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875B1 - A crop harvester - Google Patents

A crop harves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2875B1
KR102452875B1 KR1020210103679A KR20210103679A KR102452875B1 KR 102452875 B1 KR102452875 B1 KR 102452875B1 KR 1020210103679 A KR1020210103679 A KR 1020210103679A KR 20210103679 A KR20210103679 A KR 20210103679A KR 102452875 B1 KR102452875 B1 KR 102452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crops
crop harvester
pair
conveyo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36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반석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반석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반석산업
Priority to KR1020210103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87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8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1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smooth conveyor belts, lath bands or rake ba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3/00Topping machines
    • A01D23/02Topping machines cutting the tops before being lif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3/00Topping machines
    • A01D23/02Topping machines cutting the tops before being lifted
    • A01D2023/024Devices with fix blades for topping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underground crop harvester including a power source. The provided underground crop harvester comprises: a frame unit which maintains an overall shape; a harvesting unit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ame unit, and having a pair of fixation blades which pass through an underground and separate a crop from a cultivated land; and a transferring unit located at a lower end of the frame unit, and transferring the crop harvested from the front surface to the rear surface.

Description

땅속작물수확기{A CROP HARVESTER}Underground crop harvester {A CROP HARVESTER}

본 발명은 이동 경로를 벗어난 영역에 수확한 작물을 순차로 안착시키는 땅속작물수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ground crop harvester that sequentially places harvested crops in an area out of a movement path.

일반적으로 땅속에 열매를 맺는 마늘, 땅콩, 감자, 고구마, 인삼, 약초류 등과 같은 땅속 농작물의 경우 흙을 파 헤친 다음 수확하게 되므로 채취작업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In general, underground crops such as garlic, peanuts, potatoes, sweet potatoes, ginseng, and medicinal herbs that bear fruit in the ground are harvested after digging up the soil, so it takes a lot of manpower and time to harvest.

종래에는 땅속 농작물을 인력으로 수확하고 있었으나, 인력에 의한 수작업으로 일일이 땅을 파헤치면서 수확해야 하므로 시간과 경비의 소모가 커, 비생산적임은 물론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crops in the ground were harvested by manpower, but since they had to be harvested while digging up the land manually by manpower, time and expense were consumed,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is unproductive as well as uneconomical.

따라서, 최근 생산성의 증진은 물론 인력의 소모를 최소화하고 경제적인 수확을 할 수 있도록 제작된 땅속작물수확기들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underground crop harvesters manufactured to improve productivity as well as minimize the consumption of manpower and achieve economical harvesting have been widely used.

땅속작물수확기는 수확대상이 땅속작물의 뿌리이기 때문에 토양 및 비닐피복 상태, 뿌리의 형상 및 분포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Since the harvesting target is the root of underground crops, the harvest period for underground crops is affected by soil and plastic cover conditions, and the shape and distribution of roots.

땅속작물수확기는 수확기가 부착되는 원동기의 형식에 따라 관리기 부착형, 경운기 부착형, 트랙터 부착형으로 나뉠수 있다.The underground crop harvester can be divided into a manager attachment type, a tiller attachment type, and a tractor attachment type according to the type of prime mover to which the harvester is attached.

트랙터 부착형 땅속작물수확기의 종류는 흙분리 방식, 적용 작물, 굴취 작업폭 및 적용 트랙터에 따라 다양하다. The types of tractor-attached underground crop harvesters vary according to soil separation method, applied crops, excavation work width, and applied tractor.

국내에 보급되고 있는 기종의 굴취 및 흙분리 방식은 엘리베이터식, 진동봉식, 릴회전식 등이 있으며, 굴취 작업폭은 75 내지 190cm까지 있고, 적용트랙터도 26 내지 50㎰이상으로 형식이 다양하다.The excavation and soil separation methods of the models that are distributed in Korea include elevator type, vibrating rod type, reel rotation type, etc. The excavation working width is up to 75 to 190 cm, and the applied tractor is also various types with 26 to 50 ㎰ or more.

