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7444B1 -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7444B1
KR102457444B1 KR1020217011040A KR20217011040A KR102457444B1 KR 102457444 B1 KR102457444 B1 KR 102457444B1 KR 1020217011040 A KR1020217011040 A KR 1020217011040A KR 20217011040 A KR20217011040 A KR 20217011040A KR 102457444 B1 KR102457444 B1 KR 102457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polarizer
polarizer protective
polarizing plate
refractive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1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0164A (ko
Inventor
타카히로 요시카와
테츠로 이케다
타카시 시미즈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90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0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H01L27/3232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휘도 시야각을 좁히는 일없이 광확산 기능이 부여된 편광자 보호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은, 매트릭스로서의 수지와 매트릭스에 분산된 광확산성 미립자를 포함하는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고, 표면이 요철 형상을 갖고, 요철부분에 있어서의 전체의 단면적(A)에 대한 오목부의 단면적(B)의 비율(B/A)이 50% 이상이다.

Description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은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상 표시 장치(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의 박형화 및 디자인성의 향상(예를 들면, 협베젤화)에 대한 요망이 매우 강해지고 있다. 이것에 따라,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광학부재 및/또는 광학 필름의 일체화 및/또는 기능의 통합에 대한 요망도 강해지고 있다. 그러한 일체화 또는 기능의 통합의 일례로서, 편광자에 광확산 필름을 직접 접합해서 편광판에 광확산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제안된 기술은 휘도 시야각이 작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2-11823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9-025774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주된 목적은 휘도 시야각을 좁히는 일없이 광확산 기능이 부여된 편광자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은 매트릭스로서의 수지와 상기 매트릭스에 분산된 광확산성 미립자를 포함하는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고, 표면이 요철 형상을 갖고, 요철부분에 있어서의 전체의 단면적(A)에 대한 오목부의 단면적(B)의 비율(B/A)이 50% 이상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매트릭스의 굴절률(nM)과 상기 광확산성 미립자의 굴절률(nP)은 이하의 관계를 만족한다:
|nP-nM|≥0.05.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높이(H)는 3㎛ 이상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은 상기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볼록부에 상기 광확산성 미립자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은 평면에서 봤을 때에 상기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볼록부가 교차점을 갖는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은 평면에서 봤을 때의 전체 면적에 대한 상기 오목부의 면적비율이 50% 이상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편광판이 제공된다. 이 편광판은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에 접착층을 통해 적층된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을 갖는다.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은 상기 요철 형상을 갖는 표면이 상기 편광자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의 계면에 상기 요철 형상의 오목부에 의한 실질적인 저굴절률부가 규정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저굴절률부의 굴절률(nL)과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의 굴절률(nF)의 차(nF-nL)는 0.2 이상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접착층의 두께(T)와 상기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높이(H)의 비(T/H)는 50% 이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의하면, 화상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이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편광판을 배면측에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편광자 보호 필름에 광확산성 미립자를 분산시키고, 또한, 그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요철 형상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오목부의 단면적비를 소정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휘도 시야각을 좁히는 일없이 광확산 기능이 부여된 편광자 보호 필름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편광자 보호 필름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편광자 보호 필름에 있어서의 요철 표면의 볼록부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의 대표예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편광판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도면은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모식적으로 나타내어져 있으며, 세로, 가로 및 두께의 비율, 요철의 형상 및 세밀함 등이 실제와는 다르다.
A. 편광자 보호 필름
A-1.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편광자 보호 필름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시예의 편광자 보호 필름(100)은 매트릭스(10)로서의 수지와 매트릭스(10)에 분산된 광확산성 미립자(20)를 포함하는 수지 필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이면, 편광자 보호 필름 자체에 광확산 성능이 부여된다. 그 결과, 편광자 보호 필름이 광확산 필름을 겸할 수 있고, 또한, 편광자 보호 필름은 편광판의 일부가 되므로, 편광판에의 광확산 성능의 부여 및 현저한 박형화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매트릭스의 굴절률(nM)과 광확산성 미립자의 굴절률(nP)은 바람직하게는 이하의 관계를 만족한다:
|nP-nM|≥0.05.
|nP-nM|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7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 이상이다. |nP-nM|의 상한은 예를 들면, 0.20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이면, 더욱 양호한 광확산 성능이 실현될 수 있다. 또,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수지 및 광확산성 미립자에 대해서는 각각 A-2항 및 A-3항에서 후술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편광자 보호 필름(100)의 표면(30)은 요철 형상을 갖는다. 요철 표면(30)은 볼록부(31)와 오목부(공기부 또는 공극부)(32)를 갖는다. 요철 표면 전체의 단면적(A)에 대한 오목부의 단면적(B)의 비율(B/A)은 50% 이상이며, 대표적으로는 50%를 초과하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이다. 비율(B/A)의 상한은 예를 들면, 90%일 수 있다. 비율(B/A)이 이러한 범위이면, 충분한 휘도를 발현시킬 수 있고, 휘도 시야각을 넓게 유지하면서 편광자 보호 필름에 양호한 확산 성능이 부여됨과 아울러, 편광자 보호 필름이 편광자에 적층될 때에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의 접착강도가 확보될 수 있다. 또, 요철 표면 전체의 단면적(A)은 볼록부의 표면을 연결하는 선과 오목부의 바닥을 연결하는 선과 필름 양단의 상하방향의 선으로 둘러싸여진 부분의 면적이며(참고로서, 상기 부분의 외측을 파선으로 둘러싸서 도 1에 나타낸다), 오목부의 단면적(B)은 각각의 오목부(32)의 단면적(인접하는 볼록부의 벽의 선과 볼록부의 표면을 연결하는 선과 오목부의 바닥을 연결하는 선으로 둘러싸여진 부분의 면적)의 합계이다. 비율(B/A)은 공극률에 대응할 수 있다.
