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3400B1 - 자가혈 치료술용 포터블 스프레이장치 - Google Patents

자가혈 치료술용 포터블 스프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3400B1
KR102453400B1 KR1020200077912A KR20200077912A KR102453400B1 KR 102453400 B1 KR102453400 B1 KR 102453400B1 KR 1020200077912 A KR1020200077912 A KR 1020200077912A KR 20200077912 A KR20200077912 A KR 20200077912A KR 102453400 B1 KR102453400 B1 KR 102453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trigger
syringe
unit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7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224A (ko
Inventor
맹성호
김창용
Original Assignee
(주)세원메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원메디텍 filed Critical (주)세원메디텍
Priority to KR1020200077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400B1/ko
Publication of KR20220000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6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pressure to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07Syringe-type or piston-type sprayers or atomi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ir or other gas pressure applied to the liquid or other product to be sprayed or atomi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6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f the injector type
    • A61M11/08Pocket atomisers of the injector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13Blood
    • A61M2202/0427Platelets; Thrombocy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 A61M2205/071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hand operated
    • A61M2205/073Syringe, piston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44Measuring or controlling pressure at the body treatment s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7Ligh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18Gas ope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혈 치료술용 포터블 스프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트리거와, 주사기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주사기거치부를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위치조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으로서, 트리거의 조작 시 힘을 받아, 주사기의 피스톤을 실린더 내부로 가압 이동시키는 슬라이더와; 상기 주사기거치부에 장착된 상태의 주사기 실린더의 배출구에 결합하며, 주사기로부터 배출되는 액상물질을 받아 전방으로 분출시키는 노즐부와; 상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튜브를 통해 상기 노즐부와 연결되고, 노즐부에 가스압력을 전달하여 노즐부를 통해 배출되는 액상물질에 운동에너지를 가하는 분출압제공부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자가혈 치료술용 포터블 스프레이장치는, 약액의 스프레이에 필요한 동력원을 자체적으로 가지므로 휴대가 가능하고 그에 따라 사용이 간편하며, 또한 스프레이 압력을 미세 조정할 수 있어 양호한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자가혈 치료술용 포터블 스프레이장치{Portable spray device for Autologous platelet-rich plasma application}
본 발명은 자가혈(自家血) 치료술에 사용되는 스프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레이에 필요한 동력원을 자체적으로 가지므로 휴대가 가능하고 그만큼 사용이 간편하며, 또한 스프레이 압력을 미세 조정할 수 있어 양호한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자가혈 치료술용 포터블 스프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혈장(plasma)은, 혈액에서 혈구를 분리 제거한 중성의 담황색 액상 성분으로서, 수분 외에 혈소판과, 성장인자, 단백질, 당질, 지질(脂質), 무기염류, 대사 물질을 함유하며, 세포의 삼투압과 수소 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혈장을 원심분리 하여 얻는 이른바 혈소판 풍부 혈장(PRP: Platelet-rich plasma)은, 혈관 내부의 손상부위를 재건하고, 피부나 인대(靭帶) 또는 근조직을 강화 재생시키는 등의 능력을 가지므로, 여러 가지 종류의 자가혈 치료술에 사용된다.
자가혈 치료술은, 환자 본인의 혈액을 채취 및 원심분리 하여 PRP를 추출하고, 추출된 PRP를 손상된 부위에 가하여 세포조직을 재생시킴으로써 상처를 보다 효과적으로 치유하는 시술이다. 이러한 자가혈 치료술은, 손상된 연골을 재생시키는 치료나, 피부 흉터와 같이 손상된 피부조직을 복구하는 분야는 물론, 골절이나 척추수술, 하악재건, 뼈이식, 임플란트, 관절수술, 흉골 수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자가혈 치료술은, 순수한 PRP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PRP에 다른 유효성분을 혼합하여 가한다.
아울러, 치료 대상 범위가 넓을 경우에는, 주사기를 이용한 인젝션 방식으로는 넓은 범위를 커버할 수 없으므로, 대신 스프레이 방식이 적용된다. 스프레이 방식은, 분리되어 있는 PRP와 다른 유효성분을, 스프레이 장치를 이용해 혼합함과 동시에 환부에 뿌리는 시술법이다. 분무된 약액은 환부의 표면에 비교적 고른 두께로 안착되어 목적하는 치료 작용을 한다.
