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1308B1 - 대구경 도트 사이트 조준경 - Google Patents

대구경 도트 사이트 조준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308B1
KR100921308B1 KR1020090045481A KR20090045481A KR100921308B1 KR 100921308 B1 KR100921308 B1 KR 100921308B1 KR 1020090045481 A KR1020090045481 A KR 1020090045481A KR 20090045481 A KR20090045481 A KR 20090045481A KR 100921308 B1 KR100921308 B1 KR 100921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icle
target
reflector
sight
dot s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4702A (ko
Inventor
정인
이동희
Original Assignee
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 filed Critical 정인
Priority to KR1020090045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1308B1/ko
Publication of KR20090074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4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30Reflecting-sights specially adapted for smallarms or ord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06Rearsights
    • F41G1/16Adjusting mechanisms therefor; Mountings theref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10Mirrors with curved fa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구경 도트 사이트 조준경에 관한 것이며, 이 조준경은 기관총의 기관부 상단에 착탈된다. 본 발명은 시차를 최소화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한 조준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충격에 의하여 상기 반사경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반사경 내부에 충격흡수 부재층을 삽입한 구성을 제공하며, 목표물의 종류, 특성과 목표물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표적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타격할 수 있는 대구경 도트 사이트 조준경에 관한 기술을 상세하게 개시한다.
Figure R1020090045481
도트 사이트, 조준, 사격, 기관총, 시차, 구면, 반사면, LED, 곡률반경, 비구면, 코닉계수, 래티클, 탄도 곡선

Description

대구경 도트 사이트 조준경{A DOT SIGHTING DEVICE FOR LARGE CALIBER}
본 발명은 총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조준경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대구경 도트 사이트 조준경에 관한 것이다.
소총의 특성은 신속하게 조준사격을 할 수 있는지(신속성)와 그 조준사격이 정확하게 목표물을 향하는지(정확성)에 의해서 좌우되며, 이는 소총의 조준과 직접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소총의 조준은 가늠자와 가늠쇠의 조준선 정렬에 의해 이루어진다. 총열의 끝단에 위치하는 가늠쇠와 총기 주몸체 상부에 위치하는 가늠자의 조준선 정렬에 의한 조준은, 그 총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실력에 따라서 정확한 사격을 가능하게 해 준다. 그러나 작은 진동이나 떨림에도 조준선 정렬이 어려워지고, 근거리나 급박한 상황에서 요청되는 신속한 조준에 불리한 문제점이 있다. 즉 이와 같은 조준사격 방법에서는, 목표 포착 및 확인, 조준선 정렬, 조준 등의 복잡한 과정과 시간이 요구되며, 가늠쇠와 가늠자 자체가 매우 작아서 이를 정확하게 정렬함에 있어 작은 떨림에도 민감하게 반응할 뿐만 아니라, 지나치게 조준선 정렬에 신경을 쓰다 보면 목표물이나 전방 상황보다는 가늠쇠와 가늠자 자체에 시선이 집중되어 시야가 좁아지는 것이다.
조준선 정렬의 번거로움을 해결하면서 좀더 정확성이 높이기 위해 광학식 조준기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광학식 조준기의 경우 망원렌즈를 사용하기 때문에 배율이 올라가면 마찬가지로 작은 떨림에도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신속한 조준이 불가능하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광학식 조준기에서 무배율(저배율) 렌즈를 채택하고, 복잡한 조준선을 없애면서 간단하게 조준점만 이용하는 도트 사이트 장치가 제안되었다.
광학식 도트 사이트 조준기는 간단하고 빠른 조준이 가능하다는 데 특징이 있으며, 신속한 대응이 필요한 급박한 상황이나 근거리에서 매우 유용한 장점이 있다. 즉, 조준선 정렬의 시간이 거의 요구되지 않는데다 조준 자체도 광점(光點)을 목표물로 신속하게 이동시키면 되고, 시야 확보도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준에 걸리는 시간뿐만 아니라 조준으로 인해 주변 시야 및 상황확인이 방해되는 것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광학식 도트 사이트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원통형 구조를 이루어지는 조준경 하우징(2) 상부에 내부 경통 정렬용 조절단자(7)가 위치하고, 하부에는 소총 가늠자 뭉치 상단에 레일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그릴(26)이 구성되며, 하우징 전단부에 보호용 윈도우(10), 하우징(2) 내부 경통 상단 소정 위치에는 광원을 만드는 발광소자 LED(8) 및 특정 굴곡률을 가지며 하우징(2) 내부의 상기 보호용 윈도우(10) 뒤에 위치하는 반사경(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반사경(9)은 관측자(사용자)의 시선이 도트 사이트 장치(1) 선단으로 투시하되, 대략 650nm 가량의 광선을 갖는 LED 광점을 반사하도록 코팅되어 있고, 그 전후면 곡률반경은 구면으로 같은 곡률을 가지고 있다.
