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6551B1 - 정착형 방틀 - Google Patents

정착형 방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6551B1
KR102456551B1 KR1020200183282A KR20200183282A KR102456551B1 KR 102456551 B1 KR102456551 B1 KR 102456551B1 KR 1020200183282 A KR1020200183282 A KR 1020200183282A KR 20200183282 A KR20200183282 A KR 20200183282A KR 102456551 B1 KR102456551 B1 KR 102456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ong
gak
perforated plate
room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1985A (ko
Inventor
양소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원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원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원이엔씨
Priority to KR1020200183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551B1/ko
Publication of KR20220091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1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 호안, 자연형 하천 조성, 하천 세굴 방지 시설, 호소 수변 보호 시설, 해안 침식 방지공 및 방파공 관련 공사 등에 사용되는 방틀에 관한 것으로, 목제(木製) 각봉(角棒)을 적층 결합하여 장방형 평면의 방틀을 구성하되, 방틀 하단부에 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형성하고 돌출부가 배후 지반에 매설되도록 함으로써, 방틀이 지반에 견고하게 정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방틀의 정위치 이탈 및 망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방틀이 적용된 하천변 시설물의 구조적 안정성 및 내구성을 제고하고, 하천 시설물의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착형 방틀{FIXATION TYPE CRIB}
본 발명은 하천 호안, 자연형 하천 조성, 하천 세굴 방지 시설, 호소 수변 보호 시설, 해안 침식 방지공 및 방파공 관련 공사 등에 사용되는 방틀에 관한 것으로, 목제(木製) 각봉(角棒)을 적층 결합하여 장방형 평면의 방틀을 구성하되, 방틀 하단부에 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형성하고 돌출부가 배후 지반에 매설되도록 함으로써, 방틀이 지반에 견고하게 정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방부처리된 목제 각봉이 평면상 장방형으로 적층 결합되어 구성되는 방틀은 내부에 쇄석 및 자갈 등의 입상체가 충전되고 상면에는 식생롤(植生roll) 등의 식생재가 배치되어 하천, 호소 및 해안 등의 수변에 주로 설치되며, 호안 및 식생촉진은 물론 내부에 충전된 입상체의 접촉산화 작용을 통한 수질 정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관련 종래기술로는 특허 제1215823호 등을 들 수 있다.
특허 제1215823호를 비롯한 종래의 방틀은 전체적으로 단순 직육면체 구조를 가지며, 일부 계단형 구조의 방틀도 사용되고는 있으나 전체적으로 지반에 거치 또는 부분 매설되는 부분은 평면 및 횡단면 공히 사각형 형태가 조성된다.
즉, 종래의 방틀은 내부에 입상체가 충전되어 중량이 확보된 직육면체 중량체로서, 하천변 등 설치 지점 지면에 단순 거치되거나, 하단부 일부가 부분 매설되는 형태로 시공되며, 따라서 수류(水流)에 의한 충격 또는 배후 지반에 의한 토압에 자중(自重)으로 저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하천 수위 및 유량과 배후 지반의 함수율이 비약적으로 상승하는 홍수기에 방틀이 정위치를 이탈하여 망실되거나, 반복되는 충격 및 진동에 의하여 내부 충전물이 유실되고 방틀 구조체가 파손되는 사고가 빈발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막대한 복구 및 보수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수변 시설물인 방틀의 특성상 방틀 하부 지반의 토사가 세굴될 경우 방틀의 지지 구조가 완전히 해체될 수 밖에 없었으며, 이는 방틀의 유실 및 해당 천변 구조물의 와해 뿐 아니라 배후 지반의 붕괴를 초래하여 주변 지역에 심각한 피해가 불가피한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방틀의 견고한 정착이 가능하도록 창안된 것으로, 다수의 각봉이 적층 결합되는 방틀에 있어서, 방틀의 상단부는 직사각형 평면 형상을 가지되, 직사각형의 장변에는 장각봉(10)이 설치되며 단변에는 단각봉(20)이 설치되고, 다수의 장각봉(10) 및 단각봉(20)이 적층되어 방틀을 구성하며, 방틀의 하단부에는 상기 단각봉(20)과 평행한 장각봉(10)이 다수 설치되되 방틀 하단의 장각봉(10)은 평면상 방틀 배후측으로 돌출되고, 방틀 하단 장각봉(10)의 방틀 배후측 돌출부 말단부 상면에는 상기 단각봉(20)과 직교하는 방향의 장각봉(10)이 결속되어, 방틀 하단 장각봉(10)의 돌출부가 방틀 배후 지반에 매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형 방틀이다.
