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6259B1 - Composite beam connection structure - Google Patents
Composite beam connection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56259B1 KR102456259B1 KR1020210191576A KR20210191576A KR102456259B1 KR 102456259 B1 KR102456259 B1 KR 102456259B1 KR 1020210191576 A KR1020210191576 A KR 1020210191576A KR 20210191576 A KR20210191576 A KR 20210191576A KR 102456259 B1 KR102456259 B1 KR 1024562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osite beam
- composite
- flange
- reinforcing plate
- web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2003/023—Lint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호 간 단부가 마주보게 설치되는 제1,2합성보 연결부위의 전단응력을 보강하고 또한, 최소한의 볼팅 결합으로 손쉽게 제1.2합성보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한 합성보 연결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2합성보의 상부 및 하부플랜지와 웨브를 보강하는 한편, 연결부위에 전단판부를 개재하여 보다 안정적인 연결 구조체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합성보 연결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beam connecting structure that reinforces the shear stress of the connecting parts of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e beams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and allows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e beams to be easily connected with a minimum bolting connection. More specifically, While reinforcing the upper and lower flanges and webs of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e beams, it relates to a composite beam connecting structure in which a more stable connecting structure can be secured by interposing a shear plate in the connecting portion.
콘크리트 합성보는 강재 보와 콘크리트가 단일부재로 거동하도록 구현하여 휨모멘트를 받을 때 압축응력의 대부분은 콘크리트가 부담하도록 하고 인장응력은 강재가 부담하도록 하는 효율적인 구조부재로써 보의 춤을 줄여 건축구조물의 층고를 줄일 수 있고 보 단면의 저항강도와 저항강성 증대로 장 스팬 구조물이 가능하게 하며 극한성능이나 변형성능이 증대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The concrete composite beam is implemented so that the steel beam and concrete behave as a single member, so that most of the compressive stress is borne by the concrete when it receives a bending moment and the steel material bears the tensile stress. The floor height can be reduced, and the long-span structure is possible by increasing the resistance strength and resistance rigidity of the beam cross-section, and it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ultimate performance and deformation performance.
콘크리트 합성보는 오랜 기간 동안 여러 형상이 개발되어왔는데, 강재의 단면을 구조부재의 인장측 외피에 집중배치하고 내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강판 영구 거푸집형 합성보가 그 중 하나이다. Concrete composite beams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shapes for a long time, and one of them is a steel plate permanent formwork composite beam in which the cross section of steel is intensively placed on the outer sheath of the tensile side of the structural member and the interior is filled with concrete.
보통 합성보는 철골보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만들어졌다.Composite beams are usually made by pouring concrete inside the steel beams.
이러한 방식의 철골 합성보는 철골보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역할을하기 때문에 거푸집 설치를 위한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s type of steel composite beam has the advantage of shortening the time required for installing the formwork because the steel frame beam serves as a formwork for pouring concrete.
하지만 기둥과 기둥에 설치된 합성보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기둥의 설치위치 오차 등이 발생될 경우 합성보의 길이를 늘이거나 줄이는 보정작업이 추가로 필요하다.However, in order to connect the column and the composite beam installed on the column, if an error i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olumn occurs, correction work to increase or decrease the length of the composite beam is additionally required.
따라서 정밀작업이 요구되어 시공성이 불량하며, 시공오차 발생에 따른 보정작업으로 인해 공사비 및 공사기간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시공오차는 선반작업이 아닌 대규모 작업이고, 콘크리트와 강재의 재료 특성상 각각 건조 수축과 온도변화에 민감하므로 필연적으로 발생될 수밖에 없다.Therefore, precision work is required, so the workability is poor,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struction cost and construction period increase due to the correction work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construction errors. These construction errors are large-scale work, not lathe work, and inevitably occur because they are sensitive to drying shrinkage and temperature changes, respectively, due to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concrete and steel.
