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560B1 -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560B1
KR102451560B1 KR1020210037908A KR20210037908A KR102451560B1 KR 102451560 B1 KR102451560 B1 KR 102451560B1 KR 1020210037908 A KR1020210037908 A KR 1020210037908A KR 20210037908 A KR20210037908 A KR 20210037908A KR 102451560 B1 KR102451560 B1 KR 102451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hub
probe
catheter kit
dr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3353A (ko
Inventor
신현순
Original Assignee
(주)글로벌메디칼
신현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글로벌메디칼, 신현순 filed Critical (주)글로벌메디칼
Priority to KR1020210037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560B1/ko
Publication of KR20220133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3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1Puncturing needles for the peridural or subarachnoid space or the plexus, e.g. for anaesth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6Powered trocars, e.g. electrosurgical cutting, lasers, powered kn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8Endoscopic needles, e.g. for inf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9/00Local anaesthesia; Hypo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4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multi-layered, e.g. co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2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 A61M25/0084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being one or more injection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059Material properties
    • A61B2018/00071Electrical conductivity
    • A61B2018/00083Electrical conductivity low, i.e. electrically ins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339Spine, e.g. intervertebral dis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34Neural system
    • A61B2018/0044Spin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07Epidural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2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 A61M2025/0095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being one or more needles protruding from the distal tip and which are not used for injection nor for electro-stimulation, e.g. for fixation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물 시술과 고주파 시술이 가능한 카테터 키트 즉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는: 약물 주입 통로를 형성하며 경피적으로 인체에 삽입 가능한 속이 빈 도관; 및 타겟부위에 고주파 전류에 의한 자극를 가하기 위해 상기 도관에 삽입 가능한 고주파 프로브(Probe)를 포함하며: 상기 도관은; 절연재에 의해 피복되며 약물을 안내하는 피복 도관부와, 상기 피복 도관부의 원위단에 구비되며 약물 배출부를 갖는 도관 선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약물 주입 카테터에 고주파 자극 시술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구조로서 두가지 시술을 모두 시행할 수 있는 장점과 시술시에 조직을 괴사시키지 않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Hybrid Catheter Kit}
본 발명은 경피적 시술을 위한 카테터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약물 시술과 고주파 시술이 가능한 약물 주입 겸용 고주파 자극 카테터 세트 즉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에 관한 것이다.
카테터(Catheter, Katheter)는, 체강(흉막강, 복막강), 관상 기관(기관, 식도, 위, 장, 방광, 요관, 혈관), 경막외강 등에 삽입되는 중공 관 형상의 외과적 기구로 알려져 있으며. 원래는 그 기관들의 내용액의 배출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였으나, 약액의 주입, 센서의 삽입 등을 위한 통로 확보를 목적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즉, 상기 카테터는 경피적 기구 즉 피부를 통해서 인체에 삽입되는 의료기구로서, 고무, 플라스틱, 금속 등의 재질이며, 지름(굵기) 및 길이는 다양하고, 쓰이는 부위와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제조된다.
상기 카테터에 의해 시행되는 경막외강 신경성형술은, 경막외강 내 척수를 둘러싸는 경막외측에 주입관을 넣고, 병변 부위에 약물 예를 들면 국소마취제를 주입하여 선택적으로 척수신경을 차단하는 시술법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경막외강 신경성형술은, 척추 경막외강의 통증부위에 카테터의 단부(선단부, 원위부)를 접근시키고, 외부에서 카테터를 통해 특수 약물을 주입하여 통증을 다스리는 치료법이다. 이는 척추 신경주위의 염증과 부종 또는 신경주변의 불필요한 흉터 조직 등을 없애는 비수술적 요법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경막외강 신경성형술, 보다 구체적으로 경막외강 감압 신경성형술은, 허리 디스크 수술을 받은 후 염증, 유착, 재발 등에 의해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나, 요통 및 척추관협착증 환자, 신경유착에 의한 허리통증을 호소하는 환자, 좌골신경통 환자 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경막외강 감압 신경성형술의 일종으로 경막외 내시경 시술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경막외 내시경 시술을 위해서는 특수한 카테터가 요구된다. 상기 카테터는 대략 2mm 이하의 지름과 30cm 내지 60cm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카테터의 선단(원위단)에는 촬영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카테터의 내부를 관통하여 광케이블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모니터로 전송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카테터는 가늘고 유연한 도관과, 상기 도관의 후단(근위단)에서 상기 도관에 끼워지는 가이드 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와이어는 도관에 스티프니스(stiffness) 즉 강성를 부여하기 위한 금속선으로서, 일반적으로 스타일렛(Stylet)이라고도 불린다.
상술한 경피적 경막외강 신경성형술을 위하여, 상기 카테터는 경피적으로 인체에 삽입되어서 통증 부위에 접근하며, 상기 카테터를 통해 약물이 주입됨으로써 병변부위의 통증을 완화시킨다.
