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2299B1 - 스피커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스피커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2299B1
KR101012299B1 KR1020100028678A KR20100028678A KR101012299B1 KR 101012299 B1 KR101012299 B1 KR 101012299B1 KR 1020100028678 A KR1020100028678 A KR 1020100028678A KR 20100028678 A KR20100028678 A KR 20100028678A KR 101012299 B1 KR101012299 B1 KR 101012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manent magnet
frame
voice coil
speaker devic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준
정호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소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소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소닉
Priority to KR1020100028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2299B1/ko
Priority to PCT/KR2010/002022 priority patent/WO2011122721A1/ko
Priority to CN201080065835.5A priority patent/CN102959986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04R9/063Loudspeakers using a plurality of acoustic drivers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커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과 일정 갭을 두고 배치되어 영구자석과 상호 작용하여 상하 이동되는 보이스 코일과, 상기 보이스 코일을 탄성 지지하는 댐퍼와, 상기 보이스 코일과 연결되는 진동판을 포함하고,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보이스 코일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영구자석과, 상기 보이스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영구자석과 반대 극성을 갖는 제2영구자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영구자석과 제2영구자석의 하면에 요크가 설치되고, 제1영구자석 및 제2영구자석의 상면에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가 각각 설치되어 복수의 자기회로를 형성하여, 두께를 최소화하면서 고출력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피커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SPEAKER DEVICE AND ELECTRONIC MACHIN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박형이면서 높은 출력을 구현할 수 있는 스피커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자기기는 기술이 발전해감에 따라 점차적으로 두께가 얇아지는 추세이다. TV나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두께가 얇은 LCD, LED 및 PDP가 주종을 이루고 있고, 노트북, 휴대 단말기 등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도 휴대가 간편하도록 그 두께가 점차적으로 얇아지고 있다. 이와 같이, 현재 디스플레이 등의 전자기기는 두께를 줄이는 방향으로 발전해 가고 있다.
이에 따라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의 두께도 얇아지고 있고, 특히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스피커는 두께가 얇으면서도 고출력을 구현할 수 있는 스피커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은 두께를 최소화하면서 고출력을 구현할 수 있는 스피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두께를 최소화하면서 고출력을 구현할 수 있는 스피커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로서, 스피커 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과 일정 갭을 두고 배치되어 영구자석과 상호 작용하여 상하 이동되는 보이스 코일과, 상기 보이스 코일을 탄성 지지하는 댐퍼와, 상기 보이스 코일과 연결되는 진동판을 포함하고,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보이스 코일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영구자석과, 상기 보이스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영구자석과 반대 극성을 갖는 제2영구자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영구자석과 제2영구자석의 하면에 요크가 설치되고, 제1영구자석 및제2영구자석의 상면에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가 각각 설치되어 복수의 자기회로를 형성한다.
상기 제1영구자석은 양쪽 끝부분이 곡면인 트랙 형태, 직사각형 형태, 타원 형태, 다각형 형태, 원 형태 중 어느 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영구자석은 상기 제1영구자석의 외면에 일정 갭을 두고 감싸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는 하나 이상의 공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통로에는 진동판의 진폭을 제어하기 하도록 공기 유동량을 조절하는 다수의 구멍을 갖는 시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댐퍼는 그 양쪽 끝부분이 프레임에 고정되고, 중앙측이 상기 보이스 코일이 감겨지는 요크의 측면에 고정되는 판 스프링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과 진동판 사이에는 진폭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진동판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진폭 제어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스피커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 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과 일정 갭을 두고 배치되어 영구자석과 상호 작용하여 상하 이동되는 보이스 코일과, 상기 보이스 코일을 탄성 지지하는 댐퍼와, 상기 보이스 코일과 연결되는 진동판을 포함하며,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보이스 코일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영구자석과, 상기 보이스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영구자석과 반대 극성을 갖는 제2영구자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스피커 장치는 제1영구자석과 제2영구자석이 수평하게 배치되고, 그 사이에 보이스 코일이 배치되도록 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기회로를 배치함으로써, 출력을 높이면서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의 공기 통로에 공기 유동량을 조절하는 시트를 설치하여 스피커의 진폭을 제어함으로써, 스피커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임과 진동판 사이에 진폭 제어부재가 설치되어 진폭을 제어함으로써, 스피커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가 설치된 전자기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후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선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진동판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가 설치된 전자기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전자기기(100)는 내부에 각종 회로부품이 설치되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20)와, 본체(120)의 양쪽 측면에 설치되어 소리를 발생시키는 스피커 장치(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자기기(100)는 TV,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 휴대용 단말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등 스피커가 설치되는 전자기기는 어떠한 전자기기도 적용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130)는 프레임(10)과, 이 프레임(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영구자석(30)과, 이 영구자석(30)과 일정 갭을 두고 배치되어 전원 인가되면 영구자석(30)과 상호 작용하여 상하 진폭을 발생시키는 보이스 코일(40)과, 이 보이스 코일(40)을 탄성 지지하는 댐퍼(50)와, 보이스 코일(40)과 연결되고 프레임(10)에 설치되는 진동판(60)을 포함한다.