약액을 스프레이 하기 위한 도구로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86498호를 통해 분사 조립체를 구비한 분배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개시된 분사 조립체는, 분사 조립체를 구비한 분배 장치로서, 분사 조립체는 혼합 및 분사 헤드 내측에서 적어도 2개의 액체 성분들을 위한 혼합 조립체와 함께 배열되고, 분사 조립체는 요동 챔버를 포함하고, 혼합 조립체는 요동 챔버 앞에 안치되고, 톱니 모양의 혼합 요소를 갖는 환형의 혼합 챔버를 포함하고, 요동 챔버는 상기 환형의 혼합 챔버에 대해 동심으로 배열되고, 분사 출구로 개방되어 있고, 하나의 유닛을 형성하는 상기 혼합 및 분사 헤드는 다성분 분배 기구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86498호 (분사 조립체를 구비한 분배 장치)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하여 단독적 사용이 가능하고,
스프레이 압력을 미세 조정할 수 있어 양호한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자가혈 치료술용 포터블 스프레이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자가혈 치료술용 포터블 스프레이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트리거와, 주사기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주사기거치부를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위치조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으로서, 트리거의 조작 시 힘을 받아, 주사기의 피스톤을 실린더 내부로 가압 이동시키는 슬라이더와; 상기 주사기거치부에 장착된 상태의 주사기 실린더의 배출구에 결합하며, 주사기로부터 배출되는 액상물질을 받아 전방으로 분출시키는 노즐부와; 상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튜브를 통해 상기 노즐부와 연결되고, 노즐부에 가스압력을 전달하여 노즐부를 통해 배출되는 액상물질에 운동에너지를 가하는 분출압제공부가 포함되며, 상기 바디에는, 상기 분출압제공부로부터 가스를 전달받아 상기 튜브로 인계하는 가스리시버가 구비되고, 상기 가스리시버와 분출압제공부의 사이에는, 가스리시버와 분출압제공부를 연결하고, 튜브로 공급되는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 커넥터가 설치되며, 상기 분출압제공부는; 비활성가스가 충전되며 상단부에 가스배출부를 가지는 가스통과, 상기 가스통을 수용한 상태로 상호 결합하는 하부케이스 및 상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케이스는, 상기 가스배출부를 커넥터측으로 노출시키도록 상부로 개방되며, 상기 유량조절 커넥터는; 내측에 상기 가스배출부를 수용 고정하는 배출부수용홈을 가지며, 외주면에는 걸림톱니부가 형성되어 있는 가스통결합부와, 상기 가스통결합부의 상부에 일체를 이루고 가스리시버에 나사 결합하며, 배출공을 통해 상부로 개방된 완충공간을 제공하는 리시버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공간과 배출부수용홈의 사이에는 격벽이 마련되고, 격벽에는, 배출부수용홈 내부로 진입한 가스배출부의 배출구멍에 연통하여 가스를 완충공간으로 유도하는 도입튜브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주사기거치부는; 주사기의 실린더를 각각 수용하며,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실린더장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는; 일부가 바디 내에 수용된 상태로 트리거지지핀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실린더장착홈과 트리거의 사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저면에는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수평연장부와, 상기 수평연장부에 일체를 이루며, 주사기의 피스톤 후단부에 대응하고, 수평연장부의 전진 시, 피스톤을 실린더 측으로 가압 이동시키는 푸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의 상단부에는; 상기 톱니에 걸리며 트리거를 당길 때 트리거의 힘을 톱니에 전달하여 슬라이더가 전진하게 하는 견인팁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트리거는; 바디의 외부로 연장되며 사용자에 의해 당겨지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바디 내에서 상기 트리거지지핀에 지지되는 회전축부를 포함하고, 바디의 내부에는, 트리거를 탄력 지지하되, 상기 파지부가 바디 외부로 노출되도록 지지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부의 상측에는;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일체를 이루며 팁핀을 통해 견인팁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힌지, 상기 견인팁에 대향 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과 견인팁의 사이에 설치되며 견인팁의 상단부를 후방으로 탄력 지지하는 제2스프링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리시버는; 상기 리시버결합부와 나사 결합하고,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된 가스를 받아들이는 리시빙공간과, 상기 리시빙공간과 연통하며 리시빙공간 내부의 가스를 상기 튜브로 유도하는 유도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유량조절 커넥터는; 상기 가스리시버와의 나사 결합 정도에 따라, 상기 유도공간으로 유입하는 가스의 유량을 조절한다.
