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433B1 -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을 구비한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을 구비한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433B1
KR102451433B1 KR1020150179033A KR20150179033A KR102451433B1 KR 102451433 B1 KR102451433 B1 KR 102451433B1 KR 1020150179033 A KR1020150179033 A KR 1020150179033A KR 20150179033 A KR20150179033 A KR 20150179033A KR 102451433 B1 KR102451433 B1 KR 102451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formation
authentication
user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9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1094A (ko
Inventor
홍성종
배도제
Original Assignee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9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433B1/ko
Publication of KR20170071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36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by using the door logic and door and engine unlock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biome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biometry
    • B60R25/252Fingerprint recogn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5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data [RF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을 구비한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차량의 도어장치 및 시동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장치, 및 사용자 인증을 통해 스마트키의 키 정보를 획득하여 등록하고, 등록된 상기 스마트키의 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장치의 키 락을 해제시키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인증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모듈, 상기 인식된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모듈, 상기 인증모듈에 의해 사용자의 인증 완료 시 상기 스마트키의 키 정보를 스캔하는 스캔모듈, 차량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도달 시 상기 차량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스캔모듈에 의해 스캔된 상기 스마트키의 키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차량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도달 시 상기 등록된 키 정보 및 상기 인식모듈을 통해 인식된 인증정보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차량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차량장치의 키 락이 해제되도록 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을 구비한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User terminal, Smart key system having the us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키의 키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등록하여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의 도어장치 및 시동장치의 키 락을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이러한 사용자 단말을 구비한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스마트 키는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에 의해 작동이 되는데, 스마트 키의 태그에는 IC칩이 내장되어 있다. 스마트 키 시스템, 이모빌라이저는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안테나 등의 통신모듈을 통해 스마트키와 인증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스마트키는 분실의 위험이 있고 스마트키 분실시 제3자에 의해 차량이 도난되거나 차량 내부의 귀중품이 탈취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키의 키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등록하여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의 도어장치 및 시동장치의 키 락을 제어하도록 하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을 구비한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을 제공함에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지문정보와 같은 생체정보를 인식하여 사용자를 인증함으로써 보안 강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을 구비한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키 시스템은, 차량의 도어장치 및 시동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장치, 및 사용자 인증을 통해 스마트키의 키 정보를 획득하여 등록하고, 등록된 상기 스마트키의 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장치의 키 락을 해제시키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인증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모듈, 상기 인식된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모듈, 상기 인증모듈에 의해 사용자의 인증 완료 시 상기 스마트키의 키 정보를 스캔하는 스캔모듈, 차량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도달 시 상기 차량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스캔모듈에 의해 스캔된 상기 스마트키의 키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차량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도달 시 상기 등록된 키 정보 및 상기 인식모듈을 통해 인식된 인증정보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차량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차량장치의 키 락이 해제되도록 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등록된 키 정보를 상기 차량장치로 송신하는 경우, 상기 인식모듈에 의해 인식된 인증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스마트키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경우, 상기 스마트키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대기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대기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스마트키의 키 정보에 의해 상기 차량장치의 도어락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차량장치의 도어락이 해제된 후, 상기 스마트키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 단말의 대기모드가 해제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상기 차량장치로 송신하여 시동키의 락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장치는, 상기 스마트키로부터의 키 정보에 의해 도어락이 해제된 경우, 차량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사용자 단말이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존재하지 않으면 미리 등록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장치는, 사용자 인증 요청에 대응하여 정해진 시간 범위 내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증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시동키의 락이 해제되도록 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시동키의 