요철 표면에 있어서의 볼록부(31)의 높이(H)는 바람직하게는 3㎛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다. 볼록부의 높이(H)의 상한은 예를 들면, 15㎛일 수 있다. 볼록부의 높이가 이러한 범위이면, 편광자 보호 필름이 편광자에 적층될 때에, 편광자 보호 필름의 볼록부(실질적으로는 볼록부의 상부)만이 편광자에 접착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볼록부만의 접착을 편의상 「점접착」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점접착에 의해, 점접착 부분 근방에 오목부(공기부 또는 공극부)에 의한 실질적인 저굴절률부가 규정된다. 그 결과, 양호한 광확산 성능을 실현함과 아울러 휘도 시야각을 크게 할 수 있다. 종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편광자(편광판)와 광확산 필름은 별치(別置)되고, 그 결과, 편광판과 광확산 필름 사이에는 공기층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공기층은 박형화의 장해가 되는 한편, 상기 공기층에 의한 재귀반사에 의해 휘도 시야각이 크게 유지된다. 편광판과 광확산 필름을 일체화하면 박형화 및 기능의 통합은 실현할 수 있지만, 상기 공기층의 배제에 의해 휘도 시야각이 작아진다. 점접착 부분 근방에 저굴절률부를 형성함으로써, 공기층이 존재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광이 효율적으로 재귀반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편광자 보호 필름에 광확산 성능을 부여하고, 또한, 점접착을 형성함으로써, 편광판에 소망의 광확산 성능을 부여함과 아울러, 휘도 시야각을 크게(넓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편광자 보호 필름 자체가 광확산 성능을 갖고 광확산 필름을 겸하므로, 공기층의 배제의 효과와의 상승적인 효과에 의해 현저한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요철 표면에 있어서의 볼록부(31)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은 임의의 적절한 형상이 채용될 수 있다. 볼록부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은,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듯이, 규칙성을 갖는 형상(예를 들면, 격자상)이어도 좋고, 불규칙 형상이어도 좋다. 볼록부(31)는,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나타내듯이, 평면에서 봤을 때에 교차점(C)을 갖는다. 바꿔 말하면, 볼록부는 2방향 이상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볼록부의 피치(볼록부와 볼록부의 간격)는 바람직하게는 100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이다. 볼록부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이 규칙성을 갖는 경우, 각도를 1도∼90도의 바이어스를 형성해도 좋다. 볼록부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이 불규칙 형상인 경우, 피치는 평균 피치를 의미하고, 피치의 평균값에 대해서 ±50% 이내가 5할 이상이 되는 분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이면, 편광자 보호 필름이 편광자에 적층될 때에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의 접착강도가 확보되고, 또한, 양호한 표시 품위가 확보될 수 있다.
요철 표면을 평면에서 봤을 때의 전체 면적에 대한 오목부(32)의 면적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이다. 오목부의 면적비율의 상한은, 예를 들면, 90%일 수 있다. 오목부의 면적비율이 이러한 범위이면, 휘도 시야각을 넓게 유지하면서 편광자 보호 필름에 양호한 확산 성능이 부여됨과 아울러, 편광자 보호 필름이 편광자에 적층될 때에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의 접착강도가 확보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듯이, 볼록부(31)에 광확산성 미립자(20)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이면, 보다 양호한 확산 성능이 부여되고, 균일한 요철 패턴이어도, 액정 패널의 화소 등과의 광학 간섭 편차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요철 표면(요철 형상)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요철 형상은, 예를 들면, 조면화 방식, 미립자에 의해 요철을 부여하는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조면화 방식의 구체예로서는 엠보스 가공, 샌드블래스트를 들 수 있다. 요철 표면(요철 형상)은 대표적으로는 용융 압출한 필름의 표면을 엠보스 롤로 부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A-2. 매트릭스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편광자 보호 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수지가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예를 들면, 노르보르넨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예를 들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아세테이트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광학 특성, 투명성 및 범용성의 관점으로부터 (메타)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메타)아크릴계 수지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이란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을 의미한다.
