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722B1 -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722B1
KR102450722B1 KR1020200056556A KR20200056556A KR102450722B1 KR 102450722 B1 KR102450722 B1 KR 102450722B1 KR 1020200056556 A KR1020200056556 A KR 1020200056556A KR 20200056556 A KR20200056556 A KR 20200056556A KR 102450722 B1 KR102450722 B1 KR 102450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te
fine dust
station
subway
providin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8341A (ko
Inventor
손승희
Original Assignee
손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승희 filed Critical 손승희
Priority to KR1020200056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722B1/ko
Publication of KR20210138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8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Navigation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선경로제공서버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출발역사 및 도착역사를 수신하여, 미세먼지 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또는 미세먼지량이 최소인 지하철노선경로를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노선경로제공서버로부터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또는 미세먼지량이 최소인 지하철노선경로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SUBWAY ROUTE WITH PARTICULATE MATTER INFORMATION}
본 발명은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노선경로제공서버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출발역사 및 도착역사를 수신하여, 미세먼지 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또는 미세먼지량이 최소인 지하철노선경로를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하철의 경우 대중 교통 중 정체 가능성이 적고 이용 요금이 저렴하여 중 단거리 이동 수단으로 많이 이용되는 대중 교통 수단 중 하나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역사가 지하에 있다는 위치적 제한 조건을 가지며, 출퇴근 시간에 이용객이 급증하기 때문에 이로 인하 공기 오염이 매우 심한데, 조사에 따르면 지하철 실내 미세먼지 농도는 같은 시간 외부 미세먼지 농도에 비해 보통 2~3배에서 많게는 8배 짙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엇보다 지하철 미세먼지 농도가 해를 거듭할수록 높아지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물론, 지하철 역사 내지 철도차량 내부의 미세먼지량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장 우선이겠으나, 이와 다른 방향으로 지하철을 이용하는 승객들에게 미세먼지 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를 제공하여, 승객들이 다수의 지하철노선경로 중에서 미세먼지 정보에 따라 특정 지하철노선경로를 선택하여 목적지로 이동하게 하거나, 미세먼지량이 최소인 지하철노선경로를 통하여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48306호 (2010.05.11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를 통하여 출발역사 및 도착역사를 전송하면, 노선경로제공서버가 미세먼지 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또는 미세먼지량이 최소인 지하철노선경로를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노선경로제공서버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출발역사 및 도착역사를 수신하는 기본정보수신단계; 상기 노선경로제공서버가 상기 출발역사 및 상기 도착역사를 기초로 2 이상의 지하철노선경로를 산출하는 노선경로산출단계; 상기 노선경로제공서버가 2 이상의 상기 지하철노선경로 각각에 대하여, 상기 지하철노선경로가 포함하는 역사들의 미세먼지량을 합산한 미세먼지총량을 산출하는 미세먼지총량산출단계; 상기 노선경로제공서버가 상기 미세먼지총량을 포함하는 2 이상의 미세먼지반영경로를 생성하는 미세먼지반영경로생성단계; 및 상기 노선경로제공서버가 2 이상의 상기 미세먼지반영경로 또는 2 이상의 상기 미세먼지반영경로 중 상기 미세먼지총량이 가장 작은 미세먼지최소경로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미세먼지반영경로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하철노선경로는, 상기 출발역사에서 상기 도착역사까지의 소요 시간이 최소인 최단시간경로, 상기 출발역사에서 상기 도착역사까지의 환승 횟수가 최소인 최소환승경로 및 상기 출발역사에서 상기 도착역사까지의 경유역사의 수가 최소인 최소역사경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미세먼지총량은, 상기 지하철노선경로가 포함하는 1 이상의 경유역사의 미세먼지량의 합산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노선경로제공서버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출발역사 및 도착역사를 수신하는 기본정보수신단계; 상기 노선경로제공서버가 상기 출발역사 및 상기 도착역사 사이에 위치하는 환승역사로부터 분기하는 2 이상의 노선구간에 대한 미세먼지총량을 각각 산출하는 미세먼지총량산출단계; 상기 노선경로제공서버가 상기 노선구간 중 상기 미세먼지총량이 가장 작은 상기 노선구간을 선택노선구간으로 선정하는 노선구간선정단계; 상기 노선경로제공서버가 상기 선택노선구간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최소경로를 산출하는 미세먼지최소경로산출단계; 및 상기 노선경로제공서버가 상기 미세먼지최소경로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미세먼지최소경로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미세먼지총량은, 상기 노선구간이 포함하는 역사 중 상기 환승역사에 가장 인접하는 역사에 대한 미세먼지량 및 상기 노선구간이 포함하는 모든 상기 역사들에 