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7421B1 - 작업유닛 배치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작업유닛 배치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7421B1
KR102457421B1 KR1020150047223A KR20150047223A KR102457421B1 KR 102457421 B1 KR102457421 B1 KR 102457421B1 KR 1020150047223 A KR1020150047223 A KR 1020150047223A KR 20150047223 A KR20150047223 A KR 20150047223A KR 102457421 B1 KR102457421 B1 KR 102457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unit
information
construction
arran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7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8706A (ko
Inventor
김동목
Original Assignee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filed Critical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Priority to KR1020150047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421B1/ko
Publication of KR20160118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건설현장에서 작업유닛의 배치를 최적화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설장비를 독립적으로 작업기능을 수행가능한 작업유닛 단위로 배치하기 위하여, 시공기간정보, 보유장비정보 및 현장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건설현장에 배치될 작업유닛의 종류, 배치수량 및 배치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각각의 작업유닛에게 배치위치를 포함하는 작업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작업유닛 배치장치 및 방법{PLACEMENT APPARATUS FOR CONSTRUCTION OPERATION UNIT AND METHOD THEREOF}
본 명세서의 적어도 일부의 실시예는 건설현장에서 작업유닛의 배치를 최적화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설 프로젝트는 점차 거대화, 복잡화되는 추세이고 이에 따라 기존의 인력중심에서 건설장비 중심의 산업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설 프로젝트에도 몇 가지 사항이 요구되고 있다.
먼저, 건설장비의 의존도가 증가함에 따라 건설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현장 관리자는 건설장비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또한, 건설현장은 공사의 진행과정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건설현장의 지형과 건물의 외형이 변화되고, 공사가 진척됨에 따라 인력 및 건설장비 위치가 동적으로 변화된다. 따라서, 건설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건설현장의 공사진척도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자원배치와 관리가 요구된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건설현장은 복잡하고 변화가 많다는 이유로 제한적인 관리 인력의 투입과 몇 몇 숙련된 근로자의 지휘에 따르는 기존의 재래식 관리 방법을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기계화시공에 따른 효율적 자원배치 및 현장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한편, 통신모듈을 구비한 건설장비가 늘어나고, 이러한 통신모듈을 구비한 건설장비는 이동 통신망이나 위성 통신망을 통해 관제서버 측으로 건설장비의 정보를 전송하고, 관제서버는 건설장비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따라서 원격지의 관제서버에서 건설장비의 정보 수집 및 총체적 판단이 용이하게 되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는 상기의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서 건설프로젝트에 투입된 다수의 건설장비의 배치를 최적화하고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건설장비로부터 실시간 수집한 현장정보를 반영하여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작업명령을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복수개의 액티비티를 포함하는 건설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작업유닛 배치장치는, 시공정보, 보유장비정보 및 현장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작업유닛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정보에 기초하여 건설프로젝트를 시뮬레이션한 후, 건설현장에 배치될 작업유닛의 종류, 배치수량 및 배치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각각의 작업유닛에게 배치위치를 포함하는 작업명령을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유닛은 독립적으로 작업기능을 수행하는 건설장비의 최소 구성 단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복수개의 액티비티를 포함하는 건설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작업유닛 배치장치의 배치방법은 시공정보, 보유장비정보 및 현장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시공정보, 보유장비정보 및 현장정보에 기초하여 건설프로젝트를 시뮬레이션한 후, 건설현장에 배치될 작업유닛의 종류, 배치수량 및 배치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된 작업유닛의 배치수량 및 배치위치에 따라 각각의 작업유닛에게 배치위치를 포함하는 작업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유닛은 독립적으로 작업기능을 수행하는 건설장비의 최소 구성 단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설현장에 대하여 건설장비를 유닛단위로 배치함으로써 건설 프로젝트의 실행시 유휴 장비를 최소화함으로써, 효율성과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유닛 배치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장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유닛 배치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유닛으로 분리되는 건설장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유닛 배치장치의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명세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원발명에서 사용되는 액티비티라는 용어는 건설 프로젝트의 작업분류체계의 관리 단위를 의미한다. 이러한 액티비티에 모든 리소스 즉, 장비, 인력 등을 연결하며, 모든 액티비티를 선후행 관계를 가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프로젝트가 실현되는 것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에 의하여 건설장비의 배치를 최적화하는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명세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유닛 배치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작업유닛 배치 시스템은 건설장비의 배치를 최적화하는 시스템으로서, 작업유닛 배치 시스템은 복수개의 작업유닛(100), 복수개의 작업유닛과 연결된 메인제어장치(200), 메인제어장치(200)와 이동통신망 또는 위성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작업유닛 배치장치(300) 등으로 구성된다. 복수개의 작업유닛(100)과 메인제어장치(200)를 하나의 건설장비(10)로 볼 수 있다. 다시말하면, 종래의 건설장비(10)는 복수개의 작업유닛(100)과 하나의 메인제어장치(200)로 구성된다. 복수개의 작업유닛(100)은 메인제어장치(200)와 유무선상에서 통신가능하다.