(메타)아크릴계 수지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메타)아크릴계 수지가 채용될 수 있다. 또, 기재의 간략화를 위해서, 이하,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단지 아크릴계 수지라고 칭한다. 아크릴계 수지는, 대표적으로는 모노머 단위로서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한다. 아크릴계 수지의 주골격을 구성하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의 탄소수 1∼18의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아크릴계 수지에는 임의의 적절한 공중합 모노머를 공중합에 의해 도입해도 좋다. 이러한 공중합 모노머의 종류, 수, 공중합비 등은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아크릴계 수지의 주골격의 구성 성분(모노머 단위)에 대해서는 일반식(2)를 참조하면서 후술한다.
아크릴계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글루탈이미드 단위, 락톤환 단위, 무수 말레산 단위, 말레이미드 단위 및 무수 글루탈산 단위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를 갖고 있어도 좋다. 락톤환 단위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8-181078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고, 상기 공보의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 글루탈이미드 단위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일반식(1)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112021043358875-pct00001
일반식(1)에 있어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8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3은 탄소수 1∼18의 알킬기, 탄소수 3∼12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탄소수 6∼10의 아릴기를 나타낸다. 일반식(1)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R3은 수소, 메틸기, 부틸기 또는 시클로헥실기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R1은 메틸기이며, R2는 수소이며, R3은 메틸기이다.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대표적으로는 하기 일반식(2)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112021043358875-pct00002
일반식(2)에 있어서, R4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5는 수소원자, 또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수 1∼6의 지방족 또는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치환기로서는, 예를 들면, 할로겐, 수산기를 들 수 있다.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구체예로서는 (메타)아크릴산 메틸, (메타)아크릴산 에틸, (메타)아크릴산 n-프로필, (메타)아크릴산 n-부틸, (메타)아크릴산 t-부틸, (메타)아크릴산 n-헥실, (메타)아크릴산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산 클로로메틸, (메타)아크릴산 2-클로로에틸,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산 3-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 2,3,4,5,6-펜타히드록시헥실 및 (메타)아크릴산 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을 들 수 있다. 일반식(2)에 있어서, R5는 바람직하게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따라서, 특히 바람직한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산 메틸 또는 메타크릴산 메틸이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단일의 글루탈이미드 단위만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R1, R2 및 R3이 다른 복수의 글루탈이미드 단위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에 있어서의 글루탈이미드 단위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2몰%∼50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2몰%∼45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2몰%∼40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2몰%∼35몰%, 가장 바람직하게는 3몰%∼30몰%이다. 함유 비율이 2몰%보다 적으면 글루탈이미드 단위에 유래해서 발현되는 효과(예를 들면, 높은 광학적 특성, 높은 기계적 강도, 편광자와의 우수한 접착성, 박형화)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함유 비율이 50몰%를 초과하면, 예를 들면, 내열성, 투명성이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단일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위만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상기 일반식(2)에 있어서의 R4 및 R5가 다른 복수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위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에 있어서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위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0몰%∼98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55몰%∼98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몰%∼98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65몰%∼98몰%, 가장 바람직하게는 70몰%∼97몰%이다. 함유 비율이 50몰%보다 적으면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위에 유래해서 발현되는 효과(예를 들면, 높은 내열성, 높은 투명성)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상기 함유 비율이 98몰%보다 많으면 수지가 물러서 갈라지기 쉬워지고, 높은 기계적 강도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고, 생산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글루탈이미드 단위 및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위 이외의 단위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아크릴계 수지는 후술하는 분자내 이미드화 반응에 관여하고 있지 않은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위를, 예를 들면, 0중량%∼10중량% 함유할 수 있다.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위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중량%∼5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중량%∼1중량%이다. 함유량이 이러한 범위이면, 투명성, 체류 안정성 및 내습성을 유지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아크릴계 수지는 상기 이외의 공중합 가능한 비닐계 단량체 단위(다른 비닐계 단량체 단위)를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의 비닐계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N-메틸말레이미드, N-에틸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아크릴산 아미노에틸, 아크릴산 프로필아미노에틸, 메타크릴산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산 에틸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산 시클로헥실아미노에틸, N-비닐디에틸아민, N-아세틸비닐아민, 알릴아민, 메타알릴아민, N-메틸알릴아민, 2-이소프로페닐-옥사졸린, 2-비닐-옥사졸린, 2-아크로일-옥사졸린, N-페닐말레이미드, 메타크릴산 페닐아미노에틸,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글리시딜스티렌, p-아미노스티렌, 2-스티릴-옥사졸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병용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의 스티렌계 단량체이다. 다른 비닐계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1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중량%이다. 이러한 범위이면, 소망하지 않는 위상차의 발현 및 투명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에 있어서의 이미드화율은 바람직하게는 2.5%∼20.0%이다. 이미드화율이 이러한 범위이면, 내열성, 투명성 및 성형 가공성이 우수한 수지가 얻어지고, 필름 성형시의 눌음의 발생이나 기계적 강도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에 있어서, 이미드화율은 글루탈이미드 단위와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위의 비로 나타내어진다. 이 비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의 NMR 스펙트럼, IR 스펙트럼 등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미드화율은 1HNMR BRUKER AvanceIII(400MHz)를 이용하여, 수지의 1H-NMR 측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3.5ppm∼3.8ppm 부근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O-CH3 프로톤 유래의 피크 면적을 A로 하고, 3.0ppm∼3.3ppm 부근의 글루탈이미드의 N-CH3 프로톤 유래의 피크의 면적을 B로 해서 다음 식에 의해 구해진다.
