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309B1 - 형광측정기 검교정용 표준시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형광측정기 검교정용 표준시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2309B1
KR102452309B1 KR1020200135862A KR20200135862A KR102452309B1 KR 102452309 B1 KR102452309 B1 KR 102452309B1 KR 1020200135862 A KR1020200135862 A KR 1020200135862A KR 20200135862 A KR20200135862 A KR 20200135862A KR 102452309 B1 KR102452309 B1 KR 102452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calibration
prepared
solid
fix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2021A (ko
Inventor
강인성
박유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코
Priority to KR1020200135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309B1/ko
Publication of KR20220052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2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286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involving mechanical work, e.g. chopping, disintegrating, compacting, homogeni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2001/2893Preparing calibration standar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8Diluting, dispersing or mixing samples
    • G01N2001/386Other diluting or mixing proces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430/00Assays, e.g. immunoassays or enzyme assays, involving synthetic organic compounds as analytes
    • G01N2430/50Polyaromatic hydrocarbons (PA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선상에서는 선체가 유체 위에서 흔들리기 때문에 PHAs 표준 시료의 상태가 불안정하여 액상 상태에서는 휘발로 인한 보관 문제가 있고, 액상의 경우 시료를 희석하여 샘플로 만드는 과정은 숙련된 기술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숙련된 기술자가 배와 함께 항해할 수도 없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외통; 및 상기 외통의 안쪽에 조금 낮은 높이로 내통이 준비되고, 상기 내통의 중심에 일정 크기의 원통형태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 고체 검교정 시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교정용 표준시료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고체형태의 표준검교정 시료를 제공함으로써, 선상을 포함하여 비전문가도 액체시료를 사용하여 광학측정 장비를 검정하거나, 교정 또는 실험 중 시료의 신호가 잘나오는지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형광측정기 검교정용 표준시료의 제조방법{.}
다환방향족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이하 PAHs)의 광학적 검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PAHs를 광학적으로 측정하는 측정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출원 이전의 선행기술로는 원통형의 하우징과, 하우징에 내장되며 시료액 중에 함유되어 있는 미생물을 검출하기 위한 자외선 광을 발산하는 제 1램프를 가지는 발광부와, 발광부로부터 하우징 외부로 출사되어 시료액에 의해 산란된 광 또는 형광을 검출하는 광검출기를 구비하고, 프로브에 자외선 다이오드와 적외선 다이오드 및 레이저 다이오드를 내장함으로써 수중의 다양한 크기의 입자 및 미생물들을 하나의 프로브로 검출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반도체장치 제조 라인 및 공정설비 등의 파티클 분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파티클 계수기를 검교정할 수 있는 파티클 계수기 검정용 표준시료 공급장치 및 샘플 제조 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72454호 등록특허공보 제10-0210598호
본 발명은 PAHs 측정장치의 교정을 위한 표준시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PAHs는 2개 이상의 벤젠고리가 선형으로 각을 지어 있거나, 밀집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유기화합물로 화학연료나 유기물의 불완전 연소 시 부산물로 발생하는 물질이다. 벤젠 고리가 2~3개인 PAHs는 고휘발성으로 대부분 가스 상으로 존재하며, 벤젠고리가 5개 이상인 PAHs 성분들은 미세입자에 흡착 된 상태로 존재하고, PAHs에 노출 된 생물은 발암 또는 다음 세대에 돌연변이를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별히 선박의 경우, 선박 엔진 배출 입자상 물질의 저감을 위해 스크러버 시스템을 적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상기 스크러버에서 사용되는 세정수를 리싸이클 하거나, 정수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세정수에 포함된 PAHs의 양을 측정하여 세정수 사용 규정에 적합 여부를 항시 평가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이때 빠르고 신뢰성 있는 측정방법으로 광을 시료에 조사한 후 PAHs에서 발생하는 형광을 측정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모든 측정장치는 일정 주기로 자가 교정을 하거나 교정 기관에서 교정을 하여 사용하여야 하는데, 선박 내부에 PAHs 측정 센서를 구비하는 경우, 정기 및 수시 검정(verification) 및 교정 (calibration)이 필요한 상황에서 PAHs 측정 센서 제조업제 또는 검교정 기관에 보내어야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선상에서는 선체가 유체 위에서 흔들리기 때문에 PHAs 표준 시료의 상태가 불안정하여 액상 상태에서는 휘발로 인한 보관 문제가 있고, 액상의 경우 시료를 희석하여 샘플로 만드는 과정은 숙력된 기술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숙련된 기술자가 배와 함께 항해할 수도 없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선상에서도 쉽게 PAH 센서를 검교정할 수 있는 표준 시료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의 해결 수단을 제공한다.
