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420B1 - 언택트 장치 - Google Patents

언택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420B1
KR102450420B1 KR1020210061414A KR20210061414A KR102450420B1 KR 102450420 B1 KR102450420 B1 KR 102450420B1 KR 1020210061414 A KR1020210061414 A KR 1020210061414A KR 20210061414 A KR20210061414 A KR 20210061414A KR 102450420 B1 KR102450420 B1 KR 102450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ouch pen
guide
substrate
u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식
윤현준
김성민
신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커스
Priority to KR1020210061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4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언택트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언택트 장치는: 기판부가 수용되는 본체부와, 기판부에 접촉되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와, 가이드부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본체부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본체부의 외부로 돌출가능한 터치펜부와, 기판부와 연결되고, 터치펜부나 터치펜부의 주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살균하는 살균부와, 기판부와 연결되는 배터리부와, 살균부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언택트 장치{UNTACT DEVICE}
본 발명은 언택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이러스 또는 세균 등에 대한 접촉감염이 방지되는 언택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태블릿 PC 등의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있는 터치패널은 감압식 터치패널과,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이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아이패드, 등과 같이 휴대성을 극대화한 새로운 전자기기의 출현으로 별도의 터치 펜이 없어도 사용할 수 있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은 미세한 전류에 따라 정전용량 패드의 정전용량 값이 변화되도록 하게 되면 신호가 입력되는 방식으로 인체는 미세한 전류가 흐르고 있으므로,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은 인체의 손가락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되어 있다. 손끝이 터치 패널에 접촉시 인체에 흐르는 미세한 전류와 손끝의 정전용량 값이 터치 패널을 구성하고 있는 정전용량 패드에 정전용량 값을 변화시켜 정전용량 값이 변화된 위치를 읽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은 손가락으로도 신호의 입력이 가능하지만 보다 세밀하게 입력하거나 사용의 편의성 및 입력속도의 배가를 위해 여전히 터치 펜 등의 터치도구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공용으로 사용되는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공동으로 사용되는 터치도구를 통해 전자기기의 터치패널을 접촉하거나, 전자기기의 터치패널에 직접 터치하게 된다. 그러나, 여러 사람의 손 등이 전자기기의 터치패널, 터치도구에 빈번히 접촉되는 경우 병균 등이 전파되는 감염의 위험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4850호(발명의 명칭: 터치패널용 터치 펜, 공개일: 2012. 07.04.)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바이러스 또는 세균 등에 대한 접촉감염이 방지되는 언택트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언택트 장치는: 기판부가 수용되는 본체부; 상기 기판부에 접촉되며,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돌출가능한 터치펜부; 상기 기판부와 연결되고, 상기 터치펜부나 상기 터치펜부의 주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살균하는 살균부; 상기 기판부와 연결되는 배터리부; 및 상기 살균부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터치펜부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본체부의 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치펜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버튼부와 결합되는 터치펜바디; 및 상기 터치펜바디에 결합되며, 고무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펜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살균부는 UV LED 또는 UVC LE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터치펜부는 상기 기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류가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빛을 반사하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판부와 연결되며, 충전케이블이 연결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부는 상기 터치펜부와 연결되어 상기 터치펜부와 함께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언택트 장치는 터치펜부나 터치펜부의 주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살균하는 살균부를 통해 바이러스 또는 세균 등에 대한 접촉감염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부 및 터치펜부가 기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류가 흐름에 따라, 감압식 터치패널과 더불어,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에도 사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부가 빛을 반사하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터치펜부가 본체부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살균부를 작동시키면, 살균부로부터 조사된 빛이 가이드부에서 반사되어 터치펜부에 집중조사되어 터치펜부를 샬균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장치의 반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장치의 터치펜부가 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장치의 터치펜부가 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반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장치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장치의 반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장치의 터치펜부가 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장치의 터치부가 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반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장치(1)는 본체부(100), 가이드부(200), 터치펜부(300), 살균부(400), 배터리부(500), 버튼부(600) 및 커버부(7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에는 기판부(10)가 수용되며, 끈 등 연결부재(미도시)의 결합이 가능한 고리부(111, 121)가 구비된다. 본체부(100)에는 버튼부(600)가 돌출되며, 버튼부(600)가 이동되는 가이드홀부(112,122)가 형성되고, 기판부(10)에 장착된 충전부(800)에 결합되는 충전케이블(20)이 삽입되는 충전홀부(113, 123)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00)는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를 포함한다. 제1본체(110)는 기판부(10)의 일측을 감싸고, 홀부 형상의 제1고리(111)가 형성된다. 제1본체(110)에는 후술된 터치펜부(300)와 연결된 버튼부(600)가 이동되는 제1가이드홀부(112)가 형성되고, 충전케이블(20)이 삽입되는 제1충전홀부(113)가 형성된다.