아울러, 상기 커넥터는, 상기 가스리시버에 결합한 상태로 걸림톱니부가 상부케이스에 수용 지지되고, 상부케이스에는, 상기 걸림톱니부에 걸려, 상부케이스의 회전력을 커넥터로 전달하는 다수의 톱니걸림팁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노즐부에는; 액상물질의 분출 방향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광조사부와, 상기 광조사부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부가 더 설치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자가혈 치료술용 포터블 스프레이장치는, 약액의 스프레이에 필요한 동력원을 자체적으로 가지므로 휴대가 가능하고 그에 따라 사용이 간편하며, 또한 스프레이 압력을 미세 조정할 수 있어 양호한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혈 치료술용 포터블 스프레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자가혈 치료술용 포터블 스프레이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분출압제공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분출압제공부에 커넥터가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분출압제공부 및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유량조절 커넥터에 대한 가스통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혈 치료술용 포터블 스프레이장치의 일부 절제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한 트리거를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혈 치료술용 포터블 스프레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혈 치료술용 포터블 스프레이장치에 적용되는 노즐부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혈 치료술용 포터블 스프레이장치(1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포터블 스프레이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스프레이장치(10)는, 본체부(20), 노즐부(40), 분출압제공부(60)를 구비한다. 이러한 포터블 스프레이장치(10)는 두 개의 주사기(80)를 장착한 상태로, 주사기(80)에 수용되어 있는 액상물질을 목적하는 환부에 분사하는 것이다.
상기 액상물질은 통상의 자가혈 치료술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다. 가령, 환자의 자가혈을 원심 분리하여 얻어낸 버피코트(buffy coat)와 혈장일 수 있다. 또한, 더 나아가 수술에 필요한 액상 약물이나 비타민 또는 응고제도 포함될 수 있다.
본체부(20)에는, 바디(21)와 트리거(22)와 슬라이더(23)가 포함된다. 바디(21)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형상을 취하며, 전방으로 개방된 공간부(21a)를 제공한다. 공간부(21a)의 내부에는, 하부로부터 가스리시버(24), 필터(25), 와셔프레스(26), 트리거(22)의 일부, 슬라이더(23)의 일부가 수용된다. 가스리시버(24)는 바디(21)의 하부로 노출된 상태로 유량조절 커넥터(27)와 나사 결합한다.
아울러 바디(21)의 상측부에는 주사기거치부(21d)가 마련되어 있다. 주사기거치부(21d)는 주사기(80)가 끼워지는 거치홈으로서, 실린더장착홈(21e), 전방홀딩홈(21f), 후방홀딩홈(21g)을 갖는다.
상기 주사기(80)는 일반적인 주사기와 마찬가지로, 실린더(81)와 피스톤(82)으로 이루어진다. 실린더(81)는 분사할 액상 물질을 수용하는 통으로서, 후방으로 개방되고, 선단부에 너트부(81a)와 배출구(81c)를 갖는다. 배출구(81c)는 액상물질이 분출되는 통로이고, 너트부(81a)는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며 후술할 수나사튜브(44b)에 결합하는 부분이다.
피스톤(82)은 실린더(81)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외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실린더(81) 내부의 물질을 배출구(81c)를 통해 분출시킨다. 피스톤(82)의 후단부에는 후단가압부(82a)가 마련된다. 후단가압부(82a)는 피스톤(82)에 힘을 가하는 부분이다.
주사기거치부(21d)에 있어서 실린더장착홈(21e)은 상부로 개방되며 실린더(81)의 대부분을 수용한다. 또한 전방홀딩홈(21f)은 너트부(81a)가 끼워지는 홈이고, 후방홀딩홈(21g)은 실린더(81)의 후단부가 끼워지는 홈이다. 주사기거치부(21d)는 두 개가 나란하게 위치한다. 주사기거치부의 개수는 1개 또는 3개 이상 일 수 있다.
상기 트리거(22)는, 일부가 바디(21)의 공간부(21a) 내에 수용된 상태로 트리거지지핀(22q)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것으로서, 도 9의 구조를 갖는다.
도 9에 트리거(22)를 별도로 도시하였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리거(22)는, 파지부(22a), 회전축부(22b), 고정판(22c), 지지판(22e), 고정힌지(22f), 견인팁(22h), 제2스프링(22m)을 포함한다. 트리거(22)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부 부분이 제1스프링(21n)에 의해 화살표 c방향으로 당겨진다. 제1스프링(21n)의 작용에 의해, 파지부(22a)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바디(21)의 전방으로 노출된다.
파지부(22a)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아당기는 대략 막대형 부재로서, 상단부에 회전축부(22b)를 갖는다. 회전축부(22b)는 바디 내에서 트리거지지핀(22q)에 지지되는 부분이다. 트리거지지핀(22q)은 바디 외부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회전축부(22b)에 삽입됨으로써, 트리거(2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고정판(22c)은 회전축부(22b)의 외주면에 일체를 이루는 판상부재로서 고정돌기(22d)를 갖는다. 고정돌기(22d)는 제2스프링(22m)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돌기이다.
