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6270B1 - 비천연 아미노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천연 아미노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6270B1
KR102456270B1 KR1020200123047A KR20200123047A KR102456270B1 KR 102456270 B1 KR102456270 B1 KR 102456270B1 KR 1020200123047 A KR1020200123047 A KR 1020200123047A KR 20200123047 A KR20200123047 A KR 20200123047A KR 102456270 B1 KR102456270 B1 KR 102456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rcopenia
leu
leucine
myostatin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5758A (ko
Inventor
김현수
심재호
Original Assignee
마이오텍사이언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오텍사이언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마이오텍사이언스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0/01299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060884A1/ko
Priority to US17/763,463 priority patent/US20220354817A1/en
Publication of KR20210035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5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천연 아미노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비천연 아미노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arcopenia comprising non-natural amino acids derivatives}
본 발명은 비천연 아미노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근감소증의 개념은 1989년 Irwin Rosenberg가 'sarcopenia'라는 용어를 도입하면서 시작된 것으로, 그리스어에서 기원을 보면 근육을 의미하는 “sarco”와 감소되어 있다는 뜻의 “penia”가 합성된 단어이다. 근감소증은 노화와 연관되어 근육량의 감소에 따른 근력의 저하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근육(muscle)” 이란 골격근(skeletal muscle)을 의미하고 평활근(smooth muscle)과는 관계가 없다. 즉, 근감소증은 주로 사지에 분포한 골격근의 감소(loss of skeletal muscle mass)를 의미하며, 악성종양의 말기 등에서 나타나는 현저한 근육 소실 상태인 악액질(cachexia), 독감 등 급성질병으로 인한 근육소모(muscle wasting), 혹은 근육자체의 질병(primary muscle disease)과는 구별된다.
최근 65세 이상의 고령의 연령층이 가파르게 증가하면서 골다공증과 근감소증의 유병률도 빠르게 증가되고 있다. 근육량의 점진적인 감소는 40대 이후부터 발생하여 70대까지 매10년마다 8%씩의 감소가 일어난다고 추정되며, 그 이후로는 더욱 급격한 감소가 발생하여 10년마다 15%까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많은 추적 연구를 통해서 노인에서 발생하는 생리적 변화는 다양하며, 일반적으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근육량과 골밀도가 동시에 감소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한편, 근감소증의 치료방법으로 크게 3가지를 들 수가 있다. 첫 번째는 운동이다. 운동은 단기적으로 골격근의 단백질 합성 능력을 증가시키며, 노인들의 근육의 힘이나 운동성을 증가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장기적 치료방법에 부적절하다. 두 번째는 약물치료로서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또는 아나볼릭 스테로이드(anabolic steroid)의 사용이 가능하나 이는 여성에게는 남성화를 유도하며, 남성의 경우 전립선 증상(prostate symptoms) 등 부작용을 나타낸다. 다른 승인된 처방법으로 DHEA(dehydroepiandrosterone) 와 성장 호르몬이 있는데 SARMs(Selective Androgen Receptor Modulators)을 포함하는 부위에서 치료법으로 가능하다는 연구가 보고된 바 있다. 또한, 식이요법이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지만 영양평가에 의하면 영양실조나, 현대 식습관은 적당한 총체질량(total body mass)을 유지하기 위해 부적절하다.
