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138B1 - 모바일 신분증을 활용한 출입 통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신분증을 활용한 출입 통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138B1
KR102451138B1 KR1020220073636A KR20220073636A KR102451138B1 KR 102451138 B1 KR102451138 B1 KR 102451138B1 KR 1020220073636 A KR1020220073636 A KR 1020220073636A KR 20220073636 A KR20220073636 A KR 20220073636A KR 102451138 B1 KR102451138 B1 KR 102451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obile
visit time
doo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3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피드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피드정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피드정보
Priority to KR1020220073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1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00Registe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time of events or elapsed time, e.g. time-recorders for work peop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38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code verification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challenge/response metho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4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transmitted data signal containing a code which is chang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이름, 나이, 얼굴, 신체 정보, 전화번호, 주소, 직함 및 방문 목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하고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출입문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내에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부터 모바일 신분증을 수신하고, 모바일 신분증과 출입문의 출입 정보를 비교하고, 모바일 신분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하고, 카메라로부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고, 모바일 신분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과 획득된 얼굴 이미지를 비교하고, 모바일 신분증과 출입 정보의 비교 및 이미지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출입문을 개방하고, 모바일 신분증과 출입 정보의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모바일 신분증의 출입 권한을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사용자를 주출입자, 부출입자 또는 방문자로 분류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신분증을 활용한 출입 통제 방법, 장치 및 시스템{ACCESS CONTORL METHOD, DEVICE AND SYSTEM USING MOBILE ID}
아래 실시예들은 모바일 신분증을 활용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사 및 아파트와 같은 특정 건물에서는 보안을 위해 출입문에 대하여 출입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출입 통제 시스템은 사원증 혹은 아파트 출입증이 카드의 형식으로 카드를 이용하는 방식이거나, 지문 및 홍채 인식과 같은 생체 인식 방식 및 비밀번호 입력 방식 등을 이용하여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최근에는, 전자 통신 기술의 발달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QR 코드 및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방식이 이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QR 코드의 경우, 타인에게 노출되기 쉬워 보안이 취약하며, 모바일 신분증의 경우, NFC 인식 방식을 사용할 경우, NFC 방식을 지원하지 않는 기기가 존재하며, 출입할 때마다 스마트폰을 꺼내서 인식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21-0069221 (2021.06.11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465201호(2014.11.27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7-0108291호(2017.09.27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8-0134000호(2018.12.18 공개)
실시예들은 모바일 신분증을 활용한 출입 통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모바일 신분증과 출입 정보 및 얼굴 이미지의 비교 결과에 따라 출입문을 개방함으로써, 모바일 신분증에 도용을 방지하고, 보안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출입 히스토리를 기반으로 임시 허용 시간을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임시 출입 권한을 부여하고자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이름, 나이, 얼굴, 신체 정보, 전화번호, 주소, 직함 및 방문 목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출입문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내에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모바일 신분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신분증과 상기 출입문의 출입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신분증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신분증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과 상기 획득된 얼굴 이미지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신분증과 상기 출입 정보의 비교 및 상기 이미지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신분증과 상기 출입 정보의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출입 권한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를 주출입자, 부출입자 또는 방문자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방문자로 분류된 경우, 미리 정의된 제1 기준 기간 동안 상기 사용자가 상기 출입문을 출입한 제1 출입 횟수를 획득하고, 상기 제1 기준 기간 동안 제1 출입 횟수가 차지하는 비율인 제1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비율과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비율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비율이 상기 제1 기준 비율보다 큰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바일 신분증에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부출입자로 분류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신분증에 임시 출입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임시 출입 권한에 포함된 임시 방문 시간에 대한 임시 방문 시간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시 방문 시간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출입문을 통과한 경험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출입문을 통과한 경험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상기 출입문에 대한 출입 히스토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출입 히스토리 정보에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출입문의 입장 시점부터 퇴장 시점까지의 평균 