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051B1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2051B1
KR102452051B1 KR1020220087034A KR20220087034A KR102452051B1 KR 102452051 B1 KR102452051 B1 KR 102452051B1 KR 1020220087034 A KR1020220087034 A KR 1020220087034A KR 20220087034 A KR20220087034 A KR 20220087034A KR 102452051 B1 KR102452051 B1 KR 102452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sound
generating unit
sound generat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4131A (ko
Inventor
김광호
박관호
최영락
이성태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7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051B1/ko
Publication of KR20220104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4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40/00Bending wave transducers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40/05Aspects relating to the positioning and way or means of mounting of exciters to resonant bending wave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표시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며, 홈을 포함하는 지지부재, 표시패널과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음향발생부, 및 표시패널과 음향발생부 사이에 배치되는 진동전달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저음역대 내지 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APPARATUS}
본 명세서는 음향발생부가 포함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지닌 여러 가지 다양한 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표시장치의 예로는 액정표시장치, 전계방출 표시장치, 유기발광 표시장치,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양자점 발광 표시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액정표시장치는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및/또는 블랙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기판과, 어레이 기판과 상부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화소 영역에 있는 두 개의 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계에 따라 액정층의 배열 상태가 조절되고 배열 상태에 따라 광의 투과도가 조절되어 화상이 표시되는 장치이다.
그리고,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자발광소자로서 다른 표시 장치에 비해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 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이 있으므로 널리 주목받고 있다.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영상과 관련된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장치를 포함한다.
그러나, 표시장치는 음향장치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표시패널의 후방 또는 하방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벽 또는 지면에서 반사되는 음향간의 간섭으로 인하여 음질이 떨어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음향장치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전달이 어려우므로, 시청자의 몰입감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스피커를 표시장치에 적용할 경우 표시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인식하고, 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도록 소형화가 가능하며, 음향이 향상될 수 있는 음향발생부를 개발하기 위한 여러 실험을 하였다. 여러 실험을 거쳐 소리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형화가 가능할 수 있는 음향발생부를 포함하는 새로운 구조의 표시장치를 발명하였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는 소리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형화가 가능할 수 있는 음향발생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표시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며, 홈을 포함하는 지지부재, 표시패널과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음향발생부, 및 표시패널과 음향발생부 사이에 배치되는 진동전달부재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표시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음향발생부, 표시패널과 음향발생부 사이에 배치되는 진동전달부재, 음향발생부의 배면에 배치되며, 홈을 포함하는 지지부재, 및 홈에 의해 구현되는 진동조정부재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진동발생부재 및 진동조정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저음역대 내지 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진동조정부재가 얼라인먼트 기능을 할 수 있으므로, 표시패널과 지지부재와의 합착 공정의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진동조정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음의 왜곡을 방지하여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진동조정부재를 구성함으로써, 홈 및 격자구조에 의해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저음역대의 재생 대역과 음질을 제어하거나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진동발생부재 및 진동조정부재를 구성함으로써, 고음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음의 재생대역을 넓힐 수 있으며,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진동발생부재 및 진동조정부재를 구성하는 재질을 서로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저음역대 내지 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진동발생부재 및 진동조정부재를 구성하는 재질을 서로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음의 왜곡을 방지하여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에 기재한 발명의 내용이 청구항의 필수적인 특징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청구항의 권리 범위는 발명의 내용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I-I'에 따른 단면도이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부의 음향발생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명세서가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표시장치"는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액정 모듈(Liquid Crystal Module; LCM), 유기발광 표시모듈(OLED Module)과 같은 협의의 표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LCM, OLED 모듈 등을 포함하는 완제품(complete product 또는 final product)인 노트북 컴퓨터,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자동차용 장치(automotive apparatus) 또는 차량(vehicle)의 다른 형태 등을 포함하는 전장장치(equipment apparatus), 스마트폰 또는 전자패드 등의 모바일 전자장치(mobile electronic apparatus) 등과 