또한, 상기 방틀 하단 장각봉(10)의 방틀 배후부 돌출부 상면에는 다수의 통수공(31)이 천공된 다공판(30)이 적층되고, 다공판(30)의 상면에는 상기 단각봉(20)과 직교하는 방향의 장각봉(10)이 결속되어, 다공판(30)이 방틀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형 방틀이다.
또한, 상기 다공판(30)은 직각 절곡된 판체로서 수평부와 수직부로 구성되되, 수평부와 수직부 모두에 밀착되도록 장각봉(10)이 결합되고, 일단이 방틀 상부 단각봉(20) 후단에 결속된 지지선(40)의 타단에는 후크(41)가 장착되고, 후크(41)는 다공판(30) 상단부의 통수공(31)에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형 방틀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방틀의 정위치 이탈 및 망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방틀이 적용된 하천변 시설물의 구조적 안정성 및 내구성을 제고하고, 하천 시설물의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하천 횡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 대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공판 적용 실시예 사시도
도 6은 도 5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절곡 다공판 적용 실시예 사시도
도 8은 도 7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7 실시예의 설치상태 대표 단면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 방틀이 적용되어 조성된 자연형 하천의 횡단면을 예시한 것으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틀의 전면부(前面部)는 하천 수면과 접하고, 방틀의 배후부는 육상측 지반에 접하게 된다.
또한, 방틀 하단에는 방틀 배후의 육상측으로 돌출된 장각봉(10)이 형성되어, 돌출 부위가 방틀 배후 지반에 매설되면서, 방틀이 설치 지점에 견고하게 정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방틀은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다수의 각봉이 적층 결합되는 방틀로서, 방틀의 상단부는 직사각형 평면 형상을 가지되, 직사각형의 장변에는 장각봉(10)이 설치되며 단변에는 단각봉(20)이 설치되고, 다수의 장각봉(10) 및 단각봉(20)이 적층되어 방틀을 구성되며, 방틀의 하단부에는 상기 단각봉(20)과 평행한 장각봉(10)이 다수 설치되되 방틀 하단의 장각봉(10)은 평면상 방틀 배후측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틀은 도 2에서와 같이, 전체적인 기본 형상은 직육면체 하단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계단 형상을 가지나, 돌출 부위는 입상체 또는 식생재가 설치되지 않고 지반에 매설되는 부위로서, 방틀이 계획 지점에 설치된 완공 상태에서 상기 돌출 부위는 은폐되고 방틀 상부의 단순 직육면체 부분만 노출된다.
이렇듯 완공상태에서 상측으로 노출되는 직육면체 부분 즉, 방틀의 상단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평면상 장변과 단변의 길이차가 확연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이 직사각형 평면에 있어서 장변을 구성하는 부재로서 장각봉(10)이 적용되고 단변을 구성하는 부재로서 단각봉(20)이 적용된다.
이러한 장각봉(10)과 단각봉(20)의 적층 결합은 도 3에서와 같이, 기본적으로 장각봉(10)의 말단부와 단각봉(20)의 말단부에 수직 결속봉(90)이 결합되고, 결속봉(90)의 말단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암나사가 결합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방틀 하단 장각봉(10)의 방틀 배후측 돌출부 말단부 상면에는 상기 단각봉(20)과 직교하는 방향의 장각봉(10)이 결속되어, 방틀 배후측 돌출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장각봉(10) 말단부가 상호 견고하게 결속된다.
특히, 이러한 본 발명 방틀의 배후측 돌출부 형성은 별도의 새로운 규격의 부재가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방틀을 구성하는 장각봉(10)과 단각봉(20)만을 활용하여, 이들의 배치를 조절함으로써 구현 가능한 것으로서, 제조 과정상 일체의 신규 내지 특수 공정이 요구되지 않을 뿐 아니라, 자재의 수급에 있어서도 일체의 변동이 초래되지 않는다.