작업유닛(100)은 건설장비를 구성하는 단위가 되는 부분으로서, 각 작업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하여도 독립적으로 작업기능을 수행가능하고, 복수개의 작업유닛이 하나의 건설장비가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장비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설장비는 상부체 유닛(101)과 하부체 유닛(102)을 포함하거나,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설장비는 기본프레임 유닛(103)과 어테치먼트 유닛(104)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되돌아와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메인제어장치(200)가 각각의 작업유닛(100)들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것처럼 설명되었으나, 각각의 작업유닛(100)들로부터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으나, 작업유닛(100) 중 임의의 유닛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메인제어장치(200)는 상부체 유닛(도 2의 101)이나 기본프레임 유닛(도 2의 103)에 포함될 수 있다.
작업유닛 배치장치(300)는 하나의 건설 프로젝트에 대하여 복수개의 작업유닛 단위로 건설장비의 배치를 최적화한다. 이를 위하여, 작업유닛 배치장치(300)는 이동통신망 또는 위성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외부의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한다.
작업유닛 배치장치(300)는 작업유닛(100)들로부터 수신되는 현장정보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반영하여 시뮬레이션을 재실행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작업유닛 배치장치는 하나의 건설 프로젝트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작업유닛을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배치 최적화에 대하여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유닛 배치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작업유닛 배치장치(300)는 입력부(310), 통신부(320), 제어부(340), 데이터베이스부(360) 및 표시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10)는 입력되는 정보를 제어부(34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시공정보 등을 입력받아 제어부(340) 및/또는 데이터베이스부(360)에 전달한다.
통신부(320)는 작업유닛 배치장치(300)가 건설장비를 배치시키기 위한 시뮬레이션의 근거정보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거나,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외부 장치에 전달한다. 통신부(320)는 송수신된 정보를 제어부(340)에 전달한다.
제어부(340)는 건설장비의 배치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작업유닛 배치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340)는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건설프로젝트를 시뮬레이션한다. 또한 제어부(340)는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 건설현장에 배치될 작업유닛의 종류, 배치수량 및 배치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각각의 작업유닛에게 배치위치를 포함하는 작업명령을 전송하도록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정보처리모듈(342)은 이기종의 무선통신 장비(유닛)과 다양한 정보 획득 콘텐츠로부터 통신부(320) 및 입력부(310)를 통해 획득한 정보를 다양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간 중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정보처리모듈(342)은 복잡한 이기종 환경에서 수많은 종류의 표준화되지 않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가 말썽없이 운용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정보처리모듈(342)은 획득한 정보를 시뮬레이션 모듈에서 처리가능한 정보로 변환하여 시뮬레이션 모듈(344)에 제공한다.
시뮬레이션 모듈(344)은 정보처리모듈(342)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와 기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작업유닛의 최적의 배치를 위한 의사결정을 수행한다. 시뮬레이션 모듈(344)은 작업유닛의 최적의 배치를 위한 의사결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미리 저장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미리 저장된 알고리즘은 작업유닛의 기능, 작업유닛의 수량에 따른 처리량, 작업에 요구되는 기능 등에 관한 관계가 정립되어 있으며, 특정 정보를 입력하면 이에 따른 최적의 수행결과를 찾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알고리즘은 장비를 최적화 배치시키기 위한 각종 부하값, 가중치, 우선순위 등이 정의되어 있다. 예컨대, 정의된 값들은 작업유닛을 교체하는 횟수, 작업유닛의 수명, 장비간 사용 우선순위 등 일 수 있다.
표 1은 이러한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각각의 작업에 관한 정의를 나타낸 테이블의 일 예이다.
no. 기능 정의
1 땅을 판다 땅에서 흙을 파서 들어내다.
