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045B1 - 제품 공정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제품 공정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045B1
KR102454045B1 KR1020220030877A KR20220030877A KR102454045B1 KR 102454045 B1 KR102454045 B1 KR 102454045B1 KR 1020220030877 A KR1020220030877 A KR 1020220030877A KR 20220030877 A KR20220030877 A KR 20220030877A KR 102454045 B1 KR102454045 B1 KR 102454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product
information
screen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0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은향
Original Assignee
아더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더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더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0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0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제품 공정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며, 제품 공정관리 장치는 화면에 제공된 복수의 메뉴 중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 메뉴로서 식별하는 식별부; 및 상기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의 수행을 위한 화면이 상기 관리자가 소지한 관리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메뉴가 수주 관리 메뉴인 경우, 관리자 단말의 화면에 제품 수주 등록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품 수주 등록 화면에서 입력받은 대상 제품에 대한 제품 수주 등록 정보를 수주 DB에 등록하고 관리하고, 상기 제품 수주 등록 정보 내 상기 대상 제품에 대하여 생산요청이 이루어지고 이후 생산요청이 이루어진 상기 대상 제품에 대하여 작업지시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작업지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대상 제품의 생산을 위한 작업지시 정보를 상기 제품 수주 등록 정보 내 고객사인 수주사의 수주사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품 공정관리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T PROCESS CONTROL}
본원은 제품 공정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정 제품을 생산하는데 있어서 여러 단계의 공정 과정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제품의 생산 공정 과정은 수주사마다 뿐만 아니라 제품마다 각기 다르나, 이들을 효율적으로 관리 가능한 기술이 현재 마땅치 않은 실정이다. 이에, 제품 생산 공정의 효율적인 관리 기술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28106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품의 생산 공정 과정이 수주사마다 및 제품마다 각기 다름을 고려하여, 이들 제품의 생산 공정 관리를 효율적으로 관리 가능한 제품 공정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공정관리 장치는, 화면에 제공된 복수의 메뉴 중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 메뉴로서 식별하는 식별부; 및 상기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의 수행을 위한 화면이 상기 관리자가 소지한 관리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메뉴가 수주 관리 메뉴인 경우, 관리자 단말의 화면에 제품 수주 등록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품 수주 등록 화면에서 입력받은 대상 제품에 대한 제품 수주 등록 정보를 수주 DB에 등록하고 관리하고, 상기 제품 수주 등록 정보 내 상기 대상 제품에 대하여 생산요청이 이루어지고 이후 생산요청이 이루어진 상기 대상 제품에 대하여 작업지시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작업지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대상 제품의 생산을 위한 작업지시 정보를 상기 제품 수주 등록 정보 내 고객사인 수주사의 수주사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주사 단말을 소지한 생산자가 상기 복수의 메뉴 중 공정상태 조정 메뉴를 선택한 것으로 상기 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경우, 상기 수주사 단말의 화면에 상기 작업지시 정보와 관련된 공정작업진행 관리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생산자는, 상기 공정작업진행 관리 화면을 기반으로 상기 작업지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대상 제품에 대한 공정작업의 진행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산자가 상기 복수의 메뉴 중 제품 생산현황 메뉴를 선택한 것으로 식별된 경우, 상기 수주 DB에 등록된 복수의 제품 수주 등록 정보의 리스트를 상기 수주사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되, 상기 리스트 내 상기 작업지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대상 제품의 제품 수주 등록 정보를 클릭한 경우, 상기 대상 제품에 대한 제품 생산 현황 조회 화면을 상기 수주사 단말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제품 공정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제품의 생산 공정 과정이 수주사마다 및 제품마다 각기 다름을 고려하여 이들 제품의 효율적인 생산 공정 관리가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제품 공정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제품 생산 공정 과정의 현재 진행 상태(즉, 제품 생산현황)를 직관적으로 확인하고 조회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원은 일예로 특정 제품의 생산 공정이 한 회사(하나의 수주사) 내 다수의 공정 파트 팀별로 나누어 이루어질 때, 현재 제품 생산이 어느 공정 단계까지 진행되었는지에 대한 확인을 공정 파트 팀 각각에 대해 별도로 연락을 취하여 확인하는 등의 번거로운 과정의 필요 없이, 본원의 제품 공정관리 장치에 접속함으로써 빠르고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제품 공정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제품 관리, 제품 생산현황, 수주 관리, 제품출하 관리, 공정상태 조정, 제품별 생산계획, 생산요청 관리 등을 효율적으로 등록하고 관리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공정관리 장치를 포함한 제품 공정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공정관리 장치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화면 표시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공정관리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공정관리 장치(10)를 포함한 제품 공정관리 시스템(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공정관리 장치(10)를 본 장치(10)라 하고,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공정관리 시스템(1)을 본 시스템(1)이라 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1)은 본 장치(10), 관리자 단말(2) 및 수주사 단말(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장치(10)는 제품 공정관리(제품 생산 공정관리)와 관련된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본 장치(10)를 이용하는 사용자(관리자, 생산자 등)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장치(10)를 이용하는 사용자에는 관리자(2') 및 생산자(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2')은 관리자(2')가 소지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관리자(2')는 본 장치(10)를 관리하는 사용자를 의미할 수 있다. 관리자(2')는 본 장치(10)를 이용하는 복수의 고객사(즉, 복수의 수주사)에 대한 수주를 관리하고(즉, 각 고객사가 주문받은 제품의 주문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고), 제품 주문이 이루어진 해당 고객사(해당 수주사)에게 제품의 생산을 요청하고 제품 생산 작업을 지시하는(즉, 제품의 생산요청과 작업지시를 행하는) 사용자(관리자)일 수 있다. 본원에서 본 장치(10)를 이용하는 고객사는 수주사를 의미할 수 있다.
수주사 단말(3)은 생산자(3')가 소지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생산자(3')는 본 장치(10)로부터 제품의 생산요청 내지 작업지시를 받아(즉, 제품의 생산의 주문 지시를 받고) 이에 따라 제품의 생산 공정작업을 진행(수행)하는 사용자를 의미할 수 있다. 생산자(3')는 수주자, 고객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생산자(3')는 본 장치(10)를 이용하는 고객사(즉, 수주사)에 소속된 사용자일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서 수주사 단말(3)은 고객사 단말, 생산자 단말, 수주사 단말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생산자(3')로는 하나의 고객사당 해당 고객사에 소속된 하나의 생산자가 고려될 수도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고객사당 해당 고객사에 소속된 복수의 생산자가 고려될 수도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일예에서는, 본 시스템(1)에서 하나의 고객사(수주사)와 관련하여, 일예로 하나의 수주사 단말(3)과 그를 소지한 하나(한명)의 생산자(3')가 포함된 경우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본 시스템(1)에는 하나의 고객사와 관련하여 하나의 수주사 단말과 그를 소지한 복수의 생산자가 포함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고객사와 관련하여 복수의 수주사 단말과 그(즉, 복수의 수주사 단말 각각)를 소지한 복수의 생산자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장치(10)는 복수의 고객사(복수의 수주사)와 연계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수주사에는 일예로 제1 수주사, 제2 수주사, 제3 수주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예로 도 1에서의 수주사 단말(3)은 제1 수주사와 관련된 제1 수주사 단말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본 장치(10)는 일예로 제1 수주사와 관련하여, 제1 수주사에 소속된 제1 수주사 소속 제1 생산자(한명의 생산자)가 소지한 제1 수주사 소속 제1 수주사 단말과 연동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본 장치(10)는 제1 수주사와 관련하여, 제1 수주사에 소속된 제1 수주사 소속 복수의 생산자(즉, 제1 수주사 소속 제1 생산자 내지 제1 수주사 소속 제n 생산자) 각각이 소지한 복수의 수주사 단말(즉, 제1 수주사 소속 제1 수주사 단말 내지 제1 수주사 소속 제n 수주사 단말)과 연동될 수 있다.
즉, 수주사 단말(3)과 관련하여, 제1 수주사의 단말은 제1 수주사 단말, 제2 수주사의 단말은 제2 수주사 단말, 제3 수주사의 단말은 제3 수주사 단말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본원에서 제1 수주사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복수의 수주사(제1 수주사, 제2 수주사, 제3 수주사 등) 각각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그 반대로도 적용될 수 있다. 달리 말해, 본원에서 수주사 단말(3)(즉, 제1 수주사 단말)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복수의 수주사 단말(즉, 제1 수주사 단말, 제2 수주사 단말, 제3 수주사 단말 등) 각각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그 반대로도 적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관리자(2') 및 생산자(3')는 모두 '사용자'라는 용어로 통칭되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관리자 단말(2) 및 수주사 단말(3)은 모두 '사용자 단말' 혹은 '단말' 이라는 용어로 통칭되어 표현될 수 있다.
본 장치(10)는 관리자 단말(2) 및 수주사 단말(3) 각각과 네트워크(4)를 통해 연동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4)는 일예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다양한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즉, 관리자 단말(2)과 수주사 단말(3))은 일예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 노트북, 웨어러블 디바이스, 데스크탑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은 휴대 단말, 단말 등으로 달리 표현될 수 있다.
본 장치(10)는 사용자 단말(즉, 관리자 단말(2)과 수주사 단말(3))에 포함된 장치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장치(10)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어플, 앱)의 형태로 구현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달리 말해, 본 장치(10)를 통해 제공되는 제품 공정관리 방법은 일예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 단말(즉, 관리자 단말(2)과 수주사 단말(3))을 통해 사용자(즉, 관리자와 생산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일예로 본 장치(10)는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서버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서버의 형태로 마련된 본 장치(10)는,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한 사용자(즉, 관리자, 생산자)의 단말(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한 설명에서는 본 장치(10)가 일예로 서버의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이러한 경우 본 장치(10)는 서버, 제품 공정관리 서버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자 단말(혹은 사용자)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관리자 단말(혹은 관리자), 수주사 단말(혹은 생산자) 각각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그 반대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어플, 앱)은 이하 설명의 편의상 본 앱이라 하기로 한다. 이에 따르면, 본 장치(10)는 본 앱을 설치한 사용자들(관리자, 생산자 등)의 사용자 단말의 동작(일예로 화면 표시 동작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앱은 제품 공정관리 앱(어플)이라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본 앱의 제공을 통해 제품 공정관리 플랫폼(본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들(관리자, 생산자 등)은 각자 자신이 소지한 단말을 통해 본 앱에 접속함으로써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제품 공정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장치(1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공정관리 장치(10)에 의해 사용자 단말(즉, 관리자 단말 및/또는 수주사 단말)에 제공되는 화면 표시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2는 제품 수주 등록 화면(d1)의 표시 예, 도 3은 제품 공정명세서 작성 화면(d4)의 표시 예, 도 4는 제품 수주 상세 정보 화면(d5)의 표시 예, 도 5는 작업지시 화면(d6)의 표시 예, 도 6은 공정작업진행 관리 화면(d8)의 표시 예, 도 7은 공정작업진행 관리 전용 프로그램 화면(d8’)의 표시 예, 도 8 및 도 9는 제품 생산 현황 조회 화면(d9)의 표시 예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장치(10)는 식별부(11), 제어부(12) 및 수주 DB(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장치(10)는 BOP시나리오 기반의 공정관리 장치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식별부(11)는 관리자 단말(2)의 화면에 제공된 복수의 메뉴 중 관리자(2')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 메뉴로서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메뉴에는 일예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품관리 메뉴, 제품 생산현황 메뉴, 수주 관리 메뉴, 제품출하 관리 메뉴, 공정상태 조정 메뉴, 제품별 생산계획 메뉴 및 생산요청 관리 메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복수의 메뉴에는 영업, 회계, 자재, 생산, 공정, 출하, SCM 등의 메뉴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 메뉴는 일예로 전술한 메뉴들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되는 메뉴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영업 메뉴는 수주 관리 메뉴와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두 메뉴(일예로 영업 메뉴와 수주 관리 메뉴)가 서로 대응된다라 함은 두 메뉴가 서로 동일한 기능(동일 기능)을 수행함을 의미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제어부(12)는 관리자 단말(2) 및/또는 수주사 단말(3)에 복수의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자(2')는 자신이 소지한 관리자 단말(2)을 통해 본 앱에 접속할 수 있고, 이에 제어부(12)는 관리자 단말(2)의 화면에 복수의 메뉴가 표시되도록 관리자 단말(2)의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관리자(2')는 관리자 단말(2)의 화면에 제공된 복수의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식별부(11)는 관리자(2')가 선택한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 메뉴로서 식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생산자(3')는 자신이 소지한 수주사 단말(3)을 통해 본 앱에 접속할 수 있고, 이에 제어부(12)는 수주사 단말(3)의 화면에 복수의 메뉴가 표시되도록 수주사 단말(3)의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생산자(3')는 수주사 단말(3)의 화면에 제공된 복수의 메뉴 중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할 수 있으며, 식별부(11)는 생산자(3')가 선택한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 메뉴로서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관리자 단말(2)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수주사 단말(3)에 대한 설명에도 일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그 반대로도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12)는 식별부(11)에서의 선택 메뉴의 식별에 응답하여, 식별부(11)에서 식별된 선택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의 수행을 위한 화면이 관리자(2')가 소지한 관리자 단말(2)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단말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관리자(2')가 선택한 선택 메뉴가 수주 관리 메뉴인 경우, 관리자 단말(2)의 화면에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품 수주 등록 화면(d1)을 표시하고, 제품 수주 등록 화면(d1)에서 관리자(2')로부터 입력받은 대상 제품에 대한 제품 수주 등록 정보를 수주관리 메뉴의 화면에서 관리되도록 수주 DB(13)에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 제품이라 함은 본 장치(10)에 의해 생산 공정관리가 이루어지는 제품을 의미할 수 있다. 대상 제품은 수주 제품이라 달리 지칭될 수 있고, 이는 수주사 단말(3)이 주문받는 제품(주문 받게되는 제품), 즉 수주사 단말(3)에 의해 생산(제조)되는 제품을 의미할 수 있다. 대상 제품으로는 일예로 생산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각종 제품, 상품, 물품, 물건, 부품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관리자(2')는 수주 관리 메뉴를 통해 수주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관리자(2')는 제품 수주 등록 화면(d1)에서 대상 제품에 대한 제품 수주 등록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수주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대상 제품에 대한 제품 수주 등록 정보는, 일예로 납품처에서 특정 수주사로의 제품 생산을 요청하는 신호를 납품처 단말(미도시)로부터 제공받은 것을 토대로 관리자(2')가 입력함으로써 등록되는 정보이거나, 혹은 다른 예로 수주사에서 특정 납품처로부터 제품의 생산 주문을 요청받음에 따라 해당 수주사가 자신이 요청받은 제품의 생산 주문 정보를 본 장치(10)에 등록하고 관리하기를 희망하여 요청하는 신호(즉, 수주사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토대로 관리자(2')가 입력함으로써 등록되는 정보일 수 있다.
