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3065B1 - 공통전압 발생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공통전압 발생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3065B1
KR102453065B1 KR1020150137716A KR20150137716A KR102453065B1 KR 102453065 B1 KR102453065 B1 KR 102453065B1 KR 1020150137716 A KR1020150137716 A KR 1020150137716A KR 20150137716 A KR20150137716 A KR 20150137716A KR 102453065 B1 KR102453065 B1 KR 102453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on voltage
selection signal
output
display pane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7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8399A (ko
Inventor
하영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7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065B1/ko
Publication of KR20170038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96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09Crosstalk reduction, i.e. to reduc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of signals directed to a certain pixel of the displayed image on other pixels of said image, inclusive of influences affecting pixels in different frames or fields or sub-images which constitute a same image, e.g. left and right images of a stereoscopic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공통전압 발생회로는 전원단과 접지단 사이에 직렬로 배치된 다수의 저항들과, 상기 저항들 사이에 배치되어 제1 공통전압을 발생시키는 제1 공통전압 출력부와, 상기 저항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공통전압과 다른 출력값을 가지는 제2 공통전압을 발생시키는 제2 공통전압 출력부를 포함하는 공통전압 출력부와, 제1 선택신호에 의해 상기 제1 공통전압과 상기 제2 공통전압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는 패널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공통전압을 공급함으로써, 플리커, 잔상, 크로스토크에 의한 화상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통전압 발생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COMMON VOLTAGE GENERATION CIRCU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실시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공통전압 발생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CRT(Cathode Ray Tube, 음극선관 표시 장치)를 대신하여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PDP(Plasma Display Panel, 플라즈마 표시 장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유기 다이오드 표시 장치) 등의 평판 표시 장치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그 중에서, 액정표시장치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얇고 가벼우며 낮은 소비 전력 및 낮은 구동 전압을 갖추고 있어서 다양한 장치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종래 액정표시장치는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에 공통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공통전압 발생회로가 마련될 수 있다.
최근에는 광시야각 및 색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아이피에스(IPS) 패널을 사용하고 있으나, IPS 패널 특성상 표시패널 초기 공통전압(Vcom)과 구동 안정화 후의 공통전압(Vcom) 값이 다르게 되어, 플리커(Flicker), 잔상, 크로스토크(Cross talk) 현상이 발생되어 화상의 저하를 발생시킨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시예는 화상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공통전압 발생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시예에 따른 공통전압 발생회로는 전원단과 접지단 사이에 직렬로 배치된 다수의 저항들과, 상기 저항들 사이에 배치되어 제1 공통전압을 발생시키는 제1 공통전압 출력부와, 상기 저항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공통전압과 다른 출력값을 가지는 제2 공통전압을 발생시키는 제2 공통전압 출력부를 포함하는 공통전압 출력부와, 제1 선택신호에 의해 상기 제1 공통전압과 상기 제2 공통전압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에 공통전압을 공급하는 공통전압 발생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공통전압 발생회로는 전원단과 접지단 사이에 직렬로 배치된 다수의 저항들과, 상기 저항들 사이에 배치되어 제1 공통전압을 발생시키는 제1 공통전압 출력부와, 상기 저항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공통전압과 다른 출력값을 가지는 제2 공통전압을 발생시키는 제2 공통전압 출력부와, 선택 신호에 의해 상기 제1 공통전압과 상기 제2 공통전압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표시패널에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는 패널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공통전압을 공급함으로써, 플리커, 잔상, 크로스토크에 의한 화상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패널의 단위 화소에 대한 등가 회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공통전압 발생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공통전압 발생회로의 카운터부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공통전압 발생회로의 카운터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공통전압 발생회로의 신호를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공통전압 발생회로의 선택 신호에 따른 공통전압의 출력값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공통전압 발생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공통전압 발생회로의 카운터부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공통전압 발생회로의 신호를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공통전압 발생회로의 선택 신호에 따른 공통전압의 출력값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패널의 단위 화소에 대한 등가 회로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공통전압 발생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3은 제1 실시예에 공통전압 발생회로의 카운터부를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4는 제1 실시예에 공통전압 발생회로의 카운터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공통전압 발생회로의 신호를 나타낸 파형도이고,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공통전압 발생회로의 선택 신호에 따른 공통전압의 출력값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에 공통전압을 공급하는 공통전압 발생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은 액정패널일 수 있다. 표시패널은 리지드하거나 플렉시블할 수 있다. 표시패널은 유리,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패널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패널은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기판과, 상기 TFT 기판의 상부에 마련된 컬러필터(Color Filter; CF)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의 하부에는 표시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은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 또는 엣지형 백라이트 유닛일 수 있다. 일예로, 엣지형 백라이트 유닛은 도광판과, 도광판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과, 상기 도광판의 하부에 배치된 반사판과, 상기 도광판의 상부에 배치된 다수의 광학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으로는 LED를 이용한 광원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표시패널이 액정패널일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표시패널은 OLED 패널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100)은 다수의 데이터 라인(Dm)과 게이트 라인(Cn)이 교차되어 형성되며, 상기 데이터 라인(Dm)과 게이트 라인(Cn)의 사이에는 화소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화소 영역에는 게이트 전극(g), 소스 전극(s), 드레인 전극(d)으로 이루어지는 TFT(10)가 형성될 수 있다.