같은 세트 전자 장치(set electronic apparatus) 또는 세트 장치(set device 또는 set apparatus)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의 표시장치는 LCM, OLED 모듈 등과 같은 협의의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 및 LCM, OLED 모듈 등을 포함하는 응용제품 또는 최종소비자용 장치인 세트 장치까지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표시패널과 구동회로부 등으로 구성되는 LCM, OLED 모듈을 협의의 "표시장치"로 표현하고, LCM, OLED 모듈을 포함하는 완제품으로서의 전자장치를 "세트장치"로 구별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협의의 표시장치는 액정(LCD) 또는 유기발광(OLED)의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인 소스 PCB(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하며, 세트장치는 소스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세트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세트 제어부인 세트 PCB를 더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표시패널은 액정표시패널, 유기전계발광(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표시패널, 및 전계발광 표시패널(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등의 모든 형태의 표시패널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음향발생부에 의하여 진동됨으로써 음향을 발생할 수 있는 특정한 표시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표시패널은 표시패널의 형태나 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표시패널이 액정표시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Pixel)을 포함한다. 그리고, 각 픽셀에서의 광투과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및/또는 블랙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기판과, 어레이 기판 및 상부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이 유기전계발광(OLED) 표시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Pixel)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픽셀에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어레이 기판 상의 유기 발광 소자(OLED)층, 및 유기 발광 소자층을 덮도록 어레이 기판 상에 배치되는 봉지 기판 또는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기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봉지 기판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박막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소자층 등을 보호하고, 유기 발광 소자층으로 수분이나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어레이 기판 상에 형성되는 층은 무기발광층(in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예를 들면 나노사이즈의 물질층(nano-sized material lay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은 표시패널에 부착되는 금속판(metal plate)과 같은 후면(backin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금속판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조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음향발생부를 포함하는 표시패널은 자동차(automobile)에서의 중앙통제패널(central control panel)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user interface module)로 차량(vehicle)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표시패널은 표시패널의 진동이 차량의 내부를 향하여 전파되도록 두 개의 앞좌석들의 탑승자들(occupants) 사이에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내에서의 오디오 경험은 차량 내부의 측면(interior sides)에서만 스피커를 갖는 것에 비하여 개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통해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음향발생부(200)가 압전형 음향발생부로 구성되는 경우, 마그네틱 타입의 스피커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표시장치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마그네틱 타입의 스피커는, 예를 들면, 플레이트 상에 있는 마그네트와 센터폴, 센터폴 주위에 있는 보빈, 및 보빈 외곽에 권취되어 있는 코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압전형 음향발생부가 표시패널에 부착되므로 음향발생부의 전체 면적이 고정되며, 이에 의해 음향발생의 원리인 휨을 방해하여 진동을 억제하므로, 저음역대의 재생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인식하였다. 이에 의해 주파수 대역이 고음역대의 영역으로 상향하게 되는 문제점이 생긴다는 문제점을 인식하였다.
이에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저음역대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도록 여러 실험을 하였으며, 저음역대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며, 고음의 열화를 줄일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음향발생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발명하였다. 이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장치(1000)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100)과, 표시패널(100)의 배면(rear surface)에 배치되는 지지부재(supporting member; 3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100)의 배면에는 음향발생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표시패널(100)은 발광 표시패널 또는 플렉서블 발광 표시패널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일 예에 따른 표시패널은 복수의 화소로 이루어진 화소 어레이를 갖는 화소 어레이 기판, 화소 어레이를 봉지하는 봉지층(encapsulation layer), 및 봉지층의 상면에 부착된 편광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 각각은 화소 구동 라인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는 화소영역에 각각 마련된다. 복수의 화소 각각은 적어도 2개의 박막트랜지스터와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갖는 화소회로, 및 화소회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발광소자는 유기 발광층 또는 양자점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발광소자는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은 외부충격으로부터 박막트랜지스터 및 발광소자 등을 보호하고, 수분이나 산소가 발광소자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편광필름은 필름 부착 부재를 매개로 하여 봉지층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편광 필름은 화소 어레이 기판에 마련된 박막트랜지스터 및/또는 화소 구동 라인들 등에 의해 반사된 외부 광을 원편광 상태로 변경하여 표시패널(100)의 시인성과 명암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100)은 봉지층과 편광필름 사이에 개재된 배리어층 및 터치 전극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100)은 봉지층의 상면에 마련된 컬러필터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봉지층은 화소 어레이를 둘러싸는 충진재를 매개로 하여 화소 어레이 기판에 부착되는 봉지 기판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충진재는 투명 충진재로 형성할 경우 봉지 기판은 투명 봉지 기판일 수 있다.
