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742B1 - 소비자 신체정보에 기초한 맞춤형 의류 추천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비자 신체정보에 기초한 맞춤형 의류 추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742B1
KR102450742B1 KR1020220080967A KR20220080967A KR102450742B1 KR 102450742 B1 KR102450742 B1 KR 102450742B1 KR 1020220080967 A KR1020220080967 A KR 1020220080967A KR 20220080967 A KR20220080967 A KR 20220080967A KR 102450742 B1 KR102450742 B1 KR 102450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ing
pillar
consumer
information
kio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손손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손손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손손컴퍼니
Priority to KR1020220080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7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0Determination of colour characteristic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비자 신체정보에 기초한 맞춤형 의류 추천 시스템으로서 의류를 촬영한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비자 신체정보에 기초한 맞춤형 의류 추천 시스템{Customized Clothing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Consumer Body Information}
본 발명은 소비자 신체정보에 기초한 맞춤형 의류 추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의류 추천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의 정보와 무관하게 다양한 의류 추천 정보들을 제공하였으나, 의류 추천 정보를 제공받은 사용자는 막상 추천된 의류를 참고하여, 본인에게 코디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2-003957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소비자의 신체사이즈 및 피부톤에 맞추어 소비자에게 적합한 의류를 추천할 수 있는 소비자 신체정보에 기초한 맞춤형 의류 추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Figure 112022068672209-pat00001
Figure 112022068672209-pat00002
Figure 112022068672209-pat00003
Figure 112022068672209-pat00004
Figure 112022068672209-pat00005
Figure 112022068672209-pat00006
Figure 112022068672209-pat00007
Figure 112022068672209-pat00008
Figure 112022068672209-pat00009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신체정보에 기초한 맞춤형 의류 추천 시스템은, 의류를 촬영한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신체정보에 기초한 맞춤형 의류 추천 시스템은, 상기 의류가 편집된 이미지 및 상기 의류의 정보가 통신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등록되는 관리서버; 및 상기 의류를 판매하는 오프라인 매장에 위치하고, 상기 관리서버와 통신하여 소비자에게 의류 피팅 정보를 제공하는 키오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관리서버는, 의류 색상, 사이즈, 핏감을 포함한 의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상기 키오스크와 통신하는 서버통신부; 매장에 방문한 소비자에게 상기 키오스크를 통해 의류 피팅 정보를 제공한 소비자의 개인정보 및 신체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의류 피팅 정보를 제공한 가장 최근 날짜로 소비자의 개인정보 및 신체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소비자저장부; 상기 키오스크를 대면하고 선 소비자의 모습을 촬영하고, 상기 소비자의 키, 어깨너비를 포함한 신체 사이즈를 측정하는 신체사이즈측정부; 상기 키오스크를 대면하고 선 소비자의 모습을 촬영하고, 상기 소비자의 피부톤을 검출하는 피부톤검출부; 및 상기 신체사이즈측정부에서 측정한 신체 사이즈 및 상기 피부톤검출부에서 검출한 피부톤을 기반으로 하여 소비자에 알맞은 스타일에 맞춘 종류의 의류, 사이즈 및 색상을 추천하는 의류추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서버통신부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편집되어 등록되는 의류의 정보인 속옷, 외투, 상의, 하의를 포함한 기본 정보가 등록되는 의류등록부;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의류등록부에 등록된 의류의 사이즈와 각 위치별 측정 사이즈가 등록되는 사이즈등록부;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의류등록부 및 상기 사이즈등록부에 등록된 의류의 재질이 입력되고, 의류의 재질에 따라 핏감이 등록되는 핏감등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는, 전면에 위치한 소비자를 촬영하고, 상기 관리서버에서 제공하는 의류를 추천하는 화면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 전면에 위치한 소비자의 정보가 입력되는 정보입력부; 및 상기 정보입력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정보입력부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다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다리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안정적이게 유지하도록 구비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부재는, 상부로 지지부착부이 부착되며 하부로 기둥축을 갖는 기둥이 부착 형성된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기둥축이 끼움되도록 직경 및 형상이 상기 기둥축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기둥축끼움부가 형성되며 일측으로 부착해제부가 형성된 중앙부재; 및 상기 중앙부재의 하단 내측으로 결합되는 결합기둥을 