TFT(10)의 게이트 전극(g), 소스 전극(s), 드레인 전극(d)은 각각 게이트 배선(Cn), 데이터 배선(Dm), 화소 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의 공통전압(Vcom) 사이에는 액정 물질이 형성되며 게이트 전극(g)과 드레인 전극(d) 사이에는 오정렬 등에 기인한 기생 용량이 발생된다. 액정 용량과 축적 용량은 표시패널이 구동해야하는 부하로서 작용할 수 있다.
표시하고자하는 게이트 배선(Cn)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g)에 게이트 온 전압을 인가하여 TFT(10)를 도통시킨 후, 화상 신호를 나타내는 데이터 전압을 소스 전극(s)에 인가하여 이 데이터 전압이 드레인 전극(d)으로 인가되도록 한다.
데이터 전압은 화소 전극을 통해 각각 액정 용량(Clc)과 축적 용량(Cst)에 인가되고, 화소 전극과 공통 전압(Vcom)의 전위차에 의해 전계가 형성된다.
이때, 액정 물질에 같은 방향의 전계가 계속해서 인가되면 액정이 열화되기 때문에 표시패널에서는 액정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화상 신호를 공통 전극의 공통전압(Vcom)에 대해 양(+), 음(-)이 반복되도록 구동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공통전압 발생회로(200)는 전원단(VDD)과 접지단(GND) 사이에 다수의 저항(R)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저항들 사이에는 다수의 공통전압 출력부(Vcom)가 배치될 수 있다. 공통전압은 전원단(VDD)의 전압을 저항(R)에 의해 분압된 전압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전원단(VDD)과 접지단(GND) 사이에는 제1 저항 내지 제3 저항(R1,R2,R3)이 연결될 수 있다. 공통전압 출력부(Vcom)는 제1 공통전압 출력부(Vcom1)와 제2 공통전압 출력부(Vcom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통전압 출력부(Vcom1)는 제1 저항(R1)과 제2 저항(R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공통전압 출력부(Vcom2)는 제2 저항(R2)과 제3 저항(R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공통전압 출력부(Vcom1)는 표시패널에 제1 공통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공통전압은 표시패널에 최초로 제공되는 전압일 수 있다. 제2 공통전압 출력부(Vcom2)는 제2 공통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공통전압은 제1 공통전압과 다른 출력값을 가질 수 있다. 제1 공통전압의 출력값은 제2 공통전압의 출력값 보다 큰 값일 수 있다.
제1 공통전압 출력부(Vcom1)의 출력단과 제2 공통전압 출력부(Vcom2)의 출력단에는 제어부(Multiplexer, 210)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제1 공통전압과 제2 공통전압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선택신호(S1)에 의해 제1 공통전압과 제2 공통전압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선택신호(S1)가 '0'이면 제1 공통전압을 출력하고, 선택신호(S1)가 '1'이면 제2 공통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선택신호(S1)가 '0'이면 제2 공통전압을 출력하고, 선택신호(S1)가 '1'이면 제1 공통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신호(S1)는 카운터부(220)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카운터부(220)는 스타팅 전압(Vst)를 이용하여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스타팅 전압(Vst)에 의해 60회가 카운팅되면 선택신호(S1)는 1분간 지속될 수 있다.