즉, 상기 카테터를 통한 약물 주입에 의해 신경 압박 부위의 염증 유발물질을 차단됨으로써 통증이 완화되며, 상술한 카테터를 이용한 시술은 흉터에 대한 부담과 통증이 최소화할 수 있고 반복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상기 카테터를 약물 전달 이외에 다른 치료 매개체로 사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8944호, 니들 및 이를 구비한 카테터 조립체, 2011년 11월 2일 공개 등록특허공보 제10-2190496호, 경막외 카테터, 2020년 12월 7일 등록
본 발명은, 통증 부위에 국소 마취제 등의 약물을 주입할 수 있으며 고주파 전류를 전달해서 신경계통을 치료하고 통증을 경감할 수 있는 카테터 세트 즉 카테터 키트로서, 약물 시술과 고주파 시술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약물 주입 통로를 형성하며 고주파 시술을 위해 경피적으로 인체에 삽입 가능한 속이 빈 도관; 및 타겟부위에 고주파 전류에 의한 자극를 가하기 위해 상기 도관에 삽입 가능한 고주파 프로브(Probe)를 포함하며: 상기 도관은; 절연재에 의해 피복되며 약물을 안내하는 피복 도관부와, 상기 피복 도관부의 원위단에 구비되며 약물 배출부를 갖는 도관 선단부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피복 도관부와 도관 선단부는 일체형이며; 상기 절연재는, 상기 피복 도관부의 외주에 절연 피복을 형성한다. 상기 절연재는, 레진(Resin)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연재는, FEP(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는, 상기 피복 도관부를 덮으며 상기 절연 피복의 내부에 형성되는 레진 재질의 내부 피복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피복층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도관은; 상기 약물 주입 통로를 형성하며 선단이 막히고 내부가 빈 전기 전도성의 코일(Coil)형 도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주파 프로브는, 상기 도관에 삽입되며 상기 도관 선단부에 접촉되어서 고주파 전류를 제공하는 금속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관의 근위단에는 상기 고주파 프로브의 삽입을 위한 도관 헤드가 구비되며; 상기 고주파 프로브의 근위단에는 상기 도관 헤드에 걸려서 선택적으로 구속 가능한 프로브 허브가 구비된다.
상기 프로브 허브는, 상기 도관 헤드에 연결 가능한 허브 몸체와, 상기 허브 몸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관 헤드는, 상기 고주파 프로브의 삽입 및 인출을 위한 허브 커넥터와, 상기 후크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허브 커넥터에 구비되는 허브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관은, 경피적 경막외강 신경성형술을 위해 상기 약물 주입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도관 선단부는,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유연하고; 상기 고주파 프로브는, 경피적 척추 고주파 열응고술을 위해 상기 도관에 삽입되어서 상기 도관 선단부의 선단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도관 선단부에 펄스 고주파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상기 고주파 프로브는; 상기 도관에 선택적으로 강성을 부여하는 스타일렛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는; 상기 도관에 선택적으로 강성을 부여하는 스타일렛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는, 약물 시술과 고주파 시술이 모두 가능한 형태로서, 통증부위 예를 들면 척추의 경막외강에 도관을 접근시켜서 통증부위에 약물 주입으로 통증완화를 유발할 수 있으며, 펄스 고주파 전류를 사용해서 신경계통을 치료하고 통증 경감을 구현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약물 주입 카테터에 고주파 자극 시술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구조로서, 두가지 시술을 모두 시행할 수 있는 장점과 고주파 시술시에 저온열로 조직을 괴사시키지 않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도관을 통한 약물 주입에 의해 경피적으로 경막외강 감압 신경성형술이 가능하며, 도관에 고주파 프로브를 삽입해서 척추 고주파 열응고술의 시술이 가능하므로, 인체에 경피적으로 삽입되는 하나의 도관을 사용해서 약물 시술과 고주파 시술 2가지가 선택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2가지 시술 중 하나만이 시행될 수도 있고 2가지 시술이 병행될 수 있으므로 효율적 치료가 가능하고 치료 효과가 극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는 스타일렛 겸용 고주파 프로브를 갖는 키트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스타일렛을 별도로 두어야 하는 기존 제품에 비해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들은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음에 설명되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도면들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의 도관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A"와 "B" 및 "C" 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도관에 스타일렛(가이드 와이어) 또는 고주파 프로브가 삽입된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도관에 고주파 프로브가 삽입된 상태로서 도관 헤드와 프로브 허브의 연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도관 헤드 및 도관 헤드와 프로브 허브의 연결을 위한 정렬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
도 7은 도관 헤드와 프로브 허브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8은 펄스 고주파 시술을 위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연결 관계 즉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관계도 포함한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즉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의 일 실시 예가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카테터 세트(Catheter Set) 즉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Catheter Kit)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는, 약물 주입 및 고주파 전류의 인가를 위한 도관(100)과, 고주파 프로브(300)를 포함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서 설명되는 하이드리드 카테터 키트 즉 약물 시술과 고주파 시술이 가능한 약물 주입 겸용 고주파 자극 카테터 키트를 위한 도관(100)은, 약물 주입 통로(10)를 형성하며 경피적으로 인체에 삽입 가능하다. 상기 도관(100)을 약물주입위치 및 고주파 자극 타겟위치에 접근시키기 위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에는 도관에 강성을 부여하기 위한 스타일렛(200) 즉 가이드 와이어(Guide Wire)가 구비될 수도 있고, 후술되는 고주파 프로브가 상기 스타일렛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즉 스타일렛 겸용 고주파 프로브가 될 수도 있다.
상기 도관(100)은, 상기 스타일렛(Stylet; 20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강성(Stiffness)이 부여되는 속이 빈 형태의 가늘고 긴 관형 구조로서, 상기 스타일렛(200)이 상기 도관(100)의 근위단을 통해 삽입된 후 상기 스타일렛(200)의 선단(원위단)이 상기 도관(100)의 선단부(후술되는 도관 선단부)에 도달(진입)하면 상기 도관(100)의 선단부까지 강성이 부가될 수 있다.