구비하여 덮개부를 형성한 부착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기둥축과 상기 기둥축끼움부에 의하여 상기 지지판이 상,하 180°로 회전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기둥축은, 상기 기둥축끼움부에 끼워져 회전함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상기 키오스크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중앙부재는, 상기 결합기둥과 서로 수직된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하단 측면을 관통하는 결합핀이 관통되는 측면관통부가 하단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핀은, 상기 결합기둥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결합기둥이 상기 중앙부재의 하단관통홈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부착판은, 양면테이프를 부착하여 바닥면에 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에 기초한 의류 핏팅 체험 시스템은, 의류를 촬영한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에 기초한 의류 핏팅 체험 시스템은, 상기 의류가 편집된 이미지 및 상기 의류의 등록되는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소비자 단말기; 및 상기 의류를 판매하는 오프라인 매장에 위치하고, 상기 관리서버와 통신하여 소비자에게 의류 피팅 정보를 제공하는 키오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관리서버는, 의류 색상, 사이즈, 핏감을 포함한 의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상기 키오스크와 통신하는 서버통신부; 자택에서 온라인으로 의류 핏팅을 희망하는 소비자는 상기 소비자 단말기를 통해, 매장에 방문한 소비자는 상기 키오스크를 통해, 소비자의 의류 피팅 정보를 제공한 소비자의 개인정보 및 신체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의류 피팅 정보를 제공한 가장 최근 날짜로 소비자의 개인정보 및 신체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소비자저장부; 상기 소비자 단말기 또는 상기 키오스크를 대면하고 선 소비자의 모습을 촬영하고, 상기 소비자의 키, 어깨너비를 포함한 신체 사이즈를 측정하는 신체사이즈측정부; 상기 소비자 단말기 또는 상기 키오스크를 대면하고 선 소비자의 모습을 촬영하고, 상기 소비자의 피부톤을 검출하는 피부톤검출부; 및 상기 신체사이즈측정부에서 측정한 신체 사이즈 및 상기 피부톤검출부에서 검출한 피부톤을 기반으로 하여 소비자에 알맞은 스타일에 맞춘 종류의 의류, 사이즈 및 색상을 추천하는 의류추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신체사이즈측정부는, 상기 소비자 단말기를 통해 소비자가 위치한 곳이 자택인지 매장인지 입력 받아 소비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확인부; 소비자가 자택인 경우, 사물의 사이즈 데이터와 상기 소비자의 신체 사이즈 데이터를 측정하는 데이터 측정부; 상기 데이터 측정부에서 측정한 사물의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소비자의 신체 사이즈 데이터를 측정하여 상기 소비자의 신체 사이즈 데이터의 정확도를 상승시키는 신체측정부; 및 상기 신체측정부에서 측정한 상기 소비자의 신체 사이즈를 기반으로 하여 의류 피팅 정보를 제공하는 피팅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는, 전면에 위치한 소비자를 촬영하고, 상기 관리서버에서 제공하는 의류를 추천하는 화면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 전면에 위치한 소비자의 정보가 입력되는 정보입력부; 및 상기 정보입력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정보입력부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다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다리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안정적이게 유지하도록 구비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부재는, 상부로 지지부착부이 부착되며 하부로 기둥축을 갖는 기둥이 부착 형성된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기둥축이 끼움되도록 직경 및 형상이 상기 기둥축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기둥축끼움부가 형성되며 일측으로 부착해제부가 형성된 중앙부재; 및 상기 중앙부재의 하단 내측으로 결합되는 결합기둥을 구비하여 덮개부를 형성한 부착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기둥축과 상기 기둥축끼움부에 의하여 상기 지지판이 상,하 180°로 회전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기둥축은, 상기 기둥축끼움부에 끼워져 회전함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상기 키오스크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중앙부재는, 상기 결합기둥과 서로 수직된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하단 측면을 관통하는 결합핀이 관통되는 측면관통부가 하단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핀은, 상기 결합기둥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결합기둥이 상기 중앙부재의 하단관통홈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부착판은, 양면테이프를 부착하여 바닥면에 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소비자 신체정보에 기초한 맞춤형 의류 추천 시스템은 소비자의 신체사이즈 및 피부톤에 맞추어 소비자에게 적합한 의류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안하는 소비자 신체정보에 기초한 맞춤형 의류 추천 시스템을 통해 일행이 동행하지 않은 소비자일지라도 키오스크를 통해 본인에게 어울리는 스타일을 추천받을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의 디스플레이부가 하부로 각도 조절이 용이한 기둥 또는 기둥축, 기둥축이 끼워지는 중앙부재를 형성함으로써, 흡착되어 키오스크 사용 시에 기둥 또는 기둥축이나 중앙부재에 의하여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구애됨이 없이 사용자에게 맞도록 상,하 180° 회전 시켜 기울임의 각도를 