농가에 가장 널리 보급된 트랙터 부착형 땅속작물수확기의 기종은 엘리베이터식으로 굴취날에 의해 토양을 절삭, 체인컨베이어로 후방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흙을 분리하여 배출하는 구조이다. The most widely used tractor-attached underground crop harvester in farmhouses is an elevator-type structure that separates and discharges soil during the process of cutting the soil by excavator blades and transporting it to the rear with a chain conveyor.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의 땅속작물수확기는 작물이 본래 위치한 이랑을 따라 수확한 작물을 지면에 배출하는 구조로, 측면에 인접한 이랑에 대한 수확 작업을 진행할 때 작업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지면에 배출된 작물을 별도로 치워놓는 작업이 추가로 요구될 수 있다.However, this type of underground crop harvester has a structure that discharges the harvested crops along the ridges where the crops are originally located to the ground. Additional work may be required to set aside.

이 경우 수확된 작물을 치워야 하는 작업이 별도로 요구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본 발명자는 작물수확 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땅속작물수확기를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ork to remove the harvested crops is separately required, and thus the efficiency of the work is significantly reduce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s made diligent efforts to develop an underground crop harvester that can efficiently proceed with the crop harvesting work.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45028호(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7-0045028

(특허문헌 2) 한국등록실용 제20-0468882호(Patent Document 2) Korea Registered Utility No. 20-0468882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 효율이 우수한 이동식 땅속작물수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underground crop harvester with excellent work efficienc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동력원을 포함하는 이동식 땅속작물수확기에 있어서, 전체 형상을 유지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 전면에 위치하고, 땅속을 관통하여 경작지로부터 작물을 분리하는 한 쌍의 고정날을 구비한 수확부; 및 상기 프레임부 하단에 위치하고, 전면에서 수확된 작물을 후면으로 전달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땅속작물수확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obile underground crop harvester including a power source, the frame portion for maintaining the overall shape; a harvesting unit located in front of the frame unit and having a pair of fixed blades penetrating the ground to separate crops from cultivated land; and a transfer unit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frame unit and transferring the crops harvest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including, an underground crop harvester is provid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확부에서 상기 한 쌍의 고정날은 후면에서 전면으로 넓어지는 방사형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air of fixed blades in the harvesting unit may be arranged in a radial structure extending from the rear to the fron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맞닿아 회전하는 한 쌍의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날에 의해 수확된 작물은 상기 맞닿은 컨베이어 벨트에 끼워져 후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veying unit includes a pair of conveyor belts rotating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crop harvested by the fixed blade may be inserted into the abutting conveyor belt and moved to the rear sid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맞닿는 영역은 상기 프레임부의 이동 방향과 경사를 이루고, 상기 후면으로 이동한 작물은 상기 프레임부의 이동 경로를 벗어나 지면에 안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butting area of the conveyor belt forms an inclination wit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rame part, and the crop that has moved to the rear may be seated on the ground outside the moving path of the frame par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말단부에 각도 변경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면으로 이동한 작물의 안착 경로를 변경하는 배출판;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veyor belt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so that the angle can be changed, the discharge plate for changing the seating path of the crop moved to the rear; may includ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하나 이상의 체인 기어; 및 상기 체인 기어와 맞물려 이동하는 롤러 체인(roller chain)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veyor belt comprises one or more chain gears; and a roller chain that moves in engagement with the chain gea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롤러 체인은 외측면에 탄성을 가지는 가압패드가 적층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oller chain may be laminated with a pressure pad having elasticity on the outer surfac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하로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ransfer unit can be adjusted in height up and dow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이동속도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이송속도는 동기화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oving speed of the frame part and the conveying speed of the conveyor belt may be synchroniz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확한 작물을 원하는 위치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arvested crop can be discharged to a desired location,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한 구조를 통해 의도하는 기술적인 효과를 구현할 수 있어 경제성이 우수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intended technical effect through a simple structure, so that the economical efficiency is excellent.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땅속작물수확기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땅속작물수확기를 평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이송부를 평면에서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체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side view of an underground crop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underground crop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in a plane of the transfer uni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 roller chai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have been selected as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nd the like.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name of a simple term.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Numerical ranges are inclusive of the values defined in that range. Every maximum numerical limitation given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ll lower numerical limitations as if the lower numerical limitation were expressly written.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Every minimum numerical limitation given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ll higher numerical limitations as if the higher numerical limitation were expressly written. All numerical limitations given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ill include all numerical ranges that are better within the broader numerical limits, as if the narrower numerical limitations were expressly written.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하며, 예컨대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 means", "~ part", etc.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of a comprehensive configuration that perform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for example, a hardware configuration (such as a processor or a circuit) hardware component), and/or a software component executed by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a processor.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Hereinafter,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ut 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동력원을 포함하는 이동식 땅속작물수확기(100)에 있어서, 전체 형상을 유지하는 프레임부(110); 상기 프레임부(110) 전면에 위치하고, 땅속을 관통하여 경작지로부터 작물을 분리하는 한 쌍의 고정날(131)을 구비한 수확부(130); 및 상기 프레임부(110) 하단에 위치하고, 전면에서 수확된 작물을 후면으로 전달하는 이송부(120);를 포함하는, 땅속작물수확기(100)를 제공한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obile underground crop harvester 100 including a power source, the frame portion 110 for maintaining the overall shape; a harvesting unit 130 positioned in front of the frame unit 110 and having a pair of fixed blades 131 for separating crops from cultivated land by penetrating the ground; and a transfer unit 120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frame unit 110 and delivering crops harvest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상기 “땅속작물”은 수확대상이 뿌리인 마늘, 땅콩, 감자, 고구마, 인삼, 약초류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수확시 뿌리를 포함하는 작물 전체를 토양으로부터 분리낼 필요가 있다.The "underground crops" refer to garlic, peanuts, potatoes, sweet potatoes, ginseng, medicinal herbs, etc. whose harvest target is the root, and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entire crop including the roots from the soil at the time of harvest.