락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키는, 상기 키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차량장치로 송신하며, 상기 차량장치는, 상기 키 정보 및 도어락 해제 정보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키 정보 및 도어락 해제 정보를 포함하여 미리 등록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모듈은, 키 입력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인터페이스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은, RFID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차량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키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인증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및 스마트키 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스마트키 간 사용자 인증 완료 시 상기 스마트키의 키 정보를 스캔하여 등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차량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도달 시 상기 등록된 키 정보 및 인식한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상기 차량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장치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키 정보 및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인증하고, 인증 완료 시에 상기 차량장치의 키 락을 해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인증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모듈; 상기 인식된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모듈; 상기 인증모듈에 의해 사용자의 인증 완료 시 스마트키의 키 정보를 스캔하는 스캔모듈; 차량의 도어락 및 시동키 락을 제어하는 차량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도달 시 상기 차량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스캔모듈에 의해 스캔된 상기 스마트키의 키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차량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도달 시 상기 등록된 키 정보 및 상기 인식모듈을 통해 인식된 인증정보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차량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차량장치의 키 락이 해제되도록 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등록된 키 정보를 상기 차량장치로 송신하는 경우, 상기 인식모듈에 의해 인식된 인증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스마트키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경우, 상기 스마트키의 요청에 따라 상기 스마트키의 키 정보에 의해 상기 차량장치의 도어락이 해제되는 동안 사용자 단말이 대기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차량장치의 도어락이 해제된 후, 상기 스마트키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 단말의 대기모드를 해제하고,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상기 차량장치로 송신하여 시동키의 락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스마트키의 키 정보에 의해 도어락이 해제된 후, 상기 차량장치의 소정 거리 내에 미리 설정된 사용자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차량장치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요청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키의 키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등록하여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의 도어장치 및 시동장치의 키 락을 제어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지문정보와 같은 생체정보를 인식하여 사용자를 인증함으로써 보안 강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키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키 시스템은 스마트키(100), 사용자 단말(200) 및 차량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장치(300)는 도어장치(310) 및 시동장치(350)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키(100)는 차량장치(300)와 미리 등록된 주파수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며, 차량의 도어장치(310) 및/또는 시동장치(350)의 키락 해제를 위한 신호를 차량장치(3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차량의 도어장치(310) 및/또는 시동장치(350)는 스마트키(10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근거하여 키 락의 해제, 즉 도어락을 해제시키거나, 시동키의 키 락을 해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키 락의 해제가 도어락 해제 또는 시동키의 키 락을 해제하는 것에 한정하여 설명하지만, 차량장치에 적용된 어떠한 종류의 락을 해제하는 개념을 포함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인증을 통해 스마트키(100)의 키 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키 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키(100)와 마찬가지로 차량의 도어장치(310) 및/또는 시동장치(350)의 키락을 해제하기 위한 신호를 차량장치(3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스마트키(100)가 없는 상태에서도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차량의 도어장치(310) 및/또는 시동장치(350)의 키락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지문정보와 같은 생체정보를 인식하는 수단, 스마트키(100)의 키 정보를 스캔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차량과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이라면 어느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및 스마트 와치(smart watch)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세부 구성은 도 2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차량장치(300)는 스마트키(100) 및 사용자 단말(2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근거하여 도어장치(310) 및 시동장치(350)의 키락을 해제할 수 있다.
차량장치(300)는 이모빌라이저와 같은 인증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장치(300)는 인증장치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인증하고, 인증장치의 인증결과에 따라 도어장치(310) 및/또는 시동장치(350)의 키락을 해제할 수도 있다.
한편, 스마트키(100)와 사용자 단말(200)이 일정거리 내에 위치한 경우, 스마트키(100)는 사용자 단말(200)과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이 대기모드로 동작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대기모드로 동작하며, 대기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차량장치(300)로부터 키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더라도 이에 응답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키(100)와 사용자 단말(200)이 차량으로부터 정해진 범위 내에 위치한 경우, 스마트키(100)는 사용자 단말(200)에게 대기모드로 동작하도록 요청하고, 차량장치(300)로부터의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키 정보를 차량장치(300)로 송신할 수 있다.
만일, 스마트키(100)의 키 정보에 의해 도어장치(310)의 도어락이 해제되면, 스마트키(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인증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200)은 인증정보 요청 신호에 따라 대기모드를 해제하고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입력받아 차량장치(300)로 송신하도록 한다.