결국, 본 발명의 방틀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방틀 하단 장각봉(10)의 육상측 돌출부가 방틀 배후 지반에 매설되어 일종의 앵커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로써 방틀 배후 육상부 지반의 토압에 대한 효과적인 저항이 가능할 뿐 아니라, 하천 수위 및 유량 상승시 초래되는 부압(浮壓)에도 효과적인 저항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방틀 하단의 배후측 돌출부를 형성하는 장각봉(10)의 말단 상면에 결합되는 장각봉(10)이 일종의 활동(sliding) 방지 키(key)로서 거동함에 따라 배후 토압에 대한 저항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홍수기 유량 증가에 따라 방틀 전방 하상 또는 방틀 직하부 하상이 세굴되는 상황에서도 방틀 배후 돌출부가 지반에 견고하게 정착됨에 따라 방틀의 이동 및 붕괴를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 방틀 배후 돌출부의 부압 저항 효과를 극대화한 것으로, 돌출부 상부 토사의 자중이 충실히 작용할 수 있도록 배후 돌출부 장각봉(10) 상면에 다공판(30)을 설치한 것이다.
즉,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방틀 하단 장각봉(10)의 방틀 배후부 돌출부 상면에는 다수의 통수공(31)이 천공된 다공판(30)이 적층되고, 다공판(30)의 상면에는 상기 단각봉(20)과 직교하는 방향의 장각봉(10)이 결속되어, 다공판(30)이 방틀에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다공판(30)은 통상의 금속제 다공판(30)이 적용될 수 있으며, 다공판(30)과 방틀 하단 돌출부 장각봉(10)간의 결속은 도 6에서와 같이, 장각봉(10)간 결합을 위한 결속봉(90)에 다공판(30)의 통수공(31)이 결합되도록 다공판(30)을 거치한 상태에서, 다공판(30) 상부에 장각봉(10)을 결합하는 조치만으로 수행 가능하다.
다공판(30)의 통수공(31)은 다공판(30) 상부 토사내 공극수의 원활한 이동을 보장하여 방틀 배후 지반의 배수에 장애가 유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로써 해당 지반내 지하수에 의한 부압은 억제하면서도 상부 토사의 자중을 통한 정착 효과는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9는 다공판(30)에 의한 정착 효과와 함께, 전술한 방틀 배후 돌출부에 의한 활동 방지 키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실시예로서, 직각 절곡되어 수평부와 수직부를 형성하는 다공판(30)을 적용하고, 다공판(30) 상단부와 방틀 상부를 긴장 상태의 지지선(40)으로 결속한 것이다.
즉, 도 7에서와 같이, 다공판(30)은 직각 절곡된 판체로서 수평부와 수직부로 구성되되, 도 8에서와 같이 다공판(30)의 절곡부위에 장각봉(10)의 모서리가 밀착되어, 장각봉(10)이 다공판(30)의 수평부와 수직부 모두에 밀착되도록 결합되고, 일단이 방틀 상부 단각봉(20) 후단에 결속된 지지선(40)의 타단에는 후크(41)가 장착되고, 후크(41)는 다공판(30) 상단부의 통수공(31)에 체결되는 것이다.
여기서 지지선(40)은 직각 절곡된 판체인 다공판(30)의 수직부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하는 긴장재로서, 이렇듯 다공판(30)의 수직부가 지지선(40)에 의하여 지지되어 수직 기립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도 9에서와 같이, 방틀의 전방측 즉, 하천측의 활동이 일층 견고하게 억제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직각 절곡 다공판(30)을 방틀에 고정함에 있어서, 전술한 다공판(30) 수평부 통수공(31)의 결속봉(90) 결합과 함께, 도 7에서와 같이, 다공판(30) 수직부 상단부의 통수공(31)이 지지선(40) 말단의 후크(41)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복잡한 결속 금구의 도입 또는 결속 공정의 수행 없이도 간편하고 신속한 방틀 및 다공판(30)간 조립이 가능하다.