대한 미세먼지량의 합산값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노선구간선정단계는 환승역사로부터 분기하는 2 이상의 상기 노간구간 중 상기 도착역사를 포함하는 노선구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환승역사와 상기 도착역사 사이의 노선구간을 상기 선택노선구간으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용자는 노선경로제공서버로부터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또는 미세먼지량이 최소인 지하철노선경로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철노선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반영경로가 사용자단말기 상에 표시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최소경로가 사용자단말기 상에 표시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최소경로를 산출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최소경로가 사용자단말기 상에 표시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은, 노선경로제공서버(100)가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출발역사(i1) 및 도착역사(i2)를 수신하는 기본정보수신단계(S10); 노선경로제공서버(100)가 출발역사(i1) 및 도착역사(i2)를 기초로 2 이상의 지하철노선경로(i3)를 산출하는 노선경로산출단계(S20); 노선경로제공서버(100)가 2 이상의 지하철노선경로(i3) 각각에 대하여, 지하철노선경로(i3)가 포함하는 역사(F)들의 미세먼지량(i4)을 합산한 미세먼지총량(i5)을 산출하는 미세먼지총량산출단계(S30); 노선경로제공서버(100)가 미세먼지총량(i5)을 포함하는 2 이상의 미세먼지반영경로(i6)를 생성하는 미세먼지반영경로생성단계(S40); 및 노선경로제공서버(100)가 2 이상의 미세먼지반영경로(i6) 또는 2 이상의 미세먼지반영경로(i6) 중 미세먼지총량(i5)이 가장 작은 미세먼지최소경로(i7)를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하는 미세먼지반영경로제공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의 각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시스템은, 미세먼지반영경로(i6) 또는 미세먼지최소경로(i7)를 생성하여 사용자단말기(200)에 제공하는 노선경로제공서버(100), 노선경로제공서버(100)에 출발역사(i1) 및 도착역사(i2)를 전송하는 사용자단말기(200) 및 노선경로제공서버(100)에 지하철노선경로(i3)가 포함하는 역사(F)들의 미세먼지량(i4)을 제공하는 미세먼지정보제공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노선경로제공서버(100)는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출발역사(i1) 및 도착역사(i2)를 수신하는 기초정보수신모듈(110), 출발역사(i1) 및 도착역사(i2)를 기초로 2 이상의 지하철노선경로(i3)를 산출하는 노선경로산출모듈(130), 미세먼지정보제공서버(300)로부터 지하철노선경로(i3)가 포함하는 역사(F)들의 미세먼지량(i4)을 수신하여 지하철노선경로(i3)에 대한 미세먼지총량(i5)을 산출하는 미세먼지량산출모듈(150), 미세먼지총량(i5)을 포함하는 미세먼지반영경로(i6) 또는 미세먼지총량(i5)이 가장 작은 미세먼지최소경로(i7)를 생성하는 미세먼지량반영모듈(170) 및 생성된 미세먼지반영경로(i6) 또는 미세먼지최소경로(i7)를 사용자단말기(200)에 전송하는 노선경로전송모듈(19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시스템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의 각 단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기본정보수신단계(S10)는 노선경로제공서버(100)가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출발역사(i1) 및 도착역사(i2)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사용자는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소지한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하여 현재 출발하고자 하는 출발역사(i1) 및 도착하고자 하는 도착역사(i2)를 노선경로제공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단말기(200)는 일예로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창에 표시되는 지하철노선도 상의 각 역사를 터치하는 방식으로 출발역사(i1) 및 도착역사(i2)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출발역사(i1) 및 도착역사(i2)는 노선경로제공서버(100)에 전송될 수 있다.
이때, 노선경로제공서버(100)의 기초정보수신모듈(110)은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출발역사(i1) 및 도착역사(i2)를 수신하게 된다.
이어서, 노선경로산출단계(S20)는 노선경로제공서버(100)가 출발역사(i1) 및 도착역사(i2)를 기초로 2 이상의 지하철노선경로(i3)를 산출하는 단계이다.
노선경로제공서버(100)의 노선경로산출모듈(130)은 기초정보수신모듈(110)로부터 출발역사(i1) 및 도착역사(i2)를 수신하여 지하철노선도 상의 2 이상의 지하철노선경로(i3)를 산출하게 되는데,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의 지하철노선경로(i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발역사(i1)에서 도착역사(i2)까지의 소요 시간이 최소인 최단시간경로(i3-1), 출발역사(i1)에서 도착역사(i2)까지의 환승 횟수가 최소인 최소환승경로(i3-2) 및 출발역사(i1)에서 도착역사(i2)까지의 경유역사(Fp)의 수가 최소인 최소역사경로(i3-3)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노선경로산출모듈(130)은 출발역사(i1) 및 도착역사(i2)를 기초로 2 이상의 지하철노선경로(i3)를 산출하되, 지하철노선경로(i3)는 최단시간경로(i3-1), 최소환승경로(i3-2) 및 최소역사경로(i3-3)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노선경로산출모듈(130)이 2개의 지하철노선경로(i3)를 산출하는 경우에 최단시간경로(i3-1) 및 최소환승경로(i3-2)를 산출하거나, 최소환승경로(i3-2) 및 최소역사경로(i3-3)를 산출하거나, 최단시간경로(i3-1) 및 최소역사경로(i3-3)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노선경로산출모듈(130)이 3개의 지하철노선경로(i3)를 산출하는 경우에는 최단시간경로(i3-1), 최소환승경로(i3-2) 및 최소역사경로(i3-3) 모두를 산출할 수 있다.