방문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평균 방문 시간과 미리 설정된 허용 방문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평균 방문 시간이 상기 허용 방문 시간보다 짧은 경우, 제1 가중치를 생성하고, 상기 허용 방문 시간에 상기 제1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임시 방문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평균 방문 시간이 상기 허용 방문 시간보다 긴 경우, 제2 가중치를 생성하고, 상기 허용 방문 시간에 상기 제2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임시 방문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평균 방문 시간과 상기 허용 방문 시간이 같은 경우, 상기 사용자의 임시 방문 시간을 상기 허용 방문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출입문을 통과한 경험이 없는 경우, 미리 설정된 방문 목적 카테고리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방문 목적 카테고리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방문 목적 카테고리들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방문 시간들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의 방문 목적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방문 시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나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나이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나이보다 낮은 경우, 상기 방문 시간을 상기 사용자의 허용 방문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나이가 상기 제1 기준 나이보다 높은 경우, 상기 사용자의 나이와 상기 제1 기준 나이보다 높은 제2 기준 나이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나이가 상기 제2 기준 나이보다 낮은 경우, 제1 나이 가중치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방문 시간에 상기 제1 나이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허용 방문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나이가 상기 제2 기준 나이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1 나이 가중치보다 높은 제2 나이 가중치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방문 시간에 상기 제2 나이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허용 방문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바일 신분증에 상기 허용 방문 시간 동안 상기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는 임시 출입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허용 방문 시간에 대한 허용 방문 시간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위치 센서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상기 출입문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거리 이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모바일 신분증과 상기 출입 정보의 비교 및 상기 이미지 비교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상기 출입문으로부터 상기 제1 기준 거리보다 짧도록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거리 이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상기 제2 기준 거리 이내에 있는 경우,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의 위치가 제1 지역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지역의 발전원별 비중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지역의 발전원별 비중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지역의 전체 발전원에서 제1 발전원이 차지하는 비중인 제1 비중과 제2 발전원이 차지하는 비중인 제2 비중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출입문을 작동하기 위해 소비되는 총 전력량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총 전력량과 상기 제1 비중을 곱한 값으로, 상기 총 전력량에서 상기 제1 발전원을 통해 소비된 전력의 용량인 제1 용량을 산출하고, 상기 총 전력량과 상기 제2 비중을 곱한 값으로, 상기 총 전력량에서 상기 제2 발전원을 통해 소비된 전력의 용량인 제2 용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발전원을 통해 전력이 소비될 때 용량 당 배출되는 탄소량이 제1 탄소량으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2 발전원을 통해 전력이 소비될 때 용량 당 배출되는 탄소량이 제2 탄소량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용량 및 상기 제1 탄소량을 곱한 값과 상기 제2 용량 및 상기 제2 탄소량을 곱한 값을 합산하여, 상기 총 전력량에 대한 탄소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모바일 신분증을 활용한 출입 통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모바일 신분증과 출입 정보 및 얼굴 이미지의 비교 결과에 따라 출입문을 개방함으로써, 모바일 신분증에 도용을 방지하고,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출입 히스토리를 기반으로 임시 허용 시간을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임시 출입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신분증을 활용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방문자의 모바일 신분증에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부출입자의 임시 방문 시간을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허용 방문 시간을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출입문을 개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원 비중 분석을 통해 총 전력량에 대한 탄소량을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한 사용자 단말(10) 및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이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서버와 서버 간의 통신과 서버와 단말 간의 통신이 수행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신분증을 이용하여 출입문을 통과하려는 사용자들 중 어느 하나인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은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달리 채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장치(30)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장치(3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운영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되거나, 장치(3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개발·배포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웹 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장치(30)와 연동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장치(3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 애플리케이션을 등을 통해 장치(30)에 접속할 수 있다.
장치(30)는 장치(3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보유한 자체 서버일수도 있고,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고, 분산된 노드(node)들의 p2p(peer-to-peer) 집합일 수도 있다. 장치(30)는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30)는 사용자 단말(10)과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의 동작을 제어하고, 사용자 단말(10)의 화면에 어느 정보를 표시할 것인지에 대해 제어할 수 있다.
