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472B1 - 탈착식 천장복사패널 - Google Patents

탈착식 천장복사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472B1
KR102451472B1 KR1020210040922A KR20210040922A KR102451472B1 KR 102451472 B1 KR102451472 B1 KR 102451472B1 KR 1020210040922 A KR1020210040922 A KR 1020210040922A KR 20210040922 A KR20210040922 A KR 20210040922A KR 102451472 B1 KR102451472 B1 KR 102451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metal plate
pipe
heat conduction
straigh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창군
Original Assignee
신창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창군 filed Critical 신창군
Priority to KR1020210040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4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89Systems using radiation from walls or panels
    • F24F5/0092Systems using radiation from walls or panels ceilings, e.g. cool ce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8Special adaptations of floors for incorporating ducts, e.g. for heating or ventil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분해 및/또는 해체가 용이하여, 유지 보수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 탈착식 천장복사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를 위한, 탈착식 천장복사패널은, 천장 마감 메탈 판부; 상기 천장 마감 메탈 판부와 평행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면에 형성된 배관 안착부,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면에 함몰 형성된 자석띠홈을 포함하며, 상기 천장 마감 메탈 판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열전도바들;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관 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복수개의 열전도바들과 열전도적으로 접촉하는 열유체 배관; 및 상기 자석띠홈에 삽입되어, 상기 열전도바들을 상기 천장 마감 메탈 판부 상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시키는 자석띠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탈착식 천장복사패널{Removable ceiling radiant panel}
본 발명은 천장복사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사하게는, 분해 및/또는 해체가 용이하여, 유지 보수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 탈착식 천장복사패널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실내를 냉난방하는 방법 중 하나로 최근에는 건물의 실내 천장에 천장복사패널을 설치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통상, 천장복사패널은 천장 마감재인 스틸 시트 또는 스틸 패널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으로써, 냉방용 또는 난방용 유체(바람직하게는, 물)이 흐르는 열유체 배관과, 상기 열유체 배관을 수용하며, 상기 열유체 배관의 열을 전도하는 열전도 블록을 포함하며, 열전도 블록은 실내 천장 마감재인 스틸 패널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거나 용접을 통해 일체로 고정된다.
그런데, 천장복사패널은 스틸패널 또는 기타 다른 요소들이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열유체 배관을 유지하면서 열유체 배관을 고정하는 열전도 블록을 스틸패널과 고정 프레임이 모두 일체화되어 있어서, 부품 일부(특히, 스틸 패널)만 다른 부품으로 교체하여 쓸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천장복사패널 전체를 폐기해야 했다.
한편, 종래에는 다양한 타입의 천장복사패널이 제안된 바 있는데, 종래기술들은 공개실용신안 20-2012-0003575호(복사냉난방 패널), 20-2012-0003575호(복사냉난방 패널) 및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475893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천장복사패널의 냉난방 성능 향상에 대해 주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지만, 천장복사패널의 유지 보수의 편의성 향상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75893(2015년 1월 5일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분해 및/또는 해체가 용이하여, 유지 보수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 탈착식 천장복사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탈착식 천장복사패널은, 자석에 붙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되되, 직사각형의 천장 마감 메탈 판부(120)와, 상기 천장 마감 메탈 판부(120)의 좌우 양측단에서 상측으로 수직 연장된 한 쌍의 제1 측판부(140)와, 상기 천장 마감 메탈 판부(120)의 전후 양측단에서 상측으로 수직 연장된 한 쌍의 제2 측판부를 포함하여, 내측에 직사각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측판부(140)의 상단에서 상기 공간의 안쪽을 향해 수평으로 돌출되어, 상기 천장 마감 메탈 판부(120)와의 사이에 유지 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돌출 판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돌출판부(160)의 전후 양단은 상기 제2 측판부와 일정 거리 떨어져 있는 천장 마감용 프레임(100); 상기 천장 마감 메탈 판부(120)와 평행한 베이스부(320)와, 상단이 개방된 직사각형 단면의 안착홈(342)을 포함하도록 상기 베이스부(320)의 상부면에 형성된 배관 안착부(340)와, 하단이 개방된 직사각형 