이어서, 미세먼지총량산출단계(S30)는 노선경로제공서버(100)가 2 이상의 지하철노선경로(i3) 각각에 대하여, 지하철노선경로(i3)가 포함하는 역사(F)들의 미세먼지량(i4)(㎍/m³)을 합산한 미세먼지총량(i5)을 산출하는 단계이다.
노선경로제공서버(100)의 미세먼지량산출모듈(150)은 노선경로산출모듈(130)이 산출한 지하철노선경로(i3)를 수신하여, 각각의 지하철노선경로(i3)가 포함하고 있는 역사(F)들의 미세먼지량(i4)을 합산한 미세먼지총량(i5)을 산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단시간경로(i3-1), 최소환승경로(i3-2) 및 최소역사경로(i3-3)들은 각각 경로를 형성하는 역사(F)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미세먼지량산출모듈(150)은 역사(F)들의 미세먼지량(i4)을 합산하여 각각의 지하철노선경로(i3)에 대한 미세먼지총량(i5)을 산출하게 된다.
일예로, 미세먼지량산출모듈(150)은 노선경로산출모듈(130)로부터 최단시간경로(i3-1)를 수신하고, 최단시간경로(i3-1)에 포함된 각 역사(F)들의 미세먼지량(i4)을 합산하여 최단시간경로(i3-1)에 대한 미세먼지총량(i5-1)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미세먼지량산출모듈(150)은 노선경로산출모듈(130)로부터 최소환승경로(i3-2)를 수신하고, 최소환승경로(i3-2)에 포함된 각 역사(F)들의 미세먼지량(i4)을 합산하여 최소환승경로(i3-2)에 대한 미세먼지총량(i5-2)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미세먼지량산출모듈(150)은 노선경로산출모듈(130)로부터 최소역사경로(i3-3)를 수신하고, 최소역사경로(i3-3)에 포함된 각 역사(F)들의 미세먼지량(i4)을 합산하여 최소역사경로(i3-3)에 대한 미세먼지총량(i5-3)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지하철노선경로(i3)가 포함하는 각 역사(F)의 미세먼지량(i4)은 외부의 미세먼지정보제송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미세먼지량산출모듈(150)은 미세먼지제공서버(300)로부터 각 역사(F)에 대한 미세먼지량(i4)을 실시간으로 수신하거나, 일정 시간 마다 수신하여 갱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의 미세먼지총량(i5)은 지하철노선경로(i3)가 포함하는 1 이상의 경유역사(Fp)의 미세먼지량(i4-1)의 합산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경유역사(Fp)은 지하철노선경로(i3)가 포함하는 각 역사(F) 중 출발역사(i1) 및 도착역사(i2)를 제외한 나머지 역사를 의미하며, 미세먼지량산출모듈(150)은 지하철노선경로(i3)가 포함하는 각 역사(F) 중 출발역사(i1) 및 도착역사(i2)를 제외한 나머지 경유역사(Fp)들의 미세먼지량(i4-1)을 합산하여 미세먼지총량(i5)을 산출할 수 있다.
이어서, 미세먼지반영경로생성단계(S40)는 노선경로제공서버(100)가 미세먼지총량(i5)을 포함하는 2 이상의 미세먼지반영경로(i6)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노선경로제공서버(100)의 미세먼지량반영모듈(170)은 노선경로산출모듈(130)로부터 2 이상의 지하철노선경로(i3)를 수신하고, 미세먼지량산출모듈(150)로부터 지하철노선경로(i3) 각각에 대하여 산출된 미세먼지총량(i5)을 수신하여 2 이상의 미세먼지반영경로(i6)를 생성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미세먼지량반영모듈(170)은 수치 또는 색상에 따라 미세먼지총량(i5)을 지하철노선경로(i3)에 반영하여 미세먼지반영경로(i6)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수치에 따라 미세먼지총량(i5)을 지하철노선경로(i3)에 반영하는 경우, 미세먼지총량(i5)에 관한 수치를 지하철노선경로(i3)에 대응시켜, 사용자단말기(200)에서 지하철노선경로(i3)와 미세먼지총량(i5)에 관한 수치가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색상에 따라 미세먼지총량(i5)을 지하철노선경로(i3)에 반영하는 경우, 미세먼지총량(i5)에 관한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지하철노선경로(i3)의 색상을 다르게 설정하여, 사용자단말기(200)에서 미세먼지총량(i5) 정도에 따라 지하철노선경로(i3)의 색상이 다르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미세먼지총량(i5)에 관한 기설정된 조건은 미세먼지총량(i5)에 관한 수치에 따라 지하철노선경로(i3)의 미세먼지상태를 좋음(0~30㎍/m³), 보통(31~80㎍/m³), 나쁨(81~150㎍/m³)의 단계로 구별한 것일 수 있다.
