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531B1 - 탄도 보정 장치 및 탄도 보정 장치를 가지는 사이트 장치 - Google Patents

탄도 보정 장치 및 탄도 보정 장치를 가지는 사이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531B1
KR102451531B1 KR1020170073240A KR20170073240A KR102451531B1 KR 102451531 B1 KR102451531 B1 KR 102451531B1 KR 1020170073240 A KR1020170073240 A KR 1020170073240A KR 20170073240 A KR20170073240 A KR 20170073240A KR 102451531 B1 KR102451531 B1 KR 102451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cam
housing
vertic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3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1123A (ko
Inventor
정인
정보선
이동희
Original Assignee
이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희 filed Critical 이동희
Priority to US15/623,203 priority Critical patent/US10060706B2/en
Publication of KR20170141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123A/ko
Priority to US16/050,462 priority patent/US1025408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46Sighting devic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06Rearsights
    • F41G1/16Adjusting mechanisms therefor; Mountings therefor
    • F41G1/26Adjusting mechanisms therefor; Mountings therefor scr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06Rearsights
    • F41G1/16Adjusting mechanisms therefor; Mountings therefor
    • F41G1/28Adjusting mechanisms therefor; Mountings therefor wedge; cam; eccen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46Sighting devic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F41G1/48Sighting devic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firing grenades from rif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도 보정 장치 및 탄도보정장치를 가지는 사이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탄도 보정 장치는 총기가 설치되는 제1고정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조준기가 설치되는 제2고정부가 형성된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가 하우징 상에서 상하, 좌우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과 이동부를 연결하는 조인트부;와,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이동부의 일측에 밀착하여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부의 상하 방향 위치를 결정하는 다각캠이 형성된 조절부; 및 상기 다각캠은 동일 축선상에서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1캠과 제2캠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에는 조절부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제1캠이 접촉하는 제1안내면과 상기 제2캠이 접촉하는 제2안내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하나의 조절부를 이용해 수직탄도 및 수평탄도를 동시에 보정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조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장치의 크기와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는 탄도 보정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탄도 보정 장치 및 탄도 보정 장치를 가지는 사이트 장치 {BULLET TRAJECTORY CORRECTING DEVICE AND SIGHT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탄도 보정 장치 및 탄도 보정 장치를 가지는 사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조절부를 이용해 수직탄도 및 수평탄도를 동시에 보정할 수 있어 신속한 조작이 가능한 탄도 보정 장치 및 탄도 보정 장치를 가지는 사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총포에 있어서 탄도는 탄환이 총구를 떠난 순간의 속도에 의한 관성, 대기 속의 공기저항, 지구의 인력(중력가속도), 지구자전에 의한 코리올리의 힘(Coriolis' force; 전향력) 등 외부 요소에 의해서 결정된다.
즉, 총구를 떠난 탄환은 중력의 영향을 받아 수직방향에 대해서 포물선형태로 휘어지면서 하강하게 되고, 수평방향에 대해서는 코리올리의 힘에 의해 북반구에서는 탄환의 진행방향에 대해 오른쪽으로 편향되며, 총구를 떠난 탄환이 목표물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풍향 및 풍속에 의해 조준점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벗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K4 유탄발사기나 MK-19 유탄발사기와 같이 곡률이 큰 탄도를 갖는 총기류의 경우에는, 조준기가 총기의 측면에 장착되어 총기의 큰 고각에도 총열에 의해 조준기의 사야가 가려지는 것을 피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큰 이동각을 가져 총기의 고각을 보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유탄발사기용 조준기는 코리올리의 힘에 의한 수평탄도 오차에 따른 보정기능은 갖추고 있지 않다. 따라서, 목표물의 거리에 따라 조준점을 목표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오조준하여 사격할 수밖에 없으므로 명중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03999호 (2009.01.12)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조절부를 이용해 수직탄도 및 수평탄도를 동시에 보정할 수 있는 탄도 보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작동 구성을 최소화하여 신속하게 탄도보정을 할 수 있으면서도, 부품수 및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탄도 보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부품간의 조립공차나 외부 충격 등에 의해 탄도보정 정밀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탄도 보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총기가 설치되는 제1고정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조준기가 설치되는 제2고정부가 형성된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가 하우징 상에서 상하, 좌우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과 이동부를 연결하는 조인트부;와,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이동부의 일측에 밀착하여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부의 상하 방향 위치를 결정하는 다각캠이 형성된 조절부; 및 상기 다각캠은 동일 축선상에서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1캠과 제2캠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에는 조절부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제1캠이 접촉하는 제1안내면과 상기 제2캠이 접촉하는 제2안내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도 보정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캠과 제2캠은 회전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다른 다수의 지지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캠은 상기 조절부의 회전중심의 일측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캠은 상기 조절부의 회전중심의 타측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총기의 사정거리는 제1대구간과 제2대구간으로 분할되고, 상기 제1캠은 제1대구간을 다수의 소구간으로 분할하여 수직탄도를 보정하고, 상기 제2캠은 제2대구간을 다수의 소구간으로 분할하여 수직탄도를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안내면은 상기 조절부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제1안내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부와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조절부와 이동부가 탄력적으로 밀착되도록 상기 이동부를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이동부가 수용되는 내부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외주면이 하우징에 고정되고 내주면이 이동부의 제1고정부에 고정되는 연질의 실링부에 의해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일측이 상기 이동부에 지지되며, 상기 이동부의 상하 방향 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부의 좌우 방향 위치를 결정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부의 단부에는 안내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어 경사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안내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부와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안내돌기가 경사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3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인트부는 상기 이동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회동축과, 상기 제1회동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회동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회동축과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회동축을 축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부의 양측면에 배치되어 이동부의 외측면과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에 탄력적으로 개재되는 제4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부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4탄성부재 중 어느 하나는 제2회동축과 다른 하나의 