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5321B1 - 오픈마켓 상품 페이지의 저작권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오픈마켓 상품 페이지의 저작권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5321B1
KR102455321B1 KR1020200098530A KR20200098530A KR102455321B1 KR 102455321 B1 KR102455321 B1 KR 102455321B1 KR 1020200098530 A KR1020200098530 A KR 1020200098530A KR 20200098530 A KR20200098530 A KR 20200098530A KR 102455321 B1 KR102455321 B1 KR 102455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e
product
content
guide
manufactu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8254A (ko
Inventor
김진선
Original Assignee
김진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선 filed Critical 김진선
Priority to KR1020200098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321B1/ko
Publication of KR20220018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Handling legal document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는 오픈마켓 상품 페이지의 저작권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를 제공받을 제조사로부터 제조사의 상품 카테고리, 제조사의 상품 정보, 제조사의 대리점 정보 및 제조사의 저작권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제조사 정보 저장부; 오픈마켓에 업로드 되는 판매자 별 상품 페이지 중 상기 제조사의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상품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페이지 수집부; 상기 제1 상품 페이지 내에 포함된 페이지 콘텐츠를 판별하는 페이지 분석부; 및 상기 판별된 페이지 콘텐츠와 상기 저장된 저작권 콘텐츠를 비교하여 상기 판매자에게 상기 제1 상품 페이지에 포함된 저작권 위반 콘텐츠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가이드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픈마켓 상품 페이지의 저작권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FOR DETECTING VIOLATION OF COPYRIGHT GUIDE ON PRODUCT PAGE OF ONLINE MARKETPLACE}
본 발명은 오픈마켓 상품 페이지의 저작권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픈마켓이란 상품을 구매 또는 판매할 수 있는 기회가 개방되어 있는 온라인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일컫는다. 오픈마켓은 서비스 운영사가 거래에 관여하지 않고 플랫폼만 제공하는 중개자의 역할만 한다는 점에서, 운영사가 자신의 상품을 직접 판매하는 자사몰 형태의 전자상거래 형태와 구분되기도 한다. 이러한 오픈마켓은 네이버스토어, 옥션, 지마켓, 11번가, 인터파크 등의 국내 오픈마켓 뿐만 아니라, 타오바오(중국), 티쿤(일본), 아마존(미국) 등의 해외 오픈마켓 등이 있어 판매자는 다양한 오픈마켓에 상품을 등록하여 전세계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오픈마켓에서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자(셀러)는 오픈마켓에 상품을 등록하여 생성되는 상품 페이지를 통해 소비자를 유입시켜 상품을 판매하게 되는데, 오픈마켓에서는 누구나 판매자로 쉽게 등록할 수 있다는 특성 때문에 오픈마켓의 판매자가 되는 주체는 제조사 또는 대리점 뿐만 아니라 구매대행업자, 병행수입판매업자, 리셀러 등 다양한 유통 방식의 판매자가 존재할 수 있어, 독점 판매 권한을 갖는 판매자가 존재하는 경우 다양한 판매자들 사이에서 상품의 판매 권한에 대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오픈마켓에서 판매자들은 상품 페이지의 상품명, 상품 설명, 상품 가격, 상품 이미지, 상품 동영상 등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판매자가 상품 페이지에 부정확한 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소비자에게 피해가 발생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이러한 문제는 상품 가치 희석 문제, 저작권 콘텐츠의 무단 도용 등으로 이어져 제조사에게 손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자는 소비자의 유입을 증가시키기 위해 판매하는 상품과 관계없는 타제조사의 브랜드 또는 상품명을 키워드로 사용함으로써 유입을 증가시켜 상품 혼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판매자가 특정 상품의 가격을 덤핑하여 고의로 가격 경쟁을 발생시키는 경우, 타 판매자들에게 해당 상품을 판매하는 것으로 인한 이득을 없게 함으로써, 해당 상품이 시장에서 사장되는 결과를 초래하여 제조사에게 피해를 입힐 수 있다. 더하여, 판매자가 상품 페이지에 저작권 콘텐츠를 무단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일부 변형하여 사용함으로써 타인이 노력하여 만든 마케팅 결과물에 무단으로 편승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오픈마켓은 상품 페이지 검토 인력을 활용하고 있지만, 하루에도 수십만개씩 새롭게 생성되는 상품 페이지에 대해 오픈마켓이 일일이 검토하여 제재를 가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25431호: 오픈마켓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오픈마켓에서 판매자의 상품 페이지의 가이드 위반 여부를 자동으로 탐지하여, 제조사 또는 오픈마켓이 요구하는 가이드에 맞도록 상품 페이지를 수정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는 오픈마켓 상품 페이지의 저작권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를 제공받을 제조사로부터 제조사의 상품 카테고리, 제조사의 상품 정보, 제조사의 대리점 정보 및 제조사의 저작권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제조사 정보 저장부; 오픈마켓에 업로드 되는 판매자 별 상품 페이지 중 상기 제조사의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상품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페이지 수집부; 상기 제1 상품 페이지 내에 포함된 페이지 콘텐츠를 판별하는 페이지 분석부; 및 상기 판별된 페이지 콘텐츠와 상기 저장된 저작권 콘텐츠를 비교하여 상기 판매자에게 상기 제1 상품 페이지에 포함된 저작권 위반 콘텐츠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가이드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이지 수집부는 상기 오픈마켓에 업로드 되는 판매자 별 