일예로,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지하철노선경로(i3)의 미세먼지총량(i5)이 좋음인 경우, 해당 지하철노선경로(i3)의 색상을 파란색으로 설정할 수 있고, 지하철노선경로(i3)의 미세먼지총량(i5)이 보통인 경우, 해당 지하철노선경로(i3)의 색상을 노란색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지하철노선경로(i3)의 미세먼지총량(i5)이 나쁨인 경우, 해당 지하철노선경로(i3)의 색상을 빨간색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미세먼지량반영모듈(170)은 지하철노선경로(i3)에 미세먼지총량(i5)을 반영하는 것뿐만 아니라, 지하철노선경로(i3)가 포함하는 각 역사(F)들의 미세먼지량(i4)을 지하철노선경로(i3)에 반영할 수도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미세먼지량반영모듈(170)은 수치 또는 색상에 따라 각 역사(F)의 미세먼지량(i4)을 지하철노선경로(i3)에 반영하여 미세먼지반영경로(i6)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수치에 따라 각 역사(F)의 미세먼지총량(i4)을 지하철노선경로(i3)에 반영하는 경우, 미세먼지량(i4)에 관한 수치를 각 역사(F)에 대응시켜, 사용자단말기(200)에서 지하철노선경로(i3)가 포함하는 각 역사(F)에, 해당 역사(F)의 미세먼지량(i4)에 관한 수치가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색상에 따라 각 역사(F)의 미세먼지량(i4)을 지하철노선경로(i3)에 반영하는 경우, 미세먼지량(i4)에 관한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지하철노선경로(i3)가 포함하는 각 역사(F)의 색상을 다르게 설정하여, 사용자단말기(200)에서 미세먼지량(i4) 정도에 따라 지하철노선경로(i3)가 포함하는 각 역사(F)의 색상이 다르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미세먼지량(i4)에 관한 기설정된 조건은 미세먼지량(i4)에 관한 수치에 따라 각 역사(F)의 미세먼지상태를 좋음(0~30㎍/m³), 보통(31~80㎍/m³), 나쁨(81~150㎍/m³)의 단계로 구별한 것일 수 있다.
일예로,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지하철노선경로(i3)가 포함하는 역사(F) 미세먼지량(i4)이 좋음인 경우, 해당 역사(F)의 색상을 파란색으로 설정할 수 있고, 지하철노선경로(i3)가 포함하는 역사(F) 미세먼지량(i4)이 보통인 경우, 해당 역사(F)의 색상을 노란색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지하철노선경로(i3)가 포함하는 역사(F) 미세먼지량(i4)이 나쁨인 경우, 해당 역사(F)의 색상을 빨간색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미세먼지량반영모듈(170)은 지하철노선경로(i3)에 미세먼지총량(i5) 및 각 역사(F)의 미세먼지량(i4)를 모두 반영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미세먼지량반영모듈(17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미세먼지총량(i5) 또는 미세먼지량(i4)을 지하철노선경로(i3)에 반영하여 2 이상의 미세먼지반영경로(i6)를 생성하게 되는데, 이때 미세먼지량반영모듈(170)은 생성한 2 이상의 미세먼지반영경로(i6) 중 미세먼지총량(i5)이 가장 작은 미세먼지반영경로(i6)를 미세먼지최소경로(i7)로 선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서 최단시간경로(i3-1)의 미세먼지총량(i5-1)은 223㎍/m이고, 최소환승경로(i3-2)의 미세먼지총량(i5-2)은 248㎍/m³이며, 최소역사경로(i3-3)의 미세먼지총량(i5-3)은 202㎍/m³이므로, 미세먼지량반영모듈(170)은 최소역사경로(i3-3)을 미세먼지최소경로(i7)로 선정할 수 있다.
이어서, 미세먼지반영경로제공단계(S50)는 노선경로제공서버(100)가 2 이상의 미세먼지반영경로(i6) 또는 2 이상의 미세먼지반영경로(i6) 중 미세먼지총량(i5)이 가장 작은 미세먼지최소경로(i7)를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노선경로제공서버(100)의 노선경로전송모듈(190)은 미세먼지량반영모듈(170)이 생성한 2 이상의 미세먼지반영경로(i6)를 사용자단말기(200)에 전송하거나, 2 이상의 미세먼지반영경로(i6) 중 미세먼지총량(i5)이 가장 작은 미세먼지최소경로(i7)를 사용자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먼저, 노선경로전송모듈(190)이 2 이상의 미세먼지반영경로(i6)를 사용자단말기(200)에 전송하는 경우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기(200)에서는 2 이상의 미세먼지반영경로(i6)가 리스트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공된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여 미세먼지반영경로(i6)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단말기(200)에서는 선택된 미세먼지반영경로(i6)에 대한 지하철노선경로(i3) 및 미세먼지총량(i5)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미세먼지총량(i5)에 관한 정보는 전술한 바에 따라 수치 또는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노선경로전송모듈(190)이 미세먼지최소경로(i7)를 사용자단말기(200)에 전송하는 경우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기(200)에서는 곧바로 미세먼지최소경로(i7)에 대한 지하철노선경로(i3) 및 미세먼지총량(i5)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미세먼지총량(i5)에 관한 정보는 전술한 바에 따라 수치 또는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은, 