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052B1 - 우산형 색전 장치 - Google Patents

우산형 색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052B1
KR102451052B1 KR1020200078661A KR20200078661A KR102451052B1 KR 102451052 B1 KR102451052 B1 KR 102451052B1 KR 1020200078661 A KR1020200078661 A KR 1020200078661A KR 20200078661 A KR20200078661 A KR 20200078661A KR 102451052 B1 KR102451052 B1 KR 102451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resent
contact
umbrella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701A (ko
Inventor
박홍석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1020200078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052B1/ko
Priority to PCT/KR2021/006938 priority patent/WO2021261798A1/ko
Publication of KR20220000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27Type of occlusion
    • A61B17/12031Type of occlusion complete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27Type of occlusion
    • A61B17/1204Type of occlusion temporary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9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 A61B17/1210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에 접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1프레임부와, 제2프레임부와 연결되는 본체부의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에 접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2프레임부 및 복수 개의 제2프레임부를 연결하며 제2프레임부를 커버하는 차단막부를 포함하며, 제1프레임부와 제2프레임부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펼침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형 색전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우산형 색전 장치{Umbrella type embolic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우산형 색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혈관 내 설치가 용이하고, 즉각적으로 혈류를 차단할 수 있는 우산형 색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벤션(intervention) 시술 중 출혈이나, 동정맥루(arteriovenous fistula) 등의 질환이나 각종 혈류 차단을 위하여 혈관의 내부에 색전 기구가 삽입된다.
종래 색전 기구의 일 예로서 코일 형상의 색전 기구를 사용하였는데, 코일 형상의 색전 기구는 혈관 등의 대상체의 내부에서 원하는 부위에 정확하게 삽입하기가 어렵고, 삽입 후에 이동이 발생하며, 코일이 수회 감겨야 충분한 색전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대상체의 내부에 삽입하는 과정이 기술적으로 어렵고 사용자의 숙련도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엇다.
또한, 코일 형상의 색전 기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AVP(Amplatzer Vascular Plug)는 코일 형상의 색전 기구에 비해 삽입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삽입이 가능하나 이를 위하여 굵은 도관이나 유도관이 필요하고, 굴곡이 심한 혈관이나, 상대적으로 얇은 혈관에는 삽입이 불가능하고, 무리하게 삽입하는 경우 혈관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구조적인 한계로 색전이 즉각적이지 못하거나 재개통의 위험성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7135호(2015.11.16 공개, 발명의 명칭: 색전술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우산 형상으로 형성되며, 펼쳐지거나 접힘 가능한 제2프레임부와 제1프레임부, 제2프레임부를 커버하는 차단막부로 인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즉각적으로 혈류를 차단할 수 있는 우산형 색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형 색전 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접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1프레임부; 상기 제2프레임부와 연결되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에 접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2프레임부; 및 복수 개의 상기 제2프레임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2프레임부를 커버하는 차단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프레임부와 상기 제2프레임부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펼침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는 상기 제1프레임부의 일단부에 대향되는 타단부에는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부는, 상기 절곡부가 형성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절곡부가 형성되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과 교차되며 대상체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접촉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촉프레임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미리 설정되는 지점에 위치 고정되며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촉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은 교차되는 영역에서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의 외측 단부는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제2프레임부는 일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며, 방사형으로 펼침가능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형 색전 장치는, 제1프레임부와 제2프레임부가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펼침가능하고, 본체부에 접힘가능하게 연결됨으로 인하여 혈관 등 대상체의 내부에서 이동이 원활하며, 제1프레임부가 펼쳐짐에 따라 대상체의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단막부가 제2프레임부를 커버함으로 인하여, 차단막부의 양측에서의 혈류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촉프레임으로 인하여 고정프레임이 미리 설정되는 깊이 이상으로 대상체에 박히는 것을 제한할 수 있고, 과도한 삽입으로 인한 대상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형 색전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프레임부 및 차단막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제2프레임부 및 차단막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 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형 색전 장치가 대상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형 색전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프레임부 및 차단막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제2프레임부 및 차단막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 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형 색전 장치가 대상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형 색전 장치(1)는, 본체부(100), 제1프레임부(200), 제2프레임부(300), 차단막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형 색전 장치(1)는 혈관 등의 대상체(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인터벤션 시술 중 출혈, 동정맥루 등의 질환이나 각종 혈류(BF) 차단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는 혈관 등의 대상체(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양측 단부에 뒤에 설명할 제1프레임부(200), 제2프레임부(300)가 방사형으로 펼쳐지거나 접힘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1,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프레임부(200)는 뒤에 설명할 제2프레임부(300)와 연결되는 본체부(100)의 일측(도 1 기준 좌측)에 대향되는 타측(도 1 기준 우측)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프레임부(200)는 제2프레임부(300)와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며, 제2프레임부(300)를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프레임부(200)와 제2프레임부(300)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펼침이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프레임부(300)는 본체부(100)의 좌측(도 1 기준) 단부에 연결되며 제1프레임부(200)를 향해 외측 방향(도 1 기준 우측 방향)으로 방사형으로 펼쳐질 수 있고, 제1프레임부(200)는 본체부(100)의 우측(도 1 기준) 단부에 연결되며 본체부(100)를 중심으로 하여 외측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제1프레임부(200)는 본체부(100)와 외측 방향(도 1 기준 좌측)을 따라 예각을 이루도록 펼쳐질 수 있고, 제2프레임부(300)는 본체부(100)와 외측 방향(도 1 기준 우측)을 따라 예각을 이루도록 펼쳐질 수 있다.