상기 도관(100)은, 절연재에 의해 피복되며 약물을 안내하는 피복 도관부(101)와, 상기 피복 도관부(101)의 원위단에 구비되는 도관 선단부(10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도관 선단부(102)는 도관의 외부로 약물을 배출하기 위한 약물 배출부(102a)를 갖는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피복 도관부(101)와 도관 선단부(102)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절연재는, 상기 피복 도관부(101)의 외주에 절연 피복(103a)을 형성한다. 상기 절연재로는 절연성을 갖는 레진(Resin)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절연 피복(103a)은 상기 피복 도관부(101)의 외주에 절연 코팅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연재는, FEP(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절연 피복(103a)의 내부에는 레진(Resin) 재질의 내부 피복층(103b)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내부 피복층(103b)은 상기 피복 도관부(101)를 덮으며, 본 실시 예처럼 상기 도관(100)은 적어도 2층 구조의 튜브(103)에 의해 피복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내부 피복층(103b)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피복 도관부(101)의 외주는, 레진 재질 예를 들면 상술한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재질의 내부 피복층(103b)과 상기 내부 피복층의 외부에 적층 피복되는 상기 FEP 등의 절연재에 의해 복층으로 코팅됨으로써, 절연재질의 외부 피복층 즉 절연 피복(103a)에 의해 덮인 구조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피복 도관부(101)는 인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절연 피복(103a)에 의해 인체 조직과 절연되며, 상기 피복 도관부(101)의 내부는 상술 약물 주입 통로(10)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관(100)은 외주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절연 피복(103a)과 내부 피복층(103b)을 갖는 피복 튜브(103)를 포함하며, 가요성을 갖는 가늘고 긴 구조가 된다.
특히, 외부 FEP 코팅(절연 피복; 103a)은 윤활 기능이 우수하며, 상기 도관(100)이 가이드 니들(Guide Needle)을 통해 목표지점까지 진입하기 위해 인체에 삽입되는 시술과정에서 시술자가 상기 도관(100)을 넣고 빼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데, 상기 절연 피복이 상기 도관(100)에 의한 인체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 또는 방지하고, 상기 도관의 부드러운 삽입을 가능하게 하며 피복 튜브(103)가 손상되는 현상을 최소화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FEP 피복층(103a)과 PET 피복층(103b)을 갖는 복 층의 피복 구조로 인해 도관 즉 카테터가 토크(Torque) 입력에 더 잘 반응하고 도관 삽입경로의 조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도관(100)은 메인 도관(101, 102)과 상기 메인 도관(101, 102)의 외부에 피복되는 피복 튜브(10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피복 튜브(103)는 상술한 절연 피복(103a)과 내부 피복층(103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메인 도관(101, 102)은, 상기 약물 주입 통로(10)를 형성하며 선단이 막히고 내부가 빈 전기 전도성의 코일(Coil)형 도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관(101, 102), 보다 구체적으로 코일형 도관(코일 도관)의 외주에는 상술한 피복 튜브(10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관(101, 102)에서 상기 절연 피복(103a)에 의해 덮인 부분은 상술한 피복 도관부(101)가 되며, 상기 피복 도관부(101)에서 일체로 연장되어서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도관(100)의 말단을 형성하는 부분은 도관 선단부(102)를 형성하게 된다.
본 실시 예를 이용하는 카테터 시술을 위하여, 시술자는 의료 영상장치 예를 들면 엑스레이 영상장치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을 모니터(Monitor)로 보면서, 상기 스타일렛(200)의 조작을 통해 상기 도관(100)을 인체 내부의 약물주입위치까지 접근시킬 수도 있으며, 상기 도관(100) 특히 상기 도관 선단부(102)가 약물주입위치에 도달한 후에는 상기 스타일렛(200)을 상기 도관(100)에서 빼내고, 약물에 의한 카테터 시술 예를 들면 경막외강 감압신경성형술을 시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메인 도관(101, 102)은 코일 스프링(Coil Spring) 구조로서, 상기 코일 스프링 구조를 갖는 메인 도관의 내부에는 축방향으로 약물 주입 통로(10)가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도관(101, 102)은, 금속 재질의 와이어(Metal Wire)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의 와이어가 나선상으로 연장된 구조, 즉 코일 형태로 감긴 구조로서, 상기 피복 도관부(101)를 형성하는 부분에서는 이웃하는 나선이 서로 밀착된 구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관 선단부(102)에는 상술한 약물 배출부(102a)가 형성되는데, 상기 약물 배출부(102a)에서는 나선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어서 외부로 약물의 누설이 가능한 구조가 된다.
상기 도관(100) 특히 상기 피복 도관부(101)의 외측에는 위치 표시부(100a; Depth Mark)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 표시부(100a)를 통해 상기 도관(100)이 인체에 삽입된 정도(삽입 거리 또는 삽입 길이)가 쉽게 시인될 수 있다. 상기 위치 표시부의 예로는 상기 튜브(103)에 표시되는 눈금이나 숫자 등이 가능하다.
