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151B1 - 폐골프공을 이용한 자원순환방법 - Google Patents

폐골프공을 이용한 자원순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2151B1
KR102452151B1 KR1020210073687A KR20210073687A KR102452151B1 KR 102452151 B1 KR102452151 B1 KR 102452151B1 KR 1020210073687 A KR1020210073687 A KR 1020210073687A KR 20210073687 A KR20210073687 A KR 20210073687A KR 102452151 B1 KR102452151 B1 KR 102452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golf ball
water tank
chip
chi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3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즈
Priority to KR1020210073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1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10Extru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14Making preform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23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using density differ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86Cleaning means used for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68Crushing, i.e. disintegrating into small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골프공을 이용한 자원순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골프공을 중력을 이용하여 외피(서린수지)와 내피(탄성고무)를 분리한 상태에서 이를 재활용원료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자원의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폐골프공을 이용한 자원순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폐골프공을 이용한 자원순환방법에 의하면 폐골프공을 이용하여 재활용서린재료 및 혼합고무재료를 폐고무재료로 완성하여 다른 제품으로 생산가능하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고, 폐골프공을 진동과 파쇄로 인하여 쉽게 분쇄하고 중력을 이용하여 쉽게 분리할 수 있어서, 작업이 간단하여 재활용비용이 현저히 줄어들며, 재활용서린재료는 물성이 좋아서 골프공 뿐만 아니라 내장재등 다른 재료로 사용할 수 있고, 폐고무재료는 골프캐트, 쿠션매트 및 소음방지매트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재활용 할 수 있어서 자원순환에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폐골프공을 이용한 자원순환방법{RESOURCE CIRCULATION METHOD DAMAGED GOLF BALL}
본 발명은 폐골프공을 이용한 자원순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골프공을 중력을 이용하여 외피(서린수지)와 내피(탄성고무)를 분리한 상태에서 이를 재활용원료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자원의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폐골프공을 이용한 자원순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골프(golf)는 골프채(club)로 골프공을 쳐서 코스상에 있는 구멍(hole cup)에 넣는 운동이다. 구기종목의 하나로, 국제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여가와 스포츠로 즐기고 있다. 정식 경기는 18홀, 레크레이션의 경우 9홀로 구성된 코스에서 진행되며 타수가 적은 순서대로 선수들의 순위가 결정된다.
경기 종류에는 홀마다 개별적으로 대결하는 매치플레이방식과 전체 코스에서 소요된 타수를 세는 스트로크 플레이방식으로, 골프 코스는 따로 정해진 규격 없이 고유한 디자인과 지형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가지고 있으며 넓은 면적이 필요한 것이 특징이고, 각 홀은 경기를 시작하는 티박스(tee box)와 내경 108 mm(4¼ inch)의 홀컵(Hole cup)을 포함한 퍼팅 그린(putting green)이 있어야 한다.
상기 골프공은 골프 경기를 즐길 수 있도록 클럽으로 타격하여 이를 홀컵에 넣어서 경기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구형의 공이다.
상기 골프공의 구성은 내부에 코어가 형성되고, 표면에 커버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에는 다수개의 파진 딤플이 형성된다.
상기 골프공의 코어는 부타디엔 고무 화합물로 구성되고, 커버는 서린수지로 이루어진다.
상기 딤플은 커버의 표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홀인데, 상기 딤플은 골프공이 날아가면서 골프공의 후단에 형성되는 진공현상에 의해서 드레그(drag)가 발생하여 비거리를 줄이기 때문에 홀로 인해서 와류가 진공현상을 없애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거리를 늘일 수 있도록 형성된 홀이다.
상기 골프공의 반발성을 높이는 기술로는 코어의 반발성을 높이는 기술로서,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공가교제로서 아크릴산아연과, 공가교조제로서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또는 미리스틴산과, 공가교조제로서 산화아연과, 반응 속도 지연제를 배합한 내핵을 갖는 솔리드 골프공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코어를 감싸는 커버는 수지 성분으로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또는 아이오노머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용 조성물의 수지 성분 중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또는 아이오노머 수지의 함유율은 50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60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70 질량% 으로 형성된다.