장치(30) 및 사용자 단말(10)은 근거리 무선통신(NFC),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적외선통신, 비콘(Beacon), Wi-Fi(Wireless Fidelity)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신호 형태로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10) 만을 도시하였으나, 단말들의 수는 실시예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장치(30)의 처리 용량이 허용하는 한, 단말들의 수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장치(30)는 모바일 신분증을 활용한 출입 통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 내에는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장치(30)와 별도로 데이터베이스가 구성될 수 있다. 장치(30)는 기계 학습 알고리즘의 수행을 위한 다수의 인공 신경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신분증을 활용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S201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나이, 얼굴, 신체 정보, 전화번호, 주소, 직함 및 방문 목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S202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하고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신분증에는 사용자의 이름, 나이, 얼굴, 신체 정보, 전화번호, 주소, 직함 및 방문 목적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및 인증을 위하여 생성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고유의 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신체 정보는 사용자의 신장, 몸무게, 얼굴, 지문 및 홍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하고,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함으로써, 출입 통제가 필요한 특정 시설에서 모바일 신분증을 통해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가 출입이 가능한지를 확인하고, 출입문을 개방하여 해당 시설의 통제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출입 통제가 필요한 시설은 아파트, 주택, 회사, 연구소, 보안구역, 학교, 박물관, 전시관, 공연장 및 체육관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203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 단말(10)의 위치가 출입문으로부터 기준 거리 이내에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모바일 신분증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에는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GPS 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장치(30)는 사용자 단말(10)에 구비된 GPS 센서를 통해 사용자 단말(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 단말(1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사용자 단말(10)의 GPS 센서를 통해 획득한 현재 위치 정보로부터, 사용자 단말(10)의 위치가 출입문으로부터 기준 거리 이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모바일 신분증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거리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204 단계에서, 장치(30)는 모바일 신분증과 출입문의 출입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출입 정보는 출입문을 출입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 정보가 사원, 대리, 과장, 차장, 부장, 이사, 상무, 전무 및 사장 순으로 구성된 직위 중 차장 이상의 직위를 가진 사용자가 출입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직위가 부장인 경우, 장치(30)는 출입문을 개방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직위가 사원인 경우, 장치(30)는 출입문을 개방하지 않을 수 있다.
S205 단계에서, 장치(30)는 모바일 신분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신체 정보는 사용자의 신장, 몸무게, 얼굴, 지문 및 홍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는 모바일 신분증으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206 단계에서, 장치(30)는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모바일 신분증을 수신하고, 수신한 모바일 신분증으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3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한 모바일 신분증으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정보 중 사용자의 신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장치(30)는 사용자의 신장이 미리 설정된 카메라의 위치보다 큰 경우, 카메라의 위치를 높이고, 사용자의 신장이 미리 설정된 카메라의 위치보다 작은 경우, 카메라의 위치를 낮추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장치(30)는 사용자의 모바일 신분증으로부터 획득한 사용자의 신체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의 얼굴 위치에 대응하도록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S207 단계에서, 장치(30)는 카메라로부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출입문에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기 위해 카메라가 구비될 수 있으며, 장치(30)는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S208 단계에서, 장치(30)는 모바일 신분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과 획득된 얼굴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장치(30)는 사용자 단말(10)의 모바일 신분증으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을 획득하고, 출입문의 카메라로부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여, 모바일 신분증의 사용자의 얼굴 및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209 단계에서, 장치(30)는 모바일 신분증과 출입 정보의 비교 및 이미지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다.
즉, 모바일 신분증과 출입문의 출입 정보가 일치하면서, 모바일 신분증의 사용자의 얼굴 및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가 일치하는 경우, 장치(30)는 사용자에 대한 모바일 신분증과 출입 정보의 비교 및 이미지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다.
장치(30)는 사용자의 모바일 신분증과 출입 정보 및 얼굴 이미지의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신분을 이중적으로 확인하여 출입문을 개방시키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모바일 신분증에 도용을 방지하고,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S210 단계에서, 장치(30)는 모바일 신분증과 출입 정보의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모바일 신분증의 출입 권한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신분증에는 출입문에 대하여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출입 권한에 대한 정보를 포함될 수 있다.