외통; 및
상기 외통의 안쪽에 조금 낮은 높이로 내통이 준비되고,
상기 내통의 중심에 일정 크기의 원통형태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 고체 검교정 시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교정용 표준시료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체 검교정 시료는 원기둥 형태의 제품이 만들어질 수 있는 성형틀을 준비하는 형성틀 준비단계(S1); 및
삭제
PDMS 또는 PMMA를 준비하는 시료고정제 준비단계(S2); 및
검교정을 위한 표준샘플 시료를 고농도로 제조하는 시료제조단계(S3); 및
상기 시료고정제 준비단계에서 준비된 시료고정제과 상기 시료고정제를 경화시키는 경화제를 혼합하는 시료고정제 경화제 배합단계(S4); 및
경화제가 배합된 시료고정제와 상기 시료제조단계에서 제조된 시료를 혼합하는 시료혼합단계(S5); 및
삭제
상기 시료혼합단계에서 제작된 표준시료 혼합물을 상기 성형틀에 넣는 성형단계(S6); 및
혼합된 시료에서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탈포단계(S7); 및
상기 성형틀을 일정 온도로 가열하여 주는 성형틀가열단계(S8);를 포함하는 고체 검교정 시료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교정용 표준시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고체형태의 검교정시료를 제공함으로써, 선상을 포함하여 비전문가도 액체시료를 사용하여 광학측정 장비를 검정하거나, 교정 또는 실험 중 시료의 신호가 잘나오는지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료 고정용 화합물인 PDMS와 PMMA
도 2는 본 발명의 표준시료 제작방법
도 3은 기존의 액체시료를 이용한 본 발명의 고체시료 교정 방법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표준시료통 형상 및 표준시료통을 계측기에 결합한 모습
도 5는 본 발명의 표준시료통을 석영큐벳으로 구성하고 내부를 본 발명의 고체시료로 채운 모습
본 발명은 PAHs 측정장치의 교정을 위한 표준시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PAHs는 2개 이상의 벤젠고리가 선형으로 각을 지어 있거나, 밀집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유기화합물로 화학연료나 유기물의 불완전 연소 시 부산물로 발생하는 물질이다. 벤젠 고리가 2~3개인 PAHs는 고휘발성으로 대부분 가스 상으로 존재하며, 벤젠고리가 5개 이상인 PAHs 성분들은 미세입자에 흡착 된 상태로 존재하고, PAHs에 노출 된 생물은 발암 또는 다음 세대에 돌연변이를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별히 선박의 경우, 선박 엔진 배출 입자상 물질의 저감을 위해 스크러버 시스템을 적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상기 스크러버에서 사용되는 세정수를 리싸이클 하거나, 정수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세정수에 포함된 PAHs의 양을 측정하여 세정수 사용 규정에 적합 여부를 항시 평가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이때 빠르고 신뢰성 있는 측정방법으로 광을 시료에 조사한 후 PAHs에서 발생하는 형광을 측정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모든 측정장치는 일정 주기로 자가 교정을 하거나 교정 기관에서 교정을 하여 사용하여야 하는데, 선박 내부에 PAHs 측정 센서를 구비하는 경우, 정기 및 수시 검정(verification) 및 교정 (calibration)이 필요한 상황에서 PAHs 측정 센서 제조업제 또는 검교정 기관에 보내어야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선상에서는 선체가 유체위에서 흔들리기 때문에 PHAs 표준 시료의 상태가 불안정하여 액상 상태에서는 휘발로 인한 보관 문제가 있고, 액상의 경우 시료를 희석하여 샘플로 만드는 과정은 숙련된 기술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숙련된 기술자가 배와 함께 항해할 수도 없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선상에서도 쉽게 PAH 센서를 검교정할 수 있는 표준 시료가 필요하다.