단면으로 상기 베이스부(320)의 하부면에 함몰 형성된 자석띠홈(360)을 포함하며, 상기 천장 마감 메탈 판부(120)의 상측에 놓이도록 상기 공간 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열전도바(300); 서로 평행한 복수개의 직선 배관부(220)와, 서로 이웃하는 직선 배관부(220) 사이를 연결하는 곡선 배관부를 일체로 포함하며, 상기 직선 배관부(220) 각각이 상기 배관 안착부(340)에 안착되어 상기 복수개의 열전도바(300)와 열전도적으로 접촉하는 열유체 배관(200); 상기 자석띠홈(360)에 삽입되어, 상기 열전도바(300)를 상기 천장 마감 메탈 판부(120) 상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시키는 자석띠(400); 및 상기 천장 마감 메탈 판부(120) 상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열전도바(300)와 상기 직선 배관부(220)의 상측에서 상기 열전도바(300) 및 상기 직선 배관부(220)와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홀딩 프레임(5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홀딩 프레임(500) 각각은 상기 직선 배관부(220)가 안착된 배관 안착부(320)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수용홈(520)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수용홈(520)의 바닥면(522)이 상기 배관 안착부(340)의 상기 안착홈(342)의 상단 개방부를 막도록 배치되고, 상기 홀딩 프레임(500)의 이웃하는 수용홈(520) 사이 영역에는 복수개의 걸림홀(540)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홀(540)의 내측면에는 단차에 의한 걸림부(542)가 형성되며, 상기 열전도바(300) 각각은 상기 베이스부(320)의 상면에서 상향 연장되어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후크부(370)를 상기 배관 안착부(340)의 외곽 영역에 포함하며, 상기 홀딩 프레임(500)의 수용홈(520)의 바닥면(522)이 상기 직선 배관부(220)의 외주면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돌출판부(160)가 상기 홀딩 프레임(500)을 상기 직선 배관부(220)에 밀착시켜, 상기 열유체 배관(200)을 상기 천장 마감용 프레임(100)의 공간 내에 고정시키며, 상기 베이스부(320) 및 상기 자석띠(400)의 하부면과 상기 천장 마감 판부(120)의 상부면 사이에는 흡음용 플리스(121)가 설치되고, 상기 흡음용 플리스(121)의 재료 및 두께는 상기 자석띠(400)에 의한 부착력이 상기 상기 흡음용 플리스(121)를 거쳐 상기 마감 메탈 판부(120)에 미치는 재료 및 두께로 정해진다.
일 실싱네에 따라, 상기 배관 안착부(340) 각각은 상기 직선 배관부(220)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상기 안착홈(342)을 형성하도록 서로 마주하면서 상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수직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천장복사패널은, 분해 및/또는 해체가 용이하여, 유지 보수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천장복사패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천장복사패널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는 도 2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복사패널을 나타낸 사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계없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천장복사패널(1)은, 직사각형의 천장 마감 메탈 판부(120)와, 열유체 배관(200)과, 복수개의 열전도바(300)들과, 복수개의 자석띠(400)들과, 홀딩 프레임(500)을 포함한다.
상기 천장 마감 메탈 판부(120)는 실내 공간의 천장을 마감하도록 수평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천장 마감 메탈 판부(120)의 서로 대향되는 양 측단에는 서로 마주하면서 수직으로 상향 연장된 측판부(14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측판부(140)의 상단에는 내측을 향해 돌출된 돌출판부(16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천장 마감 메탈 판부(120)와 상기 돌출 판부(140) 사이에는 상기 홀딩 프레임(500)의 단부가 끼워져 유지되는 유지 홈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 판부(1400)는 상기 홀딩 프레임(500)을 상기 열전도바(300)들 및 그 열전도바(300)들에 결합된 열유체 배관(200)을 향해 가압하여 밀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자석에 잘 붙는 성질을 갖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천장 마감용 프레임(100)이 형성되는데, 이 천장 마감용 프레임(100)이 상기 천장 마감 메탈 판부(120)와, 상기 측판부(140)들과, 상기 돌출 판부(160)들을 일체로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천장 마감 메탈 판부(120)의 상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열전도바(300)들과 접하는 흡음용 플리스(121)가 설치될 수 있다. 흡음용 플리스(121)는 열유체의 흐름을 수반하는 탈착식 천장복사패널(1)의 동작시 발생하는 소리를 흡수하여 실내로 전달되는 것을 막는다. 흡음용 플리스(121)는 천장 마감 메탈 판부(120)에 대한 자석띠(400)들의 부착력이 크게 방해받지 않는 재료 및 두께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열전도바(300)들은 열유체(온수 또는 냉수 또는 기타 다른 열유체)가 열유체 배관(200)을 흐를 때 열유체 배관(200)에 전달된 열을 열전도성이 좋은 천장 마감 메탈 판부(100)에 큰 에너지 손실 없이 열전도에 의해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열전도바(300)들은 자석에는 열전도성이 좋고 경량인 비철 금속 재료,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개의 열전도바(300)들은 상기 흡음용 플리스(121)가 설치된 상기 천장 마감 메탈 판부(120)의 상면에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열전도바(300)들 각각은 상기 천장 마감 메탈 판부(120)와 평행한 베이스부(320)와, 상기 베이스부(320)의 상부면에 형성된 배관 안착부(340)와, 상기 베이스부(320)의 하부면에 일정 깊이로 함몰 형성된 자석띠홈(360)을 포함한다.