상기 위치 표시부(100a) 즉 진입 깊이 표시 마크(Depth mark)는 상기 내부 피복층(103b; PET 피복층)에 형성되고, 상기 절연 피복(103a)이 상기 위치 표시부(100a)가 형성된 내부 피복층(103b)을 덮는다. 상기 위치 표시부(100a)가 피복 튜브(103)의 외부에서 보이도록, 상기 절연 피복(103a)은 투시 가능한 피복층 예를 들면 투명한 층(Layer)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절연 피복(103a)과 내부 피복층(103b) 사이에 위치 표시부(100a)가 매립되는 구조, 즉 캡슐화 구조가 되므로, 상기 위치 표시부(100a)가 지워지는 위험이 없다.
그리고 상기 약물 배출부(102a)를 갖는 도관 선단부(102)는, 상기 피복 도관부(101)를 형성하는 금속 와이어가 계속해서 나선상으로 연장 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약물 배출부(102a)의 양측에는 조밀한 권선피치를 갖는 영역, 예를 들면 상기 피복 도관부(101)의 코일처럼 나선이 밀착된 구조의 와인딩(Winding) 영역 즉 나선 밀착부(102b, 102c)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 예에서의 도관 선단부(102)는, 나선 구조의 상기 약물 배출부(102a)와, 상기 피복 도관부(101)와 약물 배출부(102a) 사이를 연결하는 나선 구조의 제1 나선 밀착부(102b)와, 상기 약물 배출부(102a)의 원위단에 연결되는 나선 구조의 제2 나선 밀착부(102c)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 나선 밀착부(102b)와 제2 나선 밀착부(102c) 사이에 상술한 약물 배출부(102a)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나선 밀착부(102b)와 제2 나선 밀착부(102c)는 나선이 밀착된 구조로 금속 와이어가 와인딩(Winding) 영역이며, 상기 약물 배출부(102a)는 약물의 누설이 가능하도록 나선 사이가 벌어진 구조로 금속 와이어가 와인딩된 영역이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약물 배출부(102a)의 권선피치가 상기 제1 나선 밀착부(102b)와 제2 나선 밀착부(102c)의 권선피치보다 큰 형상이 됨을 알 수 있으며, 상기 피복 도관부(101)를 통해 상기 도관 선단부(102)에 공급되는 약물, 예를 들면 국소 마취용액 등과 같은 약물의 배출이 상술한 약물 배출부(102a)에서 집중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나선 밀착부(102c)의 끝에는 둔첨(102d; Blunt Tip)이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도관 선단부(102)의 끝에 반구형 팁 등과 같은 둔첨(102d)이 구비되며, 이에 따라 상기 도관(100)이 인체에 삽입되어서 약말주입위치에 접근하는 중에 도관의 삽입 저항이 최소화되고 인체 조직의 손상이 최소화 또는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스타일렛(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관(100)에 강성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 예를 들면 가늘고 긴 금속 재질의 와이어,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와이어(Wire)로서, 상기 도관(100)의 근위단을 통해 삽입되며, 본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의 일부 구성요소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스타일렛(200)이 상기 도관(100)의 약물 주입 통로(10)를 관통해서 상기 도관 선단부(102)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스타일렛(200)이 상기 도관(100)을 지지하여서 상기 도관(100)의 휨에 저항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스타일렛(200)의 선단이 상기 피복 도관부(101)를 관통해서 상술한 도관 선단부(102)에 내측에 진입하면, 상기 도관 선단부(102)에 강성이 부가될 수 있으며, 상기 스타일렛(200)의 선단이 상술한 도관 선단부(102)에서 퇴거하면 상기 도관(100)이 용이하게 휠 수 있어서 도관(100)의 삽입경로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스타일렛(200)은, 상기 도관(100)에 최대로 진입한 상태에서, 상기 스타일렛(200)의 선단이 상기 도관(100)의 끝,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둔첨(102d)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는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며, 이에 따라 상기 스타일렛(200)의 선단과 상기 둔첨(102d)간의 유격만큼 상기 도관 선단부(102)가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도관(100)이 목표지점(약물주입위치)까지 진입하는 중에, 도관 삽입경로 주변 조직이 상기 도관 선단부(102)에 의해 찢기거나 뚫리는 등 손상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관(100)이 목표지점에 안전하게 도달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스타일렛(200)이 상기 도관(100)에 최대로 진입한 상태에서, 상기 스타일렛(200)의 선단이 상기 둔첨(102d)에서 이격되는 거리는 대략 1.15~1.38mm 정도가 되도록 상기 스타일렛의 길이가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예에서의 도관(100)은, 경피적 경막외강 신경성형술을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약물 주입 통로(10)를 형성하며, 상기 도관 선단부(102)는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유연하게 이루어지며 상술한 바와 같이 약물 배출부(102a)를 갖는다.