상품 페이지 중 상기 상품 카테고리를 지정한 상품 페이지를 대상으로 모니터링하여 상기 제1 상품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이지 분석부는 상기 제1 상품 페이지에 포함된 이미지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을 상기 페이지 콘텐츠로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제공부는 상기 페이지 분석부가 상기 제1 상품 페이지에 페이지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한 경우, 상기 판매자에게 상기 제1 상품 페이지에 상기 저작권 콘텐츠를 포함시키도록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제공부는 상기 페이지 분석부가 상기 제1 상품 페이지에 페이지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한 경우, 상기 오픈마켓의 API를 기초로 상기 제1 상품 페이지에 상기 저작권 콘텐츠가 포함되도록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제공부는 상기 페이지 분석부가 상기 제1 상품 페이지에 페이지 콘텐츠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한 경우, 이미지 판별 딥러닝 알고리즘을 기초로 상기 페이지 콘텐츠가 상기 저작권 콘텐츠로부터 수정되었는지 여부 또는 불일치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페이지 콘텐츠가 상기 저작권 콘텐츠로부터 일부 변형되었거나 또는 상기 페이지 콘텐츠가 상기 저작권 콘텐츠가 불일치하는 제2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판매자에게 상기 제1 상품 페이지에 포함된 상기 제2 콘텐츠를 제외시키고 상기 저작권 콘텐츠를 포함하도록 가이드를 제공하는 가이드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제공부는 상기 페이지 분석부가 상기 제1 상품 페이지에 페이지 콘텐츠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한 경우, 이미지 판별 딥러닝 알고리즘을 기초로 상기 페이지 콘텐츠가 상기 저작권 콘텐츠로부터 일부 변형되었는지 여부 또는 불일치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페이지 콘텐츠가 상기 저작권 콘텐츠로부터 수정되었거나 또는 상기 페이지 콘텐츠가 상기 저작권 콘텐츠가 불일치하는 제2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오픈마켓의 API를 기초로 상기 제1 상품 페이지에 상기 제2 콘텐츠를 삭제하고 상기 저작권 콘텐츠가 포함되도록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이지 분석부는 상기 제1 상품 페이지 내에 포함된 판매자 정보를 상기 대리점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판매자가 상기 제조사의 정식 대리점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제공부는 상기 페이지 분석부가 상기 판매자가 상기 제조사의 정식 대리점이 아닌 것으로 판별하고, 상기 페이지 분석부가 상기 제1 상품 페이지에 페이지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페이지 콘텐츠가 상기 저작권 콘텐츠로부터 수정되었거나, 또는 상기 페이지 콘텐츠가 상기 저작권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별한 경우, 상기 판매자에게 상기 저작권 콘텐츠의 무단 사용인 것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제공부는 상기 오픈마켓의 API를 기초로 상기 제1 상품 페이지를 삭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가 수행하는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방법은 오픈마켓 상품 페이지의 저작권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를 제공받을 제조사로부터 제조사의 상품 카테고리, 제조사의 상품 정보, 제조사의 대리점 정보 및 제조사의 저작권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오픈마켓에 업로드 되는 판매자 별 상품 페이지 중 상기 제조사의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상품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제1 상품 페이지 내에 포함된 페이지 콘텐츠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된 페이지 콘텐츠와 상기 저장된 저작권 콘텐츠를 비교하여 상기 판매자에게 상기 제1 상품 페이지에 포함된 저작권 위반 콘텐츠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조사가 제공하는 정보를 기초로 오픈마켓에 업로드된 상품 페이지 중 제조사의 상품에 해당하는 상품 페이지를 자동으로 필터링하고, 해당 상품 페이지에 포함된 정보를 분석하여 키워드, 가격, 콘텐츠, 저작권 등 다양한 요소에 대한 가이드 위반 여부를 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조사는 판매자의 잘못된 정보 제공으로 인해 브랜드 이미지가 하락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고, 판매자는 고의 또는 미고의로 인해 발생하는 가이드 위반 사항을 스스로 수정할 수 있으며, 소비자는 허위 정보로 인한 구입의 손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픈마켓은 하루에도 수십만개씩 새롭게 생성되는 상품 페이지의 검토 및 제재에 투입되는 인력 손실을 방지하면서, 오픈마켓 시장에 참여하는 제조사로 하여금 상품 가치의 하락이 없음을 보장하고 소비자로 하여금 안전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는 신뢰성을 보장하여, 오픈마켓 플랫폼 생태계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가 페이지 콘텐츠의 저작권 이미지 위반 여부를 판별하는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가 페이지 콘텐츠의 저작권 동영상 위반 여부를 판별하는 동작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는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실제로 필요한 경우 외에는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 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시스템(10)은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100) 및 오픈마켓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오픈마켓 서버(200)는 오픈마켓 플랫폼을 운영하는 데에 사용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오픈마켓이란 상품을 구매 또는 판매할 수 있는 기회가 개방되어 있는 온라인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일컫는다. 오픈마켓은 서비스 운영사가 거래에 관여하지 않고 플랫폼만 제공하는 중개자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픈마켓은 네이버스토어, 옥션, 지마켓, 11번가, 인터파크 등의 국내 오픈마켓 뿐만 아니라, 타오바오(중국), 티쿤(일본), 아마존(미국) 등의 해외 오픈마켓 등이 있다.