제2본체(120)는 기판부(10)의 타측을 감싸고, 제1본체(110)와 결합되며, 제1고리(111)와 마주보는 홀부 형상의 제2고리(121)가 형성된다. 제2본체(120)에는 버튼부(600)가 이동되는 제2가이드홀부(122)가 형성되고, 충전케이블(20)이 삽입되는 제2충전홀부(123)가 형성된다.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가 결합되면서, 제1고리(111)와 제2고리(121)가 마주보면서 고리부(111, 121)가 형성되고, 제1가이드홀부(112)와 제2가이드홀부(122)가 마주보면서 가이드홀부(112,122)를 형성하고, 제1충전홀부(113)와 제2충전홀부(123)가 마주보면서 충전홀부(113, 123)가 형성된다.
가이드부(200)는 기판부(10)에 접촉되며, 본체부(100)의 내부에 설치된다. 가이드부(20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장착되며, 단부가 기판부(10)에 접촉된다.
가이드부(200)는 가이드본체(210)와 가이드덮개(220)를 포함한다. 가이드본체(210)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211)가 형성되고, 기판부(10)가 결합되는 결합홈부(212)가 형성된다. 가이드본체(21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가이드덮개(220)는 가이드본체(210)와 연결되고, 본체부(100)와 결합된다. 가이드덮개(220)는 본체부(100)의 둘레를 감싸도록 본체부(100)와 결합된다.
터치펜부(300)는 가이드부(200)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본체부(100)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본체부(100)의 외부로 돌출가능하다(도 6 내지 도 9 참조). 터치펜부(300)는 가이드부(200)의 가이드본체(210)에 형성된 가이드(21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터치펜부(300)는 가이드본체(210)의 가이드(211)를 따라 설정방향으로 이동되면, 본체부(100)의 외부로 돌출된다. 반대로, 터치펜부(300)는 가이드본체(210)의 가이드(211)를 따라 설정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면, 본체부(100)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터치펜부(300)는 후술된 버튼부(600)와 연결된다.
살균부(400)는 기판부(10)와 연결되고, 터치펜부(300)나 터치펜부(300)의 주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살균한다. 살균부(400)는 터치펜부(300)에 장착되며, 터치펜부(300)가 본체부(100)의 외부로 돌출되면 터치펜부(300)의 주변을 살균할 수 있다. 살균부(400)는 터치펜부(300)가 본체부(100)의 내부로 삽입되면 터치펜부(300)를 살균한다. 이를 통해 바이러스 또는 세균 등에 대한 접촉감염이 방지될 수 있다.
살균부(400)는 UV LED 또는 UVC LE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빛을 조사하여 터치펜부(300)나 터치펜부(300)의 주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살균할 수 있다. 이때, UVC LED는 200NM 이상 280NM 이하의 파장의 deep ultraviolet light빛을 의미할 수 있다.
배터리부(500)는 충전용 배터리로 기판부(10)와 연결되며, 기판부(10)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로 인해, 살균부(400)는 배터리부(500)로부터 전기공급을 받아 작동되어 터치펜부(300)나 터치펜부(300)의 주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살균할 수 있다.
버튼부(600)는 살균부(400)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작업자는 상황에 따라 버튼부(600)를 조작하여 살균부(400)를 작동시키거나 살균부(400)의 작동을 해제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작업자가 버튼부(600)에 압력을 가하면, 살균부(400)가 작동되면서 터치펜부(300)나 터치펜부(300)의 주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살균할 수 있다.
버튼부(600)는 터치펜부(300)와 연결되어 터치펜부(300)와 함께 이동가능하다. 버튼부(600)는 터치펜부(300)의 일측에 결합되며, 본체부(100)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버튼부(600)를 그립한 상태에서 터치펜부(300)를 설정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설정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커버부(700)는 가이드부(200)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고, 터치펜부(300)의 이동에 연동되어 본체부(100)의 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커버부(700)는 가이드부(200)의 가이드덮개(220)에 힌지결합되며, 터치펜부(300)에 접촉가능하게 배치된다. 커버부(700)는 터치펜부(300)가 본체부(100)의 외부로 돌출되면, 터치펜부(300)의 접촉에 밀려 회전되면서 본체부(100)의 입구를 개방한다. 반대로, 커버부(700)는 터치펜부(300)가 본체부(100)의 내부로 삽입되면, 터치펜부(300)와 미접촉되고, 터치펜부(300)의 가압이 해제되면서 본체부(100)의 입구가 폐쇄된다.