이 경우, 차량장치(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근거하여 시동장치(350)의 키 락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키(100)의 키 정보에 의해 도어장치(310)의 도어락이 해제되면, 차량장치(300)는 차량으로부터 정해진 범위 내에 사용자 단말(200)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차량으로부터 정해진 범위 내에 사용자 단말(200)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차량장치(300)는 사전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200)로 인증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차량장치(300)로부터의 인증정보 요청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차량장치(300)로 송신하도록 한다.
이에, 차량장치(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인증정보에 근거하여 시동장치(350)의 키 락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차량장치(300)는 인증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한 이후 정해진 시간 내에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응답이 없으면 시동장치(350)의 키 락을 유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은 제어모듈(210), 인식모듈(220), 인증모듈(230), 스캔모듈(240), 저장모듈(250) 및 통신모듈(2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모듈(210)은 사용자 단말(200)의 각 모듈 간에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인식모듈(22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인증정보를 인식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인식모듈(220)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인식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인식모듈(220)은 지문인식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문인식모듈은 감지패드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밀착되면, 감지패드에 밀착된 손가락의 지문을 검출하여 인식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인식모듈(220)은 홍체인식모듈 등과 같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인식모듈(220)은 키 입력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인터페이스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모듈은 스마트키(100)의 키 정보를 스캔하거나, 차량의 도어장치(310) 및/또는 시동장치(350)를 제어하기 위해 입력된 키 입력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인터페이스모듈은 소정의 신호를 입력 받는 입력수단 및 사용자 단말(200)의 동작 상태 및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수단은 복수의 키 버튼이 구비된 키패드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상에 구현된 소프트 키일 수도 있다. 또한, 출력수단은 사용자 단말(200)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는 차량의 도어장치(310) 및/도는 시동장치(350)에 대한 제어화면, 사용자 인증화면, 스마트키(100)의 키 스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는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도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즉,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터치 센서가 디스플레이에 구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며, 입력수단과 출력수단이 통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인식모듈(220)은 인식된 지문정보 및/또는 키 입력정보와 같은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제어모듈(210)로 전달하도록 한다.
제어모듈(210)은 스마트키(100)의 키 정보의 스캔을 위해 인식모듈(220)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인증모듈(230)로 전달하도록 한다. 이때, 인증모듈(230)은 사용자를 인증하는 역할을 한다.
인증모듈(230)은 스마트키(100) 정보의 스캔을 허용하기 위한 정보를 사전에 등록할 수 있다. 이때, 등록된 정보는 스마트키(100)를 발급 받은 사용자의 정보일 수 있다.
만일, 인식모듈(220)을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인증정보가 입력되면, 인증모듈(230)은 입력된 사용자의 인증정보와 사전에 등록된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인증정보가 사전에 등록된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인증모듈(230)은 인증완료정보를 제어모듈(21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모듈(210)은 인증모듈(230)로부터의 인증완료정보에 근거하여 스캔모듈(240)을 제어하도록 한다. 스캔모듈(240)은 제어모듈(210)의 요청에 의해 스마트키(100)의 키 정보를 스캔하고, 스캔한 키 정보를 제어모듈(210)로 전달하도록 한다. 따라서, 제어모듈(210)은 스캔모듈(240)로부터 획득한 스마트키(100)의 키 정보를 저장모듈(250)에 저장하도록 한다.
저장모듈(250)에 저장된 키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이 스마트키(100)로서 동작하는 경우, 차량의 도어장치(310) 및/또는 시동장치(350)를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모듈(250)은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과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260)은 사용자 단말(200)이 차량의 도어장치(310) 및/또는 시동장치(350)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도달 시 차량의 도어장치(310) 및/또는 시동장치(35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한다. 여기서, 통신모듈(260)은 RFID 통신 방식을 통해 차량의 도어장치(310) 및/또는 시동장치(35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통신모듈(260)은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도어장치(310) 및/또는 시동장치(35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모듈(260)은 스마트키(100)와 차량의 도어장치(310) 및/또는 시동장치(350)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이 차량의 도어장치(310)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도달하게 되면, 제어모듈(210)은 저장모듈(250)에 등록된 스마트키(100)의 키 정보를 통신모듈(260)을 통해 차량의 도어장치(310)로 송신할 수 있다. 물론, 제어모듈(210)은 사용자인터페이스모듈을 통해 도어락 해제 명령이 인식된 경우에, 저장모듈(250)에 등록된 스마트키(100)의 키 정보를 통신모듈(260)을 통해 차량의 도어장치(310)로 송신할 수도 있다.