마이오스타틴(myostatin)은 TGF-β의 superfamily군에 속하는 폴리펩타이드(polypeptide) 성장인자이다. TGF-β는 다량의 이소폼(isoform)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세포의 증식(proliferation), 세포사멸(apoptosis), 분화, 뼈의 형성 및 유지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assague & Chen, 2000). 마이오스타틴은 그 중 growth differentiation factor(GDF) 8번에 속하며, 조직의 성장 및 발달에 관여하고, Smad 신호 전달계를 활성화시켜 작용한다. 또한, p21 유전자에 의해 세포주기 및 전구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여 골 형성 및 재생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마이오스타틴은 주로 골격근세포에서 생성되어 자가분비 방식으로 근육 소실 및 근력 감소를 야기하며, 근 비대에 관여하는 IGF-1이나 Follistatin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근아세포(myoblast)에서의 단백질 합성 및 세포 증식을 억제한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 공개특허공보 제2005-7011611호 (2005.09.14.)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근육 소실 및 근력 감소를 야기하는 마이오스타틴 발현 및 프로모터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근감소증을 치료할 수 있는 물질을 발굴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비천연 아미노산 유도체 마이오스타틴 단백질의 생산 및 mRNA 발현의 증가를 억제하여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천연 아미노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1 내지 19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또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19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및 X2 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비천연 아미노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20101271750-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20101271750-pat00002
[화학식 3]
Figure 112020101271750-pat00003
[화학식 4]
Figure 112020101271750-pat00004
[화학식 5]
Figure 112020101271750-pat00005
[화학식 6]
Figure 112020101271750-pat00006
[화학식 7]
Figure 112020101271750-pat00007
[화학식 8]
Figure 112020101271750-pat00008
[화학식 9]
Figure 112020101271750-pat00009
[화학식 10]
Figure 112020101271750-pat00010
[화학식 11]
Figure 112020101271750-pat00011
[화학식 12]
Figure 112020101271750-pat00012
[화학식 13]
Figure 112020101271750-pat00013
[화학식 14]
Figure 112020101271750-pat00014
[화학식 15]
Figure 112020101271750-pat00015
[화학식 16]
Figure 112020101271750-pat00016
[화학식 17]
Figure 112020101271750-pat00017
[화학식 18]
Figure 112020101271750-pat00018
[화학식 19]
Figure 112020101271750-pat00019
(여기서,
R1은 수소, C1-C10의 카복시산, C1-C10의 알킬기, C1-C10의 아민, C1-C10의 알코올, 구아니딘, 페닐, 페놀, 인돌 또는 이미다졸이고,
R2는 수소, C1-C10의 알킬기, C1-C10의 아릴 알킬기 또는 D-글루코오스이고,
R3은 t-부틸 카바메이트, 벤질 카바메이트, 9-플루오레닐메틸 카바메이트, 아민기, 에스터기 또는 아세트아마이드이고,
X1는 N, O, P, S, OH 또는 NH2이며,
X2는 Cl-, Br-, I-, p-톨루엔설포네이트, CF3COOH, Na+, Mg2+, K+, Ca2+, H2O 또는 HCl이고,
n은 0, 1 또는 2 이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마이오스타틴(myostatin) mRNA 또는 단백질 발현을 억제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마이오스타틴(myostatin) 프로모터 활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비천연 아미노산 유도체는 D-Leu-OtBu-HCl, D-Leu-OMe-HCl 및 D-Leu-BOC-H2O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비천연 아미노산을 0.001 mM 내지 10 mM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희석제, 안정화제 및 방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 및 D-류신, D-알라닌 및 D-프롤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비천연 아미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가 제공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제는 분말, 과립, 정제, 캡슐제 또는 주사제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천연 아미노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근육 소실 및 근력 감소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마이오스타틴 단백질의 생산 및 mRNA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하므로, 보다 근본적인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L-류신이 포함된 완전 배지와 L-류신이 없는 배지에서 마우스 골격근 세포 C2C12의 마이오스타틴 프로모터 활성을 비교한 것이다.
도 2는 L-류신이 없는 배지에 L-Leu-OtBu-HCl을 처리한 후, 마우스 골격근 세포 C2C12의 마이오스타틴 프로모터 활성을 비교한 것이다.
도 3은 L-류신이 포함된 완전 배지와 L-류신이 없는 배지에서 마우스 골격근 세포 C2C12의 마이오스타틴 mRNA 발현량을 측정한 것이다.
도 4는 L-류신이 없는 배지에 L-Leu-OtBu-HCl을 처리한 후, 마우스 골격근 세포 C2C12의 마이오스타틴 mRNA 발현량을 비교한 것이다.
도 5는 L-류신이 없는 배지(Control)와 0.1 mM 및 1 mM 농도의 L-류신을 처리한 배지, 그리고 0.1 mM 및 1 mM 농도의 D-Leu-OMe-HCl 을 처리한 배지에서 마우스 골격근 세포 C2C12의 마이오스타틴 프로모터 활성을 관찰한 것이다.