상기 열유체 배관(200)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재료, 바람직하게는, 구리 또는 구리 함금 소재로 이루어진 동관을 절곡 가공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서로 평행한 복수개의 직선 배관부(220)들과, 서로 이웃하는 직선 배관부(220)들을 연결하는 곡선 배관부들을 일체로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열유체 배관(200)은 원형 단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관 안착부(340)는 상기 직선 배관부(220)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안착홈(342)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부(320)의 상면으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상향 연장된 한 쌍의 수직판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용어 "수직판부"는 대체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포함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수직판부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베이스부(320)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것으로 특정하기 위한 의미 한정은 아니다. 즉, 수직판부의 내외측면은 베이스부(320)에 대하여 직각인 내외측면을 포함할 수 있지만, 예컨대, 열유체 배관(200)의 원형 단면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거나 또는 다른 이유로 특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상기 안착홈(342)은 전후로 길게 연장된 것으로서, 마찬가지로 전후로 길게 연장된 상기 자석띠홈(360)의 직상 영역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석띠홈(360)은 배관 안착부(340)의 수직판부 하단에 인접하여 아래로 연장되어 그 하단이 배이스부(320)와 만나는 두 마주하는 벽들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자석띠(400)는 상기 자석띠홈(360)에 슬라이드식으로 삽입,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자석띠홈(360)에 슬라이드식으로 삽입 설치된 자석띠(400)의 저면과 상기 베이스부(320)의 저면은 동일 평면을 이루며, 따라서, 상기 열전도바(300)의 베이스부(320)의 저면과 상기 자석띠(400)의 저면은 동일 평면을 이루면서 상기 천장 마감 메탈 판부(120)와 동시에 접촉한다.
여기에서, 상기 자석띠(400)와 상기 베이스부(320)의 저면이 접촉하는 부분은 흡음 플리스(121)이지만, 자석띠(400)의 자력과 열전도바(300)의 열이 전달되는 부분은 천장 메탈 마감 메탈 판부(120)이므로, 접촉 관점에서는, 자석띠(400)와 상기 베이스부(320)가 접촉하는 흡음 플리스(121)가 천장 메탈 마감 메탈 판부(120)의 일부분인 것으로 정의한다.