또한 종래의 합성보는 연결부위를 보강판과 같은 플레이트를 덧대어 연결하기 때문에 시공시간이 길어지고, 합성보의 표면에 볼트를 연결하기 취한 추가 공정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composite beam is connected by adding a plate such as a reinforcing plate to the connecting portion, the construction time is long,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n additional process is required to connect the bolt to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bea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상호 간 단부가 마주보게 설치되는 제1,2합성보를 최소한의 볼팅 결합으로 손쉽게 연결할 수 있고, 더불어 연결부재의 중앙에 배치되는 전단판부를 통해 연결부위의 휨응력과 전단응력을 보강하여 안정적인 연결 구조체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제1,2합성보의 상부면에 연결부재를 노출시키지 않는 상태로 제1,2합성보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합성보 연결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e beams, the ends of which are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with a minimum bolting coupling, and, together with the It is possible to secure a stable connection structure by reinforcing the bending stress and shear stress of the connecting part through the shear plate part disposed in the center, as well as to secure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e beams without exposing the connecting member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e beams. It is to provide a composite beam connection structure that can connect composite beams.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제1,2합성보의 저면에 긴장강봉을 정착시켜 제1,2합성보에 가해지는 수직하중에 대한 휨응력을 국부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합성보 연결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e beam connecting structure in which a tension steel bar is fix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e beams so as to locally secure the bending stress for the vertical load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e beams.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웨브보강판부의 사이에 수평 연결되는 연결판부를 구비함으로써, 연결부재의 이동과 보관시 외부충격에 의해 상기 웨브보강판부가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더불어 연결부재의 전체적인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합성보 연결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connecting plate portion horizontally connected between the web reinforcing plate por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eb reinforcing plate portion from bending due to an external impact during the movement and storage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with the It is to provide a composite beam connecting structure that can increase the overall rigidit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철골구조물의 기둥 또는 흑막이 벽체에 연결된 합성보 연결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와, 상기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를 사이에 콘크리트 채움공간부를 형성하는 한쌍의 웨브로 구성되는 제1합성보;와, 상기 제1합성보의 단부와 마주보게 직렬 배치되는 제2합성보;와, 상기 제1합성보의 단부와 상기 제2합성보의 단부을 상호 간 직렬 연결시켜 고정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재는 전단판부와, 상기 전단판부의 전후면에 연결되어 제1합성보와 제2합성보의 각 웨브 외측면에 각각 밀착 결합되는 복수의 웨브보강판부와, 상기 각 웨브보강판부의 상부 및 하부에 수평연장되어 상기 제1,2합성보의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에 밀착되는 플랜지보강판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feature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irs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beam connecting structure connected to a column or black wall of a steel structure, for this purpose,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part A first composite beam consisting of a pair of webs forming a concrete filling space between the flanges; And, a second composite beam disposed in series to face the end of the first composite beam; And, the end of the first composite beam and the second A connection member for fixing the ends of the composite beam by connecting them in series with each other; and, the connection member is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ront and rear end plates and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e beams, respectively, on the outer surface of each web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web reinforcing plate portions that are closely coupled, and a flange reinforcing plate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each of the web reinforcing plate portion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flange and lower flange of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e beams.
제2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전단판부의 전후면에 연결되어 상기 각 웨브보강판부의 사이에 수평 연결되는 연결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2합성보의 각 웨브에는 연결판부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결합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invention, in the first invention, the connect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ront end plate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ng plate portion horizontally connected between each of the web reinforcing plate portion, each web of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e beam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groove to which the connecting plate portion is slidably coupled is further formed.
제3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연결부재의 플랜지보강판부는 제1,2합성보의 상부플랜지 및 하부플랜지를 수직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스터드볼트와 너트를 통해 볼팅결합되어 전단응력이 증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hird invention, in the first invention, the flange reinforcing plate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is bolted through the stud bolt and nut crossing the upper flange and lower flange of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e beams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shear stress is increased. characterized by being
제4발명은, 제1발명 내지 제3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서, 상기 제1합성보와 제2합성보의 하부플랜지 저면에는 긴장강봉을 정착시키는 정착플랜지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urth invention, in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invention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flange for fixing the tension steel bar is further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flange of the first composite beam and the second composite beam.
본 발명에 따른 합성보 연결 구조체에 따르면, 상호 간 단부가 마주보게 설치되는 제1,2합성보를 최소한의 볼팅 결합으로 손쉽게 연결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하고, 연결부재의 중앙에 배치되는 전단판부를 통해 연결부위의 휨응력과 전단응력을 보강하여 안정적인 연결 구조체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omposite beam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e beams, the ends of which are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with a minimum of bolting, so that construction is easy, and it is connected through a shear plat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member It has the effect of forming a stable connection structure by reinforcing the bending stress and shear stress of the part.