도 1,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프레임부(200)는 고정프레임(210), 접촉프레임(2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고정프레임(210)은 본체부(100)와 연결되는 것으로, 본체부(100)와 연결되는 일단부(도 1 기준 우측 단부)에 대향되는 타단부(도 1 기준 좌측 단부)에 절곡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 도 4, 도 5를 참조하면, 절곡부(211)는 제1프레임부(200)의 길이 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루며 외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곡부(211)는 소정 곡률 반경을 가지며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곡부(211)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혈관 등의 대상체(10)에 소정 깊이만큼 삽입될 수 있으며, 절곡부(211)가 삽입됨에 따라 대상체(10)의 내부에서 본체부(100), 제2프레임부(300), 제1프레임부(200), 차단막부(400)를 포함하는 우산형 색전 장치(1)의 위치가 고정되며, 혈액 등 유체의 유동, 즉 혈류(BF)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부(211)의 외측 단부는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1프레임부(200)가 혈관 내에서 펼쳐짐에 따라 대상체(10)에 쉽게 침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210)에는 홀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홀부(212)는 고정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뒤에 설명할 접촉프레임(230)이 홀부(212)를 통과하며 고정프레임(21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210) 상에 길이 방향을 따라 홀부(212)가 연장형성됨으로 인하여 홀부(212)를 통과하며 접촉프레임(230)이 고정프레임(210)에 결합될 수 있고, 접촉프레임(230)이 대상체(10)의 내주면에 접촉 시 더 이상 고정프레임(210)이 대상체(10)에 삽입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210)은 본체부(100)에서 외측 방향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절곡부(211)가 형성되는 고정프레임(210)의 단부가 상, 하 방향(도 1 기준 )을 향하며 혈관벽 등 대상체(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210)과 접촉프레임(23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곡률 반경을 가지고 2 지점에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프레임(210)과 접촉프레임(230)은 본체부(100)의 일단부(도 1 기준 우측 단부)를 제1지점으로 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210)은 본체부(100)에서 외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접촉프레임(230)은 본체부(100)에서 외측 방향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고정프레임(210) 상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홀부(212)를 접촉프레임(230)이 통과하게 되고, 홀부(212)가 형성되는 고정프레임(210) 상의 제2지점에서 접촉프레임(230)과 결합할 수 있다.