상기 반사경(9)은 관측자(사용자)의 시선은 도트 사이트 장치(1) 선단으로 투시하되, 대략 650nm 가량의 광선을 갖는 LED(8)의 광점을 후단으로 반사하여 준다. 관측자(사용자)는 LED의 광점과 목표물이 일치할 때 사격함으로써 조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좀더 이론적으로 살펴보면, 광학식 도트 사이트 장치(1)의 내부에 위치한 LED(8)로부터 만들어지는 점광원이 반사경(9)에 의해 반사되어 관측자의 눈에 평행하게 입사되도록 의도되고, 이 평행도는 총열의 탄환 발사축과 일치되도록 의도된다. 그러나 도트 사이트 장치(1)의 평행도와 총열의 탄환 발사축과 일치하지 않으면 관측자가 비록 LED(8) 빔의 도트를 사격 목표점에 일치시키더라도 명중하지 않기 때문에, 도트 사이트 장치(1)의 평행도와 총열의 탄환 발사축과 일치시키도록 하기 위해 수직과 수평기능을 갖는 내부 경통 정렬용 단자(7)를 구비하여 내부 경토의 광축을 총열의 탄환 발사축과 일치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반사경(9)의 전면(하우징 내부 방향)에는 LED 광점을 반사하도록 코팅되어 있고, 그 전후면 곡률반경은 구면으로 같은 곡률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LED(9)에서 방출된 광선이 반사경(9)에 반사되어 정확하게 총열과 나란하게 반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시차(parallax)가 발생된다'라고 표현한다. 이 시차의 발생은 목표점에 대한 명중도를 떨어뜨린다.
도 3은 구면(Spherical Surface) 반사면에서의 반사광선이 서로 나란하지 않은 시차를 보여주고 있다.
한편, 중기관총용 대구경의 도트 사이트 조준경은 현재 개발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왜냐하면 양안으로 반사경을 주시하여 전방의 시표를 추적하기 위해서는 반사경의 크기가 일반 소총용에 비해서 상당히 크게 하여야 하기 때문이며,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고, 이 때문에 지금까지 개발이 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이때 반사경의 크기가 커지면 반사경 주변부의 수차 증가로 인한 반사경 자체의 시차 발생으로 도트 사이트 장치의 평행도와 총열의 탄환 발사축의 일치성이 사라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이 시차의 발생은 목표점에 대한 명중도를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한다.
한편, 중기관총의 목표물은 근/원거리 적군, 정지된 차량 및 전차(정지 타깃), 움직이는 차량 및 전차(이동 타깃), 대공 목표물(헬기, 전투기) 등이 될 수 있다. 그런데 이들 각각은 진행속도, 거리, 크기 등이 다르기 때문에 반사경에 나타나는 도트의 크기, 모양, 위치 등을 서로 다르게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거리별 탄착지점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도트 사이트 본체의 광축과 총열의 발사축과의 평행도를 기구적으로 조정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기구적인 조정은 거리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없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어 목표물을 놓치거나 상황에 따라 효과적으로 타격할 수 없는 문제점을 노출하였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었다.
