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7726B1 - 연료전지의 오프가스 연소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의 오프가스 연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7726B1
KR102457726B1 KR1020210115339A KR20210115339A KR102457726B1 KR 102457726 B1 KR102457726 B1 KR 102457726B1 KR 1020210115339 A KR1020210115339 A KR 1020210115339A KR 20210115339 A KR20210115339 A KR 20210115339A KR 102457726 B1 KR102457726 B1 KR 102457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gas
cell stack
fuel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5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현주
엄성현
송형운
Original Assignee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filed Critical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to KR1020210115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7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62Treatment of gaseous reactants or gaseous residues, e.g. clea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14Heat exchange using gaseous fluids; Heat exchange by combustion of reactants
    • H01M8/04022Heating by combus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612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 H01M8/0618Reforming processes, e.g. autothermal, partial oxidation or steam reform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2008/1293Fuel cells with solid oxide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4Fuel cells with fused electrolytes
    • H01M2008/147Fuel cells with molten carbon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Abstract

연료전지의 오프가스 연소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연료전지의 오프가스 연소 시스템은, 수소와 산소의 전기 화학 반응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 스택; 상기 연료전지 스택으로 수소를 포함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부; 상기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되어 상기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될 공기를 가열하는 공기가열부; 및 상기 연료전지 스택에서 배출되는 오프가스를 연소시키는 연소이젝터:를 포함하되, 상기 연소이젝터에서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에서 배출되는 미반응 연료를 포함하는 오프가스를 동작유체(motive gas)로 하여 공기를 흡입하고 미반응 연료를 연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료전지의 오프가스 연소 시스템{Off-gas Combustion System For SOFC}
본 발명은 연료전지의 오프가스 연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전지 스택에서 배출되는 오프가스를 연소시키는 연소이젝터를 구비하고, 연료전지 스택에서 배출되는 미반응 연료를 포함하는 오프가스를 동작유체(motive gas)로 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미반응 연료를 연소시키는 연료전지의 오프가스 연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는 전기화학 반응에 의해 반응물(수소와 산소)의 화학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장치로서 환경 조화성이 우수하고 높은 발전효율이 기대된다.
이러한 연료전지는 저온형과 고온형으로 분류되며, 고온형의 대표적인 예로는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CFC)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가 있다.
고온형 연료전지의 특징을 간략히 살펴보면, MCFC의 경우 천연가스, 석탄가스 등 다양한 연료의 사용이 가능하며, 연소과정 없이 650℃ 내외의 고온에서 연료를 바로 전기로 바꾸는 전기화학 반응에 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MCFC의 단위셀(unit cell)은, 전기화학 반응이 일어나는 애노드(anode) 및 캐소드(cathode)와, 연료가스와 산화제 가스의 유로를 형성하는 분리판과, 전하를 포집하는 집전판과, 적층의 편의를 위해 시트의 형태로 제작되는 전해질판과, 용융된 탄산염을 수용하는 매트릭스로 구성되며, 애노드로 연료가스를 공급하고 캐소드로 산화제 가스를 공급하면 각각의 전극에서 전기 화학 반응이 발생하여 직류 전력이 얻어지게 된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경우는 천연가스, 석탄가스, 메탄올 등 다양한 연료를 사용할 수 있고, 1000℃ 이상의 고온에서 작동하므로 연료전지의 후단에서 발생하는 고온 고압의 스팀을 이용하여 복합발전이 가능하며, 연소과정이 없고 연료에서 전기로 직접 발전되는 관계로 소음 및 대기오염 물질 배출이 적어 차세대 발전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경우 연료전지에서의 전기화학 반응 후 배출되는 오프가스 중에 불완전 연소된 다량의 미반응 연료가 포함된다.