제4탄성부재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분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총기와 연결되는 제 1고정부와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 이동부;와, 사이트 장치와 연결되는 제 2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부를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고 동일한 축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방향 이동부재와, 상기 수직방향 이동부재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와, 상기 이동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수평방향 이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방향 이동부재는, 상기 조작부에 의해 상기 수직방향 이동부재가 조작됨에 따라 동시에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도 보정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반사하여 도트시표 허상을 형성하는 반사경;과, 탄도를 보정하는 탄도 보정 장치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탄도 보정 장치는 총기와 연결되는 제 1고정부와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부를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고 동일한 축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방향 이동부재와, 상기 수직방향 이동부재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와, 상기 이동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수평방향 이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방향 이동부재는, 상기 조작부에 의해 상기 수직방향 이동부재가 조작됨에 따라 동시에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수직방향 이동부재는 다수의 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다수의 면 각각은 목표물까지의 거리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방향 이동부재는 다수의 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다수의 면 각각은 선택될 때 상기 총기의 축과 상기 사이트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방향 이동부재는 제 1수직방향 이동부재와 제 2수직방향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1수직방향 이동부재와 제 2수직방향 이동부재는 동일축상에서 서로 겹치지 않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수직방향 이동부재와 제 2수직방향 이동부재는 다수의 면을 가지는 다각캠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조절부를 이용해 수직탄도 및 수평탄도를 동시에 보정할 수 있는 탄도 보정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작동 구성을 최소화하여 신속하게 탄도를 보정할 수 있으면서도, 부품수 및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탄도 보정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부품간의 조립공차나 외부 충격 등에 의해 탄도보정 정밀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탄도 보정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중력의 영향을 받은 탄환의 수직방향의 탄도곡선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코리올리의 힘을 받은 탄환의 수평방향의 탄도곡선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 탄도 보정 장치를 가지는 사이트 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 탄도 보정 장치의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 탄도 보정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 탄도 보정 장치에 따른 수직탄도보정 작용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 탄도 보정 장치에 따른 수평탄도보정 작용을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 탄도 보정 장치에 따른 가이드부의 정면도,
도 15는 조절부의 회전축에 단일 다각캠을 구성한 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 탄도 보정 장치에 따른 다각캠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17은 도 16의 제1캠과 제1안내면을 이용해 탄도를 보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8은 도 16의 제2캠과 제2안내면을 이용해 탄도를 보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는 도 5의 고정축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탄환은 수직방향에서 중력의 영향받을 뿐 아니라, 수평방향에서 코리올리의 힘을 받는 탄환을 말하며, 예를 들면, 유탄을 말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도 보정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3은 본 발명 탄도 보정 장치를 가지는 사이트 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 탄도 보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 탄도 보정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탄도 보정 장치(100)에 장착되는 도트 사이트 장치(D)는, 광원에서의 광선이 도트 레티클을 통과하여 도트시표를 형성하고, 이 도트시표로부터의 광선들이 도트 사이트의 반사경에 반사됨으로써, 사격자의 눈에 마치 사격 목표점에 도트시표 허상이 포개어져 보이게 되는데, 이는 도트 사이트 장치(D)의 반사경의 반사면을 광학 설계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관찰자의 눈과 사격 목표점에 위치한 도트시표 허상이 이루는 축과, 총기류의 탄환 발사축의 조정이 필요한데, 이는 탄환이 총구를 떠난 순간의 속도에 의한 관성, 대기 속의 공기저항, 지구의 인력(중력가속도), 지구 자전에 의한 코리올리의 힘 등 외부 요소에 의해서 탄도가 원래 총기류의 탄환 발사축과 일치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도트 사이트 장치(D)와 총기의 사이에 본 실시예의 탄도 보정 장치(100)를 배치함으로써, 목표물과의 거리에 따라 탄도를 보정하여 타격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탄도 보정 장치(100)는, 도 3의 (a)와 같이 탄도 보정 장치(100)의 상측에 도트 사이트 장치(D)가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거나, 도 3의 (b)와 같이 탄도 보정 장치(100)의 상측에 도트 사이트 장치(D)가 일체로 마련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 탄도 보정 장치는 하우징(110), 이동부(120), 조인트부(130), 조절부(140), 가이드부(160) 및 실링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측면에서 총열과 나란한 제3축(Z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총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고정부(111)와, 상기 이동부(1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도록 상면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조인트부(130)의 제2회동축(132)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총열과 수평교차하는 제1축(X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지지공(112)과, 상기 제1지지공(112)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조절부(140)가 지지되도록 제1축(X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지지공(113)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제1고정부(111)가 총기에 조립된 상태에서 제3축(Z축)방향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고정축(114)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축(114)은 하우징(110)에 결합되는 고정축하우징(114a)에 의해 제1축(X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이동 위치에 따라 선단부가 제1고정부(111) 측으로 돌출 또는 함몰된다. 또한, 상기 고정축(114)은 상기 고정축하우징(114a)에 고정되는 제1고정링(114d)과 상기 고정축(114)의 선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114b)에 의해 돌출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며, 상기 고정축(114)의 후단에는 고정축(114)을 함몰 방향으로 잡아당기기 위한 손잡이(114c)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의 개구부에는 하우징커버(115)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조준기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10)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2고정부(121)와, 제1회동축(131)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총열과 수직교차하는 제2축(Y축)방향으로 형성되는 삽입공(122)과, 상기 삽입공(122)을 제1축(X축)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제2회동축(132)이 삽입되는 관통공(123)과, 조절부(140)의 제1캠(141)이 접촉하는 제1안내면(124)과, 제2캠(142)이 접촉하는 제2안내면(125) 및 수평탄도 보정을 위해 상기 가이드부(160)와 맞물리는 안내돌기(126)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돌기(126)에는 가이드부(160)와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안내돌기(126) 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리브(126a)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통공(123)은 상기 이동부(120)가 제1회동축(131)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제2회동축(132)과 간섭되지 않도록 장공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안내면(124)과 제2안내면(125)에는 탄도받침(127)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탄도받침(127)은 이동부(120)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제1안내면(124)과 제2안내면(125)으로부터의 돌출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조절부(140)의 회전에 따른 제1캠(141) 및 제2캠(142)과의 상대 위치를 각각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수직탄도 보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120)의 양측면에는 제4탄성부재(154)가 각각 배치되어 이동부(120)의 외측면과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탄성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부(120)의 양측면에서 각각 제1축(X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압돌기(154a)가 제4탄성부재(154)에 의해 지지되어 하우징(110)의 내벽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고, 제4탄성부재(154)의 후단은 이동부(120)에 나사결합되는 제4스프링덮개(154b)에 지지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상기 이동부(120)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4탄성부재(154) 중 어느 하나는 Y-Z평면 상에서 제2회동축(132)과 다른 하나의 제4탄성부재(154)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분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즉, 이동부(120)는 제2회동축(132) 및 복수의 제4탄성부재(154)에 의해 하우징(110)에 대하여 3점 지지되므로 하우징(110)과의 조립공차에 의한 유격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부(130)는 상기 이동부(120)가 하우징(110) 상에서 상하, 좌우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10)과 이동부(120)를 연결하는 제1회동축(131)과 제2회동축(132)을 포함한다. 