상기 땅속작물수확기(100)는 효율적으로 상기 땅속작물을 수확할 수 있는 장치로, 땅속작물이 경작된 위치를 따라 이동하면서 동시에 상기 땅속작물을 수확할 수 있다.The underground crop harvester 100 is a device capable of efficiently harvesting the underground crops, and can simultaneously harvest the underground crops while moving along the cultivated position of the underground crops.

상기 이동식 땅속작물수확기(100)는 동력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동력원은 상기 땅속작물수확기(100)를 이동시키거나 이송부(120)를 작동시킬 수 있다.The mobile underground crop harvester 100 may include a power source, and the power source may move the underground crop harvester 100 or operate the transfer unit 120 .

상기 동력원은 모터나 엔진 등의 수단을 통해 상기 땅속작물수확기(100)에 운동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으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type of the power sourc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provide kinetic energy to the underground crop harvester 100 through means such as a motor or an engine.

상기 땅속작물수확기(100)는 동력원에 의해 이동하면서 상기 땅속작물을 수확할 수 있고, 상기 땅속작물수확기(100)가 상기 동력원을 자체적으로 보유하거나, 또는 기어 장치를 통해 별도의 동력원과 연결되어 이동할 수도 있다.The underground crop harvester 100 can harvest the underground crops while moving by a power source, and the underground crop harvester 100 has the power source by itself or is connected to a separate power source through a gear device to move. may be

상기 프레임부(110)는 상기 땅속작물수확기(100)의 전체 형상을 유지하는 뼈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땅속작물수확기(100)를 이루는 각 구성을 연결할 수 있다.The frame unit 110 serves as a framework for maintaining the overall shape of the underground crop harvester 100 , and may connect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underground crop harvester 100 .

도 1및 2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부(110)에는 상기 땅속작물수확기(100)를 이루는 수확부(130), 이송부(120) 등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그 외에도 기어 장치, 체인, 풀리, 및 바퀴(140) 등 다양한 기계 수단 등이 상호 작동 가능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1 and 2, the frame unit 110, the harvesting unit 130, the transfer unit 120, etc. constituting the underground crop harvester 100 may be firmly coupled, in addition, a gear device, a chain, A pulley, and various mechanical means such as the wheel 140 may be combined in a mutually operable form.

상기 프레임부(110)는 외력에 의해서 쉽게 파손되거나 변형되지 않는 강성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컨대, 철제 프레임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frame unit 110 may be made of a material with high rigidity that is not easily damaged or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for example, an iron frame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수확부(130)는 토양 속에 묻혀 있는 식물의 뿌리를 파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부(110) 전면에 위치하고, 땅속을 관통하면서 이동함으로써 경작지로부터 작물을 분리하는 한 쌍의 고정날(131)을 구비할 수 있다.The harvesting unit 130 serves to dig up the roots of plants buried in the soil, and is located in front of the frame unit 110, and a pair of fixed blades 131 for separating crops from cultivated land by moving through the ground. ) can be provided.