도 6은 L-류신이 없는 배지(Control)와 0.1 mM 및 1 mM 농도의 L-류신을 처리한 배지, 그리고 0.1 mM 및 1 mM 농도의 D-Leu-OMe-HCl 을 처리한 배지에서 마우스 골격근 세포 C2C12의 마이오스타틴 프로모터 활성을 서로 비교한 것이다.
도 7은 L-류신이 없는 배지(Control)와 0.1 mM 및 1 mM 농도의 L-류신을 처리한 배지, 그리고 0.1 mM 및 1 mM 농도의 D-Leu-BOC-H2O 을 처리한 배지에서 마우스 골격근 세포 C2C12의 마이오스타틴 프로모터 활성을 관찰한 것이다.
도 8은 L-류신이 없는 배지(Control)와 0.1 mM 및 1 mM 농도의 L-류신을 처리한 배지, 그리고 0.1 mM 및 1 mM 농도의 D-Leu-BOC-H2O 을 처리한 배지에서 마우스 골격근 세포 C2C12의 마이오스타틴 프로모터 활성을 서로 비교한 것이다.
도 9는 L-류신이 없는 배지(Control)와 0.1 mM 및 1 mM 농도의 L-류신을 처리한 배지, 그리고 0.1 mM 및 1 mM 농도의 D-Leu-OMe-HCl 을 처리한 배지에서 마우스 골격근 세포 C2C12의 마이오스타틴 mRNA 발현량을 측정한 것이다.
도 10은 L-류신이 없는 배지(Control)와 0.1 mM 및 1 mM 농도의 L-류신을 처리한 배지, 그리고 0.1 mM 및 1 mM 농도의 D-Leu-OMe-HCl 을 처리한 배지에서 마우스 골격근 세포 C2C12의 마이오스타틴 mRNA 발현량을 서로 비교한 것이다.
도 11은 L-류신이 없는 배지(Control)와 0.1 mM 및 1 mM 농도의 L-류신을 처리한 배지, 그리고 0.1 mM 및 1 mM 농도의 D-Leu-BOC-H2O 을 처리한 배지에서 마우스 골격근 세포 C2C12의 마이오스타틴 mRNA 발현량을 측정한 것이다.
도 12는 L-류신이 없는 배지(Control)와 0.1 mM 및 1 mM 농도의 L-류신을 처리한 배지, 그리고 0.1 mM 및 1 mM 농도의 D-Leu-BOC-H2O 을 처리한 배지에서 마우스 골격근 세포 C2C12의 마이오스타틴 mRNA 발현량을 서로 비교한 것이다.
도 13은 L-류신이 없는 배지에서 키운 마우스 골격근 세포 C2C12 에 각각 L-류신 및 D-Leu-OMe-HCl 이 포함된 메디아를 각각 준 후, 1, 6 및 9 일차에 마우스 골격근 세포의 분화 정도를 관찰한 것이다.
도 14는 L-류신이 없는 배지에서 키운 마우스 골격근 세포 C2C12 에 각각 L-류신 및 D-Leu-OMe-HCl 이 포함된 메디아를 각각 준 후, 분화된 세포내 핵의 개수를 측정하여 비교한 것이다.
도 15는 L-류신이 없는 배지에서 키운 마우스 골격근 세포 C2C12 에 각각 L-류신 및 D-Leu-BOC-H2O 가 포함된 메디아를 각각 준 후, 1, 6 및 9 일차에 마우스 골격근 세포의 분화 정도를 관찰한 것이다.