이러한 미반응 연료를 포함한 고온의 오프가스를 그대로 배출하면 연료와 에너지를 낭비하게 되므로, 오프가스를 재순환시키거나 연소기를 구비하고 오프가스를 연소기에 공급하여 연소시키는 방식으로 연료 이용률을 높이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연소기의 경우 불완전 연소가 자주 발생하고 연소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효율이 감소하고, 연소기의 구조가 복잡하며 연소기 구동을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여 관련 장치 부피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연료전지에서 배출되는 오프가스 중의 미반응 연료를 효과적으로 추가 연소시켜 연료 이용률을 높이면서, 장치 구성을 간소화하고 연료전지 시스템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소와 산소의 전기 화학 반응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 스택;
상기 연료전지 스택으로 수소를 포함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부;
상기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되어 상기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될 공기를 가열하는 공기가열부; 및
상기 연료전지 스택에서 배출되는 오프가스를 연소시키는 연소이젝터:를 포함하되,
상기 연소이젝터에서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에서 배출되는 미반응 연료를 포함하는 오프가스를 동작유체(motive gas)로 하여 공기를 흡입하고 미반응 연료를 연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오프가스 연소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가열부는, 상기 압축기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가열하는 제1 열교환기; 및 상기 제1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공기를 추가 가열하여 상기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하는 제2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애노드 오프가스가 상기 연소이젝터의 동작유체로 공급되어 상기 연소이젝터의 노즐을 지나면서,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캐소드 오프가스가 상기 연소이젝터로 흡입되어 상기 애노드 오프가스와 혼합되면서 미반응 연료가 연소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애노드 오프가스는 상기 제2 열교환기의 열원으로 사용된 후 상기 연소이젝터의 동작유체로 공급되고, 상기 연소이젝터에서 미반응 연료의 연소로 생성된 연소가스는 상기 제1 열교환기의 열원으로 공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료공급부를 통해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되는 연료는 수소 및 일산화탄소를 포함하는 Syngas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료공급부를 통해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되는 연료는 메탄이며 상기 연료공급부는 메탄을 수소와 이산화탄소로 개질하여 상기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하는 개질기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캐소드 오프가스는 상기 개질기의 열원으로 사용된 후 상기 연소이젝터로 흡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연료전지 스택에서 배출되는 오프가스를 연소시키는 연소이젝터를 구비하고, 연료전지 스택에서 배출되는 미반응 연료를 포함하는 오프가스를 동작유체(motive gas)로 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미반응 연료를 연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연소이젝터를 채용하여 오프가스를 동작유체로 이용함으로써 공기 흡입을 위한 별도 장치를 요하지 않아 장치 구성을 간소화하고, 별도 장치 운전에 따른 동력 사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간편하고 비용을 낮추면서, 연료와 공기의 혼합 균일성을 높여 불완전 연소 비중을 줄일 수 있어, 열효율 및 연료 이용률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오프가스 연소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오프가스 연소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제1 및 제2 실시예 시스템에 적용되는 연소이젝터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오프가스 연소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오프가스 연소 시스템을, 도 3에는 제1 및 제2 실시예 시스템에 적용되는 연소이젝터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 시스템은 연료전지의 연료로 수소 및 일산화탄소를 포함하는 Syngas를 공급하는 시스템이고, 도 2의 제2 실시예 시스템은 메탄을 연료로 공급하는 시스템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의 연료전지의 오프가스 연소 시스템은, 수소와 산소의 전기 화학 반응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 스택(100), 연료전지 스택으로 수소를 포함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부(200A, 200B),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기(300), 압축기에서 압축되어 상기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될 공기를 가열하는 공기가열부(310, 320), 연료전지 스택에서 배출되는 오프가스를 연소시키는 연소이젝터(400)를 포함한다.
특히 연소이젝터에서는 연료전지 스택에서 배출되는 미반응 연료를 포함하는 오프가스를 동작유체(motive gas)로 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미반응 연료를 연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기가열부는, 압축기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가열하는 제1 열교환기(310)와, 제1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공기를 추가 가열하여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하는 제2 열교환기(32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300) 또는 송풍기를 거친 공기는 제1 열교환기(310)와 제2 열교환기(320)를 거쳐 가열된 후 연료전지 스택(100)으로 공급된다.
도 1의 제1 실시예 시스템에서는 수소 및 일산화탄소를 포함하는 Syngas가 연료공급부(200A)를 통해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된다.