본 특허는 PAHs 센서의 수시 교정 및 검증을 위한 고체 표준 시료를 제작하는 과정 및 이 고체 표준 시료 자체를 검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고체 표준 시료 제작은 PDMS 및 PMMA의 두 재료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삭제
<실시예 1>
PDMS (Polydimethylsiloxane)를 이용한 검교정용 고체 표준시료의 제작
1. 다양한 종류의 PDMS 종류가 있으나, 이중에서 Sylgard184 (Elastomer , Curing Agent) 또는 이와 동등한 물리적 화학적 물성을 가지는 PDMS를 준비하는 시료고정제 준비단계
- Elastomer와 Curing Agent를 10:1의 무게 비율로 준비하여 혼합한다.
2. 검교정에 사용할 표준시료의 샘플을 상기 시료고정제와의 혼합하여 농도가 낮아질 것을 계산하여 고농도로 샘플 시료를 제조하는 시료제조단계
- 이때 시료의 Solvent는 PDMS와의 다음 혼합을 고려하여 물이외의 용매를 사용한다.
3. 시료고정제와 시료제조단계에서 만들어진 시료를 원하는 농도로 혼합하여 준비한다.
4. 혼합과정에서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는 탈포 과정을 거친다.
5. 혼합물을 미리준비한 성형틀에 부어 실온에서 48시간 또는 Oven의 온도를 조절하여 경화 속도를 조절하며 경화시킨다. 상기 표준시료가 휘발성이 강한 경우에는 실온 또는 10℃ 이하에서 일주일 이상 천천히 경화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혼합물이 담겨있는 성형틀을 2 기압 이상의 챔버에 넣고, 40℃로 가열함으로써 상기 휘발성 표준시료의 샘플이 상기 혼합물로부터 휘발되어 나오지 않도록 하며, 상기 PDMS를 경화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삭제
PMMA (Poly Methyl Methacrylate)를 이용한 검교정용 고체 표준시료의 제작
0. 미리준비한 성형틀에 PMMA (Methyl Methacrylate)를 넣는다
1. 도1에 도시된 PMMA에 경화 개시제인 AIBN (2,2-azobisisobutyronitrile)을 약 1% 섞어 반응을 개시하여 시료고정제 준비단계
2. 검교정에 사용할 표준시료의 샘플을 상기 시료고정제와의 혼합하여 농도가 낮아질 것을 계산하여 고농도로 샘플 시료를 제조하는 시료제조단계
3. 시료고정제와 시료제조단계에서 만들어진 시료를 원하는 농도로 혼합하여 준비한다.
4. 약 70 ‘C의 온도에서 반응을 지속시켜 고체형태로 완성한다.
<실시예 3>
삭제
상기 실시예 1 또는 2에서 만든 검교정용 표준시료는 상기 시료제조단계에서 제조된 액체 시료를 희석하여 만든 3개 이상의 시료와 함께 도3과 같이 형광측정 장비에서 형광 빛을 발생하는 정도를 측정하고, 다른 액체 시료의 형광 발생정도와 농도를 이용한 검정 그래프에 함께 도시하여 상기 검교정용 표준시료의 형광크기에 따른 표준 농도를 결정하여 이를 상기 검교정용 표준시료에 표시하여 검교정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검교정용 표준시료의 측정 값은 1 ~ 2차원 바코드 형태로 상기 검교정용 표준시료의 측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검교정용 표준시료의 측정값은 1 ~ 2차원 바코드 형태로 상기 검교정용 표준시료의 측면에 표시할 수 있다.