지지판(22e)도 회전축부(22b)의 외주면에 일체를 이루는 판상부재로서, 고정판(22c)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또한 지지판(22e)에는 고정힌지(22f)가 마련되어 있다. 고정힌지(22f)은 일정두께를 가지는 판상부재이며 지지판(22e)에 대해 직각으로 세워진 형상을 취한다. 고정힌지(22f)의 하측부에는 핀구멍(22g)이 마련되어 있다. 핀구멍(22g)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고정핀(21k)이 끼워지는 구멍이다.
스프링고정핀(21k)은 제1스프링(21n)의 일단부과 결합한다. 제1스프링(21n)의 타단부는 다른 스프링고정핀(도 10의 21m)에 고정된다. 제1스프링(21n)은 인장스프링으로서, 양단부가 스프링고정핀(21k,21m)에 각각 지지된 상태로 스프링고정핀(21k)을 화살표 c방향으로 인장한다.
아울러 고정힌지(22f)의 상측부에는 견인팁(22h)이 링크된다. 견인팁(22h)은 팁핀(22j)을 통해 고정힌지(22f)에 지지되는 부재로서, 하단부는 지지판(22e)에 걸려 있다. 따라서 견인팁(22h)은 외력에 의해 화살표 e방향으로는 회전 가능하지만, 그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은 지지판(22e)에 의해 제한된다.
또한 견인팁(22h)에는 가동돌기(22k)가 구비되어 있다. 가동돌기(22k)는 고정돌기(22d)에 대응하는 돌기로서, 제2스프링(22m)의 타단부를 지지한다. 제2스프링(22m)은 압축스프링으로서 양단부가 고정돌기(22d)와 가동돌기(22k)에 고정되며, 견인팁(22h)을 화살표 e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탄력 지지한다. 제2스프링(22m)의 작용에 의해 견인팁(22h)은 하단부가 지지판(22e)에 걸린 상태로, 말하자면, 기립한 상태를 유지한다.
도면부호 22p는 가스유도튜브(31)가 통과하는 튜브구멍이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트리거(22)와 주사기거치부(21d)의 사이에 슬라이더(23)가 위치됨을 알 수 있다. 슬라이더는, 바디(21) 내에 위치조절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트리거(22)를 당길 때, 트리거(22)의 힘을 받아 주사기의 피스톤(82)을 화살표 f방향, 즉, 실린더 내부로 가압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슬라이더(23)는, 수평으로 연장되며 저면에 톱니(23b)를 갖는 수평연장부(23a)와, 수평연장부(23a)의 후단부에 고정된 푸싱부(23e)로 이루어진다. 수평연장부(23a)는 공간부(21a)에 수용된 상태로 앞뒤 방향으로 직선운동 한다. 이를 위해 바디(21)의 내부에는 받침레일(21c)이 마련되어 있다. 받침레일(21c)은 슬라이더(23)의 슬라이딩 운동을 가이드하며, 슬라이더(23)가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푸싱부(23e)는 수평연장부(23a)의 후단부에 일체를 이루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82) 후단부에 대응하는 판상부재로서, 슬라이더(23)의 전방 이동시, 피스톤을 화살표 f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톱니(23b)는 트리거(22)의 견인팁(22h)에 걸리는 부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견인팁(22h)의 상단부가 톱니(23b)에 걸린 상태로 트리거(22)를 당기면, 톱니(23b)가 견인팁(22h)에 밀려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노즐부(40)는, 주사기거치부(21d)에 장착된 상태의 주사기에 결합하며, 배출구(81c)를 통해 배출되는 액상물질을 받아 전방으로 분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노즐부(40)는, 두 개의 유입구(41a)를 갖는 혼합바디(41), 주사기연결기(44), 분사노즐(42)을 포함한다. 유입구(41a)는 주사기(80)에서 배출된 액상물질을 혼합바디(41) 내부로 유도하는 통로이다. 혼합바디(41)의 내부에는 유입구(41a)를 통해 유입한 액상물질이 혼합되는 공간(미도시)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혼합바디(41)에서 혼합된 액상물질은 분사노즐(42)을 통해 전방으로 배출된다.
주사기연결기(44)는, 수나사튜브(44b)와 다이얼(44a)로 이루어지며 유입구(41a)를 감싼다. 주사기연결기(44)는 유입구(41a)를 수용한 상태로 그 자리에서 회전은 가능하지만 유입구(41a)로부터 이탈하지는 않는다.