프레임(10)은 설치되는 전자기기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프레임의 내부에는 두 개의 보이스 코일(40)을 갖는 두 개의 사운드 출력부가 구비된다.
프레임(100) 내부에는 한 개의 사운드 출력부가 구비될 수 있고, 2 개 또는 2개 이상의 사운드 출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설치되는 전자기기의 조건 및 형태에 따라 사운드 출력부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두 사운드 출력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지만, 폭방향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의 하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의 단면도이다.
프레임(10)은 그 양쪽 끝부분이 반원 형태로 둥글게 형성되는 내면을 갖고, 그 상면은 진동판(60)이 장착되도록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100)의 하면에는 프레임(10) 내부로 공기가 출입하는 복수의 공기 통로(12)가 형성되고, 이 공기 통로(12)에는 진동판(12)의 진폭을 제어하기 위해 공기 유동량을 조절할 수 있는 시트(14)가 구비된다.
프레임(10)은 그 내면이 반원 형태 이외에, 원형, 직사각형, 다각형, 변형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공기 유동량을 조절하도록 시트 이외에 프레임(10) 자체에 통기성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미세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시트(14)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미세 구멍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미세 구멍의 크기는 공기의 유동량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시트(14)는 일예로, 미세 구멍을 갖는 메쉬 재질, 부직포 재질, 펠트(Felt) 재질 등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세 구멍을 갖는 시트(14)가 공기 통로(12)에 설치되면 프레임 내부로 출입하는 공기가 미세 구멍을 통과하면서 유동저항을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진동판의 진폭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프레임(10)의 후면에는 보이스 코일(4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접속단자(16)가 고정된다. 접속단자(16)와 보이스 코일(40)은 와이어(18)로 연결되고, 프레임(10)에는 와이어(18)가 통과하는 와이어 통로(20)가 형성된다.
이러한 접속단자(16)는 프레임(10)의 후면 양쪽 끝부분 및 프레임의 후면 중앙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복수의 스피커 장치를 일렬로 정렬시켜 배치할 경우 스피커들 사이의 전원 연결이 쉽다.
영구자석(30)은 보이스 코일(4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영구자석(32)과, 보이스 코일(40)의 외측에 배치되고 제1영구자석(32)과 극성이 반대로 배치되는 제2영구자석(34)을 포함한다.
프레임(10)의 후면에는 영구자석과 같이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요크(36)가 설치되고, 이 요크(36)의 안쪽에 제1영구자석(32)이 고정되고, 요크(36)의 바깥쪽에 제2영구자석(34)이 고정된다. 그리고, 제1영구자석(32)의 상면 및 제2영구자석의 상면에는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제1플레이트(70) 및 제2플레이트(72)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제1영구자석(32), 요크(36) 및 제1플레이트(70)에 의해 하나의 자기회로가 구성되고, 제2영구자석(34), 요크(36) 및 제2플레이트(70)에 의해 다른 하나의 자기회로가 구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는 복수의 자기회로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이 분리된 스피커 장치의 상면도이다.
제1영구자석(32)과 제2영구자석(34)은 동일 평면상에 일정 갭을 두고 배치되며, 두 영구자석(32,34) 사이에 보이스 코일(40)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1영구자석(32)과 제2영구자석(34)이 수평하게 배열되므로 스피커의 폭 및 높이를 줄일 수 있으면서 복수의 자기회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제1영구자석(32)은 일예로, 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배치되는 두 측면은 직선 형태이고, 프레임(10)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두 측면은 반원을 이루는 트랙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영구자석(32)은 이외에도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다각형 형태, 변형각형 형태 등 프레임(1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2영구자석(34)은 제1영구자석(32)의 외주면에 일정 갭을 두고 배치되는 링 타입으로 형성된다. 즉, 제2 영구자석(34)은 제1영구자석(32)의 외면 형태와 동일한 내면을 갖는 링 형태이고, 극성은 서로 반대로 된다. 즉, 제1영구자석(32)의 외측의 극성이 S극일 경우 제2영구자석(34)의 내측의 극성은 N극이 된다.