도 1,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프레임(230)은 절곡부(211)가 형성되는 고정프레임(210)의 일측과 미리 설정되는 지점에서 위치 고정되며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프레임(230)과 고정프레임(210)은 교차되는 영역에서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접촉프레임(230)과 고정프레임(210)이 독립적으로 형성되며 교차되는 영역에서 용접 결합됨으로써 위치 고정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1프레임부(200), 구체적으로 고정프레임(210), 접촉프레임(230)은 일체로 형성되며, 홀부(212)의 구성 등이 레이저 커팅(laser cutting)되며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프레임(230)은 고정프레임(310)과 교차되는 것으로 대상체(10)의 내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도 1,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프레임(230)은 고정프레임(210)을 관통하며 고정프레임(210)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접촉프레임(230)은 고정프레임(210)에 형성되는 홀부(212)를 통과하여 고정프레임(210)과 교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고정프레임(210)과 접촉프레임(230)이 교차되는 영역에서 핀 고정, 매듭 고정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고정프레임(210)에 홀부(212)가 형성되고, 접촉프레임(230)이 고정프레임(210)에 형성되는 홀부를 통과하며 대상체(10)의 내주면에 접촉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접촉프레임(230)에 홀부가 형성되고, 고정프레임(210)이 접촉프레임(230)에 형성되는 홀부를 통과하여 대상체(10)에 삽입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이 때 고정프레임(210)은 접촉프레임(230)에 형성되는 홀부에 결합되어 위치 고정되고, 접촉프레임(230)에 형성되는 홀부를 통과한 고정프레임(210)의 미리 설정되는 길이만큼만 대상체(1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홀부(212)는 고정프레임(210)에 형성되는 것으로 고정프레임(210) 상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부(212)에 접촉프레임(230)이 통과하여 대상체(10)의 내주면에 접촉됨으로 인하여 고정프레임(210), 구체적으로 절곡부(211)가 미리 설정되는 깊이를 초과하여 혈관 등의 대상체(10)에 박힘으로써 혈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고정프레임(210)이 대상체(10)에 박힌 상태로 혈류(BF)가 빠르거나 혈압이 높게 형성되는 경우에 제2프레임부(300), 차단막부(400)에 압력이 지속적으로 전달되어 필요 이상으로 대상체(10)에 삽입되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이로 인하여 혈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접촉프레임(230)은 고정프레임(210)에 형성되는 홀부(212)를 통과하여 혈관 등의 대상체(10)와 면 접촉할 수 있어 대상체(10)의 내주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배치될 수 있다.
도 1,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프레임(230)은 본체부(100)에서 외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정프레임(210)과 달리, 본체부(100)에서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접촉프레임(230)이 본체부(100)에서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접촉프레임(230)의 단부가 혈관 등의 대상체(10)를 뚫는 방향이 아닌 대상체(10)의 내주면에 완만하게 접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접촉프레임(230)이 고정프레임(210)에 형성되는 홀부(212)에 걸쳐짐으로 인하여 대상체(10)의 내주면에 미리 설정되는 길이만큼 접촉할 수 있고, 고정프레임(210)이 미리 설정되는 깊이 이상으로 대상체(10)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프레임부(300)는 본체부(100)의 일측(도 1 기준 좌측) 단부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프레임부(300)는 일단부(도 1 기준 좌측)가 본체부(100)에 접힘가능하게 연결되며, 방사형으로 펼침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프레임부(300)는 2이상의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제2프레임부(300)의 일단부(도 1 기준 좌측 단부)가 본체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프레임부(300)는 본체부(100)와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펼쳐질 수 있으며, 접힌 상태에서는 본체부(10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되며 혈관 등 대상체(10)의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제2프레임부(300)는, 본체부(100)와 연결되는 일단부의 위치가 고정되며, 이에 대향되는 타단부는 제2프레임부(300)와 연결되는 본체부(100)의 일단부(도 1 기준 좌측 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으로 펼쳐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2프레임부(300)는 5개가 구비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그 이하 혹은 6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제2프레임부(300)는 뒤에 설명할 차단막부(400)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단막부(400)는 서로 다른 제2프레임부(300) 사이를 연결하며,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차단막부(400)로 인하여 서로 다른 제2프레임부(300) 사이가 연결되며 복수 개의 제2프레임부(300) 사이로 혈류(BF) 등의 유체가 유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차단막부(400)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데이크론(dacron) 재질의 피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부(400)는, 복수 개의 제2프레임부(300)를 연결하는 것으로 제2프레임부(300)를 커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단막부(400)는 서로 다른 제2프레임부(300) 사이를 연결하며,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으며, 제2프레임부(300)가 접힌 상태로 혈관 등 대상체(10)의 내부에서 이동하다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펼쳐지게 되면 차단막부(400)도 함께 펼쳐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부(400)로 인하여 서로 다른 제2프레임부(300) 사이가 연결되며 복수 개의 제2프레임부(300) 사이로 혈류(BF) 등의 유체가 유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부(400)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데이크론(dacron) 등의 재질의 피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우산형 색전 장치(1)의 작동원리 및 효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형 색전 장치(1)는 본체부(100), 제1프레임부(200), 제2프레임부(300), 차단막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0)의 양 단부에는 제1프레임부(200), 제2프레임부(300)가 결합될 수 있고, 제2프레임부(300)와 제1프레임부(200)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펼침가능하다.