수나사튜브(44b)는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부분으로서 너트부(81a)에 나사 결합한다. 또한 다이얼(44a)은 사용자가 잡아 회전시키는 부분이다. 말하자면, 너트부(81a)에 수나사튜브(44b)를 맞춘 상태로 다이얼(44a)을 회전시켜, 수나사튜브(44b)가 너트부(81a)에 나사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분사노즐(42)의 하측부에는 튜브연결부(4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튜브연결부(43)는 가스유도튜브(31)의 일단부와 결합하는 부분으로서, 가스유도튜브(31)를 통해 공급된 가스를 분사노즐(42) 내부로 유도한다. 분사노즐(42) 내부로 유도된 가스는 액상물질에 운동에너지를 제공하여 액상물질을 미립화 시켜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출되게 한다. 이를 위해 분사노즐(42)의 내부에는 오리피스 구조가 적용된다.
가스유도튜브(31)는 플렉시블한 합성수지 튜브로서 타단부가 필터(25)에 연결된다. 후술할 분출압제공부(60)에서 공급되는 가스는, 가스리시버(24)와 필터(25)를 통과한 후 가스유도튜브(31)를 통과해 노즐부(40)로 공급되는 것이다. 필터(25)는 가스를 통과시키며 정화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가스리시버(24)는 유량조절 커넥터(27)와 나사 결합하며, 유량조절 커넥터(27)를 통과한 가스를 받아 필터(25)로 유도한다.
와셔프레스(26)는, 필터(25)와 가스리시버(24)를 눌러 지지하는 속이 비어 있는 지지부재이다.
한편, 상기 분출압제공부(60)는 유량조절 커넥터(27)와 결합한 상태로, 유량조절 커넥터(27) 측으로 가스를 압입하는 역할을 한다. 분출압제공부(60)로부터 분출되는 가스는, 유량조절 커넥터(27)와 가스리시버(24)와 필터(25)를 차례로 거쳐 가스유도튜브(31)를 통과 한 후, 노즐부(40)에 전달되어 액상물질을 미립화시켜 분무한다.
도 4는 도 1의 분출압제공부(6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분출압제공부에 유량조절 커넥터가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며, 도 7은 유량조절 커넥터에 대한 가스통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포터블 스프레이장치의 일부 절제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분출압제공부(60)는, 가스통(61), 하부케이스(63), 상부케이스(65)를 갖는다.
가스통(61)은 아르곤이나 질소 등의 비활성가스가 충전되어 있는 내압용기로서 상단부에 가스배출부(61a)를 갖는다. 가스배출부(61a)는 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구멍(61b)을 가지며 외주면에는 수나사산(61c)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배출구멍(61b)은 밀폐시트(62)로 실링 처리되어 있다. 밀폐시트(62)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통(61)과 유량조절 커넥터(27)를 결합할 때 도입튜브(27c)에 의해 뚫린다.
하부케이스(63)와 상부케이스(65)는 가스통(61)을 수용한 상태로 상호 결합하여 가스통(61)을 보호한다. 하부케이스(63)의 상단부에는 수나사부(63b)가, 상부케이스(65)의 하단부에는 암나사부(65b)가 형성되어, 하부케이스(63)와 상부케이스(65)는 나사식으로 결합한다.
또한, 상부케이스(65)는, 유량조절 커넥터(27)와 가스통(61)이 결합할 수 있도록 상부로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센터루프(65c), 고정대(65e), 고정대지지부(65h), 톱니걸림팁(65g)을 갖는다.
센터루프(65c)는 지지구멍(65d)을 갖는 링형부재로서 가스배출부(61a)를 수용한다. 가스배출부(61a)는 센터루프(65c)에 지지되어, 항상 상부케이스(65)의 중심축선상에 위치한다. 고정대(65e) 및 고정대지지부(65h)는 센터루프(65c)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대(65e)는 센터루프(65c)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고 고정대지지부(65h)와 결합한다.
톱니걸림팁(65g)은 유량조절 커넥터(27)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톱니부(27b)에 걸려, 가스통(61)이 유량조절 커넥터(27)에 완전히 결합한 상태에서 상하부케이스(65,63)가 화살표 k방향으로 헛돌게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출압제공부(60)를 유량조절 커넥터(27) 측으로 접근시켜, 가스배출부(61a)를 배출부수용홈(도 7의 27q)에 맞춘 후, 분출압제공부(60)를 회전시키면, 가스배출부(61a)가 암나사산(27a)에 나사 결합하며 점차 배출부수용홈(27q)으로 진입한다. 이 때 가스통(61)과 상하부케이스(65,63)는 하나의 몸체로 동시에 회전한다.