상기 골프공의 생산방법은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998-0070237호, 등록특허공보 제1769815호 및 공개특허공보 제2019-0135219호 등에 개시된 바 있다.
국내 골프공 소비량은 년간 1억개 이상으로 추정되는데, 그 중 필드용이 약 오천만개 이상이고, 실외골프연습장, 실내골프연습장 및 스크린골프장에서 소비되는 골프연습공이 오천만개 이상이다.
이러한 골프공은 사용도중 잃어버리거나, 찾지 못하는 로스트볼로 수거하여 재사용하거나, 상기 커버를 이루는 서린수지가 찢어지거나 코어가 터져서 더이상 사용할 수 없는 폐골프공으로 수거하여 버리게 된다.
종래의 폐골프공을 재활용하기 위한 기술로서, 본인의 대한민국 선등록 특허 등록번호 제0678352호에는 "폐골프공의 외피분리장치 및 그 분리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폐골프공을 폐기, 재활용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폐골프공을 폐기할 때 매립이나 소각을 하여야 하나, 합성수지재를 주 원료로 하는 폐골프공을 그대로 매립하거나 소각하면 심각한 자연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2) 폐골프공을 재활용하기 위해서 외피를 분리하고, 이를 재가공하는데 별도의 자원이 또 소모되기 때문에 재활용비용이 새로운 골프공을 생산할 때 보다 더 많이 소요된다.
(3) 폐골프공의 외피와 내피의 분리가 어렵고, 완전하게 분리하기 어려워서 따로따로 재활용하거나, 재료로 활용하기 어렵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수거된 폐골프공을 파쇄기에서 진동을 주면서 파쇄하여 폐골프공칩을 형성하는 파쇄단계와;
상기 폐골프공칩을 1.5배의 부피비의 세척수가 있는 물탱크에 넣어서 물탱크를 회전시키는 분리준비단계와;
상기 분리준비단계 후에 물탱크의 회전을 멈추고 안정화시키는 안정화단계와;
상기 안정화단계에서 물위에 뜬 외피(서린수지)칩을 수거하는 외피분리수거단계와;
상기 외피칩을 대형 탈수기로 공급하여 탈수 및 건조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외피칩을 가온가압하면서 압출하여 원자재로 환원하는 서린원료환원단계와;
상기 환원된 원자재에 색소를 첨가하여 재활용서린재료로 환원시키는 완성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수거된 폐골프공을 파쇄기에서 진동을 주면서 파쇄하여 폐골프공칩을 형성하는 파쇄단계와;
상기 폐골프공칩을 1.5배의 부피비의 세척수가 있는 물탱크에 넣어서 물탱크를 회전시키는 분리준비단계와;
상기 분리준비단계 후에 물탱크의 회전을 멈추고 안정화시키는 안정화단계와;
상기 안정화단계에서 물위에 뜬 외피(서린수지)칩을 제거하고, 가라앉은 내피(탄성고무)칩을 분리하는 내피분리수거단계와;
상기 내피칩을 대형 탈수기로 공급하여 탈수 및 건조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내피칩을 분쇄기를 통해서 5mm 형태로 분쇄하여 재생탄성고무칩으로 형성하는 분쇄단계와;
상기 재생탄성고무칩과 일반재생고무칩을 5:5 무게비율로 혼합하여 폐고무재료로 완성하는 폐고무재료완성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폐골프공을 이용한 자원순환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1) 폐골프공을 이용하여 재활용서린재료 및 혼합고무재료를 폐고무재료로 완성하여 다른 제품으로 생산가능하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2) 폐골프공을 진동과 파쇄로 인하여 쉽게 분쇄하고 중력을 이용하여 쉽게 분리할 수 있어서, 작업이 간단하여 재활용비용이 현저히 줄어든다.