2 잡는다[유형] 유형의 물체(포장된 하물, 자재 등)를 붙들어 가지고 있다.
3 퍼담는다[무형] 땅과 분리되어 있는 흙 등을 퍼서 담는다.
4 올린다/내린다[수직] 유형 및 무형의 물체를 수직방향으로 올리거나 내린다
5 보관한다[담는다] 유형 및 무형의 물체를 옮기기 위해서 장비 내부에 담는다.
6 밀어버린다 고르지 못한 땅을 깎아서 반반하고 고르게 만든다.
7 파쇄한다 고정된 형태의 물체를 깨뜨려 분산된 형태로 만든다.
8 전후진한다 앞뒤로 주행한다.
9 전후진시 조향한다 전후진 주행 시에 주행 방향을 바꾼다.
10 제자리에서 작업방향을 바꾼다 장비가 주행하지 않고 정지한 상태에서 방향을 바꾼다.
11 고정한다 장비를 땅에 고정한다.
12 다진다 단단하지 못한 땅을 누르거나 쳐서 단단하게 만든다.
시뮬레이션 모듈(344)은 예컨대, 건설 프로젝트의 각 액티비티마다 수행되어야 할 작업이 정해지면, 표 1과 같은 작업 기능 테이블을 이용하여 각 작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유닛을 결정하고, 미리 정해진 작업유닛의 처리량과 입력된 처리해야할 작업량에 따라 최소 필요 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통지모듈(346)은 각 작업유닛의 작업분담이 수행되면, 각각의 유닛에게 수행하여할 작업종류, 작업영역(배치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각 유닛의 작업량 및 작업순서를 결정하여, 위치이동을 포함하는 작업명령을 지시하기 위하여, 해당 유닛과 연결된 메인제어장치(200)에 정보를 전송한다.
실시간 감시모듈(348)은 각 작업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예컨대 위치정보와 지형정보를 확인하여 현장정보를 갱신하고, 작업변경이 필요한지 판단하여, 작업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시뮬레이션 모듈(344)에 갱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시뮬레이션의 재실행을 요청한다.
시뮬레이션 모듈(344)은 시뮬레이션의 재실행이 요청되면 갱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이전 결과와 변경된 결과가 도출된 경우, 해당 작업유닛에게 작업변경에 따른 작업명령을 전송한다.
각 모듈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능으로 분류하였지만 하나의 모듈로 수행되거나 다른 방법으로 통합되어도 좋다.
데이터베이스부(360)는 시공정보데이터베이스(362), 보유장비정보데이터베이스(364) 및 현장정보데이터베이스(366)를 포함할 수 있다.
시공정보DB(362)는 시공업체정보, 시공부지, 공사기간, 착수일, 완료일, 작업기간 등의 시공일정, 시공법, 시공계획 등의 공사계획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유장비정보DB(364)는 보유장비를 작업유닛 단위로 종류별 수량, 종류, 각각의 ID, 각각의 사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현장정보DB(366)는 수치지도와 같은 현장도면, 현장 지형정보, 법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치지도는 지표면, 지하, 수중 및 공간의 위치와 지형 지물 및 지명 등의 각종 지형공간정보를 전산시스템을 이용하여 일정한 축적에 의하여 디지털 형태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수치지도는 국토지리정보원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작업정보DB(368)는 제어부(340)에 의해 생성된 중간정보인 시뮬레이션 결과, 배치정보 등의 최종정보가 저장된다.
표시부(380)는 제어부(430)의 지시에 따라 임의의 정보 예컨대 시뮬레이션 결과, 데이터베이스의 정보 조회결과 등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표시부(380)는 작업유닛 배치장치(300)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380)와 입력부(310)가 터치패드와 같은 일체형일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유닛으로 분리되는 건설장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건설장비(10)는 복수개의 작업유닛 예컨대 두 개의 작업유닛(100#1, 100#2)과 하나의 메인제어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유닛(100)은 정보획득부(110)와, 통신인터페이스부(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정보획득부(110)는 카메라 또는 레이저 스캐너를 포함하는 시각센서, 각도센서, GPS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작업유닛(100)은 정보획득부(110)를 통해 작업유닛의 현재상태 정보, 지형정보,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작업유닛(100)은 통신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메인제어장치(2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획득한 현재상태정보, 지형정보, 위치정보 등을 메인제어장치(200)에 전달한다.