구동회로부는 표시패널(100)의 화소 어레이 기판에 마련된 패드부에 연결되고, 화소 구동 라인들에 구동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각 화소에 영상을 표시한다.
그리고, 표시패널(100)은 액정표시패널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표시패널(100)은 제1 기판, 제2 기판, 및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기판에는 액정층의 액정들의 배열을 제어하기 위한 화소 전극 또는 공통 전극을 포함할 수 있고, 화소 전극과 연결된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기판에는 컬러를 구현하기 위한 컬러필터층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00)은 각 화소별로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과 공통 전압에 의해 형성되는 전계에 따라 액정층을 구동함으로써, 액정층의 광 투과율을 조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액정층은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및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등 다양한 구동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기판은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으로서,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에 의해 정의될 수 있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화소는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접속된 박막트랜지스터 및 박막트랜지스터에 접속된 화소전극, 및 화소전극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공통 전압이 공급되는 공통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공통 전극은 액정층의 구동방식에 따라 제2 기판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기판의 일측에는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부와, 구동회로부와 연결되는 패드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판은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으로서, 컬러필터층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00)이 COT(Color filter On TFT), 또는 TOC(TFT On Color filter)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컬러필터층은 제1 기판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백라이트 유닛은 표시패널(100)의 아래에 배치되어, 표시패널(100)에 빛을 조사한다. 표시패널(100)의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표시장치(1000)는 표시패널(100)과 표시패널(10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부를 포함하는 표시모듈(Display Module)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회로부는 집적회로칩(Integrated Circuit Chip; IC chip) 및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을 포함할 수 있다. FPCB는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구동 IC(Integrated Circuit) 등과 같은 구동회로부가 내장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회로부는 COF(Chip On Flim) 또는 COG(Chip On Glass) 등의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표시패널(100)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은 연성회로기판에 연결되어 연성회로기판으로부터 전기적인 신호가 인가되면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전극 및 드레인전극에 이 전기적인 신호가 전달된다. 연성회로기판은 표시패널(100)의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표시패널(100)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각각 구동신호를 인가한다.
연성회로기판은 표시패널(100)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신호 및 데이터신호, 이들 신호들을 적절한 시기에 인가하기 위한 복수의 타이밍 신호들을 발생시키고, 게이트신호와 데이터신호를 표시패널(100)의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에 인가한다. 그리고, 연성회로기판에는 앰프(amplifier)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모듈 상에는 커버윈도우(cover window)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윈도우는 표시모듈의 전체면 또는 편광필름의 전체면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300)는 표시패널(100)의 배면 또는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는 판상부재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지지부재(300)는 커버버텀(Cover Bottom), 플레이트 버텀(Plate Bottom), 백커버(Back Cover), 베이스 프레임(Base Frame), 메탈 프레임(Metal Frame), 메탈 샤시(Metal Chassis), 샤시 베이스(Chassis Base), m-샤시 등 다른 표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장치(1000)의 배면에 배치되는 모든 형태의 프레임 또는 판상 구조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supporting member; 300)는 표시패널(100)의 후면(rear surface) 또는 측면(side surface)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지지부재(300)는 예를 들면, 커버버텀(cover bottom)일 수 있다. 또는, 표시패널(100)의 측면을 둘러싸면서 커버버텀과 결합되고 표시패널(100)의 일측 가장자리를 수용하여 표시패널(100)을 지지하는 미들캐비넷(middle cabine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들 캐비닛은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지지부재(301)는 커버버텀, 또는 커버버텀 및 미들캐비넷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표시패널(100)의 후면 또는 측면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300)는 표시장치의 측면 및 후면 전체를 감싸므로, 표시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지지부재(300)는 무게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강한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재(300)는 표시장치의 무게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표시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발생부(200)는 압전형(piezoelectric) 음향발생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음향발생부는 엑츄에이터(actuator), 엑사이터(exciter), 또는 트랜스듀서(transducer) 등의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도 1의 I-I'에 따른 단면도이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패널(100)의 배면에는 지지부재(300) 및 음향발생부(20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음향발생부(200)는 표시패널(100)과 지지부재(30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100)과 음향발생부(200) 사이에는 진동전달부재(vibration transfer member, 500)가 배치되어 있다.