신속한 조준을 그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도트 사이트 장치에 명중도를 높이는 보정이 가능하다면, 도트 사이트 장치의 효율성은 크게 배가될 것임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시차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신속하게 조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격의 유효적중률이 배가된 도트 사이트 조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조준경 하우징이 중기관총의 기관부에 장착되는 대구경 도트 사이트 조준경에 있어서, 상기 조준경 하우징은 LED와 상기 LED에서 발생된 광원을 반사하는 반사경을 포함하며, 충격에 의하여 상기 반사경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반사경 내부 또는 일측에 보호윈도우와 함께 충격흡수 부재 층을 삽입하며, 상기 반사경을 Doublet으로 구성하여, 상기 반사경의 제1면 및 제3면은 구면을 형성하고, 제1면은 입사면이고, 제2면은 LED 반사면으로 하되, 상기 제1면 및 제3면의 곡률반경이,
Figure 112009031208805-pat00001
{doublet의 제1면과 제3면의 중심 사이의 거리(중심두께)를 d, 제1면 곡률반경을 R1, 제3면의 곡률반경을 R3라고 하고, 재질의 굴절률을 n이라 함, 이때 D1은 제1면의 굴절력, D2는 제3면의 굴절력을 의미한다}
을 만족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 부재 층은 실리콘층으로 이루어진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반사경의 제2면이 코닉계수를 포함하는 비구면으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례에서, 본 발명의 상기 대구경 도트 사이트 조준경은 목표물을 조준하는 레티클 조절구를 포함하며, 상기 레티클의 조절구에 목표물의 특성에 따른 다수의 투영 레티클들을 구성하고, 상기 레티클 조절구를 회전시켜 목표물에 대응하는 투영 레티클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각 투영 레티클들은, ① 정지된 차량 및 전차용 투영 레티클, ② 이동중인 차량 및 전차용 투영 레티클, ③ 대공용 헬기용 투영 레티클, ④ 대공용 전투기용 투영 레티클, ⑤ 인마용 원거리 투영 레티클, ⑥ 인마용 근거리 투영 레티클 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례에서는, 상기 대구경 도트 사이트 조준경은 목표물을 조준하는 레티클 조절구를 포함하며, 상기 레티클의 조절구를 회전하면서 탄착점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구경 도트 사이트 조준경.
또한,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례에서는, 상기 대구경 도트 사이트 조준경의 하방에 설치된 탄도보정구를 회전시켜 도트 사이트의 높낮이를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조정하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대구경 도트 사이트 조준경의 반사경을 Doublet으로 하고, 제1면, 제3면의 곡률반경의 조건을 (식1)과 같이 맞추어 줌으로써 시차를 최소화하고, 외부 목표점에 대한 배율 발생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충격에 의하여 조준경의 반사경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목표물의 특성과 거리를 고려하여 신속, 정확하게 목표물을 효율적으로 조준하여 사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공지 구성 등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례>
도 4는 본 발명의 따른 일 실시례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LED와 반사면 사이의 거리를 200mm로, 중심두께는 4.0mm로 설정하였다.
LED 도트는 반사면(100)의 제2면(102)인 R2 면에서 반사되어 나가는데 이때 입사할 때 제1면(101)인 R1 면을 지나고 제2면(102)인 R2면에서 반사한 다음에 다시 제1면(101)인 R1 면을 지나서 관측자의 눈에 입사된다. 즉 변수 R1 면을 두 번 지나고 변수 R2 을 한 번 지나기 때문에 설계에 있어서의 자유도가 더 주어진다. 이 때문에 시차를 더욱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외부 목표점이 관측자의 눈에 결상될 때 배율 발생을 줄이기 위해 어포컬(afocal) 시스템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구성은 아래의 (식1)을 이용하여 제1면(101)및 제3면(103)의 곡률반경에 적용한다.
doublet의 제1면(101)과 제3면(103)의 중심 사이의 거리(중심두께)를 d, 제1면 곡률반경을 R1, 제3면(103)의 곡률반경을 R3라고 하고, 재질의 굴절률을 n이라 할 때,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하도록 하였다.
Figure 112009031208805-pat00002
이때 D1은 제1면(101)의 굴절력, D2는 제3면(103)의 굴절력을 의미한다.
본 실시례를 통해, 시차는 백분율로 80% 이상의 개선효과가 있었다.
또한, 도 5와 같이 제2면(102)이 코닉(conic) 계수를 포함하는 비구면이었을 때 시차는 더욱 최소화되고, 이때 시차는 상기 도 4의 실시례보다 90% 이상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었다.
밑의 3가지 그래프는 각각 기존의 단일 반사면인 경우, Doublet 반사면인 경우(두 렌즈 사이의 반사면이 구면), Doublet 반사면이면서 두 렌즈 사이의 반사면으로 코닉 비구면을 채택한 경우의 자오광선(Tangential ray) 수차도를 나타내고 있다. 각각 렌즈기울임각 -2.0도이다.