상술한 스타일렛의 기본적 기능 그 자체는 카테터 기술분야 및 카테터 시술 관련 의료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이하에서 그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그리고 상기 스타일렛(200)의 후단(근위단)에는 상기 스타일렛(200)의 조작을 위한 스타일렛 허브(210; Hub)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관(100)의 후단(근위단)에는 상기 고주파 프로브(300)의 삽입을 위한 도관 헤드(110; Head)가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스타일렛(200) 역시 상기 도관 헤드(110)를 통해 상기 도관(1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스타일렛(200)이 상기 도관(100)에서 빠지지 않도록 상기 스타일렛 허브(210)는 상기 도관 헤드(110)에 걸려서 구속될 수 있다. 즉, 상기 도관 헤드(110)에는 상기 스타일렛 허브(210)가 연결/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시술자는 상기 약물 배출부(102a)가 상기 약물주입위치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스타일렛 허브(210)를 조작해서 상기 도관(100)의 삽입 경로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도관(100)은 약물주입위치까지 원활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30cm 내지 85cm의 범위에서 시술 용도에 맞는 적절한 길이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둔첨에서 도관 헤드의 입구까지 거리는 대략 35cm 내지 36cm로 제조되고, 도관 선단부의 길이는 1cm 내지 2cm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 도관(메인 도관)의 직경(외경)은 0.5mm 내지 1.0mm의 범위, 코일 도관의 내경은 0.5mm 내지 0.55mm, 상기 코일 도관을 덮는 피복 튜브(103)의 두께는 0.14mm 내지 0.2mm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술 용도에 맞는 적절한 굵기로 제조될 수 있고, 상술한 도관(100)은 환자의 신체를 넓게 절개할 필요가 없어서 시술이 간편하고 환자가 느끼는 고통과 공포감을 줄여줄 수 있으며 가늘도록 인체 삽입시 부담감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도관 헤드(110)에는 상기 도관(100)의 근위단이 끼워지는 도관 홀(110a)이 형성되며, 상기 도관 홀(110a)은 상기 도관 헤드(110)를 관통한다. 그리고 상기 도관 홀(110a)의 일측단(110b)에는 상기 도관(100)의 근위단이 끼워져서 고정되고, 상기 도관 홀(110a)의 타측단(110c)을 통해서는 상기 스타일렛(200)이나 상기 고주파 프로브(300)가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주파 프로브(300)는, 상기 도관에 삽입되며 상기 도관(100)의 내부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도관(100)에 고주파 전류를 인가할 수 있는 금속 와이어를 포함한다. 즉, 상기 고주파 프로브의 금속 와이어는 상기 도관(100)에 고주파 전류, 보다 구체적으로는 펄스 고주파 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가늘고 긴 도전성의 금속으로 제조되며,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와이어(Wire)가 상기 고주파 프로브의 금속 와이어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주파 프로브(300)의 근위단 즉 상기 고주파 프로브를 형성하는 금속 와이어의 근위단(후단)에는, 상기 도관 헤드(110)에 걸려서 선택적으로 구속 가능한 프로브 허브(310)가 구비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고주파 프로브(300)가 상기 도관(100)에 진입해서 상기 프로브 허브(310)가 상기 도관 헤드(110)에 걸리면, 상기 도관 헤드(110)와의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상기 도관 헤드(110)는, 상기 고주파 프로브(300)의 삽입 및 인출 포트를 형성하는 허브 커넥터(111)와, 상기 허브 커넥터(111)에 구비되는 허브 걸림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허브 커넥터(111)에는 상술한 도관 홀(110a)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허브 걸림부(112)에 의해 상기 프로브 허브(310)와 상기 도관 헤드(110)의 연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의 (c)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브 허브(310)는, 상기 도관 헤드(110)에 연결 가능한 허브 몸체(311)와, 상기 허브 몸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312; Hook)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허브 걸림부(112)는 상기 후크(312)와의 결합을 위한 구성이며, 상기 프로브 허브(310)가 상기 도관 헤드(110)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후크(312)가 상기 도관 헤드의 허브 걸림부(112)에 걸리면, 상기 프로브 허브(310)와 상기 도관 헤드(110)의 연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허브 걸림부(112)와 후크(312)는, 상기 프로브 허브(310)의 결합 즉 로킹(Locking)을 위한 구성요소들이다.
본 실시 예처럼, 상기 프로브 허브(310)는 한 쌍의 후크(3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허브 걸림부(112)는 상기 허브 커넥터(111)의 표면에 형성되는 후크 걸림턱(112a, 112b) 예를 들면 후크 걸림돌기 또는 후크 걸림홈 등과 같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허브 몸체(311)의 양측에는, 상기 허브 몸체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후크(312)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한 쌍의 후크(312)들이 상기 허브 몸체(311)의 선단측으로 갈수록 상기 허브 몸체(311)의 축선에 가까워지는 구조가 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312)의 내측에는 상기 후크 걸림턱(112a, 112b)에 물림되는 단차(Step)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허브 커넥터(111)의 외주면에는 상술한 후크 걸림턱(112a, 112b)을 갖는 허브 걸림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 걸림턱(112a, 112b)은 상기 허브 커넥터(111)의 외주면에 나선각(리드각)이 0°인 방향 즉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나선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312)는 탄성적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후크 걸림턱(112a, 112b)을 넘어갈 수도 있고, 상기 허브 커넥터(111)의 외주면에 상기 후크(312)의 진입을 위하여 상기 후크 걸림턱(112a, 112b)보다 낮은 후크 진입로(113)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허브 커넥터(111)의 외주면에 180°간격으로 서로 정반대측에 위치하는 2개의 후크 진입로(1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 진입로(113)를 기준으로 분리된 2개의 나선형 후크 걸림턱(112a, 112b; 이하 '나선 걸림턱'이라 칭함)들이, 나선각(Helical Angle)인 동일한 이중 나선 구조로 상기 허브 커넥터(111)의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동일 구간 내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나선 걸림턱(112a, 112b)은 홈 또는 돌기 형상의 제1나선부(112a)와 제2나선부(112b)를 포함하며, 상기 제1나선부(112a)와 제2나선부(112b)는 상기 허브 커넥터(111)의 축선에 따른 좌표가 상호 동일한 위치에서 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나선부(112a)와 제2나선부(112b)의 종점(종료 지점) 역시 상기 허브 커넥터(111)의 축선에 따른 좌표가 상호 동일한 위치에서 끝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제1나선부(112a)의 시작 지점과 제2나선부(112b)의 시작 지점은 서로 정반대 지점 즉 원주방향으로 180°에 위치하고, 상기 제1나선부(112a)의 종료 지점과 제2나선부(112b)의 종료 지점도 서로 정반대 지점 즉 원주방향으로 180°에 위치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나선부의 시작 지점과 제2나선부의 시작 지점이 상기 후크 커넥터의 축선에 수직한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나선부의 종료 지점과 제2나선부의 종료 지점도 상기 후크 커넥터의 축선에 수직한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시술자)는 도관 헤드(110)를 통해 고주파 프로브(300)를 기설정된 길이만큼 삽입하고, 상기 프로브 허브(310)를 도관 헤드(110)에 연결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후크(312)들이 상기 후크 진입로(113)를 통해 상기 나선 걸림턱(112a, 112b)들의 시작 지점에 도달하도록 상기 프로브 허브(310)가 상기 도관 헤드(110)에 접속된 후에, 상기 프로브 허브(310)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후크(312)들이 각각의 나선 걸림턱(112a, 112b)을 따라 나선상으로 움직여서 나선 걸림턱(112a, 112b)에 걸리게 되고, 상기 프로브 허브(310)는 상기 도관 헤드(110)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도관 헤드(110)의 원위단(선단)을 향해 더 추진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허브 커넥터(111)의 선단이 상기 도관 헤드(110)의 입구로 진입해서 밀착되는 구조가 된다.