또한 연결부재는 웨브보강판부의 사이에 수평 연결되는 연결판부를 구비함으로써, 이동과 보관시 외부충격에 의해 상기 웨브보강판부가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더불어 전체적인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plate part that is horizontally connected between the web reinforcing plate parts,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eb reinforcing plate part from being bent by an external impact during movement and storage,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overall rigidity. .
또한 연결부재의 웨브플랜지와 제1,2합성보의 상부플랜지 및 하부플랜지를 수직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스터드볼트를 통해 연결부위에 국부적으로 전단응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hear stress is increased locally at the connection part through the stud bolts crossing the web flange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upper and lower flanges of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e beams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제1,2합성보의 저면에 긴장강봉을 정착시켜 제1,2합성보에 가해지는 수직하중에 대한 휨응력을 국부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securing the bending stress for the vertical load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e beams locally by fixing the tension steel rods on the bottom of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e beam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합성보 연결 구조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제1,2합성보와, 연결부재를 분리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합성보 연결 구조체의 정면도 및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합성보 연결 구조체의 분해시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합성보 연결구 구조체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은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posite beam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e beams of FIG. 1 and the connecting member are separated;
3 is a front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posite beam connection structure shown in FIG. 1;
4 is an exploded view of the composite beam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posite beam connector struc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of FIG. 6 .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The following objects,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 complementary embodiment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 and/or 'compris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s below, various specific contents have been prepared to more specifically explain and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However, a reader having enough knowledge in this field to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ognize that it can be used without these various specific details. In some cases, it is mentioned in advance that parts which are commonly known and not largely related to the invention in describing the invention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avoid confusion in describing the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보 연결 구조체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mposite beam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합성보 연결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1,2합성보와, 연결부재를 분리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합성보 연결 구조체의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posite beam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e beams of FIG. 1 and the connecting member are separated, and FIG. 3 is the composite beam shown in FIG. It is a front view and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on structure.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실시예는 상호 간 단부가 마주보게 설치되는 제1,2합성보 연결부위의 전단응력을 보강하고 또한, 최소한의 볼팅 결합으로 손쉽게 제1.2합성보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한 합성보 연결 구조체(100)에 관한 것이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inforces the shear stress of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e beam connecting parts installed with the ends facing each other, and also provides easy access to the first 1.2 with minimal bolting. It relates to a composite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제1,2합성보의 상부 및 하부플랜지와 웨브를 보강하는 한편, 연결부위에 전단판부를 개재하여 보다 안정적인 연결 구조체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합성보 연결 구조체(100)에 관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inforces the upper and lower flanges and webs of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e beams, while interposing a shear plate in the connecting portion to ensure a more stable connecting structure (100) is about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합성보 연결 구조체(100)는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는, 이는 제1합성보(10a)와, 상기 제1합성보(10a)의 단부와 마주보게 직렬 배치되는 제2합성보(10b)와, 제1,2합성보(10a,10b)의 단부를 상호 간 직렬 연결시켜 고정하는 연결부재(20)로 구성된다.The composite
