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684B1 - 목재 데크의 측면 보호대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목재 데크의 측면 보호대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684B1
KR102451684B1 KR1020220029306A KR20220029306A KR102451684B1 KR 102451684 B1 KR102451684 B1 KR 102451684B1 KR 1020220029306 A KR1020220029306 A KR 1020220029306A KR 20220029306 A KR20220029306 A KR 20220029306A KR 102451684 B1 KR102451684 B1 KR 102451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coupled
wooden
outside
jo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렬
Original Assignee
에스와이우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와이우드(주) filed Critical 에스와이우드(주)
Priority to KR1020220029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6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wooden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 데크의 측면 보호대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목재 데크의 측면 보호대는, 단부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멍에의 상부에 나란하게 결합되는 장선 부재; 상기 장선 부재의 외측에 고정편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편의 외측으로 끼움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체결 부재; 상기 장선 부재의 상면에 결합되는 바닥 데크와 외측면에 결합되는 측면 데크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 데크; 및 기 바닥 데크와 측면 데크를 덮도록 수평부와 수직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의 내측으로 상기 끼움부에 삽입되도록 결속구가 구비되는 마감 부재;를 포함한다.
이로써, 단부측 바닥 데크와 측면 데크를 동시에 덮도록 마감 부재가 구비되어 바닥 데크와 측면 데크가 만나는 부분의 변형이나 들뜸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목재 데크의 측면 보호대 및 그 시공방법{Side Guard of Wooden De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목재 데크의 측면 보호대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선 부재의 상면과 외측면에 각각 단위 데크가 결합되어 바닥 데크와 측면 데크가 형성되는 목재 데크에 있어서 상기 장선 부재의 외측에는 체결 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바닥 데크와 측면 데크를 덮도록 구비되는 마감 부재의 결속구가 상기 체결 부재의 끼움부에 삽입되어 결속되는 목재 데크의 측면 보호대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과거 성장 위주의 가치에서 벗어나,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개발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현대인들도 보다 윤택한 삶을 추구하기 위하여 자연속에서 이루어지는 여가나 취미 활동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
이러한 현대인들의 생활방식은 사적 건축물과 공용 시설물에 모두 반영되어 목재를 건축자재로 활용한 다양한 건축물과 시설물이 시공되고 있다. 예컨데, 카페나 레스토랑, 전원주택에서는 마당에 목재 데크를 시공하여 개방감이 부여된 친환경적인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공원이나 산책로, 기타 캠핑장과 같은 공용 시설물에는 산책을 위한 목재 데크 구조물이 평지는 물론 램프나 계단 등 다양한 구조로 시공되고 있다.
상기한 목재 데크 구조물은 설치 장소나 목적에 따라 구체적인 형상이나 규격이 변경될 수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산책로에 설치되는 목재 데크 구조물을 기준으로 기초부(1)의 상부에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금속제 멍에(2)가 설치되고, 상기 금속제 멍에(2)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금속제 장선(3)이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며, 상기 금속제 장선(3)의 상부에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단위 목재(4)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결합됨으로써 바닥 데크(4a)가 형성된다. 이때, 단부측 멍에(2)와 장선(3)의 외측면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통상적으로 측면에도 단위 목재(4)를 결합하여 측면 데크(4b)가 형성되도록 마감 처리한다.