도 16은 L-류신이 없는 배지에서 키운 마우스 골격근 세포 C2C12 에 각각 L-류신 및 D-Leu-BOC-H2O 가 포함된 메디아를 각각 준 후, 분화된 세포내 핵의 개수를 측정하여 비교한 것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1 내지 19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또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19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및 X2 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비천연 아미노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20101271750-pat00020
[화학식 2]
Figure 112020101271750-pat00021
[화학식 3]
Figure 112020101271750-pat00022
[화학식 4]
Figure 112020101271750-pat00023
[화학식 5]
Figure 112020101271750-pat00024
[화학식 6]
Figure 112020101271750-pat00025
[화학식 7]
Figure 112020101271750-pat00026
[화학식 8]
Figure 112020101271750-pat00027
[화학식 9]
Figure 112020101271750-pat00028
[화학식 10]
Figure 112020101271750-pat00029
[화학식 11]
Figure 112020101271750-pat00030
[화학식 12]
Figure 112020101271750-pat00031
[화학식 13]
Figure 112020101271750-pat00032
[화학식 14]
Figure 112020101271750-pat00033
[화학식 15]
Figure 112020101271750-pat00034
[화학식 16]
Figure 112020101271750-pat00035
[화학식 17]
Figure 112020101271750-pat00036
[화학식 18]
Figure 112020101271750-pat00037
[화학식 19]
Figure 112020101271750-pat00038
(여기서,
R1은 수소, C1-C10의 카복시산, C1-C10의 알킬기, C1-C10의 아민, C1-C10의 알코올, 구아니딘, 페닐, 페놀, 인돌 또는 이미다졸이고,
R2는 수소, C1-C10의 알킬기, C1-C10의 아릴 알킬기 또는 D-글루코오스이고,
R3은 t-부틸 카바메이트, 벤질 카바메이트, 9-플루오레닐메틸 카바메이트, 아민기, 에스터기 또는 아세트아마이드이고,
X1는 N, O, P, S, OH 또는 NH2이며,
X2는 Cl-, Br-, I-, p-톨루엔설포네이트, CF3COOH, Na+, Mg2+, K+, Ca2+, H2O 또는 HCl이고,
n은 0, 1 또는 2 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예방"이란 조성물의 투여로 근감소증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란 조성물의 투여로 근감소증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상기 비천연 아미노산 유도체는 하기 구조식 1 내지 구조식 3 으로 나타낸 형태일 수 있으며,
[구조식 1]
Figure 112020101271750-pat00039
[구조식 2]
Figure 112020101271750-pat00040
[구조식 3]
Figure 112020101271750-pat00041
보다 구체적으로, L-Leu-OtBu-HCl, D-Leu-OMe-HCl 및 D-Leu-BOC-H2O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L-Leu-OtBu-HCl 은 L-Leu-OtBu 에 HCl 과 결합하거나 혼합된 형태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D-Leu-OMe-HCl 은 D-Leu-OMe 에 HCl 과 결합하거나 혼합된 형태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D-Leu-BOC-H2O 은 D-Leu-BOC 에 H2O 와 결합하거나 혼합된 형태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마이오스타틴(myostatin) mRNA 또는 단백질 발현을 억제할 수 있으며, 마이오스타틴(myostatin) 프로모터 활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근육 소실 및 근력 감소를 보다 근본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비천연 아미노산 유도체를 0.001 mM 이상의 농도로 함유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0.001 mM 내지 10 mM 의 농도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로 이용되기 위해서 약제학적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희석제, 안정화제, 방부제 등과 혼합하여 분말, 과립, 정제, 캡슐제, 또는 주사제 등의 제형으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활성성분 외에 서방성 목적으로 사용되는 기제를 포함하여 활성성분의 방출이 천천히 일어나도록 서방형 제제로 제조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예컨대, 경구 투여용 담체 또는 비경구 투여용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담체는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펩티드 제제에 대한 경구투여용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약물전달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담체는 물, 적합한 오일, 식염수, 수성 글루코오스 및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안정화제 및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로는 아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또는 아스코르 브산과 같은 항산화제가 있다. 