상기 제1회동축(131)은 상기 이동부(120)의 삽입공(122)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이동부(120)의 좌우 회전의 중심축이 되는 것으로서, 측면에는 제1회동축(131)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관통홀(131a)이 형성된다. 상기 제2회동축(132)은 상기 하우징(110)의 제1지지공(112)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회동축(131)의 관통홀(131a)에 삽입되어 이동부(120)의 상하 회전의 중심축이 된다. 또한, 상기 제1회동축(131)의 관통홀(131a) 양측에는 제2회동축(132)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스페이서(131b)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동부(120)는 이동부(120)와 하우징(110) 사이에 개재되는 제1탄성부재(151)에 의해 탄성지지되므로, 상기 제1캠(141)과 제1안내면(124)이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거나, 제2캠(142)과 제2안내면(125)이 밀착된 상태가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탄성부재(151)가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제1탄성부재(151)의 일단부는 하우징(110)측에 마련되는 스프링캡(151a)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이동부(120)측에 마련되는 스프링축(151b)에 연결되며, 스프링축(151b)의 중앙 양측에는 제1탄성부재(151)의 연결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스프링가이드(151c)가 배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이동부(120)와 조절부(140)가 탄력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다른 형태의 스프링이 적용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스프링캡(151a)에는, 상기 스프링캡(151a)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는 제1스프링덮개(151d)와, 상기 제1스프링덮개(151d)의 내부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수용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151)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회전판(151e)과, 상기 제1스프링덮개(151d)의 개구측에 결합되어 회전판(151e)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고정링(151f)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스프링덮개(151d)는 상기 제1탄성부재(151)의 인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캡(151a)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회동축(132)은 제1회동축(131)과 하우징(110) 사이에 개재되는 제2탄성부재(152)에 의해 제1회동축(131)의 축방향으로 탄성지지되므로, 제1지지공(112)의 일측에 탄력적으로 밀착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제2회동축(132)이 제1지지공(112)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조립공차 등에 의해 유격현상이 발생하여 탄도보정의 정밀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에는 제2탄성부재(152)의 조립의 편의를 위해, 제2탄성부재(152)가 배치되는 부분에 관통홀이 마련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제2탄성부재(152)를 지지하기 위한 제2스프링덮개(152a)가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부(140, 수평방향 이동부재)는 목표물과의 거리에 따라 조준기가 설치되는 이동부(120)를 수직방향으로 회동시켜 수직탄도보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10)의 제2지지공(113)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부(120)의 일측에 밀착하여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부(120)의 상하 방향 위치를 결정하는 다각캠이 마련된 회전체(145)와, 상기 회전체(145)의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단부에 조립되는 조절노브(143,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노브(143)를 회전체(145)에 고정하는 고정볼트(미도시)와, 상기 고정볼트의 헤드부를 은폐시키기 위해 조절노브(143)에 조립되는 커버(1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지지공(113)에는 상기 회전체(145)를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회전지지부(117)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다각캠은 동일 축선상에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1캠(141, 제 1수직방향 이동부재)과 제2캠(142, 제 2수직방향 이동부재)을 포함하고, 상기 제1캠(141)과 제2캠(14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면은 회전중심(144)으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다르게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총기의 사정거리 범위를 2개의 대구간(도 1 및 도 2의 D1, D2)으로 구분하고, 제1대구간(D1) 내의 목표물은 제1캠(141)을 이용해 수직탄도를 보정하고, 제2대구간(D2) 내의 목표물은 제2캠(142)을 이용해 수직탄도를 보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대구간과 제2대구간은 각각 6개의 소구간으로 구분하여 제1캠(141)과 제2캠(142)에 각각 마련된 6개의 지지면을 이용해 거리별 수직탄도를 보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캠(141)은 상기 조절부(140)의 회전중심(144)의 일측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캠(142)은 상기 조절부(140)의 회전중심(144)의 타측 영역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캠(141)을 이용해 수직탄도를 보정하는 과정에서 제2캠(142)은 이동부(120)와 분리된 상태가 되고, 반대로 제2캠(142)을 이용해 수직탄도를 보정하는 과정에서 제1캠(141)은 이동부(120)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1캠(141)의 지지면을 이용한 6단계의 탄도보정 스텝(step)이 다 소진되었을 때, 제2캠(142)의 지지면을 이용해 6단계의 탄도보정 스텝을 추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캠(142)이 접촉하게 되는 제2안내면(125)은 상대적으로 조절부(140)의 회전축에서의 위치가 제1안내면(124)보다 더 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캠(141)의 지지면과 이와 접촉하는 제1안내면(124)의 조합은 원거리의 제1대구간(도 1의 D1) 에 대한 탄도보정으로 사용되고, 제2캠(142)의 지지면과 이와 접촉하는 제2안내면(125)의 조합은 근거리의 제2대구간(도 1의 D2) 에 대한 탄도보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캠(142)이 접촉하게 되는 제2안내면(125)은, 조절부(140)의 회전축과의 사이거리가 제1안내면(124)과 조절부(140)의 회전축 사이거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안내면(125)은 이동부(120)의 다각캠과 마주하는 면에서 제1안내면(124)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2고정부(121) 쪽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2안내면(125)의 배치구조에 따르면, 제1캠(141)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탄도보정 값을 갖는 제2캠(142)의 지지면과 제2안내면(125)의 접촉 면적이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탄도 보정 값은 초기와 목표물과의 거리에 상응한다. 예를 들면, 탄도 보정값으로서, 제2캠(142)의 지지면은 200m, 400m, 600m, 700m, 800m, 및 900m이 대응될 수 있고, 제1캠(141)의 지지면은 1000m, 1100m, 1200m, 1300m, 1400m, 및 1500m가 대응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캠(141)과 제2캠(142)의 외주면에 각각 여섯 개의 지지면이 형성되고, 조절부(14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대략 0~180도 범위의 일측 영역에 제1캠(141)이 배치되고, 대략 180~360도 범위의 타측 영역에 제2캠(142)이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캠과 지지면의 개수나, 캠이 차지하는 각도범위 등은 총기의 사용환경이나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조절부(140)에 12개의 지지면을 갖는 단일 다각캠(141')을 배치하기 위해서는, 지지면을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30도 간격으로 배치하여야 할 것이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도보정 값이 가장 큰 지지면을 기준으로 1~8번째 지지면까지는 지지면의 단부와 조절부의 회전중심과의 사이각이 예각을 이루게 되어 탄도보정을 위한 지지면을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다수의 지지면을 30도 간격으로 배치하는 경우, 9번째 지지면부터는 지지면의 단부와 조절부의 회전중심과의 사이각이 둔각을 이루게 되면서 지지면과 안내면이 접촉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조절부(140)가 다음 지지면 방향으로 임의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9번째 지지면부터는 11번째 지지면 까지의 지지면을 30도를 초과하는 간격으로 배치하여 지지면의 단부와 조절부의 회전중심과의 사이각이 예각이 되도록 설정하여야 한다.