설정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지지부재의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기둥축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키오스크의 디스플레이부 각도가 조절될 때 발생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하는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시간의 흐름에 따라 하중에 대한 저항력이 감소되더라도 해당 스프링부재만을 교체할 수 있게 되어 기둥의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미만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신체정보에 기초한 맞춤형 의류 추천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신체정보에 기초한 맞춤형 의류 추천 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키오스크에 대한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Figure 112022068672209-pat00010
Figure 112022068672209-pat00011
Figure 112022068672209-pat00012
Figure 112022068672209-pat00013
Figure 112022068672209-pat00014
Figure 112022068672209-pat00015
Figure 112022068672209-pat00016
Figure 112022068672209-pat00017
Figure 112022068672209-pat00018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 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미만,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신체정보에 기초한 맞춤형 의류 추천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신체정보에 기초한 맞춤형 의류 추천 시스템(10)은 관리자 단말기(500)를 통해 의류를 촬영한 이미지를 편집하여 관리서버(100)에 등록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관리서버(100)는 서버통신부(110), 소비자저장부(130), 신체사이즈측정부(150), 피부톤검출부(170) 및 의류추천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통신부(110)는 의류 색상, 사이즈, 핏감을 포함한 의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후술하는 키오스크와 통신할 수 있다.
한편, 서버통신부(110)는 관리자 단말기(500)를 통해 편집되어 등록되는 의류의 정보인 속옷, 외투, 상의, 하의를 포함한 기본 정보가 등록되는 의류등록부(111), 관리자 단말기(500)를 통해 의류등록부(111)에 등록된 의류의 사이즈와 각 위치별 측정 사이즈가 등록되는 사이즈등록부(115) 및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의류등록부(111) 및 사이즈등록부(115)에 등록된 의류의 재질이 입력되고, 의류의 재질에 따라 핏감이 등록되는 핏감등록부(119)를 포함할 수 있다.
소비자저장부(130)는 매장에 방문한 소비자에게 후술하는 키오스크를 통해 의류 피팅 정보를 제공한 소비자의 개인정보 및 신체정보를 저장하고, 의류 피팅 정보를 제공한 가장 최근 날짜로 소비자의 개인정보 및 신체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신체사이즈측정부(150)는 후술하는 키오스크를 대면하고 선 소비자의 모습을 촬영하고, 소비자의 키, 어깨너비를 포함한 신체 사이즈를 측정할 수 있다.
피부톤검출부(170)는 후술하는 키오스크를 대면하고 선 소비자의 모습을 촬영하고, 소비자의 피부톤을 검출할 수 있다.
의류추천부(190)는 신체사이즈측정부(150)에서 측정한 신체 사이즈 및 피부톤검출부(170)에서 검출한 피부톤을 기반으로 하여 소비자에 알맞은 스타일에 맞춘 종류의 의류, 사이즈 및 색상을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소비자 신체정보에 기초한 맞춤형 의류 추천 시스템(10)의 서버통신부(110)의 사이즈등록부(115)를 통해 출시된 사이즈는 'm'이지만 실제 측정 사이즈는 각 의류마다 상이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소비자에게 보다 적합한 사이즈의 의류를 추천해줄 수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소비자 신체정보에 기초한 맞춤형 의류 추천 시스템(10)의 서버통신부(110)의 핏감등록부(119)를 통해 의류의 재질에 따라 슬림핏, 오버핏이 예측 가능하고, 예측되는 핏감을 등록하여 소비자의 신체 사이즈에 어울리는 의류를 보다 구체적으로 추천해줄 수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소비자 신체정보에 기초한 맞춤형 의류 추천 시스템(10)의 신체사이즈측정부(150)는 소비자의 어깨너비, 키, 골반너비를 통해 소비자에게 잘 어울리는 스타일(원피스, 짧은 치마, 긴 치마, 스키니진 등)을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소비자 신체정보에 기초한 맞춤형 의류 추천 시스템(10)의 피부톤검출부(170)는 매장에 존재하는 조명과 소비자가 착용한 의류의 색상들로 인하여 피부톤이 달라보일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소비자의 실제 피부톤을 검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매장을 방문한 소비자는 본인의 피부톤에 잘 어울리는 의류의 색상을 추천받을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신체정보에 기초한 맞춤형 의류 추천 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키오스크에 대한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소비자 신체정보에 기초한 맞춤형 의류 추천 시스템(10)의 일부 구성인 키오스크(900)는 의류를 판매하는 오프라인 매장에 위치하고, 관리서버(100)와 통신하여 소비자에게 의류 피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키오스크(900)는 전면에 위치한 소비자를 촬영하고, 관리서버에서 제공하는 의류를 추천하는 화면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910), 전면에 위치한 소비자의 정보가 입력되는 정보입력부(950) 및 정보입력부(950)의 하단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부(910) 및 정보입력부(950)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다리부(9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는 다리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바닥면으로부터 안정적이게 유지하도록 구비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800)는 