브라켓(11)과 힌지 브라켓(12)이 힌지축(4)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된다. 이와 같이 힌지 브라켓(12)이 회전될 때 케이블 어셈블리(101)의 케이블(110, 도 4에서는 도면부호 '14'임)이 당겨지도록 되어 있다.
센터백이 하단 힌지부를 중심으로 전방 회동되어 폴딩이 완료될 때까지 케이블(110)은 힌지 브라켓(12)에 의해 계속해서 당겨지는데, 이때 케이블(110)이 케이블 튜브(120)의 내부를 따라 이동된다.
또한, 회전 브라켓(도 5에서 도면부호 '16'임)과 컴펜세이터(130) 사이의 케이블(110, 도 5에서는 도면부호 '14'임) 상부와 이 케이블 상부를 둘러싸고 있는 제2 튜브(125)는 도 8,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방으로 크게 휘어진 상태에서 백 프레임(1a)의 홀(1c)을 통과하도록 배치되는데, 케이블(110)이 하방으로 당겨질 때 이때의 당김력에 의해 케이블(110) 상부와 제2 튜브(125)가 점차 펴지는 상태가 된다.
즉, 케이블(110)이 아래로 당겨지는 힘에 의해 백 프레임(1a)을 안팍으로 관통하고 있는 케이블(110) 상부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곡선에서 직선에 가깝게 펴지는데, 이때 케이블 상부가 펴지는 방향의 힘이 제2 튜브(125)에도 작용하여 제2 튜브 또한 케이블 상부와 마찬가지로 점차 펴지는 방향으로 형상이 변경된다.
이와 같이 폴딩 전 크게 휘어져 있던 케이블(110) 상부와 제2 튜브(125)가 센터백의 폴딩 동안 조금씩 펴지면서 형상 변경될 때, 제2 튜브(125)의 상단부는 제2 고정구(127)를 매개로 제2 지지 브라켓(128)에 위치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2 튜브(125)의 하단부가 커넥터(135) 및 푸시 클립(133)을 하방으로 밀어주게 된다(도 16 참조).
이때, 커넥터(135) 및 푸시 클립(133)이 컴펜세이터(130)의 하우징(131) 내부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며, 지지 스프링(137)이 하방으로 이동되는 푸시 클립(133)에 의해 압축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에 의하면, 2개로 분할되지 않고 전체가 일체인 1개의 케이블이 사용되고, 상기 케이블을 둘러싸는 케이블 튜브만 2개로 분할된 구성으로 구비되어, 상기 분할된 2개의 케이블 튜브 사이에 컴펜세이터가 설치됨으로써, 케이블의 당김 작동 및 스트라이커 핀의 회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시트의 시트백이 폴딩되는 동안, 백 프레임을 휘어진 상태로 관통하고 있는 케이블이 아래로 당겨질 때, 케이블이 펴지는 방향으로 변형됨에 따라 케이블로부터 상부 튜브인 제2 튜브에 힘이 작용하면서 제2 튜브의 변형 및 움직임이 컴펜세이터에 의해 유도될 수 있고, 결국 케이블의 당김 작동 및 스트라이커 핀의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체가 일체인 하나의 케이블을 사용함으로써, 힌지 브라켓과 회전 브라켓 사이에 스트라이커를 완전 비노출 상태가 되도록 작동시킬 수 있는 길이로 케이블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센터 시트(제2 시트)의 시트백이 폴딩되고 난 뒤 좌측 또는 우측 시트의 스트라이커 핀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던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 : 좌측 시트(제1 시트) 1a : 백 프레임
1b : 쿠션 프레임 1c : 홀
2 : 센터 시트(제2 시트) 3 : 시트백(센터백)
4 : 힌지축 5 : 스트라이커 핀
10 :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 11 : 폴딩 브라켓
11a : 가압부 12 : 힌지 브라켓
12a : 걸림부 13 : 케이블 어셈블리
14, 14a, 14b : 케이블 14c : 연결구
15 : 케이블 튜브 16 : 회전 브라켓
17 : 마운팅 브라켓 18 : 축
19 : 리턴 스프링 100 :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
101 : 케이블 어셈블리 110 : 케이블
111 : 제1 결합구 113 : 볼
115 : 제2 결합구 120 : 케이블 튜브
121 : 제1 튜브 123 : 제1 고정구
124 : 제1 지지 브라켓 125 : 제2 튜브
127 : 제2 고정구 128 : 제2 지지 브라켓
130 : 컴펜세이터 131 : 하우징
132 : 가이드 홀 133 : 푸시 클립
134 : 걸림턱부 135 : 커넥터
137 : 지지 스프링 139 : 홀더

Claims (9)