이미드화율(Im)(%)={B/(A+B)}×100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Tg(유리전이온도)가 바람직하게는 1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1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2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30℃ 이상이다. Tg가 110℃ 이상이면, 이러한 수지로부터 얻어진 편광자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은 내구성이 우수한 것으로 되기 쉽다. Tg의 상한값은 바람직하게는 3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9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8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60℃ 이하이다. Tg가 이러한 범위이면, 성형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 방법은 (I)일반식(2)로 나타내어지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위에 대응하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와,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및/또는 그 전구체 단량체를 공중합해서 공중합체(a)를 얻는 것; 및 (II)상기 공중합체(a)를 이미드화제로 처리함으로써, 상기 공중합체(a) 중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와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및/또는 그 전구체 단량체 단위의 분자내 이미드화 반응을 행하고, 일반식(1)로 나타내어지는 글루탈이미드 단위를 공중합체 중에 도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 및 그 제조 방법의 상세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18-155812호 공보 및 일본 특허공개 2018-15581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공보의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
A-3. 광확산성 미립자
광확산성 미립자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무기 미립자, 고분자 미립자를 들 수 있다. 광확산성 미립자는 바람직하게는 고분자 미립자이다. 고분자 미립자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 수지, (메타)아크릴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멜라민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매트릭스에 대한 우수한 분산성 및 매트릭스와의 적절한 굴절률차를 가지므로, 광확산 성능이 우수한 편광자 보호 필름이 얻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수지, 폴리메타크릴산 메틸이다. 광확산성 미립자의 형상은 예를 들면, 진구상, 편평상, 부정형상일 수 있다. 광확산성 미립자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광확산성 미립자의 체적 평균 입자지름은 바람직하게는 1㎛∼1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6㎛이다. 체적 평균 입자지름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우수한 광확산 성능을 갖는 편광자 보호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체적 평균 입자지름은 예를 들면, 초원심식 자동 입도 분포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광확산성 미립자의 굴절률은 바람직하게는 1.30∼1.7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40∼1.65이다.
광확산성 미립자의 굴절률(nP)과 매트릭스 매트릭스의 굴절률(nM)의 차의 절대값|nP-nM|은 상기한 바와 같이 0.05 이상이다.
광확산성 미립자는 예를 들면, 코어와 셸을 갖고 코어와 셸의 굴절률이 다른 코어 셸 미립자이어도 좋고, 미립자의 중심부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연속적으로 굴절률이 변화되는 소위 GRIN(gradient index) 미립자이어도 좋다. 코어 셸 미립자 및 GRIN 미립자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평 6-347617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3-262710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2-21224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2-21440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2-328207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0-07724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0-10761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공보의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
광확산성 미립자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듯이, 광확산성 미립자(21)의 표면 근방 외부에 굴절률이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굴절률 변조 영역(22)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굴절률 변조 영역은 예를 들면, 매트릭스 중에 특정 초미립자 성분을 도입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이면, 후방산란을 억제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더욱 우수한 광확산 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 굴절률 변조 영역이 형성된 광확산성 미립자의 상세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12-88692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2-8374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2-8374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2-8374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공보의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
편광자 보호 필름에 있어서의 광확산성 미립자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3중량%∼50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30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5중량%∼20중량%이다. 광확산성 미립자의 함유량이 이러한 범위이면, 우수한 광확산 성능을 갖는 편광자 보호 필름을 얻을 수 있다.
A-4. 편광자 보호 필름의 특성
편광자 보호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광학적으로 등방성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광학적으로 등방성을 갖는다」란 면내 위상차 Re(550)가 0nm∼10nm인 것을 말한다. 면내위상차 Re(550)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0nm∼5n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nm∼3nm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nm∼2nm이다. 편광자 보호 필름의 Re(550)가 이러한 범위이면,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표시 특성에 대한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또, Re(550)는 23℃에 있어서의 파장 550nm의 광으로 측정한 필름의 면내 위상차이다. Re(550)는 식: Re(550)=(nx-ny)×d에 의해 구해진다. 여기에서, nx는 면내의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즉,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이며, ny는 면내에서 지상축과 직교하는 방향(즉,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이며, d는 필름의 두께(nm)이다.
편광자 보호 필름의 두께 40㎛에 있어서의 380nm에서의 광선 투과율은 높으면 높을수록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광선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7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이다. 광선 투과율이 이러한 범위이면, 소망의 광학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광선 투과율은 예를 들면, ASTM-D-1003에 준한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다.
편광자 보호 필름의 헤이즈는 바람직하게는 50%∼99%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95%이다.
편광자 보호 필름은 이하의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550nm에서의 광선 투과율을 100%로 했을 때, 450nm 및 650nm의 광선 투과율은 각각 550nm에서의 광선 투과율과의 차가 바람직하게는 ±5% 이내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내이다.
