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5839B1 - 접속 실패의 회복 방법 및 기기 - Google Patents

접속 실패의 회복 방법 및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5839B1
KR102455839B1 KR1020217006776A KR20217006776A KR102455839B1 KR 102455839 B1 KR102455839 B1 KR 102455839B1 KR 1020217006776 A KR1020217006776 A KR 1020217006776A KR 20217006776 A KR20217006776 A KR 20217006776A KR 102455839 B1 KR102455839 B1 KR 102455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ilure
mcg
cause
network device
information re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6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0131A (ko
Inventor
디트 아다무 부바카르 킴바
샤오둥 양
첸 정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40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0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접속 실패의 회복 방법 및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MCG 실패의 원인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MCG 실패의 원인에 따라, 상응한 접속 실패 회복 처리를 진행하고, 및/또는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속 실패의 회복 방법 및 기기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8월 8일 중국에 제출한 중국 특허 출원 제 201810898696.2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속 실패의 회복 방법 및 기기에 관한 것이다.
관련기술에서, 표준화중에서 세컨더리 셀 그룹(Secondary Cell Group,SCG)에 실패(failure)가 발생할 때, 단말 기기의 행위는 이미 명확해 졌다.
그러나, 마스터 셀 그룹(Master Cell Group,MCG) 실패와 SCG 실패의 원인은 상이할 수 있다. 관련기술에서, MCG 실패가 발생할 때, 단말 기기가 어떻게 접속 실패 회복을 진행할 것인지 명확하게 규정하지 않았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목적은 접속 실패의 회복 방법 및 기기를 제공하여, MCG 실패가 발생할 때, 어떻게 접속 실패 회복을 진행할 것인지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
제1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는 단말 기기에 응용되는 접속 실패의 회복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마스터 셀 그룹(MCG) 실패의 원인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MCG 실패의 원인에 따라, 상응한 접속 실패 회복 처리를 진행하고, 및/또는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는 제1 네트워크 기기에 응용되는 접속 실패의 회복 방법을 더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에서 송신한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2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는 SCG를 서비스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MCG를 서비스하며, 상기 제3 네트워크 기기는 타겟 MCG를 서비스하며;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는 SCG를 서비스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기기는 타겟 MCG를 서비스하며, 상기 제3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MCG를 서비스한다.
제3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는 단말 기기를 더 제공하며, 상기 단말 기기는:
마스터 셀 그룹(MCG) 실패의 원인을 확정하기 위한 확정 모듈; 및
상기 MCG 실패의 원인에 따라, 상응한 접속 실패 회복 처리를 진행하고, 및/또는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처리 모듈; 을 포함한다.
제4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는 제1 네트워크 기기를 더 제공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에서 송신한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및
제2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 을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는 SCG를 서비스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MCG를 서비스하며, 상기 제3 네트워크 기기는 타겟 MCG를 서비스하며;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는 SCG를 서비스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기기는 타겟 MCG를 서비스하며, 상기 제3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MCG를 서비스한다.
제5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는 단말 기기를 더 제공하며, 상기 단말 기기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측면에 따른 접속 실패의 회복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6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는 네트워크 기기를 더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2 측면에 따른 접속 실패의 회복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7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에 따른 접속 실패의 회복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MCG 실패가 발생할 때, 단말 기기는 MCG 실패의 원인에 따라, 해당 단말 기기의 행위를 확정하여, 단말 기기로 하여금 상응한 접속 실패 회복 조작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선택가능한 실시방식에 따른 상세한 설명을 독서함으로서, 다양한 기타 장점 및 이점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더욱 명확하게 전달될 수 있다. 도면들은 단지 선택가능한 실시방식의 목적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지, 본 개시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전체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심볼은 동일한 컴포넌트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아키텍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 실패의 회복 방법 흐름도 1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 실패의 회복 방법 흐름도 2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구조도 1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네트워크 기기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구조도 2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의 구조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결부시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부의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토대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얻어지는 모든 기타 실시예들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출원의 설명과 청구항에서 용어 ‘포함’ 또는 기타 임의의 변체는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괄하며, 예컨대,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과정, 방법, 시스템, 물품 또는 기기는, 명시적으로 열거한 그런 단계 및 유닛에만 한정될 것이 아니라,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에 고유한 기타 단계 또는 유닛을 더 포함하도록 할 것을 의도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및/또는" 은 연결 대상의 적어도 하나임을 나타내며, 예컨대 "A 및/또는 B는 개별 A, 개별 B, 및 A와 B가 공존하는 3가지 경우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또는 "예컨대" 는 예시 및 설명을 위해 사용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또는 "예컨대"로 설명한 임의의 실시예 또는 설계 방안은 기타 실시예 또는 설계 방안보다 더욱 선택 가능한 것이거나 또는 더욱 우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구체적으로, "예시적인" 또는 "예컨대" 등 단어는 구체적 방식으로 관련 개념을 제시할 수 있다.