각각의 작업유닛에는 각각의 ID가 부여되어 있으며, 작업유닛(100)이 정보를 전송할 때, 자신의 ID를 함께 전송한다.
메인제어장치(200)는 통신부(210)와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제어장치(200)의 통신부(210)는 작업유닛 배치장치(300) 및 각각의 작업유닛과 정보를 송수신한다.
메인제어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작업유닛 배치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작업명령을 해당 작업유닛에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230)는 작업유닛(100)으로부터 전달받은 작업유닛의 현재상태정보, 지형정보 및 위치정보를 작업유닛 배치장치(300)에 전달한다.
다른 변형예에서 메인제어장치(200)는 작업유닛 배치장치(300)로부터 수신받은 작업명령의 변경이 필요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메인제어장치(200)는 작업유닛 배치장치(300)로부터 수신받은 작업명령을 각각의 작업유닛으로부터 전달받은 작업유닛의 현재상태정보 및 지형정보,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나는지 확인하여,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작업명령의 변경을 작업유닛 배치장치(300)에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업명령의 변경을 요청하는 정보를 수신받은 작업유닛 배치장치(300)는 상기 수신받은 작업유닛의 위치정보 및 지형정보에 기초하여 작업변경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고, 상기 작업변경이 필요한 경우, 갱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시뮬레이션을 재실행하여야 한다. 작업유닛 배치장치(300)는 재실행된 결과에 따른 변경된 배치위치를 메인제어장치(200)를 통해 각각의 작업유닛에게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유닛 배치장치의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작업유닛 배치장치는 시공기간정보, 보유장비정보 및 현장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한다(S410).
작업유닛 배치장치는 시공정보, 보유장비정보 및 현장정보에 기초하여 건설프로젝트를 시뮬레이션한 후, 건설현장에 배치될 작업유닛의 종류, 배치수량 및 배치위치를 결정한다(S420).
작업유닛 배치장치는 시뮬레이션 이전 각각의 액티비티 마다 요구되는 기능 및 작업량을 설정한다. 설정된 기능 및 작업량을 처리할 수 있는 작업유닛의 종류 및 수량을 결정하고, 미리 저장된 시뮬레이션 알고리즘에 따라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잉여 작업유닛이 있는지 더 추가할 작업유닛이 있는지 등을 확인하여, 최종 작업유닛의 종류, 배치위치, 배치수량을 파악한다.
작업유닛 배치장치는 결정된 작업유닛의 배치수량 및 배치위치에 따라 각각의 작업유닛에게 배치위치를 포함하는 작업명령을 전송한다(S430).
작업유닛 배치장치는 상기 작업명령에 따라 배치위치로 이동한 작업유닛으로부터 위치정보 및 지형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진행정보를 수신받는다(S440).
작업유닛 배치장치는 수신받은 작업유닛의 위치정보 및 지형정보에 기초하여 작업변경이 필요한지를 판단한다(S450).
단계450에서 작업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단계 420으로 되돌아 가서, 갱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시뮬레이션을 재실행하고, 재실행된 결과에 따른 변경된 배치위치를 각각의 작업유닛에게 전송한다.
작업변경이 필요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결정된 작업유닛의 배치위치와 저장된 현장정보에 포함된 현장의 지형정보를 상기 작업유닛으로부터 수신받은 위치정보 및 지형정보와 비교하여 그 차이가 미리 정한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작업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단계450에서 작업변경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작업이 종료되었는지 확인하고, 작업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 단계 440으로 되돌아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작업유닛 배치장치가 작업유닛으로부터 수신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변경이 필요한지 아닌지를 판단한 후에 시뮬레이션을 재실행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작업유닛 배치장치는 작업유닛으로부터 정보를 수신받으면 실시간 또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시뮬레이션을 재실행할 수 있다. 이렇게 시뮬레이션을 재실행하는 경우, 해당 액티비티에 한정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해당 액티비티란 갱신된 정보를 제공한 작업유닛이 포함된 액티비티를 의미한다.
표 2는 동일한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각각의 액티비티 마다 건설장비 단위와 작업유닛 단위로 배치를 수행한 결과에 대한 예를 보여주기 위한 테이블이다.