다시 말하여, 제1프레임부(200), 제2프레임부(300)는 본체부(100)의 양단부에서 본체부(100)의 중앙부를 향해 서로 마주보며 근접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프레임부(200)는 본체부(100)의 우측 단부(도 1 기준)에서 좌측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고, 제2프레임부(300)는 본체부(100)의 좌측 단부(도 1 기준)에서 우측 방향으로 방사형으로 펼쳐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형 색전 장치(1)는 제1프레임부(200), 제2프레임부(300)가 접힌 상태에서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는 도관(도면 미도시)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미리 설정된 위치에 있는 대상체(10)의 내측에 배치되게 된다.
우산형 색전 장치(1)가 수용되는 도관이 대상체(10)의 내부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우산형 색전 장치는 도관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고, 제1프레임부(200), 제2프레임부(300)가 본체부(10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외측 방향으로 펼쳐지게 되며,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 1,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프레임부(300)가 결합되는 본체부(100)의 일측 단부(도 1 기준 좌측 단부)에 대향되는 타측 단부(도 1 기준 우측 단부)에 제1프레임부(20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프레임부(200)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각각의 제1프레임부(200)는 고정프레임(210), 접촉프레임(23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프레임(210)은 본체부(100)와 연결되는 일측 단부에 대향되는 타측 단부에 절곡부(211)가 형성될 수 있고, 절곡부(211)는 대상체(10)의 내벽인 혈관벽에 삽입될 수 있다. 접촉프레임(230)은 고정프레임(210)과 결합되는 것으로, 고정프레임(210)에 형성되는 홀부(212)를 통과하며 고정프레임(210)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210)에는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홀부(212)가 연장 형성되며, 접촉프레임(230)은 홀부(212)를 통과하여 제2지점에서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프레임(210)과 결합될 수 있다.
도 1, 도 5를 참조하면, 제2프레임부(300)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복수 개의 제2프레임부(300)가 본체부(100)의 일측 단부(도 1 기준 좌측 단부)에서 결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프레임부(300)는 차단막부(40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부(400)는 복수 개의 제2프레임부(300)와 결합되며, 복수 개의 제2프레임부(30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혈관 등의 대상체(10)의 내부를 우산형 색전 장치(1)가 이동 시에는 제1프레임부(200)가 접힌 상태로 있다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먼저 펼쳐지게 된다.
제1프레임부(200)가 펼쳐짐에 따라 고정프레임(210)이 혈관 벽에 침투 고정되며, 접촉프레임(230)으로 인하여 고정플레임(210)에서 미리 설정되는 범위만 침투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하여 접촉프레임(230)이 고정프레임(210)에 형성되는 홀부(212)에 걸쳐짐으로 인하여 홀부(212)가 형성되는 고정프레임(210)이 미리 설정된 깊이를 초과하여 대상체(10)에 박히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대상체(10)에 고정프레임(210)이 박히게 되는 경우 대상체(10)의 내부에서 혈류 등에 의한 압력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대상체(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프레임(210)과 접촉프레임(23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곡률 반경을 가지며, 구체적으로 고정프레임(210)은 본체부(100)에서 외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접촉프레임(230)은 본체부(100)에서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접촉프레임(230)이 본체부(100)에서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접촉프레임(230)의 단부가 대상체(10)의 내주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접촉프레임(230)이 대상체(10)의 내주면과 면 접촉됨으로 인하여 안정적으로 혈관 등 대상체(10)를 접촉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프레임부(200)가 펼쳐지면서 혈관벽에 침투 고정된 후에는 제2프레임부(300)가 접힌 상태로 있다가 미리 설정되는 위치에서 방사형으로 펼쳐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프레임부(300)는 제1프레임부(200)를 향해 펼쳐질 수 있고, 혈류(BF)의 역 방향으로 펼쳐지게 되며 대상체(10)의 내부에서의 혈류(BF)를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우산형 색전 장치 BF: 혈류
10: 대상체 100: 본체부
200: 제1프레임부 210: 고정프레임
211: 절곡부 212: 홀부
230: 접촉프레임 300: 제2프레임부
400: 차단막부

Claims (7)

  1.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1프레임부;
    상기 제1프레임부와 연결되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에 접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2프레임부; 및
    복수 개의 상기 제2프레임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2프레임부를 커버하는 차단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프레임부와 상기 제1프레임부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펼침가능하고,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는 상기 제1프레임부의 일단부에 대향되는 타단부에는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프레임부는,
    상기 절곡부가 형성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절곡부가 형성되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과 교차되며 대상체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접촉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프레임이 상기 홀부를 통과하며 상기 고정프레임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형 색전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프레임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미리 설정되는 지점에 위치 고정되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형 색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은 교차되는 영역에서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형 색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의 외측 단부는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형 색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제2프레임부는 일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며, 방사형으로 펼침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형 색전 장치.