상기 고정날(131)은 전면부가 상대적으로 날카로운 철제 칼날 형태일 수 있고, 칼날 부위가 땅속작물의 뿌리 깊이까지 파고들어 이동 방향에 위치하는 경작물들을 지면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The fixed blade 131 may be in the form of a relatively sharp iron blade in the front, and the blade portion may dig to the depth of the root of the underground crop to separate the crops located in the moving direction from the ground.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수확부(130)는 상하로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harvesting unit 130 may be vertically adjusted in height.

상기 땅속작물들은 경작 조건에 따라 이랑의 높이, 토양의 깊이 등이 각각 상이할 수 있으므로, 상기 수확부(130)는 다양한 경작 조건에 대응할 수 있도록 높낮이를 변경할 수 있다.Since the underground crops may have different heights of ridges and depths of soil according to cultivation conditions, the harvester 130 may change the height to correspond to various cultivation conditions.

상기 수확부(130)는 높낮이를 달리할 수 있도록 나사 장치 또는 유압 실린더 등 다양한 기계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분야의 다양한 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The harvesting unit 130 may include various mechanical devices such as a screw device or a hydraulic cylinder so that the height can be chang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eans in the art can be applied.

상기 한 쌍의 고정날(131)은 후면에서 전면으로 넓어지는 방사형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The pair of fixed blades 131 may be disposed in a radial structure extending from the rear to the front.

상기 고정날(131)은 작물 수확에 가장 유리한 다양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상기 땅속작물수확기(100)의 작동 방식에 가장 부합하도록 후면은 좁고 전면이 넓은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The fixed blade 131 may be arranged in various ways that are most advantageous for crop harvesting, but may be arranged in a form with a narrow rear side and a wide front side to best match the operation method of the underground crop harvester 100 .

예컨대, 상기 한 쌍의 고정날(131)이 이루는 각도는 180°보다 작고 0° 보다 클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둔각(鈍角)을 이룰 수 있다.For example, the angle formed by the pair of fixed blades 131 may be smaller than 180° and greater than 0°, but preferably an obtuse angle.

상기 한 쌍의 고정날(131)이 방사형 구조를 이루는 경우, 상기 고정날(131)에 의해 분리된 땅속작물은 후면의 좁은 영역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고, 수확된 땅속작물은 상기 고정날(131) 후면에 위치하는 이송부(120)에 의해 후면으로 이송될 수 있다.When the pair of fixed blades 131 form a radial structure, the ground crops separated by the fixed blades 131 can naturally move to a narrow area at the rear side, and the harvested ground crops are separated by the fixed blades 131 . It may be transferred to the rear surface by the transfer unit 120 located on the rear surface.

상기 이송부(120)는 상기 고정날(131)에 의해 분리된 땅속작물을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부(110) 하단에 위치하고, 전면에서 수확된 작물을 후면으로 전달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120 serves to move the underground crops separated by the fixed blade 131 to a predetermined position. have.

종래의 땅속작물수확기(100)는 수확된 작물을 후면으로 전달하는 이송부(120)를 포함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땅속작물수확기(100)는 구현 형태 및 이송부(120)의 특징이 상이하다.The conventional underground crop harvester 100 includes a transfer unit 120 for delivering the harvested crop to the rear side, but the underground crop harvest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different implementation form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ransfer unit 120 .

구체적으로, 상기 이송부(120)는 맞닿아 회전하는 한 쌍의 컨베이어 벨트(121)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ransfer unit 120 may include a pair of conveyor belts 121 that rotat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컨베이어 벨트(121)는 일 지점에서 타 지점으로 물건 또는 소재를 운반하는 기계적 장치(mechanical handling equipment)를 의미하는 것으로, 자전하는 하나 이상의 풀리 또는 롤러 등 회전 부재(122)와 상기 회전 부재(122) 외측에 장력을 유지하며 둘러싸는 벨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veyor belt 121 refers to mechanical handling equipment for transporting goods or materials from one point to another, and includes a rotating member 122 such as one or more rotating pulleys or rollers and the rotating member 122 ) may include a belt member surrounding and maintaining the tension on the outside.

상기 회전 부재(122)의 회전축은 지면과 수직할 수 있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121)는 지면의 수평면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A rotation axis of the rotating member 122 may b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the conveyor belt 121 may rotate along a horizontal plane of the ground.