진동전달부재(500)는 음향발생부(200)와 표시패널(100) 사이에 공극이 생기지 않도록 표시패널(100)과 음향발생부(20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음향발생부(200)와 표시패널(100) 사이의 공극이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진동전달부재(500)의 크기는 음향발생부(200)의 크기보다 같거나 작게 구성할 수 있다. 진동전달부재(500)의 크기는 음향발생부(200)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진동전달부재(500)는 음향발생부(200)가 표시패널(100) 전체에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음향발생부(200)와 표시패널(100)과의 접촉면적이 표시패널(100)의 전체 면적이 되지 않으므로, 음향발생부(200)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고음역대로 상향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음향발생부(200)와 표시패널(100) 사이의 고정면적을 줄임으로써, 음향발생부(200)에서의 고음이 표시패널(100)로 전달되는 전달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진동전달부재(500)는 음향발생부(200)의 고음역대의 음향이 표시패널(10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진동전달부재(500)는 경질의 재질로 구성하여, 음향발생부(200)의 고음역대의 진동이 표시패널(100)로 효율적으로 원활히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고음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음의 재생대역을 넓힐 수 있으며, 고음역대의 음향을 포함한 음질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음향발생부(200)의 저음역대의 음향을 출력시키기 위해서, 음향발생부(200) 아래에 진동조정부재(vibration adjustment member, 600)가 배치될 수 있다. 진동조정부재(600)는 지지부재(300)에 서스펜션(suspension) 형상을 구현한다. 서스펜션은 스프링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음향발생부(200)의 상하운동을 원활하게 하므로 공진주파수를 낮출 수 있으며, 음향발생부(200)의 좌우 뒤틀림을 방지하여 음의 왜곡을 줄일 수 있다. 서스펜션(suspension)은 댐퍼(damper), 스파이더(spider), 에지(edge)일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스펜션(suspension) 형상을 구현하기 위해서, 지지부재(300)에 홈(Groove; G)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지지부재(30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홈(G)은 금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홈(G)은 타발금형(blanking mold or stamping mold)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타발금형에 의해 홈(G)을 형성할 경우, 지지부재(300)의 원하는 영역에 홈(G)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홈(G)의 주변에 격자구조(mesh structure, M)를 형성할 수 있다. 격자구조(M)는 격자망이라고 할 수 있다. 격자구조(M)는 홈(G)으로 인한 외부로부터의 이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격자구조(M)는 공기의 유동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공기의 양을 제어하여 음향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격자구조(M)를 듬성듬성하게 구성할수록 더 낮은 저음이 재생될 수 있으나, 음색이 탁해지고 탄력감이 줄어들며, 외부로부터의 이물 유입이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그리고, 격자구조(M)를 촘촘하게 구성할수록 더 높은 저음이 재생될 수 있으나, 음색이 맑아지고 탄력감이 좋아지며, 외부로부터의 이물 유입의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격자구조(M)의 형상에 따라 에어 댐핑(air damping)으로서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음역대의 저음을 재생할 수 있으며, 저음역대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홈(G) 및 격자구조(M)에 의해 음향발생부(200)의 하면에 진동조정부재(600)가 배치될 수 있다. 