10 : 장각봉
20 : 단각봉
30 : 다공판
31 : 통수공
40 : 지지선
41 : 후크
90 : 결속봉

Claims (3)

  1. 삭제
  2. 다수의 각봉이 적층 결합되는 방틀로서, 방틀의 상단부는 직사각형 평면 형상을 가지되, 직사각형의 장변에는 장각봉(10)이 설치되며 단변에는 단각봉(20)이 설치되고, 다수의 장각봉(10) 및 단각봉(20)이 적층되어 방틀을 구성하며, 방틀의 하단부에는 상기 단각봉(20)과 평행한 장각봉(10)이 다수 설치되되 방틀 하단의 장각봉(10)은 평면상 방틀 배후측으로 돌출되고, 방틀 하단 장각봉(10)의 방틀 배후측 돌출부 말단부 상면에는 상기 단각봉(20)과 직교하는 방향의 장각봉(10)이 결속되어, 방틀 하단 장각봉(10)의 돌출부가 방틀 배후 지반에 매설되는 정착형 방틀에 있어서,
    상기 방틀 하단 장각봉(10)의 방틀 배후부 돌출부 상면에는 다수의 통수공(31)이 천공된 다공판(30)이 적층되고, 다공판(30)의 상면에는 상기 단각봉(20)과 직교하는 방향의 장각봉(10)이 결속되되, 장각봉(10)간 결합을 위한 결속봉(90)에 다공판(30)의 통수공(31)이 결합되도록 다공판(30)이 거치된 상태에서, 다공판(30) 상부에 장각봉(10)이 결합됨으로써 다공판(30)이 방틀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형 방틀.
  3. 청구항 2에 있어서,
    다공판(30)은 직각 절곡된 판체로서 수평부와 수직부로 구성되되, 수평부와 수직부 모두에 밀착되도록 장각봉(10)이 결합되고, 일단이 방틀 상부 단각봉(20) 후단에 결속된 지지선(40)의 타단에는 후크(41)가 장착되고, 후크(41)는 다공판(30) 상단부의 통수공(31)에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형 방틀.
KR1020200183282A 2020-12-24 2020-12-24 정착형 방틀 KR102456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282A KR102456551B1 (ko) 2020-12-24 2020-12-24 정착형 방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282A KR102456551B1 (ko) 2020-12-24 2020-12-24 정착형 방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985A KR20220091985A (ko) 2022-07-01
KR102456551B1 true KR102456551B1 (ko) 2022-10-20

Family

ID=82397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282A KR102456551B1 (ko) 2020-12-24 2020-12-24 정착형 방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65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0280A (ja) * 2003-03-07 2004-09-30 Katsu Sakai 擁壁ブロック
KR100770162B1 (ko) * 2007-08-13 2007-10-25 (주)우주엔지니어링 환경보호 생태복원 식생블록 설치구조
KR100886736B1 (ko) * 2008-06-05 2009-03-04 (주)에코원 식생 적층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0280A (ja) * 2003-03-07 2004-09-30 Katsu Sakai 擁壁ブロック
KR100770162B1 (ko) * 2007-08-13 2007-10-25 (주)우주엔지니어링 환경보호 생태복원 식생블록 설치구조
KR100886736B1 (ko) * 2008-06-05 2009-03-04 (주)에코원 식생 적층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985A (ko) 202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7150A (en) Method of constructing a seawall reinforcement or jetty structure
EP0583500B1 (en) Erosion protection device
KR102456551B1 (ko) 정착형 방틀
KR101160882B1 (ko) 환경친화형 호안블록을 이용한 법면 시공방법
KR100282982B1 (ko) 소파블럭을 이용한 호안축조공법
JP3063057B2 (ja) 生態系保全用連結ブロック護岸
KR200284980Y1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조립부비노출형호안블록
KR200268968Y1 (ko) 하천 시공용 다기능블록
KR200356111Y1 (ko) 호안블록
KR100406812B1 (ko) 격자형 망태블럭
KR20030079391A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 호안블록
KR102244753B1 (ko) 친환경 목재 옹벽
KR200408221Y1 (ko) 친환경적인 하천 호안 시설물
KR100654304B1 (ko) 친환경적인 하천 호안 시설물
KR101185998B1 (ko) 해수유통구가 형성된 호안블럭의 시공방법
CN217378757U (zh) 一种水利工程抗渗防洪堤
KR100478158B1 (ko) 에코투인박스
KR200236316Y1 (ko) 호안블럭의 구조
CN217378752U (zh) 一种格坝型堤脚防冲结构
KR200250172Y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세트
KR102231712B1 (ko) 목재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CN216892230U (zh) 榫卯式多功能生态砌块护岸
KR100927451B1 (ko) 링크식 방목틀
KR200247956Y1 (ko) 지지홀을 가지는 호안블록의 구조
KR100433498B1 (ko) 인공어초 기능을 가진 호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