한편, 목재는 그 종류에 따라 세부적인 특성에는 일부 차이는 있으나, 기본적으로 뒤틀림이나 휨과 같은 변형에 취약하고, 수분에 의하여 부식되기 쉬우며, 그로 인해 유지보수의 주기가 상대적으로 짧은 특성이 있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상기 단위 목재(4)는 직결 스크류(5)에 의하여 장선(3)에 직접 고정됨에 따라 단위 목재(4)와 직결 스크류(5)의 틈새로 수분이 침투하여 단위 목재(4)에 변형 및 부식이 발생되었으며, 심한 경우에는 단위 목재(4)가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목재 데크 구조물에 있어서 단부측의 바닥 데크(4a)와 측면 데크(4b)가 만나는 부분에는 외부 하중이 집중되어 단위 목재(4)가 변형되거나 파손되기 쉬우며, 길이방향이나 폭방향으로 구배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물기가 집중되어 부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5358호(2016. 04. 19. 등록, 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목재 데크의 단부측에 수평부(6a)와 수직부(6b)를 지니는 ㄱ자형 가림판(6)이 쉽게 체결될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에 결속편(7)을 일체로 형성하여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의 가림판(6)은 설치를 위하여 수평부(6a)에 추가적인 직결 스크류(5)의 체결이 동반되어야 함에 따라 가림판(6) 자체도 우수 등이 유입되어 부식되기 쉬운 한계가 있었으며, 상기 수평부(6a)와 수직부(6b) 사이가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변형이나 들뜸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5358호 (2016. 04. 19.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목재 데크의 바닥 데크와 측면 데크가 만나는 부분의 변형이나 들뜸 현상을 예방하고, 우수의 유입을 차단하여 부식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을 증진시키며, 시공이 편리하여 경제적이고, 분리 및 체결이 용이하여 유지 관리에 유리하며, 야간에도 목재 데크의 시인성이 확보되도록 하여 전체적인 경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목재 데크의 측면 보호대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재 데크의 측면 보호대(S)는 단부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멍에(F)의 상부에 나란하게 결합되는 장선 부재(10); 상기 장선 부재(10)의 외측에 고정편(21)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편(21)의 외측으로 끼움부(22)가 일체로 형성되는 체결 부재(20); 상기 장선 부재(10)의 상면(11)에 결합되는 바닥 데크(30a)와 외측면(12)에 결합되는 측면 데크(30b)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 데크(30); 및 상기 바닥 데크(30a)와 측면 데크(30b)가 만나는 부분을 덮도록 수평부(41)와 수직부(4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42)의 내측으로 상기 끼움부(22)에 삽입되도록 결속구(43)가 구비되되, 상기 수직부(42)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슬릿(42a)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구(43)는 걸림편(43a)의 내측으로 슬릿(42a)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삽입편(43b)이 형성되는 마감 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선 부재(10)는 멍에(F)와 외측단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체결 부재(20)의 고정편(21)이 멍에(F)를 덮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 부재(20)의 끼움부(22)는 외측으로 한 쌍의 상,하부 플레이트(22a)(22b)가 형성되어 끼움홈(22c)이 마련되고, 상기 끼움홈(22c)에 마감 부재(40)의 결속구(43)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부(22)의 하부 플레이트(22b)에는 상부로 걸림돌기(22d)가 형성되고, 상기 결속구(43)의 내측 단부에는 걸림턱(43d)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43d)이 걸림돌기(22d)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 부재(40)의 수직부(42)의 외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광 도료가 도포되어 형광 라인(44)이 형성될 수 있다.
삭제
그리고 상기 수직부(42)의 외측에는 걸림편(43a)이 안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안착홈(45)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45)에 슬릿(42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재 데크의 측면 보호대 시공방법(M)은 길이방향 멍에(F)에 결합된 단부측 장선 부재(10)의 외측에 체결 부재(20)의 고정편(21)을 결합하는 체결 부재 결합단계(S10); 상기 장선 부재(10)의 상면(11)과 외측면(12)에 각각 복수의 단위 데크(30)를 결합하여 바닥 데크(30a)와 측면 데크(30b)를 형성하는 단위 데크 결합단계(S20); 및 상기 체결 부재(20)의 끼움부(22)에 마감 부재(40)의 결속구(43)를 삽입하여 수평부(41)와 수직부(42)가 상기 바닥 데크(30a)와 측면 데크(30b)를 덮도록 결합하는 마감 부재 결합단계(S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 부재 결합단계(S10)는, 상기 체결 부재(20)의 고정편(21) 외측에 단위 데크(30)를 구비한 상태로 장선 부재(10)에 함께 결합하여 최상단 측면 데크(30b)를 형성하고, 상기 단위 데크 결합단계(S20)는, 상기 장선 부재(10)의 상면(11)과 체결 부재(20)의 상부를 덮도록 복수의 단위 데크(30)를 결합하여 바닥 데크(30a)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재 데크 보호대(S) 및 그 시공방법(M)에 의하면, 단부측 장선 부재에 결합되어 형성되는 바닥 데크와 측면 데크를 덮도록 마감 부재가 구비되어 바닥 데크와 측면 데크가 만나는 부분의 변형이나 들뜸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마감 부재에 의하여 바닥 데크와 측면 데크 