수주등록을 위해,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관리자(2')는 관리자 단말(2)을 통해 본 앱에 접속한 후, 관리자 단말(2)의 화면의 일영역에 표시된 수주 관리 메뉴를 선택(클릭)하거나 또는 영업 메뉴를 통하여 수주 관리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관리자(2')는 관리자 단말(2)의 화면의 일영역에 표시된 수주등록 버튼을 클릭할 수 있다. 수주등록 버튼에 대한 관리자(2')의 클릭 입력에 응답하여 제어부(12)는 관리자 단말(2)의 화면에 제품 수주 등록 화면(d1)을 표시할 수 있다. 이후, 관리자(2')는 제품 수주 등록 화면(d1) 내 각 항목에 대하여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함으로써 수주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이때, 제품 수주 등록 화면(d1) 내 입력 가능한 항목(입력 항목)으로는 자재수급, 제품구분, 고객사명, 수주사명, 납품처명, 수주사진, 요청내역, 수주제품항목 및 제수주제품목록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자재수급의 유형에는 도급, 유상사급 및 무상사급이 포함될 수 있다. 제품구분의 유형에는 자사 제품, OEM, ODM이 포함될 수 있다. 고객사명과 수주사명은 일예로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를 수도 있다. 도 2에는 일예로 고객사명 및 수주사명이 '주식회사 투데이아트'로 입력되고, 납품처명이 뷰티인사이드로 입력된 경우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관리자(2')가 제품 수주 등록 화면(d1) 내 신규제품등록 버튼 또는 샘플등록 버튼을 클릭한 경우, 제어부(12)는 관리자 단말(2)의 화면에 제품 등록 화면(d2)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품 등록 화면(d2)에는 등록하고자 하는 대상 제품에 대한 정보로서, 제품명, 제품번호(제품코드), 제품규격, 고객사, 제품사진 및 견적사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품명은 일예로 "아더(제품이름)_신규_날짜_순서" 등과 같은 형태로 입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임의로 제품명의 이름이 작성될 수 있다. 제품번호(제품코드)는 등록되는 대상 제품의 고유 식별번호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는 일예로 제품 등록 화면(d2) 내 자동완성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자동으로 생성되어 부여될 수 있다. 제품번호는 제품코드, 수주번호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또한, 관리자(2')가 제품 등록 화면(d2) 내 각 항목(즉, 제품명, 제품번호, 제품규격, 고객사, 제품사진 및 견적사진)의 정보를 입력한 후 저장 버튼(저장 아이콘의 버튼)을 클릭한 경우, 제어부(12)는 관리자 단말(2)의 화면에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품 공정명세서 작성 화면(d4)을 표시할 수 있다.
제품 공정명세서 작성 화면(d4)은 등록하고자 하는 대상 제품의 공정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화면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 제품의 공정 정보는 대상 제품의 생산 공정에 관한 각종 정보로서, 대상 제품의 단계별 공정명(공정 작업명) 정보, 단계별 공정명 간의 연결 관계 흐름 정보(즉, 대상 제품의 전체 공정 플로우차트 정보), 공정명별 속성정보(투입공정 정보나 공정작업 정보), 자재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공정명에는 인쇄, 코팅, 박, 씰크, 톰슨, 접착, 기타, 싸바리, 통앰버, 쇼핑백, 제본, 접지, 수작업, 합지, 봉투, 카톤, 라벨, 지관, TAG, 표지발이, 재단, UV 코팅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자재 정보에는 조판, 일반지, 수입지, 특수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공정명별 속성정보의 경우, 예시적으로 인쇄(공정명)의 속성정보는 '공정작업: 인쇄/코팅, 투입공정: 충무기획인쇄', 코팅(공정명)의 속성정보는 '공정작업: UV부분유광, 투입공정: 코팅-3호기', 톰슨(공정명)의 속성정보는 '공정작업: 후면타발, 투입공정: 톰슨-2호기', 접착(공정명)의 속성정보는 '공정작업: 삼면접착, 투입공정: 접착-1호기', 씰크(공정명)의 속성정보는 '투입공정: 한미권주홍-실크' 등과 같을 수 있다. 이때, 공정명별 속성정보 중 투입공정 정보는 일예로 제품 공정명세서 작성 화면(d4)에서 입력될 수도 있겠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일예로 후술하여 설명하는 대상 제품의 생산계획 화면(d7)에서 입력될 수도 있다.
본 장치(10)는 공정명세서 DB(14)를 포함할 수 있다. 공정명세서 DB(14)에는 복수의 제품 각각의 공정 정보(즉, 복수개의 공정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공정명세서 DB(14)에 저장된 복수의 제품 각각의 공정 정보(즉, 복수개의 공정 정보)에는 복수의 고객사(수주사) 각각에서 생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품에 대한 공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공정명세서 DB(14)에는 제품마다(제품명 마다) 기 생성된 공정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공정명세서 DB(14)에는 고객사(수주사)마다, 각 고객사에서 생산하는 제품들마다 기 생성된 공정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즉, 공정명세서 DB(14)에는 고객사(수주사)별 각 제품마다의 공정 정보가 템플릿(template) 형태로 미리 저장(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관리자(2')는 일예로 대상 제품의 공정 정보의 등록시, 1) 제품 공정명세서 작성 화면(d4) 내 상품공정명세서 불러오기 버튼을 클릭한 후 대상 제품의 제품명(제품이름)을 입력하여 검색하고, 검색 결과로 제공되는 정보(즉, 입력한 제품명과 관련해 공정명세서 DB(14)에 기 저장되어 있는 입력한 제품명에 대응하는 공정 정보)를 선택함으로써, 공정명세서 DB(14)에 기 저장되어 있던 대상 제품의 공정 정보를 불러오기 하거나, 2) 제품 공정명세서 작성 화면(d4) 내 고객사제품명세서 불러오기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제공되는 제품명 리스트(이는 일예로 제품 수주 등록 화면(d1) 내 고객사명에 입력된 고객사에서 생산하는 제품들의 리스트를 의미할 수 있음) 중 대상 제품에 해당하는 제품명(제품이름)을 선택함으로써, 공정명세서 DB(14)에 기 저장되어 있던 대상 제품의 공정 정보를 불러오기 하거나, 3) 제품 공정명세서 작성 화면(d4) 내 우측 일영역에 제공되는 공정 템플릿 탭과 자재 템플릿 탭을 선택하여, 선택한 탭 내에 제공되는 선택 가능 항목(일예로 공정 템플릿 탭 내에 제공되는 인쇄, 코팅, 박 등의 선택 가능 항목) 중 원하는 항목을 클릭하고, 제품 공정명세서 작성 화면(d4) 내 좌측 일영역에 제공되는 공정 정보 생성 편집툴을 이용하여 관리자(2')가 공정 정보를 직접 생성하거나 편집함으로써, 등록하고자 하는 대상 제품의 공정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제품 공정명세서 작성 화면(d4)은 제품 공정명세서(BOP) 편집기 창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관리자(2')는 대상 제품의 공정 정보를 등록하기 위해, 제품 공정명세서 작성 화면(d4)(즉, BOP 편집기 창)에서 '상품공정명세서 불러오기' 버튼을 클릭하고, 클릭에 의해 화면에 제공되는 트리(이는 공정명세서 DB(14)에 저장된 공정 정보의 분류 카테고리 정보를 의미할 수 있음)에서 [공정흐름모음]-[인쇄시작]-[인쇄코팅톰슨접착]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상품공정명세서 불러오기' 버튼의 클릭 후 [인쇄코팅톰슨접착] 항목의 선택이 이루어지면, 제어부(12)는 관리자 단말(2)의 화면에 '인쇄코팅톰슨접착'에 관한 기본적인 공정 플로우차트 정보(즉, '시작 → 인쇄 → 코팅 → 톰슨 → 접착 → 종료'로 이루어진 플로우차트 정보)를 제품 공정명세서 작성 화면(d4) 내 일영역(일예로 중앙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관리자(2')는 화면에 표시된 기본적인 공정 플로우차트 정보 내 각 단계별 공정명(즉, 인쇄, 코팅, 톰슨, 접착 각각)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속성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품공정명세서 불러오기 버튼 또는 고객사제품명세서 불러오기 버튼의 클릭에 의해 불러오기 되어 관리자 단말(2)의 화면에 표출된 공정 플로우차트 정보는 템플릿으로 공정명세서 DB(14)에 기 저장되어 있던 정보인 기본적인 공정 플로우차트 정보로서, 후술하는 설명에서 기본 공정 플로우차트 정보라 지칭될 수 있다.
일예로, 관리자(2')가 화면에 표시된 기본 공정 플로우차트 정보 내 복수의 공정 단계 중(일예로, 시작 단계, 인쇄 단계, 코팅 단계, 톰슨 단계, 접착 단계 및 종료 단계를 포함한 6개의 공정 단계 중) 이웃하는 제1 공정 단계(일예로 접착 단계)와 제2 공정 단계(일예로 종료 단계)의 사이에 추가 희망 공정 단계(즉, 추가를 희망하는 공정 단계)를 추가하고자 한다고 하자. 즉, 관리자(2')는 기본 공정 플로우차트 정보에서 '접착' 단계와 '종료' 단계의 사이에 특정 공정 단계로서 일예로 '씰크' 공정 단계를 추가하기를 희망한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관리자(2')는 기본 공정 플로우차트 정보 내 추가 희망 공정 단계의 후속 단계인 제2 공정 단계(즉, 종료 단계)의 아이콘을 클릭하여 오른쪽으로 일정 거리(일예로 2cm)만큼 드래그하여 이동시키고, 이후 추가 희망 공정 단계의 이전 단계인 제1 공정 단계(즉, 접착 단계)의 아이콘을 선택하고, 이후 공정 템플릿 탭 내 복수의 선택 가능 항목 중 추가 희망 공정 단계에 해당하는 항목인 '씰크' 항목을 클릭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씰크' 항목에 대한 관리자(2')의 클릭 입력에 응답하여, 제어부(12)는 관리자 단말(2)의 화면에 표시된 기본 공정 플로우차트 정보를 '씰크' 단계의 아이콘이 포함되도록 업데이트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씰크' 항목에 대한 관리자(2')의 클릭 입력에 응답하여, 제어부(12)는 기본 공정 플로우차트 정보에서 제1 공정 단계의 아이콘과 제2 공정 단계의 아이콘의 사이에 추가 희망 공정 단계의 아이콘으로서 '씰크'가 추가되도록 기본 공정 플로우차트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업데이트된 공정 플로우차트 정보는 '시작 → 인쇄 → 코팅 → 톰슨 → 접착 → 실크 → 종료'로 이루어진 플로우차트 정보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관리자(2')는 간단하고 편리한 조작으로 불러오기한 기본 공정 플로우차트 정보를 수정, 편집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2')가 기본 공정 플로우차트 정보 내 복수의 공정명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공정명 아이콘(일예로 코팅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클릭하면, 제어부(12)는 제품 공정명세서 작성 화면(d4)의 하측의 일영역에 표시된 복수의 공정명별 속성정보 입력 표 상에서 관리자(2')가 클릭한 어느 하나의 공정명 아이콘(일예로 코팅에 해당하는 아이콘)과 관련된 속성정보 입력 행으로 이동되도록 하고(이에 따라, 관리자 단말(2)의 화면 상에 관리자가 클릭한 어느 하나의 공정명 아이콘과 관련된 속성정보 입력 행이 노출되도록 화면 표시를 제어하고), 이와 더불어 관리자(2')가 클릭한 어느 하나의 공정명 아이콘(일예로 코팅에 해당하는 아이콘)과 관련된 속성정보 입력 행의 영역을 다른 행의 영역(일예로 관리자에 의해 클릭이 이루어지지 않은 공정명 아이콘과 관련된 속성정보 입력 행의 영역) 대비 보다 인식 가능한 형태의 것으로서 일예로 컬러 표시(일예로 파란색의 색상으로 영역 표시)를 할 수 있다.