본문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장기 진화형(Long Time Evolution,LTE)/LTE의 진화(LTE-Advanced,LTE-A)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코드 분할 멀티 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CDMA), 시간 분할 멀티 액세스(Time Division Multiple Access,TDMA), 주파수 분할 멀티 액세스(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FDMA),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 액세스(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OFDMA), 싱글 반송파 주파수 분할 멀티 액세스(Single-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SC-FDMA) 및 기타 시스템과 같은 각종 무선 통신 시스템에도 사용될 수 있다. 용어 "시스템" 및 "네트워크"는 통상적으로 상호 교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CDMA 시스템은 예컨대 CDMA2000, 범용 지상 무선 전기 액세스(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UTRA)등과 같은 무선 전기 기술들을 실현할 수 있다. UTRA는 광대역 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WCDMA) 및 기타 CDMA 변체를 포함한다. TDMA 시스템은 예컨대 글로벌 이동 통신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GSM)과 같은 무선 전기 기술들을 실현할 수 있다. OFDMA 시스템은 예컨대 울트라 이동 광대역(Ultra Mobile Broadband,UMB), 진화형 UTRA(Evolution-UTRA,E-UTRA),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Flash-OFDM 등과 같은 무선 전기 기술을 실현할 수 있다. UTRA 및 E-UTRA는 범용 이동 전기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UMTS)의 일부분이다. LTE 및 더 높은 레벨의 LTE(예컨대 LTE-A)는 E-UTRA의 뉴 UMTS 버전을 사용한 것이다. UTRA, E-UTRA, UMTS, LTE, LTE-A 및 GSM은 "제3 대 파트너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3GPP)로 불리는 그룹의 문헌에서 설명된 것들이다. CDMA2000 및 UMB는 "제3 대 파트너 프로젝트 2"(3GPP2)로 불리는 그룹의 문헌에서 설명된 것들이다. 본문에서 설명된 기술은 위에서 제기된 시스템 및 무선 전기 기술에 사용될 수 있고, 기타 시스템 및 무선 전기 기술에도 사용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도면을 결부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해 소개하려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접속 실패의 회복 방법 및 기기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응용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5 대 이동 통신 기술(fifth-generation,5G)을 채용한 시스템일 수 있고, 또는 진화형 장기 진화(Evolved Long Term Evolution,eLTE) 시스템이거나, 또는 후속으로 진화될 통신 시스템일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아키텍처 예시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두개의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12)를 포함하며, 그 중, 적어도 두개의 네트워크 기기는: 제1 네트워크 기기(10) 및 제2 네트워크 기기(11)를 포함할 수 있고, 단말 기기(12)는 제1 네트워크 기기(10) 및 제2 네트워크 기기(11)와 통신(시그널링을 전송하거나 또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실제 응용에서 상술한 각각의 기기 사이의 연결은 무선 연결일 수 있고, 직관적으로 각각의 기기 사이의 연결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도 1에서는 실선으로 나타낸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술한 통신 시스템은 복수 개의 단말 기기(12)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네트워크 기기(10) 및 제2 네트워크 기기(11)는 복수 개의 단말 기기(12)와 통신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술한 통신 시스템 중의 제1 네트워크 기기(10) 및 제2 네트워크 기기(11)는 기지국일 수 있으며, 상기 기지국은 범용으로 사용하는 기지국일 수 있고, 진화형 기지국(evolved node base station,eNB)일 수도 있으며, 또한 5G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기기(예컨대, 차세대 기지국(next generation node base station,gNB) 또는 송신 및 수신 포인트(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TRP)) 등과 같은 기기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 기기(12)는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울트라 모바일 개인용 컴퓨터(Ultra-Mobile Personal Computer,UMPC), 인터넷 노트북 또는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등일 수 있다.
도 1은 듀어 접속(Dual Connectivity,DC) 시나리오를 나타내고, 듀어 접속은 장기 진화(Long Term Evolution,LTE)중에서 도입된 기술이고, 또한 뉴 라디오(New Radio,NR)에도 사용된다. 듀어 접속은 단말 기기가 두개의 기지국에 동시에 연결될 수 있으며, 두개의 기지국에서 단말 기기를 위해 데이터 송수신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두개의 기지국의 무선 자원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기에, 단말 기기의 트래픽 데이터 전송 속도는 배로 향상된다. 동일한 하나의 단말 기기를 위해 서비스하는 두개의 기지국 사이에는 시그널링 인터페이스가 있고, 예하면: 두개의 기지국은 관련되는 단말 기기의 배치 정보를 상호 교환한다.
듀어 접속 단말 기기의 서비스 기지국은 동일한 하나의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RAT)에 속할 수 있고; 또는, 듀어 접속 단말 기기의 서비스 기지국은 또한 상이한 RAT에 속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에서 제1 네트워크 기기(10) 및 제2 네트워크 기기(11)는 모두 LTE eNB일 수 있고, 또는 제1 네트워크 기기(10)는 LTE eNB일 수 있으며, 제2 네트워크 기기(11)는 NR gNB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임의의 타입으로 조합된 듀어 접속 기지국에 적용될 수 있으며, 도 1에서의 제1 네트워크 기기(10) 및 제2 네트워크 기기(11)의 타입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듀어 접속 단말 기기의 서비스 기지국중에서 하나는 마스터 기지국(Master Node,MN)이고, 또 다른 하나는 세컨더리 기지국(Secondary Node,SN)이며, 예컨대: 도 1에서 제1 네트워크 기기(10)는 마스터 기지국(Master Node,MN )일 수 있고, 제2 네트워크 기기(11)는 세컨더리 기지국(Secondary Node,SN)일 수 있으며, 물론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마스터 셀 그룹은 듀어 접속 중 해당 마스터 기지국과 관련되는 하나의 그룹의 서비스 셀이고, 세컨더리 셀 그룹은 듀어 접속 중 해당 세컨더리 기지국과 관련되는 하나의 그룹의 서비스 셀이다.