오픈마켓에서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자(ex. 도 1의 판매자 A, 판매자 B)는 오픈마켓에 상품을 등록하여 생성되는 상품 페이지를 통해 소비자를 유입시켜 상품을 판매하게 된다.
오픈마켓에는 누구나 판매할 수 있다는 특성 때문에 오픈마켓의 판매자가 되는 주체는 제조사 또는 제조사의 대리점(ex. 도 1의 판매자 A) 뿐만 아니라, 구매대행업자, 병행수입판매업자, 리셀러 등 다양한 유통 방식의 판매자가 존재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판매자 A는 제조사로부터 상품을 제공받아 판매하는 정식 대리점일 수 있지만, 판매자 B는 해외에서 동일한 상품을 수입하여 판매하는 구매대행업자 또는 병행수입업자일 수 있고, 또는 중간 유통 단계에서 상품을 구해 판매하는 리셀러일 수 있다. 이러한 오픈마켓 환경에서 판매자 A와 판매자 B가 동일한 상품을 파는 경우, 판매자 A가 독점 판매 권한을 갖는 대리점이라면, 판매자 B와 같은 주체의 판매로 인하여 분쟁이 발생할 여지가 존재한다.
또한, 판매자들은 상품 페이지의 상품명, 상품 설명, 상품 가격, 상품 이미지, 상품 동영상 등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판매자가 상품 페이지에 부정확한 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소비자에게 피해가 발생시킬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상품 가치 희석 문제, 저작권 콘텐츠의 무단 도용 등으로 제조사에게 손해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판매자는 소비자의 유입을 증가시키기 위해 판매하는 상품과 관계없는 타제조사의 브랜드를 키워드로 사용하여 유입을 증가시켜 상품 혼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판매자가 특정 상품의 가격을 덤핑하는 경우, 타 판매자들에게 해당 상품을 판매하는 것으로 인한 이득을 없게 하여, 해당 상품이 시장에서 사장되는 결과를 초래하여 제조사에게 피해를 입힐 수 있다. 더하여, 판매자가 상품 페이지에 저작권 콘텐츠를 무단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일부 변형하여 사용함으로써 타인이 노력하여 만든 마케팅 결과물에 무단으로 편승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한다.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100)는 오픈마켓 플랫폼에 상술한 설명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해결하기 위해, 오픈마켓 시장에서 자신의 상품 및 지적 재산권 등을 보호하고자 하는 제조사가 제공한 정보 및 오픈마켓 정보들을 기초로, 오픈마켓에 해당 제조사의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의 가이드 위반 여부를 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100)는 판매자의 위반 사항에 대해 판매자가 올바르게 수정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100)는 오픈마켓의 API를 통해 상품 페이지가 가이드를 준수하도록 상품 페이지의 수정 또는 삭제를 직접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10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오픈마켓 서버(200)와 통신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100)의 구체적 구성을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100)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100)는 제조사 정보 저장부(110), 페이지 수집부(130), 페이지 분석부(150) 및 가이드 제공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조사 정보 저장부(110)는 오픈마켓의 상품 페이지에서 제조사의 상품이 다양한 판매자에 의해 판매되는 경우, 상품 페이지가 제조사 또는 오픈마켓의 가이드에 따라 판매되는 지 검토하는 데에 사용되는 제조사에 대한 정보(이하, '제1 정보'로 지칭)를 제조사(ex. 제조사 단말) 또는 오픈마켓(ex. 오픈마켓 서버(200))으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다.