상부로 지지부착부(812)가 부착되며 하부로 기둥축(816)을 갖는 기둥(814)이 부착 형성된 지지판(810)과, 지지판(810)의 하부로 기둥축(816)이 끼움 고정되는 기둥축끼움부(826)가 형성된 중앙부재(820)와, 중앙부재(820)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결합기둥(832)을 구비하여 덮개부(834)를 형성한 부착판(8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800)는 부착판(830)에 의하여 평평한 예를 들어 매끈한 바닥면 또는 울퉁불퉁한 아스팔트 바닥면 등과 같은 곳의 어느 곳이나 부착이 가능한 것으로,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이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봄으로서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특징들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지지부재(800)의 최상단에 위치한 지지판(810)은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810)의 상면부로는 별도의 접착제나 접착테이프(미도시) 소재로 형성된 지지부착부(812)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어 키오스크(900)의 다리부(990) 하단에 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지지판(810)의 하부 중앙부에는 후술하는 기둥축끼움부(826)에 끼움 고정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기둥축(816)이 형성되어 있는 기둥(814)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기둥(814)은 기둥축(816)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판(810)의 하단 중앙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단에 부착 부재가 구비되어 있어 지지판(810)으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지지판(810)의 하단에는 기둥(814)의 하단에 위치한 기둥축끼움부(826)가 끼움 고정되는 중앙부재(820)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중앙부재(820)를 구성하는 기둥축끼움부(826)는 중앙부재(82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기둥(814)의 하부에 형성된 기둥축(816)이 끼움 결합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되 기둥축(816)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기둥축(816)과 기둥축끼움부(826)에 의하여 지지판(810)은 상,하 180°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결합된 것이다.
이를 통해 키오스크(900)의 다리부(990) 하단 양측에 위치한 지지부재(800)는 키오스크(900)의 디스플레이부(910)의 전면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키에 따라 편리하게 키오스크(900)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중앙부재(820)의 하부로는 결합기둥(832)에 의해 결합되는 덮개부(834)를 형성한 부착판(830)은 중앙부재(820)의 측면에 관통하는 결합핀(829)에 의해 결합되며, 결합핀(829)에 의하여 부착판(830)의 흡착 및 해제를 하도록 구성된다.
중앙부재(820)의 하단에는 결합기둥(832)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도록 결합기둥(832)의 직경 및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하단관통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하단 측면에는 결합핀(829)이 관통하여 위치하도록 측면관통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측면관통홈(미도시)의 내측 끝단은 하단관통홈(미도시)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측면관통홈(미도시)으로 관통하여 위치한 결합핀(829)은 하단관통홈(미도시)를 관통하여 위치한 결합기둥(832)을 조여 결합기둥(832)이 하단관통홈(미도시)의 내측에서 견고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결합핀(829)과 결합기둥(832)을 서로 수직된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으며, 결합핀(829)은 결합기둥(832)의 측면을 가압하여 결합기둥(832)이 중앙부재(820)의 하단관통홈(미도시)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결합핀(829)은 결합기둥(832)과 맞닿는 일단면이 고무 등의 미끄럼을 방지하며 조일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용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부착판(830)이 흡착될 수 있는 평편한 곳에 부착하여 사용함은 물론 지지판(810)을 하부로 형성된 기둥(814)에 의하여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용이 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과 이에 따른 실시예에서 부착판(830)에는 별도의 양면테이프(도시생략)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고장의 염려가 없는 것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둥(600)은, 키오스크(900)에 직간접적으로 개재되어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하여 주기 위한 것으로서 중앙부(690)와, 결합부(610)와, 미끄럼 방지부(630)와, 스프링부재(650)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부(690)는 몸체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에 나사부(690')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부(690)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에는 금속판 등으로 된 결합부(61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부(610)는 중앙부(690)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스프링부재(650)들이 중앙부(690)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결합부(610)에서 중앙부(690)가 결합되지 않은 방향으로는 미끄럼 방지부(630)가 결합될 수 있다.