적합한 보존제로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메틸- 또는 프로필-파라벤 및 클로로부탄올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택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희석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유, 땅콩유와 같은 식물성유 등의 비수성 용매나 염수(바람직하게는 0.8%의 염수), 완충 매질을 포함한 물(바람직하게는 0.05M의 인산염 완충액) 등의 수성 용매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부형제로는 전분, 글루코스, 락토스, 수크로스, 젤라틴, 맥아, 쌀, 밀가루, 백악, 실리카 겔, 나트륨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활석, 나트륨 클로라이드, 무수 탈지유,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물, 에탄올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안정화제로는 소르비톨, 만니톨, 전분, 수크로스, 덱스트란, 글루타메이트, 글루코스 등의 탄수화물이나 분유, 혈청 알부민, 카제인 등의 동물성, 식물성 또는 미생물성 단백질 등의 단백질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부제로는 티메로살, 메르티올레이트, 젠타마이신, 네오마이신, 니스타틴, 암포테리신 B, 테트라사이클린, 페니실린, 스트렙토마이신, 폴리믹신 B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투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적인 투여 방법으로는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내 투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 투여용 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 (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 (multiple dose)으로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요법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질환의 정도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다.  이는 제제화 방법, 투여경로 치료횟수 뿐만 아니라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질병의 증상, 투여시간 및 방법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이는 한 제형, 투여 경로 및 투여 방법에 있어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마이오스타틴 프로모터 활성 억제 효과
1) L-Leu-OtBu-HCl 에 의한 마이오스타틴 프로모터 활성 억제 효과 실험
12well culture plate에 마우스 골격근 세포 C2C12(ATCC, US) 1X105 cells을 seeding 한 후, 다음날 pGL4.15 공벡터와 마이오스타틴 프로모터가 들어있는 pGL4.15-MSTN 벡터를 Lipofectamin 2000을 이용하여 4시간 동안 형질 주입 시켰다. 4시간 후 완전 배지(0.8 mM L-류신)와 L-류신이 없는 배지에 L-Leu-OtBu-HCl을 0.1 mM 농도로 처리하였다. 1일 경과 후, Dual luciferase assay kit (Promega Inc.)를 이용하여 마이오스타틴의 프로모터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L-류신이 없는 배지에서 C2C12 세포의 마이오스타틴 프로모터 활성은 완전 배지 대비 55% 증가하였고(도 1 참조), L-류신이 없는 배지에 0.1 mM 농도의 L-Leu-OtBu-HCl을 처리한 경우 마이오스타틴 프로모터의 활성이 유의하게 감소(도 2 참조)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L-류신 및 D-Leu-OMe-HCl 에 의한 마이오스타틴 프로모터 활성 억제 효과 실험 및 비교
상기 L-Leu-OtBu-HCl에 의한 마오이스타틴 프로모터 활성 억제 효과를 알아보는 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L-류신이 없는 배지에 각각 L-류신 0.1 mM, 1 mM, D-Leu-OMe-HCl 0.1 mM, 1 mM 의 농도로 처리하였으며, Dual luciferase assay kit (Promega Inc.)를 이용하여 마이오스타틴의 프로모터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L-류신과 D-Leu-OMe-HCl 모두 마우스 골격근 세포 C2C12 의 마이오스타틴 프로모터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L-류신에 비하여 D-Leu-OMe-HCl 가 1 mM 농도에서 상대적으로 마이오스타틴 프로모터 활성 감소가 큰 것(약 1.96배)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 및 도 6 참조).
3) L-류신 및 D-Leu-BOC-H2O 에 의한 마이오스타틴 프로모터 활성 억제 효과 실험 및 비교
상기 L-Leu-OtBu-HCl에 의한 마오이스타틴 프로모터 활성 억제 효과를 알아보는 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L-류신이 없는 배지에 각각 L-류신 0.1 mM, 1 mM, D-Leu-BOC-H2O 0.1 mM, 1 mM 의 농도로 처리하였으며, Dual luciferase assay kit (Promega Inc.)를 이용하여 마이오스타틴의 프로모터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L-류신과 D-Leu-BOC-H2O 모두 마우스 골격근 세포 C2C12 의 마이오스타틴 프로모터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L-류신에 비하여 D-Leu-BOC-H2O 가 1 mM 농도에서 상대적으로 마이오스타틴 프로모터 활성 감소가 큰 것(약 1.89배)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7 및 도 8 참조).
실시예 2. 마이오스타틴 mRNA 발현 억제 효과
1) L-Leu-OtBu-HCl 에 의한 마이오스타틴 mRNA 발현 억제 효과 실험
6 well culture plate에 마우스 골격근 세포 C2C12(ATCC, US) 3X105 cells을 seeding 한 후, 다음 날 완전 배지(0.8 mM L-류신)와 L-류신이 없는 배지에 L-Leu-OtBu-HCl을 0.1 mM 농도로 처리하였다. 1일 경과 후, qRT-PCR을 이용하여 마이오스타틴의 mRNA 발현 정도를 확인하고, beta-actin의 발현 값을 이용하여 마이오스타틴 mRNA 발현 값을 보정하였다.