(3) 재활용서린재료는 물성이 좋아서 골프공 뿐만 아니라 내장재등 다른 재료로 사용할 수 있고, 폐고무재료는 골프캐트, 쿠션매트 및 소음방지매트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재활용 할 수 있어서 자원순환에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되는 폐골프공을 이용한 자원순환방법에 사용되는 파쇄기의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되는 폐골프공을 이용한 자원순환방법에 사용되는 내피, 외피 분리수거단계를 수행하는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되는 폐골프공을 이용한 자원순환방법에 의해서 생산되는 재활용서린재료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되는 폐골프공을 이용한 자원순환방법에 의해서 생산되는 폐고무재료를 이용하여 생산한 소음방지패드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되는 폐골프공을 이용한 자원순환방법의 폐고무재료를 생산하는 기계 및 과정을 보이는 사진.
본원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원 명세서에 도시된 도면은 본원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그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을 다소 과장되거나 단순화시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과는 관계없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고, 본원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서 설명하였다.
본원발명에서 정의된 용어 및 부호들은 사용자, 운용자 및 작성자에 의해서 임의로 정의되거나, 선택적으로 사용된 용어이기 때문에, 이러한 용어들은 본원 명세서의 전체적인 내용을 토대로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용어자체의 의미로 한정하여서는 안된다.
본 발명은 수거된 폐골프공을 파쇄기에서 진동을 주면서 파쇄하여 폐골프공칩을 형성하는 파쇄단계와;
상기 폐골프공칩을 1.5배의 부피비의 세척수가 있는 물탱크에 넣어서 물탱크를 회전시키는 분리준비단계와;
상기 분리준비단계 후에 물탱크의 회전을 멈추고 안정화시키는 안정화단계와;
상기 안정화단계에서 물위에 뜬 외피(서린수지)칩을 수거하는 외피분리수거단계와;
상기 외피칩을 대형 탈수기로 공급하여 탈수 및 건조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외피칩을 가온가압하면서 압출하여 원자재로 환원하는 서린원료환원단계와;
상기 환원된 원자재에 색소를 첨가하여 재활용서린재료로 환원시키는 완성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파쇄단계는 진동과 파쇄가 동시에 일어나야 하는데, 외피와 내피는 강한 압력으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강한 진동으로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열을 가하게 되면 더욱 더 잘 분리되는데, 70 ~ 80도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진동과 파쇄를 동시에 진행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분리준비단계는 폐골프공칩과 세척수의 부피비를 1:1.5로 혼합하여 물탱크에 담고 물탱크를 회전키는 단계이다.
상기 외피분리수거단계는 하기 내피분리수거단계와 함께 수행하는 것으로, 중력에 의해서 외피(서린수지)칩은 상부에 띄게 되고, 내피(탄성고무)칩은 하단으로 가라앉게 된다.
이후, 상부에 있는 외피칩만을 분리하여 건조하는 건조단계가 이루어지고, 서린원료환원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외피칩에 색소를 첨가하여 흰색으로 색깔을 만들어내고, 이를 골프공생산공장으로, 일반적인 서린수지에 약 25% 가격으로 제공한다.
상기 재활용서린수지를 이용하여서는 재활용골프공을 생산할 수 있지만, 보다 물성이 워낙 좋기 때문에 다른 인테리어 내장재에다 섞어서 제조하면 튼튼한 내장재를 만들 수 있고, 다른 제품도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파쇄단계, 분리준비단계, 안정화단계까지는 재활용서린수지를 만드는 방법과 동일하고, 상기 안정화단계에서 물위에 뜬 외피(서린수지)칩을 제거하고, 가라앉은 내피(탄성고무)칩을 분리하는 내피분리수거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건조단계는 내피칩을 대형탈수기로 탈수 및 건조하는 단계이고, 이후, 분쇄기를 통해서 5mm 형태로 분쇄하여 재생탄성고무칩으로 형성하는 분쇄단계가 수행된다.