언택트 장치(1)는 충전부(800)를 더 포함한다. 충전부(800)는 기판부(10)와 연결되며, 충전케이블(20)이 연결된다(도 3 참조). 구체적으로, 상황에 따라 충전케이블(20)을 충전부(800)에 연결하여 기판부(10)와 연결된 배터리부(500)를 충전할 수 있다.
터치펜부(300)는 터치펜바디(310)와 펜팁(320)을 포함한다. 터치펜바디(310)는 가이드부(200)를 따라 이동되며, 버튼부(600)와 결합된다. 터치펜바디(310)는 가이드본체(210)의 가이드(211)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터치펜바디(310)는 일측에 버튼부(600)가 연결되고, 버튼부(600)를 이동시키면 버튼부(600)의 이동에 슬라이드 이동된다.
펜팁(320)은 터치펜바디(310)에 결합되며, 고무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펜팁(320)은 전자기기(미도시)의 터치패널에 접촉된다. 펜팁(320)이 고무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전자기기의 터치패널에 접촉시 전자기기의 터치패널 손상을 줄일 수 있다.
가이드부(200) 및 터치펜부(300)는 기판부(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류가 흐른다. 이로 인해, 감압식 터치패널과 더불어, 미세한 전류에 따라 정전용량 패드의 정전용량 값이 변화되도록 하게 되면 신호가 입력되는 방식인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에도 사용가능할 수 있다.
가이드부(200)는 빛을 반사하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터치펜부(300)가 본체부(10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살균부(400)를 작동시키면, 살균부(400)로부터 조사된 빛이 가이드부(200)에서 반사되어 터치펜부(300)에 집중조사되어 터치펜부(300)를 살균시키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장치(1)의 작동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언택트 장치(1)를 사용하기 위해, 즉, 터치펜부(300)를 전자기기의 터치패널를 터치하기 위해 터치펜부(300)와 연결된 버튼부(600)를 설정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터치펜부(300)는 연동되어 버튼부(600)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고, 본체부(100)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때, 커버부(700)는 터치펜부(300)의 접촉에 밀려 회전되면서 본체부(100)의 입구를 개방한다.
버튼부(600)를 조작하면, 살균부(400)가 작동되어 터치펜부(300)의 주변을 살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튼부(600)에 압력을 가하면, 살균부(400)로부터 빛이 조사되고, 터치펜부(300)와 접촉되는 전자기기의 터치패널 주변을 살균시킬 수 있다.
반대로, 터치펜부(300)와 연결된 버튼부(600)를 설정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터치펜부(300)는 연동되어 버튼부(600)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고, 본체부(100)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커버부(700)는 터치펜부(300)와 미접촉되고, 터치펜부(300)의 가압이 해제되면서 본체부(100)의 입구가 폐쇄된다.
버튼부(600)를 조작하면, 살균부(400)가 작동되어 터치펜부(300)가 살균된다. 구체적으로, 버튼부(600)에 압력을 가하면, 살균부(400)로부터 빛이 조사된다. 살균부(400)로부터 조사된 빛은 가이드부(200)에서 반사되어 터치펜부(300)에 집중조사되어 터치펜부(300)를 살균한다. 이로 인해, 터치펜부(300)가 살균될 수 있다.
언택트 장치(1)에서는 가이드부(200) 및 터치펜부(300)는 기판부(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류가 흐름에 따라,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에도 사용가능할 수 있다.