즉, 단일 다각캠(141')으로는 360도에서 약 30도씩 분배하여야만 가질 수 있는 12개의 지지면의 설계가 불가능하다. 또한, 1번째 지지면으로부터 11번째 지지면으로 진행할수록 지지면의 길이가 점진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특히, 다각캠의 반복적인 사용에 따라 지지면 사이에 위치하는 경계의 모서리가 마모되는 경우, 안내면과의 접촉면적이 작은 지지면은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와 같이 조절부(140)의 회전축에 다수의 캠을 축방향으로 이격 배치하는 구성이 요구된다.
즉,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14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0도~180도의 영역에는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6개의 탄도 보정값에 대응하는 6개의 지지면을 구비한 제1캠(141)을 배치하고, 180도~360도 영역에는 제1캠(141)에 이어서 계속 감소하는 6개의 탄도 보정값에 대응하는 6개의 지지면을 구비한 제2캠(142)을 배치한다. 또한, 제2캠(142)이 접촉하는 제2안내면(125)은 제1안내면(124)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절부(140)의 회전축으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배치하는 경우에는, 탄도 보정각이 가장 작은 지지면의 길이가 도 15의 단일캠 구조의 탄도 보정각이 가장 작은 지지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어지게 할 수 있으므로, 안내면과의 접촉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캠(141)과 제2캠(142)은 조절부(140)의 회전축 상에서 축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고, 제1안내면(124)과 제2안내면(125)은 제1캠(141)과 제2캠(142)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따라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캠(141)이 제1안내면(124)과 접촉하여 탄도를 보정하는 과정에서, 제2캠(142)은 제2안내면(125)과 서로 분리되므로 제2캠(142)에 의해 탄도 설정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캠(142)이 제2안내면(125)과 접촉하여 탄도를 보정하는 과정에서는, 제1캠(141)이 제1안내면(124)으로부터 분리되므로 제1캠(141)에 의해 탄도 설정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60, 수평방향 이동부재)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120)의 상하 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부(120)의 좌우 위치를 결정하여 목표물과의 거리에 따른 수평탄도보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양측에 경사면을 갖는 안내홀(161)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안내홀(161)에는 상기 이동부(120)의 단부에 형성되는 안내돌기(126)가 삽입된다. 또한, 코리올리의 힘은 지구의 자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이므로, 지구의 북반구와 남반구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북반구에서는 코리올리의 힘에 의해 총탄이 멀리 갈수록 시계방향으로 우 편향을 더하게 된다. 따라서 도트사이트 또는 조준경으로 목표점을 조준할 때 원거리의 목표점일수록 목표점으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총구가 향하도록 조준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트사이트 또는 조준경의 조준 광축이 원거리의 목표점일수록 수평방향으로 총기류의 발사 기준축에서 도트사이트 또는 조준경의 목표점 방향으로는 더 좌측으로 편향되어야 한다. 도 14는 상기 도트사이트가 북반부에서 사용된다는 가정하에 있는 것이다. 도트사이트가 남반부에서 사용될 경우엔, 상기 안내홀(161)의 경사 방향은 도 14와는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즉,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돌기(126)가 안내홀(161)의 아래쪽에 있을 때(근거리 사격의 수직 탄도 보정의 위치) 보다는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홀(161)의 위쪽에 있을 때(원거리 사격의 수직 탄도 보정의 위치) 총구의 위치가 더 좌 편향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총기가 사용되는 지역에 따라 수평탄도 보정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160)는 안내홀(161)의 경사방향이 총기가 사용되는 지역에 따라 보정되어 하우징(110)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가이드부(160)의 안내홀(161)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162)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120)와 하우징(110) 사이에는 제1축(X축)방향으로 제3탄성부재(153)가 개재되어 상기 안내돌기(126)가 안내홀(161)의 일측 경사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110)에 결합된 스프링캡(153c)에 제1축(X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압돌기(153a)가 제3탄성부재(153)에 의해 이동부(120)의 외측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고, 제3탄성부재(153)의 후단은 상기 스프링캡(153c)에 나사결합되는 제3스프링덮개(153b)에 지지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다른 형태의 스프링이나 다른 형태의 가압 방식을 이용해 탄성지지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아울러, 제3탄성부재(153)의 일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3스프링덮개(153b)는 이동부(120)에 고정되고, 제3탄성부재(153)의 타측에 배치되는 가압돌기(153a)는 하우징(110)의 내벽면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실링부(170)는 하우징(110)의 개부구를 통해 외부 오염물질이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은 상기 하우징(110)의 개구부 내주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이동부(120)의 단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이동부(120)의 