액티비티A 액티비티B 액티비티C 총합(total)
건설장비 단위 굴삭기 : 5대
불도저 : 5대
휠로더 : 1대
트럭 : 20대
굴삭기 : 15대
불도저 : 1대
휠로더 : 20대
트럭 : 10대
굴삭기 : 1대
불도저 : 15대
휠로더 : 10대
트럭 : 20대
굴삭기 : 15대
불도저 : 15대
휠로더 : 20대
트럭 : 20대
작업유닛 단위
굴삭유닛 : 5대
도징유닛 : 5대
크롤러 유닛 : 10대
로딩 유닛 : 1대
운반 유닛 : 20대
휠 유닛 : 21대
굴삭유닛 : 15대
도징유닛 : 1대
크롤러 유닛 : 16대
로딩 유닛 : 20대
운반 유닛 : 10대
휠 유닛 : 30대
굴삭유닛 : 1대
도징유닛 : 15대
크롤러 유닛 : 16대
로딩 유닛 : 10대
운반 유닛 : 20대
휠 유닛 : 30대
굴삭유닛 : 15대
도징유닛 : 15대
크롤러 유닛 : 16대
로딩 유닛 : 20대
운반 유닛 : 20대
휠 유닛 : 30대
표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설 프로젝트에 대하여 건설장비 단위로 배치를 수행하였을 때 액티비티 A 단계에서는 굴삭기가 5대, 불도저가 5대, 휠로더가 1대, 트럭이 20대가 필요하고, 액티비티 B 단계에서는 굴삭기가 15대, 불도저가 1대, 휠로더가 2대, 트럭이 10대가 필요하며, 액티비티 C 단계에서는 굴삭기가 1대, 불도저가 15대, 휠로더가 10대, 트럭이 20대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건설프로젝트의 액티비티 ABC를 수행하기 위하여, 굴삭기 15대, 불도저 15대, 휠로더 20대, 트럭 20대가 있어야만 한다. 총 70대의 건설장비가 필요하게 된다.
반면, 굴삭기는 굴삭유닛과 크롤러유닛으로 분리되고, 불도저는 도징유닛과 크롤러유닛으로 분리되고, 휠로더는 로딩 유닛과 휠 유닛으로 분리되며, 트럭은 운반 유닛과 휠유닛으로 분리된다고 가정하여, 건설 프로젝트에 대하여 건설장비의 작업유닛 단위로 배치를 수행하면, 액티비티 A 단계에서는 굴삭유닛 5대, 도징유닛 5대, 크롤러유닛 10대, 로딩유닛 1대, 운반 유닛 20대 휠유닛 21대가 필요하고, 액티비티 B 단계에서는 굴삭유닛 15대, 도징유닛 1대, 크롤러유닛 16대, 로딩유닛 20대 운반유닛 10대, 휠유닛 30대가 필요하며, 액티비티 C 단계에서는 굴삭유닛 1대, 도징유닛 15대, 크롤러유닛 16대, 로딩유닛 10대, 운반유닛 20대, 휠유닛 30대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건설프로젝트의 액티비티 ABC를 수행하기 위하여, 굴삭유닛 15대, 도징유닛 15대, 크롤러 유닛 16대, 로딩유닛 20대, 운반유닛 20대, 휠유닛 30대가 필요하게 된다. 총 116유닛(58세트)가 필요하게 된다.
즉, 작업유닛 단위로 배치하는 것이 건설장비 단위의 배치에 비하여 자원의 효율성이 증대된다. 이러한 작업유닛 단위의 배치는 액티비티의 단계가 많아질 수록, 각 액티비티별 건설장비 종류별 수량차이가 심한 경우,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난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명세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명세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작업유닛
200 : 메인제어장치
300 : 작업유닛 배치장치
310 : 입력부
320 : 통신부
340 : 제어부
360 : 데이터베이스부
380 : 표시부

Claims (7)

  1. 복수개의 액티비티를 포함하는 건설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작업유닛 배치장치로서,
    시공정보, 보유장비정보 및 현장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작업유닛과 연결된 메인제어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정보에 기초하여 건설프로젝트를 시뮬레이션한 후, 작업유닛 단위로, 건설현장에 배치될 작업유닛의 종류, 배치수량 및 배치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각각의 작업유닛과 연결된 메인제어장치에게 배치위치를 포함하는 작업명령을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유닛은 독립적으로 작업기능을 수행하는 건설장비의 최소 구성 단위로써, 상기 건설장비는 복수의 작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작업유닛은 건설장비의 어태치먼트, 기본프레임, 상부체 및 하부체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유닛 배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명령에 따라 배치위치로 이동한 작업유닛과 연결된 메인제어장치로부터 위치정보 및 지형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받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시뮬레이션을 재실행하고, 재실행된 결과에 따라 배치위치의 변경이 있는 경우, 변경된 배치위치를 각각의 작업유닛과 연결된 메인제어장치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유닛 배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액티비티 마다 요구되는 기능 및 작업량을 설정하고, 미리 저장된 시뮬레이션 알고리즘에 따라 설정된 기능 및 작업량을 처리할 수 있는 작업유닛의 종류 및 수량을 결정하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유닛 배치장치.