그 결과, L-류신이 없는 배지에서 C2C12 세포의 마이오스타틴 mRNA 발현은 0.8 mM 농도의 L-류신이 포함된 완전 배지에 비해 5.5배 증가하였고(도 3 참조), L-류신이 없는 배지에 0.1 mM 농도의 L-Leu-OtBu-HCl을 처리한 경우 마이오스타틴 mRNA의 발현 감소(도 4 참조)가 관찰되었다.
2) L-류신 및 D-Leu-OMe-HCl 에 의한 마이오스타틴 mRNA 발현 억제 효과 실험 및 비교
상기 L-Leu-OtBu-HCl 에 의한 마오이스타틴 mRNA 발현 억제 효과를 알아보는 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L-류신이 없는 배지에 각각 L-류신 0.1 mM, 1 mM, D-Leu-OMe-HCl 0.1 mM, 1 mM 의 농도로 처리하였으며, qRT-PCR을 이용하여 마이오스타틴의 mRNA 발현 정도를 확인하고, beta-actin의 발현 값을 이용하여 마이오스타틴 mRNA 발현 값을 보정하였다.
그 결과, L-류신과 D-Leu-OMe-HCl 모두 마우스 골격근 세포 C2C12 의 마이오스타틴 mRNA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L-류신에 비하여 D-Leu-OMe-HCl 가 0.1 mM 및 1 mM 농도에서 상대적으로 마이오스타틴 mRNA 발현량의 감소가 더 크게 나타나는 것(각각 약 1.97배, 약 3.68배)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9 및 도 10 참조).
3) L-류신 및 D-Leu-BOC-H2O 에 의한 마이오스타틴 mRNA 발현 억제 효과 실험 및 비교
상기 L-Leu-OtBu-HCl 에 의한 마오이스타틴 mRNA 발현 억제 효과를 알아보는 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L-류신이 없는 배지에 각각 L-류신 0.1 mM, 1 mM, D-Leu-BOC-H2O 0.1 mM, 1 mM 의 농도로 처리하였으며, qRT-PCR을 이용하여 마이오스타틴의 mRNA 발현 정도를 확인하고, beta-actin의 발현 값을 이용하여 마이오스타틴 mRNA 발현 값을 보정하였다.
그 결과, L-류신과 D-Leu-BOC-H2O 모두 마우스 골격근 세포 C2C12 의 마이오스타틴 mRNA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1 mM 농도에서 D-Leu-BOC-H2O 가 L-류신과 비슷하게 마이오스타틴 mRNA 발현량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1 및 도 12 참조).
실시예 3. 마우스 골격근 세포 C2C12 의 분화 정도 및 분화된 세포 내 핵의 개수 측정
1) L-류신 및 D-Leu-OMe-HCl 에 의한 세포 분화 분석 실험 및 비교
L-류신과 D-Leu-OMe-HCl 이 마우스 골격근 세포 C2C12 의 분화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관찰하기 위하여, L-류신이 없는 배지에서 지속적으로 키운 마우스 골격근 세포 C2C12 에 각각 1mM L-류신과 D-Leu-OMe-HCl 이 포함된 분화 메디아를 주고, 1, 6 및 9 일차에 마우스 골격근 세포의 분화 정도와 분화된 세포 내에 존재하는 핵의 개수를 측정하였다(도 13 참조).
그 결과, L-류신에 비하여 D-Leu-OMe-HCl 이 첨가된 세포에서, 분화가 일어나는 세포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많이 관찰되었으며, 핵이 6 개 이상 포함된 세포가 D-Leu-OMe-Hcl 이 첨가된 세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이 관찰되었다(도 14 참조).
2) L-류신 및 D-Leu-BOC-H2O 에 의한 세포 분화 분석 실험 및 비교
L-류신과 D-Leu-BOC-H2O 가 마우스 골격근 세포 C2C12 의 분화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관찰하기 위하여, L-류신이 없는 배지에서 지속적으로 키운 마우스 골격근 세포 C2C12 에 각각 1mM L-류신과 D-Leu-BOC-H2O 가 포함된 분화 메디아를 주고, 1, 6 및 9 일차에 마우스 골격근 세포의 분화 정도와 분화된 세포 내에 존재하는 핵의 개수를 측정하였다(도 15 참조).