*Graph 1
Figure 112009031208805-pat00003
*Graph 2
Figure 112009031208805-pat00004
*Graph 3
Figure 112009031208805-pat00005
위 각각의 그래프 중에서 첫 번째 그래프는 구면수차를 나타내는데 이것이 x 축과 일치되면 시차가 없는 상태가 된다. 기존의 단일 반사면인 경우의 최대 수차 값은 0.02mm이고, Doublet의 중간면을 구면 반사면으로 채택한 경우의 최대 수차 값은 0.004mm이며, Doublet의 중간면을 코닉 비구면 반사면으로 채택한 경우의 최대 수차 값은 0.0004mm이다. 따라서 전체 영역의 중심에서의 50% 공간을 유효 공간으로 본다면, 기존의 단일 반사면인 경우와 Doublet의 중간면을 구면을 반사면으로 채택한 경우의 비교에서는 최소 80% 이상의 개선효과(구면수차량(y축)의 x축(LED 광선이 반사하는 유효공간)에 대한 적분값의 비교에서)가 있게 되고, Doublet의 중간면을 구면을 반사면으로 채택한 경우와 Doublet의 중간면을 코닉 비구면 반사면으로 채택한 경우의 비교에서는 최소 90% 이상의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계산된다.
<제 2 실시례>
대구경 도트 사이트 조준경의 반사경(100)은 소총보다 매우 크다. 따라서 충격에 의해 손상될 가능성이 매우 크며, 본 실시례는 이를 대비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6는 두 가지 경우의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사경(100) 내부 또는 일측에 보호윈도우와 함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부재(104),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층을 삽입한다. 이 실리콘층은 반사경에 가해지는 외부충격을 흡수함으로써 반사경(100)의 파손을 방지하고, LED 광원의 입사면, 즉 제1면(101)인 R1과 반사면, 즉 제2면(102)인 R2를 보호한다.
<제 3 실시례>
중기관총의 목표물은 정지된 차량 및 전차, 이동중인 차량 및 전차, 대공 목표물(헬기, 전투기), 사람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목표물은 각각 진행 속도, 거리, 크기 등이 상이하기 때문에 목표물의 명중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각 목표물의 이러한 특성을 조준경이 반영하여야 한다.
본 실시례는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되어 있으며, 위와 같은 목표물의 특성을 미리 설정하고 반영한다. 도 7(a)는 본 실시예의 도트 사이트 조준경의 개념을 나타내며, 도 7(c)는 레티클하우징부(200)을 확대 도시하여 그 원리를 더 상세히 나타낸다(본 도면은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다). 레티컬 하우징부(200)에는 광원을 발생시키는 LED(209)와 각종 도트 발생용 투영(projection) 레티클들(206(a)~206(f))이 있는 레티클판(206), 레티클 조절구(215)가 구성된다. LED(209)에서 조사된 광원은 레티클판(206)을 통과하여 반사경(100)에 조사되며, 반사된다. 이 반사광을 사격자가 망막에 결상시켜보면 레티클판(206)의 투영 레티클들(206(a)~206(f)) 중의 하나의 레티클 상을 반사경(100)을 통하여 본 목표물과 중첩시켜 보게 되어 목표물을 정확하게 사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c)의 도면부호 206(a), 206(d)는 임의의 투영 레티클을 나타내며, 도면부호 214는 레티클판(206)을 회전할 때의 회전축을 의미한다.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대구경 도트 사이트 조준경(150)은 목표물에 따라 대응하는 레티클을 선택할 수 있는 레티클 하우징부(200)를 포함한다. 레티클 하우징부(200)의 내부 구성은 도 11에 나타나 있다. 상기 레티클 하우징부(200)는 외부적으로는 레티클 조절구(215)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레티클을 조절하여 각종 투영 레티클들의 도트 상을 목표물에 일치시켜 조준하는 사용자의 관점에서는 실제로 레티클 조절구(215)를 이용하여 목표물에 해당하는 투영 레티클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레티클 조절구에 목표물의 특성에 따른 각종 투영 레티클들이 구성된 레티클판(206)이 구성되어, 상기 조절구를 회전하여 투영 레티클을 선택하도록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내부의 레티클판(206)에 목표물의 특성에 따른 각종 투영 레티클을 구성하고, 상기 레티클 조절구(215)를 회전하여 광원에 의해 반사경(100)에 투영 반사시킬 레티클을 선택하는 것이다. 도면부호 151은 조준경 하우징을 총기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이며, 도면부호 152는 베터리 케이스, 도면부호 153은 LED 밝기 조절스위치이다.