본 실시 예는 상기 허브 걸림부(112)로서 나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돌기 즉 나선 돌기를 개시하나, 상술한 바와 같이 나선 홈도 가능하다. 물론, 상술한 후크 진입로(113)를 기준으로 분리되며 나선각이 0°인 원주방향 후크 걸림턱들이 상기 허브 커넥터(111)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의 프로브 허브(310)는 양측에 형성된 후크(312)를 갖는 납작한 형상이며 상기 후크 진입로(113)의 폭은 상기 후크(312)가 진입할 수 있는 정도이면 충분하다.
도 5를 기준으로 하면, 상기 도관 헤드(110)와 상기 프로브 허브(310)의 결합을 위해 상기 후크(312)가 상기 후크 진입로(113)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프로브 허브(310)는 도 5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상기 도관 헤드의 축선을 기준으로 90° 회전(도 6의 (b) 상태)되어야 상기 후크(312)가 상기 후크 진입로(113)에 진입할 수 있으며, 이후에 상기 프로브 허브(310)가 상기 허브 걸림부(후크 걸림턱)에 걸릴 수 있는 각도로 회전(예를 들면 도 7처럼 상기 프로브 허브(310)가 90° 회전)하면 상기 후크(312)가 상기 허브 걸림부(112)에 걸려서 프로브 허브의 연결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관 헤드에서 후술되는 허브 정렬기준(111a)이 형성된 방향을 정면이라고 가정할 때, 도 6의 (a)는 도관 헤드를 측면에서 바라 본 도면이고, 도 6의 (b)에는 정면에서 바라 본 도관 헤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허브 커넥터(111)에는 상기 프로브 허브와 도관 헤드의 정렬을 돕는 허브 정렬기준(111a)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허브 커넥터(111)의 외측면에 상기 허브 진입로와 일렬로 상기 허브 정렬기준(111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는 손가락 촉감이나 시각을 통해 상기 프로브 허브의 후크(312)를 상기 도관 헤드의 후크 진입로(112)에 쉽게 일렬로 정렬시킬 수 있다.
상기 허브 정렬기준(111a)은 홈(Groove) 형상 또는 돌기(Protrusion) 형상이 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의 허브 정렬기준은 홈 형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허브 커넥터(111)에는 상기 허브 정렬기준을 형성하는 단턱(111b)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111b)에 상기 도관 헤드(110)의 축선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술한 허브 정렬기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허브 몸체(311)의 선단(원위단)에는 상기 고주파 프로브(300) 즉 금속 와이어의 근위단이 끼워지는 와이어 고정부(311a)가 구비되며, 상기 허브 몸체(311)의 근위단 가장자리를 따라 손가락을 이용한 상기 프로브 허브(310)의 그립(Grip)과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돌출턱(311b)이 형성된다.
상기 프로브 허브(310)에는 고주파 전류를 상기 고주파 프로브에 제공하기 위한 전선 즉 고주파 케이블(320)이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고주파 케이블(320)은 상기 프로브 허브(310)에 고정되며, 상기 고주파 프로브(300) 즉 금속 와이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고주파 케이블(320)은, 고주파 발생장치를 갖는 장치 본체(400)와 상기 고주파 프로브(3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해서 상기 고주파 프로브(300)에 고주파 전류를 인가한다. 상기 고주파 케이블은 상기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고주파 케이블(320)에는 장치 본체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잭(321)이 구비된다.