제2고정부(121)가 이동부(120)와 함께 상하, 좌우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하우징(110)의 개구부가 실링부(170)에 의해 밀폐되어 있으므로, 수용공간으로 외부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탄도 보정 장치의 제1실시예의 수직탄도보정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 탄도 보정 장치에 따른 수직탄도보정 작용을 나타내는 Y-Z평면과 나란한 측단면도이며, 도 8 내지 도 11에서 (a)로 표시한 단면은 제1캠(141)과 제1안내면(124)의 관계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b)는 제2캠(142)과 제2안내면(125)의 관계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8의 (a) 및 도 9의 (a)는 조절부(140)의 제1캠(141)에 마련된 다수의 지지면 중 회전중심(144)과의 거리가 가장 긴 지지면과 거리가 가장 짧은 지지면이 제1안내면(124)과 접촉하도록 회전한 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제1캠(141)과 제1안내면(124)의 관계를 도시한 도 8의 (a)는 도 16의 (a)에 도시된 제1캠(141)의 1단계의 탄도보정값의 상태와 일치하고, 도 9의 (a)는 도 17의 (b)에 도시된 제1캠(141)의 6단계의 탄도보정값의 상태와 일치한다. 다만 차이가 있는 부분은 도 8의 (a)는 시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조절부(140)의 회전중심(144)을 회전시켜야 탄도보정값이 큰 값에서 작은 값으로 변경되도록 작동한다는 것과 도 17의 (a)는 시계방향으로 조절부(140)의 회전중심(144)을 회전시켜야 탄도보정값이 큰 값에서 작은 값으로 변경되도록 작동한다는 것인데, 이는 제1캠(141)과 제2캠(14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면의 회전중심(144)으로부터의 거리가 감소하는 방향이 도 8의 (a)에서는 시계방향이고, 도 17의 (a)에서는 시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설정된 것에 기인한다. 이러한 차이는 본 발명의 근본적인 취지를 훼손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120)는 하우징(110)의 수용공간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이동부(120)의 일측에 조립되는 조인트축의 제2회동축(132)에 의해 하우징(110)과 연결되고, 상기 제2회동축(132)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조절부(140)는 상기 제2회동축(132)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하우징(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위치에 따라 제1캠(141)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지지면 중 어느 하나가 이동부(120)의 제1안내면(124)에 밀착하면서, 제1캠(141)의 지지면과 조절부(140)의 회전중심(144)과의 거리에 따라 이동부(120)의 수직방향 회동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부(120)는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제1탄성부재(151)에 의해 제1안내면(124)이 조절부(140)를 향하도록 탄성지지된 상태이므로, 제1안내면(124)과 제1캠(141)의 지지면은 탄력적으로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며, 외력에 의해 조절부(140)의 회전위치가 임의로 변경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조절부(140)는 회전위치에 따라 이동부(120)의 상하 방향 회동위치를 결정하며, 이러한 작용에 의해 목표물의 거리에 따른 수직탄도 보정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조절부(140)의 제1캠(141)은 상기 조절부(140)의 회전중심(144)의 일측 영역에 배치되고, 제2캠(142)은 상기 조절부(140)의 회전중심(144)의 타측 영역에 배치된다. 즉, 조절부(140)의 360도 회전반경 중, 대략 0~180도의 회전반경 내에서는 제1캠(141)이 이동부(120)의 상하 방향 회동위치를 결정하고, 대략 180~360도의 회전반경 내에서는 제2캠(142)이 이동부(120)의 상하 방향 회동위치를 결정한다. 상기와 같이, 총기의 사정거리는 2개의 대구간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총기의 사정거리 내에서 원거리에 해당하는 제1대구간(D1) 내의 목표물은 제1캠(141)을 이용해 수직탄도를 보정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근거리에 해당하는 제2대구간(D2) 내의 목표물은 제2캠(142)을 이용해 수직탄도를 보정할 수 있다.
즉, 목표물이 제1대구간(도 1 및 도 2의 D1) 내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는 조절부(140)를 회전하면서, 제1캠(141)에 형성된 다수의 지지면 중 목표물과의 거리에 적합한 지지면을 선택하여 이동부(120)의 상하 방향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제1대구간 내에서 다수의 소구간에 해당하는 영역에 대하여 수직탄도를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조절부(140)가 회전함에 따라 안내돌기(126) 또한, 안내홀(16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부(120)가 조절부(140)의 이동과 함께 상하로 또한 좌우로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수직탄도와 수평탄도가 동시에 보정되게 된다. 예를 들면, 탄도보정값이 가장 큰 지지면이 선택된 경우, 도 1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돌기(126)는 안내홀(161)내의 가장 높은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도 8의 (b) 및 도 9의 (b)와 같이, 조절부(140)의 제2캠(142)은 제1캠(141)의 조절구간인 0~180도의 회전반경 내에서 이동부(120)의 제2안내면(125)과 분리된 상태가 되므로, 제1캠(141)에 의해서만 이동부(120)의 상하 방향 회동위치가 결정된다.
도 10의 (b) 및 도 11의 (b)는 조절부(140)의 제2캠(142)에 마련된 다수의 지지면 중 회전중심(144)과의 거리가 가장 긴 지지면과 거리가 가장 짧은 지지면이 제2안내면(125)과 접촉하도록 회전한 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제2캠(142)과 제2안내면(125)의 구동을 보여주는 도 10의 (b)는 도 18의 (a)에 도시된 제2캠(142)의 7단계의 탄도보정값의 상태와 일치하고, 도 11의 (b)는 도 18의 (b)에 도시된 제2캠(142)의 12단계의 탄도보정값의 상태와 일치한다.