듀어 접속 단말 기기의 서비스 기지국 중의 각 기지국은 모두 반송파 중합(Carrier Aggregation,CA)을 지원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듀어 접속 단말 기기를 위해 두개의 스페셜 셀(special cell)을 배치하고, 즉 MN의 하나의 서비스 셀을 배치하여 단말 기기의 마스터 셀(Primary Cell,PCell)로 확정하고, SN의 하나의 서비스 셀을 배치하여 마스터 세컨더리 셀(Primary Secondary Cell,PScell)로 확정한다. 단말 기기를 위해 서비스하는 기타 셀은 해당 단말 기기의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Scell)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듀어 접속 시나리오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또한 멀티 접속 시나리오에도 적용되며, 멀티 접속은 두개 이상의 기지국이 동일한 하나의 단말 기기를 위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멀티 접속 기지국의 타입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듀어 접속 시나리오와 유사하게, 듀어 접속 단말 기기의 서비스 기지국중에서 하나는 마스터 기지국(Master Node)이고, 기타는 세컨더리 기지국(Secondary Node)이다. 마스터 셀 그룹은 멀티 접속 중 해당 마스터 기지국과 관련되는 하나의 그룹의 셀이고, 세컨더리 셀 그룹은 멀티 접속 중 해당 세컨더리 기지국과 관련되는 하나의 그룹의 서비스 셀이다.
듀어 접속 또는 멀티 접속 시나리오에서, 만약 MCG의 다운링크 채널 조건이 바람직하지 않아 MCG 실패가 발생할 때,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통해, 단말 기기는 MCG 실패의 원인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의 행위를 확정할 수 있으며, 단말 기기로 하여금 상응한 접속 실패 회복 조작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접속 실패의 회복 방법을 제공하며, 해당 방법의 수행 주체는 단말 기기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단계는 아래와 같다.
단계 201: MCG 실패의 원인을 확정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MCG 실패의 원인은:
(1) 시그널링 무선 베어링(Signaling Radio Bearers,SRB) 완전성 보호 실패(SRB Integrity check failure);
(2)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RRC) 재배치 실패(RRC Reconfiguration failure);
(3) 제1 스위칭 명령을 토대로 한 스위칭 실패(Handover failure,HOF)- 그 중 제1 스위칭 명령에 SCG 배치가 포함함 -;
(4) 업링크 전송의 횟수가 도어 임계치를 초과 - 예컨대 업링크 전송이 최대 횟수를 달성함 -;
(5) 랜덤 액세스 채널(Random Access Channel,RACH) 송신 실패;
(6) 무선 링크 실패(Radio link failure, RLF);
(7) 제2 스위칭 명령을 토대로 한 스위칭 실패 - 그 중 제2 스위칭 명령에 SCG 배치가 포함되지 않음 -;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단계 202: MCG 실패의 원인에 따라, 상응한 접속 실패 회복 처리를 진행하고, 및/또는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보고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MCG 실패의 원인은 제1 원인일 때, MCG의 재구축 플로우 또는 상기 단말 기기의 재구축 플로우를 트리거하며;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MCG 실패의 원인은 제1 원인일 때, MCG의 재구축(Re-establishment) 또는 상기 단말 기기의 재구축 플로우(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procedure)를 트리거하며;
상기 MCG 실패의 원인은 제2 원인일 때, MCG의 재구축 플로우 또는 상기 단말 기기의 재구축 플로우를 트리거하지 않고, 및 MCG에 대해 일시정지 (suspend) 조작을 진행하며, 그 중, MCG의 suspend 행위는: MCG가 베어링하는 부분의 업링크 송신 및 다운링크 수신을 종료하거나, 및/또는, 베어링하는 MCG 부분의 업링크 송신 및 다운링크 수신을 분할(split)하는 행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중, 제1 원인은: SRB 완전성 보호 실패; RRC 재배치 실패; 제1 스위칭 명령을 토대로 한 스위칭 실패 - 그 중, 상기 제1 스위칭 명령에 SCG 배치가 포함됨 -; 업링크 전송의 횟수가 도어 임계치를 초과; 및 랜덤 액세스 채널(RACH) 송신 실패;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MCG 실패의 원인은 제2 원인일 때: MCG의 재구축 플로우 또는 상기 단말 기기의 재구축 플로우를 트리거하지 않는 단계; MCG에 대해 일시정지(suspend) 조작을 진행하는 단계; SCG을 서비스하는 네트워크 기기에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그 중, 제2 원인은: 무선 링크 실패, 제2 스위칭 명령을 토대로 한 스위칭 실패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제2 스위칭 명령에는 SCG 배치가 포함되지 않으며, 그 중, MCG의 suspend 조작은: MCG가 베어링하는 부분의 업링크 송신 및 다운링크 수신을 종료하거나, 및/또는, 베어링하는 MCG 부분의 업링크 송신 및 다운링크 수신을 분할(split)하는 조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에 MCG 실패의 원인 값(Cause value)이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원인 값은: 제1 값, 제2 값 및 제3 값을 포함할 수 있고, 그 중, 제1 값은 무선 링크 실패를 표시하는바, 예컨대, 제1 값은 RLF이며; 상기 제2 값은 스위칭 실패를 표시하는바, 예컨대: 제2 값은 HOF이며; 상기 제3 값은: T304 타이머 타임아웃, T301 타이머 타임아웃, 업링크 전송이 최대 횟수를 달성, RACH 송신 실패 중 적어도 한 항을 표시하는바, 예컨대: 제3 값은 T304 타이머 타임아웃을 표시할 때, 제3 값은 T304 expiry이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값, 제2 값 및 제3 값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MCG 실패가 발생할 때, 단말 기기는 MCG 실패의 원인에 따라, 해당 단말 기기의 행위를 확정할 수 있으며, 단말 기기로 하여금 상응한 접속 실패 회복 조작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접속 실패의 회복 방법을 제공하며, 해당 방법의 수행 주체는 제1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단계는 아래와 같다.