상술한 방식으로 관리자(2')가 제품 공정명세서 작성 화면(d4)(즉, BOP 편집기 창)에서 대상 제품에 대한 공정 정보(대상 제품의 공정명세서 정보)를 입력한 후 이후 저장 버튼을 클릭하고 이후 엑스 버튼(BOP 편집기 창의 닫기 버튼)을 클릭하면, 제어부(12)는 제품 공정명세서 작성 화면(d4)에서 입력받은 대상 제품의 공정 정보(즉, 대상 제품의 공정명세서 정보)가 포함된 대상 제품에 대한 정보가, 제품 수주 등록 화면(d1) 내 수주제품항목 내의 리스트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제품 수주 등록 화면(d1) 내 수주제품항목에 대상 제품에 대한 정보가 리스트로 표시되었을 때, 관리자(2')는 제품 수주 등록 화면(d1) 상에서 수주제품항목에 표시된 대상 제품에 대한 정보와 관련하여 대상 제품의 수주수량, 납품요청일 및 납품처명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2')가 제품 수주 등록 화면(d1) 내 납품처생성 버튼을 클릭한 경우, 제어부(12)는 관리자 단말(2)의 화면에 납품처 생성 화면(d3)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납품처 생성 화면(d3)에는 등록하고자 하는 납품처에 관한 정보로서, 납품장소명, 납품처코드, 주소, 납품담당자, 납품담당자 연락처, 검수 담당자, 검수담당자 연락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품 수주 등록 화면(d1)에서 관리자(2')는 대상 제품을 1개 등록할 수도 있고, 혹은 복수개(2개 이상) 등록할 수도 있다. 제품 수주 등록 화면(d1)에서 대상 제품이 복수개 등록되는 경우, 등록된 복수개의 대상 제품 각각마다 서로 다른 제품번호(제품코드)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관리자(2')가 제품 수주 등록 화면(d1)에서 일예로 신규제품등록 버튼을 클릭하여 복수개(일예로 3개)의 대상 제품을 등록하면, 제품 수주 등록 화면(d1) 내 수주제품항목에 3개의 대상 제품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관리자(2')가 제품 수주 등록 화면(d1) 내 각 항목에 대하여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제어부(12)는 관리자(2')가 제품 수주 등록 화면(d1)에서 입력한 정보를 대상 제품에 대한 제품 수주 등록 정보로서 수주 DB(13)에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만약, 관리자(2')가 제품 수주 등록 화면(d1)에서 3개의 대상 제품을 등록했다면, 수주 DB(13)에는 3개의 제품 수주 등록 정보(즉, 제1 대상 제품에 대한 제1 제품 수주 등록 정보, 제2 대상 제품에 대한 제2 제품 수주 등록 정보 및 제3 대상 제품에 대한 제3 제품 수주 등록 정보)가 등록되고 관리될 수 있다. 즉, 제품 수주 등록 정보는 하나의 대상 제품마다 생성되어 수주 DB(13)에 등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관리자(2')가 제품 수주 등록 화면(d1)을 통해 등록한 대상 제품이 1개인 경우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관리자(2')가 일예로 제품 수주 등록 화면(d1)을 통해 대상 제품(일예로 제1 대상 제품)을 등록함으로써, 해당 대상 제품에 대한 제품 수주 등록 정보(제1 제품 수주 등록 정보)가 수주 DB(13)에 등록(저장) 완료되었다고 하자. 이때, 수주 DB(13)에 등록(저장) 완료된 대상 제품(제1 대상 제품)에 대한 제품 수주 등록 정보(제1 제품 수주 등록 정보)는 일예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을 수 있다. 즉, 수주 DB(13)에 등록(저장) 완료된 대상 제품에 대한 제품 수주 등록 정보는 일예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로 관리자 단말(2)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본원에서 수주 DB(13)에 등록된(등록 완료된) 대상 제품에 대한 제품 수주 등록 정보는 대상 제품의 제품 수주 상세 정보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대상 제품(제1 대상 제품)의 제품 수주 상세 정보 화면(d5)은 수주 DB(13)에 등록되어 있는 등록된 대상 제품의 제품 수주 등록 정보 화면(d5)이라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품 수주 등록 화면(d1)을 통해 신규하게 등록된 대상 제품(즉, 등록된 대상 제품)이 제1 대상 제품이라 지칭될 수 있다.
관리자(2')가 수주 DB(13)에 등록 완료한 복수의 제품 수주 등록 정보(즉, 복수개의 대상 제품에 대한 제품 수주 등록 정보)는 관리자(2')가 수주 관리 메뉴의 선택시 화면에 리스트로 표시될 수 있다. 즉, 관리자(2')는 수주 관리 메뉴를 통해 수주 DB(13)에 등록된 복수의 제품 수주 등록 정보의 리스트(즉, 수주관리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관리자(2')가 일예로 수주관리 리스트 내에 포함된 복수의 제품 수주 등록 정보 중 제품 수주 등록 화면(d1)을 통해 등록된 대상 제품(일예로 제1 대상 제품)의 제품 수주 등록 정보를 선택한 경우, 제어부(12)는 관리자 단말(2)의 화면 상에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대상 제품(일예로 제1 대상 제품)의 제품 수주 상세 정보 화면(d5)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수주 DB(13)에 등록 완료된 대상 제품의 제품 수주 등록 정보(혹은 대상 제품의 제품 수주 상세 정보)에는 제품 수주 등록 화면(d1)에서 입력한 정보들로서, 제품번호(제품코드, 수주번호), 자재수급, 제품구분, 고객사명, 수주사명, 납품처명, 수주사진, 요청내역, 대상 제품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대상 제품의 정보는 수주제품항목에 표시되는 대상 제품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대상 제품의 공정 정보(즉, 대상 제품의 공정명세서 정보), 수주수량, 납품요청일, 납품처명, 제품명, 상태, 유형(신규인지 등)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관리자(2')는 수주 DB(13)에 등록된 대상 제품(일예로 제1 대상 제품)의 제품 수주 등록 정보와 관련하여, 해당 대상 제품의 생산 작업의 진행을 위해 해당 대상 제품(제1 대상 제품)을 생산하는 수주사에게 생산요청 및 작업지시를 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관리자(2')가 수주 DB(13)에 등록되어 있는 등록된 대상 제품(제1 대상 제품)의 제품 수주 등록 정보 화면(d5) 내 생산요청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대상 제품(제1 대상 제품)에 대하여 생산요청이 이루어지고, 이후 관리자(2')가 작업지시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생산요청이 이루어진 대상 제품에 대하여 작업지시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작업지시 요청에 응답하여 대상 제품의 생산을 위한 작업지시 정보를 제품 수주 등록 정보(제1 제품 수주 등록 정보) 내 고객사인 수주사의 수주사 단말(3)로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일예에 따르면, 본 장치(10)로부터 작업지시 정보를 제공받는 수주사 단말(3)은 주식회사 투데이아트의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대상 제품에 대한 제품 수주 등록 정보(즉, 제1 대상 제품에 대한 제1 제품 수주 등록 정보)가 수주 DB(13)에 등록된 이후, 등록된 대상 제품(제1 대상 제품)에 대하여 생산요청을 하고자 하는 경우, 관리자(2')는 수주 DB(13)에 등록된 복수의 제품 수주 등록 정보의 리스트(즉, 수주관리 리스트)에서 제1 제품 수주 등록 정보를 클릭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는 관리자(2')가 클릭한 제1 제품 수주 등록 정보를 도 4에 도시된 제1 제품 수주 등록 정보 화면(d5)과 같이 관리자 단말(2)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관리자(2')는 제1 제품 수주 등록 정보 화면(d5)에서 제1 제품 수주 등록 정보 내 대상 제품(제1 대상 제품)을 선택한 후 제1 제품 수주 등록 정보 화면(d5) 내 생산요청 버튼을 클릭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상 제품에 대한 생산요청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생산요청이 이루어진 대상 제품에 대한 제품 수주 등록 정보(즉, 생산요청이 이루어진 제품들에 대한 제품 수주 등록 정보)는 일예로 생산요청 관리 메뉴에서 리스트로 표시되고 관리될 수 있다.
관리자(2')는 생산요청된 대상 제품(제1 대상 제품)에 대하여 작업지시(이는 대상 제품의 생산 공정 작업의 수행 지시를 의미함)를 하기 위해, 일예로 생산요청 관리 메뉴를 클릭함으로써 표시되는 생산요청관리 화면에서 생산요청이 이루어진 대상 제품을 선택할 수 있다. 생산요청이 이루어진 대상 제품에 대하여 관리자(2')의 선택(클릭 입력)이 이루어지면, 제어부(12)는 관리자 단말(2)의 화면 상에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관리자(2')에 의해 선택된 생산요청이 이루어진 대상 제품(제1 대상 제품)의 작업지시 화면(d6)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작업지시 화면(d6)에는 생산요청이 이루어진 대상 제품에 대한 작업지시 관련 정보로서, 대상 제품의 수주번호(제품번호), 제품명, 제품수, 수주수량, 생산완료량, 작업진행수량, 생산잔량, 작업요청(작업요청일) 및 작업요청사항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관리자(2')는 작업지시 화면(d6)에서 작업요청(작업요청일)의 입력란을 클릭하여 대상 제품(제1 대상 제품)의 생산 공정 작업의 완료를 희망하는 날짜와 시간 정보를 작업요청일로서 입력(선택하여 입력)한 후 작업지시 화면(d6) 내 작업지시 버튼을 클릭할 수 있다. 이때, 작업지시 화면(d6)에서 입력되는 대상 제품의 작업요청일은 일예로 제1 제품 수주 등록 정보 내 납품요청일의 정보보다 이전의 날짜(하루 이상 그 이전의 날짜)로 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납품요청일이 2022년 2월 10일인 경우, 작업요청일은 2022년 2월 9일 혹은 그보다 이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작업지시 화면(d6) 내 작업지시 버튼에 대한 관리자(2')의 선택(클릭)이 이루어지면, 제어부(12)는 이를 작업지시 요청으로 인식하여, 대상 제품(제1 대상 제품)의 생산을 위한 작업지시 정보(즉, 작업지시 화면(d6)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대상 제품에 대한 제품 수주 등록 정보에 입력되어 있는 고객사인 수주사(일예로, 주식회사 투데이아트)의 수주사 단말(3)로 제공할 수 있다.
관리자(2')가 작업지시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작업지시 요청이 이루어진 대상 제품에 대한 제품 수주 등록 정보(즉, 작업지시 요청이 이루어진 제품들에 대한 제품 수주 등록 정보)는 일예로 제품별 생산계획 메뉴의 클릭시 제어부(12)에 의해 제공되는 제품별 생산계획 화면에서 표시되고 관리될 수 있다. 일예로, 작업지시 요청이 이루어진 대상 제품(제1 대상 제품)에 대한 제품 수주 등록 정보의 생산계획 화면(d7)(즉, 대상 제품의 생산계획 화면)은 일예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관리자 단말(2)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대상 제품의 생산계획 화면(d7)에는 캘린더 상에서 대상 제품의 납품요청일에 해당하는 날짜의 공간에, 대상 제품의 공정 플로우차트 정보 내 복수의 공정 단계 중 시작 단계와 종료 단계를 제외한 공정 단계들(즉, 인쇄 단계, 코팅 단계, 톰슨 단계, 접착 단계, 씰크 단계) 각각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대상 제품의 공정 플로우차트 정보 내 복수의 공정 단계 중 시작 단계와 종료 단계를 제외한 나머지 공정 단계들(즉, 인쇄 단계, 코팅 단계, 톰슨 단계, 접착 단계, 씰크 단계)을 설명의 편의상 복수의 공정작업 단계라 지칭하기로 한다.
관리자(2')는 대상 제품의 생산계획 화면(d7)에서 대상 제품의 복수의 공정작업 단계 각각에 대한 투입공정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투입공정 정보는 각 공정작업 단계에 해당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데에 이용되는(투입되는) 설비 정보(즉, 공정 설비/기기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일예로, 관리자(2')는 대상 제품의 생산계획 화면(d7)에서 대상 제품과 관련하여 투입공정의 수립버튼을 클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자(2')는 대상 제품의 생산계획 화면(d7) 내 캘린더에 표시된 대상 제품의 해당 작업에서(즉, 대상 제품의 납품요청일에 해당하는 날짜의 공간에 표시된 대상 제품의 복수의 공정작업 단계의 정보에서) 일예로 관리자 단말(2)이 데스크탑 pc인 경우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 후 설비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때 복수의 공정작업 단계 각각별로 설비를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관리자(2')는 대상 제품의 생산계획 화면(d7)에서 캘린더 상에 표시된 대상 제품의 복수의 공정작업 단계 각각에 대하여, 복수의 공정작업 단계 각각의 항목을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한 후 투입공정 선택 항목을 클릭해 투입공정 정보(즉, 설비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의 공정작업 단계 각각별로 투입공정 정보(설비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복수의 공정작업 단계별 투입공정 정보는 앞서 예시한 바와 같이, 일예로 인쇄 공정작업 단계는 충무기획인쇄, 코팅 공정작업 단계는 코팅-3호기, 톰슨 공정작업 단계는 톰슨-2호기, 접착 공정작업 단계는 접착-1호기, 씰크 공정작업 단계는 한미권주홍-실크 등과 같을 수 있다.