  1. 제1 시트의 백 프레임에 설치되어 제2 시트의 래치에 록(lock) 및 언록(unlock)되는 스트라이커 핀을 상기 제2 시트의 시트백 폴딩 및 언폴딩의 작동 상태에 연동하여 회동시키는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트의 시트백 폴딩 및 언폴딩의 작동에 연동하여 스트라이커 핀을 회전시키는 케이블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는,
    상기 제2 시트의 시트백 폴딩 또는 언폴딩의 작동 시 당김 또는 당김 해제되면서 스트라이커 핀을 회전시키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내부에서 이동하는 케이블을 지지 및 안내하는 하부 튜브인 제1 튜브와 상부 튜브인 제2 튜브; 및
    상기 제1 튜브와 제2 튜브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튜브의 하단부를 유동 가능하게 탄력 지지하는 컴펜세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트의 시트백 힌지부에서 폴딩 및 언폴딩을 위한 시트백의 회동 시 상기 힌지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폴딩 브라켓; 및
    상기 폴딩 브라켓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일단부가 결합되어 회전 시 케이블을 당김 또는 당김 해제하는 힌지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의 백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타단부가 결합되어 케이블이 당겨지거나 당김 해제될 때 회전되면서 일체로 결합된 스트라이커 핀을 회전시키는 회전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 브라켓은 제1 시트의 백 프레임에 고정된 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축에는 케이블의 당김에 의해 회전된 회전 브라켓을 케이블의 당김 해제 시 원래의 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컴펜세이터는,
    상기 제1 시트의 백 프레임에 고정되고, 내부에 상기 케이블이 통과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하우징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푸시 클립;
    상기 제2 튜브의 하단부가 결합된 상태로 푸시 클립에 결합되는 커넥터;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푸시 클립을 탄성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푸시 클립에는 상기 가이드 홀에 삽입된 상태로 가이드 홀을 따라 슬라이드 되고 상기 가이드 홀 상단에 걸리도록 된 걸림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트의 시트백 힌지부에서 폴딩 및 언폴딩을 위한 시트백의 회동 시 상기 힌지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폴딩 브라켓; 및
    상기 폴딩 브라켓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일단부가 결합되어 회전 시 케이블을 당김 또는 당김 해제하는 힌지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튜브의 하단부에는 제1 고정구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제1 튜브의 상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제1 고정구는 제1 시트의 백 프레임 하단부에서 상기 힌지 브라켓 주변의 위치에 제1 지지 브라켓을 매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튜브의 상단부에 제2 고정구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고정구는 제1 시트의 백 프레임 상단부에서 상기 스트라이커 핀 주변의 위치에 제2 지지 브라켓을 매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상부 및 이를 둘러싸고 있는 제2 튜브가 휘어진 상태로 제1 시트의 백 프레임에 형성된 홀을 통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시트의 시트백이 폴딩되는 동안 케이블이 하방으로 당겨짐에 따라, 상기 케이블의 상부 및 제2 튜브가 펴지면서 제2 튜브의 하단부가 커넥터 및 푸시 클립을 하방으로 밀어주어 지지 스프링을 압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 시트의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
KR1020210045093A 2021-04-07 2021-04-07 자동차 시트의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 KR102457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093A KR102457769B1 (ko) 2021-04-07 2021-04-07 자동차 시트의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093A KR102457769B1 (ko) 2021-04-07 2021-04-07 자동차 시트의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010A KR20220139010A (ko) 2022-10-14
KR102457769B1 true KR102457769B1 (ko) 2022-10-21

Family

ID=83599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093A KR102457769B1 (ko) 2021-04-07 2021-04-07 자동차 시트의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776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610B1 (ko) 2015-11-13 2017-02-10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의 케이블 길이보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1755A (ko) * 2005-02-15 2006-08-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트 백 폴딩을 위한 스트라이커의 자동격납장치
DE102011108652B4 (de) * 2011-07-25 2017-10-19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r.l. Fahrzeug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KR101869041B1 (ko) * 2012-11-29 2018-06-20 주식회사 다스 자동 슬라이딩 래치 스트라이커 구조체
KR101869057B1 (ko) * 2012-12-27 2018-06-20 주식회사 다스 자동차용 시트의 스트라이커 회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610B1 (ko) 2015-11-13 2017-02-10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의 케이블 길이보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010A (ko) 2022-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4186B2 (en) Folding recliner of seat for vehicles
US7971920B2 (en) Walk-in memory apparatus for automobile seat
US7644982B2 (en) Reversible seat assembly
KR101054778B1 (ko)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장치
US7374222B2 (en) Fold in floor seat assembly having retracting front leg linkage assembly
US7992913B2 (en) Fold flat seat assembly
US8763538B2 (en) Folding table
JP5104335B2 (ja) 車両用格納シート
US7152925B2 (en) Detachable seat for automobiles
JP5558806B2 (ja) 車両用シート
JP2003510210A (ja) 結合器を備えたラッチアセンブリ及び座席ヒンジ
US8807652B2 (en) Back reclining apparatus interlocking with seat cushion for vehicle
KR101014044B1 (ko) 자동 측방 변위를 갖는 플로어 격납 시트 조립체
EP2105346A2 (en) Seat apparatus for vehicle
US11396252B2 (en) Cable driven head restraint for a reversible seat
KR102457769B1 (ko) 자동차 시트의 스트라이커 핀 구동 장치
US20060267382A1 (en) Arm rest return
KR100715894B1 (ko) 차량용 더블 폴딩 시트의 투터치 리클라이너 레버 구조
US11912184B2 (en) Cable sleeve for a foldable headrest
US11938853B2 (en) Multi-actuator capable headrest
KR100799066B1 (ko) 자동차 시트의 폴딩 가이드 장치
EP1241044B1 (en) Seat structure for a vehicle
US20230211710A1 (en) Torsion assist system for a folding seat back in a vehicle
US20210387554A1 (en) Headrest assembly configured to resist vibration
KR100523044B1 (ko)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