도 2의 제2 실시예 시스템에서는 메탄이 연료공급부(200B)를 거쳐 연료전지 스택에 공급되며, 연료공급부는 천연가스를 가습시키는 가습기(210)와, 천연가스를 수소와 이산화탄소로 개질시키는 개질기(2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개질기는, 증발가스를 수소와 이산화탄소로 개질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탄가스는 공급되는 물(순수)과 가습기에서 혼합되어 습분 연료로 상변환되고 개질기에서 열에 의해 이산화탄소와 수소로 개질되어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된다.
연료전지 스택(100)에서는 전기화학 반응에 의해 반응물(수소와 산소)의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킨다.
연료전지 스택에서는, 개질된 수소와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를 애노드(anode)측으로 공급받고 압축기 및 공기가열부를 거쳐 공급되는 산소를 포함하는 공기를 캐소드(cathode)측으로 공급받아 전기 화학 반응을 일으켜 전기를 얻는다.
즉, 수소를 함유하는 애노드 측의 연료 가스와 산소를 함유하는 캐소드 측의 산화 가스의 산화 환원 반응에 의해 전기를 얻고, 연료전지에서 생성된 전기는 전력변환장치(500)를 거쳐 장치 외부로 공급된다.
한편, 연료전지 스택에서는 800℃ 이상의 고온 고압의 오프가스, 배기가 배출되는데, 본 실시예들에서는 이를 연소이젝터(400)로 보내 이젝터의 동작유체로 활용하여 산소를 포함한 캐소드 오프가스를 흡입하여 이젝터 내에서 미반응 연료와 산소가 고르게 혼합되면서 추가 연소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의 제1 실시예에서는 연료전지 스택의 캐소드 오프가스가 바로 연소이젝터(400)로 흡입되며, 도2의 제2 실시예에서는 연료전지 스택의 캐소드 오프가스가 먼저 연료공급부의 개질기(220)에 공급되어 메탄 개질을 위한 열원으로 사용 후 연소이젝터(400)로 흡입된다.
연료전지 스택의 애노드 오프가스는 제2 열교환기(320)로 공급되어 공기 가열을 위한 열원으로 사용된 후 연소이젝터(400)의 동작유체로 공급된다.
도 3에 도시된 연소이젝터(400)의 구조를 간략히 살펴보면 애노드 오프가스가 연소이젝터의 노즐(410) 입구, 즉 Primary 입구에 동작유체로 공급되고(M), 출구가 좁아지는 형태의 노즐(410)을 지나게 되면서 노즐 주위의 압력이 낮아진다. 그에 따라 캐소드 오프가스가 연소이젝터의 Secondary 입구(420)를 통해 노즐 쪽으로 흡입되고(L), 노즐 출구 쪽의 믹싱 덕트 구간(430)을 지나면서 캐소드 오프가스와 애노드 오프가스가 균일하게 혼합되어 연소이젝터 출구 쪽의 연소부(440)에서 연소된다.
연소이젝터(400)에서 미반응 연료가 연소되면서 생성된 연소가스는 제1 열교환기(310)에 공기 가열을 위한 열원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서는 연소이젝터를 구비하고 오프가스를 동작유체로 이용함으로써 공기 흡입을 위한 별도 장치를 요하지 않아 장치 구성을 간소화하여 컴팩트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고, 별도 장치 운전에 따른 동력 사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연소기 대신 간단한 구조의 이젝터 방식을 채용하여 제작이 간편하고 장치 고장의 위험을 낮추어 설치 및 유지 보수 등의 비용을 절감하고, 미반응 연료와 공기의 혼합 균일성을 높여 불완전 연소 비중을 줄이며, 연료 이용률을 높이고 연료전지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연료전지 스택
200A, 200B: 연료공급부
300: 압축기
310: 제1 열교환기
320: 제2 열교환기
400: 연소이젝터
500: 전력변환장치

Claims (6)

  1. 수소와 산소의 전기 화학 반응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 스택;
    상기 연료전지 스택으로 수소를 포함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부;
    상기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되어 상기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될 공기를 가열하는 공기가열부; 및
    상기 연료전지 스택에서 배출되는 오프가스를 연소시키는 연소이젝터:를 포함하되,
    상기 공기가열부는, 상기 압축기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가열하는 제1 열교환기; 및 상기 제1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공기를 추가 가열하여 상기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하는 제2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애노드 오프가스는 상기 제2 열교환기의 열원으로 사용된 후 상기 연소이젝터의 동작유체(motive gas)로 공급되고,
    상기 연소이젝터에서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에서 배출되는 미반응 연료를 포함하는 오프가스를 동작유체로 하여 공기를 흡입하고 미반응 연료를 연소시키고,
    상기 연소이젝터에서 미반응 연료의 연소로 생성된 연소가스는 상기 제1 열교환기의 열원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오프가스 연소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이젝터는
    상기 애노드 오프가스가 입구에 동작유체로 공급되며 출구가 좁아지는 형태의 노즐;
    상기 노즐 출구 쪽에 마련되는 믹싱 덕트 구간; 및
    상기 믹싱 덕트 구간을 지나면서 혼합된 오프가스가 연소되는 연소부: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의 오프가스 연소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애노드 오프가스가 상기 연소이젝터의 동작유체로 공급되어 상기 연소이젝터의 노즐을 지나면서,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캐소드 오프가스가 상기 연소이젝터로 흡입되어 상기 애노드 오프가스와 혼합되면서 미반응 연료가 연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오프가스 연소 시스템.