복수의 공정작업 단계 각각마다 투입공정 정보를 입력(선택)하고 나면, 관리자(2')는 일예로 리스트에서(즉, 대상 제품의 생산계획 화면(d7)에서) 대상 제품의 복수의 공정작업 단계 각각이 파란색(시작 상태를 나타내는 파란색)으로 표시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대상 제품의 생산계획 화면(d7) 상에서 대상 제품의 복수의 공정작업 단계의 항목은 각 공정작업 단계의 현재 상태에 따라 색상이 달리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공정작업 단계별 현재 상태 정보는, 수주사 단말(3)에 의해 입력되는 복수의 공정작업 단계별 진행상태 정보(즉, 작업지시 정보를 수신한 수주사에서의 대상 제품의 생산 공정작업의 진행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정보일 수 있다.
공정작업 단계의 현재 상태 정보에는 일예로 시작, 할당, 진행가능, 진행중, 완료, 실행/취소, 기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시작은 일예로 수주사 단말(3)이 제어부(12)로부터 제공된 작업지시 정보를 정상 수신함에 따라 공정작업 단계를 시작할 예정인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할당은 작업지시 정보를 수신한 수주사 단말(3)이 대상 제품의 복수의 공정작업 단계 각각을 수주사 단말(3)의 수주사 내 각 공정작업 단계를 수행하는 해당 공정작업 담당 부서에 할당 중인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진행가능은 공정작업 단계를 할당받은 공정작업 담당 부서에서, 할당받은 공정작업 단계의 진행(작업 진행)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진행중은 공정작업의 단계를 할당받은 공정작업 담당 부서에서, 할당받은 공정작업의 단계의 공정을 수행중인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완료는 공정작업의 단계를 할당받은 공정작업 담당 부서에서, 할당받은 공정작업의 단계의 공정을 모두 완료한 상태(즉, 작업지시 정보에서 지시받은 수주수량에 해당하는 대상 제품에 대하여 해당 공정작업의 단계의 수행을 완료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실행/취소는 공정작업 담당 부서에 할당되었거나 진행중인 공정작업 단계가 취소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대상 제품의 생산계획 화면(d7) 상에서 복수의 공정작업 단계 각각의 항목은 현재 상태 정보에 따라 일예로 다음과 같은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복수의 공정작업 단계 각각의 항목은, 일예로 시작 상태이면 제1 색상(일예로 파란색), 할당 상태이면 제2 색상(일예로 연두색), 진행가능 상태이면 제3 색상(일예로 보라색), 진행중 상태이면 제4 색상(일예로 분홍색), 완료 상태이면 제5 색상(일예로 파란색), 실행/취소 상태이면 제6 색상(일예로 빨간색), 기타 상태이면 제7 색상(일예로 노란색)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현재 상태 정보별 색상은 관리자(2')에 의해 다양한 색상으로 설정, 변경될 수 있다.
관리자(2')가 작업지시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복수의 수주사 단말로 제공된 복수의 작업지시 정보는 일예로 관리자(2')가 관리자 단말(2)의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메뉴 중 공정상태 조정 메뉴를 클릭했을 때 제어부(12)에 의해 제공되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공정작업진행 관리 화면(d8)에서 표시되고 관리될 수 있다. 즉, 관리자(2')가 복수의 수주사 단말로 작업을 지시한 복수의 작업지시 정보는 일예로 공정작업진행 관리 화면(d8) 내 일영역에 마련된 작업목록 표시 영역에 리스트(목록) 형태로 표시되고 관리될 수 있다. 공정작업진행 관리 화면(d8)을 통해, 관리자(2')는 자신이 복수의 수주사 단말로 지시한 복수의 작업지시 정보의 리스트(목록), 생산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공정작업진행 관리 화면(d8)에 표시되는 대상 제품에 대한 작업지시 정보(즉, 수주사 단말(3)로 제공됨에 따라 작업목록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대상 제품에 대한 작업지시 정보)에는 대상 제품의 생산상태 정보(일예로, 생산대기, 생산중, 생산완료 등), 수주번호(제품번호), 작업접수번호, 수주유형, 수주사, 제품명, 생산요청일(즉, 작업요청일), 납품요청일, 작업지시량(즉, 수주수량), 생산수량, 불량수량, 작업시작일, 작업완료일, 작업이력, 작업지시서, 생산중단 선택 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관리자(2')가 작업지시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수주사 단말(3)로 제공된 작업지시 정보(즉, 수주사 단말(3)이 본 장치(10)로부터 전달받은 작업지시 정보)는 일예로 생산자(3')가 수주사 단말(3)의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메뉴 중 공정상태 조정 메뉴를 클릭했을 때 제어부(12)에 의해 제공되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공정작업진행 관리 화면(d8)에서 표시되고 관리될 수 있다. 즉, 생산자(3')가 제어부(12)로부터 제공받은(지시받은) 작업지시 정보는 일예로 공정작업진행 관리 화면(d8) 내 일영역에 마련된 작업목록 표시 영역에 리스트(목록) 형태로 표시되고 관리될 수 있다. 공정작업진행 관리 화면(d8)을 통해, 생산자(3')는 자신이 제어부(12)로부터 전달받은 적어도 하나의 작업지시 정보의 리스트(목록)를 확인하고, 각 작업지시 정보에 대한 생산상태(특히나, 작업지시 정보 내 대상 제품의 복수의 공정작업 단계별 진행상태 정보)를 관리하고 확인할 수 있다.
생산자(3')는 수주사 단말(3)의 화면에 표시된 공정작업진행 관리 화면(d8)을 기반으로, 제어부(12)로부터 제공받은 작업지시 정보에 관한 대상 제품(제1 대상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공정작업을 진행(수행)하고 대상 제품의 공정작업을 관리할 수 있다.
즉, 수주사 단말(3)이 제어부(12)로부터 작업지시 정보를 제공받은 이후, 제어부(12)는 수주사 단말(3)을 소지한 생산자(3')가 복수의 메뉴 중 공정상태 조정 메뉴를 선택한 것으로 식별부(11)에 의해 식별된 경우, 수주사 단말(3)의 화면에 작업지시 정보와 관련된 공정작업진행 관리 화면(d8)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생산자(3')는 수주사 단말(3)의 화면에 표시된 공정작업진행 관리 화면(d8)을 기반으로 작업지시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 제품(제1 대상 제품)에 대한 공정작업(생산 공정작업)의 진행(업무 진행)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공정작업의 관리와 관련하여, 생산자(3')는 공정작업진행 관리 화면(d8)을 통해 작업지시 정보 내 대상 제품의 복수의 공정작업 단계별 진행상태 정보(일예로, 시작, 할당, 진행가능, 진행중, 완료, 실행/취소, 기타 정보 등)를 입력함으로써 공정작업의 진행상태(즉, 복수의 공정작업 단계별 진행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수주사 단말(3)이 본 장치(10)로부터 제공받은 적어도 하나의 작업지시 정보는 수주사 단말(3)의 화면에 표시되는 공정작업진행 관리 화면(d8) 내 일영역에 마련된 작업목록 표시 영역에 리스트(목록)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생산자(3')가 작업목록 표시 영역에 표시된 대상 제품(제1 대상 제품)에 대한 작업지시 정보를 선택한 경우, 제어부(12)는 공정작업진행 관리 화면(d8) 내에서 작업목록 표시 영역과는 겹치지 않는 다른 일영역에 마련된 공정목록 표시 영역에, 생산자(3')가 선택한 작업지시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 제품(즉, 제1 대상 제품)의 복수의 공정작업 단계별 정보를 리스트(목록)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공정목록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복수의 공정작업 단계별 정보에는 각 공정작업 단계마다의 공정명, 투입공정, 공정작업, 상태(현재 상태) 및 조정 상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조정 상태 정보는 현재 상태가 생산완료가 아닌 공정작업 단계에 대하여(즉, 일예로 현재 상태가 생산중이거나 생산대기 상태인 공정작업 단계에 대하여), 현재 상태를 현재와는 다른 상태로 조정(변경)되도록 하는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조정 상태 정보에는 취소, 시작, 완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생산자(3')는 공정작업진행 관리 화면(d8)을 통해, 작업지시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 제품(즉, 제1 대상 제품)의 생산 공정 작업을 진행함에 있어서, 대상 제품의 복수의 공정작업 단계마다 각 공정작업 단계의 진행상태(현재 진행 상태 정보, 현재 상태 정보)를 개별적으로 입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생산자(3')는 공정상태 조정 메뉴를 통해 제공되는 공정작업진행 관리 화면(d8)에 표시된 작업목록에서 공정작업의 관리를 수행하고자 하는 대상 제품(즉, 제1 대상 제품)에 대응되는 작업지시 정보를 선택하고, 작업지시 정보의 선택에 의해 공정목록에 표시된 대상 제품의 복수의 공정작업 단계 각각마다 각 공정작업 단계의 현재상태를 고려해 작업시작 버튼, 완료 버튼 등을 현재 상태에 맞게 클릭함으로써, 복수의 공정작업 단계 각각의 진행상태(현재 진행 상태)의 정보를 입력하며 대상 제품에 대한 공정작업을 진행(수행)할 수 있다. 이때, 공정작업진행 관리 화면(d8)에서 생산자(3')에 의해 입력된 복수의 공정작업 단계 각각의 진행상태의 정보는 앞서 말한 대상 제품의 생산계획 화면(d7)에서도 반영될 수 있다.
상술한 일예에서는, 생산자(3')가 작업지시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 제품에 대한 공정작업의 진행 및 관리(진행상태 정보의 관리)를 수행할 때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웹(인터넷, 브라우저) 기반으로 제공되는 공정작업진행 관리 화면(d8)을 통해 수행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생산자(3')는 작업지시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 제품에 대한 공정작업의 진행 및 관리(진행상태 정보의 관리)를 수행할 때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특정 앱(특정 프로그램) 기반으로 제공되는 공정작업진행 관리 전용 프로그램 화면(d8')을 통해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2)로부터 작업지시 정보를 수신한 생산자(3')는 수주사 단말(3)을 통해 본 앱에 접속함으로써 공정작업진행 관리 전용 프로그램 화면(d8')을 제공받을 수 있고, 이를 토대로 작업지시 정보에 대한 공정작업의 진행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생산자(3')는 공정작업진행 관리 전용 프로그램 화면(d8')을 통해, 작업지시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 제품(제1 대상 제품)의 복수의 공정작업 단계별 진행상태(현재 진행 상태 정보, 현재 상태 정보)의 입력 및 확인이 가능하고, 각 공정작업 단계별 작업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대상 제품의 생산 공정작업에 대한 작업이력(작업 활동 이력) 등을 확인 및 이력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관리자(2')가 복수의 메뉴 중 제품 생산현황 메뉴를 선택한 것으로 식별부(11)에 의해 식별된 경우, 수주 DB(13)에 등록된 복수의 제품 수주 등록 정보의 리스트를 수주사 단말(3)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2')가 리스트 내 작업지시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 제품(제1 대상 제품)의 제품 수주 등록 정보를 클릭한 경우, 제어부(12)는 관리자(2')가 클릭한 대상 제품의 제품 생산 현황 조회 화면을 관리자 단말(2)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2)는 생산자(3')가 복수의 메뉴 중 제품 생산현황 메뉴를 선택한 것으로 식별부(11)에 의해 식별된 경우, 수주 DB(13)에 등록된 복수의 제품 수주 등록 정보의 리스트를 수주사 단말(3)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생산자(3')가 리스트 내 작업지시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 제품(제1 대상 제품)의 제품 수주 등록 정보를 클릭한 경우, 제어부(12)는 생산자(3')가 클릭한 대상 제품의 제품 생산 현황 조회 화면을 수주사 단말(3)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8에는 일예로 사용자 단말(즉, 관리자 단말 또는 수주사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대상 제품(제1 대상 제품)의 제품 생산 현황 조회 화면(d9)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9에는 일예로 사용자 단말(즉, 관리자 단말 또는 수주사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다른 대상 제품의 제품 생산 현황 조회 화면(d')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일예로 도 8을 참조하면, 대상 제품(제1 대상 제품)의 제품 생산 현황 조회 화면(d9)에는 대상 제품(제1 대상 제품)의 공정 플로우차트 정보 및 대상 제품의 생산 공정작업에 대한 작업이력(작업 활동 이력)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대상 제품의 제품 생산 현황 조회 화면(d9)에는 공정 플로우차트 정보 상에 일부 오버랩되어 표시되는 현재 공정 진행 상태 표시 아이콘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현재 공정 진행 상태 표시 아이콘 내에는 현재 공정 진행 상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현재 공정 진행 상태 정보는 대상 제품의 공정 플로우차트 정보에 해당하는 전체 공정 흐름 상에서 현재의 공정작업의 진행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이는 생산자(3')에 의해 입력되는 대상 제품의 복수의 공정작업 단계마다의 각 공정작업 단계의 진행상태 정보(현재 진행 상태 정보, 현재 상태 정보), 공정작업 단계의 진행 상태 정보가 입력된 시간 정보(해당 공정작업 단계의 시작 시간 정보) 및 작업지시 정보에 포함된 수주수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현재 공정 진행 상태 표시 아이콘을 표시할 때, 현재 공정 진행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대상 제품의 공정 플로우차트 정보 내 복수의 공정 단계의 아이콘 중에서 현재 공정 진행 상태 정보의 현 위치에 대응되는 공정 단계의 아이콘 상에 일부 오버랩되도록 연계해 표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대상 제품(제1 대상 제품)의 수주수량이 10000개이고, 대상 제품의 공정 플로우차트 정보 내 복수의 공정 단계로서, 시작 단계, 인쇄 단계, 코팅 단계, 톰슨 단계, 접착 단계, 씰크 단계, 및 종료 단계가 포함되어 있다고 하자. 이때, 생산자(3')가 대상 제품(제1 대상 제품)의 제품 생산 현황 조회 화면(d9)을 보기 위해 복수의 제품 수주 등록 정보의 리스트 내 대상 제품의 제품 수주 등록 정보를 클릭한 시점(즉, 대상 제품의 제품 생산 현황 조회 화면을 조회한 시점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하 설명의 편의상 생산현황 조회 시점이라 함)이 일예로 2022년 2월 9일 14시 30분이라고 하자. 그리고, 생산현황 조회 시점을 기준으로, 생산자(3')에 의해 입력된 대상 제품의 복수의 공정작업 단계별 진행상태 정보를 확인한 결과, 일예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쇄 단계는 생산 완료 상태, 코팅 단계는 생산중 상태, 톰슨 단계와 접착 단계와 씰크 단계는 생산대기 상태'라고 하자. 그리고, 생산자(3')가 코팅 단계의 작업을 진행(수행)하고자 코팅 단계의 시작 버튼을 클릭한 시점의 시간 정보(즉, 코팅 단계의 생산중 상태 정보가 입력된 시간 정보, 달리 말해 코팅 단계의 생산중 상태가 시작된 시작 시간 정보)가 일예로 2022년 2월 9일 12시 23분이라고 하자.