여기에서, 제1영구자석(320은 트랙 형태 이외에, 타원형태, 원형, 다각형 형태, 변형각형 형태 등 프레임(1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영구자석(34)도 제1영구자석(32)의 형태에 따라 제1영구자석과 동일한 내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보이스 코일(40)은 제1영구자석(32)과 제2영구자석(34) 사이에 배치되는 코일 지지체(42)의 외면에 감겨진다. 그리고, 보이스 코일(40)은 와이어(18)에 의해 접속단자(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에서, 코일 지지체(42)는 중앙이 개구된 원통 형태이고, 그 외면에 보이스 코일(40)이 감겨진다. 그리고, 코일 지지체(42)는 제1영구자석(32)의 외면 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즉, 제1영구자석(32)이 트랙 형태이면 코일 지지체(42) 역시 트랙 형태로 형성되고, 제1영구자석(32)이 직사각형 형태이면 코일 지지체(42) 역시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코일 지지체(42)는 그 상면이 진동판(60)의 하면에 고정된다. 코일 지지체(42)와 진동판(60)은 접착제에 의해 상호 접착된다. 그리고, 코일 지지체(42)의 상면에는 진동판(60)과 접착될 수 있도록 평면 형태의 접착면이 형성된다.
댐퍼(50)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하나는 코일 지지체(42)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코일 지지체(42)의 타측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댐퍼(50)의 양쪽 끝부분은 프레임(10)에 고정된다.
댐퍼(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판 형태이고, 자체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즉, 직선 형태의 판 스프링 타입으로 형성되며, 재질은 탄성력을 갖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댐퍼(50)는 금속재질 이외에 판 타입이면서 자체 탄성력을 가질 수 있는 다른 재질도 사용이 기능하다.
댐퍼(50)는 코일 지지체(42)의 일면에 고정되고 수평하게 배치되는 지지부(52)와, 이 지지부(52)의 양쪽 끝부분에서 곡선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부(52)가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54)와, 이 탄성부(54)의 끝부분에 형성되어 프레임(10)에 고정되는 고정부(56)로 구성된다. 탄성부(54)는 반원형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댐퍼(50)는 프레임(10)과 수평하게 배치되고 판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스피커의 두께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댐퍼(50)는 금속재질의 판 스프링 형태이므로 사용기간이 경과하여도 탄성력의 변화가 없어 스피커의 성능이 시간이 경과하여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진동판(60)과 프레임(10) 사이에는 댐퍼의 기능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도록 진동판(10)의 진폭을 제어하기 위한 진폭 조절부재(80)가 설치될 수 있다. 진폭 조절부재(80)는 그 하면이 프레임(10)의 내부에 고정되고 그 상면이 진동판(10)의 하면에 고정되어 진동판(10)이 상하 진동될 때 진동판(10)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진동판의 진폭을 제어한다.
이러한 진폭 조절부재(80)는 탄성력을 갖는 발포 폴리에스틸렌, 러버 재질 등 일정한 탄성력, 복원력을 구비한 재질이면 어떠한 재질도 사용이 가능하다.
진동판(60)은 프레임(10)의 상면에 배치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그 가장자리에는 진공판(60)이 상하 진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면서 프레임(10)의 상면에 부착되는 지지부재(62)가 설치된다.
진동판(60)은 박형 구조를 구현할 수 있도록 그 양쪽 가장자리가 곡면형태로 형성되는 평판으로 형성되고, 카본 재질과 같은 고강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지부재(62)는 주름진 러버 재질로 형성되어 진동판(62)이 상하 진동될 수 있도록 지지해준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보이스 코일(40)에 외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전류가 인가되면, 보이스 코일(40)은 영구자석(50)과 상호 작용하여 상하로 진동된다. 그러면, 보이스 코일(40)이 접착된 진동판(60)이 상하 진동되면서 사운드를 출력한다.