여기서 상기 제1,2합성보(10a,10b)는 상부플랜지(11)와, 하부플랜지(12)와, 상기 상부플랜지(11)와 하부플랜지(12)를 사이에 콘크리트 채움공간부(14)를 형성하는 한쌍의 웨브(13)로 구성된다.Here, the first and second
이 때 상기 제1,2합성보(10a,10b)는 상부플랜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채움공간부(14)로 콘크리트를 충진할 수 있는 다수의 타설공(11a)이 더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아울러 상기 연결부재(20)는 제1,2합성보(10a,10b)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단판부(21)와, 상기 전단판부(21)의 전후면에 연결되어 제1합성보(10a)와 제2합성보(10b)의 각 웨브(13) 외측면에 각각 밀착 결합되는 복수의 웨브보강판부(22)와, 상기 각 웨브보강판부(22)의 상부 및 하부에 수평연장되어 상기 제1,2합성보(10a,10b)의 상부플랜지(11)와 하부플랜지(12)에 밀착되는 플랜지보강판부(23)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이러한 상기 연결부재(20)는 전단판부(21)를 통해 웨브보강판부(22)와 플랜지보강판부(23)가 일체화된 형태로 보관과, 이동 및 설치가 편리하도록 이루어진다.The
여기서 상기 전단판부(21)는 제1,2합성보(10a,10b)에 무게와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전단응력을 보강되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전후면에 연결되는 복수의 웨브보강판부(22)을 지지하는 기능을 겸한다.Here, the
아울러 상기 웨브보강판부(22)는 상기 제1,2합성보(10a,10b)의 각 웨브(13)에 밀착되어 제1,2합성보(10a,10b)의 웨브(13)에 가해지는 전단력을 분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굽힘모멘트에 대한 전단응력을 보강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In addition, the web
그리고 상기 플랜지보강판부(23)는 역시 제1,2합성보(10a,10b)의 상부플랜지(11)와, 하부플랜지(12)에 내측면에 밀착되게 때문에 제1,2합성보(10a,10b)에 가해지는 굽힘모멘트에 대한 응력이 보강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And the flange reinforcing
상술된 웨브보강판부(22) 및 플랜지보강판부(23)는 기존에 덧대어 볼팅 결합되는 보강판을 기능을 하기 때문에 볼팅 결합과 더불어 제1,2합성보(10a,10b)의 상부 및 하부플랜지(12)로 보강판의 노출됨이 없이 제1,2합성보(10a,10b)의 연결부위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above-described web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웨브보강판부(22) 및 플랜지보강판부(23)의 길이를 길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제1,2합성보(10a,10b)와의 접지 면적을 넓혀 보다 안정적인 구조를 갖을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web
아울러 상기 연결부재(20)의 플랜지보강판부(23)는 제1,2합성보(10a,10b)의 상부플랜지(11) 및 하부플랜지(12)를 수직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스터드볼트(30)와 너트(31)를 통해 볼팅결합되어 전단응력이 보다 더 증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ange reinforcing
이러한 제1실시예의 연결부재(20)는 2개 또는 4개 또는 6개의 스터드볼트(30)만으로 제1,2합성보(10a,10b)에 손쉽게 고정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The connecting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전단판부의 두께를 가감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두께의 전단판부에 웨브보강판부와 플랜지보강판부를 삽입시킬 수 있는 관통구를 형성하여 2 내지 3개의 전단판부를 중첩시켜 1,2합성보의 길이 오차가 생긴다 하더라도 오차 간격만큼 전단판부를 중첩시켜 이를 보정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increase or decrease the thickness of the shear plate portion. That is, by forming a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web reinforcing plate part and the flange reinforcing plate part can be inserted in the shear plate parts of different thicknesses, by overlapping 2-3 shear plate parts, even if there is a length error of 1 or 2 composite beams, the shear plate part by the error interval It can be configured so that it can be corrected by overlapping them.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합성보 연결 구조체의 분해시시도이다.4 is an exploded view of the composite beam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와 같이,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를 포함하며, 다만 제2실시예의 연결부재(20)는 상기 전단판부(21)의 전후면에 연결되어 상기 각 웨브보강판부(22)의 사이에 수평 연결되는 연결판부(2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the first embodiment, but the connecting
이러한 상기 연결판부(24)는 상기 전단판부(21)의 전후면에 결합되는 상기 각 웨브보강판부(22)의 휨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The connecting
이 때 상기 제1,2합성보(10a,10b)의 각 웨브(13)에는 연결판부(24)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결합홈(131)이 더 형성되어 구성된다.At this time, each
여기서 상기 결합홈(131)은 상기 웨브보강판부(22)를 제1,2합성보(10a,10b)의 웨브(13) 외측에 밀착 결합시는데 있어서, 연결판부(24)를 안내하여 웨브(13)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Here, when the
또한 제2실시예의 연결판부(24)는 상기 제1,2합성보(10a,10b)의 웨브(13)에 교차되게 삽입되기 때문에 제1,2합성보(10a,10b)의 웨브(13) 강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ng
또한 상기 연결판부(24)는 연결부재(20)의 이동과 보관시 외부충격에 의해 상기 웨브보강판부(22)가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연결부재(20)의 전체적인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능을 겸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합성보 연결구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은 정면도이다.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posite beam connector struc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front view.