이러한 경우, 제어부(12)는 생산자(3')가 대상 제품(제1 대상 제품)의 제품 생산 현황 조회 화면(d9)을 보기 위해 복수의 제품 수주 등록 정보의 리스트 내 대상 제품의 제품 수주 등록 정보를 클릭하면, 이에 응답하여 현재 공정 진행 상태 정보로서 '수량 : 10000개, 시작시간: 2022-02-09. 12:23, 진행중'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현재 공정 진행 상태 표시 아이콘을 생성하고, 생성된 현재 공정 진행 상태 표시 아이콘을 대상 제품의 공정 플로우차트 정보 내 복수의 공정 단계의 아이콘 중에서 현재 공정 진행 상태 정보의 현 위치에 대응되는(즉, 현재 진행중인 상태에 해당하는) 공정 단계의 아이콘(즉, 코팅 단계의 아이콘) 상에 일부 오버랩되도록 연계해 표시한 대상 제품의 공정 플로우차트 정보(즉, 현재 공정 진행 상태 표시 아이콘이 연계되어 표시된 대상 제품의 공정 플로우차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2)는 현재 공정 진행 상태 표시 아이콘이 연계되어 표시된 대상 제품의 공정 플로우차트 정보와 대상 제품의 생산 공정작업에 대한 작업이력(작업 활동 이력) 정보가 포함된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대상 제품의 제품 생산 현황 조회 화면(d9)을 수주사 단말(3)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대상 제품(제1 대상 제품)의 제품 생산 현황 조회 화면(d9)에 의하면, 본 장치(10)는 대상 제품을 생산하는 수주사(즉, 수주사 단말(3)에 대응하는 수주사)에 소속되어 대상 제품의 생산 공정작업에 참여하는 모든 생산자들이(즉, 수주사 단말(3)의 수주사에 소속된 수주사 소속 복수의 생산자들 모두가) 각자 자신이 소지한 단말을 통해 본 앱에 접속함으로써 대상 제품의 생산 공정 과정의 현재 진행 상태(즉, 제품 생산현황)를 직관적으로 빠르게 확인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는 일예로 대상 제품(제1 대상 제품)의 생산 공정이 한 회사(하나의 수주사로서, 일예로 주식회사 투데이아트) 내 다수의 공정 파트 팀(즉, 공정작업 담당 부서)별로 나누어 이루어질 때, 현재 대상 제품의 생산이 대상 제품의 전체 공정 플로우차트 정보 상에서 어느 공정 단계까지 진행되었는지(혹은 어느 공정 단계에 머물러 있는지 등)에 대한 확인을, 각 공정 파트 팀에 소속된 생산자들에게 일일이 별도로 연락을 취하여 확인하는 등의 번거로운 과정의 필요 없이, 각자 자신이 소지한 단말을 통해 본 앱에 접속함으로써 빠르고 직관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수주사마다 및 각 제품마다 생산 공정 과정이 각기 다름을 고려하여, 각 제품들의 효율적인 생산 공정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는 생산하고자 하는 대상 제품과 관련하여, 대상 제품의 제품 관리, 제품 생산현황, 수주 관리, 제품출하 관리, 공정상태 조정, 제품별 생산계획, 생산요청 관리 등을 효율적으로 등록하고 관리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수주 DB(13)에는 등록된 복수의 대상 제품(복수의 제품) 각각 마다, 각 대상 제품의 생산 공정작업에 대한 작업이력(작업 활동 이력) 정보가 연계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이력 정보에는 복수의 공정 단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공정 단계에 대한 진행상태 정보의 변경이 있을 때마다, 상태 변경된 공정 단계와 관련하여 상태 변경 입력 시간, 진행상태 정보(생산완료, 작업시작, 작업완료, 발주요청, 접수 등), 투입수량, 작업수량, 공정명, 투입공정 정보, 공정작업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2)는 수주 DB(13)에 저장된 복수의 대상 제품의 작업이력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수주사마다 생산하는 제품별로(대상 제품들의 종류마다) 각 제품 내 공정 단계 각각의 평균 공정 처리 시간(특히, 1개의 제품 당 평균 공정 처리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일예로, 수주 DB(13) 내에 제1 수주사에서 생산하는 제1 대상 제품에 대한 과거의 작업이력 정보로서 과거 1년 동안에 저장된 10개의 작업이력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고 하자. 제어부(12)는 이들 10개의 작업이력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제1 대상 제품의 복수의 공정 단계마다(일예로, 인쇄 단계, 코팅 단계, 톰슨 단계, 접착 단계 및 씰크 단계 각각마다) 1개의 제품 당 평균 공정 처리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는 신규로 수주 DB(13)에 신규 대상 제품(신규 제1 대상 제품)에 대한 제품 수주 등록 정보가 등록되고, 신규 대상 제품의 제품 수주 등록 정보에 대한 작업지시 정보가 수주사 단말(3)로 제공되었을 때, 신규 대상 제품에 대한 생산요청일(작업요청일)까지의 생산완료 가능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는, 본 장치(10)로부터 신규 대상 제품의 생산에 대한 작업지시 요청을 받은 수주사 단말(3)이 작업지시 정보 내 생산요청일까지 지시받은 작업(요청받은 수주수량의 생산)의 완료가 가능한지에 대한 가능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는 일예로 신규 대상 제품의 작업지시 정보 내 생산요청일(일예로 2022년 03월 18일 15시)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한(일예로 4일) 이전에 해당하는 시점(즉, 2022년 3월 14일 15시)을 가능성 판단 시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2)는 가능성 판단 시점이 도래하였을 때(즉, 2022년 3월 14일 15시가 되었을 때) 신규 대상 제품에 대한 작업이력(작업 활동 이력) 정보를 고려하여 신규 대상 제품의 공정 플로우차트 정보 내 복수의 공정작업 단계 중에서 가능성 판단 시점에 남아있는 남은 공정작업 단계(즉, 생산중 상태이거나 생산대기 상태에 있는 공정작업 단계)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일예로, 신규 대상 제품의 복수의 공정작업 단계(인쇄-코팅-톰슨-접착-씰크 단계) 중 가능성 판단 시점에 인쇄는 생산완료 상태, 코팅은 진행중 상태, 톰슨과 접착과 씰크 단계 각각은 생산대기 중 상태인 경우, 남은 공정작업 단계는 코팅, 톰슨, 접착 및 씰크 단계로 인식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2)는 복수의 대상 제품의 작업이력 정보의 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신규 대상 제품과 동종(동일)의 대상 제품(즉, 제1 대상 제품)에 대하여 기 산출된 대상 제품 내 복수의 공정 단계마다의 개당 평균 공정 처리 시간 및 남은 공정작업 단계별 수주수량 수를 고려하여, 남은 공정작업 단계별 예상 공정 처리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2)는 남은 공정작업 단계별 산출된 예상 공정 처리 시간의 합계 시간을 산출하고, 가능성 판단 시점(일예로 22년 3월 14일 15시)으로부터 생산요청일(즉, 2022년 03월 18일 15시)까지 기간(4일)에 대응하는 남은 생산요청 마감 시간(일예로 하루 근무시간을 8시간으로 가정하였을 때, 8시간X 4=36시간)과 산출된 합계 시간 간의 차이를 고려하여, 신규 대상 제품에 대한 생산요청일(작업요청일)까지의 생산완료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는 생산완료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일예로 생산완료 가능 혹은 생산완료 불가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는 남은 생산요청 마감 시간과 합계 시간을 비교한 결과, 합계 시간이 남은 생산요청 마감 시간보다 큰 경우(일예로, 합계 시간이 40시간이고 남은 생산요청 마감 시간이 36시간임에 따라, 합계 시간이 4시간 더 많은 경우), 생산완료 가능성을 생산완료 불가능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2)는 합계 시간에서 남은 생산요청 마감 시간을 뺀 차이 시간(즉, 4시간) 정보를 고려하여, 차이 시간을 고려한 추가 근무 권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수주사 단말(3)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 근무 권고 메시지는 예시적으로 '현시각 기준으로 신규 대상 제품을 생산요청일까지 생산완료하려면, 4시간의 추가 근무가 필요합니다. 이를 고려해 생산 작업을 진행하기를 바랍니다'와 같은 정보일 수 있다.
만약, 남은 생산요청 마감 시간과 합계 시간을 비교한 결과, 합계 시간이 남은 생산요청 마감 시간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경우(일예로, 합계 시간이 36시간 이하인 경우), 제어부(12)는 생산완료 가능성을 생산완료 가능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추가 근무 권고 메시지는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일예에서는, 제어부(12)가 신규 대상 제품의 작업지시 정보 내 생산요청일(일예로 2022년 03월 18일 15시)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한(일예로 4일) 이전에 해당하는 시점(즉, 2022년 3월 14일 15시)을 가능성 판단 시점으로 인식해, 해당 가능성 판단 시점에서만 생산완료 가능성을 판단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제어부(12)는 생산요청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한(일예로 4일) 이전에 해당하는 시점(즉, 가능성 판단 시점)부터 생산요청일에 해당하는 시점까지의 기간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일예로 3시간) 생산완료 가능성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추가 근무 권고 메시지를 생성해 제공하거나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신규 대상 제품에 대한 작업이력 정보(혹은 신규 대상 제품의 현재의 제품 생산 현황 정보)와 기 산출된 대상 제품 내 복수의 공정 단계마다의 개당 평균 공정 처리 시간을 고려해, 현재 남아있는 남은 공정작업 단계 전체를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예상 공정 처리 시간(합계 시간)을 예측하고, 예측된 합계 시간과 생산요청일까지의 남은 생산요청 마감 시간을 고려하여 생산완료 가능성을 판단하고 그에 따라 추가 근무 권고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신규 대상 제품을 생산하는 수주사(즉, 수주사 단말에 대응하는 수주사)(생산자)가 신규 대상 제품의 생산을 생산요청일의 기한을 넘기지 않고 생산요청일 그 이전에 원활하게 생산완료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 줄 수 있다.
또한, 앞서 도 8을 참조한 예시에서와 같이, 대상 제품(제1 대상 제품)의 현재의 제품 생산현황 정보가 대상 제품의 복수의 공정작업 단계(인쇄-코팅-톰슨-접착-씰크 단계) 중 인쇄 단계는 생산완료 상태, 코팅 단계는 진행중 상태, 톰슨과 접착과 씰크 단계 각각은 생산대기 중 상태라고 하자.
그리고, 대상 제품의 생산 공정을 수주사 단말(3)의 수주사에서 수행함에 있어서, 수주사 단말(3)의 수주사에 소속된 생산자들 중 인쇄 단계를 담당하는 팀(인쇄 단계 공정 작업의 담당 부서)의 생산자를 제1 수주사 소속 제1 생산자라 하고, 코팅 단계를 담당하는 팀(코팅 단계 공정 작업의 담당 부서)의 생산자를 제1 수주사 소속 제2 생산자라 하고, 톰슨 단계를 담당하는 팀(톰슨 단계 공정 작업의 담당 부서)의 생산자를 제1 수주사 소속 제3 생산자라 하고, 접착 단계를 담당하는 팀(접착 단계 공정 작업의 담당 부서)의 생산자를 제1 수주사 소속 제4 생산자라 하며, 씰크 단계를 담당하는 팀(씰크 단계 공정 작업의 담당 부서)의 생산자를 제1 수주사 소속 제5 생산자라 하자.