그 결과, L-류신에 비하여 D-Leu-BOC-H2O 가 첨가된 세포에서, 분화가 일어나는 세포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많이 관찰되었으며, 핵이 6 개 이상 포함된 세포가 D-Leu-BOC-H2O 가 첨가된 세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이 관찰되었다(도 16 참조).
상기 실시예들의 결과들은, 본 발명의 비천연 아미노산 유도체가 근육세포의 마이오스타틴 mRNA 발현 및 프로모터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1)

  1. L-Leu-OtBu-HCl, D-Leu-OMe-HCl 및 D-Leu-BOC-H2O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비천연 아미노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마이오스타틴(myostatin) mRNA 또는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마이오스타틴(myostatin) 프로모터 활성을 감소시키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천연 아미노산 유도체를 0.001 mM 내지 10 mM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희석제, 안정화제 및 방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 및 제1항에 기재된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경구 투여용 담체 또는 비경구 투영용 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형제는 전분, 글루코스, 락토스, 수크로스, 젤라틴, 맥아, 쌀, 밀가루, 백악, 실리카겔, 나트륨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활석, 나트륨 클로라이드, 무수 탈지유,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물, 에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제는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유, 땅콩유, 염수, 물, 인산염 완충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부제는 티메로살, 메르티올레이트, 젠타마이신, 네오마이신, 니스타틴, 암포테리신 B, 테트라사이클린, 페니실린, 스트렙토마이신, 폴리믹신 B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분말, 과립, 정제, 캡슐제 또는 주사제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
KR1020200123047A 2019-09-24 2020-09-23 비천연 아미노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56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2994 WO2021060884A1 (ko) 2019-09-24 2020-09-24 비천연 아미노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17/763,463 US20220354817A1 (en) 2019-09-24 2020-09-24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arcopenia containing non-natural amino acid derivati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223 2019-09-24
KR20190117223 2019-09-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758A KR20210035758A (ko) 2021-04-01
KR102456270B1 true KR102456270B1 (ko) 2022-10-19

Family

ID=75441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047A KR102456270B1 (ko) 2019-09-24 2020-09-23 비천연 아미노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62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6890B1 (ko) 2023-11-28 2024-05-17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까마귀쪽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OP20190147A1 (ar) * 2016-12-19 2019-06-18 Axcella Health Inc تركيبات حمض أميني وطرق لمعالجة أمراض واضطرابات العضلات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Clin. Endocrinol, Metab., 94(5), 1524-1526, 2009.
J. Phys. Fitness Sports Med., 2(4), 401-407, 2013.*
Journal of Nutritional Biochemistry, 21, 1-13, 2010.
Nutrition, 58, 1-6, 2019년 2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6890B1 (ko) 2023-11-28 2024-05-17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까마귀쪽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758A (ko) 202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59559B2 (en) Angiotensin II alone or in combination for the treatment of hypotension
CN113750091A (zh) 用于治疗癌症的方法
KR20050044714A (ko) 선택적 안드로겐 수용체 조절자를 이용한 근소모 치료방법
CN112166111A (zh) 治疗纤维化疾病的方法
KR102456270B1 (ko) 비천연 아미노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338447B1 (ko) 비천연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20210023057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muscular dystrophy
US20220354817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arcopenia containing non-natural amino acid derivative
US20220331290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arcopenia, containing unnatural amino acid
JP6908936B2 (ja) セレノプロテインp活性阻害作用を有する成分を含有する、肺高血圧症の予防又は治療剤
TW202327589A (zh) 肝病之組合療法
KR102332654B1 (ko)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EP3541372A1 (en) Lsd1 inhibitors as skeletal muscle hypertrophy inducers
KR20200010087A (ko) 마이오카인을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R3044925A1 (fr) Composes et compositions comprenant de tels composes pour la prevention ou le traitement des myopathies et traumatismes musculaires
WO2020017913A1 (ko) 마이오카인을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4044633A2 (en) Oxytocin derivatives and methods of use
US20240197812A1 (en) Methods of Treating Cardiac Inju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