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382B1 - 인공지능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굼벵이를 자동으로 생산하기 위한 컨테이너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굼벵이를 자동으로 생산하기 위한 컨테이너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382B1
KR102450382B1 KR1020210117374A KR20210117374A KR102450382B1 KR 102450382 B1 KR102450382 B1 KR 102450382B1 KR 1020210117374 A KR1020210117374 A KR 1020210117374A KR 20210117374 A KR20210117374 A KR 20210117374A KR 102450382 B1 KR102450382 B1 KR 102450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ion box
slug
slug production
medium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연지
유태연
Original Assignee
코리아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소프트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Biophys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굼벵이를 자동으로 생산하기 위한 컨테이너 장치에 있어서, 배지가 주입되고, 굼벵이가 생산되는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가 각각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에 배지를 주입하도록 구성된 배지 주입 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에 주입된 배지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배지 배출 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를 반송하도록 구성된 반송 장치; 및 상기 배지 주입 장치, 상기 배지 배출 장치 및 상기 반송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성충 및 배지가 주입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에 배치한 후, 제1 소정 기간 이후에 그리고 상기 제1 소정 기간 이후 제1 주기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에 주입된 배지를 자동으로 교환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로부터 알을 수확하고, 수확된 알 및 배지가 주입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에 배치한 후, 제2 소정 기간 이후에 그리고 상기 제2 소정 기간 이후 제2 주기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에 주입된 배지를 자동으로 교환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로부터 굼벵이를 수확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공지능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굼벵이를 자동으로 생산하기 위한 컨테이너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CONTAINER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AUTOMATICALLY PRODUCING LARVA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OT TECHNOLOGY}
본 발명은 인공지능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굼벵이를 자동으로 생산하기 위한 컨테이너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빅데이터, 딥러닝과 같은 인공지능과 IoT 센서 등을 이용하여 굼벵이가 사육될 환경을 자동으로 조성함으로써 굼벵이를 자동으로 생산하기 위한 컨테이너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굼벵이가 국내외적으로 미래의 먹거리로 각광받고 있고, 사람들의 관심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굼벵이를 양식하는 농가들이 늘어나고 있다. 굼벵이란 풍뎅이나 딱정벌레 종류의 유충을 통칭해 부르는 명칭으로, 대표적으로 흰점박이꽃무지의 유충으로 동의보감에 명시된 품종이다. 다만, 잘못된 사육, 일관되지 못한 사육 등으로 인해 많은 폐사량이 발생하고 있으며, 또는 굼벵이의 살이 꽉 차지 못한 상태로 생산하여 소득량이 많지 않은 경우도 있어서, 굼벵이를 생산하는 농민들의 근심도 큰 실정이다.
따라서, 굼벵이를 일관된 품질로 자동으로 생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여, 품질이 좋은 굼벵이의 생산량을 늘릴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17930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한다.)가 있다. 이 종래기술은 굼벵이를 대량으로 사육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구체적으로 톱밥 사이에 안착되는 굼벵이를 성장시키는 성장부와 성장부에서 성장한 굼벵이와 톱밥을 분리하는 분리부와 분리부에서 분리된 굼벵이를 절식 및 세척시키는 절식부와 절식부에서 세척된 굼벵이를 건조 및 가공시키는 가공부를 포함하는 굼벵이 사육장치에 관한 것이다.
굼벵이는 알, 유충(3령), 번데기(코쿤), 성충의 순으로 성장한다. 종래기술은 성충이 아닌, 알부터 사육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어서, 성충으로부터 알을 수확하는 단계를 더 필요로 한다. 또한, 종래기술은 빅데이터, 딥러닝과 같은 인공지능과 IoT 센서 등을 이용하고 있지 않아서, 품질이 좋은 굼벵이를 지속적으로 생산하기 어렵고, 기계 학습에 의해 품질이 더 좋은 굼벵이를 지속적으로 생산하기도 어렵다.