S211 단계에서, 장치(30)는 확인 결과에 따라 사용자를 주출입자, 부출입자 또는 방문자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30)는 모바일 신분증과 출입 정보의 비교 결과, 사용자의 모바일 신분증에 출입문을 출입 가능하다는 것에 대한 출입 정보가 포함된 경우, 사용자를 출입문 내의 구역 혹은 출입문이 위치하고 있는 건물에 대하여 상시 출입하는 출입자로 판단하여, 사용자를 주출입자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장치(30)는 모바일 신분증과 출입 정보의 비교 결과, 사용자의 모바일 신분증에 출입문을 출입 가능하다는 것에 대한 출입 정보가 불포함된 경우, 사용자를 부출입자 혹은 방문자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문이 위치하고 있는 건물이 공연장인 경우, 장치(30)는 공연장에 상시 근무하고 있는 하우스어셔, 무대 감독, 조명 감독 및 스태프 등을 주출입자로, 공연장에서 특정 기간 동안 공연을 수행하는 음악가, 배우 및 무용가 등을 포함하는 공연자를 부출입자로, 공연장에서 공연을 보기 위해 방문하는 방문객을 방문자로 분류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방문자의 모바일 신분증에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S301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가 방문자로 분류된 경우, 미리 정의된 제1 기준 기간 동안 사용자가 출입문을 출입한 제1 출입 횟수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1 기준 기간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준 기간이 10일인 경우, 장치(30)는 10일 동안 사용자가 출입문을 출입한 횟수인 제1 출입 횟수를 획득할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기준 기간 동안 제1 출입 횟수가 차지하는 비율인 제1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준 기간이 10일이고, 제1 출입 횟수가 8회인 경우, 장치(30)는 제1 비율을 0.8으로 산출할 수 있다.
S303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비율과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비율을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제1 기준 비율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304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비율이 제1 기준 비율보다 큰 경우, 사용자 단말(10)의 모바일 신분증에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율이 0.8이고, 제1 기준 비율이 0.6인 경우, 장치(30)는 사용자 단말(10)의 모바일 신분증에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부출입자의 임시 방문 시간을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장치(30)는 사용자가 부출입자로 분류된 경우, 사용자의 모바일 신분증에 임시 출입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임시 출입 권한은 사용자가 부출입자로 분류된 경우, 임시 방문 시간 동안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도록 부여된 권한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시 방문 시간이 4시간으로 설정된 경우, 장치(30)는 사용자의 모바일 신분증에 4시간 동안 출입문 개방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임시 출입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장치(30)는 임시 출입 권한에 포함된 임시 방문 시간에 대한 임시 방문 시간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시 출입 권한에 포함된 임시 방문 시간이 4시간인 경우, 장치(30)는 출입문을 4시간 동안 개방이 가능하다는 것을 안내하는 임시 방문 시간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임시 방문 시간을 결정하는 방법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S401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가 출입문을 통과한 경험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402 단계에서, 사용자가 출입문을 통과한 경험이 있는 경우, 장치(30)는 사용자의 출입문에 대한 출입 히스토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출입문 히스토리 정보는 사용자가 출입문을 통과한 시점, 퇴장한 시점, 출입 횟수 및 방문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S401 단계에서, 사용자가 출입문을 통과한 경험이 없는 경우, 장치(30)는 S501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S501 단계에 대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S403단계에서, 장치(30)는 출입 히스토리 정보에서 사용자에 대한 출입문의 입장 시점부터 퇴장 시점까지의 평균 방문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출입 히스토리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출입문 입장 시점 및 퇴장 시점을 획득하고, 출입문 입장 시점부터 퇴장 시점까지의 시간을 각각의 방문 시간으로 추출하고, 각각의 방문 시간에 대한 평균 방문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출입 히스토리 정보로부터, 5월 1일의 입장 시점 및 퇴장 시점이 오후 3시 및 오후 5시인 경우, 5월 1일의 방문 시간을 2시간으로, 5월 2일의 입장 시점 및 퇴장 시점이 오후 1시 및 오후 4시인 경우, 5월 2일의 방문 시간을 3시간으로, 5월 3일의 입장 시점 및 퇴장 시점이 오후 2시 및 오후 6시인 경우, 5월 3일의 방문 시간을 4시간으로 추출하고, 사용자의 평균 방문 시간을 3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의 평균 방문 시간과 미리 설정된 허용 방문 시간을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허용 방문 시간은 사용자가 부출입자인 경우, 임시적으로 출입문의 개방이 허용되도록 설정된 시간으로, 사용자의 모바일 신분증에 부여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405 단계에서, 사용자의 평균 방문 시간이 허용 방문 시간보다 짧은 경우, 장치(30)는 제1 가중치를 생성하고, 허용 방문 시간에 제1 가중치를 적용하여, 사용자의 임시 방문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1 가중치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406 단계에서, 사용자의 평균 방문 시간이 허용 방문 시간보다 긴 경우, 장치(30)는 제2 가중치를 생성하고, 허용 방문 시간에 제2 가중치를 적용하여, 사용자의 임시 방문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2 가중치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평균 방문 시간과 허용 방문 시간이 같은 경우, 장치(30)는 사용자의 임시 방문 시간을 허용 방문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장치(30)는 사용자의 출입 히스토리를 기반으로 임시 허용 시간을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임시 출입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허용 방문 시간을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S501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가 