이로부터 제1 공통전압 또는 제2 공통전압은 약 1분 동안 표시패널에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카운팅 시간은 한정되지 않으며 표시패널의 특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카운터부(220)는 이진수에 의해 선택신호를 형성함으로써, 단순한 구조로 회로를 구성할 수 있으며 처리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Vcc)이 인가되면 선택신호(S1) 예컨대, '0'을 제어부(210)에 인가하고, 제어부(210)는 '0'에 대응되는 제1 공통전압 출력부(Vcom1)로부터 출력된 제1 공통전압을 일정 시간 동안 패널에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공통전압은 IPS 방식의 패널에 적합한 초기 전압일 수 있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 선택신호 예컨대, '1'을 제어부에 인가하고, 제어부는 '1'에 대응되는 제2 공통전압 출력부(Vcom2)로부터 출력된 제2 공통전압을 일정 시간 동안 표시패널에 공급할 수 있다. 제2 공통전압은 제1 공통전압 값 보다 낮은 값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통전압은 표시패널에 전원이 인가된 후 표시패널에 적합한 공통전압 값일 수 있다. 제2 공통전압은 표시패널에 전원이 인가된 후 표시패널이 안정화된 후에 적합한 공통전압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공통전압 발생회로는 IPS 패널 특성에 맞게 안정화된 공통전압을 공급함으로써, 플리커 및 크로스 토크 등에 의해 화상 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공통전압 발생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8은 제2 실시예에 공통전압 발생회로의 카운터부를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공통전압 발생회로의 신호를 나타낸 파형도이고,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공통전압 발생회로의 선택 신호에 따른 공통전압의 출력값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공통전압 발생회로(300)는 전원단(VDD)과 접지단(GND) 사이에 다수의 저항(R)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저항들 사이에는 다수의 공통전압 출력부(Vcom)가 배치될 수 있다. 공통전압은 전원단(VDD)의 전압을 저항(R)에 의해 분압된 전압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전원단(VDD)과 접지단(GND) 사이에는 제1 저항 내지 제5 저항(R1,R2,R3,R4,R5)이 연결될 수 있다. 공통전압 출력부(Vcom)는 제1 공통전압 출력부(Vcom1)와 제2 공통전압 출력부(Vcom2)와 제3 공통전압 출력부(Vcom3)와 제4 공통전압 출력부(Vcom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통전압 출력부(Vcom1)는 제1 저항(R1)과 제2 저항(R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공통전압 출력부(Vcom2)는 제2 저항(R2)과 제3 저항(R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공통전압 출력부(Vcom3)는 제3 저항(R3)과 제4 저항(R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공통전압 출력부(Vcom4)는 제4 저항(R4)과 제5 저항(R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공통전압 출력부(Vcom1)는 표시패널에 제1 공통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공통전압은 표시패널에 최초로 제공되는 전압일 수 있다. 제2 공통전압 출력부(Vcom2)는 제2 공통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공통전압은 제1 공통전압과 다른 출력값을 가질 수 있다. 제2 공통전압의 출력값은 제1 공통전압의 출력값 보다 작은 값일 수 있다. 제3 공통전압 출력부(Vcom3)는 제3 공통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제3 공통전압의 출력값은 제2 공통전압의 출력값 보다 작은 값일 수 있다. 제4 공통전압 출력부(Vcom4)는 제4 공통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제4 공통전압의 출력값은 제3 공통전압의 출력값 보다 작은 값일 수 있다.