노선경로제공서버(101)가 사용자단말기(201)로부터 출발역사(i11) 및 도착역사(i12)를 수신하는 기본정보수신단계(S11); 노선경로제공서버(101)가 출발역사(i11) 및 도착역사(i12) 사이에 위치하는 환승역사(i13)로부터 분기하는 2 이상의 노선구간(L)에 대한 미세먼지총량(i15)을 각각 산출하는 미세먼지총량산출단계(S21); 노선경로제공서버(101)가 노선구간(L) 중 미세먼지총량(i15)이 가장 작은 노선구간(L)을 선택노선구간(LS)으로 선정하는 노선구간선정단계(S31); 노선경로제공서버(101)가 선택노선구간(LS)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최소경로(i16)를 산출하는 미세먼지최소경로산출단계(S41); 및 노선경로제공서버(101)가 미세먼지최소경로(i16)를 사용자단말기(201)로 전송하는 미세먼지최소경로제공단계(S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의 각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시스템은, 미세먼지최소경로(i16)를 산출하여 사용자단말기(201)에 제공하는 노선경로제공서버(101), 노선경로제공서버(101)에 출발역사(i11) 및 도착역사(i12)를 전송하는 사용자단말기(201) 및 노선경로제공서버(101)에 미세먼지량(i14)을 제공하는 미세먼지정보제공서버(30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노선경로제공서버(101)는, 사용자단말기(201)로부터 출발역사(i11) 및 도착역사(i12)를 수신하는 기초정보수신모듈(111), 출발역사(i11) 및 도착역사(i12) 사이에 위치하는 환승역사(i13)로부터 분기하는 2 이상의 노선구간(L)에 대한 미세먼지총량(i15)을 각각 산출하는 미세먼지량산출모듈(131), 노선구간(L) 중 미세먼지총량(i15)이 최소인 노선구간(L)을 선택노선구간(LS)으로 선정하는 노선구간선정모듈(151), 선택노선구간(LS)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최소경로(i16)를 산출하는 미세먼지경로산출모듈(171) 및 산출된 미세먼지최소경로(i16)를 사용자단말기(201)에 전송하는 노선경로전송모듈(191)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시스템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의 각 단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기본정보수신단계(S11)는 노선경로제공서버(101)가 사용자단말기(201)로부터 출발역사(i11) 및 도착역사(i12)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사용자는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소지한 사용자단말기(201)를 통하여 현재 출발하고자 하는 출발역사(i11) 및 도착하고자 하는 도착역사(i12)를 노선경로제공서버(101)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단말기(201)는 일예로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201)의 디스플레이창에 표시되는 지하철노선도 상의 각 역사를 터치하는 방식으로 출발역사(i11) 및 도착역사(i12)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출발역사(i11) 및 도착역사(i12)는 노선경로제공서버(101)에 전송될 수 있다.
이때, 노선경로제공서버(101)의 기초정보수신모듈(111)은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출발역사(i11) 및 도착역사(i12)를 수신하게 된다.
이어서, 미세먼지총량산출단계(S21)는 노선경로제공서버(101)가 출발역사(i11) 및 도착역사(i12) 사이에 위치하는 환승역사(i13)로부터 분기하는 2 이상의 노선구간(L)에 대한 미세먼지총량(i15)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이다.
노선경로제공서버(101)의 미세먼지량산출모듈(131)은 출발역사(i11) 및 도착역사(i12) 사이에 환승역사(i13)가 존재하는 경우, 환승역사(i13)로부터 분기하는 2 이상의 노선구간(L)에 대한 미세먼지총량(i15)을 각각 산출하게 된다.
여기서, 출발역사(i11) 자체가 환승역사(i13)인 경우, 미세먼지량산출모듈(131)은 출발역사(i11)로부터 분기하는 2 이상의 노선구간(L)에 대한 미세먼지총량(i15)을 각각 산출하게 된다.
여기서, 노선구간(L)은 환승역사(i13) 및 환승역사(i13)와 가장 인접하는 다른 환승역사(i13) 사이의 지하철 노선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의 미세먼지총량(i15)은 노선구간(L)이 포함하는 역사(F1) 중 환승역사(i13)에 가장 인접하는 역사(F11)에 대한 미세먼지량(i14) 및 노선구간(L)이 포함하는 모든 역사(F1)들에 대한 미세먼지량(i14)의 합산값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미세먼지량산출모듈(131)이 노선구간(L)에 대하여 산출하는 미세먼지총량(i15)은 각각의 노선구간(L)이 포함하는 역사(F1) 중 환승역사(i13)에 가장 인접하는 역사(F11)에 대한 미세먼지량(i14)일 수 있다.
예컨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승역사(i13)으로부터 분기하는 노선구간(L1) 및 노선구간(L2)에 대하여, 미세먼지량산출모듈(131)이 산출하는 노선구간(L1)에 대한 미세먼지총량(i15)은 노선구간(L1)이 포함하는 역사(F1) 중 환승역사(i13)에 가장 인접하는 역사(F11)의 미세먼지량(i14)인 25㎍/m³가 된다.
또한, 미세먼지량산출모듈(131)이 산출하는 노선구간(L2)에 대한 미세먼지총량(i15)은, 노선구간(L1)이 포함하는 역사(F1) 중 환승역사(i13)에 가장 인접하는 역사(F11)의 미세먼지량(i14)인 35㎍/m³가 된다.
한편, 미세먼지량산출모듈(131)이 노선구간(L)에 대하여 산출하는 미세먼지총량(i15)은 각각의 노선구간(L)이 포함하는 모든 역사(F1)들에 대한 미세먼지량(i14)의 합산값일 수 있다.