이렇게 생산된 재생탄성고무칩과 일반재생고무칩을 5:5 무게비율로 혼합하여 폐고무재로를 완성하는 폐고무재료완성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폐골프공을 이용한 자원순환방법에 의하면 폐골프공을 이용하여 재활용서린재료 및 혼합고무재료를 폐고무재료로 완성하여 다른 재품으로 생산가능하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고, 폐골프공을 진동과 파쇄로 인하여 쉽게 분쇄하고 중력을 이용하여 쉽게 분리할 수 있어서, 작업이 간단하여 재활용비용이 현저히 줄어들며, 재활용서린재료는 물성이 좋아서 골프공 뿐만 아니라 내장재등 다른 재료로 사용할 수 있고, 폐고무재료는 골프캐트, 쿠션매트 및 소음방지매트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재활용 할 수 있어서 자원순환에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Claims (4)

  1. 수거된 폐골프공을 파쇄기에서 진동을 주면서 파쇄하여 폐골프공칩을 형성하는 파쇄단계와;
    상기 폐골프공칩을 1.5배의 부피비의 세척수가 있는 물탱크에 넣어서 물탱크를 회전시키는 분리준비단계와;
    상기 분리준비단계 후에 물탱크의 회전을 멈추고 안정화시키는 안정화단계와;
    상기 안정화단계에서 물위에 뜬 외피(서린수지)칩을 수거하는 외피분리수거단계와;
    상기 외피칩을 대형 탈수기로 공급하여 탈수 및 건조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외피칩을 가온가압하면서 압출하여 원자재로 환원하는 서린원료환원단계와;
    상기 환원된 원자재에 색소를 첨가하여 재활용서린재료로 환원시키는 완성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골프공을 이용한 자원순환방법
  2. 수거된 폐골프공을 파쇄기에서 진동을 주면서 파쇄하여 폐골프공칩을 형성하는 파쇄단계와;
    상기 폐골프공칩을 1.5배의 부피비의 세척수가 있는 물탱크에 넣어서 물탱크를 회전시키는 분리준비단계와;
    상기 분리준비단계 후에 물탱크의 회전을 멈추고 안정화시키는 안정화단계와;
    상기 안정화단계에서 물위에 뜬 외피(서린수지)칩을 제거하고, 가라앉은 내피(탄성고무)칩을 분리하는 내피분리수거단계와;
    상기 내피칩을 대형 탈수기로 공급하여 탈수 및 건조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내피칩을 분쇄기를 통해서 5mm 형태로 분쇄하여 재생탄성고무칩으로 형성하는 분쇄단계와;
    상기 재생탄성고무칩과 일반재생고무칩을 5:5 무게비율로 혼합하여 폐고무재료로 완성하는 폐고무재료완성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골프공을 이용한 자원순환방법
  3. 제 1항의 방법으로 생산되는 재활용서린재료.
  4. 제 2항의 방법으로 생산되는 폐고무재료.