한편, 상기 홀딩 프레임(500)은 상기 천장 마감 메탈 판부(120) 상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홀딩 프레임(500)들은 상기 열전도바(300)가 나열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상기 홀딩 프레임(500)들 각각은 상기 열전도바(300)들과 상기 직선 배관부(220)들의 상측에서 상기 열전도바(300)들과 상기 직선 배관부(220)들과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홀딩 프레임(500)은 상기 직선 배관부(220)들이 안착된 배관 안착부(340)들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수용홈(520)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수용홈(520)들은 바닥면(522)과 그 바닥면 양측의 내측면들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수용홈(520)들의 바닥면(522)들은 상기 배관 안착부(340)의 안착홈(342)의 상단 개방부를 막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안착홈(342))에 안착된 열유체 배관(200)의 직선 배관부(220)는 상기 수용홈(520)의 바닥면(522)에 막혀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홀딩 프레임(500)은 상기 홀딩 프레임(500)의 이웃하는 수용홈(520)들 사이 영역에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홀(540)들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홈(540)들은 상기 수용홈(520)들과 마찬가지로 전후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좌우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또한, 상기 걸림홀(540)들 각각은 서로 마주하면서 이중 경사의 단차 형상을 포함하는 내측면들을 포함하며, 이 이중 경사의 단차 형상으로 인해, 상기 내측면들에 각각에는 걸림부(542)들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열전도바(300)들 각각은 상기 배관 안착부(340)를 기준으로 좌우측 각각에서 상향 연장된 후크부(370)들을 포함한다. 상기 후크부(370)들 각각은 상기 홀딩 프레임(500)의 걸림홈(540)에 형성된 상기 걸림부(542)들에 걸리며, 이에 따라, 상기 열전도바(300)들과 상기 홀딩 프레임(500) 사이에 단단하면서도 쉽게 분리 가능한 고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후크부(370)들과 상기 걸림부(542)들이 걸리는 방법은 상기 열전도바(300)에 대하여 상기 홀딩 프레임(500)을 슬라이드 이동시키거나 또는 홀딩 프레임(500)에 대하여 열전도바(30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방식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르면, 실내 천장을 마감하도록 천장 마감 메탈 판부(120)이 설치되고, 이를 포함하는 천장 복사 패널(1)이 시공된 상태에서, 걸림부와 후크부 사이의 걸림 해제를 통해 홀딩 프레임(500)을 쉽게 분리한 후에, 자석띠(400)에 의해 천장 마감 메탈 판부(120)에 부착되어 있는 열전도바(300)를 쉽게 떼어낼 수 있으며, 따라서, 천장 복사 패널(1)의 설치, 교체, 보수 및 재시공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120.....................................천장 마감 메탈 판부
200.....................................열유체 배관
220......................................직선 배관부
300......................................열전도바
320......................................베이스부
340......................................자석띠홈
400......................................자석띠
500.....................................홀딩 프레임
520.....................................수용홈
540.....................................걸림홈
542......................................걸림부

Claims (5)

  1. 탈착식 천장복사패널에 있어서,
    자석에 붙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되되, 직사각형의 천장 마감 메탈 판부(120)와, 상기 천장 마감 메탈 판부(120)의 좌우 양측단에서 상측으로 수직 연장된 한 쌍의 제1 측판부(140)와, 상기 천장 마감 메탈 판부(120)의 전후 양측단에서 상측으로 수직 연장된 한 쌍의 제2 측판부를 포함하여, 내측에 직사각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측판부(140)의 상단에서 상기 공간의 안쪽을 향해 수평으로 돌출되어, 상기 천장 마감 메탈 판부(120)와의 사이에 유지 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돌출 판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돌출판부(160)의 전후 양단은 상기 제2 측판부와 일정 거리 떨어져 있는 천장 마감용 프레임(100);
    상기 천장 마감 메탈 판부(120)와 평행한 베이스부(320)와, 상단이 개방된 직사각형 단면의 안착홈(342)을 포함하도록 상기 베이스부(320)의 상부면에 형성된 배관 안착부(340)와, 하단이 개방된 직사각형 단면으로 상기 베이스부(320)의 하부면에 함몰 형성된 자석띠홈(360)을 포함하며, 상기 천장 마감 메탈 판부(120)의 상측에 놓이도록 상기 공간 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열전도바(300);
    서로 평행한 복수개의 직선 배관부(220)와, 서로 이웃하는 직선 배관부(220) 사이를 연결하는 곡선 배관부를 일체로 포함하며, 상기 직선 배관부(220) 각각이 상기 배관 안착부(340)에 안착되어 상기 복수개의 열전도바(300)와 열전도적으로 접촉하는 열유체 배관(200);
    상기 자석띠홈(360)에 삽입되어, 상기 열전도바(300)를 상기 천장 마감 메탈 판부(120) 상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시키는 자석띠(400); 및