출입문을 통과한 경험이 없는 경우, 사용자의 방문 목적 카테고리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방문 목적 카테고리는 업무, 상담, 단순 방문, 공연/전시 관람, 수업 수강, 물품 구매, 식사 및 시설물 이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502 단계에서, 장치(30)는 방문 목적 카테고리들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방문 시간들에 대하여, 사용자의 방문 목적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방문 시간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문 목적 카테고리가 공연/전시 관람인 경우, 장치(30)는 공연/전시 관람에 대응하는 방문 시간을 4시간으로 미리 설정하고, 방문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방문 시간을 추출할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나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S504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의 나이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나이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제1 기준 나이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505 단계에서, 사용자의 나이가 제1 기준 나이보다 낮은 경우, 장치(30)는 방문 시간을 사용자의 허용 방문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S506 단계에서, 사용자의 나이가 제1 기준 나이보다 높은 경우, 장치(30)는 사용자의 나이와 미리 설정한 제2 기준 나이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제2 기준 나이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507 단계에서, 사용자의 나이가 제2 기준 나이보다 낮은 경우, 장치(30)는 제1 나이 가중치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방문 시간에 제1 나이 가중치를 적용하여, 사용자의 허용 방문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1 나이 가중치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508 단계에서, 사용자의 나이가 제2 기준 나이보다 높은 경우, 장치(30)는 제2 나이 가중치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방문 시간에 제2 나이 가중치를 적용하여, 사용자의 허용 방문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2 나이 가중치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509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 단말(10)의 모바일 신분증에 허용 방문 시간 동안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는 임시 출입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장치(30)는 사용자의 나이가 많은 경우, 더 높은 나이 가중치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방문 시간에 적용하여 허용 방문 시간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나이를 고려한 허용 방문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S510 단계에서, 장치(30)는 허용 방문 시간에 대한 허용 방문 시간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출입문을 개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S601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 단말(10)에 구비된 위치 센서로부터 사용자 단말(1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S602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 단말(10)의 위치가 출입문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거리 이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모바일 신분증과 출입 정보의 비교 및 이미지 비교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1 기준 거리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603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 단말(10)의 위치가 출입문으로부터 제1 기준 거리보다 짧도록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거리 이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2 기준 거리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는 사용자 단말(10)의 위치가 제2 기준 거리 이내에 있는 경우,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원 비중 분석을 통해 총 전력량에 대한 탄소량을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S701 단계에서, 장치(30)는 출입문의 위치가 제1 지역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지역의 발전원별 비중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역의 발전원별 비중에 대한 정보는 제1 지역에서 전력이 생산될 때 발전원 별로 생산되는 전력량과 생산 전력량의 비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역의 발전원별 비중에 대한 정보는 원자력 50%, 화력 30%, 신재생 30%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장치(3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역별 발전원별 비중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여, 제1 지역의 발전원별 비중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외부 서버로 제1 지역의 발전원별 비중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제1 지역의 발전원별 비중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지역의 발전원별 비중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제1 지역의 전체 발전원에서 제1 발전원이 차지하는 비중인 제1 비중을 확인할 수 있다.
S703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지역의 발전원별 비중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제1 지역의 전체 발전원에서 제2 발전원이 차지하는 비중인 제2 비중을 확인할 수 있다.
S704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비중 및 제2 비중이 각각 확인된 이후, 출입문을 작동하기 위해 소비되는 총 전력량을 획득할 수 있다.
S505 단계에서, 장치(30)는 총 전력량과 제1 비중을 곱한 값으로, 제1 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용량은 총 전력량에서 제1 발전원을 통해 생산된 전력의 용량으로, 총 전력량 중 제1 발전원을 통해 생산된 전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나타내는 추정치를 의미할 수 있다.