사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부식을 방지하고 전체적인 목재 데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장선 부재의 외측에 끼움부가 형성된 체결 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마감 부재의 결속구가 체결 부재의 끼움부에 삽입되어 결속되므로 피스 체결을 생략하여 시공이 간편하므로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마감 부재의 결속구를 체결 부재의 끼움부로부터 쉽게 분리하고 다시 체결할 수 있으므로 바닥 데크와 측면 데크의 유지 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마감 부재의 외측에 형광 도료가 도포된 형광 라인이 형성되어 야간에도 목재 데크의 시인성이 확보되므로 보행자로 하여금 전체적인 경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형광 라인의 지속적인 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목재 데크 구조물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가림판을 구비한 목재 데크 구조물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관 보호 구조체가 적용된 목재 데크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보호대를 도시한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와 마감부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보호대의 체결부재와 마감부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데크의 측면 보호대 시공방법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길이방향'은 목재 데크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방향을 의미하며, '폭방향'은 상기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정의한다. 또한, '외측'은 특정한 구성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내측'은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보호대(S)가 적용된 목재 데크는 도 3과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멍에(F)가 결합되어 지지 프레임이 형성되되, 단부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멍에(F)의 상부에 장선 부재(10)가 나란히 결합되며, 상기 장선 부재(10)의 상면(11)과 외측면(12)에 단위 데크(30)가 결합되어 각각 바닥 데크(30a)와 측면 데크(30b)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멍에(F)는 금속 부재로 제작되는 것으로, H형강이 사용될 수도 있으나 시공성을 고려하여 중공부를 지니는 각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멍에의 하부에는 기초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선 부재(10)는 멍에(F)의 상부에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며, 양 단부에 배치되는 장선 부재(10)는 상기 길이방향 멍에(F)의 상부에 외측 단부가 서로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사이에 배치되는 장선 부재(10)는 폭방향 멍에(F)에 결합된다.
상기 장선 부재(10)도 금속 부재로 제작되는 것으로, 시공성을 고려하여 한 쌍의 상,하면(11)과 내,외측면(12)을 지니고 내부에 중공부(13)가 마련된 각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장선 부재(10)의 상부와 외측면에는 복수의 단위 데크(30)가 직결 피스(P)에 의하여 체결된다.
한편, 본 발명의 측면 보호대(S)는 상기한 단부측 장선 부재(10)에 결합되어 형성되는 바닥 데크(30a)와 측면 데크(30b)를 덮도록 마감 부재(40)가 결합되는 점에 주요한 기술적 차별성이 있다.
즉, 종래에는 단부측 장선 부재(10)의 바닥 데크(30a)와 측면 데크(30b)가 만나는 부분에 외부 하중이 집중되어 단위 데크(30)가 변형되거나 파손되기 쉽고, 물기가 집중되어 부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 마감 부재(40)는 상기 바닥 데크(30a)와 측면 데크(30b)를 덮도록 수평부(41)와 수직부(42)가 일체로 형성되어 바닥 데크(30a)와 측면 데크(30b)가 만나는 부분의 변형이나 들뜸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측면 보호대(S)는 상기 마감 부재(40)를 체결하기 위하여 장선 부재(10)의 외측에 체결 부재(20)가 먼저 결합된다. 상기 체결 부재(20)는 도 4a와 도 4b에 나타난 것과 같이, 장선 부재(10)의 외측면(12)에 결합되도록 고정편(2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21)의 외측으로 끼움부(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마감 부재(40)에 내측으로 형성된 결속구(43)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장선 부재(10)는 길이방향 멍에(F)와 외측단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체결 부재(20)의 고정편(21)이 멍에(F)를 적어도 일부 덮도록 결합되어 멍에(F)의 가림과 동시에 장선 부재(10)와 멍에(F) 사이로 수분이 유입됨에 따른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장선 부재(10)와 멍에(F) 사이로 유입되는 수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편(21)과 측면 데크(30b) 사이에 차수부재(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마감 부재(40)는 수평부(41)와 수직부(42)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바닥 데크(30a)와 측면 데크(30b) 사이의 틈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부식을 방지하고 전체적인 목재 데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써, 별도의 피스 체결이 없이도 사전에 결합된 체결 부재(20)의 끼움부(22)에 마감 부재(40)의 결속구(43)를 단순 삽입하여 체결이 가능하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비숙련공도 작업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이점이 발휘된다.