진동조정부재(600)는 홈(G) 및 격자구조(M)에 의해 저음을 보강하거나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음향발생부(200)의 저음역대의 재생 대역과 음질을 제어하거나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진동조정부재(600)는 표시패널(1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진동조정부재(600)는 음향발생부(2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진동조정부재(600)는 음향발생부(200)의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조정부재(600)는 지지부재(300)에 배치되어 음향발생부(200)의 위치를 미리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표시패널(100)과 지지부재(300)의 합착 공정 시에 진동조정부재(600)가 얼라인먼트(alignment)의 기능을 할 수 있으므로, 합착 공정 또는 조립성이 개선되어 제조공정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진동조정부재(600)는 저주파수 진동 시에 좌우 뒤틀림을 방지하여 음의 왜곡(distortion)을 줄일 수 있으며,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저음역대의 재생영역과 음질을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진동조정부재(600)는 음향발생부(200)의 좌우진동을 줄일 수 있으므로, 좌우진동으로 인하여 표시패널(100)로 전달되는 진동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진동조정부재(600)는 상하진동에 의해 표시패널(100)로 전달되는 진동을 보강하거나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조정부재(600)는 주파수 대역을 낮추어 저음역대의 음향을 보강하거나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진동조정부재(600)는 음의 왜곡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진동조정부재(600)의 홈(G)은 연질의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연질의 재질은, 예를 들면, 섬유재질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진동조정부재(600)의 홈(G)이 연질의 재질로 구성될 경우 공진주파수를 낮출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 아래 수학식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음향발생부의 댐퍼인 홈의 강도를 s, 무게를 m이라 할 때, 음향발생부의 진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음파의 공진주파수 fo는 아래 수학식 1에 의하여 결정된다.
Figure 112022073599056-pat00001
댐퍼인 진동조정부재(600)의 홈을 연질의 재질로 구성할 경우, 수학식 1에서 음향발생부의 강도가 감소되어 공진주파수를 감소시키므로, 저음역대의 음향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진동전달부재(500)는 접착부재를 매개로 음향발생부(200)와 접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부재는 양면테이프(Double-sided Tape), 단면테이프(Single-sided Tape), 접착제, 본드(bond)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접착부재는 진동전달부재(500)가 표시패널(100)과 접촉되는 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할 경우, 접착되지 않아야 하는 부분에 부착될 수 있는 문제점이나 접착부재의 재료비의 상승을 해결할 수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표시패널(100)의 전체 면적에 접착부재를 부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진동전달부재(500)는 진동조정부재(600)와 다른 재질로 구성할 수있다. 예를 들면, 진동전달부재(500)는 진동조정부재(600)와 다른 경질의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경질의 재질은 예를 들면, 금속, 플라스틱, 및 카본파이버(carbon fiber)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금속은 구리(Cu)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진동조정부재(600)의 홈(G)은 섬유재질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음향발생부(200)의 상면 및 하면에 서로 다른 재질의 진동전달부재 및 진동조정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저음역대에서 고음역대까지 재생 대역을 넓힐 수 있으며, 음의 왜곡을 방지하여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진동조정부재가 얼라인먼트 기능을 할 수 있으므로, 표시패널과 지지부재 합착 공정의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진동전달부재(500)에 의해 저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음향발생부(200)에서 저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므로, 음향발생부(200)는 고음역대의 음향 내지 저음역대의 음향을 모두 출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진동전달부재를 구성하지 않은 경우 1400Hz에서 저음이 재생되지만, 진동전달부재(500)를 구성할 경우 500Hz에서 저음이 재생됨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고음역대는 