농도를 알고 있는 액체 표준시료와 함께 본 발명의 검교정용 표준시료를 측정하여 상기 액체 표준시료로 만든 검정곡선을 이용하여 상기 본 발명의 검교정용 표준시료를 측정함으로써 제조과정에서 온도나 시간 등의 환경적인 변화로 인하여 일정하게 제작할 수 없는 검교정용 표준시료를 정확한 검교정용 측정값으로 제작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검교정용 표준시료를 이용하여 검교정을 하기위한 시료통을 도시하고 있고, 이 도시면 시료통을 이용하여 측정장치에 결합하여 측정하는 경우는 모식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시료통을 도시하고 있다. 또 다른 시료통은 기존의 장치와 호환되는 석영큐벳에 본 발명의 검교정용 표준시료를 넣어 굳힌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검교정용 표준시료의 상단의 측정면을 제외하고는 수지 소재의 케이스를 구비하여 상기 검교정용 표준시료의 깨짐 또는 표면의 이물질 부착 등으로 인한 측정값 변화를 막을 수 있는 케이스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검교정용 표준시료의 농도가 낮은 경우에도 측정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고체시료의 센서 앞단과 만나는 표면을 볼록하게 볼록렌즈 형태로 가공하여 측정광이 모이도록 하여 강한신호가 측정되도록 표면을 가공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작용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과제해결 수단을 하기에 제시한다.
외통; 및 상기 외통의 안쪽에 조금 낮은 높이로 내통이 준비되고,
상기 내통의 중심에 일정 크기의 원통형태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 고체 검교정 시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교정용 표준시료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체 검교정 시료는
원기둥 형태의 제품이 만들어질 수 있는 성형틀을 준비하는 형성틀 준비단계(S1); 및 PDMS 또는 PMMA를 준비하는 시료고정제 준비단계(S2); 및
검교정을 위한 표준샘플 시료를 고농도로 제조하는 시료제조단계(S3); 및
상기 시료고정제 준비단계에서 준비된 시료고정제과 상기 시료고정제를 경화시키는 경화제를 혼합하는 시료고정제 경화제 배합단계(S4); 및
경화제가 배합된 시료고정제와 상기 시료제조단계에서 제조된 시료를 혼합하는
시료혼합단계(S5); 및 상기 시료혼합단계에서 제작된 표준시료 혼합물을 상기 성형틀에 넣는 성형단계(S6); 및 혼합된 시료에서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탈포단계(S7); 및 상기 성형틀을 일정 온도로 가열하여 주는 성형틀가열단계(S8);를 포함하는 고체 검교정 시료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교정용 표준시료를 제공한다.
100 : 표준시료통
110 : 표준시료외통
115 : 석영큐벳
120 : 표준시료내통
130 : 고체시료

Claims (2)

  1. 외통; 및
    상기 외통의 안쪽에 조금 낮은 높이로 내통이 준비되고,
    상기 내통의 중심에 일정 크기의 원통형태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 고체 검교정 시료가 구비되며,
    상기 고체 검교정 시료는 원기둥 형태의 제품이 만들어질 수 있는 성형틀을 준비하는 형성틀 준비단계(S1); 및
    PDMS 또는 PMMA를 준비하는 시료고정제 준비단계(S2); 및
    검교정을 위한 액체 표준샘플 시료를 고농도로 제조하는 시료제조단계(S3); 및
    상기 시료고정제 준비단계에서 준비된 시료고정제과 상기 시료고정제를 경화시키는 경화제를 혼합하는 시료고정제 경화제 배합단계(S4); 및
    경화제가 배합된 시료고정제와 상기 시료제조단계에서 제조된 시료를 혼합하는 시료혼합단계(S5); 및
    상기 시료혼합단계에서 제작된 표준시료 혼합물을 상기 성형틀에 넣는 성형단계(S6); 및
    혼합된 시료에서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탈포단계(S7); 및
    상기 성형틀을 일정 온도로 가열하여 주는 성형틀가열단계(S8);를 포함하여 고체 검교정 시료 제조되며,
    제조된 상기 고체 검교정 시료는 상기 시료제조단계에서 제조된 액체 시료를 희석하여 만든 3개 이상의 다른 농도의 시료와 함께 형광측정 장비에서 형광 빛을 발생하는 정도를 측정하고, 상기 3개 이상의 다른 농도의 시료의 형광 발생정도와 시료의 농도를 이용한 검정 그래프에 함께 도시하여 상기 고체 검교정 시료의 형광크기에 따른 표준 농도를 결정하고,
    이를 상기 고체 검교정 시료에 표시하여 검교정에 이용하며, 상기 고체 검교정 시료의 측정값을 바코드 형태로 상기 고체 검교정 시료의 측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측정기 검교정용 표준시료의 제조방법.