마침내 가스배출부(61a)가 완전히 삽입되면, 가스통(61)은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이 상태에서 상하부케이스(65,63)를 같은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상하부케이스(65,63)는 도 5의 화살표 k방향으로 헛도는 것이다. 가스통(61)의 외면과 상하부케이스(65,63)의 내주면 사이에는, (최소한 배출부수용홈(27q)에 가스배출부(61a)를 완전히 결합할 수 있을 정도의) 마찰력이 작용하는 것이다.
톱니걸림팁(65g)은, (유량조절 커넥터(27)와 가스통(61)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하부케이스(65,63)를 화살표 k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는, 걸림톱니부(27b)를 넘어가지만, 그 반대방향로 회전시킬 때에는, 걸림톱니부(27b)를 가압하여 유량조절 커넥터(27)가 화살표 m방향으로 돌아가게 한다. 유량조절 커넥터(27)가 화살표 m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도공간(24d)을 막고 있는 유량조절 커넥터(27)가 유도공간(24d)으로부터 벌어져, 가스가 유도공간으로 유입하게 한다. 화살표 m방향의 회전각도가 증가할수록 가스의 유입 유량이 증가함은 물론이다. 결국 상하부케이스(65,63)를 회전함으로써, 분사노즐(42)로 향하는 가스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유량조절 커넥터(27)는, 상부케이스(65)에 끼워진 상태로 가스통(61)과 나사 결합하는 부속으로서, 가스통결합부(27n), 리시버결합부(27p), 격판(27d), 도입튜브(27c)를 갖는다.
가스통결합부(27n)는, 암나사산(27a)이 형성되어 있는 배출부수용홈(27q)을 제공하고 외주면에는 걸림톱니부(27b)를 갖는다. 또한 리시버결합부(27p)는 외주면에 수나사부(27g)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완충공간(27e)을 구비한다. 완충공간(27e)은 도입튜브(27c)를 통과한 가스의 유속을 낮추어 안정화시키는 공간이다. 완충공간(27e)은 배출공(27f)을 통해 상부로 개방된다.
또한 리시버결합부(27p)의 상단부에는 차단경사면(27h)이 형성되어 있다. 차단경사면(27h)은 중심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면으로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도공간(24d)의 입구를 밀폐할 수 있다. 차단경사면(27h)과 유도공간(24d)의 간격 조절을 통해, 유도공간(24d)으로 유입하는 가스의 유량 조절을 할 수 있음은 위에 언급한 바와 같다.
가스리시버(24)는 바디(21)의 하단부에 고정된 상태로 유량조절 커넥터(27)와 나사식으로 결합하는 부속으로서, 내주면에 암나사부(24b)가 형성되어 있는 리시빙공간(24a)과, 일정 내경의 유도공간(24d)을 갖는다. 배출공(27f)을 통과한 가스는, 일단 리시빙공간(24a)을 채운 후, 유도공간(24d)으로 올라간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혈 치료술용 포터블 스프레이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상물질이 들어있는 주사기(80)를 주사기거치부(21d)에 안착시키고, 주사기연결기(44)를 이용해, 실린더(81)와 유입구(41a)를 연결시킨다. 또한 슬라이더(23)를 전방으로 최대한 밀어 푸싱부(23e)가 피스톤의 후단가압부(82a)에 닿도록 한다. 이 때 유량조절 커넥터(27)는 유도공간(24d)을 완전히 차단하고 있으며, 견인팁(22h)의 상단부는 임의의 톱니(23b) 사이에 걸려 있다.
이 상태에서 트리거(22)를 화살표 z방향으로 당기면, 견인팁(22h)이 톱니(23b)를 화살표 h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슬라이더(23)가 전방으로 이동함에 의해 피스톤(82)이 실린더(81) 내부로 진입하여 액상물질을 앞으로 짜낸다. 이와 동시에 분출압제공부(60)를 회전시켜 유량조절 커네터(27)가 유도공간(24d)을 개방하게 하여, 가스가 분사노즐(42)로 공급되게 한다. 분사노즐(42)로 유입한 가스는 액상물질과 만나 액상물질을 미립화 시킨 상태로 전방으로 스프레이 시킨다.
트리거(22)가 완전히 당겨졌다면, 분출압제공부(60)를 회전시켜 유도공간(24d)을 다시 차단하고, 트리거에 가하던 힘을 제거한다. 트리거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제1스프링(21n)의 작용에 의해, 트리거가 처음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 때 견인팁(22h)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으로 숙여지며 새로 결합할 톱니를 향한다.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환부에 대한 액상물질의 스프레이를 수행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혈 치료술용 포터블 스프레이장치(10)에 적용되는 노즐부(40)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혼합바디(41)의 전방에 두 개의 광발생부(46)가 배치되고, 상부에는 스위치부(47)가 설치되어 있다.