S506 단계에서, 장치(30)는 총 전력량과 제2 비중을 곱한 값으로, 제2 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용량은 총 전력량에서 제2 발전원을 통해 생산된 전력의 용량으로, 총 전력량 중 제2 발전원을 통해 생산된 전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나타내는 추정치를 의미할 수 있다.
S507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발전원을 통해 전력이 생산될 때 용량 당 배출되는 탄소량이 제1 탄소량으로 설정되어 있고, 제2 발전원을 통해 전력이 생산될 때 용량 당 배출되는 탄소량이 제2 탄소량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1 용량 및 제1 탄소량을 곱한 값과 제2 용량 및 제2 탄소량을 곱한 값을 합산하여, 총 전력량에 대한 탄소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탄소량이 1kW 당 1g으로 설정되어 있고, 제2 탄소량이 1kW 당 2g으로 설정되어 있고, 제1 용량이 60kW로 산출되고 제2 용량이 40kW로 산출된 경우, 장치(30)는 제1 용량 및 제1 탄소량을 곱한 값으로 60g을 산출하고, 제2 용량 및 제2 탄소량을 곱한 값으로 80g을 산출한 후, 60g과 80g을 합산하여 총 전력량에 대한 탄소량을 140g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는 총 전력량에 대한 탄소량의 크기가 작을수록, 충전 요금에 대해 할인 혜택을 제공할 수 있고, 총 전력량에 대한 탄소량의 크기가 클수록, 충전 요금에 대해 추가 요금을 부과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30)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30)는 프로세서(31) 및 메모리(32)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30)는 상술한 서버 또는 단말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도 1 내지 도 7을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7을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32)는 상술한 방법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술한 방법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2)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31)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치(3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1)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32)에 저장될 수 있다. 장치(30)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

  1.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이름, 나이, 얼굴, 신체 정보, 전화번호, 주소, 직함 및 방문 목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출입문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내에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모바일 신분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신분증과 상기 출입문의 출입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신분증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신분증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과 상기 획득된 얼굴 이미지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신분증과 상기 출입 정보의 비교 및 상기 이미지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신분증과 상기 출입 정보의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출입 권한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를 주출입자, 부출입자 또는 방문자로 분류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부출입자로 분류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신분증에 임시 출입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임시 출입 권한에 포함된 임시 방문 시간에 대한 임시 방문 시간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임시 방문 시간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출입문을 통과한 경험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출입문을 통과한 경험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상기 출입문에 대한 출입 히스토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출입 히스토리 정보에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출입문의 입장 시점부터 퇴장 시점까지의 평균 방문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평균 방문 시간과 미리 설정된 허용 방문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평균 방문 시간이 상기 허용 방문 시간보다 짧은 경우, 제1 가중치를 생성하고, 상기 허용 방문 시간에 상기 제1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임시 방문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평균 방문 시간이 상기 허용 방문 시간보다 긴 경우, 제2 가중치를 생성하고, 상기 허용 방문 시간에 상기 제2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임시 방문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평균 방문 시간과 상기 허용 방문 시간이 같은 경우, 상기 사용자의 임시 방문 시간을 상기 허용 방문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로 결정되는
    모바일 신분증을 활용한 출입 통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방문자로 분류된 경우, 미리 정의된 제1 기준 기간 동안 상기 사용자가 상기 출입문을 출입한 제1 출입 횟수를 획득하고, 상기 제1 기준 기간 동안 제1 출입 횟수가 차지하는 비율인 제1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비율과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비율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비율이 상기 제1 기준 비율보다 큰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바일 신분증에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신분증을 활용한 출입 통제 방법.