상기 도관(100)이 인체 내부의 타겟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고주파 프로브(300)의 선단이 상기 도관 선단부(102) 예를 들면 상기 제2 나선 밀착부(102c)의 영역에 위치하도록, 시술자 상기 고주파 프로브(300)를 상기 도관 헤드를 통해 상기 도관(100)에 삽입하고, 상기 프로브 허브(310)를 돌려서 상기 도관 헤드(110)에 연결/고정한 후 고주파 전류를 인가하면 본 발명처럼 카테터를 이용한 고주파 시술이 시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타일렛 허브(210) 역시 상기 프로브 허브(310)와 동일한 형상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스타일렛 허브(210)가 상기 프로브 허브(310)처럼 허브 몸체와 후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브 허브(310)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도관 헤드(110)에 연결/고정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고주파 프로브(300)는 상술한 고주파 케이블(320)에 의해 고주파 시술용 장치 본체(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장치 본체(400)에는 고주파 발생장치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고주파 케이블(320)은 상기 고주파 발생장치로부터 고주파 전류를 상기 고주파 프로브(300)에 인가할 수 있으며, 상기 고주파 프로브는 인체(H) 즉 환자의 몸에 삽관된 도관(100)에 끼워진다. 그리고 피시술자(환자) 몸(H)의 표면, 예를 들면 허벅지(피부)에는 접지 패드(그라운드 패드; 500)가 부착되며 상기 접지 패드(500)는 케이블(510)에 의해 상술한 장치 본체(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는, 상기 도관(100)을 통해 인체에 삽입되는 고주파 프로브(300)를 이용해서 고주파 전류를 타겟부위에 인가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400,000Hz~500,000Hz 주파수의 고주파 전류,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략 480,000Hz 주파수의 고주파 전류를 사용하여 신경계통을 치료하고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 예는, 상기 도관(100)에 삽입되는 고주파 프로브(300)를 통해 인체 내의 타겟부위에 480,000Hz 주파수의 펄스(Pulse) 고주파를 흘려보내고, 부하나 접촉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저온열을 이용해서 통증 치료를 시행할 수 있으며, 조직을 손상시키거나 괴사시키지 않으면서도 통증 완화를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고주파 프로브와 도관을 통해 인체에 고주파 전류가 인가되면, 접촉저항이 작고 전류밀도가 낮은 접지 패드에서는 열이 발생하지 않게 되지만, 접촉저항이 상대적으로 큰 고주파 프로브에서는 저온열과 아크방전에 의해 열이 발생되고, 이 열이 지속적으로 세포를 저온으로 가열해서 병변의 통증을 완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의 도관(100)은, 경피적 경막외강 신경성형술을 위해 상기 약물 주입 통로(10)를 형성하고, 상기 고주파 프로브(300)는 경피적 척추 고주파 열응고술을 위해 상기 도관(10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주파 프로브(300)가 상기 도관 헤드(110)를 통해 상기 도관(100)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도관(도관의 내경)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도관,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코일 도관에 펄스 고주파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절연 피복(103)의 외부로 노출되며 인체 조직과 접촉되는 도관 선단부(102)에 저온열과 아크 방전이 발생해서 고주파 전류에 의한 저온 신경치료를 구현하게 된다.
상기 고주파 프로브(300)은, 상기 도관(100)에 최대로 진입한 상태에서, 상기 고주파 프로브(300)의 선단이 상기 도관(100)의 끝,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둔첨(102d)에 접촉 가능한 길이를 가질 수도 있고, 상기 둔첨(102d)에서 이격되는 길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고주파 프로브(300)가 도관(100)의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조금이라도 닿는다면 상기 도관(100)에 고주파 전류가 인가되기 때문에 도관과의 접촉이 가능한 길이면 족하며,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고주파 프로브는 금속 와이어로서 상기 도관과의 접촉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고주파 프로브(300)는 상술한 스타일렛과 동일한 사이즈(Size)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주파 프로브(300)이 상기 도관(100)에 최대로 진입한 상태에서, 상기 고주파 프로브(300)의 선단이 상기 둔첨(102d)에서 이격되는 거리는 대략 1.15~1.38mm 정도가 되도록 상기 고주파 프로브의 길이가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주파 프로브(300)가 상술한 스타일렛(200)과 동일한 길이와 구조로 제조됨으로써, 상기 스타일렛의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고주파 프로브 즉 스타일렛 겸용 고주파 프로브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본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에서 상술한 스타일렛을 생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브 허브(310)에는 상기 고주파 케이블(320)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프로브 허브와 연결되는 고주파 케이블의 단부에 연결잭(허브 연결잭)이 구비되고, 상기 프로브 허브에 상기 허브 연결잭과의 연결을 위한 잭 접속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 따르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카테터 기구 즉 하이브리드 카테터 세터는, 약물을 이용한 시술(약물 시술)과 고주파를 이용한 시술(고주파 시술)이 가능하며, 척추의 경막외강에 카테터를 통하여 통증 부위에 접근시켜 약물을 이용하여 통증을 완화(경피적 경막외강 신경성형술)시킬 수 있고, 고주파 전류를 사용하여 신경계통을 치료(경피적 척추 고주파 열응고술)하고 통증경감을 구현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는 고주파 시술에서 세포조직을 괴사시키지 않으며, 42°이하의 온도에서 480,000Hz 주파수의 고주파 전류와 전압을 지속적으로 전달함으로써 병변에 대한 지속적인 자극으로 통증을 완화 시키고 신경계통을 치료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약물 주입 통로 100: 도관
101: 피복 도관부 102: 도관 선단부
103: 피복 튜브 103a: 절연 피복
103b: 내부 피복층 110: 도관 헤드
111: 허브 커넥터 112: 허브 걸림부
200: 스타일렛 210: 스타일렛 허브
300: 고주파 프로브 310: 프로브 허브
311: 허브 몸체 312: 후크

Claims (13)

  1. 약물 시술과 고주파 시술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로서:
    약물 주입 통로를 형성하며 카테터 시술을 위해 경피적으로 인체에 삽입 가능한 속이 빈 도관; 및
    타겟부위에 고주파 전류에 의한 자극을 가하기 위해 상기 도관에 삽입 가능한 고주파 프로브(Probe)를 포함하며:
    상기 도관은; 절연재에 의해 피복되며 약물을 안내하는 피복 도관부와, 상기 피복 도관부의 원위단에 구비되며 약물 배출부를 갖는 도관 선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관의 근위단에는 상기 고주파 프로브의 삽입을 위한 도관 헤드가 구비되며; 상기 고주파 프로브의 근위단에는 상기 도관 헤드에 걸려서 선택적으로 구속 가능한 프로브 허브가 구비되고;