광발생부(46)는 분사노즐(42)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며 전방으로 빛을 조사한다. 즉, 액상물질의 분출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것이다. 광발생부(46)에서 조사되는 빛은 환부에 맺혀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다. 사용자는 광발생부(46)의 빛을 확인하여, 액상물질의 스프레이 각도를 보다 정확하게 맞출 수 있다.
스위치부(47)는 박스의 형태를 취하며, 내부에 배터리(미도시)를 구비하고, 상부에는 온오프스위치(47a)를 갖는다. 온오프스위치(47a)는 교번작동 버튼식 스위치로서, 한 번 누르면 광발생부(46)가 점등되고, 한번 더 누르면 소등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스프레이장치 20:본체부 21:바디
21a:공간부 21c:받침레일 21d:주사기거치부
21e:실린더장착홈 21f:전방홀딩홈 21g:후방홀딩홈
21k:스프링고정핀 21m:스프링고정핀 21n:제1스프링
22:트리거 22a:파지부 22b:회전축부
22c:고정판 22d:고정돌기 22e:지지판
22f:고정힌지 22g:핀구멍 22h:견인팁
22j:팁핀 22k:가동돌기 22m:제2스프링
22p:튜브구멍 22q:트리거 지지핀 23:슬라이더
23a:수평연장부 23b:톱니 23e:푸싱부
24:가스리시버 24a:리시빙공간 24b:암나사부
24d:유도공간 25:필터 26:와셔프레스
27:유량조절 커넥터 27a:암나사산 27b:걸림톱니부
27c:도입튜브 27d:격판 27e:완충공간
27f:배출공 27g:수나사부 27h:차단경사면
27n:가스통결합부 27p:리시버결합부 27q:배출부수용홈
31:가스유도튜브 40:노즐부 41:혼합바디
41a:유입구 42:분사노즐 43:튜브연결부
44:주사기연결기 44a:다이얼 44b:수나사튜브
46:광발생부 47:스위치부 47a:온오프스위치
60:분출압제공부 61:가스통 61a:가스배출부
61b:배출구멍 61c:수나사산 62:밀폐시트
63:하부케이스 63b:수나사부 65:상부케이스
65b:암나사부 65c:센터루프 65d:지지구멍
65e:고정대 65g:톱니걸림팁 65h:고정대지지부
80:주사기 81:실린더 81a:너트부
81c:배출구 82:피스톤 82a:후단가압부

Claims (9)

  1.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트리거와, 주사기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주사기거치부를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위치조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으로서, 트리거의 조작 시 힘을 받아, 주사기의 피스톤을 실린더 내부로 가압 이동시키는 슬라이더와;
    상기 주사기거치부에 장착된 상태의 주사기 실린더의 배출구에 결합하며, 주사기로부터 배출되는 액상물질을 받아 전방으로 분출시키는 노즐부와;
    상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튜브를 통해 상기 노즐부와 연결되고, 노즐부에 가스압력을 전달하여 노즐부를 통해 배출되는 액상물질에 운동에너지를 가하는 분출압제공부가 포함되며,
    상기 바디에는,
    상기 분출압제공부로부터 가스를 전달받아 상기 튜브로 인계하는 가스리시버가 구비되고,
    상기 가스리시버와 분출압제공부의 사이에는,
    가스리시버와 분출압제공부를 연결하고, 튜브로 공급되는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 커넥터가 설치되며,
    상기 분출압제공부는;
    비활성가스가 충전되며 상단부에 가스배출부를 가지는 가스통과,
    상기 가스통을 수용한 상태로 상호 결합하는 하부케이스 및 상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케이스는, 상기 가스배출부를 커넥터측으로 노출시키도록 상부로 개방되며,
    상기 유량조절 커넥터는;
    내측에 상기 가스배출부를 수용 고정하는 배출부수용홈을 가지며, 외주면에는 걸림톱니부가 형성되어 있는 가스통결합부와,
    상기 가스통결합부의 상부에 일체를 이루고 가스리시버에 나사 결합하며, 배출공을 통해 상부로 개방된 완충공간을 제공하는 리시버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공간과 배출부수용홈의 사이에는 격벽이 마련되고, 격벽에는, 배출부수용홈 내부로 진입한 가스배출부의 배출구멍에 연통하여 가스를 완충공간으로 유도하는 도입튜브가 구비된,
    자가혈 치료술용 포터블 스프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거치부는;
    주사기의 실린더를 각각 수용하며,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실린더장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는;
    일부가 바디 내에 수용된 상태로 트리거지지핀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실린더장착홈과 트리거의 사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저면에는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수평연장부와,
    상기 수평연장부에 일체를 이루며, 주사기의 피스톤 후단부에 대응하고, 수평연장부의 전진 시, 피스톤을 실린더 측으로 가압 이동시키는 푸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의 상단부에는;
    상기 톱니에 걸리며 트리거를 당길 때 트리거의 힘을 톱니에 전달하여 슬라이더가 전진하게 하는 견인팁이 장착된,
    자가혈 치료술용 포터블 스프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는;
    바디의 외부로 연장되며 사용자에 의해 당겨지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바디 내에서 상기 트리거지지핀에 지지되는 회전축부를 포함하고,