추후에, 배터리부(500)의 충전시 충전부(800)에 충전케이블(20)을 연결하여 배터리부(500)를 쉽게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언택트 장치 10 : 기판부
20 : 충전케이블 100 : 본체부
110 : 제1본체 111 : 제1고리
112 : 제1가이드홀부 113 : 제1충전홀부
120 : 제2본체 121 : 제2고리
122 : 제2가이드홀부 123 : 제2충전홀부
200 : 가이드부 210 : 가이드본체
211 : 가이드 212 : 결합홈부
220 : 가이드덮개 300 : 터치펜부
310 : 터치펜바디 320 : 펜팁
400 : 살균부 500 : 배터리부
600 : 버튼부 700 : 커버부
800 : 충전부

Claims (8)

  1. 기판부가 수용되는 본체부;
    상기 기판부에 접촉되며,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돌출가능한 터치펜부;
    상기 기판부와 연결되고, 상기 터치펜부나 상기 터치펜부의 주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살균하는 살균부;
    상기 기판부와 연결되는 배터리부; 및
    상기 살균부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터치펜부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본체부의 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커버부; 및
    상기 기판부와 연결되며, 충전케이블이 연결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기판부가 수용되며, 연결부재의 결합이 가능한 고리부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버튼부가 돌출되며 상기 버튼부가 이동되는 가이드홀부와, 상기 충전부에 결합되는 충전케이블에 삽입되는 충전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상기 터치펜부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기판부가 결합되는 결합홈부가 형성되는 가이드본체; 및
    상기 가이드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며, 상기 커버부가 힌지결합되는 가이드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택트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펜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버튼부와 결합되는 터치펜바디; 및
    상기 터치펜바디에 결합되며, 고무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펜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택트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UV LED 또는 UVC LE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택트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터치펜부는 상기 기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류가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택트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빛을 반사하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택트 장치.
  7. 삭제
  8. 제 1항, 제 3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터치펜부와 연결되어 상기 터치펜부와 함께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택트 장치.
KR1020210061414A 2021-05-12 2021-05-12 언택트 장치 KR102450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414A KR102450420B1 (ko) 2021-05-12 2021-05-12 언택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414A KR102450420B1 (ko) 2021-05-12 2021-05-12 언택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420B1 true KR102450420B1 (ko) 2022-10-06

Family

ID=83597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414A KR102450420B1 (ko) 2021-05-12 2021-05-12 언택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42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746B1 (ko) * 2010-07-27 2011-02-22 정영우 터치 입력장치
KR20120097429A (ko) * 2010-09-27 2012-09-04 유진곤 휴대용 자외선 살균소독기
KR20130117440A (ko) * 2012-04-17 2013-10-28 윤선호 개폐부재가 장착된 터치펜
KR20140007576A (ko) * 2012-07-09 2014-01-20 (주) 엔솔테크 다기능 터치펜
KR20150028153A (ko) * 2013-09-05 2015-03-13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Uv led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746B1 (ko) * 2010-07-27 2011-02-22 정영우 터치 입력장치
KR20120097429A (ko) * 2010-09-27 2012-09-04 유진곤 휴대용 자외선 살균소독기
KR20130117440A (ko) * 2012-04-17 2013-10-28 윤선호 개폐부재가 장착된 터치펜
KR20140007576A (ko) * 2012-07-09 2014-01-20 (주) 엔솔테크 다기능 터치펜
KR20150028153A (ko) * 2013-09-05 2015-03-13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Uv led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70312B (zh) 手持電子裝置
US7566231B2 (en) Thumb drive with retractable USB connector
DE60234553D1 (de) Klappbares Mobilkommunikationsgerät und Betriebsverfahren dafür
JP2005094763A (ja) スライド型移動通信端末機
KR102450420B1 (ko) 언택트 장치
US20220123568A1 (en) Wireless charger with sterilization function
US6856792B2 (en) Self operating opening mechanism for use i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20160022526A1 (en) Mobile cart and medical cart
CN104125318A (zh) 一种带有深紫外消毒功能的手机
TW201517097A (zh) 發光鍵盤
ATE554439T1 (de) Informationseingabeeinheit, speichereinheit, informationseingabeeinrichtung und informationsverarbeitungseinrichtung
TW200512433A (en) Optical detector for detecting relative shift
CN208384531U (zh) 手势识别装置
US6034627A (en) Computer input device
CN208077838U (zh) 一种密码键盘防窥装置
US7310086B2 (en) Finger navigation input device
US11759536B2 (en) Mobile device case with disinfecting module
CN204990199U (zh) 一种多功能抑菌键盘
US11752226B2 (en) Handheld disinfection device
KR200494449Y1 (ko) 터치 펜
JP2023513531A (ja) 使い捨てのフラッシング・吸引式ドレナージチューブ及びその使用方法
CN208141348U (zh) 一种游戏输入装置
CN212880230U (zh) 一种带杀菌消毒功能的辅助触碰用具
KR100920162B1 (ko) 정보처리 장치
CN206867301U (zh) 牙科综合治疗机的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