미끄럼 방지부(630)는 중앙부(690)에 배향되게 결합부(610)에 결합될 수 있다.
미끄럼 방지부(630)는 키오스크(900)의 하단과 밀착하여 위치할 수 있으며, 키오스크(900)의 하단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표면이 거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미끄럼 방지부(630)는 표면이 거친 재질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접착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등 키오스크(900)의 하단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그 방법에 구애없이 모두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부재(650)는 관통홈(650')을 구비하여 중앙부(690)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경사지도록 형성된 탄성면(650'')을 갖는 원반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중앙부(69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부(690)에 복수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스프링부재(650)들이 기둥(600)에 적용됨으로써 기둥(600)의 진동 흡수 성능 또는 충격 흡수 성능이 개선될 수 있고, 기둥(600)의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기둥(600)의 설치공간이 작더라도 비교적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스프링부재(650)들이 적용되는 기둥(600)의 하중설계 시에는, 각각의 스프링부재(650)들이 최대 변형량(경사지도록 형성된 탄성면(650'')이 거의 평탄해질 때까지의 변형량)의 대략 75%까지만 변형되는 것이 허용되도록 기둥(600)의 지지하중을 고려하여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스프링부재(650)는 작은 크기로도 큰 힘을 받아줄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지는 것으로, 초기에는 가해지는 힘에 비례하여 변위를 일으키지만 일정 힘 이상에서는 변위가 급격히 증가할 수 있다. 즉, 스프링부재(650)는 변위가 많이 생기더라도 탄성력에는 큰 차이가 생기지 않는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스프링부재(650)는 볼록한 부분이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여러 개를 겹치면 그 겹치는 개수에 따라 스프링의 강성이 증가할 수 있고, 볼록한 부분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여러 개를 겹치면 겹치는 개수에 따라 변위가 증가할 수 있다.
즉, 위 두 가지 방식을 조합하는 경우 스프링의 특성을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다.
스프링부재 2개를 서로 포개지도록 겹치는 경우 스프링부재의 강성은 배로 증가할 수 있다. 즉, 스프링부재를 볼록한 부분이 같은 방향을 향하게 서로 포개지도록 겹치는 경우, 스프링부재의 스프링 강성은 겹쳐지는 스프링부재의 개수에 비례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부재들을 볼록한 부분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게 서로 마주보고 겹치는 경우 같은 힘에 대해 변위가 겹치는 스프링부재의 개수에 비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둥(600)의 스프링부재(650)들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기둥(600)이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기둥(600)의 특성이 용이하게 가변될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스프링부재(650)들이 동일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중앙부(690)에 스프링부재(650)들을 결합시킨다면 동일한 하중에 대하여 스프링부재(650)들의 변위량은 상대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둥(600)에 수평 하중이 작용되어 스프링부재(650)들이 중앙부(690)를 따라 변위될 때에 중앙부(690)의 표면이나 스프링부재(650)들의 내주연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두께(스프링 강성)가 상이한 스프링부재(650)들을 그룹별로 구획하여 기둥(600)에 작용하는 수평하중을 단계적으로 지지함으로써 기둥(600)에 의한 하중 지지력을 더욱 증대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간의 흐름에 따라 하중에 대한 저항력이 감소되더라도 해당 스프링부재(650)만을 교체할 수 있게 되어 기둥(600) 자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어지게 됨으로써 기둥(600)의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관리서버

Claims (3)

  1. 의류를 촬영한 이미지를 편집하는, 소비자 신체정보에 기초한 맞춤형 의류 추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의류가 편집된 이미지 및 상기 의류의 정보가 통신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등록되는 관리서버; 및
    상기 의류를 판매하는 오프라인 매장에 위치하고, 상기 관리서버와 통신하여 소비자에게 의류 피팅 정보를 제공하는 키오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의류 색상, 사이즈, 핏감을 포함한 의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상기 키오스크와 통신하는 서버통신부;
    매장에 방문한 소비자에게 상기 키오스크를 통해 의류 피팅 정보를 제공한 소비자의 개인정보 및 신체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의류 피팅 정보를 제공한 가장 최근 날짜로 소비자의 개인정보 및 신체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소비자저장부;
    상기 키오스크를 대면하고 선 소비자의 모습을 촬영하고, 상기 소비자의 키, 어깨너비를 포함한 신체 사이즈를 측정하는 신체사이즈측정부;
    상기 키오스크를 대면하고 선 소비자의 모습을 촬영하고, 상기 소비자의 피부톤을 검출하는 피부톤검출부; 및