상기 벨트 부재는 강한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회전 부재(122) 둘레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재질이면 족하며, 예컨대, 금속 재질, 고무 재질, 실리콘 재질 등 내구성이 우수한 소재를 적용할 수 있다.The belt member is sufficient as long as it is a material that can mov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otating member 122 while maintaining a strong tension, for example, a material having excellent durability such as a metal material, a rubber material, a silicon material, etc. may be applied.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부(120)는 상기 수확부(130) 후단에 상기 프레임부(110)를 따라 길게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고정날(131) 상단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고정날(131)에 의해 분리된 땅속작물의 줄기 부분이 상기 맞닿은 컨베이어 벨트(121) 사이로 도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transfer unit 120 may b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frame unit 110 at the rear end of the harvesting unit 130 , and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fixed blade 131 , so that the fixed blade ( 131), the stem portion of the underground crop separated by the abutting conveyor belt 121 may be introduced.

따라서, 상기 고정날(131)에 의해 수확된 작물은 상기 맞닿은 컨베이어 벨트(121) 사이로 도입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121)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 방향을 따라 후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rops harvested by the fixed blade 131 may be introduced between the abutting conveyor belts 121 and moved to the rear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conveyor belts 121 .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컨베이어 벨트(121)의 맞닿는 영역은 상기 프레임부(110)의 이동 방향과 경사를 이룰 수 있고, 상기 후면으로 이동한 작물은 상기 프레임부(110)의 이동 경로를 벗어나 지면에 안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abutting area of the conveyor belt 121 may form an inclination wit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rame unit 110 , and the crops moving to the rear side deviate from the moving path of the frame unit 110 . Can land on the ground.

상기 프레임부(110)가 정면으로 이동하는 경우라면, 상기 컨베이어 벨트(121)의 맞닿는 영역은 상기 이동 방향과 소정의 기울기(ex. 예각)를 이루며 빗겨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frame part 110 moves in the front, the abutting area of the conveyor belt 121 may be disposed in a deflected direction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eg, acute angle) with the moving direction.

즉, 상기 컨베이어 벨트(121)의 맞닿는 영역과 상기 프레임부(110)의 이동 방향이 수평을 이루는 경우라면 상기 수확된 작물은 본래 수확된 경로를 따라 후면으로 이동하여 지면에 안착하므로 수확된 작물에 대한 추가적인 정리 작업이 요구될 수 있으나, 상기 땅속작물수확기(10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21)의 배치 구조를 통해 수확한 작물을 상기 프레임부(110)의 이동 경로를 벗어난 영역에 안착시킬 수 있다.That is, if the abutting area of the conveyor belt 121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rame unit 110 are horizontal, the harvested crop moves to the rear along the originally harvested path and settles on the ground, so that the harvested crop Additional cleaning work may be required, but the underground crop harvester 100 may place the crops harvested through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conveyor belt 121 in an area outside the movement path of the frame unit 110 . .

이 때, 상기 한 쌍의 컨베이어 벨트(121)는 길이가 상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air of conveyor belts 121 may have different lengths.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컨베이어 벨트(121) 중 한 쪽이 다른 쪽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컨베이어 벨트(121)에 끼워진 상태로 후면으로 이동한 작물은 안정적으로 상기 프레임부(110)의 이동 경로를 벗어나 지면에 안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when one of the pair of conveyor belts 121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other, the crops moving to the rear while being fitted in the conveyor belt 121 are stably transferred to the frame unit 110 . ) and can land on the ground outside the movement path.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상기 컨베이어 벨트(121)는 말단부에 각도 변경이 가능한 배출판(123)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출판(123)은 상기 한 쌍의 컨베이어 벨트(121) 중 긴 쪽의 말단에 설치될 수 있다.1 and 2 , the conveyor belt 121 may include an angle-changeable discharge plate 123 at its distal end, and the discharge plate 123 is the longest of the pair of conveyor belts 121 . It can be installed at the end of the side.

상기 배출판(123)은 판상형 구조로 상기 컨베이어 벨트(121)를 따라 후면으로 이동한 땅속작물의 안착 경로를 변경시킬 수 있다.The discharge plate 123 may change the seating path of the underground crops that have moved to the rear along the conveyor belt 121 in a plate-shaped structure.

상기 배출판(123)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121)와 연결된 부분을 축으로 각도가 변경될 수 있고,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각도를 달리함으로써 상기 수확된 땅속작물의 안착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The angle of the discharge plate 123 may be changed with respect to the part connected to the conveyor belt 121 as an axis, and the seating position of the harvested underground crop may be adjusted by changing the angle inward or outward.