이러한 경우, 제1 수주사 소속 제1 생산자 내지 제5 생산자 각각은 자신이 소지한 단말을 통해 본 앱에 접속하여 자신에게 할당된 공정 단계(공정작업 단계)의 진행상태를 입력할 수 있다. 본원의 일예에서는 대상 제품의 공정작업 단계 각각에 대한 공정작업의 진행 및 관리가 하나의 수주사에 소속된 다수의 생산자들(제1 수주사 소속 제1 생산자 내지 제5 생산자) 각각에 의해 이루어 지는 것으로 예시하나, 이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수주사에 소속된 하나의 생산자(일예로 대상 제품의 생산 공정을 총괄하는 대표 생산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만약,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일예에서, 제1 수주사 소속 제2 생산자는 10000개에 해당하는 대상 제품에 대한 코팅 단계(코팅 공정작업)의 수행이 완료되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공정작업진행 관리 화면(d8) 내에서 코팅 단계에 해당하는 항목에 포함된 완료 버튼을 클릭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코팅 단계의 진행상태가 생산중 상태에서 생산완료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는 일예로 코팅 단계의 상태가 생산완료 상태로 변경된 것이 감지되면, 톰슨 단계의 공정작업을 담당하는 제1 수주사 소속 제3 생산자의 단말로 이전 공정 단계(즉, 코팅 단계)의 생산완료 상태를 알리는 작업상태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작업상태 알림 메시지를 제공받은 제1 수주사 소속 제3 생산자는 자신이 소지한 단말을 통해 본 앱에 접속하여 10000개에 해당하는 대상 제품에 대한 톰슨 단계(톰슨 공정작업)의 수행을 시작하기 위해 공정작업진행 관리 화면(d8) 내에서 톰슨 단계에 해당하는 항목에 포함된 시작 버튼을 클릭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톰슨 단계의 진행상태가 생산대기 상태에서 생산중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팅 단계의 진행상태는 생산완료 상태로 변경되고, 톰슨 단계의 진행상태는 생산중 상태로 변경된 경우, 제어부(12)는 대상 제품(제1 대상 제품)의 제품 생산 현황 조회 화면(d9)에서 코팅 단계의 아이콘에 연계돼 표시되어 있던 현재 공정 진행 상태 표시 아이콘(즉, ‘수량 : 10000개, 시작시간: 2022-02-09. 12:23, 진행중’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현재 공정 진행 상태 표시 아이콘)을 업데이트하여, 업데이트된 현재 공정 진행 상태 표시 아이콘이 적용된 대상 제품의 공정 플로우차트 정보가 화면에 노출되도록 대상 제품의 제품 생산 현황 정보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여기서, 업데이트된 현재 공정 진행 상태 표시 아이콘은 일예로 ‘수량 : 10000개, 시작시간: 2022-02-10. 9:30, 진행중’와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업데이트된 대상제품의 제품 생산 현황 정보의 조회 화면(d9)에서는, 업데이트된 현재 공정 진행 상태 표시 아이콘만이 톰슨 단계의 아이콘에 연계되도록 표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코팅 단계에 연계되어 표시되어 있던 업데이트 이전의 현재 공정 진행 상태 표시 아이콘은 삭제된 상태로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만약, 제1 수주사 소속 제2 생산자는 대상 제품에 대한 코팅 단계(코팅 공정작업)를 수행 완료한 결과, 인쇄 단계로부터 전달받은 작업지시 정보가 '인쇄 단계의 공정작업이 완료된 수주수량: 10000개'였으나, 실제 코팅 단계의 작업을 수행했더니 '9998개의 제품에 대하여 코팅 단계의 공정작업이 완료'된 것으로 파악됨에 따라, 수주수량 정보 중 일부 개수(일예로 2개)에 해당하는 불량 대상 제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는 경우, 제1 수주사 소속 제2 생산자가 소지한 단말을 통해 화면의 일영역에 표시된 불량 확인 요청 버튼을 클릭할 수 있다.
이때, 불량 확인 요청 버튼에 대한 생산자(제1 수주사 소속 제2 생산자)의 클릭에 응답하여, 제어부(12)는 불량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불량 대상 제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된 공정작업 단계(즉, 코팅 공정작업 단계) 이전에 위치하는 이전 공정작업 단계에 대응하는 생산자의 단말(즉, 제1 수주사 소속 제1 생산자의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불량 확인 메시지는 예시적으로 '제품 2개가 불량인 것으로 파악되니 확인 바랍니다'와 같은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제1 수주사 소속 제1 생산자는 불량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후 2개의 불량 의심 대상 제품을 확인한 결과 실제 불량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2개의 대상 제품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인쇄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만약 제1 수주사 소속 제1 생산자가 2개의 불량 의심 대상 제품을 확인한 결과 불량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 것으로 감지되고, 인쇄 단계와 시작 단계의 사이에 다른 단계 공정이 추가적으로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2)는 인쇄 단계에 대응하는 제1 수주사 소속 제1 생산자에게 제공했던 불량 확인 메시지를 인쇄 단계 이전에 위치하는 다른 단계 공정에 대응하는 생산자의 단말로 다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어부(12)는 불량 확인 요청 버튼에 대한 생산자(제1 수주사 소속 제2 생산자)의 클릭이 이루어졌을 때, 생성된 불량 확인 메시지를 불량 대상 제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된 공정작업 단계(즉, 코팅 공정작업 단계)의 이전에 위치하는 다수의 이전 공정작업 단계에 대하여, 불량 대상 제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된 공정작업 단계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이전 공정작업 단계의 순으로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불량 의심 대상 제품에 대한 불량 확인이 공정 플로우차트 상에서 역으로 단계적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불량 확인 요청 버튼에 대한 생산자(제1 수주사 소속 제2 생산자)의 클릭이 이루어지면, 제어부(12)는 현재 공정 진행 상태 표시 아이콘과 관련하여 완료 상태 제1 아이콘 및 불량 확인 상태 제2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완료 상태 제1 아이콘은 일예로 전체 수주수량 중 불량으로 의심되는 불량 의심 대상 제품의 수를 제외한 나머지 수주수량(즉, 코팅 단계 공정작업이 정상 공정작업 완료된 제품의 개수)의 정보가 포함되도록, 예시적으로 ‘수량 : 9998개, 시작시간: 2022-02-10. 9:30, 진행중’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완료 상태 제1 아이콘은 대상 제품의 제품 생산 현황 정보의 조회 화면(d9)에서 다음 단계인 톰슨 단계의 아이콘에 연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반면, 불량 확인 상태 제2 아이콘은 불량 의심 대상 제품의 수를 고려하여, 예시적으로 ‘불량 제품 의심 수량 : 2개, 시작시간: 2022-02-10. 9:30, 불량 확인중’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불량 확인 상태 제2 아이콘은 대상 제품의 제품 생산 현황 정보의 조회 화면(d9)에서 일예로 이전 단계인 인쇄 단계의 아이콘에 연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장치(10)는 제품 생산 현황 정보의 조회 화면(d9)에서 완료 상태 제1 아이콘과 불량 확인 상태 제2 아이콘을 각각 구분해 표시할 수 있음에 따라, 생산자(3')나 관리자(2')로 하여금, 정상적으로 공정작업이 진행중인 제품(일예로 9998개의 대상 제품)에 대한 실시간 생산 공정 처리 현황과 불량 제품(일예로 2개의 불량 대상 제품)에 대한 실시간 생산 공정 처리 현황을 직관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효율적인 대상 제품의 생산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장치(10)는 불량 확인 메시지의 전송을 통해, 불량 제품 혹은 불량 의심 대상 제품에 대한 재생산 공정 작업이 보다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생산요청일 내지 납품요청일까지 요청된 수주수량의 생산/납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상술한 작업지시 정보를 포함한 작업지시 메시지, 추가 근무 권고 메시지, 작업상태 알림 메시지 및 불량 확인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수주사 단말(3)로 제공함에 있어서, 메시지를 제공받은 생산자(3')가 본 장치(10)로부터 제공되는 메시지의 수신을 보다 빠르고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이를 통해 신속한 공정작업 단계의 개시, 불량 제품에 대한 신속한 조치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최대 응답 시간(일예로 1시간) 내에서 미리 설정된 응답 기한(일예로 10 분)의 경과시마다 수주사 단말(3)로 재촉 알림(재촉 알림 메시지)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는 미리 설정된 응답 기한(10 분)의 경과시마다 재촉 알림의 제공시, 제공되는 재촉 알림의 알림 유형을 달리할 수 있으며, 재촉 알림의 반복 제공시 보다 강도가 높은 알림 유형으로 바꾸어 제공할 수 있다. 재촉 알림의 알림 유형에는 일예로 메시지 유형인 제 1 알림 유형, 메시지와 진동이 결합된 제 2 알림 유형, 메시지와 벨소리가 결합된 제 3 알림 유형 및 전화 연결 유형인 제 4 알림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어부(12)가 13시 30분에 수주사 단말(3)로 작업지시 정보가 포함된 작업지시 메시지를 전송했다고 하자. 이때, 제어부(12)는 작업지시 메시지의 전송 이후, 미리 설정된 응답 기한(일예로 10 분)이 경과된 13시 40분 내에 수주사 단말(3)부터 확인 응답(즉, 작업지시 메시지에 대한 수신했음에 대한 확인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13 시 40 분에 수주사 단말(3)로 작업지시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재촉하는 재촉 알림을 제 1 알림 유형(메시지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재촉 알림을 제 1 알림 유형으로 제공한 이후 미리 설정된 응답 기한(일예로 10 분)이 경과한 13 시 50 분 내에, 역시나 수주사 단말(3)로부터 확인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제어부(12)는 13시 50 분에 재차 재촉 알림을 제 2 알림 유형(메시지 제공과 더불어 수주사 단말(3)에 진동이 발생되도록 하는 유형)으로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제 2 알림 유형으로 재촉 알림을 제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수주사 단말(3)에서 확인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제어부(12)는 또 다시 재촉 알림을 제 3 알림 유형(메시지와 벨소리가 결합된 형태의 유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12)는 작업지시 메시지의 전송 이후 미리 설정된 최대 응답 시간(일예로 1시간) 내에 한하여, 수주사 단말(3)로부터 확인 응답(메시지를 확인했음에 대한 응답)이 이루어질 때까지 미리 설정된 응답 기한(일예로 10 분) 마다 재촉 알림을 반복적으로 제공하되, 반복적으로 재촉 알림의 제공시 알림 유형을 달리하며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는 재촉 알림을 반복 제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미리 설정된 최대 응답 시간(일예로 1시간) 내에 수주사 단말(3)로부터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생산자(3')가 미응답인 것으로 인지하고, 생산자(3')가 미리 등록해둔 타 생산자의 휴대전화번호를 기반으로, 타 생산자가 소지한 단말로 작업지시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타 생산자는 일예로 생산자(3')와 동일 회사(수주사)에 소속되어, 생산자(3')와 동일 업무를 수행하는 생산자(3')의 동료, 상사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르면, 본 장치(10)는 생산자(3')가 부재시 타 생산자에 의해 작업지시 메시지에 대한 확인이 신속히 이루어져, 결과적으로 대상 제품에 대한 생산 공정의 착수가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12)는 알림 유형을 변경시켜가며 작업지시 메시지에 대한 확인을 재촉하는 재촉 알림을 반복적으로 수주사 단말(3)로 제공하고, 나아가 미리 설정된 최대 응답 기한(일예로 1시간)까지도 여전히 생산자(3')가 작업지시 메시지를 확인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타 사용자에게 작업지시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재촉 알림의 제공을 통해, 본 장치(10)는 생산자(3')로 하여금, 자신에게 작업지시 메시지를 포함한 각종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에 대한 인지가 보다 확실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 결과적으로 대상 제품에 대한 생산 공정작업의 진행이 원활하고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생산자(3')가 수주사 단말(3)을 통해 cctv 이미지 제공 요청을 한 경우, 그에 응답하여 대상 제품에 대한 생산 공정작업의 진행이 이루어지는 수주사 단말(3)의 수주사(일예로 제1 수주사) 내에 설치된 복수개의 cctv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들 중 적어도 일부의 이미지를 수주사 단말(3)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생산자(3')는 제어부(12)로부터 제공받은 일부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수주사 내 대상 제품의 생산 공정작업 공간(이하 작업장이라 지칭될 수 있음)의 상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수주사(제1 수주사) 내 작업장에는 작업장 내 이미지를 촬영하는 복수개의 cctv를 포함할 수 있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장치(10)는 작업장 내 설치된 복수개의 cctv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는 복수개의 cctv 중 제1 cctv의 제1 이미지와 적어도 일부 겹치는 겹침 영역을 갖는 제2 이미지를 촬영하는 제2 cctv가 존재하되, 제1 이미지의 획득이 불가능한 상황인 경우, 제2 cctv로부터 제1 이미지의 대체 이미지의 수신을 위해 제2 cctv의 이미지 획득 각도를 달리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미지의 획득이 불가능한 상황이라 함은, 예시적으로 제1 cctv가 고장나거나 하는 등의 이유로 제1 이미지를 본 장치(10)가 획득할 수 없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cctv를 통해 이미지 획득이 어려운 경우,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는 제2 cctv의 각도(이미지 획득 각도)를 달리 제어하여 제2 cctv로부터 제1 이미지의 대체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2 cctv의 이미지 획득 각도의 제어시,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는 제2 cctv의 각도를 제어하기 이전의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 간에 겹침 영역의 크기를 기준(즉, 제2 cctv의 각도를 제어하기 이전의 겹침 영역의 크기를 기준)으로,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 간에 겹침 영역의 크기가 더 커지는 방향으로 제2 cctv의 각도(이미지 획득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2 cctv의 이미지 획득 각도의 제어(변경 제어)가 이루어진 이후에 제2 cctv를 통해 획득되는 각도 변경 이미지(각도 변경 제2 이미지) 내 겹침 영역의 크기, 즉 제1 이미지와의 겹침 영역의 크기는, 제2 cctv의 이미지 획득 각도의 제어(변경 제어)가 이루어지기 이전의 제2 이미지 내 겹침 영역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는 이미지 획득 각도의 제어(변경 제어)가 이루어진 제2 cctv로부터 획득되는 각도 변경 이미지(특히, 각도 변경 제2 이미지)를 제1 이미지의 대체 이미지로서 수신하여 수주사 단말(3)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일예로 생산자(3')가 요청한 제1 cctv의 제1 이미지를 수주사 단말(3)로 제공할 수 없는 상황에 대해서도, 해당 이미지(제1 이미지)와 적어도 일부 겹치는 겹침 영역을 촬영하는 cctv(즉, 제2 cctv)의 각도를 제어(특히, 겹침 영역의 각도가 더 넓어지는 방향으로 제2 cctv의 이미지 획득 각도를 변경시키는 제어)함으로써, 이미지 획득 각도가 변경되도록 제어된 cctv(즉, 제2 cctv)로 하여금 제1 이미지에 대한 대체 이미지를 획득하여 생산자(3')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는 일예로 제1 cctv의 제1 이미지를 생산자(3')에게 제공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제1 cctv와 이웃하도록 배치된 제2 cctv의 이미지 획득 각도를 달리 제어하여 해당 제1 이미지와 유사한 이미지(대체 이미지)를 생산자(3')에게 대신 제공할 수 있는바, 생산자(3')에 대한 이미지 제공 서비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는 복수의 cctv 내에 제1 이미지와 적어도 일부 겹치는 겹침 영역을 갖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겹침 촬영 cctv가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제1 이미지의 대체 이미지의 획득을 위해 복수개의 겹침 촬영 cctv 중 선택적으로 적어도 일부의 cctv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는 대체 이미지의 획득을 위하여 복수개의 겹침 촬영 cctv 중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한 적어도 일부의 cctv의 조합 경우의 수가 복수개인 경우, 제어되는 cctv의 수가 최소가 되는 조합에 해당하는 적어도 일부의 cctv를 선택하여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는, 복수개의 cctv 내에 제1 이미지와 적어도 일부 겹치는 겹침 영역을 갖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겹침 촬영 cctv가 복수개인 경우, 제1 이미지의 대체 이미지의 수신을 위해, 복수개의 겹침 촬영 cctv 중 제어되는 cctv의 수가 최소가 되는 조합에 해당하는 적어도 일부의 겹침 촬영 cctv의 이미지 획득 각도를 달리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복수의 cctv 중에, 제1 cctv를 통해 획득되는 제1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겹치도록 영상을 획득하는 cctv가 3개 존재(즉, 제2 cctv 내지 제4 cctv가 존재)한다고 하자. 여기서, 제2 cctv가 제1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겹치는 겹침 영역을 포함하도록 제2 이미지를 획득하고, 제3 cctv가 제1 이미지의 다른 적어도 일부 영역과 겹치는 겹침 영역을 포함하도록 제3 이미지를 획득하며, 제4 cctv가 제1 이미지의 또 다른 적어도 일부 영역과 겹치는 겹침 영역을 포함하도록 제4 이미지를 획득한다고 하자.