    상기 신체사이즈측정부에서 측정한 신체 사이즈 및 상기 피부톤검출부에서 검출한 피부톤을 기반으로 하여 소비자에 알맞은 스타일에 맞춘 종류의 의류, 사이즈 및 색상을 추천하는 의류추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통신부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편집되어 등록되는 의류의 정보인 속옷, 외투, 상의, 하의를 포함한 기본 정보가 등록되는 의류등록부;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의류등록부에 등록된 의류의 사이즈와 각 위치별 측정 사이즈가 등록되는 사이즈등록부;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의류등록부 및 상기 사이즈등록부에 등록된 의류의 재질이 입력되고, 의류의 재질에 따라 핏감이 등록되는 핏감등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는,
    전면에 위치한 소비자를 촬영하고, 상기 관리서버에서 제공하는 의류를 추천하는 화면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
    전면에 위치한 소비자의 정보가 입력되는 정보입력부; 및
    상기 정보입력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정보입력부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다리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안정적이게 유지하도록 구비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부로 지지부착부이 부착되며 하부로 기둥축을 갖는 기둥이 부착 형성된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기둥축이 끼움되도록 직경 및 형상이 상기 기둥축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기둥축끼움부가 형성되며 일측으로 부착해제부가 형성된 중앙부재; 및
    상기 중앙부재의 하단 내측으로 결합되는 결합기둥을 구비하여 덮개부를 형성한 부착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기둥축과 상기 기둥축끼움부에 의하여 상기 지지판이 상,하 180°로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기둥축은,
    상기 기둥축끼움부에 끼워져 회전함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상기 키오스크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중앙부재는,
    상기 결합기둥과 서로 수직된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하단 측면을 관통하는 결합핀이 관통되는 측면관통부가 하단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핀은,
    상기 결합기둥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결합기둥이 상기 중앙부재의 하단관통홈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부착판은,
    양면테이프를 부착하여 바닥면에 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기둥은,
    상기 키오스크에 직간접적으로 개재되어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하도록 상기 지지판에 부착 구비되고,
    상기 기둥은,
    몸체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일부에 나사부가 마련되는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에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중앙부에 배향되도록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미끄럼 방지부; 및
    관통홈을 구비하여 상기 중앙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경사지도록 형성된 탄성면을갖는 원반의 형상으로 마련되되 상기 중앙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중앙부에 복수로 결합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중앙부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부재들이 상기 중앙부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중앙부가 결합되지 않은 양단부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미끄럼 방지부가 결합되고,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상기 키오스크의 하단과 밀착하여 위치하며 상기 키오스크의 하단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표면이 거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기둥에 적용되어 상기 기둥의 진동 흡수 성능 또는 충격 흡수 성능이 개선되며, 상기 기둥의 설치공간을 줄여 상기 기둥의 설치 공간이 작더라도 비교적 큰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기둥은,
    상기 스프링부재들이 적용된 채 하중을 설계할 시에는 각각의 상기 스프링부재들이 최대 변형량의 75%까지 변형되는 것이 허용되도록 지지하중을 고려하여 설계하고,
    상기 최대 변형량은,
    경사지도록 형성된 상기 탄성면이 평탄해질 때까지의 변형량을 의미하고,
    상기 스프링부재는,
    작은 크기로도 큰 힘을 받는 탄성력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되, 초기에 가해지는 힘에 비례하여 변위를 일으키지만 일정 힘 이상에서는 변위가 급격히 증가하는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부재는,
    볼록한 부분이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여러 개를 겹치는 경우, 겹치는 개수에 따라 스프링의 강성이 증가하고,
    볼록한 부분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여러 개를 겹치는 경우, 겹치는 개수에 따라 변위가 증가하고,
    상기 기둥은,
    상기 스프링부재들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특성이 용이하게 가변되도록 조정 가능하고,
    상기 스프링부재는,