예컨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승역사(i13)으로부터 분기하는 노선구간(L1) 및 노선구간(L2)에 대하여, 미세먼지량산출모듈(131)이 산출하는 노선구간(L1)에 대한 미세먼지총량(i15)는 노선구간(L1)이 포함하는 모든 역사(F1)들에 대한 미세먼지량(i14)의 합산값인 61㎍/m³가 된다.
또한, 미세먼지량산출모듈(131)이 산출하는 노선구간(L2)에 대한 미세먼지총량(i15)은, 노선구간(L2)이 포함하는 모든 역사(F1)들에 대한 미세먼지량(i14)의 합산값인 123㎍/m³가 된다.
이와 같이, 미세먼지량산출모듈(131)이 산출하는 환승역사(i13)로부터 분기하는 2 이상의 노선구간(L)에 대한 미세먼지총량(i15)은 노선구간(L)이 포함하는 역사(F1) 중 환승역사(i13)에 가장 인접하는 역사(F11)에 대한 미세먼지량(i14)이거나, 노선구간(L)이 포함하는 모든 역사(F1)들에 대한 미세먼지량(i14)의 합산값일 수 있다.
한편, 노선구간(L)이 포함하는 각 역사(F1)의 미세먼지량(i14)은 외부의 미세먼지정보제송서버(301)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미세먼지량산출모듈(131)은 미세먼지제공서버(301)로부터 각 역사(F1)에 대한 미세먼지량(i14)을 실시간으로 수신하거나, 일정 시간 마다 수신하여 갱신할 수 있다.
이어서, 노선구간선정단계(S31)는 노선경로제공서버(101)가 노선구간(L) 중 미세먼지총량(i15)이 가장 작은 노선구간(L1)을 선택노선구간(LS)으로 선정하는 단계이다.
노선경로제공서버(101)의 노선구간선정모듈(151)은 미세먼지량산출모듈(131)이 산출한 각각의 노선경로(L)에 대한 미세먼지총량(i15)에 따라 후술하는 미세먼지최소경로(i16)에 포함될 선택노선구간(LS)을 선정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노선구간선정모듈(151)은 환승역사(i13)으로부터 분기하는 2 이상의 노선구간(L) 중 미세먼지량산출모듈(131)이 산출한 미세먼지총량(i15)이 가장 작은 노선구간(L1)을 선택노선구간(LS)으로 선정하게 된다.
먼저, 미세먼지량산출모듈(131)이 산출한 각각의 노선경로(L)에 대한 미세먼지총량(i15)이 노선구간(L)이 포함하는 역사(F1) 중 환승역사(i13)에 가장 인접하는 역사(F11)에 대한 미세먼지량(i14)인 경우,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선구간선정모듈(151)은 환승역사(i13)에 가장 인접하는 역사(F11)에 대한 미세먼지량(i14)이 최소인 역사(F11)를 포함하는 노선구간(L1)을 선택노선구간(LS)으로 선정하게 된다.
한편, 미세먼지량산출모듈(131)이 산출한 각각의 노선경로(L)에 대한 미세먼지총량(i15)이 노선구간(L)이 포함하는 모든 역사(F1)들에 대한 미세먼지량(i14)의 합산값인 경우,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선구간선정모듈(151)은 노선구간(L)이 포함하는 모든 역사(F1)들에 대한 미세먼지량(i14)의 합산값이 최소인 노선구간(L1)을 선택노선구간(LS)으로 선정하게 된다.
이처럼, 노선구간선정모듈(151)은 미세먼지량산출모듈(131)이 산출한 각각의 노선구간(L)에 대한 미세먼지총량(i15)에 따라 2 이상의 노선구간(L) 중 어느 하나를 선택노선구간(LS)으로 선정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은, 출발역사(i11) 및 도착역사(i12) 사이에 환승역사(i13)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미세먼지총량산출단계(S21)에서는 출발역사(i11) 및 도착역사(i12) 사이의 노선구간(L4)에 대한 미세먼지총량(i15)을 산출하고, 노선구간선정단계(S31)에서는 출발역사(i11)와 도착역사(i12) 사이의 노선구간(L4)을 선택노선구간(LS)으로 선정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선경로제공서버(101)가 사용자단말기(201)로부터 수신한 출발역사(i11) 및 도착역사(i12)에 따라, 출발역사(i11) 및 도착역사(i12) 사이에 환승역사(i13)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출발역사(i11) 및 도착역사(i12)가 동일한 지하철노선 상에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경우에 미세먼지량산출모듈(131)은 출발역사(i11) 및 도착역사(i12) 사이의 노선구간(L4)에 대한 미세먼지총량(i15)을 산출하게 되며, 이때 미세먼지량산출모듈(131)이 산출하는 미세먼지총량(i15)은 노선구간(L4)이 포함하는 모든 역사(F)들의 미세먼지량(i14)의 합산값일 수 있다.