상기 배출판(123)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힌지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금속판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면 소재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discharge plate 123 may include a hinge structure so as to change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and may be formed of a metal plate or a plastic plate, but the type of material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can perform the same function. .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컨베이어 벨트(121)는 하나 이상의 체인 기어; 및 상기 체인 기어와 맞물려 이동하는 롤러 체인(roller chain; 121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conveyor belt 121 may include one or more chain gears; and a roller chain 1211 that moves in engagement with the chain gear.

상기 컨베이어 벨트(121)는 자전하는 하나 이상의 풀리 또는 롤러 등 회전 부재(122)와 상기 회전 부재(122) 외측에 장력을 유지하며 둘러싸는 벨트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회전 부재(122) 및 벨트 부재를 체인 기어 및 롤러 체인(1211)으로 구성할 수 있다.The conveyor belt 121 may include a rotating member 122 such as one or more rotating pulleys or rollers and a belt member surrounding the rotating member 122 while maintaining tension outside the rotating member 122, and the rotating member 122 and The belt member may be composed of a chain gear and a roller chain 1211 .

상기 롤러 체인(1211)은 강판(鋼板)으로 만든 롤러 링크와 핀 링크를 핀으로 연결한 구조의 체인으로, 상기 체인 기어와 맞물려 슬립(slip) 현상 없이 회전할 수 있다.The roller chain 1211 is a chain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roller link made of a steel plate and a pin link are connected with a pin, and may be rotated without a slip phenomenon in engagement with the chain gear.

특히, 상기 한 쌍의 컨베이어 벨트(121)는 맞닿은 상태로 팽팽하게 장력을 유지하며 회전하는 구조로, 상기 롤러 체인(1211)은 롤러 링크의 굴곡 구조로 인해 상기 맞닿은 컨베이어 벨트(121) 사이로 도입된 작물의 줄기 부분을 빠트리지 않고 후면으로 효율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air of conveyor belts 121 have a structure that rotates while maintaining tension while in contact, and the roller chain 1211 is introduced between the abutting conveyor belts 121 due to the bending structure of the roller link. It can be efficiently transferred to the rear without missing the stem of the crop.

상기 롤러 체인(1211)은 경우에 따라 굴곡을 더욱 크게 함으로써, 수확한 작물은 견고하게 맞닿은 롤러 체인(1211)에 의해 이송될 수 있다.The roller chain 1211 may be further curved in some cases, so that the harvested crop may be transported by the firmly abutting roller chain 1211 .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롤러 체인(1211)은 외측면에 탄성을 가지는 가압패드(1212)가 적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a pressure pad 1212 having elasticity may be stack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roller chain 1211 .

상기 가압패드(1212)는 상기 롤러 체인(1211)은 외측면, 즉, 맞닿는 영역에 적층될 수 있고, 개별적인 교체도 가능하므로 제품 관리에 유리하다.The pressure pad 1212 may be stack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ller chain 1211 , that is, in abutting area, and may be individually replaced, which is advantageous for product management.

통상적으로 상기 롤러 체인(1211)은 금속의 재질로 맞닿은 상태로 회전하는 경우 지속적인 마찰에 의해 파손 및 변형이 일어날 수 있고, 이물질의 축적에 의해 고장이 유발될 수도 있다.In general, when the roller chain 1211 rotates in contact with a metal material, damage and deformation may occur due to continuous friction, and failure may be induced by the accumulation of foreign substances.

상기 가압패드(1212)는 상기 맞닿은 롤러 체인(1211)의 탄성을 유지한 상태로 수확한 작물을 적절하게 가압할 수 있고, 롤러 체인(1211) 간 지속적인 마찰 현상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땅속작물수확기(100)의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The pressure pad 1212 can properly pressurize the harvested crop while maintaining the elasticity of the abutting roller chain 1211, and block the continuous friction between the roller chains 1211, so that the underground crop harvester 100 ) can improve durability.

상기 가압패드(1212)는 일정 수준 이상의 탄성을 보유한 재질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실리콘, 우레탄, 열가소성 탄성체, 및 열가소성 고무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또는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ressure pad 1212 may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bove a certain level, for example,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EPDM), silicone, urethane, thermoplastic elastomer, and thermoplastic rubber and polypropylene. One or more may be selected, but preferably silicone or rubber.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부(120)는 상하로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transfer unit 120 may be vertically adjustable in height.