KR1020200078661A 2020-06-26 2020-06-26 우산형 색전 장치 KR102451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661A KR102451052B1 (ko) 2020-06-26 2020-06-26 우산형 색전 장치
PCT/KR2021/006938 WO2021261798A1 (ko) 2020-06-26 2021-06-03 우산형 색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661A KR102451052B1 (ko) 2020-06-26 2020-06-26 우산형 색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701A KR20220000701A (ko) 2022-01-04
KR102451052B1 true KR102451052B1 (ko) 2022-10-05

Family

ID=79281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661A KR102451052B1 (ko) 2020-06-26 2020-06-26 우산형 색전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51052B1 (ko)
WO (1) WO2021261798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76799A1 (en) * 2002-12-09 2004-09-09 Nmt Medical, Inc. Septal closure devices
JP2016513544A (ja) * 2013-03-14 2016-05-16 ボルケーノ コーポレイション エコー源性特性を有するフィル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6205B2 (en) * 2001-02-20 2003-01-14 Mark Goldberg Blood clot filtering system
WO2005102212A1 (en) * 2004-04-16 2005-11-03 Cook, Inc. Removable vena cava filter with anchoring feature for reduced trauma
US8876796B2 (en) * 2010-12-30 2014-11-04 Claret Medical, Inc. Method of accessing the left common carotid artery
WO2016041961A2 (en) * 2014-09-15 2016-03-24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An embolisation device
US10517708B2 (en) * 2016-10-26 2019-12-31 DePuy Synthes Products, Inc. Multi-basket clot captur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76799A1 (en) * 2002-12-09 2004-09-09 Nmt Medical, Inc. Septal closure devices
JP2016513544A (ja) * 2013-03-14 2016-05-16 ボルケーノ コーポレイション エコー源性特性を有するフィル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701A (ko) 2022-01-04
WO2021261798A1 (ko) 202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05710B2 (ja) 血管オクルーダー
EP3305213B1 (en) Systems for enclosing an anatomical opening
US10149692B2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postconditioning with clot removal
US4254774A (en) Balloon catheter and technique for the manufacture thereof
JP6154394B2 (ja) 患者の脈管構造における異常な開口部を閉塞する機器および方法
US3833003A (en) Intravascular occluding catheter
US20080086193A1 (en) Methods for placement of vascular stents and vascular stents
JP2009511093A (ja) 動静脈フィステルのカニューレ挿入を容易に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2754067B2 (ja) 医療用体壁穴栓塞治具
US20090187215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reduce a dimension of an implantable device in a smaller state
KR102451052B1 (ko) 우산형 색전 장치
KR20200080256A (ko) 돔 형상 필터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70120038A1 (en) Clamp device for flexible tube
US20120316632A1 (en) Retrievable covered stent for bifurcation aneurysms
JP2004125035A (ja) 配管用コネクタ
JP2009533077A (ja) 動脈瘤コイル送達システム
KR20150064086A (ko) 오버몰딩된 의료용 커넥터 배관 및 방법
KR102428283B1 (ko) 색전 장치
EP3494934B1 (en) Stent with positioning arms
CN100584286C (zh) 治疗未闭椭圆孔的基于能量的装置
CN205391220U (zh) 一种带孔的密网支架
US11648379B2 (en) Endovascular balloon catheters and methods for use
KR20150076234A (ko) 변화하는 단면을 갖는 스텐트
CN109199631A (zh) 下腔静脉栓塞过滤器
KR20160022597A (ko)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