예를 들면, 3kHz 이상일 수 있으며, 저음역대는 200Hz 이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음향발생부(200)의 상면에 배치된 진동전달부재(500), 및 음향발생부(200)의 하면의 양측 또는 좌우에 배치된 진동조정부재(600)에 의해 음향발생부(200)을 기준으로 3점 또는 3영역의 지지구조로 구성되므로, 재생될 수 있는 주파수 대역대를 확장할 수 있으며, 좌우 뒤틀림을 방지하여 음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진동전달부재(500) 및 진동조정부재(600)는 음향발생부(200)의 좌우진동을 줄일 수 있으므로, 좌우진동으로 인한 표시패널(100)로 전달되는 진동의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재생될 수 있는 주파수 대역대를 확장할 수 있으며, 좌우 뒤틀림을 방지하여 음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발생부(200)의 음향발생방법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부의 음향발생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압전소자는 외력을 가하면 전기 분극이 일어나서 전위차가 생기고, 반대로 전압을 가하면 변형이나 변형력이 생기는 성질, 즉, 압전 효과를 가진 소자를 말한다. 예를 들면, 음향발생부를 구성하는 압전소자는 수정(crystal), 전기석(tourmaline), 로셀염(Rochelle salt, C4H4KNaO6·4H2O), 티탄산바륨(BaTiO3), ZnO(Zinc Oxide), CdS(cadmium Sulfide), AlN(Aluminium Nitride), 인산이수소암모늄(NH4H2PO4), 페로브 스카이트(Perovskite) 구조를 갖는 세라믹 소재 중에서 압전 특성을 갖는 물질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페로트 스카이트는 티탄산칼슘(CaTiO3), 티탄산바륨(BaTiO3) 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압전소자는 압전효과가 있는 재료를 소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압전소자는 실리콘, 아크릴, 우레탄과 같은 절연 탄성 소재, 또는 PVDF(Poly Vinylidene Fluoride), 또는 PZT(티탄산 지르콘산 납; 지르콘산염 PbZrO3와 티탄산염 PbTiO3의 고용체의 총칭)와 같은 압전 고분자 소재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PZT는 예를 들면, PZT-PVDF, PZT-Silicon Rubber, PZT-Epoxy, PZT-발포 폴리머, PZT-발포 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PVDF는 PVDF-TrFE(polyvinylidene fluoride trifluoroethylene)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힌정되는 것은 아니다. PVDF는 반결정성의 강유전성(ferroelectric) 고분자로서, 높은 탄성계수를 가지면서도 유연성이 우수하고 필름으로 제조하기 용이하며, 가볍고, 유연하지만 부서지지 않고, 충격에 강한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플렉서블한 필름 형태로 제작하기 용이한 특성을 가진다.
음향발생부를 구성하는 압전소자의 다른 예로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호모폴리머(PVDF Homopolymer),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코폴리머(PVDF Copolymer),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터폴리머(PVDF Terpolymer), 시아노폴리머(Cyano-polymer), 시아노-코폴리머(Cyano-copolymer), 보론 나이트라이드 폴리머(BN polym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피에조 폴리머(Piezopolymer)로 이루어질 수 있고, 플렉서블한 필름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코폴리머(PVDF Copolymer)는 예를 들면, PVDF-TrFE, PVDF-TFE, PVDF-CTFE, PVDF-CFE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터폴리머(PVDF Terpolymer)는 예를 들면, PVDF-TrFe-CFE, PVDF-TrFE-CTFE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아노-코폴리머(Cyano-copolymer)는 예를 들면, PVDCN-vinyl acetate, PVDCN-vinyl propionate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보론 나이트라이드 폴리머(BN polymer)는 예를 들면, Polyaminoboran, Polyaminodifluoroboran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압전소자는 폴리머 또는 금속 진동판 양면에 전극이 형성된 압전소자를 접착제로 부착한 구조로 되어 있다. 압전소자의 양면에 교류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압전소자의 형상변형이 발생하며, 압전소자의 형상변형을 진동판에 전달함으로써 소리를 발생시킨다.