생산자(3')가 본 장치(10)로 제1 cctv의 제1 이미지의 제공을 요청하였다고 하자. 그런데, 본 장치(10)가 제1 이미지의 획득이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일예로 제1 cctv가 고장나서 제1 이미지를 획득할 수 없어, 이에 따라 제1 이미지를 생산자(3')에게 제공할 수 없는 상태인 경우),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는 제1 이미지의 대체 이미지의 제공을 위해, 복수의 cctv 내에 제1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겹침 영역으로 포함하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겹침 촬영 cctv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cctv 내에 겹침 촬영 cctv가 존재하되, 이러한 겹침 촬영 cctv가 복수개 존재(일예로,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2 cctv, 제3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3 cctv 및 제4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4 cctv를 포함해 복수개 존재)한다고 하자. 이처럼, 제1 이미지의 대체 이미지를 제공함에 있어서, 일예로 복수의 cctv 내에 복수개의 겹침 촬영 cctv(제2 cctv 내지 제4 cctv)가 존재하는 경우,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는 제1 이미지의 대체 이미지의 획득을 위해 복수개의 겹침 촬영 cctv(제2 cctv 내지 제4 cctv) 중 선택적으로 적어도 일부의 cctv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는, 일예로 제1 이미지의 대체 이미지의 획득을 위해 제2 cctv와 제3 cctv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각도 제어가 이루어진 제2 cctv를 통해 각도 변경 이미지(각도 변경 제2 이미지)와 각도 제어가 이루어진 제3 cctv를 통해 각도 변경 이미지(각도 변경 제3 이미지)가 획득(수신)될 수 있다. 이후,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장치(10) 내 편집부(미도시)는, 제2 cctv의 각도 변경 이미지(각도 변경 제2 이미지) 내에서 제1 이미지와 겹치는 겹침 영역에 해당하는 제1 부분 이미지를 추출하고, 제3 cctv의 각도 변경 이미지(각도 변경 제3 이미지) 내에서 제1 이미지와 겹치는 겹침 영역에 해당하는 제2 부분 이미지를 추출하여, 이들을 연결(결합)시킴으로써 제1 이미지의 대체 이미지의 획득(생성)할 수 있다.
또한,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는, 다른 일예로 제1 이미지의 대체 이미지의 획득을 위해 제2 cctv, 제3 cctv 및 제4 cctv의 이미지 획득 각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는 각도 제어가 이루어진 제2 cctv 내지 제4 cctv 각각을 통해 각도 변경 이미지(즉, 각도 변경 제2 이미지, 각도 변경 제3 이미지, 각도 변경 제4 이미지)를 획득(수신)할 수 있다.
이후, 편집부(미도시)는 제2 cctv 내지 제4 cctv 각각의 각도 변경 이미지 내에서 제1 이미지와 겹치는 겹침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 이미지를 제1 부분 이미지 내지 제3 부분 이미지로서 추출하고, 추출된 제1 부분 이미지 내지 제3 부분 이미지를 연결(결합)시킴으로써 제1 이미지의 대체 이미지의 획득(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일예에서와 같이 2개의 cctv(즉, 제2 cctv와 제3 cctv)의 각도 제어를 통한 대체 이미지의 획득 예는 제1 경우의 예라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일예에서와 같이 3개의 cctv(즉, 제2 cctv 내지 제4 cctv)의 각도 제어를 통한 대체 이미지의 획득 예는 제2 경우의 예라 지칭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복수의 cctv 내에 복수개의 겹침 촬영 cctv(제2 cctv 내지 제4 cctv)가 존재하는 경우,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는 일예로 제1 경우의 예와 같이 복수개의 겹침 촬영 cctv 중 선택적으로 제2 cctv와 제cctv의 이미지 획득 각도를 각각 제어함으로써 대체 이미지를 획득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일예로 제2 경우의 예와 같이 복수개의 겹침 촬영 cctv 중 선택적으로 제2 cctv 내지 제4 cctv 모두의 이미지 획득 각도를 각각 제어함으로써 대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원의 일예에 따르면, 본 장치(10)에서는 대체 이미지의 획득을 위하여 복수개의 겹침 촬영 cctv 중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한 적어도 일부의 cctv의 조합 경우의 수가 2개(제1 경우의 예와 제2 경우의 예를 포함하는 2가지 경우)라 할 수 있다. 이처럼, 대체 이미지의 획득을 위하여 복수개의 겹침 촬영 cctv 중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한 적어도 일부의 cctv의 조합 경우의 수가 복수개인 경우(제1 경우 및 제2 경우를 포함해 복수개인 경우),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는 제어되는 cctv의 수가 최소가 되는 조합에 해당하는 적어도 일부의 cctv(겹침 촬영 cctv)를 선택하여 이미지 획득 각도를 달리 제어할 수 있다.
제1 경우의 예에서는 대체 이미지의 획득을 위해 제어되는 cctv의 수가 2개인 반면, 제2 경우의 예에서는 대체 이미지의 획득을 위해 제어되는 cctv의 수가 3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경우가 제2 경우보다 대체 이미지의 획득을 위해 제어되는 cctv의 수가 더 적으므로,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는 2가지의 경우 중 제1 경우의 예와 같이, 일예로 제어되는 cctv의 수가 최소가 되는 조합에 해당하는 적어도 일부의 cctv로서 제2 cctv와 제3 cctv를 선택하고, 제2 cctv와 제3 cctv의 이미지 획득 각도를 달리 제어함으로써 제1 이미지의 대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일예로 생산자(3')가 요청한 제1 cctv의 제1 이미지를 생산자(3')에게 제공할 수 없는 상황에서 제1 이미지의 대체 이미지를 제공함에 있어서, 대체 이미지의 생성을 위해 제어되는 cctv(겹침 촬영 cctv)의 수를 최소한으로 하면서 제1 이미지와 유사하거나 그에 상응하는 이미지(대체 이미지)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장치(10)는 최소한의 수로 제어되는 겹침 촬영 cctv를 통해 획득되는 각도 변경 이미지를 토대로 대체 이미지를 생성함으로써, 대체 이미지의 생성을 위한 이미지 편집 시간을 줄일 수 있고(보다 빠른 대체 이미지의 생성이 가능하고), 적은 이미지의 수를 이용한 이미지 간 결합을 통해 생산자(3')에게 제공되는 이미지(제1 이미지의 대체 이미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cctv의 이미지 제공을 통해 생산자(3')가 작업장의 내부 상황을 원격지에서 모니터링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바, 생산자(3')에게 작업장의 관리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수주사 단말(3)의 수주사 내 작업장을 3차원으로 모델링한 모델링된 작업장 상에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에 의해 관리되는 복수의 투입공정 기기의 위치를 마크 아이콘으로 표시하여 수주사 단말(3)의 화면에 표출시킬 수 있다.