KR1020210073687A 2021-06-07 2021-06-07 폐골프공을 이용한 자원순환방법 KR102452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687A KR102452151B1 (ko) 2021-06-07 2021-06-07 폐골프공을 이용한 자원순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687A KR102452151B1 (ko) 2021-06-07 2021-06-07 폐골프공을 이용한 자원순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2151B1 true KR102452151B1 (ko) 2022-10-12

Family

ID=83598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687A KR102452151B1 (ko) 2021-06-07 2021-06-07 폐골프공을 이용한 자원순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151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5856A (ja) * 1993-04-05 1994-10-11 Shigetaka Ariga 廃棄ゴルフボール再生利用成形品の製造方法
JPH1087846A (ja) * 1996-09-18 1998-04-07 Fukae Kogyo Kk ゴム組成物、ゴルフボール廃材利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05466B1 (ko) * 1997-07-07 1999-07-01 이통일 재생골프공의 제조방법
JP2001025515A (ja) * 1999-07-13 2001-01-30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ボ−ル粉砕による材料選別採集方法および同選別材料を用いて製造したゴルフボール
KR20050119048A (ko) * 2004-06-15 2005-12-20 최원실 폐골프공의 재생을 위한 피복분리방법
KR100678352B1 (ko) * 2005-10-28 2007-02-05 황세안 폐골프공의 외피분리장치 및 그 분리방법
KR20110005190A (ko) * 2009-07-09 2011-01-17 서연남 폐골프공을 이용한 자동차용범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18213A (ko) * 2010-04-23 2011-10-31 김옥화 고온 열처리 과정이 없는 재생골프공 제조방법
KR20120100102A (ko) * 2011-03-03 2012-09-12 주식회사 한국골프재활용 폐 골프공 재활용 방법
KR20140144751A (ko) * 2012-05-31 2014-12-19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골프공을 재생시키는 방법
KR20190135219A (ko) * 2018-05-28 2019-12-06 스포틱미디어웨어(주) 폐골프공의 재생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5856A (ja) * 1993-04-05 1994-10-11 Shigetaka Ariga 廃棄ゴルフボール再生利用成形品の製造方法
JPH1087846A (ja) * 1996-09-18 1998-04-07 Fukae Kogyo Kk ゴム組成物、ゴルフボール廃材利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05466B1 (ko) * 1997-07-07 1999-07-01 이통일 재생골프공의 제조방법
JP2001025515A (ja) * 1999-07-13 2001-01-30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ボ−ル粉砕による材料選別採集方法および同選別材料を用いて製造したゴルフボール
KR20050119048A (ko) * 2004-06-15 2005-12-20 최원실 폐골프공의 재생을 위한 피복분리방법
KR100678352B1 (ko) * 2005-10-28 2007-02-05 황세안 폐골프공의 외피분리장치 및 그 분리방법
KR20110005190A (ko) * 2009-07-09 2011-01-17 서연남 폐골프공을 이용한 자동차용범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18213A (ko) * 2010-04-23 2011-10-31 김옥화 고온 열처리 과정이 없는 재생골프공 제조방법
KR20120100102A (ko) * 2011-03-03 2012-09-12 주식회사 한국골프재활용 폐 골프공 재활용 방법
KR20140144751A (ko) * 2012-05-31 2014-12-19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골프공을 재생시키는 방법
KR20190135219A (ko) * 2018-05-28 2019-12-06 스포틱미디어웨어(주) 폐골프공의 재생 및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2019B1 (en) Golf balls having improved adhesion between layers
US7520830B2 (en) Game ball
US10213654B2 (en) Golf balls having multi-layered foam cores with structural inserts
US20120286449A1 (en) Castable polyurethane covers based on isocyanate blends for golf balls
US20110207564A1 (en) Ball having modified surfaces for training
KR102452151B1 (ko) 폐골프공을 이용한 자원순환방법
US7267622B2 (en) Golf ba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4043236B (zh) 改进型乒乓球拍的底板及其乒乓球拍
CN201216842Y (zh) 一种胶粘运动球
US4606544A (en) Game ball
US5711729A (en) Ball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CA3035903A1 (en) Sports training ball with enhanced gripping surface
KR102487479B1 (ko) 폐골프공 재활용 방법
CN106110598A (zh) 一种发泡橡胶质的一体式足球
KR20110005190A (ko) 폐골프공을 이용한 자동차용범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205466B1 (ko) 재생골프공의 제조방법
CN102343144A (zh) 用于定制和重复利用高尔夫球的工具包和方法
KR20210147180A (ko) 골프공 코아 및 골프공 생산방법
JP2003102872A (ja) スポーツゲーム玩具用ボール
JP2546926Y2 (ja) ゴルフボール
CN202191676U (zh) 一种推击球的游戏装置
CN204395357U (zh) 一种表面采用多种色彩的乒乓球
CN106474689A (zh) 一种健身球的制作方法
CN201658794U (zh) 一种情趣娱乐球
US9039544B2 (en) Golf ball and golf ball manufactu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