이때, 영구자석(30)은 제1영구자석(32)과 제2영구자석(34)으로 구성되어 복수의 자기회로를 구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피커의 출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제1영구자석(32)과 제2영구자석(34)이 수평하게 배열되어 스피커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10) 내부로 공기가 출입하는 공기통로(12)에 공기 유동량을 조절할 수 있는 시트(14)가 설치되어 시트(14)의 미세구멍을 공기가 통과하면서 유동저항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진동판(60)의 진폭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보이스 코일(40)을 탄성 지지하는 댐퍼(50)가 판 스프링 타입으로 형성되어 스피커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스피커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프레임(10)과 진동판(60) 사이에 진폭 조절부재(80)가 구비되어 댐퍼(50)의 기능을 도와줄 수 있도록 하여 진동판(60)의 진폭 제어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프레임 12: 공기통로
14: 시트 16: 접속단자
18: 와이어 20: 와이어 통로
30: 영구자석 32: 제1영구자석
34: 제2영구자석 36: 요크
40: 보이스 코일 42: 코일 지지체
50: 댐퍼 52: 지지부
54: 탄성부 56: 고정부
60: 진동판 62: 지지부재
70: 제1플레이트 72: 제2플레이트
80: 진폭 조절부재

Claims (16)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과 일정 갭을 두고 배치되어 영구자석과 상호 작용하여 상하 이동되는 보이스 코일과, 상기 보이스 코일을 탄성 지지하는 댐퍼와, 상기 보이스 코일과 연결되는 진동판을 포함하고,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보이스 코일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영구자석과, 상기 보이스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영구자석과 반대 극성을 갖는 제2영구자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영구자석과 제2영구자석의 하면에 요크가 설치되고, 제1영구자석 및 제2영구자석의 상면에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영구자석과 제2영구자석 사이에 상기 보이스 코일이 감겨지고 상기 진동판이 고정되는 코일 지지체가 배치되고,
    상기 댐퍼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코일 지지체의 양쪽 측면에 고정되고, 양쪽 끝부분이 프레임에 고정되는 직선 형태의 판 스프링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구자석은 양쪽 끝부분이 곡면인 트랙 형태, 원 형태, 직사각형 형태, 타원 형태, 다각형 형태 중 어느 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구자석은 상기 제1영구자석의 외면에 일정 갭을 두고 감싸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구자석과 제2영구자석은 수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구자석은 링 형태이고, 그 내면은 상기 제1영구자석의 외면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는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 고정되고 그 내측에 제1영구자석이 고정되고, 그 외측에 제2영구자석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그 외면이 직사각형, 원형, 다각형, 변형각형, 트랙 형태, 타원 형태 중 어느 한 형태로 형성되고, 그 내면은 양쪽 끝부분이 곡선형태인 트랙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는 상기 보이스 코일로 전원을 인가하는 접속단자가 고정되고, 상기 접속단자는 프레임의 하면 양쪽 가장자리, 중앙 중 적어도 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는 하나 이상의 공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통로에는 진동판의 진폭을 제어하기 하도록 공기 유동량을 조절하는 다수의 구멍을 갖는 시트가 설치되거나 상기 프레임 자체에 공기 유동량을 조절할 수 있는 미세 구멍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공기 유동량을 조절할 수 있는 메쉬 재질, 부직포 재질, 펠트 재질 중 어느 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코일 지지체의 측면에 고정되고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양쪽 끝부분에서 곡선 형태로 연장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끝부분에 형성되어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진동판 사이에는 진폭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진동판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진폭 제어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진폭 제어부재는 러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16.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스피커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 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과 일정 갭을 두고 배치되어 영구자석과 상호 작용하여 상하 이동되는 보이스 코일과, 상기 보이스 코일을 탄성 지지하는 댐퍼와, 상기 보이스 코일과 연결되는 진동판을 포함하고,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보이스 코일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영구자석과, 상기 보이스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영구자석과 반대 극성을 갖는 제2영구자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영구자석과 제2영구자석의 하면에 요크가 설치되고, 제1영구자석 및 제2영구자석의 상면에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영구자석과 제2영구자석 사이에 상기 보이스 코일이 감겨지고 상기 진동판이 고정되는 코일 지지체가 배치되고,