이때,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에 의해 관리되는 복수의 투입공정 기기라 함은 작업장 내에 마련되어 대상 제품의 생산 공정작업의 진행시 이용되는 각종 공정 기기(설비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복수의 투입공정 기기에는 코팅-3호기, 톰슨-2호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는 복수의 투입공정 기기 뿐만 아니라 작업장 내에 설치된 각종 기기(일예로, 복수의 cctv, 복수개의 환경복합센서, 복수개의 IOT 제어센서 등)의 위치를 모델링된 작업장 상에 마크 아이콘으로 표시하여 수주사 단말(3)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복수의 투입공정 기기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각종 기기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12)는 모델링된 작업장에(모델링된 작업장의 데이터 상에) 작업장 내에 마련된 복수의 투입공정 기기의 위치를 마크 아이콘으로 표시하여 수주사 단말(3)의 화면에 표출시킬 때, 복수의 투입공정 기기 중 이상 신호가 감지된 이상 투입공정 기기의 마크 아이콘을 정상 투입공정 기기의 마크 아이콘 대비 인식 또는 식별이 용이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는 복수의 투입공정 기기 중 본 장치(10)가 기기로 데이터 요청을 하였으나 해당 요청에 대하여 응답을 수행하지 않는 기기를 이상 투입공정 기기(즉, 고장이 나거나 하여 이상 신호가 감지된 이상 투입공정 기기)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이상 투입공정 기기의 마크 아이콘을 정상 투입공정 기기의 마크 아이콘 대비 인식 또는 식별이 용이한 형태로 표시한다는 것은, 시각적으로 강조된 형태, 크기가 확장된 형태, 청각적인 효과를 수반하는 형태 및 동적인 애니메이션 형태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어부(12)는 이상 투입공정 기기의 마크 아이콘을 정상 투입공정 기기의 마크 아이콘 보다 크기를 크게 하여 표시하거나, 색을 더 진하게 하여 표시하거나, 보다 인식(각인)이 잘되도록 깜빡이는 효과를 넣어 표시하는 등 차이를 두어 표시를 달리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장치(10)는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에 의해 관리되는 복수의 투입공정 기기의 위치를 수주사 내 대상 제품의 생산이 이루어지는 작업장을 3차원으로 모델링한 모델링된 작업장 상에 마크 아이콘으로 표시하되, 특히나 복수의 투입공정 기기 중 이상 투입공정 기기의 마크 아이콘을 정상 투입공정 기기의 마크 아이콘 대비 보다 인식 또는 식별이 용이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생산자(3')로 하여금, 작업장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투입공정 기기 중 문제가 있는 기기(고장이 난 기기 등)의 존재 여부에 대한 인식 뿐만 아니라 문제가 있는 기기의 위치를 보다 직관적으로 빠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복수의 투입공정 기기 중 감지된(식별된) 이상 투입공정 기기가 기 설정된 교체 조건을 충족하여 교체 대상 이상 투입공정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는 감지된 이상 투입공정 기기가 교체 대상 이상 투입공정 기기인 것으로 판단되면, 교체 대상 이상 투입공정 기기의 교체의 추천을 위한 교체 이상 투입공정 기기 추천 정보를 수주사 단말(3)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교체 조건은 미리 설정된 기간(예시적으로, 1달) 내에 미리 설정된 횟수(일예로, 5번) 만큼 이상 투입공정 기기로 감지(식별)되는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일예로 복수의 투입공정 기기 중 제1 투입공정 기기가 1달 내에 5번 이상 문제가 있는 이상 투입공정 기기로 감지된 경우, 제어부(12)는 해당 제1 투입공정 기기를 교체 대상 이상 투입공정 기기인 것으로 판단하고, 교체 이상 투입공정 기기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수주사 단말(3)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되는 교체 이상 투입공정 기기 추천 정보는, 교체 대상 이상 투입공정 기기와 동일한 기기인 동일 기기 추천 정보 및 교체 대상 이상 투입공정 기기와 유사 성능을 가진 다른 기기인 유사 기기 추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교체 대상 이상 투입공정 기기가 제1 투입공정 기기(일예로 코팅-3호기로서, 코팅 설비 기기)인 경우, 제어부(12)는 제1 투입공정 기기(코팅 설비 기기)온도센서와 관련하여 교체 이상 투입공정 기기 추천 정보를 수주사 단말(3)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교체 이상 투입공정 기기 추천 정보에는 제1 투입공정 기기와 동일한 코팅 설비 기기의 추천 정보(동일 기기 추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제1 투입공정 기기인 코팅 설비 기기와는 다른 유형의 코딩 설비 기기(일예로, 제조사/모양/구조 등이 다른 코팅 설비 기기)이되 제1 투입공정 기기인 코팅 설비 기기와 유사 성능을 가지는 유사 코팅 설비 기기의 추천 정보(유사 기기 추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교체 이상 투입공정 기기 추천 정보에 포함되는 유사 기기 추천 정보로는, 교체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교체 대상 이상 투입공정 기기인 제1 투입공정 기기(코팅 설비 기기) 대비 일예로 후기(평가)가 더 좋거나, 가격이 더 낮거나, 품질이 더 좋은 기기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 장치(10)는,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에 의해 관리되는 복수의 투입공정 기기 중 특정 기기에 대하여 교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즉, 교체 대상 이상 투입공정 기기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교체 대상 이상 투입공정 기기와 동일한 동종의 기기 뿐만 아니라 그와는 종류가 다르나 성능이 좋은 가성비 좋은 기기를 함께 추천 정보(교체 이상 투입공정 기기 추천 정보)로서 생산자(3')에게 제공(추천)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생산자(3')로 하여금, 대상 제품의 생산 공정 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장 내에서 운용되는 복수의 투입공정 기기들 중 교체가 필요한 투입공정 기기의 존재 여부에 대한 인식 뿐만 아니라 교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투입공정 기기에 대한 교체의 과정이 보다 용이해지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생산자(3')가 본 장치(10)를 통하여 작업장 내 각종 투입공정 기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는 본 장치(10)와 연동되는 작업장 내 복수의 투입공정 기기들(각종 기기)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생산자(3')로 하여금 작업장 내 복수의 투입공정 기기의 관리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작업장을 관리하는 생산자(3')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장치(10)는 생산자(3')로 하여금 작업장 내 대상 제품의 생산시 이용되는 각종 복수의 투입공정 기기에 대한 상태 파악 및 작업장의 관리가 용이해지도록 할 수 있고, 생산자(3')에게 관리 편의성,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공정관리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제품 공정관리 방법은 앞서 설명된 본 장치(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본 장치(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제품 공정관리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S11에서 식별부는, 화면에 제공된 복수의 메뉴 중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 메뉴로서 식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12에서 제어부는, 단계S11에서의 식별에 응답하여, 선택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의 수행을 위한 화면이 관리자가 소지한 관리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단말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단계S12에서 제어부는, 선택 메뉴가 수주 관리 메뉴인 경우, 관리자 단말의 화면에 제품 수주 등록 화면을 표시하고, 제품 수주 등록 화면에서 입력받은 대상 제품에 대한 제품 수주 등록 정보를 수주 DB에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품 수주 등록 정보 내 대상 제품에 대하여 생산요청이 이루어지고 이후 생산요청이 이루어진 대상 제품에 대하여 작업지시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작업지시 요청에 응답하여 대상 제품의 생산을 위한 작업지시 정보를 제품 수주 등록 정보 내 고객사인 수주사의 수주사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계S12에서 제어부는, 수주사 단말을 소지한 생산자가 복수의 메뉴 중 공정상태 조정 메뉴를 선택한 것으로 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경우, 수주사 단말의 화면에 작업지시 정보와 관련된 공정작업진행 관리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생산자는, 공정작업진행 관리 화면을 기반으로 작업지시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 제품에 대한 공정작업의 진행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계S12에서 제어부는, 생산자가 상기 복수의 메뉴 중 제품 생산현황 메뉴를 선택한 것으로 식별된 경우, 수주 DB에 등록된 복수의 제품 수주 등록 정보의 리스트를 수주사 단말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리스트 내 작업지시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 제품의 제품 수주 등록 정보를 클릭한 경우, 대상 제품에 대한 제품 생산 현황 조회 화면을 수주사 단말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 및 S12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품 공정관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제품 공정관리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제품 공정관리 시스템
10: 제품 공정관리 장치
11: 식별부 12: 제어부
13: 수주 DB 14: 공정명세서 DB
2: 관리자 단말 2': 관리자
3: 수주사 단말 3': 생산자
4: 네트워크

Claims (3)

  1. 제품 공정관리 장치로서,
    화면에 제공된 복수의 메뉴 중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 메뉴로서 식별하는 식별부; 및
    상기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의 수행을 위한 화면이 상기 관리자가 소지한 관리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메뉴가 수주 관리 메뉴인 경우, 관리자 단말의 화면에 제품 수주 등록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품 수주 등록 화면에서 입력받은 대상 제품에 대한 제품 수주 등록 정보를 수주 DB에 등록하고 관리하고,
    상기 제품 수주 등록 정보 내 상기 대상 제품에 대하여 생산요청이 이루어지고 이후 생산요청이 이루어진 상기 대상 제품에 대하여 작업지시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작업지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대상 제품의 생산을 위한 작업지시 정보를 상기 제품 수주 등록 정보 내 고객사인 수주사의 수주사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수주사 단말을 소지한 생산자가 상기 복수의 메뉴 중 제품 생산현황 메뉴를 선택한 것으로 식별된 경우, 상기 수주 DB에 등록된 복수의 제품 수주 등록 정보의 리스트를 상기 수주사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되, 상기 리스트 내 상기 작업지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대상 제품의 제품 수주 등록 정보를 클릭한 경우, 상기 대상 제품에 대한 제품 생산 현황 조회 화면을 상기 수주사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제품 생산 현황 조회 화면은, 상기 대상 제품의 공정 플로우차트 정보, 상기 공정 플로우차트 정보 상에 일부 오버랩되어 표시되는 현재 공정 진행 상태 표시 아이콘 및 대상 제품의 생산 공정작업에 대한 작업이력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현재 공정 진행 상태 표시 아이콘 내에는 현재 공정 진행 상태 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현재 공정 진행 상태 정보는 대상 제품의 공정 플로우차트 정보에 해당하는 전체 공정 흐름 상에서 현재의 공정작업의 진행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생산자에 의해 입력되는 대상 제품의 복수의 공정작업 단계마다의 각 공정작업 단계의 진행상태 정보, 공정작업 단계의 진행 상태 정보가 입력된 시간 정보 및 작업지시 정보에 포함된 수주수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공정 진행 상태 표시 아이콘의 표시시, 현재 공정 진행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대상 제품의 공정 플로우차트 정보 내 복수의 공정 단계의 아이콘 중에서 현재 진행중인 상태에 대응되는 공정 단계의 아이콘 상에 일부 오버랩되도록 연계해 표시하고,
    상기 공정 플로우차트 정보 내 복수의 공정작업 단계 중 n-1번째 공정작업 단계로부터 전달받은 작업지시 정보 내 수주수량 수와 n번째 공정작업 단계의 수행 완료 결과 내 수주수량 수 간에 개수 차이에 해당하는 불량 대상 제품이 존재하여 상기 n번째 공정작업 단계를 담당하는 팀의 생산자인 제1 수주사 소속 제2 생산자가 소지한 단말에서 불량 확인 요청 버튼의 클릭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클릭에 응답하여 불량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불량 확인 메시지를 불량 대상 제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된 상기 n번째 공정작업 단계의 이전에 위치하는 다수의 이전 공정작업 단계에 대하여, 공정 플로우차트 차트 상에서 역으로 단계적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순차적으로 전송하여 불량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n-1번째 공정작업 단계에 대응하는 생산자의 단말인 제1 수주사 소속 제1 생산자의 단말에서 불량 확인 메시지를 수신해 확인한 결과 실제 불량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개수 차이에 해당하는 불량 대상 제품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상기 n-1번째 공정작업 단계가 수행되고,
    상기 불량 확인 요청 버튼의 클릭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현재 공정 진행 상태 표시 아이콘과 관련하여 완료 상태 제1 아이콘 및 불량 확인 상태 제2 아이콘을 생성하고,
    상기 완료 상태 제1 아이콘은, 전체 수주수량 중 불량 대상 제품의 수를 제외한 나머지 수주수량의 정보가 포함되도록 생성되되, 상기 제품 생산 현황 조회 화면에서 상기 n번째 공정작업 단계의 다음 단계인 n+1번째 공정작업 단계의 아이콘에 연계되도록 표시되고,
    상기 불량 확인 상태 제2 아이콘은, 불량 대상 제품의 수가 포함되도록 생성되되, 상기 제품 생산 현황 조회 화면에서 상기 n번째 공정작업 단계의 이전 단계인 상기 n-1번째 공정작업 단계의 아이콘에 연계되어 표시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지시 정보를 포함한 작업지시 메시지를 상기 수주사 단말로 제공할 때, 미리 설정된 최대 응답 시간 내에 한하여 상기 수주사 단말로부터 상기 작업지시 메시지를 확인했음에 대한 확인 응답이 이루어질 때까지 미리 설정된 응답 기한의 경과시마다 상기 수주사 단말로 재촉 알림을 제공하되, 재촉 알림의 반복 제공시 보다 강도 높은 알림 유형으로 재촉 알림의 알림 유형을 달리하며 제공하고,
    상기 재촉 알림의 알림 유형에는 메시지 유형인 제 1 알림 유형, 메시지와 진동이 결합된 제 2 알림 유형, 메시지와 벨소리가 결합된 제 3 알림 유형 및 전화 연결 유형인 제 4 알림 유형을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최대 응답 시간 내에 상기 수주사 단말로부터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미응답인 것으로 인지하고, 상기 수주사 단말을 소지한 생산자가 미리 등록해둔 타 생산자의 휴대전화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생산자와 동일 회사에 소속되어 상기 생산자와 동일 업무를 수행하는 타 생산자가 소지한 단말로 작업지시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인, 제품 공정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주사 단말을 소지한 생산자가 상기 복수의 메뉴 중 공정상태 조정 메뉴를 선택한 것으로 상기 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경우, 상기 수주사 단말의 화면에 상기 작업지시 정보와 관련된 공정작업진행 관리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생산자는, 상기 공정작업진행 관리 화면을 기반으로 상기 작업지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대상 제품에 대한 공정작업의 진행 및 관리를 수행하는 것인, 제품 공정관리 장치.
  3. 삭제
KR1020220030877A 2022-03-11 2022-03-11 제품 공정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454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877A KR102454045B1 (ko) 2022-03-11 2022-03-11 제품 공정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877A KR102454045B1 (ko) 2022-03-11 2022-03-11 제품 공정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4045B1 true KR102454045B1 (ko) 2022-10-14

Family

ID=83599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0877A KR102454045B1 (ko) 2022-03-11 2022-03-11 제품 공정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40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9543A (ko) * 2011-04-21 2012-10-31 주식회사 썬스타 네트워크 기반 생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14908B1 (ko) * 2015-09-18 2016-04-22 (주)트러시스 Erp 서비스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64490B1 (ko) * 2019-07-04 2020-01-10 세아전자(주) 제조 및 생산 공정 관리 시스템
KR20210107255A (ko) * 2020-02-24 2021-09-0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제조 실행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9543A (ko) * 2011-04-21 2012-10-31 주식회사 썬스타 네트워크 기반 생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14908B1 (ko) * 2015-09-18 2016-04-22 (주)트러시스 Erp 서비스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64490B1 (ko) * 2019-07-04 2020-01-10 세아전자(주) 제조 및 생산 공정 관리 시스템
KR20210107255A (ko) * 2020-02-24 2021-09-0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제조 실행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0436B2 (en) Autom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web-based implementation portal
CA2539089C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rinting devices
US201901564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managing information
US2019025897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source and organization achievement
US201403370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ly chain optimization
US1008347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t user interface development
JP2007531989A (ja) 半導体製造装置のサービスアクティビティ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70061774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roject customization, compliance documentation, and communication
US2007012995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formation strategy management
US20100257012A1 (en) Lead management system
US2018025370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an interactive repair facility
JP3974922B2 (ja) 車両修理作業管理装置、車両修理作業管理方法、車両修理作業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並びに記憶した機器
US11025637B2 (en) Offline sales execution system
WO2013096433A1 (en) Asset management system
KR20200028818A (ko) 고객사, 거래처 및 파견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통합 플랫폼 제공 방법
Peiris et al. Digitalising modular construction: Enhancement of off-site manufacturing productivity via a manufacturing execution & control (MEC) system
KR102454045B1 (ko) 제품 공정관리 장치 및 방법
US201002052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orming a Process
JP2006524868A (ja) 自動品質コンプライアンスシステム
US201402443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and managing a facility
JP2006277520A (ja) 統合業務システム
US201301448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sales efforts
US20240135333A1 (en) Busines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lient Contact and Interaction Data
US20170270459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Job Management
Williams IT Service Management in SAP Solution Mana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