즉, 목표물이 제1대구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까운 제2대구간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조절부(140)를 회전하면서, 제2캠(142)에 형성된 다수의 지지면 중 목표물과의 거리에 적합한 지지면을 선택하여 이동부(120)의 상하 방향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제2대구간 내에서 다수의 소구간에 해당하는 영역에 대하여 수직탄도를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조절부(140)가 회전함에 따라 안내돌기(126) 또한, 안내홀(16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부(120)가 조절부(140)의 이동과 함께 상하로 또한 좌우로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수직탄도와 수평탄도가 동시에 보정되게 된다. 예를 들면, 탄도보정값이 가장 작은 지지면이 선택된 경우, 도 1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돌기(126)는 안내홀(161)내의 가장 낮은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도 10의 (a) 및 도 11의 (a)와 같이, 조절부(140)의 제1캠(141)은 제2캠(142)의 조절구간인 180~360도의 회전반경 내에서 이동부(120)의 제1안내면(124)과 접촉하지 않는 상태가 되므로, 제2캠(142)에 의해서만 이동부(120)의 상하 방향 회동위치가 결정된다.
첨부도면 중,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 탄도 보정 장치에 따른 수평탄도보정 작용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 탄도 보정 장치에 따른 가이드부의 정면도이다.
가이드부(160)에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안내홀(161)은 탄환이 코리올리의 힘에 의해 진행방향에 대해 오른쪽으로 편향되는 것을 보정하기 위한 것으로, 목표물과의 거리에 따라 이동부(120)를 수직방향으로 회동시켜 수직탄도곡선을 목표물에 교차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부(120)가 수직방향 회동과 함께 수평방향으로도 회동하도록 함으로써, 도 2에서와 같이 각 거리별 수평탄도에 의한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는 제2캠(142)에 마련된 다수의 지지면 중 회전중심(144)과의 거리가 가장 짧은 지지면이 제2안내면(125)에 접촉하면서 이동부(120)가 최하단으로 회동한 상태(도 18의 (b) 참조)를 나타낸 것이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도 14의 (a)와 같이 이동부(120)에 마련된 안내돌기(126)가 가이드부(160)의 사선 방향으로 배치된 안내홀(161)의 하부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부(120)가 최하단으로 회동한 상태는 근거리에 위치한 목표물을 타격하기 위한 것이므로, 하우징(110)에 설치되는 총기의 총열과 이동부(120)에 설치되는 조준기의 광축이 비교적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이동부(120)는 일단부의 삽입공(122)으로 삽입된 제1회동축(131)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회동 가능한 상태이며, 이동부(120)의 타단부에 마련된 안내돌기(126)는 가이드부(160)의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안내홀(161)에 삽입된다. 즉, 이동부(120)가 하측 방향으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도 14의 (a)와 같이 이동부(120)의 안내돌기(126)가 사선 방향으로 배치된 안내홀(161) 내에서 하부 영역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이동부(120)의 상하 위치 조절에 대응하여 이동부(120)의 좌우 방향 위치가 결정된다.
또한, 상기 이동부(120)와 하우징(110)의 사이에는 제3탄성부재(153)가 배치되어 안내돌기(126)가 안내홀(161)의 양측 경사면 중 일측 경사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조립공차에 의한 보정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3탄성부재(153)는 후단부가 하우징(110)에 지지되고, 선단부는 이동부(120)의 외벽면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는 가압돌기(153a)의 후단부에 지지된다. 따라서, 이동부(120)가 제2회동축(132)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하는 과정에서도 이동부(120)가 일측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 지지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2회동축(132)과 안내돌기(126) 및 가압돌기(153a)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제3탄성부재(153)는 Y-Z평면 상에서 제2회동축(132)과 안내돌기(126)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분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동부(120)는 제2회동축(132)과 안내돌기(126) 및 가압돌기(153a)에 의해 하우징(110)에 대하여 3점 지지되므로 하우징(110)과의 조립공차에 의한 유격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제1캠(141)에 마련된 다수의 지지면 중 조절부(140)의 회전중심(144)과의 거리가 가장 긴 지지면이 제1안내면(124)에 접촉하면서, 이동부(120)가 최상단으로 회동한 상태(도 17의 (a) 참조)를 나타낸 것이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도 14의 (b)와 같이 이동부(120)에 마련된 안내돌기(126)가 가이드부(160)의 사선 방향으로 배치된 안내홀(161)의 상부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부(120)가 최상단으로 회동한 상태는 원거리에 위치한 목표물을 타격하기 위한 것이므로, 하우징(110)에 설치되는 총기의 총열과 이동부(120)에 설치되는 조준기의 광축이 소정의 사이각을 갖도록 함으로써, 수평방향에 대해서 코리올리의 힘에 의한 수평탄도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120)의 수평 방향 회동은, 이동부(120)의 일단부가 제1회동축(131)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할 수 있게 지지되고, 이동부(120)의 타단부에 마련된 안내돌기(126)가 가이드부(160)의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안내홀(161)에 삽입된다. 따라서, 이동부(120)가 상측 방향으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도 14의 (b)와 같이 이동부(120)의 안내돌기(126)가 사선 방향으로 배치된 안내홀(161) 내에서 상부 영역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이동부(120)의 상하 위치 조절에 대응하여 이동부(120)의 좌우 방향 위치가 결정된다.
즉, 조절부(140)를 이용해 이동부(120)를 상하로 회동시키면, 도 1에서와 같이 목표물(도 1 및 도 2의 A,B,C)의 거리에 따라 총기에 연결된 조준기가 상하로 회동하면서 총기와 조준기 사이각이 상하로 조절되므로, 포물선 형태를 이루는 탄환의 수직탄도곡선을 목표물이 위치한 지점에서 조준기의 조준선과 교차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조절부(140)를 이용해 목표물의 거리에 따라 수직탄도를 보정하는 과정에서, 이동부(120)는 가이드부(160)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도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도 2에서와 같이 코리올리의 힘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휘어지는 수평탄도곡선이 목표물(도 1 및 도 2의 A,B,C)이 위치한 지점에서 조준기의 조준선과 교차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목표물과의 거리에 따라 조절부(140)를 이용해 수직탄도를 보정하는 과정에서 수평탄도가 함께 보정되므로, 조준기를 이용해 목표물을 정조준하여 사격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타격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하나의 조절노브(143)를 단순히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목표물의 거리에 따른 수직탄도 및 수평탄도가 동시에 보정되므로, 조작이 간편하여 신속하게 사격할 수 있다.