  4. 삭제
  5. 복수개의 액티비티를 포함하는 건설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작업유닛 배치장치의 작업유닛 배치 방법으로서,
    시공정보, 보유장비정보 및 현장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시공정보, 보유장비정보 및 현장정보에 기초하여 건설프로젝트를 시뮬레이션한 후, 작업유닛 단위로, 건설현장에 배치될 작업유닛의 종류, 배치수량 및 배치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작업유닛의 배치수량 및 배치위치에 따라 각각의 작업유닛과 연결된 메인제어장치에게 배치위치를 포함하는 작업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유닛은 독립적으로 작업기능을 수행하는 건설장비의 최소 구성 단위로써, 상기 건설장비는 복수의 작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작업유닛은 상기 건설장비의 어태치먼트, 기본프레임, 상부체 및 하부체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유닛 배치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명령에 따라 배치위치로 이동한 작업유닛과 연결된 메인제어장치로부터 위치정보 및 지형정보를 수신받는 단계;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시뮬레이션을 재실행하는 단계; 및
    재실행된 결과에 따른 변경된 배치위치를 각각의 작업유닛과 연결된 메인제어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작업유닛 배치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프로젝트를 시뮬레이션한 후, 건설현장에 배치될 작업유닛의 종류, 배치수량 및 배치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각각의 액티비티 마다 요구되는 기능 및 작업량을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기능 및 작업량을 처리할 수 있는 작업유닛의 종류 및 수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미리 저장된 시뮬레이션 알고리즘에 따라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유닛 배치 방법.

KR1020150047223A 2015-04-03 2015-04-03 작업유닛 배치장치 및 방법 KR102457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223A KR102457421B1 (ko) 2015-04-03 2015-04-03 작업유닛 배치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223A KR102457421B1 (ko) 2015-04-03 2015-04-03 작업유닛 배치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706A KR20160118706A (ko) 2016-10-12
KR102457421B1 true KR102457421B1 (ko) 2022-10-21

Family

ID=57173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7223A KR102457421B1 (ko) 2015-04-03 2015-04-03 작업유닛 배치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74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049B1 (ko) * 2017-12-14 2019-05-31 현대건설주식회사 건설장비 대기시간 최소화를 위한 최적조합 도출 방법 및 그 장치
CN114746879A (zh) * 2019-11-18 2022-07-12 现代斗山英维高株式会社 工程机械的作业计划创建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5626A (ja) * 2009-08-20 2011-03-31 Mitsubishi Heavy Ind Ltd プラントの建設計画支援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8968A (ko) * 2007-09-17 2009-03-20 전자부품연구원 건설기계의 원격조종 시스템
KR100981557B1 (ko) * 2008-08-28 2010-09-1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굴삭기의 굴삭위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5626A (ja) * 2009-08-20 2011-03-31 Mitsubishi Heavy Ind Ltd プラントの建設計画支援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706A (ko) 201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2509B1 (en) Method of controlling machines at a worksite
US201503768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chine Synchronization
US9563867B2 (en) System for allocating and monitoring machines
US201503794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ask Driven Operations for Construction Machines
CN112218987A (zh) 管理物料搬运生产率
US20210216889A1 (en) Predicting Worksite Activities of Standard Machines Using Intelligent Machine Data
US20210256457A1 (en)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and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US20210097458A1 (en) Determination of a lift count metric
US20220180292A1 (en) Skill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and skill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KR102457421B1 (ko) 작업유닛 배치장치 및 방법
CA3240242A1 (en) Machine management based on battery status
JP2022550761A (ja) 統合生産測定基準の決定
US1176117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building a pad
US20230251638A1 (en) Management systems for evaluation and continuous improvement of workflows involving heavy-duty vehicles
JP7293822B2 (ja) 技能評価システム及び技能評価方法
CN116927498A (zh) 一种整平机器人地面整平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