단계 301: 단말 기기에서 송신한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수신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에 MCG 실패의 원인 값(Cause value)이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원인 값은: 제1 값, 제2 값 및 제3 값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고, 그 중, 제1 값은 무선 링크 실패를 표시하는바, 예컨대, 제1 값은 RLF이며; 상기 제2 값은 스위칭 실패를 표시하는바, 예컨대: 제2 값은 HOF이며; 상기 제3 값은: T304 타이머 타임아웃, T301 타이머 타임아웃, 업링크 전송이 최대 횟수를 달성, RACH 송신 실패 중 적어도 한 항을 표시하는바, 예컨대: 제3 값은 T304 타이머 타임아웃을 표시할 때, 제3 값은 T304 expiry이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값, 제2 값 및 제3 값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단계 302: 제2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네트워크 기기에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송신한다.
그 중, 제1 네트워크 기기는 SCG를 서비스하고, 제2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MCG를 서비스하며, 상기 제3 네트워크 기기는 타겟 MCG를 서비스하며;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는 SCG를 서비스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기기는 타겟 MCG를 서비스하며, 상기 제3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MCG를 서비스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단계 302에서,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 중의 MCG 실패의 원인 값 따라, 제2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송신한다.
그 중, MCG 실패의 원인 값은 상기 제1 값(예컨대: RLF) 또는 제3 값(예컨대: T304 expiry)일 때,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MCG 실패의 원인 값은 제2 값(예컨대: HOF)일 때, 상기 제3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송신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SCG를 서비스하는 제1 네트워크 기기는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소스 MCG를 서비스하는 제2 네트워크 기기 또는 타겟 MCG를 서비스하는 제3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하며, 네트워크측의 행위를 명확히 하였다.
실시예 1:
단계 1: 단말 기기는 MCG 실패하였음을 판단하였을 때, MCG 실패 원인의 상이한 선택에 따라 상이한 행위를 트리거하며, 단계 1은:
첫번째 행위: 단말 기기는 MCG의 재구축 플로우 또는 상기 단말 기기의 재구축 플로우를 트리거하는 것; 을 포함한다. MCG 실패의 원인은:
(1) SRB 완전성 보호 실패(SRB Integrity check failure);
(2) RRC 재배치 실패(RRC Reconfiguration failure);
(3) 스위칭 명령을 토대로 한 스위칭 실패(Handover failure,HOF)- 그 중 스위칭 명령에 SCG 배치가 포함함 -;
(4) 업링크 전송의 횟수가 도어 임계치를 초과;
(5) RACH 송신 실패; 중 임의의 한 항을 포함한다.
두번째 행위는: 단말 기기는 MCG의 재구축 플로우 또는 상기 단말 기기의 재구축 플로우를 트리거하지 않으며; MCG에 대해 일시정지 조작을 진행하며; SCG에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보고하는 행위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MCG failure의 원인은:
(1) 무선 링크 실패(Radio link failure,RLF);
(2) 스위칭 명령을 토대로 한 스위칭 실패(Handover failure,HOF), 그 중 스위칭 명령에 SCG 배치가 포함되지 않는 것인;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단계 2: 단계 1 중 단말 기기의 두번째 행위에 따라, 진일보하여 단말 기기는 SCG에 보고한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중에 MCG 실패의 원인 값을 캐리할 수 있으며, 예컨대, MCG 실패의 원인 값은:
(1) RLF, 무선 링크 실패를 표시하며;
(2) HOF, 스위칭 실패를 표시하며;
(3) T304 expiry , T304 타이머 타임아웃을 표시하는 것; 중 임의의 한 항을 포함한다.