    동일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상기 중앙부에 결합시키는 경우, 동일한 하중에 대하여 변위량은 상대적으로 작아져 상기 기둥에 수평 하중에 작용되어 상기 중앙부를 따라 변위될 때, 내주연 또는 상기 중앙부의 표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기둥은,
    하중에 대한 저항력이 감소되더라도 상기 스프링부재만 교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전체 교체 비용 절감이 가능한, 소비자 신체정보에 기초한 맞춤형 의류 추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20080967A 2022-06-30 2022-06-30 소비자 신체정보에 기초한 맞춤형 의류 추천 시스템 KR102450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967A KR102450742B1 (ko) 2022-06-30 2022-06-30 소비자 신체정보에 기초한 맞춤형 의류 추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967A KR102450742B1 (ko) 2022-06-30 2022-06-30 소비자 신체정보에 기초한 맞춤형 의류 추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742B1 true KR102450742B1 (ko) 2022-10-07

Family

ID=83596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967A KR102450742B1 (ko) 2022-06-30 2022-06-30 소비자 신체정보에 기초한 맞춤형 의류 추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7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625B1 (ko) * 2018-10-02 2019-10-07 주식회사 세정글로벌 의류매장용 개인 맞춤형 의류 추천방법
KR20200049288A (ko) * 2018-10-31 2020-05-0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러 디스플레이 및 증강현실을 이용한 피팅 이미지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피팅 부스
KR20220039578A (ko) 2020-09-22 2022-03-29 주식회사 스타일봇 사용자 선택 의류를 기반으로 의류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이를 이용하는 서버 및 프로그램
KR102387892B1 (ko) * 2021-11-19 2022-04-18 (주)엔더블유컴퍼니 증강현실에 기반한 의류 판매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625B1 (ko) * 2018-10-02 2019-10-07 주식회사 세정글로벌 의류매장용 개인 맞춤형 의류 추천방법
KR20200049288A (ko) * 2018-10-31 2020-05-0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러 디스플레이 및 증강현실을 이용한 피팅 이미지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피팅 부스
KR20220039578A (ko) 2020-09-22 2022-03-29 주식회사 스타일봇 사용자 선택 의류를 기반으로 의류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이를 이용하는 서버 및 프로그램
KR102387892B1 (ko) * 2021-11-19 2022-04-18 (주)엔더블유컴퍼니 증강현실에 기반한 의류 판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lum et al. A speedy solution for balance and gait analysis: angular velocity measured at the centre of body mass
KR102509902B1 (ko) 증강현실에 기초한 의류 핏팅 체험 시스템
EP2067009B1 (fr) Appareil postural dynamique permettant une détection d'une posture bipède équilibrée
US20220075457A1 (en) Apparatus for capturing movements of a person using the apparatus for the purposes of transforming the movements into a virtual space
KR102450742B1 (ko) 소비자 신체정보에 기초한 맞춤형 의류 추천 시스템
WO1998057270B1 (en) A system and method enabling shopping from home for fitted eyeglass frames
JP700370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
US8941777B1 (en)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images of a geographic area
CN105739778B (zh) 一种移动终端及触控屏
WO2014030163A1 (en) Garment and accessories fitting
KR101923676B1 (ko) 샌들 기반의 자세교정 장치
TWI516399B (zh) 坐墊接觸模式區分系統
FR3073472B1 (fr) Dispositif de detection de position d'un siege par rapport au chassis d'un vehicule
Ma et al. A quick method to extract earphone-related ear dimensions using two-dimensional (2D) image
KR102492623B1 (ko) 좌식 운동 장치
JP2010201084A (ja) 着座姿勢推定システム及び着座姿勢推定方法
US10032292B2 (en) Interpreting texture in support of mobile commerce and mobility
US20150019992A1 (en) Digital closet
TWD187841S (zh) 行動式銷售資訊終端機(二)
Kim et al. Presentation of budge sonance with small action on the body motion
US907420A (en) Mirror.
CN205628038U (zh) 一种医用检验设备辅助装置
JP3207767U (ja) 重量を静的に表示可能なキャリーバッグ
Shin et al. Implementation of sitting posture monitoring system with kinect
FR3010890A1 (fr) Dispositif de mesure de l'acuite visuel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