도 7(d)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목표물의 종류와 특성에 따른 레티클판(206)의 투영 레티클들은, ① 정지된 차량 및 전차용 투영 레티클(206(c)), ② 이동중인 차량 및 전차용 투영 레티클(206(d)), ③ 대공용 헬기 투영 레티클(206(e)), ④ 대공용 전투기용 투영 레티클(206(f)), ⑤ 인마용 원거리 투영 레티클(206(a)), ⑥ 인마용 근거리 투영 레티클(206(b))으로 구성되어 유효사격 범위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정지된 차량 및 전차용 정지 목표물을 조준하여 사격하는 경우에는 레티클 조절구를 회전하면서 ① 정지된 차량 및 전차용 투영 레티클로 맞춘 후 투영광원(209)에 의해 반사경(100)에 투영 반사시킨 ① 정지된 차량 및 전차용 투영 레티클의 도트 상(image)을 목표물에 중첩시켜 사격한다. 현재 움직이고 있는 차량 및 전차용 목표물을 조준하여 사격하는 경우에는 레티클 조절구를 회 전시켜 ② 이동중인 차량 및 전차용 투영 레티클로 맞춘 후 반사경(100)에 투영된 ② 이동중인 차량 및 전차용 투영 레티클의 도트 상을 목표물에 중첩시켜 사격한다. ①에 비해 ②의 경우 목표물을 향하는 탄알의 궤적의 폭(유효사격 범위)이 더 크다. 도면부호 220은 투영 레티클들의 회전기준선을 의미한다.
<제 4 실시례>
본 실시례는 탄도곡선(거리별 탄착지점의 변화)을 조정하기 위한 실시례다. 도 8은 이 실시례를 나타내고 있다. 목표물 간의 거리와 발사된 탄알에 미치는 중력을 고려한다. 멀리 있는 목표물로 하여 탄알을 발사한 경우, 탄알은 가까이 있는 목표물에 비하여 중력의 영향을 더 받고 따라서 그 탄도곡선의 곡률반경은 더 커지게 된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멀리 있는 목표물의 경우 가까이 있는 목표물보다 좀더 높게 조준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대구경 도트 사이트 조준경은 레티클 조절구를 회전시킴으로서 목표물에 따라 목표물의 거리에 따른 탄착점 보정 투영 레티클(206(g)~206(l) 중의 하나)을 반사경(100)에 투영 반사시켜 도트 상을 만들어 목표물과 중첩시켜 사격자가 거리가 서로 다른 목표물을 정확하게 사격할 수 있도록 탄착점 보정 투영 레티클을 선택하게 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회전축에서의 거리가 서로 다른 탄착점 보정 투영 레티클(206(g)~206(l))을 원형으로 배치하고 레티클판(206)을 회전시켜 반사경(100)에 필요로 하는 목표물의 위치에 대응하는 탄착점 보정 투영 레티클을 투영 반사시킬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도 8과 같이 사격거리에 따른 탄착점의 높이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탄착점 보정 투영 레티클들의 위치가 광원을 발생시키는 LED(209)의 기준 높이의 궤적인 도 8의 레티클(206(g))을 지나는 점선궤적에서 목표물의 거리에 따라 산술적으로 계산된 양 만큼 레티클판(206)의 회전 중심 쪽으로 이동시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 및 도 10은 본 실시례의 또 다른 변형 실시례를 나타낸다. 이 실시례는 대구경 도트 사이트 조준경의 하방에 설치된 탄도보정구(300)를 회전시켜 도트 사이트의 높낮이를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는 탄도보정구(300)가 대구경 도트 사이트 조준경(150)의 하방에 설치되는 도면을 부분 분리사시도로서 나타내며, 도 10(a)는 총열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탄도보정구가 설치된 총열지지대 부분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면부호 301은 상하 조절시 앞뒤 좌우의 위치 변화가 없도록 하는 볼트를 나타내며, 탄도보정구와 연결된다. 탄도보정구(300)는 편심 육각 너트 또는 편심 다각 너트 형상을 하여 회전축 중심에서 육각 또는 다각 면까지의 거리를 다르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소정의 각도로 탄도 보정구를 회전시켰을 때 탄도 보정구의 육각 또는 다각의 한 면에 압축 스프링과 같은 밀착수단에 의해 밀착되어 있는 총열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도 10(b) 내지 도 10(d)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탄도보정구(300)를 회전시키면 최대 반경에서는 도트 사이트 베이스 자체가 올라가고(도 10(b)의 (1) 및 도 10(c)), 최소 반경에서는 도트 사이트 베이스가 내려가게 된다(도 10(b)의 (2) 및 도 10(d)). 