    상기 천장 마감 메탈 판부(120) 상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열전도바(300)와 상기 직선 배관부(220)의 상측에서 상기 열전도바(300) 및 상기 직선 배관부(220)와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홀딩 프레임(5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홀딩 프레임(500) 각각은 상기 직선 배관부(220)가 안착된 배관 안착부(320)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수용홈(520)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수용홈(520)의 바닥면(522)이 상기 배관 안착부(340)의 상기 안착홈(342)의 상단 개방부를 막도록 배치되고, 상기 홀딩 프레임(500)의 이웃하는 수용홈(520) 사이 영역에는 복수개의 걸림홀(540)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홀(540)의 내측면에는 단차에 의한 걸림부(542)가 형성되며, 상기 열전도바(300) 각각은 상기 베이스부(320)의 상면에서 상향 연장되어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후크부(370)를 상기 배관 안착부(340)의 외곽 영역에 포함하며,
    상기 홀딩 프레임(500)의 수용홈(520)의 바닥면(522)이 상기 직선 배관부(220)의 외주면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돌출판부(160)가 상기 홀딩 프레임(500)을 상기 직선 배관부(220)에 밀착시켜, 상기 열유체 배관(200)을 상기 천장 마감용 프레임(100)의 공간 내에 고정시키며,
    상기 베이스부(320) 및 상기 자석띠(400)의 하부면과 상기 천장 마감 판부(120)의 상부면 사이에는 흡음용 플리스(121)가 설치되고, 상기 흡음용 플리스(121)의 재료 및 두께는 상기 자석띠(400)에 의한 부착력이 상기 상기 흡음용 플리스(121)를 거쳐 상기 마감 메탈 판부(120)에 미치는 재료 및 두께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천장복사패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배관 안착부(340) 각각은 상기 직선 배관부(220)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상기 안착홈(342)을 형성하도록 서로 마주하면서 상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수직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천장복사패널.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40922A 2021-03-30 2021-03-30 탈착식 천장복사패널 KR102451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922A KR102451472B1 (ko) 2021-03-30 2021-03-30 탈착식 천장복사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922A KR102451472B1 (ko) 2021-03-30 2021-03-30 탈착식 천장복사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1472B1 true KR102451472B1 (ko) 2022-10-07

Family

ID=83596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922A KR102451472B1 (ko) 2021-03-30 2021-03-30 탈착식 천장복사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4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06476B1 (de) * 1989-07-01 1995-06-14 Wilhelmi Werke GmbH & Co.KG Deckenverkleidung
US6923248B1 (en) * 1996-09-11 2005-08-02 Reiner Weber Cooling cover, cooling cover components and cooling tubular armature
KR200475893Y1 (ko) 2012-12-27 2015-01-0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하이브리드 방열패널
EP2808638B1 (de) * 2013-05-28 2019-09-04 Krantz GmbH Wärmetauscher und Verfahren zum Befestige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06476B1 (de) * 1989-07-01 1995-06-14 Wilhelmi Werke GmbH & Co.KG Deckenverkleidung
US6923248B1 (en) * 1996-09-11 2005-08-02 Reiner Weber Cooling cover, cooling cover components and cooling tubular armature
KR200475893Y1 (ko) 2012-12-27 2015-01-0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하이브리드 방열패널
EP2808638B1 (de) * 2013-05-28 2019-09-04 Krantz GmbH Wärmetauscher und Verfahren zum Befestig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5710A (en) Linear radiant ceiling panel
RU2541434C2 (ru) Внутренний блок кондиционера воздуха
IT8323761A1 (it) Impianto per il condizionamento di un ambiente
EP1795811A2 (en) Oven
JP5355730B2 (ja) 空調装置
US1907527A (en) Radiator construction
KR102451472B1 (ko) 탈착식 천장복사패널
JP2008275227A (ja) 天井放射パネルユニット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CN106482312B (zh) 用于辐射型空调室内机的壳体及辐射型空调室内机
JPS5929930A (ja) ユニツト式カ−テンウオ−ルにおけるカ−テンウオ−ルユニツト
JP2013250024A (ja) 輻射パネル
JP5702120B2 (ja) 輻射熱供給用パネル、輻射熱供給用パネルユニット及び輻射システム天井
JP6139832B2 (ja) 輻射パネル
JP4920618B2 (ja) 空気調和機
CN112424534B (zh) 辐射面板
JP6683210B2 (ja) 輻射パネル、及び空気調和装置
JP6153203B2 (ja) 熱交換構造体、および、熱交換構造体の施工方法
JPS6266030A (ja) 輻射・対流装置
JP2009019806A (ja) 放射パネル
JP5414394B2 (ja) 天井用放射パネルの取付け装置
WO2008056386A1 (en) Modular radiant panel with simplified installation
JP4494930B2 (ja) 天井輻射システム
JP4554905B2 (ja) 冷凍装置のファンカバー
JP2022093024A (ja) 天井板用吊持杆の連結機構
CN213421426U (zh) 一种适合装配式建筑的架空式辐射换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