첨부도면 중, 도 19는 도 5의 고정축(114)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고정축(11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제1고정부(111)가 총기(미도시)의 측면에 제3축(Z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조립된 상태에서, 하우징(110)의 제3축(Z축)방향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축(114)은 하우징(110)에 결합된 고정축하우징(114a)상에서 제1축(X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고정축하우징(114a)에 고정되는 제1고정링(114d)과 상기 고정축(114)의 선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114b)에 의해 돌출 방향으로 탄성지지된다. 즉, 제1고정부(111)와 총기가 제3축(Z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제1고정부(111) 상에서 고정축(114)의 선단부가 돌출되어 총기의 요철부(H)에 삽입됨에 따라, 하우징(110)의 제3축(Z축)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9의 (a)와 같이 고정축의 선단부가 제1고정부(111) 상에서 돌출된 상태에는, 상기 고정축(114)의 후단에 고정된 손잡이(114c)와 제1고정부(111)의 사이 거리(D1)는 고정축(114)과 인접 배치된 하우징(110)의 바디부(110a) 측면과 제1고정부(111)의 사이 거리(D2)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설정된다. 또한, 도 19의 (b)와 같이 고정축(114)을 잡아당겨 고정축(114)의 선단부가 제1고정부(111)의 내측으로 함몰된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축(114)의 후단에 고정된 손잡이(114c)와 제1고정부(111)의 사이 거리(D3)는 고정축(114)과 인접 배치된 하우징(110)의 바디부(110a) 상면과 제1고정부(111)의 사이 거리(D2)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또는 동일하게 설정된다. 또한, 하우징(110)의 바디부(110a) 상면과 제1고정부(111)의 사이 거리(D2)는 손잡이가 하우징(110)의 바디부(110a) 상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고정축(114)의 선단부가 제1고정부(111)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상태가 되도록 설정된다.
즉,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축(114)의 후단에 마련된 손잡이(114c)를 잡아당기면, 탄성부재(114b)가 탄성 압축되는 것과 동시에, 고정축(114)의 선단부가 총기의 요철부(H)로부터 이탈하면서 제1고정부(111)의 내측으로 함몰되므로, 하우징(110)과 총기가 제3축(Z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가 된다.
다만, 이러한 상태로 손잡이(114c)를 잡아당기는 힘을 해제하면, 탄성부재(114b)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고정축(114)의 선단부가 돌출되므로, 사용자는 제1고정부(111)를 제3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총기에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과정에서 손잡이(114c)를 잡아당기는 힘을 유지하여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즉, 한 손으로 손잡이(114c)를 잡아당긴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는 하우징(110)을 제3축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총기에 결합 또는 분리하는 과정이 요구되는데, 이때 총기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하우징(110)의 결합 또는 분리에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1축(X축)과 교차하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손잡이(114c)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회전 위치에 따라 하우징(110)의 바디부(110a)에 선택적으로 간섭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즉, 손잡이(114c)를 잡아당겨 고정축(114)의 선단부가 제1고정부(111)로부터 함몰되도록 한 상태에서, 손잡이(114c)를 회전시켜 손잡이(114c)의 일측이 하우징(110)의 바디부(110a)에 걸쳐지도록 하면, 고정축(114)이 돌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손잡이(114c)를 잡아당기는 힘을 해제하더라도 작용축(114)의 선단부가 제1고정부(111)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손으로는 하우징(110)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총기를 잡은 상태에서 하우징(110)을 제3축(Z축)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제1고정부(111)가 총기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제1고정부(111)를 제3축(Z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총기에 결합한 상태에서, 하우징(110)의 바디부(110a)에 걸쳐져 있던 손잡이(114c)를 회전시켜 바디부(110a)와의 간섭을 해제하면, 탄성부재(114b)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작용축(114)의 선단부가 제1고정부(111)로부터 돌출되면서, 총기의 요철부(H)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탄도 보정 장치는 총기의 측면에 장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탄도 보정 장치가 장착되는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탄도 보정 장치는 총기의 상면에 장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하우징, 111:제1고정부, 112:제1지지공, 113:제2지지공,
114:고정축, 114a:고정축하우징, 114b:탄성부재, 114c:손잡이,
114d:제1고정링, 115:하우징커버, 116:커버, 117:회전지지부,
120:이동부, 121:제2고정부, 122:삽입공, 123:관통공,
124:제1안내면, 125:제2안내면, 126:안내돌기, 126a:슬리브,
127:탄도받침, 130:조인트부, 131:제1회동축, 131a:관통홀,
131b:스페이서, 132:제2회동축, 140:조절부, 141:제1캠,
142:제2캠, 143:조절노브, 144:회전중심, 145:회전체,
146:커버, 151:제1탄성부재, 151a:스프링캡, 151b:스프링축,
151c:스프링가이드, 151d:제1스프링덮개, 151e:회전판,
151f:제2고정링, 152:제2탄성부재, 152a:제2스프링덮개,
153:제3탄성부재, 153a:가압돌기, 153b:제3스프링덮개,
153c:스프링캡, 154:제4탄성부재, 154a:가압돌기,
154b:제4스프링덮개, 160:가이드부, 161:안내홀, 170:실링부

Claims (24)

  1. 총기가 설치되는 제1고정부가 형성된 하우징;
    조준기가 설치되는 제2고정부가 형성된 이동부;
    상기 이동부가 하우징 상에서 상하, 좌우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과 이동부를 연결하는 조인트부;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이동부의 일측에 밀착하여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부의 상하 방향 위치를 결정하는 다각캠이 형성된 조절부; 및
    상기 다각캠은 동일 축선상에서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1캠과 제2캠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에는 조절부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제1캠이 접촉하는 제1안내면과 상기 제2캠이 접촉하는 제2안내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캠과 제2캠은 회전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다른 다수의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캠은 상기 조절부의 회전중심의 일측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캠은 상기 조절부의 회전중심의 타측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도 보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총기의 사정거리는 제1대구간과 제2대구간으로 분할되고,
    상기 제1캠은 제1대구간을 다수의 소구간으로 분할하여 수직탄도를 보정하고, 상기 제2캠은 제2대구간을 다수의 소구간으로 분할하여 수직탄도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도 보정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내면은 상기 조절부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제1안내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도 보정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와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조절부와 이동부가 탄력적으로 밀착되도록 상기 이동부를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도 보정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이동부가 수용되는 내부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외주면이 하우징에 고정되고 내주면이 이동부의 제1고정부에 고정되는 연질의 실링부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도 보정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일측이 상기 이동부에 지지되며, 상기 이동부의 상하 방향 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부의 좌우 방향 위치를 결정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탄도 보정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의 단부에는 안내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안내돌기가 삽입되어 경사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안내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도 보정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와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안내돌기가 경사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3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도 보정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는 상기 이동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회동축과, 상기 제1회동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회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도 보정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축과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회동축을 축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도 보정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의 양측면에 배치되어 이동부의 외측면과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에 탄력적으로 개재되는 제4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도 보정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4탄성부재 중 어느 하나는 제2회동축과 다른 하나의 제4탄성부재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분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도 보정 장치.