또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선구간선정모듈(151)은 출발역사(i11)와 도착역사(i12) 사이의 노선구간(L4)을 선택노선구간(LS)으로 선정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의 노선구간선정단계(S31)는 환승역사(i13')로부터 분기하는 2 이상의 노간구간(L) 중 도착역사(i12)를 포함하는 노선구간(L6)이 존재하는 경우, 환승역사(i13')와 도착역사(i12) 사이의 노선구간(L6')을 선택노선구간(LS)으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노선구간선정모듈(151)은 미세먼지량산출모듈(131)이 산출한 각각의 노선경로(L)에 대한 미세먼지총량(i15)에 따라 미세먼지최소경로(i16)에 포함될 선택노선구간(LS)를 선정하지만,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승역사(i13')로부터 분기하는 2 이상의 노간구간(L) 중 도착역사(i12)를 포함하는 노선구간(L6)이 존재하는 경우, 환승역사(i13')와 도착역사(i12) 사이의 노선구간(L6')을 선택노선구간(LS)으로 선정하게 된다.
즉, 미세먼지량산출모듈(131)이 산출한 도착역사(i12)를 포함하지 않는 노선경로(L5)의 미세먼지총량(i15)이 도착역사(i12)를 포함하는 노선경로(L6)의 미세먼지총량(i15) 보다 작더라도, 노선구간선정모듈(151)은 도착역사(i12)를 포함하지 않는 노선경로(L5)를 선택노선구간(LS)으로 선정하지 않고 환승역사(i13')와 도착역사(i12) 사이의 노선구간(L6')을 선택노선구간(LS)으로 선정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총량산출단계(S21) 및 노선구간선정단계(S31)는 출발역사(i11) 및 도착역사(i12) 사이에 복수 개의 환승역사(i13)가 존재하는 경우, 각각의 환승역사(i13)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미세먼지최소경로산출단계(S41)는 노선경로제공서버(101)가 선택노선구간(LS)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최소경로(i16)를 산출하는 단계이다.
노선경로제공서버(101)의 미세먼지경로산출모듈(171)은 노선구간선정모듈(151)이 선정한 선택노선구간(LS)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최소경로(i16)를 산출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출발역사(i11)가 환승역사(i13)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미세먼지경로산출모듈(171)은, 출발역사(i11)와 환승역사(i13) 사이의 노선구간(L3)과 선택노선구간(LS)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최소경로(i16)를 산출하게 된다.
이와 다르게, 출발역사(i11)가 환승역사(i13)에 해당하는 경우에 미세먼지경로산출모듈(171)은 선택노선구간(LS)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최소경로(i16)를 산출하게 된다.
한편, 출발역사(i11) 및 도착역사(i12) 사이에 환승역사(i13)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선택노선구간(LS)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최소경로(i16)를 산출하게 된다(전술한 바와 같이 출발역사(i11) 및 도착역사(i12) 사이에 환승역사(i13)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출발역사(i11) 및 도착역사(i12) 사이의 노선구간(L4)이 선택노선구간(LS)으로 선정된다).
이어서, 미세먼지최소경로제공단계(S51)는 노선경로제공서버(101)가 미세먼지최소경로(i16)를 사용자단말기(201)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노선경로제공서버(101)의 노선경로전송모듈(191)은 미세먼지경로산출모듈(171)이 산출한 미세먼지최소경로(i16)를 사용자단말기(201)에 전송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단말기(201)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먼지최소경로(i16)에 대한 미세먼지총량에 관한 정보 및 미세먼지최소경로(i16)에 포함되는 각 역사(F1)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노선경로제공서버로부터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또는 미세먼지량이 최소인 지하철노선경로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1 : 출발역사 i11 : 출발역사
i2 : 도착역사 i12 : 도착역사
i3 : 지하철노선경로 i13 : 환승역사
i4 : 미세먼지량 i14 : 미세먼지량
i5 : 미세먼지총량 i15 : 미세먼지총량
i6 : 미세먼지반영경로 i16 : 미세먼지최소경로
i7 : 미세먼지최소경로
100 : 노선경로제공서버 101 : 노선경로제공서버
200 : 사용자단말기 201 : 사용자단말기
300 : 미세먼지정보제공서버 301 : 미세먼지정보제공서버

Claims (6)

  1. 노선경로제공서버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출발역사 및 도착역사를 수신하는 기본정보수신단계;
    상기 노선경로제공서버가 상기 출발역사 및 상기 도착역사를 기초로 2 이상의 지하철노선경로를 산출하는 노선경로산출단계;
    상기 노선경로제공서버가 2 이상의 상기 지하철노선경로 각각에 대하여, 상기 지하철노선경로가 포함하는 역사들의 미세먼지량을 합산한 미세먼지총량을 산출하는 미세먼지총량산출단계;
    상기 노선경로제공서버가 상기 미세먼지총량을 포함하는 2 이상의 미세먼지반영경로를 생성하는 미세먼지반영경로생성단계; 및
    상기 노선경로제공서버가 2 이상의 상기 미세먼지반영경로 또는 2 이상의 상기 미세먼지반영경로 중 상기 미세먼지총량이 가장 작은 미세먼지최소경로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미세먼지반영경로제공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노선경로산출단계에서 산출하는 지하철노선경로는,
    상기 출발역사에서 상기 도착역사까지의 소요 시간이 최소인 최단시간경로, 상기 출발역사에서 상기 도착역사까지의 환승 횟수가 최소인 최소환승경로 및 상기 출발역사에서 상기 도착역사까지의 경유역사의 수가 최소인 최소역사경로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미세먼지 반영경로생성단계에서 상기 노선경로제공서버는,
    수치에 따라 상기 미세먼지총량을 상기 지하철노선경로에 반영하여 상기 미세먼지반영경로를 생성하되,
    수치에 따라 상기 미세먼지총량을 상기 지하철노선경로에 반영하는 경우, 상기 미세먼지총량에 관한 수치를 상기 지하철노선경로에 대응시켜,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상기 지하철노선경로와 상기 미세먼지총량에 관한 수치가 함께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총량은,
    상기 지하철노선경로가 포함하는 1 이상의 경유역사의 미세먼지량의 합산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
  4. 노선경로제공서버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출발역사 및 도착역사를 수신하는 기본정보수신단계;
    상기 노선경로제공서버가 상기 출발역사 및 상기 도착역사 사이에 위치하는 환승역사로부터 분기하는 2 이상의 노선구간에 대한 미세먼지총량을 각각 산출하는 미세먼지총량산출단계;