단계 3: SCG는 보고된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수신할 때, MCG 실패의 원인 값에 따라,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소스 MCG 또는 타겟 MCG에 전송하는 단계이며, 예컨대:
MCG 실패의 원인 값은 RLF 또는 T304 expiry와 같을 때,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소스 MCG에 전송하며;
MCG 실패의 원인 값은 HOF와 같을 때,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타겟 MCG에 전송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를 더 제공하며, 단말 기기가 문제를 해결하는 취지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 실패의 회복 방법과 유사하기에, 해당 단말 기기의 실시는 방법의 실시를 참조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더 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를 더 제공하며, 상기 이동 단말(400)은:
MCG 실패의 원인을 확정하기 위한 확정 모듈(401); 및
상기 MCG 실패의 원인에 따라, 상응한 접속 실패 회복 처리를 진행하고, 및/또는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처리 모듈(402); 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처리 모듈(402)은 진일보하여: MCG 실패의 원인은 제1 원인일 때, MCG의 재구축 플로우 또는 상기 단말 기기의 재구축 플로우를 트리거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제1 원인은: SRB 완전성 보호 실패; RRC 재배치 실패; 제1 스위칭 명령을 토대로 한 스위칭 실패 - 그 중, 상기 제1 스위칭 명령에 SCG 배치가 포함됨 -; 업링크 전송의 횟수가 도어 임계치를 초과; 및 랜덤 액세스 채널(RACH) 송신 실패;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처리 모듈(402)은 진일보하여: MCG 실패의 원인은 제2 원인일 때, MCG의 재구축 플로우를 트리거하지 않기 위한 것이며; 상기 MCG 실패의 원인은 제2 원인일 때, MCG에 대해 일시정지 (suspend) 조작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MCG 실패의 원인은 제2 원인일 때, SCG를 서비스하는 네트워크 기기에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제2 원인은: 무선 링크 실패, 제2 스위칭 명령을 토대로 한 스위칭 실패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그 중, 제2 스위칭 명령에 SCG 배치가 포함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에 MCG 실패의 원인 값이 포함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원인 값은: 제1 값, 제2 값 및 제3 값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고, 그 중, 상기 제1 값은 무선 링크 실패를 표시하고, 상기 제2 값은 스위칭 실패를 표시하며, 상기 제3 값은: T304 타이머 타임아웃, T301 타이머 타임아웃, 업링크 전송이 최대 횟수를 달성, RACH 송신 실패 중 적어도 한 항을 표시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 기기는, 상술한 방법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고, 구현 취지와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며, 본 개시는 이에 대해 더 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제1 네트워크 기기를 더 제공하며, 제1 네트워느 기기가 문제를 해결하는 취지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 실패의 회복 방법과 유사하기에, 해당 제1 네트워크 기기의 실시는 방법의 실시를 참조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더 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제1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500)는:
단말 기기에서 송신한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501); 및
제2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502); 을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는 SCG를 서비스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MCG를 서비스하며, 상기 제3 네트워크 기기는 타겟 MCG를 서비스하며;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는 SCG를 서비스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기기는 타겟 MCG를 서비스하며, 상기 제3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MCG를 서비스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에 MCG 실패의 원인 값이 포함되며; 상기 송신 모듈(502)은 진일보하여: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중에서 MCG 실패의 원인 값에 따라, 제2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네트워크 기기에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원인 값은: 제1 값, 제2 값 및 제3 값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고, 그 중, 상기 제1 값은 무선 링크 실패를 표시하고, 상기 제2 값은 스위칭 실패를 표시하며, 상기 제3 값은: T304 타이머 타임아웃, T301 타이머 타임아웃, 업링크 전송이 최대 횟수를 달성, RACH 송신 실패 중 적어도 한 항을 표시한다.
상기 송신 모듈(502)은 진일보하여: MCG 실패의 원인은 제1 값 또는 제3 값일 때, 제2 네트워크 기기에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MCG 실패의 원인은 제2 값일 때, 제3 네트워크 기기에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제1 네트워크 기기는, 상술한 방법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고, 구현 취지와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며, 본 개시는 이에 대해 더 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도 6에서 도시하다 시피, 도 6에서 도시된 단말 기기(6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601), 메모리(602),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04)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603)를 포함한다. 단말 기기(600) 중의 각각의 컴포넌트들은 버스 시스템(605)을 통해 함께 연결된다. 버스 시스템(605)은 이러한 컴포넌트 사이의 통신 접속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버스 시스템(605)은 데이터 버스를 포함하는 외에, 전원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더 포함한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6에서는 다양한 버스들을 모두 버스 시스템(605)으로 표시한다.
그 중, 사용자 인터페이스(603)는, 디스플레이, 키보드 또는 클릭 기기(예컨대,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중의 메모리(602)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거나, 또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양자 모두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ROM), 프로그래머블 판독 메모리(Programmable ROM,PROM), 소거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메모리(Erasable PROM,EPROM), 전기 소거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RAM)로서, 외부 고속 캐시일 수 있다. 예시적인 것이지만, 제한적인 것은 아니지만, 다수의 형태의 RAM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DRAM), 동기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화 다이내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DDRSDRAM), 강화형 동기화 다이내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ESDRAM), 동기화 접속 다이내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SLDRAM), 및 직접 메모리 버스 랜덤 접속망 메모리(Direct Rambus RAM,DRRAM) 와 같은 형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 실시예에 기술된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른 메모리(602)는 이러한 메모리 및 임의의 다른 적합한 형태의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602)는 하기의 요소를 저장하여, 모듈 또는 데이터 구조, 또는 그들의 서브 집합, 또는 그들의 확장 집합을 실현할 수 있으며, 메모리의 요소에는 작업 시스템(6021)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22)이 포함된다.
여기서 작업 시스템(6021)은, 각종 베이스 서비스와 하드웨어 기반 태스크를 실현하기 위한 프레임층, 코어 라이브러리 층, 구동 층 등과 같은 다양한 시스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22)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해,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브라우저(Browser) 등과 같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22)에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메모리(602)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호출하는 것을 통해,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22)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호출하여, 수행할 때: MCG 실패의 원인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MCG 실패의 원인에 따라, 상응한 접속 실패 회복 처리를 진행하고, 및/또는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 를 구현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 기기는, 상술한 방법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고, 구현 취지와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며, 본 개시는 이에 대해 더 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응용될 네트워크 기기의 구조도이며,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기기(700)는: 프로세서(701), 송수신기(702), 메모리(703)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그 중: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700)는: 메모리(703)에 저장되어 프로세서(701)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701)에 의해 실행될 때: 단말 기기에서 송신한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2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구현하며, 그 중, 네트워크 기기(700)는 SCG를 서비스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MCG를 서비스하며, 상기 제3 네트워크 기기는 타겟 MCG를 서비스한다.