  15. 총기와 연결되는 제 1고정부와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 이동부;
    사이트 장치와 연결되는 제 2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부를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고 동일한 축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방향 이동부재와, 상기 수직방향 이동부재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와, 상기 이동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수평방향 이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방향 이동부재는, 상기 조작부에 의해 상기 수직방향 이동부재가 조작됨에 따라 동시에 조작되고,
    상기 수직방향 이동부재는 제 1수직방향 이동부재와 제 2수직방향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수직방향 이동부재와 제 2수직방향 이동부재는 회전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다른 다수의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수직방향 이동부재는 상기 조작부의 회전중심의 일측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2수직방향 이동부재는 상기 조작부의 회전중심의 타측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도 보정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지면 각각은 목표물까지의 거리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도 보정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지면 각각은 선택될 때 상기 총기의 축과 상기 사이트 장치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도 보정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수직방향 이동부재와 제 2수직방향 이동부재는 동일축상에서 서로 겹치지 않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도 보정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수직방향 이동부재와 제 2수직방향 이동부재는 다수의 지지면을 가지는 다각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도 보정 장치.
  20. 광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반사하여 도트시표 허상을 형성하는 반사경;
    탄도를 보정하는 탄도 보정 장치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탄도 보정 장치는
    총기와 연결되는 제 1고정부와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 이동부;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부를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고 동일한 축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방향 이동부재와, 상기 수직방향 이동부재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와, 상기 이동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수평방향 이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방향 이동부재는, 상기 조작부에 의해 상기 수직방향 이동부재가 조작됨에 따라 동시에 조작되고,
    상기 수직방향 이동부재는 제 1수직방향 이동부재와 제 2수직방향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수직방향 이동부재와 제 2수직방향 이동부재는 회전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다른 다수의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수직방향 이동부재는 상기 조작부의 회전중심의 일측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2수직방향 이동부재는 상기 조작부의 회전중심의 타측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도 보정 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지면 각각은 목표물까지의 거리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지면 각각은 선택될 때 상기 총기의 축과 상기 사이트 장치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수직방향 이동부재와 제 2수직방향 이동부재는 동일축상에서 서로 겹치지 않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수직방향 이동부재와 제 2수직방향 이동부재는 다수의 지지면을 가지는 다각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장치.
KR1020170073240A 2016-06-14 2017-06-12 탄도 보정 장치 및 탄도 보정 장치를 가지는 사이트 장치 KR102451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623,203 US10060706B2 (en) 2016-06-14 2017-06-14 Trajectory correcting device and sight device having the same
US16/050,462 US10254080B2 (en) 2016-06-14 2018-07-31 Trajectory correcting device and sight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73677 2016-06-14
KR1020160073677 2016-06-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123A KR20170141123A (ko) 2017-12-22
KR102451531B1 true KR102451531B1 (ko) 2022-10-06

Family

ID=60937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3240A KR102451531B1 (ko) 2016-06-14 2017-06-12 탄도 보정 장치 및 탄도 보정 장치를 가지는 사이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53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159B1 (ko) 2007-07-06 2009-07-03 정인 대구경 도트 사이트 장치
KR101059035B1 (ko) * 2008-09-11 2011-08-24 정인 탄도 보정 장치
KR101344981B1 (ko) * 2011-03-25 2013-12-24 정보선 다중 탄도보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123A (ko) 2017-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6200E1 (en) Device for multi-correcting the trajectory
US10254080B2 (en) Trajectory correcting device and sight device having the same
KR101394738B1 (ko) 권총용 도트사이트 장치
US4939863A (en) Laser aiming device for firearms, archery bows, and crossbows
KR100906159B1 (ko) 대구경 도트 사이트 장치
US20170082400A1 (en) Optical system accessory with cant indication
KR102517667B1 (ko) 조절가능한 반사 조준경
JP2009174845A (ja) 弾丸降下補正のための調節可能照準マークを有するガンサイト・レチクル
KR101375457B1 (ko) 권총용 도트사이트 장치
IL223777A (en) Intentional shooting with multicocal collimator
KR102323147B1 (ko) 도트 사이트 조준기
KR102541156B1 (ko) 도트 사이트 장치
KR102451531B1 (ko) 탄도 보정 장치 및 탄도 보정 장치를 가지는 사이트 장치
US9389045B2 (en) Aiming device for guns
KR100921308B1 (ko) 대구경 도트 사이트 조준경
ES2693319T3 (es) Sistema de guiado de misiles para vehículos y blancos móviles
KR100934778B1 (ko) 대구경 도트 사이트 조준경
KR101606209B1 (ko) 무빙 레드 도트형 조준 장치
JP4022214B2 (ja) 武器模型の弾丸軌道修正装置
CN102494556B (zh) 稳像发射机
US964703A (en) Telescope-sight.
KR101375373B1 (ko) 도트사이트 장착용 권총 슬라이드
KR101522528B1 (ko) 영상분배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준경
JP5378257B2 (ja) 移動レッドドットを備える改良型照準装置
KR100921310B1 (ko) 대구경 도트 사이트 조준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