    상기 노선경로제공서버가 2 이상의 상기 노선구간 중 상기 미세먼지총량이 가장 작은 노선구간을 선택노선구간으로 선정하는 노선구간선정단계;
    상기 노선경로제공서버가 상기 선택노선구간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최소경로를 산출하는 미세먼지최소경로산출단계; 및
    상기 노선경로제공서버가 상기 미세먼지최소경로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미세먼지최소경로제공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출발역사 및 상기 도착역사 사이에 상기 환승역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미세먼지총량산출단계에서 상기 노선경로제공서버는 상기 출발역사와 상기 도착역사 사이의 지하철 노선구간에 대한 상기 미세먼지총량을 산출하고,
    상기 노선구간선정단계에서 상기 노선경로제공서버는 상기 출발역사와 상기 도착역사 사이의 지하철 노선구간을 상기 선택노선구간으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총량은,
    상기 노선구간이 포함하는 역사 중 상기 환승역사에 가장 인접하는 역사에 대한 미세먼지량 및 상기 노선구간이 포함하는 모든 상기 역사들에 대한 미세먼지량의 합산값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선구간선정단계는,
    환승역사로부터 분기하는 2 이상의 상기 노선구간 중 상기 도착역사를 포함하는 노선구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환승역사와 상기 도착역사 사이의 노선구간을 상기 선택노선구간으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
KR1020200056556A 2020-05-12 2020-05-12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 KR102450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556A KR102450722B1 (ko) 2020-05-12 2020-05-12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556A KR102450722B1 (ko) 2020-05-12 2020-05-12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341A KR20210138341A (ko) 2021-11-19
KR102450722B1 true KR102450722B1 (ko) 2022-10-04

Family

ID=78718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556A KR102450722B1 (ko) 2020-05-12 2020-05-12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722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902B1 (ko) * 2006-12-26 2008-09-05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대중교통 경로탐색 방법
KR20100048306A (ko) 2008-10-30 2010-05-11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지하철노선 정보 검색방법
KR101255029B1 (ko) * 2011-07-26 2013-04-1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513588B1 (ko) * 2013-08-09 2015-04-21 주식회사 다음카카오 길찾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길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86516B1 (ko) * 2016-10-26 2018-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비게이션의 헬스 케어를 위한 경로 안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341A (ko) 2021-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38809B (zh) 获取车辆的目的地导航路线的方法和设备
CN107036617B (zh) 一种出租车与地铁组合的出行路线规划方法及系统
US110857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multiple modes of transport with incomplete information
US201903923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Multiple Modes of Transport
CN102243809B (zh) 一种展现实时交通信息的方法和装置
WO2021020232A1 (ja) 交通管制装置及び信号機
JP2018054343A (ja) 交通障害リスク表示装置
Zheng et al. Network design for personal rapid transit under transit-oriented development
US20120209522A1 (en) Automatic assistance for route planning
KR102450722B1 (ko)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
CN111784038A (zh) 一种多式联运的路线规划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Aslaksen et al. A combined dial-a-ride and fixed schedule ferry service for coastal cities
Wei et al. Scheduling of urban air mobility services with limited landing capacity and uncertain travel times
CN105403225A (zh) 一种利用货运信息导航的方法、服务器、终端及系统
Estrada et al. Experimental evaluation of real-time information services in transit systems from the perspective of users
Macharis et al. Location Analysis Model for Belgian Intermodal Terminals: towards an integration of the modal choice variables
US202301543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deling and Simulating a Hyperloop Portal
US20230037505A1 (en) Enhanced navigation and ride hailing
CN102401657B (zh) 一种基于导向标签的区域交通指引服务器
KR102375710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최적배차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Yap et al. Robustness of multi-level public transport networks: a methodology to quantify robustness from a passenger perspective
CN111445689B (zh) 车辆信息的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Gu et al. Optimizing tailored bus bridging paths
KR102170141B1 (ko) 대중교통 환승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JP7374509B2 (ja) 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