이를 통해 도트 사이트의 높낮이가 조절되어 목표물과 조준경 사이 의 거리를 고려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레티클 하우징부(200)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다. 포스트(201)를 레티클 하우징(202)에 넣고 포스트 고정 너트(203)로 고정하며, 레티클 프레임(205)을 가열하여 팽창시킨 후 레티클 프레임 베어링(204)을 압입한다. 레티클판(206)은 레티클프레임(205)의 안쪽에 접착시킨다. 상기 포스트(201)를 조립된 레티클 프레임 베어링(204)과 레티클 프레임(205)과 레티클판(206)에 넣고 프레임 고정너트(207)로 조여 고정한다. LED(209)를 LED 하우징(208) 안에 넣은 후 LED 하우징(208)을 포스트에 넣은 후 LED 하우징 고정너트(210)로 조인다. 그 위에 레티클 회전 프레임(211)을 조립한 후 회전 프레임 고정 너트(212)로 조여 준다. 회전 프레임 고정 너트(212)는 2개의 너트로 서로 조여 레티클 회전 프레임(211)이 빠지지 않도록 한다. 레티클 하우징 캡(213)은 3개의 비스로 레티클 회전 프레임(211)에 배면방향에서 고정된다. 레티클 하우징 캡(213)의 옆에 고정되는 3개의 비스가 레티클 하우징(202)의 홈에 걸려 레티클 하우징 캡(213)의 이탈을 막아줄 수도 있다. 도 11의 좌측 상단의 도면은 레티클 프레임(205)와 레티클 회전 프레임(11)에 결합된 3개의 비스가 레티클 하우징(202)의 홈에 걸려 포지션을 유지하는 개념을 설명하고 있으며, 도 11의 우측 하단 도면은 각 구성요소들의 결합관계를 더 보여주고 있다.
이상의 실시례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사항으로부터 정해지는 권리범위를 축소하거나 제한하지 아니함을 첨언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도트 사이트 조준장치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트 사이트 조준장치를 소총에 장착하고 조준사격을 하는 사용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구면 반사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선의 시차발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서의 반사경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서의 반사경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반사경의 내부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례에 따른 대구경 도트 사이트 조준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례에 따른 대구경 도트 사이트 조준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레티클의 내부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돋구기 위하여 참조로 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첨언한다.

Claims (1)

  1. 조준경 하우징이 중기관총의 기관부에 장착되는 대구경 도트 사이트 조준경에 있어서,
    상기 조준경 하우징은 LED와 상기 LED에서 발생된 광원을 반사하는 반사경과,
    회전 중심으로부터 각 면 까지의 높이가 서로 다른 편심 다각 너트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대구경 도트 사이트 조준경의 하방에 설치되는 탄도보정구(300)와,
    총열지지대와 대구경 도트 사이트 조준경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총열지지대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탄도보정구를 회전시켜 상기 총열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된 도트 사이트의 높낮이를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구경 도트 사이트 조준경.