도 7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스는 프로세서(701)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703)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를 함께 연결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기기,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함께 연결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이므로, 본문에서는 더 이상 이에 대해 진일보하여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702)는 하나의 소자일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소자일 수 있는바,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하여, 전송 매체 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프로세서(701)는 버스 아키텍처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고, 메모리(703)는 프로세서(701)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기는, 상술한 방법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고, 구현 취지와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며, 본 개시는 이에 대해 더 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 단계를 결합하여, 하드웨어 방식으로 실현할 수 있으며, 또는 소프트웨어 명령을 프로세서에서 실행하는 방식으로 실현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명령은 상응한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플래시 메모리, ROM, EPROM, EEPROM,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모바일 하드 디스크, 판독 디스크, 또는 본영역에 널리 알려져 있는 기타 임의의 형식의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일종의 실시예의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어,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게 하고, 해당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게 한다. 물론,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의 구성 부분일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위치될 수 있다. 그외, 해당 ASIC은 코어망 인터페이스 기기에 위치할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디스크리트 컴포넌트(discrete components)로서 코어망 인터페이스 기기중에 존재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상술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실시예에서, 본개시에서 설명한 기능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실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실현할 경우, 이러한 기능을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상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명령 또는 코드로 송신을 진행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와 통신 매체를 포함하며, 통신 매체는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용이하게 컴퓨터 프로그램을 송신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일반적으로 범용 또는 전용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할 수 있는 임의의 사용 가능 매체일 수 있다.
이상,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이며,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과제, 기술방안 및 유익한 효과에 대해 진일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며, 이상은 본개시의 구체적인 실시예일 뿐,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의 특정 기술적 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수정, 등가 교체, 변경될 수 있으며, 이는 응당 본 개시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개시의 실시예는 방법,시스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완전히 하드웨어 실시예,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결합한 실시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컴퓨터 사용 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 컴퓨터 사용 가능 저장 매체(디스크 메모리, CD-ROM, 광학 메모리 등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음)상에서 실시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따른 방법, 기기(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플로우 차트 및/또는 블록도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으로 플로우 차트 및/또는 블록도중의 각 플로우 및/또는 블록을 실현하고, 및 플로우 차트 및/또는 블록도의 플로우 및/또는 블록의 결합으로 실현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기계를 생성하기 위한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임베딩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기기의 프로세서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로하여,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기기의 프로세서를 통하여 실행되는 명령이 플로우 차트에서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플로우 및/또는 블록도에서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블록에 지정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생성하도록 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기기를 특정 방식으로 작업하도록 인도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어, 해당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이 명령 장치의 제조품을 생성하고, 해당 명령 장치는 플로우 차트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플로우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블록에 지정된 기능을 실현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기기에도 적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기기에서 일련의 작업 단계를 실행하여 컴퓨터가 실현한 처리를 생성함으로서, 나아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기기상에서 실행한 명령이 플로우 차트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플로우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블록에 지정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단계를 제공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해 본 개시의 정신 및 특허청구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개변 및 변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렇게, 본개시의 실시예의 이러한 개변 및 변형은 본 개시의 청구범위 및 그와 동등한 기술 범위 내에 속하며, 본 개시에서는 이러한 개변 및 변형을 청구범위 내에 귀속 시키고자 한다.

Claims (15)

  1. 단말 기기에 응용되는 접속 실패의 회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마스터 셀 그룹(MCG) 실패의 원인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MCG 실패의 원인에 따라, 상응한 접속 실패 회복 처리를 진행하는 것, 및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보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MCG 실패의 원인에 따라, 상응한 접속 실패 회복 처리를 진행하는 것, 및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보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는,
    EN-DC 또는 NGEN-DC 중에서, 상기 MCG 실패의 원인이 제2 원인일 때,
    MCG의 재구축 플로우 또는 상기 단말 기기의 재구축 플로우를 트리거하지 않는 단계;
    MCG에 대해 일시정지 (suspend) 조작을 진행하는 단계; 및
    세컨더리 셀 그룹(SCG)을 서비스하는 네트워크 기기에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원인은: 무선 링크 실패, 제2 스위칭 명령을 토대로 한 스위칭 실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스위칭 명령에 SCG 배치가 포함되지 않는 것인; 접속 실패의 회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MCG 실패의 원인에 따라, 상응한 접속 실패 회복 처리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MCG 실패의 원인은 제1 원인일 때, MCG의 재구축 플로우 또는 상기 단말 기기의 재구축 플로우를 트리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원인은:
    시그널링 무선 베어링(SRB) 완전성 보호 실패;
    무선 자원 제어(RRC) 재배치 실패;
    제1 스위칭 명령을 토대로 한 스위칭 실패 - 상기 제1 스위칭 명령에는 세컨더리 셀 그룹(SCG) 배치가 포함됨 -;
    업링크 전송의 횟수가 도어 임계치를 초과; 및
    랜덤 액세스 채널(RACH) 송신 실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접속 실패의 회복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에 MCG 실패의 원인 값이 포함되는,
    접속 실패의 회복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원인 값은: 제1 값, 제2 값 및 제3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값은 무선 링크 실패를 표시하고, 상기 제2 값은 스위칭 실패를 표시하며, 상기 제3 값은: T304 타이머 타임아웃, T301 타이머 타임아웃, 업링크 전송이 최대 횟수를 달성, 및 RACH 송신 실패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것인;
    접속 실패의 회복 방법.