제조사는 오픈마켓에서 판매되는 상품을 생산 또는 정식 유통하는 주체이다. 제조사는 오픈마켓에 직접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가 될 수 있다. 또한, 제조사가 아닌 타 주체인 판매자(ex. 대리점, 구매대행업자, 병행수입업자, 리셀러 등)가 제조사의 상품을 오픈마켓에서 판매할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판매자들이 제조사의 상품을 오픈마켓에서 판매하는 경우, 제조사는 각 판매자들의 상품 페이지가 자신이 제공한 가이드에 따라 생성되었는지 탐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제1 정보를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오픈마켓 서버(200)는 자신의 플랫폼에서 판매되는 상품에 대한 제조사를 보호하기 위해, 제조사의 동의에 따라 제조사의 제1 정보를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정보는 제조사의 상품 정보, 제조사 키워드, 상품 카테고리, 제조사의 대리점 정보 및 제조사의 저작권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 정보는 제조사가 생산하여 유통되고 있는 상품에 대한 정보이다. 상품 정보는 상품의 종류, 상품명, 브랜드, 모델정보, 상품에 대응되는 특허권, 상표권, 디자인권 등의 지식재산권 정보, 적정 판매 가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정 판매 가격은 제조사가 해당 상품이 시장에서 유통되기 원하는 가격의 범위로서 최소 판매 가격 또는 최대 판매 가격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최소 판매 가격은 판매자들이 제조사의 상품을 적어도 특정 가격 이하로는 팔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하한을 의미하는데, 이는 상품의 가격이 오픈마켓의 이벤트나 할인 행사 등의 이유가 아니라, 특정 판매자가 판매자 간의 가격 경쟁을 발생시키기 위해 고의로 상품의 가격을 덤핑하는 경우, 타 판매자들로 하여금 해당 상품을 판매하는 것으로 인한 이득을 없게 하고, 제조사 역시 해당 제품을 생산할 이득이 없게 되어, 해당 상품이 시장에서 사장되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에 최소 판매 가격에 대한 가이드가 필요하다. 제조사 정보 저장부(110)는 적정 판매 가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후술할 본 발명의 구성들과 연동하여 판매자의 상품 판매 가격에 대해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제조사 키워드는 제조사의 상품을 판매하는 상품 페이지에 특정 키워드가 포함되도록 제조사가 가이드 하는 키워드를 의미한다. 상품 페이지는 상품을 나타내는 상품명, 상품을 설명하는 상세페이지, 상품 태그, 상품 이미지, 상품 동영상 등 상품을 설명하는 데에 사용하는 정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품 페이지를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에는 키워드가 삽입될 수 있는데, 키워드는 소비자의 검색에 따라 상품 페이지가 검색되도록 하는 데에 사용되거나, 키워드를 통해 소비자에게 특정 정보를 알리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조사는 제조사 키워드로 "브랜드명, 상품명, 모델번호" (ex. 바운스, 가스꾹, LB-2020)을 지정할 수 있다. 브랜드명은 상품의 출처를 소비자에게 소개하고, 상품명에는 상품 자체의 신뢰도가 담겨 있으며, 모델번호는 상품명이 같더라도 다양한 버전의 상품이 있는 경우 소비자가 구매하는 정확한 상품을 특정하는 역할을 하여, 소비자가 정확히 어떠한 버전의 상품을 구입하는 것인지 알려줄 뿐만 아니라, 소비자가 환불, 교환, 수리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서비스 센터에 상품을 특정하여 요청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기존 오픈마켓에는 이러한 정보들을 판매자들이 기입할 수 있게끔 가이드 하는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판매자들은 상품 페이지에 이러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브랜드/상품명/모델명의 부재로 소비자에게 혼동에 의한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고, 제조사 및 상품의 신뢰도의 하락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사 정보 저장부(110)는 브랜드명, 상품명, 모델번호 등을 포함하는 제조사 키워드를 제조사로부터 획득하고, 후술할 본 발명의 구성들과 연동하여 해당 키워드들이 상품 페이지에 포함되도록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품 카테고리는 제조사의 상품이 속하는 카테고리를 의미한다. 오픈마켓은 플랫폼에서 판매되는 다양한 상품을 분류하여 관리하기 위해 상품 카테고리를 분류하는 코드를 자체적으로 보유한다. 제조사 정보 저장부(110)는 제조사의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제조사의 상품이 오픈마켓의 카테고리 코드 중 어느 코드에 속하는 지 판별하여 해당 코드를 제조사의 상품 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대리점 정보는 제조사가 자신의 상품을 대신하여 판매해 줄 것을 승인한 대리점에 대한 정보이다. 대리점 정보는 상품 페이지를 생성한 판매자가 제조사의 대리점인지 아닌지를 판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리점 정보는 대리점이 오픈마켓에서 사용하는 판매자 계정에 대한 정보(ex. 스토어명, 상호명, ID, 닉네임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제조사 정보 저장부(110)는 대리점 정보를 획득하고, 후술할 본 발명의 구성들과 연동하여, 대리점인 판매자에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대리점이 아닌 판매자에게 소정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저작권 콘텐츠는 제조사가 자신의 상품을 설명하거나 홍보하기 위해 제작한 상품설명 텍스트, 이미지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조사 정보 저장부(110)는 저작권 콘텐츠를 획득하고, 후술할 본 발명의 구성들과 연동하여 저작권 콘텐츠를 무단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일부 변형하여 사용하는 상품 페이지에 대해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페이지 수집부(130)는 오픈마켓에 업로드 되는 판매자 별 상품 페이지 중 제조사의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상품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페이지 수집부(130)는 오픈마켓에 업로드 되는 판매자 별 상품 페이지 중 제조사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된 상품 카테고리를 지정한 상품 페이지를 필터링 후 모니터링하여, 제조사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된 상품 정보를 갖는 제1 상품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페이지 수집부(130)는 오픈마켓에 업로드 되는 판매자 별 상품 페이지 중 상품 카테고리를 지정한 상품 페이지를 대상으로 모니터링하여 제조사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된 상품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제2 상품 페이지의 상품명, 브랜드명 및 제조사명을 포함하는 타제조사 키워드를 수집할 수 있다.