  3. 삭제
KR1020220073636A 2022-06-16 2022-06-16 모바일 신분증을 활용한 출입 통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51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636A KR102451138B1 (ko) 2022-06-16 2022-06-16 모바일 신분증을 활용한 출입 통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636A KR102451138B1 (ko) 2022-06-16 2022-06-16 모바일 신분증을 활용한 출입 통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1138B1 true KR102451138B1 (ko) 2022-10-06

Family

ID=83597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636A KR102451138B1 (ko) 2022-06-16 2022-06-16 모바일 신분증을 활용한 출입 통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1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2063B1 (ko) 2023-09-15 2023-12-08 주식회사 스피드정보 실내 위치 측위를 활용한 출입 통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24090683A1 (ko) * 2022-10-26 2024-05-02 주식회사 애니싸인 모바일 신분증 기반 얼굴인식 엣징 노드 구현을 통한 출입 및 근태관리시스템 연계서비스 구축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201B1 (ko) 2013-06-26 2014-11-27 주식회사 케이제이테크 휴대폰을 이용한 신분 인증 및 출입 통제 시스템과 그 방법
KR20170108291A (ko) 2016-03-17 2017-09-27 신현미 출입 이력 관리 시스템과 이의 동작 방법
KR20180134000A (ko) 2017-06-08 2018-12-18 (주)더블유엑스모바일 비콘 기반의 모바일 신분증 발급 및 확인 시스템과 그 방법
KR20200072966A (ko) * 2018-12-13 2020-06-23 원소라 비콘을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KR20210069221A (ko) 2019-12-03 2021-06-11 주식회사 펀앤뉴 모바일 신분증을 활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KR102367783B1 (ko) * 2021-11-10 2022-02-25 최상훈 셀프 뱅킹 키오스크
KR20220067918A (ko) * 2020-11-18 2022-05-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신분증을 이용한 얼굴 인증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201B1 (ko) 2013-06-26 2014-11-27 주식회사 케이제이테크 휴대폰을 이용한 신분 인증 및 출입 통제 시스템과 그 방법
KR20170108291A (ko) 2016-03-17 2017-09-27 신현미 출입 이력 관리 시스템과 이의 동작 방법
KR20180134000A (ko) 2017-06-08 2018-12-18 (주)더블유엑스모바일 비콘 기반의 모바일 신분증 발급 및 확인 시스템과 그 방법
KR20200072966A (ko) * 2018-12-13 2020-06-23 원소라 비콘을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KR20210069221A (ko) 2019-12-03 2021-06-11 주식회사 펀앤뉴 모바일 신분증을 활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KR20220067918A (ko) * 2020-11-18 2022-05-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신분증을 이용한 얼굴 인증 장치 및 방법
KR102367783B1 (ko) * 2021-11-10 2022-02-25 최상훈 셀프 뱅킹 키오스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0683A1 (ko) * 2022-10-26 2024-05-02 주식회사 애니싸인 모바일 신분증 기반 얼굴인식 엣징 노드 구현을 통한 출입 및 근태관리시스템 연계서비스 구축 시스템
KR102612063B1 (ko) 2023-09-15 2023-12-08 주식회사 스피드정보 실내 위치 측위를 활용한 출입 통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1138B1 (ko) 모바일 신분증을 활용한 출입 통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07018124B (zh) 用于控制访问的远程应用
KR101920654B1 (ko) Nfc 기반 출입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679446B2 (en) Extended instant guest acces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tags
US20140135997A1 (en) Dynamic temperature control for a room containing a group of people
US1095866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access control method
KR101570601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통제 방법
US11594092B2 (en) Multi-site building access using mobile credentials
JP2016184241A (ja) 会議室予約システム、会議室予約方法および会議室予約プログラム
CN106664291A (zh) 用于对本地网络设备提供安全访问的系统和方法
WO2021175018A1 (zh) 酒店制卡方法、酒店制卡系统及酒店管理系统
JP6654807B2 (ja) 出入管理システム
KR102500602B1 (ko)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1855494B1 (ko)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 및 방법
WO2022195815A1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CN107396361B (zh) 一种用于对用户设备进行无线连接预授权的方法与设备
US10262485B2 (en) Portable terminal and function management system
CN111383375B (zh) 酒店客房的电力控制方法及电力控制系统、酒店管理系统
JP2024056872A (ja) 滞在管理装置、滞在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11272B1 (ko)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CN110648443A (zh) 一种门禁验证方法、装置、设备和介质
KR102346761B1 (ko) 클라우드 환경에서 사용자 인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80124551A (ko) 사용자 근접 로컬 데이터 기반 스마트 경기장 서비스 운영 방법 및 장치
KR102599345B1 (ko) 다세대 주택의 거주자 및 방문자 관리가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
CN112735004A (zh) 一种虚拟钥匙的分配方法、服务器及分配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