  5. 제1 네트워크 기기에 응용되는 접속 실패의 회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에서 송신한 마스터 셀 그룹(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2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는 세컨더리 셀 그룹(SCG)을 서비스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MCG를 서비스하며, 상기 제3 네트워크 기기는 타겟 MCG를 서비스하며;
    상기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EN-DC 또는 NGEN-DC 중의 MCG 실패의 원인에 따라 보고한 것이며,
    상기 MCG 실패의 원인은: 무선 링크 실패, 제2 스위칭 명령을 토대로 한 스위칭 실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스위칭 명령에 SCG 배치가 포함되지 않는 것인;
    접속 실패의 회복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는 MCG 실패의 원인 값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 중의 MCG 실패의 원인 값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접속 실패의 회복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원인 값은: 제1 값, 제2 값 및 제3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값은 무선 링크 실패를 표시하고, 상기 제2 값은 스위칭 실패를 표시하며, 상기 제3 값은: T304 타이머 타임아웃, T301 타이머 타임아웃, 업링크 전송이 최대 횟수를 달성, RACH 송신 실패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며;
    상기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 중의 MCG 실패의 원인 값에 따라, 제2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MCG 실패의 원인 값은 상기 제1 값 또는 제3 값일 때, 상기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MCG 실패의 원인 값은 상기 제2 값일 때, 상기 제3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접속 실패의 회복 방법.
  8. 단말 기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마스터 셀 그룹(MCG) 실패의 원인을 확정하기 위한 확정 모듈; 및
    상기 MCG 실패의 원인에 따라, 상응한 접속 실패 회복 처리를 진행하는 것, 및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보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처리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EN-DC 또는 NGEN-DC 중에서, 상기 MCG 실패의 원인이 제2 원인일 때,
    MCG의 재구축 플로우 또는 상기 단말 기기의 재구축 플로우를 트리거하지 않는 단계;
    MCG에 대해 일시정지 (suspend) 조작을 진행하는 단계; 및
    세컨더리 셀 그룹(SCG)을 서비스하는 네트워크 기기에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원인은: 무선 링크 실패, 제2 스위칭 명령을 토대로 한 스위칭 실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스위칭 명령에 SCG 배치가 포함되지 않는 것인;
    단말 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MCG 실패의 원인은 제1 원인일 때, MCG의 재구축 플로우 또는 상기 단말 기기의 재구축 플로우를 트리거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원인은: 시그널링 무선 베어링(SRB) 완전성 보호 실패; 무선 자원 제어((RRC) 재배치 실패; SCG 배치가 포함된 제1 스위칭 명령을 토대로 한 스위칭 실패; 업링크 전송의 횟수가 도어 임계치를 초과; 및 랜덤 액세스 채널(RACH) 송신 실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단말 기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에 MCG 실패의 원인 값이 포함되는;
    단말 기기.
  11. 제1 네트워크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에서 송신한 마스터 셀 그룹(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및
    제2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는 세컨더리 셀 그룹(SCG)을 서비스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기기는 소스 MCG를 서비스하며, 상기 제3 네트워크 기기는 타겟 MCG를 서비스하며;
    상기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EN-DC 또는 NGEN-DC 중의 MCG 실패의 원인에 따라 보고한 것이며,
    상기 MCG 실패의 원인은: 무선 링크 실패, 제2 스위칭 명령을 토대로 한 스위칭 실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스위칭 명령에 SCG 배치가 포함되지 않는 것인;
    제1 네트워크 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는 MCG 실패의 원인 값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 중의 MCG 실패의 원인 값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MCG 실패와 관련되는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인,
    제1 네트워크 기기.