    상기 댐퍼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코일 지지체의 양쪽 측면에 고정되고, 양쪽 끝부분이 프레임에 고정되는 직선 형태의 판 스프링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100028678A 2010-03-30 2010-03-30 스피커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KR101012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678A KR101012299B1 (ko) 2010-03-30 2010-03-30 스피커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PCT/KR2010/002022 WO2011122721A1 (ko) 2010-03-30 2010-04-01 스피커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CN201080065835.5A CN102959986B (zh) 2010-03-30 2010-04-01 扬声器装置以及具有该扬声器装置的电子仪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678A KR101012299B1 (ko) 2010-03-30 2010-03-30 스피커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2299B1 true KR101012299B1 (ko) 2011-02-08

Family

ID=43777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678A KR101012299B1 (ko) 2010-03-30 2010-03-30 스피커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012299B1 (ko)
CN (1) CN102959986B (ko)
WO (1) WO201112272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949A (ko) * 2017-11-09 2019-05-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10076088A (ko) * 2018-11-16 2021-06-23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모바일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15167B2 (ja) * 2017-10-25 2021-08-04 ピーエス オーディオ デザイン オサケユキチュア トランスデューサー配置
CN111641905A (zh) * 2020-06-15 2020-09-08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发声器件
CN115914951A (zh) * 2021-09-30 2023-04-04 华为技术有限公司 扬声器及电子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4963A (ko) * 2002-06-11 2003-12-18 주식회사 셀그린 수분자동공급용 파티션화분
KR200394963Y1 (ko) 2005-06-24 2005-09-0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음향특성의 변화를 제거할 수 있는 마이크로스피커
KR100534154B1 (ko) * 2002-10-02 2005-12-06 주식회사 이엠텍 통신 단말기용 마이크로 스피커의 내부결합구조
KR100622566B1 (ko) 2005-12-13 2006-09-19 주식회사 삼부커뮤닉스 두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한 마이크로스피커
KR20080001615A (ko) * 2007-06-08 2008-01-03 신기음향 주식회사 소형 스피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4433B1 (ko) * 1994-05-06 1996-10-15 주식회사 보성하이테크 저음확대형 압전세라믹 음향변환기
JP2005192140A (ja) * 2003-12-26 2005-07-14 Tohoku Pioneer Corp スピーカユニット、スピーカ装置、電子機器
JP4289343B2 (ja) * 2005-10-20 2009-07-01 ヤマハ株式会社 スピーカ駆動装置
CN101175339A (zh) * 2006-09-27 2008-05-07 张百良 一种扬声器的驱动系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4963A (ko) * 2002-06-11 2003-12-18 주식회사 셀그린 수분자동공급용 파티션화분
KR100534154B1 (ko) * 2002-10-02 2005-12-06 주식회사 이엠텍 통신 단말기용 마이크로 스피커의 내부결합구조
KR200394963Y1 (ko) 2005-06-24 2005-09-0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음향특성의 변화를 제거할 수 있는 마이크로스피커
KR100622566B1 (ko) 2005-12-13 2006-09-19 주식회사 삼부커뮤닉스 두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한 마이크로스피커
KR20080001615A (ko) * 2007-06-08 2008-01-03 신기음향 주식회사 소형 스피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949A (ko) * 2017-11-09 2019-05-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422755B1 (ko) 2017-11-09 2022-07-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10076088A (ko) * 2018-11-16 2021-06-23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모바일 단말기
KR102521804B1 (ko) * 2018-11-16 2023-04-13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모바일 단말기
US11929775B2 (en) 2018-11-16 2024-03-12 Huawei Technologies Co., Ltd.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59986B (zh) 2015-10-14
WO2011122721A1 (ko) 2011-10-06
CN102959986A (zh) 201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435600U (zh) 一种减小体积的骨传导扬声器驱动器
US9591391B2 (en) Vibration speaker
KR101012299B1 (ko) 스피커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KR100643765B1 (ko) 스피커장치
KR102282417B1 (ko) 에어 갭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고품질 전자기 스피커
KR101061550B1 (ko) 장방형 서스펜션 및 이를 채용한 스피커 모듈
CN105491487B (zh) 扬声器
JP4936982B2 (ja)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音響装置
EP3370436B1 (en) Hybrid speaker
CN111405436B (zh) 扬声器装置
CN110191404B (zh) 一种屏幕发声装置
CN102497611A (zh) 一种减小体积的骨传导扬声器驱动器
KR101851702B1 (ko) 자기유변탄성체(mre)를 이용한 주파수 대역 이동이 자유로운 스피커
CN110267171A (zh) 一种屏幕发声装置
CN114257933A (zh) 扬声器和电子设备
JP2019062627A (ja) アクチュエータ及び電子機器
KR101134612B1 (ko) 장방형 스피커 모듈
KR20130081803A (ko) 피씨비 보이스 필름 일체형 진동판을 구비한 평판형 스피커
US20200245060A1 (en) Loudspeaker arrangement
CN111866675B (zh) 一种扬声器单体、扬声器模组及电子设备
KR20140128575A (ko) 스피커의 서스펜션
KR102518442B1 (ko) 광대역 고해상 전자기 스피커
KR20140094940A (ko) 전자기 댐핑 기능을 갖는 전자음향변환기
KR101614480B1 (ko) Mr 유체를 이용한 주파수 대역 이동이 자유로운 스피커
KR20120127152A (ko) Tv용 슬림형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