    상기 프로브 허브는, 상기 도관 헤드에 연결 가능한 허브 몸체와, 상기 허브 몸체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허브 몸체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도관 헤드는, 상기 고주파 프로브의 삽입 및 인출을 위한 허브 커넥터와, 상기 후크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허브 커넥터에 구비되는 허브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허브 걸림부는 상기 허브 커넥터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후크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허브 커넥터의 외주면에는, 상기 후크의 진입을 위하여 상기 후크 걸림턱보다 낮은 후크 진입로가 180°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후크 걸림턱은 상기 후크 진입로를 기준으로 분리된 나선형이며 나선각이 동일한 제1나선부와 제2나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나선부의 시작 지점과 제2나선부의 시작 지점은 서로 정반대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제1나선부의 종료 지점과 제2나선부의 종료 지점도 서로 정반대 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도관부와 도관 선단부는 일체형이며; 상기 절연재는, 상기 피복 도관부의 외주에 절연 피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재는, 레진(Resin) 재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재는, FEP(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도관부를 덮으며 상기 절연 피복의 내부에 형성되는 레진 재질의 내부 피복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피복층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은;
    상기 약물 주입 통로를 형성하며 선단이 막히고 내부가 빈 전기 전도성의 코일(Coil)형 도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프로브는, 상기 도관에 삽입되며 상기 도관 선단부에 접촉되어서 고주파 전류를 제공하는 금속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은, 경피적 경막외강 신경성형술을 위해 상기 약물 주입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도관 선단부는,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유연하고; 상기 고주파 프로브는, 경피적 척추 고주파 열응고술을 위해 상기 도관에 삽입되어서 상기 도관 선단부의 선단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도관 선단부에 펄스 고주파 전류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프로브는; 상기 도관에 선택적으로 강성을 부여하는 스타일렛으로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에 선택적으로 강성을 부여하는 스타일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
KR1020210037908A 2021-03-24 2021-03-24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 KR102451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908A KR102451560B1 (ko) 2021-03-24 2021-03-24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908A KR102451560B1 (ko) 2021-03-24 2021-03-24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353A KR20220133353A (ko) 2022-10-05
KR102451560B1 true KR102451560B1 (ko) 2022-10-07

Family

ID=83596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908A KR102451560B1 (ko) 2021-03-24 2021-03-24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5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04812A1 (en) * 2002-07-03 2004-01-15 Novo Nordisk A/S A needle mounting system and a method for mounting a needle assembly
US20170258490A1 (en) * 2013-02-25 2017-09-14 Cosman Medical Inc. Cathete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8944A (ko) 2010-04-26 2011-11-02 (주)글로벌메디칼 니들 및 이를 구비한 카데터 조립체
KR101573263B1 (ko) * 2011-10-28 2015-12-01 커스텀 메디컬 애플리케이션즈, 아이엔씨. 탐침 어셈블리, 탐침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카테데르 키트 및 어셈블리와 관련 방법
KR101644824B1 (ko) * 2014-10-22 2016-08-03 주식회사 원메드텍 건치료용 카테터 장치
KR102190496B1 (ko) 2018-10-15 2020-12-14 주식회사 지에이치바이오 경막외 카테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04812A1 (en) * 2002-07-03 2004-01-15 Novo Nordisk A/S A needle mounting system and a method for mounting a needle assembly
US20170258490A1 (en) * 2013-02-25 2017-09-14 Cosman Medical Inc. Cathet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353A (ko) 202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3322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state treatment
US10322292B2 (en) Method for applying pulsed radio frequency energy to the spinal canal
US6562033B2 (en) Intradiscal lesioning apparatus
US9844644B2 (en) Intravascular sheath with mapping capabilities to deliver therapeutic devices to a targeted location within a blood vessel
JP5735924B2 (ja) 刺激リード線と送達システムと使用方法
EP2549963B1 (en) Systems for prostate treatment
CN106061420B (zh) 具有血管周围神经活性传感器的血管内导管
US2018016871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state treatment
US6905476B2 (en) Catheter with injection needle
US7318822B2 (en) Hybrid cannula/electrode medical device and method
JP6016806B2 (ja) センサを有する電気手術装置
US20100049192A1 (en) Catheter for Treating Tissue with Non-Thermal Ablation
US20050277918A1 (en) Electrosurgical cannula
CN105848603B (zh) 用于调节与肺部系统通信的神经的导管设备以及相关联的系统及方法
CN103096965B (zh) 包括引导线的导管组件
KR102451560B1 (ko)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
US20200197087A1 (en) Electrosurgical apparatus
KR101106165B1 (ko) 추간공 특수 바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