도 6 및 도 7과 같이,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를 포함하며, 다만 상기 제1합성보(10a)와 제2합성보(10b)의 하부플랜지(12) 저면에는 긴장강봉(41)을 정착시키는 정착플랜지(40)가 더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6 and 7,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the first embodiment or the second embodiment, but the tens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정착플랜지(40)는 긴장강봉(41)을 긴장시킨 상태로 정착시켜 제1,2합성보(10a,10b)의 연결부위에 인장력을 증대시켜 수직하중에 대한 휨응력을 국부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여기서 상기 각 정착플랜지(40)는 제1,2합성보(10a,10b)의 상부플랜지(11)와, 하부플랜지(12)를 가로지르는 스터드볼트(30)에 의해 일체로 고정된다.Here, each fixing
따라서 상기 각 정착플랜지(40)는 제1,2합성보(10a,10b)에 별도의 천공 없이 고정될 수 있어 보다 손쉬운 연결구조를 갖을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each of the fixing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various equivalents that can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ations and examples.
10a: 제1합성보 10b: 제2합성보
11: 상부플랜지 11a: 타설공
12: 하부플랜지 13: 웨브
131: 결합홈 14: 채움공간부
20: 연결부재 21: 전단판부 22: 웨브보강판부
23: 플랜지보강판부 24: 연결판부
30: 스터드볼트 31: 너트
40: 정착플랜지 41: 긴장강봉
100: 합성보 연결 구조체10a: first
11:
12: lower flange 13: web
131: coupling groove 14: filling space part
20: connecting member 21: shear plate portion 22: web reinforcing plate portion
23: flange reinforcing plate part 24: connecting plate part
30: stud bolt 31: nut
40: fixing flange 41: tension steel bar
100: composite beam connection structure
Claims (4)
상부플랜지(11)와, 하부플랜지(12)와, 상기 상부플랜지(11)와 하부플랜지(12)를 사이에 콘크리트 채움공간부(14)를 형성하는 한쌍의 웨브(13)로 구성되는 제1합성보(10a);
상기 제1합성보(10a)의 단부와 마주보게 직렬 배치되는 제2합성보(10b);
상기 제1합성보(10a)의 단부와 상기 제2합성보(10b)의 단부을 상호 간 직렬 연결시켜 고정하는 연결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재(20)는 전단판부(21)와, 상기 전단판부(21)의 전후면에 연결되어 제1합성보(10a)와 제2합성보(10b)의 각 웨브(13) 외측면에 각각 밀착 결합되는 복수의 웨브보강판부(22)와, 상기 각 웨브보강판부(22)의 상부 및 하부에 수평연장되어 상기 제1,2합성보(10a,10b)의 상부플랜지(11)와 하부플랜지(12)에 밀착되는 플랜지보강판부(2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보 연결 구조체.
In the composite beam connecting structure connected to the column or black screen of the steel structure,
The first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11, a lower flange 12, and a pair of webs 13 forming a concrete filling space 14 between the upper flange 11 and the lower flange 12. Composite beam (10a);
a second composite beam 10b disposed in series to face the end of the first composite beam 10a;
A connecting member 20 for connecting the end of the first composite beam (10a) and the end of the second composite beam (10b) in series to each other and fixing it;
The connection member 20 is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ront end plate portion 21 and the front end plate portion 21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each web 13 of the first composite beam 10a and the second composite beam 10b, respectively. A plurality of web reinforcing plate portions 22 to be coupled, and horizontally extending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each of the web reinforcing plate portions 22, the upper flange 11 and lower flange 12 of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e beams 10a, 10b ) Composite beam connect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flange reinforcing plate portion (23) in close contact.
상기 연결부재(20)는 상기 전단판부(21)의 전후면에 연결되어 상기 각 웨브보강판부(22)의 사이에 수평 연결되는 연결판부(2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2합성보(10a,10b)의 각 웨브(13)에는 연결판부(24)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결합홈(131)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보 연결 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ng member 20 further includes a connecting plate portion 24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ront end plate portion 21 and horizontally connected between each of the web reinforcing plate portions 22,
Composite beam connect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each web (13) of the first and second composite beams (10a, 10b) is further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131) to which the connecting plate part (24) is slidably coupled.
상기 연결부재(20)의 플랜지보강판부(23)는 제1,2합성보(10a,10b)의 상부플랜지(11) 및 하부플랜지(12)를 수직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스터드볼트(30)와 너트(31)를 통해 볼팅결합되어 전단응력이 증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보 연결 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flange reinforcing plate part 23 of the connecting member 20 is a stud bolt 30 and a nut ( 31) is bolted through the composite beam connect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rease the shear stress.