압전소자를 이용한 압전스피커는 필름형 압전스피커 및 적층형 압전스피커로 분류될 수 있다. 필름형 압전스피커는 압전필름소재를 이용하여 상하부에 전극을 형성하고 전압을 인가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원리를 이용한다.
적층형 압전스피커는 두 개의 전극들 사이에 압전소자를 포함한 여러 층들을 구성한다. 두 개의 전극들 사이에 교류전압을 인가하고, 교류전압에 따라 상하방향으로의 휨에 의해 소리를 발생시킨다. 압전소자는 위에서 언급한 재료들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는 적층형 압전스피커를 이용하여 음향발생부를 구성한 예를 설명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름형 압전스피커도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음향발생부의 측면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 전극(E1) 및 제2 전극(E2)에 전원부(A)로부터 (+)전압 및 (-)전압을 각각 인가한다. 분극방향(실선)과 반대방향의 전압이 인가되면(전계방향은 점선으로 도시), 압전효과에 의해 응력이 생기게 되며 변위방향(굵은 실선)으로 수축하거나 팽창하는 변형이 발생한다. 따라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전형 음향발생부는 교류전압에 의한 변형이 생기며, 변위방향(굵은 실선)으로 상하 운동 모드로 변하거나 휘어지게 된다. 상하 운동 모드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며, 진동으로 인하여 소리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부는 표시장치에 배치되는 음향발생부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 영상전화기,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와치 폰(watch phone),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폴더블 기기(foldable device), 롤러블 기기(rollable device), 벤더블 기기(bendable device), 플렉서블 기기(flexible device), 커브드 기기(curved device),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데스크탑 PC(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네비게이션, 차량용 네비게이션, 차량용 표시장치, 텔레비전, 월페이퍼(wall paper) 표시장치, 노트북, 모니터, 카메라, 캠코더, 및 가전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에 적용할 경우, 보다 소형의 음향발생부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음향발생부인 압전형 음향발생부에 의해서 저음역대 내지 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표시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며, 홈을 포함하는 지지부재, 표시패널과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음향발생부, 및 표시패널과 음향발생부 사이에 배치되는 진동전달부재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홈에는 격자구조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홈에는 격자구조가 배치될 수 있으며, 홈 및 격자구조는 음향발생부의 저음역대의 음향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전달부재는 음향발생부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으며, 진동조정부재는 음향발생부의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전달부재의 크기는 음향발생부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전달부재는 음향발생부의 고음역대의 음향을 표시패널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발생부와 진동전달부재, 또는 진동전달부재와 표시패널은 접착부재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발생부는 압전형 음향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표시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음향발생부, 표시패널과 음향발생부 사이에 배치되는 진동전달부재, 음향발생부의 배면에 배치되며, 홈을 포함하는 지지부재, 및 홈에 의해 구현되는 진동조정부재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홈에는 격자구조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전달부재는 음향발생부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으며, 진동조정부재는 음향발생부의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전달부재는 음향발생부의 고음역대의 음향을 표시패널에 전달할 수 있으며, 진동조정부재는 음향발생부의 저음역대의 음향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전달부재는 금속, 플라스틱, 및 카본파이버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홈은 섬유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발생부는 압전형 음향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
하였으나, 본 명세서는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명세서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표시패널
200: 음향발생부
300: 지지부재
500: 진동전달부재
600: 진동조정부재

Claims (11)

  1.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며, 홈을 포함하는 지지부재;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음향발생부; 및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음향발생부 사이에 배치되는 진동전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홈은 상기 음향발생부의 하면의 양측 또는 좌우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에는 격자구조가 배치되며,
    상기 홈 및 상기 격자구조는 상기 음향발생부의 저음역대의 음향을 조정하는,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전달부재의 크기는 상기 음향발생부의 크기보다 작은,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전달부재는 상기 음향발생부의 고음역대의 음향을 상기 표시패널에 전달하는,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발생부와 상기 진동전달부재, 또는 상기 진동전달부재와 상기 표시패널은 접착부재에 의해 접착되는, 표시장치.