도 4b와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로 상기 체결 부재(20)의 끼움부(22)는 외측으로 한 쌍의 상,하부 플레이트(22a)(22b)가 형성되어 끼움홈(22c)이 마련되고, 상기 끼움홈(22c)에 마감 부재(40)의 결속구(43)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끼움부(22)의 하부 플레이트(22b)에는 상부로 걸림돌기(22d)가 형성되고, 상기 결속구(43)의 내측 단부에는 걸림턱(43d)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43d)이 걸림돌기(22d)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재(20)와 마감 부재(40)는 금속재나 합성수지재로 제작하여 소정의 탄성력을 지니도록 함으로써 끼움 결합이 용이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마감 부재(40)의 결속구(43)를 체결 부재(20)의 끼움부(22)로부터 쉽게 분리하고 다시 체결할 수 있으므로 시공 후, 바닥 데크(30a)와 측면 데크(30b)의 유지 관리도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결속구(43)의 단부에는 첨단부(43c)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끼움부(22)의 상부 플레이트(22a)는 장선 부재(10)의 상면(11)과 동일 평면상에 구비되고, 단부측 바닥 데크(30a)를 형성하는 단위 데크(30)는 상부 플레이트(22a)에 맞닿은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끼움부(22)의 하부 플레이트(22b)에 측면 데크(30b)를 형성하는 단위 데크(30)의 상단이 맞닿은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상,하부 플레이트(22a)(22b)와 바닥 데크(30a) 및 측면 데크(30b)를 형성하는 단위 데크(30)의 외측 단부는 서로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어 마감 부재(40)가 들뜨지 않도록 시공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감 부재(40)의 수직부(42) 외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광 도료가 도포되어 형광 라인(4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야간에도 목재 데크의 시인성이 확보되므로 보행자는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형광 라인(44)을 통하여 전체적인 경로를 파악할 수 있으며, 산책로로부터 경로가 이탈된 경우에도 형광 라인(44)을 바탕으로 원위치로 쉽게 복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마감부재(40)의 내측방향 이동을 제한하고, 결속구(43)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수직부(42) 내측에는 결속구(43) 하부에 단턱부(42b)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턱부(42b)는 내측면이 상기 끼움부(22)의 하부 플레이트(22b)에 맞닿을 수 있도록 구비됨에 따라, 마감 부재(40)의 결속구(43)를 체결 부재(20)의 끼움부(22)에 체결 시 체결상태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하방향으로 가해지는 진동으로 인한 결속구(43)의 형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재 데크의 측면 보호대(S)는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 부재(40)를 체결 부재(20)의 끼움부(22)에 결속시키는 결속구(43)가 독자적으로 거동할 수 있도록 제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마감 부재(40)의 수직부(42)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슬릿(42a)이 이격 형성되고, 상기 결속구(43)는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되는 걸림편(43a)의 내측으로 슬릿(42a)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삽입편(43b)을 이격 형성할 수 있다.
기술한 구조에 따르면, 유지 관리를 위하여 마감 부재(40)를 분리하는 경우에 중량의 마감 부재(40) 전체를 파지한 상태로 분리하기 어려우므로, 상기 결속구(43)만을 먼저 해체한 이후에 마감 부재(40)의 수평부(41)와 수직부(42)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속구(43)의 걸림편(43a)의 외측에 형광 물질을 도포함으로써 형광 라인(44)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써 결속구(43)만을 분리하여 걸림편(43a)에 도포된 형광 라인(44)의 지속적인 관리가 가능한 이점이 발휘된다.