제어모듈(210)은 사용자 단말(200)이 차량의 도어장치(310)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도달 시, 저장모듈(250)에 등록된 스마트키(100)의 키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인식모듈(220)로 사용자에 대한 인증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다. 이때, 인식모듈(220)은 제어모듈(21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지문정보와 같은 생체정보 또는 키 입력정보 등의 인증정보를 인식하여 인증모듈(230)로 제공하고, 인증모듈(230)은 인식모듈(220)에 의해 인식된 정보를 인증하여 그 결과를 제어모듈(210)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모듈(210)은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된 후에 저장모듈(250)에 등록된 스마트키(100)의 키 정보를 차량의 도어장치(310)로 송신하도록 한다.
이때, 차량의 도어장치(310)는 사용자 단말(200)의 통신모듈(260)을 통해 수신한 키 정보를 통해 도어락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200)이 차량의 시동장치(350)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도달하게 되면, 제어모듈(210)은 인식모듈(220)로 사용자에 대한 인증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인식모듈(220)은 제어모듈(21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지문정보와 같은 생체정보 또는 키 입력정보 등의 인증정보를 인식하여 인증모듈(230)로 제공하고, 인증모듈(230)은 인식모듈(220)에 의해 인식된 정보를 인증하여 그 결과를 제어모듈(2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제어모듈(210)은 저장모듈(250)에 등록된 스마트키(100)의 키 정보와, 인증모듈(230)에 의해 인증 완료된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통신모듈(260)을 통해 차량의 시동장치(350)로 송신할 수 있다.
물론, 제어모듈(210)은 사용자인터페이스모듈을 통해 시동 명령이 인식된 경우에, 저장모듈(250)에 등록된 스마트키(100)의 키 정보와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통신모듈(260)을 통해 차량의 시동장치(350)로 송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차량의 시동장치(350)는 사용자 단말(200)의 통신모듈(260)을 통해 수신한 스마트키(100)의 키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200)을 인증하고, 수신한 사용자의 인증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 및 사용자에 대한 인증 완료 시, 시동장치(350)는 키 락을 잠금 해제하도록 한다.
한편, 제어모듈(210)은 스마트키(100)와 사용자 단말(200)이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경우, 스마트키(10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이 대기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장치(300)로부터 요청신호를 수신하더라도 이에 응답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스마트키(100)에 의해 차량의 도어락이 해제된 후 스마트키(100)로부터 인증정보 전송 요청이 있는 경우, 제어모듈(210)은 사용자 단말(200)의 대기 모드를 해제하고, 사용자 인증을 통해 저장모듈(250)에 등록된 키 정보와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차량장치(300)로 송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210), 인식모듈(220), 인증모듈(230), 스캔모듈(24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에 해당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키(100) 시스템의 동작 흐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키 시스템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은 사용자 단말에 스마트키의 키 정보를 등록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키(100)의 키 정보 등록을 위해 사용자로부터 지문정보와 같은 생체 정보 및/또는 키 입력정보를 입력받아 인식하고(S110), 인식된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를 인증하도록 한다(S120).
'S120' 과정에서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키(100)의 키 정보를 스캔하고(S130), 'S130' 과정에서 스캔한 스마트키(100)의 키 정보를 저장모듈(250)에 등록하도록 한다(S140).