  6.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음향발생부;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음향발생부 사이에 배치되는 진동전달부재;
    상기 음향발생부의 배면에 배치되며, 홈을 포함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홈에 의해 구현되는 진동조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조정부재는 상기 음향발생부의 하면의 양측 또는 좌우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전달부재는 상기 음향발생부의 고음역대의 음향을 상기 표시패널에 전달하며,
    상기 진동조정부재는 상기 음향발생부의 저음역대의 음향을 조정하는, 표시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전달부재는 금속, 플라스틱, 및 카본파이버 중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홈은 섬유재질로 구성되는, 표시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시 홈에는 격자구조가 배치되는, 표시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전달부재는 상기 음향발생부의 중앙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발생부는 압전형 음향발생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220087034A 2017-11-09 2022-07-14 표시장치 KR102452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034A KR102452051B1 (ko) 2017-11-09 2022-07-14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834A KR102422755B1 (ko) 2017-11-09 2017-11-09 표시장치
KR1020220087034A KR102452051B1 (ko) 2017-11-09 2022-07-14 표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834A Division KR102422755B1 (ko) 2017-11-09 2017-11-09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131A KR20220104131A (ko) 2022-07-26
KR102452051B1 true KR102452051B1 (ko) 2022-10-06

Family

ID=6632906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834A KR102422755B1 (ko) 2017-11-09 2017-11-09 표시장치
KR1020220087034A KR102452051B1 (ko) 2017-11-09 2022-07-14 표시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834A KR102422755B1 (ko) 2017-11-09 2017-11-09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469928B2 (ko)
KR (2) KR102422755B1 (ko)
CN (1) CN1097691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9454B1 (ko) * 2017-07-31 2018-11-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KR102352563B1 (ko) * 2017-08-04 2022-0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660928B1 (ko) 2018-12-04 2024-04-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0211558A (zh) * 2019-05-27 2019-09-06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KR20200140970A (ko) * 2019-06-07 2020-1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11306A (ko) * 2019-07-22 2021-02-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JP7148481B2 (ja) 2019-12-04 2022-10-05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表示装置
JP7301726B2 (ja) * 2019-12-05 2023-07-03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ディスプレイスピーカ
KR20220028882A (ko) * 2020-08-31 2022-03-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진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JP2022071360A (ja) 2020-10-28 2022-05-16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音響装置
KR20220090162A (ko) * 2020-12-22 2022-06-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진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CN113329197A (zh) * 2021-05-13 2021-08-31 纳路易爱姆斯株式会社 一种固态沉浸式oled音频系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2202B2 (ja) 2000-08-30 2006-04-05 株式会社ジャムコ 平面型スピーカー
JP4186449B2 (ja) * 2001-10-15 2008-11-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入力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携帯機器
KR101012299B1 (ko) 2010-03-30 2011-02-08 주식회사 엠소닉 스피커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JP2014086831A (ja) 2012-10-23 2014-05-12 Sharp Corp スピーカシステム及び映像表示装置
KR102204384B1 (ko) * 2013-09-16 2021-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229137B1 (ko) * 2014-05-20 2021-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9838781B2 (en) * 2014-05-27 2017-12-05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sound coup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41424A1 (en) 2019-05-09
KR20190052949A (ko) 2019-05-17
KR102422755B1 (ko) 2022-07-18
US10972819B2 (en) 2021-04-06
US20200029142A1 (en) 2020-01-23
CN109769176B (zh) 2020-12-18
KR20220104131A (ko) 2022-07-26
US10469928B2 (en) 2019-11-05
CN109769176A (zh) 2019-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2051B1 (ko) 표시장치
KR102460977B1 (ko) 표시장치
KR102434276B1 (ko) 표시장치
KR102520539B1 (ko) 표시장치
EP3506653A1 (en) Display apparatus
US11895451B2 (en) Display apparatus
KR102310176B1 (ko) 표시 장치
US20240080612A1 (en) Apparatus
KR10231226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