편광자 보호 필름의 휘도 시야각에 대해서는 휘도 반값각(휘도가 정면의 50%가 되는 각도)이 바람직하게는 56°(편측 28°)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70°(편측 30°∼35°)이다. 또한, 휘도가 정면의 25%가 되는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90°(편측 45°)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6°∼120°(편측 48°∼60°)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편광자 보호 필름에 우수한 확산 성능을 부여하고, 또한, 휘도 시야각을 넓게 유지할 수 있다.
편광자 보호 필름 전체로서의 굴절률(nF)은 바람직하게는 1.3∼1.8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4∼1.6이다. 편광자 보호 필름의 굴절률이 이러한 범위이면, 편광판에 있어서 편광자와의 점접착에 의해 규정되는 저굴절률부와의 굴절률차를 소망의 범위로 할 수 있다.
편광자 보호 필름의 투습도는 바람직하게는 300g/㎡·24hr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g/㎡·24hr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g/㎡·24hr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g/㎡·24hr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g/㎡·24hr 이하이다. 편광자 보호 필름의 투습도가 이러한 범위이면, 내구성 및 내습성이 우수한 편광판이 얻어진다.
B. 편광판
상기 A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은 편광판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러한 편광자 보호 필름을 사용한 편광판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편광판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시예의 편광판(200)은 편광자(130)와, 편광자(130)에 접착층(120)을 통해 적층된 상기 A항에 기재된 편광자 보호 필름(100)을 갖는다. 편광자 보호 필름(100)은 상기 요철 형상을 갖는 표면이 편광자(130)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접착층은 임의의 적절한 접착제 또는 점착제로 구성된다. 접착제층은 대표적으로는 수계 접착제(예를 들면, 비닐알콜계 접착제) 또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로 형성된다. 점착제층은 대표적으로는 아크릴계 점착제로 형성된다. 실용적으로는 편광자의 보호 필름(100)과 반대측에는 별도의 보호 필름(140)이 배치되어 있다. 실용적으로는 추가로 최외층으로서 점착제층(150)이 형성되어 편광판의 화상 표시 셀에의 접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 점착제층(150) 표면에는 세퍼레이터(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가 박리 가능하게 가부착되어 편광판이 실제로 사용될 때까지 점착제층을 보호함과 아울러, 롤 형성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편광판은 대표적으로는 화상 표시 장치의 배면측 편광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시예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편광자(130)(실질적으로는 접착층(120))와 편광자 보호 필름(100)의 계면에 편광자 보호 필름의 요철 표면의 오목부(32)에 의한(상기 점접착에 의한) 실질적인 저굴절률부(110)가 규정되어 있다. 저굴절률부의 굴절률(nL)은 바람직하게는 1.0을 초과하고 1.3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을 초과하고 1.2 이하이다. 저굴절률부의 굴절률(nL)과 편광자 보호 필름의 굴절률(nF)의 차(nF-nL)는 바람직하게는 0.2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 이상이다. 차(nF-nL)의 상한은 예를 들면, 0.4일 수 있다. 또, 저굴절률부의 굴절률(nL)은 하기 식으로 정의된다.
nL=nM×(100% -오목부 면적 비율(%))+공기 굴절률(1.0)×오목부 면적 비율(%)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접착층(120)의 두께(T)와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높이(H)의 비(T/H)는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이다. 비(T/H)가 이러한 범위이면, 양호한 점접착을 실현할 수 있다. 비(T/H)의 하한은 예를 들면, 10%일 수 있다.
편광자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편광자가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편광자를 형성하는 수지 필름은 단층의 수지 필름이어도 좋고, 2층 이상의 적층체이어도 좋다.
단층의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는 편광자의 구체예로서는 폴리비닐알콜(PVA)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 PVA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2색성 염료 등의 2색성 물질에 의한 염색 처리 및 연신 처리가 실시된 것, PVA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학특성이 우수하므로, PVA계 필름을 요오드로 염색하여 1축 연신해서 얻어진 편광자가 사용된다.