    바디의 내부에는, 트리거를 탄력 지지하되, 상기 파지부가 바디 외부로 노출되도록 지지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부의 상측에는;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일체를 이루며 팁핀을 통해 견인팁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힌지, 상기 견인팁에 대향 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과 견인팁의 사이에 설치되며 견인팁의 상단부를 후방으로 탄력 지지하는 제2스프링이 구비된,
    자가혈 치료술용 포터블 스프레이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리시버는;
    상기 리시버결합부와 나사 결합하고,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된 가스를 받아들이는 리시빙공간과,
    상기 리시빙공간과 연통하며 리시빙공간 내부의 가스를 상기 튜브로 유도하는 유도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유량조절 커넥터는;
    상기 가스리시버와의 나사 결합 정도에 따라, 상기 유도공간으로 유입하는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자가혈 치료술용 포터블 스프레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가스리시버에 결합한 상태로 걸림톱니부가 상부케이스에 수용 지지되고,
    상부케이스에는, 상기 걸림톱니부에 걸려, 상부케이스의 회전력을 커넥터로 전달하는 다수의 톱니걸림팁이 구비된,
    자가혈 치료술용 포터블 스프레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에는;
    액상물질의 분출 방향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광조사부와,
    상기 광조사부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부가 더 설치된,
    자가혈 치료술용 포터블 스프레이장치.
KR1020200077912A 2020-06-25 2020-06-25 자가혈 치료술용 포터블 스프레이장치 KR102453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912A KR102453400B1 (ko) 2020-06-25 2020-06-25 자가혈 치료술용 포터블 스프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912A KR102453400B1 (ko) 2020-06-25 2020-06-25 자가혈 치료술용 포터블 스프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224A KR20220000224A (ko) 2022-01-03
KR102453400B1 true KR102453400B1 (ko) 2022-10-11

Family

ID=79348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912A KR102453400B1 (ko) 2020-06-25 2020-06-25 자가혈 치료술용 포터블 스프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34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65028A (zh) * 2022-09-01 2022-11-22 上海利格泰医用设备有限公司 Prp注射装置
CN116870347B (zh) * 2023-09-06 2023-11-17 山东维璟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基于液体药剂治疗用的喷射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06170A1 (en) * 2010-03-24 2013-01-03 Nordson Corporation Gas-assisted fluid-dispensing device
JP5917484B2 (ja) * 2011-02-25 2016-05-18 テルモ株式会社 塗布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31371A1 (en) 2006-05-17 2007-11-22 Medmix Systems Ag Dispensing device with a spray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06170A1 (en) * 2010-03-24 2013-01-03 Nordson Corporation Gas-assisted fluid-dispensing device
JP5917484B2 (ja) * 2011-02-25 2016-05-18 テルモ株式会社 塗布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224A (ko) 2022-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3400B1 (ko) 자가혈 치료술용 포터블 스프레이장치
JP6959302B2 (ja) 流体送達装置
EP1079889B1 (en) Gas-driven spraying of mixed sealant agents
JP6596028B2 (ja) アプリケータおよびこのアプリケータ用のカートリッジ
US5419772A (en) Surgical irrigation apparatus for cleaning and sterilizing wounds and surgical areas during surgery
JP2019080941A (ja) アプリケータおよびこのようなアプリケータのためのカプセル
EP0634140B1 (en) Applicator for tissue adhesive
US7909267B2 (en) Hand triggered tissue sealant spray apparatus and system
US8603025B2 (en) Gas-assisted fluid-dispensing device
JP2008529663A (ja) 組織回復のために流体を混合および供給するデバイス
KR20110104409A (ko) 마이크로젯 약물 전달 시스템
KR102235266B1 (ko) 치료용 헤어 드라이어
JP5955174B2 (ja) イオン発生装置
KR101482863B1 (ko) 레이저를 이용한 물질 전달 장치
JP2023025684A (ja) 投与部を備えるアプリケータ
KR102402505B1 (ko) 약물 전달 장치
WO2014045992A1 (ja) イオン発生装置
KR20230113707A (ko) 광조사를 이용한 피부관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