  2. 삭제
KR1020200135862A 2020-10-20 2020-10-20 형광측정기 검교정용 표준시료의 제조방법 KR102452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862A KR102452309B1 (ko) 2020-10-20 2020-10-20 형광측정기 검교정용 표준시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862A KR102452309B1 (ko) 2020-10-20 2020-10-20 형광측정기 검교정용 표준시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021A KR20220052021A (ko) 2022-04-27
KR102452309B1 true KR102452309B1 (ko) 2022-10-07

Family

ID=81391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862A KR102452309B1 (ko) 2020-10-20 2020-10-20 형광측정기 검교정용 표준시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30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0834B2 (ja) * 1997-06-26 2001-01-31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電話機
KR100801448B1 (ko) 2007-05-16 2008-02-11 (주)실리콘화일 바이오칩
JP2020020779A (ja) 2018-07-23 2020-02-06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ペレット成形用モールド、ペレット作製方法および樹脂包埋試料の作製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0598B1 (ko) 1996-10-10 1999-07-15 윤종용 파티클 계수기 검정용 표준시료 공급장치 및 샘플 제조 방법
JP3130834U (ja) * 2007-01-29 2007-04-12 株式会社島津製作所 発光分光分析装置
KR100972454B1 (ko) 2008-01-25 2010-07-26 동양하이테크산업주식회사 미생물 형광특성을 이용한 수질 내 미생물 측정용 프로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0834B2 (ja) * 1997-06-26 2001-01-31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電話機
KR100801448B1 (ko) 2007-05-16 2008-02-11 (주)실리콘화일 바이오칩
JP2020020779A (ja) 2018-07-23 2020-02-06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ペレット成形用モールド、ペレット作製方法および樹脂包埋試料の作製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021A (ko) 2022-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343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r partial pressure of oxygen
US11719566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measurement of liquid volumes
Dudala et al. Fully integrated, automated, and smartphone enabled point-of-source portable platform with microfluidic device for nitrite detection
EP2635624B1 (en) Optical sensor and sensing system for oxygen monitoring in fluids using molybdenum cluster phosphorescence
EP2304419A1 (en) Electrode with integrated optical sensor
EP2141485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gelation and sample cell
KR102452309B1 (ko) 형광측정기 검교정용 표준시료의 제조방법
EP3120132A1 (en) Disposable liquid chemical sensor system
US5483080A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and controlling cell density in microbiological culture
US8859224B2 (en) Microinjection device and microinjection method
Zhou et al.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turbidity on water COD detection by UV absorption spectroscopy
Hetzler et al. Flexible sensor patch for continuous carbon dioxide monitoring
CN1201143C (zh) 生产气体介质的方法和设备
CN111346562B (zh) 用于制备溶液的方法和系统
US9182344B1 (en) Device for the detector of fouling on optical surfaces of a nephelometric turbidimeter submerged in a liquid
De et al. Two-dimensional micromodels for studying the convective dissolution of carbon dioxide in 2D water-saturated porous media
US5741441A (en) Non-liquid scatter standard
WO2018138304A1 (en) Printed flow cell for photometer
KR101639473B1 (ko) 형광신호 증폭 효과 기반의 하이드로젤 마이크로 어레이를 이용한 바이오 센서 개발
CN109564161B (zh) 用于浊度标准液的瓶和盖
Tabacco et al. Chemical sensors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Albazoni et al. Determination of radon gas and lead ion concentrations in building materials using biosensors
EP4328569A1 (en) Measuring high protein concentrations
US11624664B2 (en) pH photothermal spectrometer and performing pH photothermal spectroscopy
Lanfranco et al. Fabrication and Optical Modeling of Micro‐Porous Membranes Index‐Matched with Water for On‐Line Sensing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