상기 요오드에 의한 염색은 예를 들면, PVA계 필름을 요오드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행해진다. 상기 1축 연신의 연신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3∼7배이다. 연신은 염색 처리후에 행해도 좋고, 염색하면서 행해도 좋다. 또한 연신하고나서 염색해도 좋다. 필요에 따라 PVA계 필름에 팽윤 처리, 가교 처리, 세정 처리, 건조 처리 등이 실시된다. 예를 들면, 염색 전에 PVA계 필름을 물에 침지해서 수세함으로써, PVA계 필름 표면의 오염이나 블록킹 방지제를 세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PVA계 필름을 팽윤시켜서 염색 얼룩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적층체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편광자의 구체예로서는, 수지 기재와 상기 수지 기재에 적층된 PVA계 수지층(PVA계 수지 필름)의 적층체, 또는 수지 기재와 상기 수지 기재에 도포 형성된 PVA계 수지층의 적층체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편광자를 들 수 있다. 수지 기재와 상기 수지 기재에 도포 형성된 PVA계 수지층의 적층체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편광자는 예를 들면, PVA계 수지 용액을 수지 기재에 도포하고, 건조시켜서 수지 기재 상에 PVA계 수지층을 형성해서 수지 기재와 PVA계 수지층의 적층체를 얻는 것; 상기 적층체를 연신 및 염색해서 PVA계 수지층을 편광자로 하는 것;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연신은 대표적으로는 적층체를 붕산 수용액 중에 침지시켜서 연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연신은 필요에 따라 붕산 수용액 중에서의 연신 전에 적층체를 고온(예를 들면, 95℃ 이상)에서 공중 연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얻어진 수지 기재/편광자의 적층체는 그대로 사용해도 좋고(즉, 수지 기재를 편광자의 보호층으로 해도 좋고), 수지 기재/편광자의 적층체로부터 수지 기재를 박리하고, 상기 박리면에 목적에 따른 임의의 적절한 보호층을 적층해서 사용해도 좋다. 이러한 편광자의 제조 방법의 상세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12-7358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공보는 그 전체의 기재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
편광자의 두께는 예를 들면, 1㎛∼80㎛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편광자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2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15㎛이다.
C. 화상 표시 장치
상기 B항에 기재된 편광판은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러한 편광판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도 포함한다. 화상 표시 장치는 대표적으로는 상기 B항에 기재된 편광판을 배면측에 구비한다. 상기 편광판은 대표적으로는 상기 A항에 기재된 편광자 보호 필름이 배면측이 되도록 배치된다. 화상 표시 장치의 대표예로서는 액정 표시 장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EL) 표시 장치를 들 수 있다. 화상 표시 장치는 업계에서 주지의 구성이 채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특성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또,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부」 및 「%」는 중량 기준이다.
(1)오목부의 단면적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한 편광자 보호 필름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그 화상으로부터 요철부분의 전체 단면적 및 오목부의 단면적을 측정하고, 요철부분의 전체 단면적에 대한 오목부의 단면적비를 구했다. 요철부분을 형성하지 않은 편광자 보호 필름에 대해서는 단면적비를 제로(0)로 했다.
(2)휘도
LG사제 SJ8000을 분해하고, 편광판 부착 액정 패널을 인출하고, 백라이트측 편광판으로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편광판을 실장했다. 또한 상기 제품의 백라이트 유닛에 설치되어 있던 광확산 필름에 대해서는 실장 개소만을 오려내고 재조립했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실장품에 대해서, ELDIM사제 Ezconstrast를 이용하여 정면방향의 휘도를 측정했다. 측정한 휘도는 편광판과 광확산 필름을 별치한 경우의 정면휘도를 100으로 했을 때의 비율(%)로서 나타냈다.
(3)휘도 시야각
LG사제 SJ8000을 분해하고, 편광판 부착 액정 패널을 인출하고, 백라이트측 편광판으로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편광판을 실장했다. 또한 상기 제품의 백라이트 유닛에 설치되어 있던 광확산 필름에 대해서는 실장 개소만을 오려내고 재조립했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실장품에 대해서, ELDIM사제 Ezconstrast를 이용하여 휘도를 측정했다. 정면방향의 휘도를 100%로 했을 때, 25%의 휘도가 되는 각도를 확산의 양측에서 측정하고, 상기 양측의 각도를 더한 것을 휘도 시야각으로 했다. 측정한 휘도 시야각을, 편광판과 광확산 필름을 별치한 경우의 휘도 시야각을 100으로 했을 때의 비율(%)로서 나타냈다.
<실시예 1>
(편광자 보호 필름의 제작)
메타크릴계 수지(쿠라레사제, 제품명 「파라펫 HR-S」) 100부에 대해서 광확산성 미립자로서의 실리콘 수지 미립자(체적 평균 입자지름 4.5㎛) 9부를 단축 압출기에 투입하고, 260℃에서 용융 압출하면서, 엠보스 롤로 한쪽의 표면에 요철 형상을 부형하고, 두께 50㎛의 필름을 얻었다. 오목부의 단면적비는 70%이며, 볼록부의 높이는 10㎛였다.
(편광판의 제작)
1. 편광자의 제작
수지 기재로서 장척상이며, 흡수율 0.60%, Tg 80℃, 탄성률 2.5㎬의 비정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100㎛)을 사용했다.
수지 기재의 편면에 코로나 처리(처리 조건:55W·min/㎡)를 실시하고, 이 코로나 처리면에 폴리비닐알콜(중합도 4200, 비누화도 99.2몰%) 90중량부,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중합도 1200, 아세토아세틸 변성도 약 5%, 비누화도 99.0몰% 이상, 니폰 고세이 가가쿠 고교사제, 상품명 「고세파이머 Z200」) 10중량부, 및 요오드화 칼륨 13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상온에서 도포하고, 60℃ 환경하에서 건조해서 두께 13㎛의 PVA계 수지층을 형성하고, 적층체를 제작했다.