  4. 삭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공급부를 통해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되는 연료는 수소 및 일산화탄소를 포함하는 Synga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오프가스 연소 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공급부를 통해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되는 연료는 메탄이며 상기 연료공급부는 메탄을 수소와 이산화탄소로 개질하여 상기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하는 개질기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캐소드 오프가스는 상기 개질기의 열원으로 사용된 후 상기 연소이젝터로 흡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오프가스 연소 시스템.
KR1020210115339A 2021-08-31 2021-08-31 연료전지의 오프가스 연소 시스템 KR102457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339A KR102457726B1 (ko) 2021-08-31 2021-08-31 연료전지의 오프가스 연소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339A KR102457726B1 (ko) 2021-08-31 2021-08-31 연료전지의 오프가스 연소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7726B1 true KR102457726B1 (ko) 2022-10-21

Family

ID=83805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5339A KR102457726B1 (ko) 2021-08-31 2021-08-31 연료전지의 오프가스 연소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772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8884A (ko) * 2014-07-04 2017-03-14 엘지 퓨얼 셀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연료 전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8884A (ko) * 2014-07-04 2017-03-14 엘지 퓨얼 셀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연료 전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6599B2 (en) Method for high temperature fuel cell system start up and shutdown
KR100651270B1 (ko)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장치
JP4666910B2 (ja) 冷却タービン一体型燃料電池ハイブリッド発電装置
US20050079395A1 (en) Integrated fuel cell hybrid power plant with controlled oxidant flow for combustion of spent fuel
US20040121199A1 (en) Integrated fuel cell hybrid power plant with re-circulated air and fuel flow
US20150188173A1 (en) Solid-oxide fuel cell systems
KR20060044624A (ko) 통합형 연료 전지-가스 터빈 시스템
KR20120076386A (ko) 애노드 재순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N113851673B (zh) 一种固体氧化物燃料电池热电联供系统及其运行方法
JP2021128904A (ja)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の運転方法
KR102056265B1 (ko) 연료전지 가열장치 및 가열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장치
KR20110091304A (ko) 주기용 엔진의 폐열을 이용하는 보기용 연료전지 시스템
CN114024009A (zh) 燃料电池发电系统
US11688863B2 (en) Fuel cell system
KR20170085179A (ko) 고효율 고온 연료전지 시스템
JP4342172B2 (ja) エネルギー併給システム
KR102457726B1 (ko) 연료전지의 오프가스 연소 시스템
US6942940B2 (en) System for generating electricity
KR100778207B1 (ko) 전력변환장치의 폐열을 이용한 연료전지 시스템
CN112164817A (zh) 一种固体氧化物燃料电池发电系统
JP6993489B1 (ja)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WO2022113397A1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102548739B1 (ko) 열효율이 우수한 연료전지 시스템
TWI797800B (zh) 燃料電池發電系統,以及燃料電池發電系統的控制方法
WO2022215224A1 (ja) 燃料電池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