페이지 분석부(150)는 제1 상품 페이지에 포함된 키워드인 페이지 키워드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지 분석부(150)는 상품 페이지의 상품명에 포함된 단어, 상세 페이지에 포함된 단어, 이미지에 포함된 단어, 동영상의 프레임에 포함된 단어를 페이지 키워드로서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지 분석부(150)는 OCR 기반 딥러닝 알고리즘을 기초로 상품 페이지의 이미지에 포함된 단어 및 동영상에 포함된 단어를 페이지 키워드로 수집할 수 있다. 더하여, 페이지 분석부(150)는 제1 상품 페이지 내에 포함된 상품의 가격을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페이지 분석부(150)는 제1 상품 페이지에 포함된 콘텐츠를 의미하는 페이지 콘텐츠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지 분석부(150)는 상품 페이지에 포함된 상품설명 텍스트, 이미지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을 페이지 콘텐츠로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페이지 분석부(150)는 제1 상품 페이지 내에 포함된 판매자 정보를 제조사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된 대리점 정보와 비교하여, 제1 상품 페이지의 판매자가 제조사의 정식 대리점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가이드 제공부(170)는 기본적인 기능을 먼저 설명하고, 도 3 및 도 4와 함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가이드 제공부(170)는 페이지 분석부(150)가 판별한 페이지 키워드와 제조사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된 제조사 키워드를 비교하여 판매자에게 제1 상품 페이지에 포함되어야 할 키워드 또는 제외되어야 할 키워드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가이드 제공부(170)는 페이지 분석부(150)가 판별한 상품 페이지의 가격과 제조사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된 적정 판매 가격을 비교하여 판매자에게 제1 상품 페이지의 상품 가격 설정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가이드 제공부(170)는 페이지 분석부(150)가 판별된 페이지 콘텐츠와 제조사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된 저작권 콘텐츠를 비교하여, 페이지 콘텐츠가 가이드 위반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판매자에게 제1 상품 페이지에 대해 페이지 콘텐츠를 수정하도록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제공부(170)는 판매자가 정식 대리점인지 여부에 따라 상이한 조치를 취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가이드 제공부(170)의 구체적인 동작을 도 3의 제1 실시예 및 도 4의 제2 실시예로 구분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단계들이 연동하여 동작하는 실시예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3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방법의 각 단계는 도 2를 통해 설명된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각 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310 동작에서, 제조사 정보 저장부(110)는 제조사의 제1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S320 동작에서, 페이지 수집부(130)는 오픈마켓에서 제조사의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상품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페이지 분석부(150)는 제1 상품 페이지에 포함된 정보(ex. 페이지 키워드, 상품 페이지에 설정된 상품 가격 등)를 판별할 수 있다.
S331 동작에서, 가이드 제공부(170)는 페이지 키워드와 제조사 키워드를 비교하여, 제조사 키워드 중 페이지 키워드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제1 키워드가 존재하는 경우 가이드 위반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 S341 동작에서, 가이드 제공부(170)는 판매자에게 제1 상품 페이지에 포함되어야 할 제1 키워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S342 동작에서, 가이드 제공부(170)는 오픈마켓의 API를 기초로 제1 상품 페이지에 제1 키워드가 포함되도록 수정할 수 있다.
S332 동작에서, 가이드 제공부(170)는 페이지 키워드와 페이지 수집부(130)가 수집한 타제조사 키워드를 비교하여, 페이지 키워드 중 타제조사 키워드와 대응되는 제2 키워드가 존재하는 경우 가이드 위반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 S341 동작에서, 가이드 제공부(170)는 판매자에게 제1 상품 페이지에 제2 키워드를 제외시키도록 제2 키워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S342 동작에서, 가이드 제공부(170)는 오픈마켓의 API를 기초로 제1 상품 페이지에 제2 키워드가 제외되도록 수정할 수 있다.
S333 동작에서, 가이드 제공부(170)는 제1 상품 페이지 내에 포함된 상품의 가격과 제조사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된 적정 판매 가격을 비교하여, 제1 상품 페이지의 상품 가격이 제조사가 지정한 상품의 적정 판매 가격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ex. 제1 상품 페이지의 상품 가격이 적정 판매 최소 가격보다 낮을 경우) 가이드 위반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 S341 동작에서, 가이드 제공부(170)는 판매자에게 제1 상품 페이지의 상품 가격이 적정 판매 가격에 포함되도록 적정 판매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S342 동작에서, 가이드 제공부(170)는 오픈마켓의 API를 기초로 제1 상품 페이지의 상품 가격이 적정 판매 가격의 최소 가격이 되도록 수정할 수 있다.
한편, 도 3의 제1 실시예는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100)를 통해 탐지할 수 있는 요소들을 조합한 예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 3에 도시된 각 단계의 시계열적 순서나 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4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방법의 각 단계는 도 2를 통해 설명된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각 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410 동작에서, 제조사 정보 저장부(110)는 제조사의 제1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S420 동작에서, 페이지 수집부(130)는 오픈마켓에서 제조사의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상품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페이지 분석부(150)는 제1 상품 페이지에 포함된 정보(ex. 페이지 콘텐츠, 판매자 정보 등)를 판별할 수 있다.