또한, 상기 수직부(42)의 외측에는 걸림편(43a)이 안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안착홈(45)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45)에 슬릿(4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45)에 의하여 걸림편(43a)이 외측으로 돌출됨이 없이 안착 구비되므로, 수직부(42)의 외측으로 분리되어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재 데크의 측면 보호대 시공방법(M)은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멍에(F)를 결합하여 지지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부에 장선 부재(10)가 결합된 상태를 전제하는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부재 결합단계(S10), 단위 데크 결합단계(S20) 및 마감 부재 결합단계(S30)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 부재 결합단계(S10)는, 길이방향 멍에(F)에 결합된 단부측 장선 부재(10)의 외측에 체결 부재(20)의 고정편(21)을 결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체결 부재(20)는 장선 부재(10)의 외측면(12)에 결합되도록 고정편(2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21)의 외측으로 끼움부(22)가 일체로 형성된다.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상기 체결 부재 결합단계(S10)에서 상기 체결 부재(20)의 고정편(21) 외측에 상단에 단위 데크(30)를 구비한 상태로 상기 고정편(21)과 단위 데크(30)를 함께 장선 부재(10)에 결합하여 최상단 측면 데크(30b)를 먼저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진행되는 상기 단위 데크 결합단계(S20)는, 상기 장선 부재(10)의 상면(11)과 외측면(12)에 각각 복수의 단위 데크(30)를 결합하여 바닥 데크(30a)와 측면 데크(30b)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끼움부(22)는 상,하부 플레이트(22a)(22b) 사이에 끼움홈(22c)이 마련될 수 있으며, 바닥 데크(30a)를 형성하는 단위 데크(30)는 상부 플레이트(22a)에 맞닿은 상태로 배치되어 장선 부재(10)의 상면(11)과 체결 부재(20)의 상부 플레이트(22a)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부(22)의 하부 플레이트(22b)에는 데크(30c)를 형성하는 단위 데크(30)의 상단이 맞닿은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선 부재(10)의 상면(11)과 체결 부재(20)의 상부를 덮도록 복수의 단위 데크(30)를 결합하여 바닥 데크(30a)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데크의 측면 보호대 시공방법.
다음으로 상기 마감 부재 결합단계(S30)는, 체결 부재(20)의 끼움부(22)에 마감 부재(40)의 결속구(43)를 삽입하여 수평부(41)와 수직부(42)가 상기 바닥 데크(30a)와 측면 데크(30b)를 덮도록 결합하는 단계이다.
일 실시예로, 상기 끼움부(22)에 한 쌍의 상,하부 플레이트(22a)(22b)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하부 플레이트(22b)에는 상부로 걸림돌기(22d)가 형성되고, 상기 결속구(43)의 내측 단부에는 걸림턱(43d)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43d)이 걸림돌기(22d)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별도의 피스 체결이 없이도 사전에 결합된 체결 부재(20)의 끼움부(22)에 마감 부재(40)의 결속구(43)를 단순 삽입하여 체결이 가능하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비숙련공도 작업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이점이 발휘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목재 데크의 측면 보호대(S) 및 그 시공방법(M)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 기술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그리고,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목재 데크의 측면 보호대 F:멍에
10:장선 부재 11:상하면
12:내외측면 13:중공부
20:체결 부재 21:고정편
22:끼움부 22a,22b:상,하부 플레이트
22c:끼움홈 22d:걸림돌기
30:단위 데크 30a:바닥 데크
30b:측면 데크 40:마감 부재
41:수평부 42;수직부
43:결속구 44:형광 라인
50 : 차수부재
M:측면 보호대의 시공방법
S10:체결 부재 결합단계 S20:단위 데크 결합단계
S30:마감 부재 결합단계

Claims (9)

  1. 단부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멍에(F)의 상부에 나란하게 결합되는 장선 부재(10);
    상기 장선 부재(10)의 외측에 고정편(21)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편(21)의 외측으로 끼움부(22)가 일체로 형성되는 체결 부재(20);
    상기 장선 부재(10)의 상면(11)에 결합되는 바닥 데크(30a)와 외측면(12)에 결합되는 측면 데크(30b)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 데크(30); 및
    상기 바닥 데크(30a)와 측면 데크(30b)가 만나는 부분을 덮도록 수평부(41)와 수직부(4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42)의 내측으로 상기 끼움부(22)에 삽입되도록 결속구(43)가 구비되되, 상기 수직부(42)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슬릿(42a)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구(43)는 걸림편(43a)의 내측으로 슬릿(42a)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삽입편(43b)이 형성되는 마감 부재(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데크의 측면 보호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선 부재(10)는 멍에(F)와 외측단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체결 부재(20)의 고정편(21)이 멍에(F)를 덮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데크의 측면 보호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20)의 끼움부(22)는 외측으로 한 쌍의 상,하부 플레이트(22a)(22b)가 형성되어 끼움홈(22c)이 마련되고, 상기 끼움홈(22c)에 마감 부재(40)의 결속구(43)가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데크의 측면 보호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22)의 하부 플레이트(22b)에는 상부로 걸림돌기(22d)가 형성되고,
    상기 결속구(43)의 내측 단부에는 걸림턱(43d)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43d)이 걸림돌기(22d)에 걸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데크의 측면 보호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부재(40)의 수직부(42)의 외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광 도료가 도포되어 형광 라인(4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데크의 측면 보호대.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42)의 외측에는 걸림편(43a)이 안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안착홈(45)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45)에 슬릿(42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데크의 측면 보호대.