KR1020090045481A 2009-05-25 2009-05-25 대구경 도트 사이트 조준경 KR100921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481A KR100921308B1 (ko) 2009-05-25 2009-05-25 대구경 도트 사이트 조준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481A KR100921308B1 (ko) 2009-05-25 2009-05-25 대구경 도트 사이트 조준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6633A Division KR100934778B1 (ko) 2006-12-28 2006-12-28 대구경 도트 사이트 조준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4702A KR20090074702A (ko) 2009-07-07
KR100921308B1 true KR100921308B1 (ko) 2009-10-13

Family

ID=41331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481A KR100921308B1 (ko) 2009-05-25 2009-05-25 대구경 도트 사이트 조준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13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269B1 (ko) 2011-05-30 2012-03-14 임도현 조준경용 렌즈 및 이를 이용한 조준경 시스템
WO2012121531A2 (ko) * 2011-03-08 2012-09-13 Jeung Bo Sun 디스플레이형 광학식 조준경
US8813410B2 (en) 2012-10-10 2014-08-26 In Jung Dot-sighting device
USRE46487E1 (en) 2007-07-06 2017-07-25 In Jung Dot sighting device with large calib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0561Y1 (ko) * 1980-04-19 1982-04-03 국방과학연구소 야간투광 조준장치
KR200192153Y1 (ko) 1998-06-24 2000-09-01 박수안 물안경의 실리콘패킹구조
KR200398487Y1 (ko) 2005-07-22 2005-10-13 권동주 주야 겸용 조준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0561Y1 (ko) * 1980-04-19 1982-04-03 국방과학연구소 야간투광 조준장치
KR200192153Y1 (ko) 1998-06-24 2000-09-01 박수안 물안경의 실리콘패킹구조
KR200398487Y1 (ko) 2005-07-22 2005-10-13 권동주 주야 겸용 조준경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46487E1 (en) 2007-07-06 2017-07-25 In Jung Dot sighting device with large caliber
USRE49977E1 (en) 2007-07-06 2024-05-21 Dongin Optical Co., Ltd. Dot sighting device with large caliber
USRE48746E1 (en) 2007-07-06 2021-09-21 Dongin Optical Co., Ltd. Dot sighting device with large caliber
USRE48545E1 (en) 2007-07-06 2021-05-04 Dongin Optical Co., Ltd. Dot sighting device with large caliber
USRE47256E1 (en) 2007-07-06 2019-02-26 Dongin Optical Co., Ltd. Dot sighting device with large caliber
USRE47133E1 (en) 2007-07-06 2018-11-20 Dongin Optical Co., Ltd. Dot sighting device with large caliber
USRE46764E1 (en) 2007-07-06 2018-03-27 Dongin Optical Co., Ltd. Dot sighting device with large caliber
KR101345028B1 (ko) * 2011-03-08 2013-12-26 이동희 디스플레이형 광학식 조준경
US10330439B2 (en) 2011-03-08 2019-06-25 Bo Sun Jeung Display-type optical telescope sight
WO2012121531A3 (ko) * 2011-03-08 2012-12-20 Jeung Bo Sun 디스플레이형 광학식 조준경
WO2012121531A2 (ko) * 2011-03-08 2012-09-13 Jeung Bo Sun 디스플레이형 광학식 조준경
KR101116269B1 (ko) 2011-05-30 2012-03-14 임도현 조준경용 렌즈 및 이를 이용한 조준경 시스템
WO2012165752A1 (ko) * 2011-05-30 2012-12-06 Lim Do Hyeon 조준경용 렌즈 및 이를 이용한 조준경 시스템
US9470478B2 (en) 2012-10-10 2016-10-18 In Jung Dot-sighting device
US9194656B2 (en) 2012-10-10 2015-11-24 In Jung Dot-sighting device
US8997392B1 (en) 2012-10-10 2015-04-07 In Jung Dot-sighting device
US8813410B2 (en) 2012-10-10 2014-08-26 In Jung Dot-sigh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4702A (ko) 2009-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7742B2 (ja) 大口径ドットサイト装置
USRE47336E1 (en) Device for multi-correcting the trajectory
US5901452A (en) Gunsight
KR100667472B1 (ko) 도트 사이트 조준경
US20130263491A1 (en) Dot-sight device with polarizers
KR100921308B1 (ko) 대구경 도트 사이트 조준경
KR100934778B1 (ko) 대구경 도트 사이트 조준경
KR100921310B1 (ko) 대구경 도트 사이트 조준경
KR100921309B1 (ko) 대구경 도트 사이트 조준경
RU2560355C2 (ru) Голографический коллиматорный прицел
CN217383990U (zh) 瞄准镜及其激光测距模组
KR20100092377A (ko) 무빙 레드 도트형 조준 장치
KR102152261B1 (ko) 도트 사이트용 반사경 제조방법
WO2011135603A1 (en) Optical component for diasporometers, a diasporometer and a device comprising said diasporometer
WO2011135602A1 (en) Sighting device for less than lethal weapons with interface to a regulating system for adjusting the kinetic energy of the projectile fired from said weap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