S431 동작에서, 가이드 제공부(170)는 페이지 분석부(150)가 제1 상품 페이지에 페이지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한 경우, 가이드 위반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 S441 동작에서, 가이드 제공부(170)는 판매자에게 제1 상품 페이지에 제조사의 저작권 콘텐츠를 포함시키도록 저작권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S342 동작에서, 가이드 제공부(170)는 오픈마켓의 API를 기초로 제1 상품 페이지에 제1 상품 페이지에 저작권 콘텐츠가 포함된 상세 페이지가 생성되도록 수정할 수 있다.
S432 동작에서, 가이드 제공부(170)는 페이지 분석부(150)가 제1 상품 페이지에 이미지를 포함하는 페이지 콘텐츠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한 경우, 이미지 판별 딥러닝 알고리즘을 기초로 페이지 콘텐츠가 저작권 콘텐츠로부터 일부 변형되었는지 여부 또는 불일치 여부를 판별하여, 페이지 콘텐츠가 상기 저작권 콘텐츠로부터 수정되었거나 또는 상기 페이지 콘텐츠가 상기 저작권 콘텐츠가 불일치하는 제2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가이드 위반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 S441 동작에서, 가이드 제공부(170)는 판매자에게 제1 상품 페이지에 포함된 제2 콘텐츠를 제외시키고 저작권 콘텐츠를 포함하도록 저작권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S342 동작에서, 가이드 제공부(170)는 오픈마켓의 API를 기초로 제1 상품 페이지에 제2 콘텐츠를 삭제하고 저작권 콘텐츠가 포함되도록 수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100)가 페이지 콘텐츠의 저작권 이미지 위반 여부를 판별하는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이드 제공부(170)는 이미지 판별 딥러닝 알고리즘을 기초로 제조사가 제공한 원본 이미지인 저작권 콘텐츠(ex. 도 5(a))와 제1 상품 페이지를 구성하는 이미지(ex. 도 5(b))의 전부 또는 일부 영역(ex. 도 5(b))의 영역 구분선)을 비교하여 유사도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제공부(170)는 저작권 콘텐츠와 페이지 콘텐츠가 동일한지, 일부 변형된 것인지, 불일치 인지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사도가 95% 이상이면 동일한 콘텐츠, 유사도가 80%~95% 으로 판별되면 일부를 변형한 것으로 판별하고, 유사도가 80% 이하이면 불일치로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수치는 예시로서 실시예에 따라 수치의 범위를 달리하여 "동일, 일부 변형, 불일치"의 3가지 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S433 동작에서, 가이드 제공부(170)는 페이지 분석부(150)가 제1 상품 페이지에 동영상을 포함하는 페이지 콘텐츠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한 경우, 이미지 판별 딥러닝 알고리즘을 기초로 페이지 콘텐츠가 저작권 콘텐츠로부터 수정되었는지 여부 또는 불일치 여부를 판별하여, 페이지 콘텐츠가 상기 저작권 콘텐츠로부터 일부 변형되었거나 또는 상기 페이지 콘텐츠가 상기 저작권 콘텐츠가 불일치하는 제2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가이드 위반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 S441 동작에서, 가이드 제공부(170)는 판매자에게 제1 상품 페이지에 포함된 제2 콘텐츠를 제외시키고 저작권 콘텐츠를 포함하도록 저작권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S342 동작에서, 가이드 제공부(170)는 오픈마켓의 API를 기초로 제1 상품 페이지에 제2 콘텐츠를 삭제하고 저작권 콘텐츠가 포함되도록 수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100)가 페이지 콘텐츠의 저작권 동영상 위반 여부를 판별하는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 제공부(170)는 이미지 판별 딥러닝 알고리즘을 기초로 제조사가 제공한 원본 동영상인 저작권 콘텐츠(ex. 도 6(a))와 제1 상품 페이지를 구성하는 이미지(ex. 도 6(b)) 또는 동영상의 프레임(ex. 도 6(b))을 비교하여 유사도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제공부(170)는 저작권 콘텐츠와 페이지 콘텐츠가 동일한지, 일부 변형된 것인지, 불일치 인지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사도가 95% 이상이면 동일한 콘텐츠, 유사도가 80%~95% 으로 판별되면 일부를 변형한 것으로 판별하고, 유사도가 80% 이하이면 불일치로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수치는 예시로서 실시예에 따라 수치의 범위를 달리하여 "동일, 일부 변형, 불일치"의 3가지 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S434 동작에서, 페이지 분석부(150)가 제1 상품 페이지의 판매자가 제조사의 정식 대리점이 아닌 것으로 판별한 경우, 가이드 제공부(170)는 가이드 위반으로 판별할 수 있다. S434 판별 결과, 제1 상품 페이지의 판매자가 제조사의 정식 대리점일 경우, 가이드 제공부(170)는 상술한 S431, S432, S433 동작의 판단 결과에 따라 S441 또는 S442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S434 판별 결과, 제1 상품 페이지의 판매자가 제조사의 정식 대리점이 아닌 경우에, S443의 동작에 따라, 가이드 제공부(170)는 오픈마켓의 API를 기초로 제1 상품 페이지를 삭제할 수 있다. 또는, 제1 상품 페이지의 판매자가 제조사의 정식 대리점이 아닌 경우, S443의 동작에 따라, 가이드 제공부(170)는 판매자에게 무단 판매 또는 저작권 위반이라는 정보를 가이드 할 수 있고, 오픈마켓에 무단 판매 또는 저작권 위반에 대한 신고를 접수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제2 실시예는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100)를 통해 탐지할 수 있는 요소들을 조합한 예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 4에 도시된 각 단계의 시계열적 순서나 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100)는 프로세서(미도시), 입출력 인터페이스(미도시), 및/또는 메모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데이터의 처리 및 연산을 수행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기초하여,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 예를 들어, 제조사 정보 저장부(110), 페이지 수집부(130), 페이지 분석부(150) 및 가이드 제공부(170)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조사 정보 저장부(110), 페이지 수집부(130), 페이지 분석부(150) 및 가이드 제공부(170)는 상기 프로세서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조사 