상기 제1합성보(10a)와 제2합성보(10b)의 하부플랜지(12) 저면에는 긴장강봉(41)을 정착시키는 정착플랜지(40)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보 연결 구조체.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Composite beam connect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flange 40 for fixing the tension steel rod 41 is further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flange 12 of the first composite beam 10a and the second composite beam 10b.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91576A KR102456259B1 (en) | 2021-12-29 | 2021-12-29 | Composite beam connection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91576A KR102456259B1 (en) | 2021-12-29 | 2021-12-29 | Composite beam connection stru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56259B1 true KR102456259B1 (en) | 2022-10-19 |
Family
ID=83804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91576A KR102456259B1 (en) | 2021-12-29 | 2021-12-29 | Composite beam connection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6259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109732A (en) * | 2004-05-17 | 2005-11-22 | (유)선일건설 | Section shape steel for steel-frame structure and connection member for the same |
KR20100023089A (en) * | 2008-08-21 | 2010-03-04 | 삼중건설 (주) | H-beam connecting structure |
KR101315365B1 (en) | 2012-03-29 | 2013-10-08 | (주)신한에스엔지 | Hybrid beam structure |
KR101425442B1 (en) * | 2013-06-20 | 2014-08-14 | (주)탑이엔에프 | Connecting Structure of Supporting Beams |
KR102342075B1 (en) * | 2020-10-13 | 2021-12-22 | 강윤희 | Connecting structure for steel cross-beam |
-
2021
- 2021-12-29 KR KR1020210191576A patent/KR10245625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109732A (en) * | 2004-05-17 | 2005-11-22 | (유)선일건설 | Section shape steel for steel-frame structure and connection member for the same |
KR20100023089A (en) * | 2008-08-21 | 2010-03-04 | 삼중건설 (주) | H-beam connecting structure |
KR101315365B1 (en) | 2012-03-29 | 2013-10-08 | (주)신한에스엔지 | Hybrid beam structure |
KR101425442B1 (en) * | 2013-06-20 | 2014-08-14 | (주)탑이엔에프 | Connecting Structure of Supporting Beams |
KR102342075B1 (en) * | 2020-10-13 | 2021-12-22 | 강윤희 | Connecting structure for steel cross-bea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00215B1 (en) | Reinforced joint for beam-column connection | |
JP4917168B1 (en) |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and method using compression braces | |
KR20180010833A (en) | Seismic retrofit RC beam-column joints using hunch | |
KR101880492B1 (en) | Structure Of Connecting Colum And Composite Beam | |
KR20180042007A (en) | Joint for Precast Beam and Columns | |
KR102104382B1 (en) | Steel beam, composite column, and joint structure of the same | |
KR102456259B1 (en) | Composite beam connection structure | |
JP7228344B2 (en) | Joint structure of reinforced concrete frame and brace and precast member | |
KR101948795B1 (en) | Buckling restrained bracing member for seismic retrofit | |
US20240263478A1 (en) | Buckling-restrained brace and seismic force-resisting structure | |
JPH05331964A (en) | Reinforcing structure for opening of steel beam | |
KR101209367B1 (en) | Post reinforcing structure for buckling of braces in the steel moment connection frame | |
JP2008045326A (en) | Vibration proof damper structure | |
JPH0774548B2 (en) |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RC structure opening | |
JP5157433B2 (en) | Composite hollow structure of bridge column head or girder end | |
KR102392355B1 (en) | Supportbeam connection structure | |
KR101984211B1 (en) | Wide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connecting part of girders and column | |
JP7482801B2 (en) | Column and beam structure | |
JP3639552B2 (en) | Damping structure for ramen frame | |
JPH08218548A (en) | Concrete filling type steel skeleton beam | |
KR101886062B1 (en) | Cross section stiffnesses increasing method of structure using cross section stiffnesses | |
KR102003286B1 (en) | Wide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connecting part of girders and column | |
JP2000248685A (en) | Beam member for steel framing structure | |
KR102282151B1 (en) | Reinforcement structure of joints using duoble steel beams | |
KR102569266B1 (en) | Assembly type concrete filled steel colum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