상기 땅속작물들은 경작 조건에 따라 이랑의 높이, 토양의 깊이 등이 각각 상이할 수 있고, 뿌리와 연결된 줄기의 높이도 작물마다 상이할 수 있으므로, 상기 이송부(120)는 다양한 경작 조건에 대응할 수 있도록 높낮이를 변경할 수 있다.The underground crops may have different heights of ridges and soil depths depending on the cultivation conditions, and the height of the stem connected to the root may also be different for each crop, so that the transfer unit 120 can respond to various cultivation conditions You can change the height.

상기 이송부(120)는 높낮이를 달리할 수 있도록 나사 장치 또는 유압 실린더 등 다양한 기계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분야의 다양한 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120 may include various mechanical devices such as a screw device or a hydraulic cylinder so as to be different in heigh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eans in the art may be applied.

한편, 상기 프레임부(110)의 이동속도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121)의 이송속도는 동기화될 수 있다.Meanwhile, the moving speed of the frame unit 110 and the conveying speed of the conveyor belt 121 may be synchronized.

상기 땅속작물수확기(100)는 이동에 따라 땅속작물을 수확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121)를 통해 수확한 작물을 후면으로 전달하며, 상기 프레임부(110)의 이동속도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121)의 이송속도를 일치시킴으로써 수확된 작물을 적절하게 지면에 안착시킬 수 있다.The underground crop harvester 100 harvests underground crops according to movement and delivers the harvested crops to the rear side through the conveyor belt 121, the moving speed of the frame unit 110 and the conveyor belt 121 By matching the feed rate, the harvested crop can be properly seated on the ground.

상기 프레임부(110)의 이동속도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121)의 이송속도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동기화될 수 있고, 예컨대 회전 속도를 각각 조절하거나 상호 동기화될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The moving speed of the frame unit 110 and the conveying speed of the conveyor belt 121 may be synchronized by various methods, for example, a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rotational speed or mutually synchronizing may be applied.

예컨대, 상기 컨베이어 벨트(121)를 작동시키는 회전 부재(122)와 상기 땅속작물수확기(100)의 바퀴(140)에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은 기어 장치에 의해 맞물려 있을 수 있고, 이로 인해 회전 속도가 동기화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rotating member 122 that operates the conveyor belt 121 and the rotating shaft that transmits power to the wheels 140 of the underground crop harvester 100 may be engaged by a gear device, thereby increasing the rotational speed. can be synchronize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땅속작물수확기
110: 프레임부
120: 이송부
121: 컨베이어 벨트
1211: 롤러 체인
1212: 가압패드
122: 회전 부재
123: 배출판
130: 수확부
131: 고정날
140: 바퀴
100: underground crop harvester
110: frame part
120: transfer unit
121: conveyor belt
1211: roller chain
1212: pressure pad
122: rotating member
123: discharge plate
130: harvest department
131: fixed blade
140: wheel

Claims (8)

동력원을 포함하는 이동식 땅속작물수확기에 있어서,
전체 형상을 유지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 전면에 위치하고, 땅속을 관통하여 경작지로부터 작물을 분리하는 한 쌍의 고정날을 구비한 수확부; 및
상기 프레임부 하단에 지면과 수평하게 위치하고, 전면에서 수확된 작물을 후면으로 전달하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날은 후면에서 전면으로 넓어지는 방사형 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고정날 후면에 위치하되, 맞닿아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체인 기어; 및 상기 체인 기어와 맞물려 이동하는 롤러 체인(roller chain)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컨베이어 벨트의 전면부가 상기 고정날과 대응하는 방사형 구조로 배치되며,
상기 고정날에 의해 수확된 작물은 상기 맞닿은 컨베이어 벨트에 끼워져 후면으로 이동하되,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맞닿는 영역은 상기 프레임부의 이동 방향과 소정의 경사를 이루어 상기 후면으로 이동한 작물은 상기 프레임부의 이동 경로를 벗어나 지면에 안착하는 것인, 땅속작물수확기.
In a mobile underground crop harvester including a power source,
Frame portion to maintain the overall shape;
a harvesting unit positioned in front of the frame unit and having a pair of fixed blades penetrating the ground to separate crops from cultivated land; and
It includes a;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frame unit horizontally with the ground, and transfers the crops harvest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The pair of fixed blades are arranged in a radial structure extending from the rear to the front,
One or more chain gears that are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xed blade and rotate in contact with the transfer unit; and a pair of conveyor belts consisting of a roller chain moving in mesh with the chain gear,
The front part of the pair of conveyor belts is disposed in a radial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fixed blade,
The crop harvested by the fixed blade is inserted into the abutting conveyor belt and moved to the rear,
The abutting area of the conveyor belt form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wit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rame part, and the crops moved to the rear side deviate from the movement path of the frame part and settle on the groun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말단부에 각도 변경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면으로 이동한 작물의 안착 경로를 변경하는 배출판;을 포함하는, 땅속작물수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veyor belt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so that an angle can be changed, and a discharge plate for changing the seating path of the crop that has moved to the rear; including, an underground crop harvest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체인은 외측면에 탄성을 가지는 가압패드가 적층된 것인, 땅속작물수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roller chain is a pressure pad having elasticity on the outer surface is laminated, underground crop harves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하로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인, 땅속작물수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veying unit is that the height is adjusted up and down, the underground crop harvester.
KR1020210103679A 2021-08-06 2021-08-06 A crop harvester KR1024528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679A KR102452875B1 (en) 2021-08-06 2021-08-06 A crop harves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679A KR102452875B1 (en) 2021-08-06 2021-08-06 A crop harves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2875B1 true KR102452875B1 (en) 2022-10-11