얻어진 적층체를 140℃의 오븐내에서 주속이 다른 롤간에서 세로방향(길이방향)으로 2.4배로 자유단 1축 연신했다(공중 보조 연신).
이어서, 적층체를 액온 30℃의 불용화 욕(물 100중량부에 대해서 붕산을 4중량부 배합해서 얻어진 붕산 수용액)에 30초간 침지시켰다(불용화 처리).
이어서, 액온 30℃의 염색욕(물 100중량부에 대해서 요오드를 0.4중량부 배합하고, 요오드화 칼륨을 3.0중량부 배합해서 얻어진 요오드 수용액)에 60초간 침지시켰다(염색 처리).
이어서, 액온 30℃의 가교욕(물 100중량부에 대해서 요오드화 칼륨을 3중량부 배합하고, 붕산을 3중량부 배합해서 얻어진 붕산 수용액)에 30초간 침지시켰다(가교 처리).
그 후, 적층체를 액온 70℃의 붕산 수용액(붕산 농도 3.0중량%)에 침지시키면서, 주속이 다른 롤간에서 세로방향(길이방향)으로 총연신 배율이 5.5배가 되도록 1축 연신을 행했다(수중 연신).
그 후, 적층체를 액온 30℃의 세정욕(물 100중량부에 대해서 요오드화 칼륨을 4중량부 배합해서 얻어진 수용액)에 침지시켰다(세정 처리).
이렇게 해서 수지 기재 상에 두께 5㎛의 편광자를 형성했다.
2. 편광판의 제작
상기에서 얻어진 수지 기재/편광자의 적층체의 편광자 표면에 폴리비닐알콜계 접착제(두께 2㎛)를 통해 편광자 보호 필름의 요철 표면을 점접착으로 접합했다. 이어서, 수지 기재를 박리하고, 상기 박리면에 폴리비닐알콜계 접착제를 통해 메타크릴계 수지 필름(두께 40㎛)을 접합했다. 또, 메타크릴계 수지 필름은 메타크릴계 수지(쿠라레사제, 제품명 「파라펫 HR-S」)를 단축 압출기에 투입하고, 260℃에서 용융 압출함으로써 제작했다.
이렇게 해서 편광판을 얻었다. 편광판에 실질적으로 규정된 저굴절률부의 굴절률은 1.15였다. 얻어진 편광판을 상기 (2) 및 (3)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엠보스 롤을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오목부의 단면적비가 55%인 편광자 보호 필름을 제작했다. 이 편광자 보호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편광판을 제작했다. 편광판에 실질적으로 규정된 저굴절률부의 굴절률은 1.22였다. 얻어진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엠보스 롤을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오목부의 단면적비가 30%인 편광자 보호 필름을 제작했다. 이 편광자 보호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편광판을 제작했다. 편광판에 실질적으로 규정된 저굴절률부의 굴절률은 1.34였다. 얻어진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엠보스 롤을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요철 표면을 갖지 않는 편광자 보호 필름을 제작했다. 이 편광자 보호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편광판을 제작했다. 얻어진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21043358875-pct00003
<평가>
표 1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편광판과 광확산 필름을 별치한 경우를 기준으로 했을 때에, 정면 휘도를 허용 가능한 정도로 유지하면서, 휘도 시야각을 넓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휘도 시야각을 좁히는 일없이 광확산 기능이 부여된 편광자 보호 필름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은 편광판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화상 표시 장치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휴대 정보 단말(PDA), 스마트폰, 휴대전화, 시계, 디지털 카메라, 휴대 게임기 등의 휴대 기기; 퍼스널 컴퓨터 모니터, 노트북, 복사기 등의 OA 기기; 비디오 카메라, 텔레비젼, 전자 레인지 등의 가정용 전기기기; 백 모니터,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용 모니터, 카 오디오 등의 차재용 기기; 디지털 사이니지, 상업점포용 인포메이션용 모니터 등의 전시 기기; 감시용 모니터 등의 경비 기기; 개호용 모니터, 의료용 모니터 등의 개호·의료기기; 등의 각종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10 매트릭스
20 광확산성 미립자
30 요철 표면
31 볼록부
32 오목부
100 편광자 보호 필름
120 접착층
130 편광자
200 편광판

Claims (11)

  1. 매트릭스로서의 수지와 상기 매트릭스에 분산된 광확산성 미립자를 포함하는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고,
    표면이 요철 형상을 갖고,
    평면에서 봤을 때에 상기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볼록부가 교차점을 갖고,
    요철부분에 있어서의 전체의 단면적(A)에 대한 오목부의 단면적(B)의 비율(B/A)이 50% 이상이며,
    평면에서 봤을 때의 전체 면적에 대한 상기 오목부의 면적비율이 50% 이상이며,
    휘도 반값각이 56° 이상인 편광자 보호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의 굴절률(nM)과 상기 광확산성 미립자의 굴절률(nP)이 이하의 관계를 만족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
    |nP-nM|≥0.05.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높이(H)가 3㎛ 이상인 편광자 보호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볼록부에 상기 광확산성 미립자를 포함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
  5.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에 접착층을 통해 적층된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자 보호 필름을 갖고,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은 상기 요철 형상을 갖는 표면이 상기 편광자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편광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의 계면에 상기 요철 형상의 오목부에 의한 실질적인 저굴절률부가 규정되어 있는 편광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굴절률부의 굴절률(nL)과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의 굴절률(nF)의 차(nF-nL)가 0.2 이상인 편광판.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두께(T)와 상기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높이(H)의 비(T/H)가 50% 이하인 편광판.