이로써 사용자 단말(200)은 저장모듈(250)에 저장된 키 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키(100)로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사용자 단말에 등록된 스마트키의 키 정보를 이용하여 도어장치(310) 및/또는 시동장치(350)와 같은 차량장치(300)의 키 락을 해제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사용자 단말(200)이 도달하게 되면, 차량장치(300)는 키 정보를 요청하는 소정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210).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S210' 과정에서 수신한 신호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지문정보와 같은 생체 정보 및/또는 키 입력정보와 같은 인증정보를 입력받아 인식하고(S220), 인식된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를 인증하도록 한다(S230).
'S230' 과정에서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200)은 도 3의 'S140' 과정에서 저장모듈(250)에 등록된 스마트키(100)의 키 정보를 추출하고(S240), 'S240' 과정에서 추출한 스마트키(100)의 키 정보와 'S230' 과정에서 인증 완료된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차량장치(300)로 송신하도록 한다(S250).
이에, 차량장치(300)는 'S250' 과정에서 수신한 스마트키(100)의 키 정보에 근거하여 키 인증을 수행하고(S260), 사용자 인증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도록 한다(S270). 여기서, 키 인증 및 사용자 인증 동작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사용자 인증 동작이 키 인증 동작보다 먼저 수행될 수도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S260' 및 'S270' 과정에서 키 인증 및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차량장치(300)는 키 락을 해제하도록 한다(S280). 일 예로, 차량장치(300)가 도어장치(310)인 경우 도어장치(310)는 도어락을 해제할 수 있고, 차량장치(300)가 시동 장치인 경우, 시동장치(350)는 차량의 시동을 위한 키 락을 해제할 수 있다.
'S210' 내지 'S280' 과정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200)에 스마트키(100)의 키 정보를 등록함으로써 스마트키(100)가 없더라도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차량장치(300)의 키 락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사용자 단말과 스마트키가 동시에 차량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영역에 도달한 경우 차량장치의 키 락을 해제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키(100)의 키 정보를 등록한 사용자 단말(200)과 스마트키(100)가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경우, 스마트키(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대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310). 이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S310' 과정에서 수신한 대기 신호에 따라 대기 모드로 동작하고(S320), 스마트키(100)로 응답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330).
이후, 차량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스마트키(100) 및 사용자 단말(200)이 도달하게 되면, 차량장치(300)는 키 정보를 요청하는 소정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340).
이때, 스마트키(100) 및 사용자 단말(200)은 'S340' 과정의 신호를 모두 수신할 수 있으나, 사용자 단말(200)은 대기 모드로 동작하므로 응답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스마트키(100)는 'S340' 과정에서 수신한 신호에 응답하여 스마트키(100)의 키 정보를 차량장치(300)로 송신하도록 한다(S350).
차량장치(300)는 'S350' 과정에서 수신한 키 정보에 근거하여 키 인증을 수행하도록 한다. 키 인증에 성공한 경우, 차량장치(300)는 도어락을 해제하고(S360), 도어락이 해제되면 응답 신호를 스마트키(100)로 송신하도록 한다(S370).
스마트키(100)는 'S370' 과정에서 도어락의 해제를 확인하면, 사용자 단말(200)로 인증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380). 이에, 사용자 단말(200)은 'S380' 과정에서 수신한 인증정보 요청 신호에 따라 대기 모드를 해제하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로부터 지문정보와 같은 생체 정보 및/또는 키 입력정보 등의 인증정보를 입력받아 인식하고(S390), 인식된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를 인증하도록 한다(S400).
'S400' 과정에서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200)은 도 3의 'S140' 과정에서 저장모듈(250)에 등록된 스마트키(100)의 키 정보를 추출하고(S410), 'S410' 과정에서 추출한 스마트키(100)의 키 정보와 'S400' 과정에서 인증 완료된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차량장치(300)로 송신하도록 한다(S420).