정보 저장부(110), 페이지 수집부(130), 페이지 분석부(150) 및 가이드 제공부(170)의 동작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한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와 같은 방식을 이용할 경우, 제조사가 제공하는 정보를 기초로 오픈마켓에 업로드된 상품 페이지 중 제조사의 상품에 해당하는 상품 페이지를 자동으로 필터링하고, 해당 상품 페이지에 포함된 정보를 분석하여 키워드, 가격, 콘텐츠, 저작권 등 다양한 요소에 대한 가이드 위반 여부를 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조사는 판매자의 잘못된 정보 제공으로 인해 브랜드 이미지가 하락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고, 판매자는 고의 또는 미고의로 인해 발생하는 가이드 위반 사항을 스스로 수정할 수 있으며, 소비자는 허위 정보로 인한 구입의 손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픈마켓은 하루에도 수십만개씩 새롭게 생성되는 상품 페이지의 검토 및 제재에 투입되는 인력 손실을 방지하면서, 오픈마켓 시장에 참여하는 제조사로 하여금 상품 가치의 하락이 없음을 보장하고 소비자로 하여금 안전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는 신뢰성을 보장하여, 오픈마켓 플랫폼 생태계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 등이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또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법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오픈마켓 상품 페이지의 저작권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를 제공받을 제조사로부터 제조사의 상품 카테고리, 제조사의 상품 정보, 제조사의 대리점 정보 및 제조사의 저작권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제조사 정보 저장부;
    오픈마켓에 업로드 되는 판매자 별 상품 페이지 중 상기 제조사의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상품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페이지 수집부;
    상기 제1 상품 페이지 내에 포함된 텍스트,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페이지 콘텐츠를 판별하는 페이지 분석부; 및
    상기 제1 상품 페이지의 페이지 콘텐츠에 상기 저작권 콘텐츠 중 어느 하나가 부재하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저작권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페이지 콘텐츠에 포함되도록 동작하는 API를 통해 상기 오픈마켓과 연동하여, 상기 API를 기초로 상기 저작권 콘텐츠가 포함되도록 수정하는 가이드 제공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수집부는,
    상기 오픈마켓에 업로드 되는 판매자 별 상품 페이지 중 상기 상품 카테고리를 지정한 상품 페이지를 대상으로 모니터링하여 상기 제1 상품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제공부는,
    상기 판별된 페이지 콘텐츠와 상기 저장된 저작권 콘텐츠를 비교하여 상기 판매자에게 상기 제1 상품 페이지에 포함된 저작권 위반 콘텐츠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제공부는,
    상기 제1 상품 페이지의 페이지 콘텐츠에 상기 저작권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부재하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판매자에게 상기 제1 상품 페이지에 상기 저작권 콘텐츠를 포함시키도록 가이드를 제공하는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제공부는,
    상기 페이지 분석부가 상기 제1 상품 페이지에 페이지 콘텐츠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한 경우, 이미지 판별 딥러닝 알고리즘을 기초로 상기 페이지 콘텐츠가 상기 저작권 콘텐츠로부터 수정되었는지 여부 또는 불일치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페이지 콘텐츠가 상기 저작권 콘텐츠로부터 일부 변형되었거나 또는 상기 페이지 콘텐츠가 상기 저작권 콘텐츠가 불일치하는 제2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판매자에게 상기 제1 상품 페이지에 포함된 상기 제2 콘텐츠를 제외시키고 상기 저작권 콘텐츠를 포함하도록 가이드를 제공하는,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제공부는,
    상기 페이지 분석부가 상기 제1 상품 페이지에 페이지 콘텐츠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한 경우, 이미지 판별 딥러닝 알고리즘을 기초로 상기 페이지 콘텐츠가 상기 저작권 콘텐츠로부터 일부 변형되었는지 여부 또는 불일치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페이지 콘텐츠가 상기 저작권 콘텐츠로부터 수정되었거나 또는 상기 페이지 콘텐츠가 상기 저작권 콘텐츠가 불일치하는 제2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오픈마켓의 API를 기초로 상기 제1 상품 페이지에 상기 제2 콘텐츠를 삭제하고 상기 저작권 콘텐츠가 포함되도록 수정하는,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분석부는,
    상기 제1 상품 페이지 내에 포함된 판매자 정보를 상기 대리점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판매자가 상기 제조사의 정식 대리점인지를 판별하는,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제공부는,
    상기 페이지 분석부가 상기 판매자가 상기 제조사의 정식 대리점이 아닌 것으로 판별하고, 상기 페이지 분석부가 상기 제1 상품 페이지에 페이지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페이지 콘텐츠가 상기 저작권 콘텐츠로부터 수정되었거나, 또는 상기 페이지 콘텐츠가 상기 저작권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별한 경우, 상기 판매자에게 상기 저작권 콘텐츠의 무단 사용인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제공부는,
    상기 오픈마켓의 API를 기초로 상기 제1 상품 페이지의 상기 무단 사용인 콘텐츠를 삭제하는,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