  9. 제 5 항에 기재된 편광판을 배면측에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
  10. 삭제
  11. 삭제
KR1020217011040A 2018-11-15 2019-10-25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4574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14300 2018-11-15
JP2018214300 2018-11-15
PCT/JP2019/042013 WO2020100560A1 (ja) 2018-11-15 2019-10-25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0164A KR20210090164A (ko) 2021-07-19
KR102457444B1 true KR102457444B1 (ko) 2022-10-21

Family

ID=70730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1040A KR102457444B1 (ko) 2018-11-15 2019-10-25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079857B2 (ko)
KR (1) KR102457444B1 (ko)
CN (1) CN113039865A (ko)
TW (1) TWI801688B (ko)
WO (1) WO2020100560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3197A (ja) 2008-03-18 2009-10-01 Sumitomo Chemical Co Ltd 光拡散板及び積層光学部材並びに面光源装置と液晶表示装置
JP2012113294A (ja) 2010-11-02 2012-06-14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モジュールおよび表示装置
JP2016191839A (ja) 2015-03-31 2016-11-10 旭硝子株式会社 光学素子、投影装置および計測装置
JP2017097334A (ja) 2015-11-12 2017-06-01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部材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9940A (ja) * 1999-05-24 2000-11-30 Nitto Denko Corp 偏光部材及び光学部材
JP4054670B2 (ja) * 2002-12-13 2008-02-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157294B2 (ja) 2007-07-24 2013-03-06 凸版印刷株式会社 レンズシート、ディスプレイ用光学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ディスプレイ装置
TW200916833A (en) * 2007-10-15 2009-04-16 Chunghwa Picture Tubes Ltd Multi-function optical film and polarizer
WO2012060419A1 (ja) * 2010-11-02 2012-05-1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モジュールおよび表示装置
JP2012118235A (ja) 2010-11-30 2012-06-21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部材、光学モジュール、液晶表示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JP6215261B2 (ja) * 2014-06-27 2017-10-18 日東電工株式会社 長尺状の偏光子、長尺状の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829969B2 (ja) * 2015-09-28 2021-02-17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部材、ならびに、該光学部材を用いた偏光板のセッ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7238328B2 (ja) * 2018-01-11 2023-03-14 東洋紡株式会社 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3197A (ja) 2008-03-18 2009-10-01 Sumitomo Chemical Co Ltd 光拡散板及び積層光学部材並びに面光源装置と液晶表示装置
JP2012113294A (ja) 2010-11-02 2012-06-14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モジュールおよび表示装置
JP2016191839A (ja) 2015-03-31 2016-11-10 旭硝子株式会社 光学素子、投影装置および計測装置
JP2017097334A (ja) 2015-11-12 2017-06-01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00560A1 (ja) 2020-05-22
JP7079857B2 (ja) 2022-06-02
CN113039865A (zh) 2021-06-25
TWI801688B (zh) 2023-05-11
TW202020488A (zh) 2020-06-01
KR20210090164A (ko) 2021-07-19
JPWO2020100560A1 (ja)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4290B (zh) An optical display device having a polarizing film
JP6159290B2 (ja) 液晶パネル及び該液晶パネルに用いられる偏光子積層体
KR101927681B1 (ko) 광확산 소자 및 광확산 소자를 가진 편광판
TWI550319B (zh) An optical member, a polarizing plate group,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9329315B2 (en) Polarizing plate,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08003426A (ja) 偏光板
US20130242241A1 (en) Light diffusing film, polarizing plate with light diffusing film,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ghting equipment
JP7056152B2 (ja) 液晶表示装置
KR20230015806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장치
KR20190060685A (ko) 광학 필름과 그 제조 방법,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2457444B1 (ko)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WO2021079804A1 (ja) 光拡散フィルムおよび光拡散フィルムを備える偏光板
WO2018008523A1 (ja) 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WO2021079803A1 (ja) 賦形フィルムおよび賦形フィルムを備える光学積層体
TWI803771B (zh) 偏光板疊層以及包括其的顯示裝置
KR20230055945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장치
JP2024069339A (ja) 偏光板、偏光板のセットおよび画像表示装置
TW202323037A (zh) 偏光板以及包含其的光學顯示設備
KR20230046955A (ko)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WO2018008522A1 (ja) 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KR20130074964A (ko) 편광자 및 편광자의 제조방법
JP2017181871A (ja) 偏光板のセ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ipsモード液晶表示装置
JP2017211568A (ja) Ipsモード用の偏光板の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