  13.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접속 실패의 회복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14. 삭제
  15. 삭제
KR1020217006776A 2018-08-08 2019-08-06 접속 실패의 회복 방법 및 기기 KR1024558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898696.2A CN110831254B (zh) 2018-08-08 2018-08-08 连接失败恢复的方法和设备
CN201810898696.2 2018-08-08
PCT/CN2019/099344 WO2020029936A1 (zh) 2018-08-08 2019-08-06 连接失败恢复的方法和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0131A KR20210040131A (ko) 2021-04-12
KR102455839B1 true KR102455839B1 (ko) 2022-10-17

Family

ID=69413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6776A KR102455839B1 (ko) 2018-08-08 2019-08-06 접속 실패의 회복 방법 및 기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10168889A1 (ko)
EP (1) EP3836736A4 (ko)
JP (2) JP7288953B2 (ko)
KR (1) KR102455839B1 (ko)
CN (1) CN110831254B (ko)
AU (1) AU2019318317B2 (ko)
CA (1) CA3108825C (ko)
RU (1) RU2764279C1 (ko)
SG (1) SG11202101272PA (ko)
WO (1) WO20200299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22190B1 (en) 2018-12-12 2020-07-03 Douwe Egberts Bv Air purge groove
BR112021012424A2 (pt) * 2019-01-25 2021-09-08 Zte Corporation Método e aparelho para reportar falha no grupo de células-mestre
US20220151005A1 (en) * 2019-02-20 2022-05-12 Nokia Technologies Oy Failure recovery for multi-ue device
CN113678568A (zh) * 2019-11-07 2021-11-19 谷歌有限责任公司 管理mcg快速恢复
WO2021195911A1 (en) * 2020-03-31 2021-10-07 Qualcomm Incorporated Connecting to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service in non-standalone mode
CN115280845B (zh) * 2020-04-01 2023-10-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小区切换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518471A (zh) * 2020-04-10 2021-10-19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通信装置
CN113543244B (zh) * 2020-04-20 2022-09-2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切换指示方法、mn及存储介质
CN114071551B (zh) * 2020-04-22 2024-04-19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通信节点中的方法和装置
EP4124159A4 (en) * 2020-04-22 2023-09-27 Shanghai Langbo Communication Technology Company Limited METHOD AND DEVICE USED AS A COMMUNICATION NODE FOR WIRELESS COMMUNICATION
CN113691986B (zh) * 2020-05-15 2023-09-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完整性保护失败的处理方法、装置和用户设备
WO2021237701A1 (en) * 2020-05-29 2021-12-02 Qualcomm Incorporated Fast recovery in non-standalone mode wireless communication
CN113766585B (zh) * 2020-06-05 2023-03-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Mcg挂起方法、装置、用户设备及网络设备
CN114071597B (zh) * 2020-07-31 2023-07-1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4080064A (zh) * 2020-08-13 2022-02-22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通信节点中的方法和装置
CN112449407B (zh) * 2020-11-19 2023-09-1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设备接入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7501744A (zh) * 2022-05-31 2024-02-0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失败信息的传输方法及装置
CN117499217A (zh) * 2022-08-02 2024-02-02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支持自配置自优化的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919238D0 (en) * 2009-11-03 2009-12-16 Nokia Siemens Networks Oy Radio link failure
CN102457941B (zh) * 2010-10-25 2015-01-07 联芯科技有限公司 一种发起无线资源管理器连接重建的方法及终端
KR102163994B1 (ko) * 2012-12-24 2020-10-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의 빠른 복구를 지원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4349361B (zh) * 2013-08-06 2019-05-17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用于无线资源控制连接的方法及装置
CN104468029A (zh) * 2013-09-18 2015-03-25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移动终端通信方法、装置及相关设备
CN103959842B (zh) * 2013-12-04 2017-11-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进行无线资源控制连接重建的方法和基站
KR102184585B1 (ko) * 2014-03-21 2020-11-30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이중 연결을 고려한 전력 제한 상황에서의 pusch/pucch 전력 스케일링 방법 및 그 장치
CN108207010B (zh) * 2016-12-20 2022-07-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链路管理的方法及装置、系统
US10484931B2 (en) * 2016-12-23 2019-11-19 Ofinno, Llc Licensed assisted access radio link failure
KR102388500B1 (ko) * 2017-06-15 2022-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듀얼 rrc 시스템에서 이동성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11165632B2 (en) * 2018-05-10 2021-11-0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re-establishing RRC connection procedure and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102628038B1 (ko) * 2018-06-22 2024-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링크 실패 보고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703655*
3GPP R2-1800236
3GPP R2-1807079
3GPP R2-1808593*
3GPP R2-180954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9318317A1 (en) 2021-04-01
JP2021533675A (ja) 2021-12-02
US20210168889A1 (en) 2021-06-03
EP3836736A4 (en) 2021-10-06
EP3836736A1 (en) 2021-06-16
CA3108825A1 (en) 2020-02-13
KR20210040131A (ko) 2021-04-12
JP7288953B2 (ja) 2023-06-08
CN110831254B (zh) 2021-11-16
SG11202101272PA (en) 2021-03-30
CN110831254A (zh) 2020-02-21
JP7416989B2 (ja) 2024-01-17
CA3108825C (en) 2024-02-13
JP2023053259A (ja) 2023-04-12
WO2020029936A1 (zh) 2020-02-13
RU2764279C1 (ru) 2022-01-17
AU2019318317B2 (en)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5839B1 (ko) 접속 실패의 회복 방법 및 기기
CN110022224B (zh) 一种数据的处理方法、用户侧设备及网络侧设备
US10772155B2 (en) Radio link failure handling method and related product
JP2021193804A (ja) ネットワーク接続の復旧装置
CN109560946B (zh) 数据传输失败的处理方法及装置
US20210014865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ource node and target node
CN110839300B (zh) 连接处理方法及设备
CN111107593A (zh) 一种用于链路失败恢复的方法、用户侧设备和网络侧设备
EP4171116A1 (en) Cell group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device
KR20210150529A (ko) 처리 방법 및 장치
US20210022124A1 (en) Resource determining method and apparatus, and resource indic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12399503B (zh) 链路失败报告传输的方法和装置
JP7046960B2 (ja) 情報伝送方法、機器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US1103281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s apparatus
EP3829223B1 (en) Service node updating method and device
KR20220166306A (ko) 실패 보고를 위한 방법 및 장치
EP4277328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secondary cell group deactivated state, and device and medium
WO2017096588A1 (zh) Rnc迁移方法、rnc及rnc迁移系统
CN104080137A (zh) 小区切换的方法和用户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