제1 공통전압 출력부(Vcom1)의 출력단과 제2 공통전압 출력부(Vcom2)의 출력단과 제3 공통전압 출력부(Vcom3)의 출력단과 제4 공통전압 출력부(Vcom4)의 출력단에는 제어부(Multiplexer, 310)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제1 공통전압과 제2 공통전압과 제3 공통전압과 제4 공통전압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제1 선택신호(S1)와 제2 선택신호(S2)에 의해 제1 공통전압과 제2 공통전압과 제3 공통전압과 제4 공통전압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선택신호(S1)와 제2 선택신호(S2)의 조합에 의해 '00'이면 제1 공통전압을 출력하고, 제1 선택신호(S1)와 제2 선택신호(S2)의 조합에 의해 '10'이면 제2 공통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선택신호(S1)와 제2 선택신호(S2)의 조합에 의해 '01'이면 제3 공통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선택신호(S1)와 제2 선택신호(S2)의 조합에 의해 '11'이면 제4 공통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선택신호(S1)는 제1 카운터부(320)에 의해 발생될 수 있으며, 제2 선택신호(S2)는 제2 카운터부(330)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제1 카운터부(320) 및 제2 카운터부(330)는 스타팅 전압(Vst)을 이용하여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스타팅 전압(Vst)의 카운팅에 따라 일정 기간 제1 선택신호(S1) 또는 제2 선택신호(S2)가 지속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Vcc)이 인가되면 제1 선택신호(S1)와 제2 신호의 조합에 의해 '00'이 제어부에 인가되고, 제어부는 '00'에 대응되는 제1 공통전압을 일정 시간 동안 표시패널에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공통전압은 IPS 방식의 패널에 적합한 초기 전압일 수 있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제1 선택신호(S1)와 제2 신호의 조합에 의해 '01'이 제어부에 인가되고, 제어부는 '01'에 대응되는 제2 공통전압을 일정 시간 동안 표시패널에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공통전압은 표시패널의 제1 안정기에 적합한 공통전압일 수 있다. 제2 공통전압의 출력값은 제1 공통전압의 출력값 보다 작을 수 있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제1 선택신호(S1)와 제2 신호의 조합에 의해 '10'이 제어부에 인가되고, 제어부는 '10'에 대응되는 제3 공통전압을 일정 시간 동안 표시패널에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공통전압은 표시패널의 제2 안정기에 적합한 공통전압일 수 있다. 제3 공통전압의 출력값은 제2 공통전압의 출력값 보다 작을 수 있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제1 선택신호(S1)와 제2 신호의 조합에 의해 '11'이 제어부에 인가되고, 제어부는 '11'에 대응되는 제4 공통전압을 일정 시간 동안 표시패널에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공통전압은 표시패널의 제3 안정기에 적합한 공통전압일 수 있다. 제4 공통전압의 출력값은 제3 공통전압의 출력값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공통전압 발생회로는 IPS 패널 특성에 맞게 안정화된 공통전압을 공급함으로써, 플리커 및 크로스 토크 등에 의해 화상 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공통전압 발생회로는 제3 공통전압 출력부 및 제4 공통전압 출력부를 구비함으로써, 보다 세밀한 수준의 공통전압을 패널에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공통전압 발생회로를 4개의 공통전압 출력부를 구비하도록 설계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3개 또는 5개 이상의 공통전압 출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예는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TFT 100: 표시패널
R: 저항 g: 게이트 전극
s: 소스 전극 d: 드레인 전극
Vcom: 공통전압 출력부 200: 공통전압 발생회로

Claims (13)

  1. 전원단과 접지단 사이에 직렬로 배치된 다수의 저항들;
    상기 저항들 사이에 배치되어 제1 공통전압을 발생시키는 제1 공통전압 출력부와, 상기 저항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공통전압과 다른 출력값을 가지는 제2 공통전압을 발생시키는 제2 공통전압 출력부를 포함하는 공통전압 출력부;
    스타팅 전압을 이용하여 선택신호를 제공하는 카운터부; 및
    상기 선택신호에 의해 상기 제1 공통전압과 상기 제2 공통전압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운터부는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선택신호의 '0'을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0'에 대응되는 상기 제1 공통 전압을 출력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상기 카운터부는 상기 선택신호의 '1'을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1'에 대응되는 상기 제2 공통 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제1 공통 전압은 상기 전원이 하이 레벨이고 상기 선택신호가 '0' 레벨인 경우에 하이 레벨이고,
    상기 제2 공통 전압은 상기 전원이 하이 레벨이고 상기 선택신호가 '1' 레벨인 경우에 상기 제1 공통 전압의 하이 레벨보다 낮은 하이 레벨로 출력되는 공통전압 발생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통전압은 최초 출력되는 공통전압인 공통전압 발생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통전압은 제1 공통전압이 일정 시간 동안 공급된 이후 출력되는 공통전압 발생회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통전압의 출력값은 상기 제2 공통전압의 출력값 보다 큰 값을 포함하는 공통전압 발생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부는 상기 선택신호인 0 또는 1 을 발생시키는 공통전압 발생회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압 출력부는 제3 공통전압 출력부 및 제4 공통전압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공통전압 발생회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통전압 출력부 내지 제4 공통전압 출력부는 제1 선택신호 및 제2 선택신호의 조합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력되며, 상기 제2 선택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카운터부를 더 포함하는 공통전압 발생회로.