  8. 삭제
  9. 삭제
KR1020220029306A 2022-03-08 2022-03-08 목재 데크의 측면 보호대 및 그 시공방법 KR102451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306A KR102451684B1 (ko) 2022-03-08 2022-03-08 목재 데크의 측면 보호대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306A KR102451684B1 (ko) 2022-03-08 2022-03-08 목재 데크의 측면 보호대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1684B1 true KR102451684B1 (ko) 2022-10-06

Family

ID=83597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306A KR102451684B1 (ko) 2022-03-08 2022-03-08 목재 데크의 측면 보호대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6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3753A (ja) * 2000-04-19 2001-10-31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屋外床構造及びこれの構成部品
KR101615358B1 (ko) 2014-01-03 2016-04-26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가림판을 가지는 목재 데크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108888B1 (ko) * 2018-10-29 2020-05-11 배은숙 야자 섬유를 이용한 등산로 보행자용 계단형 데크 구조물
KR102265305B1 (ko) * 2020-07-30 2021-06-16 주식회사 케이엘에스 데크 마감용 몰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3753A (ja) * 2000-04-19 2001-10-31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屋外床構造及びこれの構成部品
KR101615358B1 (ko) 2014-01-03 2016-04-26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가림판을 가지는 목재 데크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108888B1 (ko) * 2018-10-29 2020-05-11 배은숙 야자 섬유를 이용한 등산로 보행자용 계단형 데크 구조물
KR102265305B1 (ko) * 2020-07-30 2021-06-16 주식회사 케이엘에스 데크 마감용 몰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0889B2 (en) Deck fastening device
KR100878141B1 (ko) 변형방지 목재데크
CZ296001B6 (cs) Výškově přizpůsobitelné přemostění
KR101998636B1 (ko) 조명장치가 구비된 데크플레이트 연결부재
KR101702348B1 (ko) 바닥데크 구조시스템
KR20120125919A (ko) 목재데크의 결합구조
KR102265305B1 (ko) 데크 마감용 몰딩
KR102460462B1 (ko) 충격 흡수용 알루미늄데크
KR20190060955A (ko) 목재데크 조립 및 틈새마감구
KR102451684B1 (ko) 목재 데크의 측면 보호대 및 그 시공방법
KR102218887B1 (ko) 알루미늄바를 이용한 데크의 조립구조
KR101815510B1 (ko) 데크의 설치구조
KR101078495B1 (ko) 시공이 간편한 조립식 펜스
KR102120940B1 (ko) 건축용 다기능 다목적 지지대
KR101537762B1 (ko) 복합소재 인발 패널 및 그것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1742074B1 (ko) 데크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110111652A (ko) 바닥재 데크보드 고정용 클립유지부재
KR102465315B1 (ko) 데크 고정용 클립을 이용한 목재 데크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63825B1 (ko) 자석을 이용한 목재 패널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목재 시설물
GB2365880A (en) Imitation wood covering formed from a plurality ofinterlocking plastics planks
KR20230060117A (ko) 시공이 용이하고 미끄럼방지 기능을 구비한 금속데크
KR102369330B1 (ko) 데크 시스템
KR101166849B1 (ko) 바닥재용 고정구
KR20180087603A (ko) 내구성이 강화된 친환경 고강도 합성데크 조립체
KR101612376B1 (ko) 중간 연결재를 이용한 데크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