이에, 차량장치(300)는 'S420' 과정에서 수신한 스마트키(100)의 키 정보에 근거하여 시동장치(350)에 대한 키 인증을 수행하고(S430), 사용자 인증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도록 한다(S440). 여기서, 키 인증 및 사용자 인증 동작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사용자 인증 동작이 키 인증 동작보다 먼저 수행될 수도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S430' 및 'S440' 과정에서 키 인증 및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차량장치(300)는 시동 키 락을 해제하도록 한다(S450).
도 6은 스마트키를 통해 도어락이 해제된 경우 사용자 단말로 인증을 요청하여 차량장치의 시동키 락을 해제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가 스마트키를 분실한 경우, 제3자가 해당 스마트키를 이용하여 차량장치의 도어락 및 시동키 락을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키를 통해 도어락이 해제된 경우 사용자 단말이 차량으로부터 정해진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미리 등록된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 인증을 요청함으로써 제3자가 임의로 차량의 시동키 락을 해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스마트키(100)가 도달하게 되면, 차량장치(300)는 키 정보를 요청하는 소정의 요청신호를 스마트키(100)로 송신할 수 있다(S510).
이때, 스마트키(100)는 'S510' 과정에서 수신한 신호에 응답하여 스마트키(100)의 키 정보를 차량장치(300)로 송신하도록 한다(S520). 여기서, 스마트키(100)는 키 정보를 암호화하여 차량장치(300)로 송신할 수 있다.
차량장치(300)는 'S520' 과정에서 수신한 키 정보에 근거하여 도어락을 해제하도록 한다(S530).
한편, 차량장치(300)는 'S530' 과정에서 도어락이 해제되면, 차량으로부터 정해진 범위 내에 사용자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540). 만일, 차량으로부터 정해진 범위 내에 사용자 단말이 존재하지 않으면, 차량장치(300)는 미리 등록된 사용자 단말(200)로 인증정보 요청신호를 송신하도록 한다(S550). 여기서, 인증정보 요청신호는 차량장치(300)에 의해 암호화된 키 정보 및 도어락 해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S550' 과정에서 수신한 인증정보 요청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인증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해당 키 정보를 통한 시동키의 락 해제를 허용하지 않는 경우 인증정보의 입력을 거부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해당 키 정보를 통해 시동키의 락 해제를 허용하는 경우 지문과 같은 인증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로부터 인증정보가 입력되면(S560), 입력된 인증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도록 한다(S570).
'S570' 과정에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200)은 'S570' 과정에서 인증 완료된 사용자 인증정보를 차량장치(300)로 송신하도록 한다(S580).
이에, 차량장치(300)는 'S580' 과정에서 수신한 사용자 인증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도록 한다(S590). 'S590' 과정에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차량장치(300)는 차량장치(300)의 시동키 락을 해제하도록 한다(S600).
상기의 과정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즉, 메모리 및/또는 스토리지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차량 100: 스마트키
200: 사용자 단말 210: 제어모듈
220: 인식모듈 230: 인증모듈
240: 스캔모듈 250: 저장모듈
260: 통신모듈 300: 차량장치
310: 도어장치 350: 시동장치

Claims (16)

  1. 차량의 도어장치 및 시동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장치; 및
    사용자 인증을 통해 스마트키의 키 정보를 획득하여 등록하고, 등록된 상기 스마트키의 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장치의 키 락을 해제시키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인증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모듈;
    상기 인식된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모듈;
    상기 인증모듈에 의해 사용자의 인증 완료 시 상기 스마트키의 키 정보를 스캔하는 스캔모듈;
    상기 차량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도달 시 상기 차량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스캔모듈에 의해 스캔된 상기 스마트키의 키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차량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도달 시 상기 등록된 키 정보 및 상기 인식모듈을 통해 인식된 인증정보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차량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차량장치의 키 락이 해제되도록 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스마트키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경우, 상기 스마트키의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이 대기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대기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스마트키의 키 정보에 의해 상기 차량장치의 도어락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 시스템.