  8.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에 공통전압을 공급하는 공통전압 발생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공통전압 발생회로는 전원단과 접지단 사이에 직렬로 배치된 다수의 저항들;
    상기 저항들 사이에 배치되어 제1 공통전압을 발생시키는 제1 공통전압 출력부와, 상기 저항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공통전압과 다른 출력값을 가지는 제2 공통전압을 발생시키는 제2 공통전압 출력부를 포함하는 공통전압 출력부;
    스타팅 전압을 이용하여 선택신호를 제공하는 카운터부; 및
    상기 선택 신호에 의해 상기 제1 공통전압과 상기 제2 공통전압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표시패널에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운터부는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선택신호의 '0'을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0'에 대응되는 상기 제1 공통 전압을 출력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상기 카운터부는 상기 선택신호의 '1'을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1'에 대응되는 상기 제2 공통 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제1 공통 전압은 상기 전원이 하이 레벨이고 상기 선택신호가 '0' 레벨인 경우에 하이 레벨로 출력되고, 상기 제2 공통 전압은 상기 전원이 하이 레벨이고 상기 선택신호가 '1' 레벨인 경우에 상기 제1 공통 전압의 하이 레벨보다 낮은 하이 레벨로 출력되는 표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통전압은 상기 표시패널의 초기 구동 후 최초 공급되는 공통전압인 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통전압은 제1 공통전압이 상기 표시패널에 일정 시간 동안 공급된 이후 출력되는 표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시간은 표시패널이 안정화 상태에 진입되는 범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통전압의 출력값은 상기 제2 공통전압의 출력값 보다 큰 값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부는 상기 선택신호인 0 또는 1 을 발생시키는 표시장치.
KR1020150137716A 2015-09-30 2015-09-30 공통전압 발생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KR102453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716A KR102453065B1 (ko) 2015-09-30 2015-09-30 공통전압 발생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716A KR102453065B1 (ko) 2015-09-30 2015-09-30 공통전압 발생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399A KR20170038399A (ko) 2017-04-07
KR102453065B1 true KR102453065B1 (ko) 2022-10-07

Family

ID=58583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7716A KR102453065B1 (ko) 2015-09-30 2015-09-30 공통전압 발생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30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77960B (zh) * 2018-12-14 2020-07-10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公共电压调节电路及公共电压调节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924B1 (ko) * 1998-12-16 2001-12-17 윤종용 액정표시장치및액정표시장치의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9337A (ko) * 2005-12-06 2007-06-1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0920376B1 (ko) * 2007-12-21 2009-10-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090105486A (ko) * 2008-04-02 2009-10-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영동 표시장치
KR101476848B1 (ko) * 2008-05-27 2014-12-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330353B1 (ko) * 2008-08-08 2013-11-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924B1 (ko) * 1998-12-16 2001-12-17 윤종용 액정표시장치및액정표시장치의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399A (ko) 2017-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9241B2 (en) Light valve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US9182805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to control driving voltages based on changes in display image frame frequency
KR102279353B1 (ko) 표시패널
US10180760B2 (en) Method and device for driving touch display panel with multiple display time periods and multiple touch time periods in time period for displaying each image frame, and touch display device
WO2016090698A1 (zh) 液晶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
KR20110077211A (ko) 표시장치와 그 게이트펄스 제어방법
KR102207037B1 (ko) 액정 표시장치
US900110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100505025C (zh) 液晶显示器及其驱动方法
US892260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1274686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453065B1 (ko) 공통전압 발생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KR20160083565A (ko) 표시장치
KR101773193B1 (ko) 액티브 매트릭스 표시장치
KR20160091528A (ko)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US1003242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ethod of driving the same and drive processing device
KR102411379B1 (ko) 표시패널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1174158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TWI662348B (zh) 像素電路及顯示裝置
KR20070067969A (ko) 액정 표시 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040057804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70053887A (ko) 액정표시장치
TWI556218B (zh) 畫素及其驅動方法
KR20060135133A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JP2016133538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