Family

ID=83599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679A KR102452875B1 (en) 2021-08-06 2021-08-06 A crop harves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875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7819A (en) * 1993-09-27 1995-04-04 Kubota Corp Harvesting part structure of root vegetable harvester
JP2004283139A (en) * 2003-03-25 2004-10-14 Seirei Ind Co Ltd Green onion harvester
JP2011092107A (en) * 2009-10-30 2011-05-12 Iseki & Co Ltd Crop digging machine
KR200468882Y1 (en) 2011-07-29 2013-09-06 이재용 Harvester
KR20170045028A (en) 2015-10-16 2017-04-26 노술해 Bulbs harvesters equipped with a dirt removing conveyor
KR101961857B1 (en) * 2017-11-13 2019-07-17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a self-propelled pull out type garlic harvest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7819A (en) * 1993-09-27 1995-04-04 Kubota Corp Harvesting part structure of root vegetable harvester
JP2004283139A (en) * 2003-03-25 2004-10-14 Seirei Ind Co Ltd Green onion harvester
JP2011092107A (en) * 2009-10-30 2011-05-12 Iseki & Co Ltd Crop digging machine
KR200468882Y1 (en) 2011-07-29 2013-09-06 이재용 Harvester
KR20170045028A (en) 2015-10-16 2017-04-26 노술해 Bulbs harvesters equipped with a dirt removing conveyor
KR101961857B1 (en) * 2017-11-13 2019-07-17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a self-propelled pull out type garlic harves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9636A (en) Vinous row crop harvesting apparatus and methods
CN107318341A (en) Cyperue esculentus cropper and cyperue esculentus harvesting method
CN106068879B (en) Self-propelled shallow rootstalk combine
KR20200062622A (en) Underground crop harvester
CN107318342A (en) Conveying device and the harvester for rhizome crops using the device
CN104350872A (en) Lily clamping, digging, soil patting, root cutting and seedling cutting harvester
KR102452875B1 (en) A crop harvester
CN104770130A (en) Excavator bucket wheel type tuber combine
US3964550A (en) Tree seedling harvester
KR102201118B1 (en) Flattening device for harvester
KR100835669B1 (en) Underground crop bundle harvesting apparatus
CN108370707A (en) Beet harvester
CN207070622U (en) Cyperue esculentus harvester and cyperue esculentus cropper
KR20180072141A (en) A Bulb crops harvester
KR102192975B1 (en) Apparatus for cutting the stem of the bulbous plant
CN216218787U (en) Potato harvester for cohesive soil
US3993142A (en) Tree seedling harvester
KR200461744Y1 (en) Soil supply structure for harvesting crops of underground crops
CN210537524U (en) Cutting and conveying device of sweet potato stem leaf harvester
KR100562562B1 (en) harvest apparatus of bulb
CN208227710U (en) Beet harvester
CN112056093A (en) Grading plant is picked up to potato
JP2540550Y2 (en) Potato digging machine
CN107750572A (en) Potato combine
CN216567131U (en) Lotus root digging machine capable of turning so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