  2. 차량의 도어장치 및 시동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장치; 및
    사용자 인증을 통해 스마트키의 키 정보를 획득하여 등록하고, 등록된 상기 스마트키의 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장치의 키 락을 해제시키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인증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모듈;
    상기 인식된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모듈;
    상기 인증모듈에 의해 사용자의 인증 완료 시 상기 스마트키의 키 정보를 스캔하는 스캔모듈;
    상기 차량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도달 시 상기 차량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스캔모듈에 의해 스캔된 상기 스마트키의 키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차량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도달 시 상기 등록된 키 정보 및 상기 인식모듈을 통해 인식된 인증정보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차량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차량장치의 키 락이 해제되도록 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장치는,
    상기 스마트키로부터의 키 정보에 의해 도어락이 해제된 경우, 차량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사용자 단말이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존재하지 않으면 미리 등록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등록된 키 정보를 상기 차량장치로 송신하는 경우, 상기 인식모듈에 의해 인식된 인증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차량장치의 도어락이 해제된 후, 상기 스마트키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 단말의 대기모드가 해제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상기 차량장치로 송신하여 시동키의 락이 해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량장치는,
    사용자 인증 요청에 대응하여 정해진 시간 범위 내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증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시동키의 락이 해제되도록 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시동키의 락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 시스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는,
    상기 키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차량장치로 송신하며,
    상기 차량장치는,
    상기 키 정보 및 도어락 해제 정보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키 정보 및 도어락 해제 정보를 포함하여 미리 등록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 시스템.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식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 시스템.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식모듈은,
    키 입력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인터페이스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 시스템.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RFID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차량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 시스템.
  10.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인증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및 스마트키 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스마트키 간 사용자 인증 완료 시 상기 스마트키의 키 정보를 스캔하여 등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차량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도달 시 상기 등록된 키 정보 및 인식한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상기 차량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장치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키 정보 및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인증하고, 인증 완료 시에 상기 차량장치의 키 락을 해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키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경우, 상기 스마트키의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이 대기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대기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스마트키의 키 정보에 의해 상기 차량장치의 도어락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 시스템의 제어방법.
  11.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인증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및 스마트키 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스마트키 간 사용자 인증 완료 시 상기 스마트키의 키 정보를 스캔하여 등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차량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도달 시 상기 등록된 키 정보 및 인식한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상기 차량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장치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키 정보 및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인증하고, 인증 완료 시에 상기 차량장치의 키 락을 해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장치는,
    상기 스마트키로부터의 키 정보에 의해 도어락이 해제된 경우, 차량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사용자 단말이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존재하지 않으면 미리 등록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 시스템의 제어방법.
  12.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인증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모듈;
    상기 인식된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모듈;
    상기 인증모듈에 의해 사용자의 인증 완료 시 스마트키의 키 정보를 스캔하는 스캔모듈;
    차량의 도어락 및 시동키 락을 제어하는 차량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도달 시 상기 차량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스캔모듈에 의해 스캔된 상기 스마트키의 키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차량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도달 시 상기 등록된 키 정보 및 상기 인식모듈을 통해 인식된 인증정보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차량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차량장치의 키 락이 해제되도록 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스마트키와 사용자 단말이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경우, 상기 스마트키의 요청에 따라 상기 스마트키의 키 정보에 의해 상기 차량장치의 도어락이 해제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이 대기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3.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인증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모듈;
    상기 인식된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모듈;
    상기 인증모듈에 의해 사용자의 인증 완료 시 스마트키의 키 정보를 스캔하는 스캔모듈;