  11.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가 수행하는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오픈마켓 상품 페이지의 저작권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를 제공받을 제조사로부터 제조사의 상품 카테고리, 제조사의 상품 정보, 제조사의 대리점 정보 및 제조사의 저작권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오픈마켓에 업로드 되는 판매자 별 상품 페이지 중 상기 제조사의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상품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제1 상품 페이지 내에 포함된 텍스트,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페이지 콘텐츠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상품 페이지의 페이지 콘텐츠에 상기 저작권 콘텐츠 중 어느 하나가 부재하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저작권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페이지 콘텐츠에 포함되도록 동작하는 API를 통해 상기 오픈마켓과 연동하여, 상기 API를 기초로 상기 저작권 콘텐츠가 포함되도록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방법.
  12. 제11항의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098530A 2020-08-06 2020-08-06 오픈마켓 상품 페이지의 저작권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2455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530A KR102455321B1 (ko) 2020-08-06 2020-08-06 오픈마켓 상품 페이지의 저작권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530A KR102455321B1 (ko) 2020-08-06 2020-08-06 오픈마켓 상품 페이지의 저작권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254A KR20220018254A (ko) 2022-02-15
KR102455321B1 true KR102455321B1 (ko) 2022-10-14

Family

ID=80325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530A KR102455321B1 (ko) 2020-08-06 2020-08-06 오픈마켓 상품 페이지의 저작권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53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6326B1 (ko) * 2023-08-29 2023-11-23 황채영 인공지능 기반의 지식재산 분쟁을 방지하는 오픈마켓 관리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632210B1 (ko) * 2023-11-15 2024-01-31 황채영 복수의 서비스 서버 연동 기반의 분쟁위험 관리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97587A (ja) * 2016-12-13 2018-06-21 株式会社ぐるなび 投稿管理装置、投稿管理方法、投稿管理プログラム
JP2020504879A (ja) * 2016-12-30 2020-02-13 キャメロット ユーケー ビッドコ リミテッド ネットワーク化環境における不正コンテンツに関連するデータを収集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4349B2 (en) * 2015-12-29 2022-02-08 Eba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spam publication
KR20200025431A (ko) 2018-08-30 2020-03-10 뉴21커뮤니티(주) 오픈마켓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97587A (ja) * 2016-12-13 2018-06-21 株式会社ぐるなび 投稿管理装置、投稿管理方法、投稿管理プログラム
JP2020504879A (ja) * 2016-12-30 2020-02-13 キャメロット ユーケー ビッドコ リミテッド ネットワーク化環境における不正コンテンツに関連するデータを収集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254A (ko) 202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5321B1 (ko) 오픈마켓 상품 페이지의 저작권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2396171B1 (ko) 오픈마켓 상품 페이지의 키워드 가이드 위반 탐지 서비스 장치 및 방법
US10169810B2 (en) Product information inconsistency detection
US2023003184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ata quality analysis of healthcare information systems
US201201308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vertical silos in an ip marketplace
JP6667653B2 (ja) データ市場における契約管理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13517561A (ja) 標準製品ユニットのための属性集約
US20180330427A1 (en) Automated price rule notification for online consumers
US201202657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ip zone credentialing
US201601106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maturity of an organization
Mirakhorli et al. A domain-centric approach for recommending architectural tactics to satisfy quality concerns
US9009193B2 (en) Techniques providing a software fitting assessment
JP2005122560A (ja) デッドロック事前検出プログラム
RU2745340C2 (ru) Виртуальный рынок для распределяемых инструментальных средств в среде предприятия
US11494786B2 (en) System for third party sellers in online retail environment
Niemir et al. Product Data Quality in e-Commerce: Key Success Factors and Challenges
Pooput et al. Finding impact factors for rejection of pull requests on github
CN109219809A (zh) 基于电子文档的自动生成报告数据的方法和系统
CN111179073A (zh) 在设备在线市场平台上生成设备的数字身份的系统和方法
US20110179072A1 (en) Business document processor
JP4154973B2 (ja) 貸出し機材管理システム
US1190799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lour-based image analysis and search
WO20151195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uplicating an intellectual property transaction deal room
JP7353434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Sandhya Competitive Digital Strategic Model of Amazon-A Case Study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