    차량의 도어락 및 시동키 락을 제어하는 차량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도달 시 상기 차량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스캔모듈에 의해 스캔된 상기 스마트키의 키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차량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도달 시 상기 등록된 키 정보 및 상기 인식모듈을 통해 인식된 인증정보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차량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차량장치의 키 락이 해제되도록 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스마트키의 키 정보에 의해 도어락이 해제된 후, 상기 차량장치의 소정 거리 내에 미리 설정된 사용자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차량장치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요청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4.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등록된 키 정보를 상기 차량장치로 송신하는 경우, 상기 인식모듈에 의해 인식된 인증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차량장치의 도어락이 해제된 후, 상기 스마트키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 단말의 대기모드를 해제하고,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상기 차량장치로 송신하여 시동키의 락이 해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6. 삭제
KR1020150179033A 2015-12-15 2015-12-15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을 구비한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451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033A KR102451433B1 (ko) 2015-12-15 2015-12-15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을 구비한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033A KR102451433B1 (ko) 2015-12-15 2015-12-15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을 구비한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094A KR20170071094A (ko) 2017-06-23
KR102451433B1 true KR102451433B1 (ko) 2022-10-07

Family

ID=59283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033A KR102451433B1 (ko) 2015-12-15 2015-12-15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을 구비한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4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511B1 (ko) * 2017-07-04 2022-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444390B1 (ko) * 2017-10-23 2022-09-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차량 보안 시스템 및 차량 보안 방법
KR102511778B1 (ko) 2018-03-05 2023-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의 디지털 키 프로비저닝 수행 방법
WO2019172579A1 (ko) * 2018-03-05 2019-09-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의 디지털 키 프로비저닝 수행 방법
KR101978232B1 (ko) * 2018-03-30 2019-05-14 주식회사 에스원 인체통신을 기반한 스마트 키를 이용한 차량 도어락 록킹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도어락 록킹 제어 시스템
KR20200114074A (ko) 2019-03-27 2020-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를 인증하기 위한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KR20210004305A (ko) * 2019-07-04 2021-0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14715075A (zh) * 2021-01-04 2022-07-08 现代自动车株式会社 基于ble和指纹方式的车辆认证系统和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1026A (ja) * 2001-03-16 2002-09-27 Mitsubishi Electric Corp 生体情報照合式セキュリティ装置
JP2014080165A (ja) * 2012-10-18 2014-05-08 Omron Automotive Electronics Co Ltd 車載システム、車両制御方法、及び、車両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444B1 (ko) * 2012-12-20 2014-09-11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포브키 등록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1026A (ja) * 2001-03-16 2002-09-27 Mitsubishi Electric Corp 生体情報照合式セキュリティ装置
JP2014080165A (ja) * 2012-10-18 2014-05-08 Omron Automotive Electronics Co Ltd 車載システム、車両制御方法、及び、車両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094A (ko) 2017-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1433B1 (ko)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을 구비한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US11012438B2 (en) Biometric device pairing
US20170195322A1 (en) Entry and exi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user terminal and server for the same
US20170155800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recording medium, and communication system
EP3646247B1 (en)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rfid-enabled identity document and gesture challenge-response protocol
KR20150129553A (ko)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504227B1 (ko) 차량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575687B1 (ko) 생체인식 본인인증 방법
WO2020186902A1 (zh) 用于操作物联网设备的方法和系统
US11038684B2 (en) User authentication using a companion device
US11704396B2 (en) Vehicle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mobile device used for vehicle authentication, vehicle authentication system, and vehicle authentication method
CN107615301B (zh) 指纹相关元素的安全存储
KR101576557B1 (ko)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 및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와 그 지문해킹 방지방법
US20150016698A1 (en) Electronic device providing biometric authentication based upon multiple biometric template types and related methods
KR102015642B1 (ko) Rssi 기준값 변경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 제어 방법 및 도어락 제어 시스템
KR102320024B1 (ko) 생체 인증 정보에 기반한 인증 방법 및 장치
KR102010764B1 (ko) 스마트폰 인증 기능을 이용한 컴퓨터 보안 시스템 및 방법
JP6381478B2 (ja) 生体情報認証システム
KR20190045486A (ko) 분산형 출퇴근 이력 관리 방법
KR101160452B1 (ko) 조합 지문 인식을 이용한 무선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295480B1 (ko) 산업 제어 시스템으로의 접근 허용을 인증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1674125B1 (ko) 인증을 이용한 다중 단말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KR102340398B1 (ko) 출입 통제 제어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610091B1 (ko)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44790A (ko) 음파신호를 이용한 분산형 시설물 접근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