본 발명은 빅데이터, 딥러닝과 같은 인공지능과 IoT 센서 등을 이용하여 굼벵이가 사육될 환경을 자동으로 조성함으로써 품질이 좋은 굼벵이를 자동으로 생산하기 위한 컨테이너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빅데이터, 딥러닝과 같은 인공지능과 IoT 센서 등을 이용하여, 품질이 좋은 굼벵이를 생산하고, 기계 학습에 의해 품질이 더 좋은 굼벵이도 생산하게 하며, 교배 알고리즘에 의해 근친 교배를 막고, QR 코드와 연계하여 굼벵이 이력제를 가능하게 하며, HACCP 시스템에 대응하게 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굼벵이를 자동으로 생산하기 위한 컨테이너 장치에 있어서, 배지가 주입되고, 굼벵이가 생산되는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가 각각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에 배지를 주입하도록 구성된 배지 주입 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에 주입된 배지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배지 배출 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를 반송하도록 구성된 반송 장치; 및 상기 배지 주입 장치, 상기 배지 배출 장치 및 상기 반송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성충 및 배지가 주입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에 배치한 후, 제1 소정 기간 이후에 그리고 상기 제1 소정 기간 이후 제1 주기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에 주입된 배지를 자동으로 교환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로부터 알을 수확하고, 수확된 알 및 배지가 주입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에 배치한 후, 제2 소정 기간 이후에 그리고 상기 제2 소정 기간 이후 제2 주기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에 주입된 배지를 자동으로 교환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로부터 굼벵이를 수확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굼벵이를 자동으로 생산하기 위한 컨테이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지 주입 장치는, 배지를 보관하도록 구성된 하우징; 및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사이드 월(side wall)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 보관된 배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에 운반하도록 구성된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월은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 이하의 경사로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배지 주입 장치에 반송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에 배지를 주입하고, 성충 및 성충 먹이가 더 주입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에 각각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굼벵이를 자동으로 생산하기 위한 컨테이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지 배출 장치는, 철망 형태를 갖는 필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 및 상기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회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소정 기간 이후에 그리고 상기 제1 소정 기간 이후 상기 제1 주기마다, 상기 성충이 주입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 중에서 교배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선택된 제1 굼벵이 생산 박스 및 제2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필터 위에 반송하고,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 및 상기 제2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필터 위에서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 및 상기 제2 굼벵이 생산 박스에 포함된 성충이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되게 하고,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 및 상기 제2 굼벵이 생산 박스에 포함된 알 및 배지가 상기 필터를 관통하여 상기 필터 아래에 배치된 제3 굼벵이 생산 박스에 주입되게 하고, 상기 알 및 배지가 주입된 상기 제3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에 배치하고,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 및 상기 제2 굼벵이 생산 박스를 세정하고,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성충이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 및 상기 제2 굼벵이 생산 박스 중 적어도 하나에 최초로 주입된 이후 성충 사육 기간이 도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성충 사육 기간이 도과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세정된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배지 주입 장치에 반송하여,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에 배지를 주입하고,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필터 아래에 반송하고, 상기 필터를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성충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에 주입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의 성충이 주입된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에 배치하고, 상기 성충 사육 기간이 도과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성충을 폐기하고, 세정된 상기 제2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필터 아래에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굼벵이를 자동으로 생산하기 위한 컨테이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지 배출 장치는, 굼벵이를 촬영하도록 구성된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소정 기간 이후에 그리고 상기 제2 소정 기간 이후 상기 제2 주기마다, 상기 제3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필터 위에 반송하고, 상기 제3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필터 위에서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제3 굼벵이 생산 박스에 포함된 굼벵이가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되게 하고, 상기 제3 굼벵이 생산 박스를 세정하고,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굼벵이를 촬영하고, 딥러닝 영상 분석을 행함으로써, 상기 굼벵이가 3령으로 성장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굼벵이가 3령으로 성장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세정된 상기 제3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배지 주입 장치에 반송하여, 상기 제3 굼벵이 생산 박스에 배지를 주입하고, 상기 제3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필터 아래에 반송하고, 상기 필터를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굼벵이를 상기 제3 굼벵이 생산 박스에 주입하고, 상기 제3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에 배치하고, 상기 굼벵이가 3령으로 성장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굼벵이에 대한 출하 메시지가 포함된 푸시(Push) 알람을 사용자 단말에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굼벵이를 자동으로 생산하기 위한 컨테이너 장치에 있어서, 소독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된 소독수 분사 장치 및 에어를 분사하도록 구성된 건조 장치를 포함하는 세정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정 장치는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 내지 상기 제3 굼벵이 생산 박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소독수를 분사하고, 에어로 건조시킴으로써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 내지 상기 제3 굼벵이 생산 박스 중 적어도 하나를 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굼벵이를 자동으로 생산하기 위한 컨테이너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배 알고리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 중에서, 제1 품종 군의 성충이 주입된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와, 상기 제1 품종 군과 상이한 제2 품종 군의 성충이 주입된 상기 제2 굼벵이 생산 박스의 조합을 선택하는 알고리즘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의 각각에 포함된 성충의 품종 군의 개수가 소정의 품종 군의 개수에 이르기 전까지, 상기 제1 소정 기간 이후에 그리고 상기 제1 소정 기간 이후 상기 제1 주기마다 상기 교배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굼벵이를 자동으로 생산하기 위한 컨테이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장치 내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온도 조절기; 상기 컨테이너 장치 내의 습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습도 조절기; 상기 컨테이너 장치 내의 조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조명 장치; 상기 컨테이너 장치 내의 온도, 습도, 조도 및 암모니아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센서; 및 상기 컨테이너 장치 내를 배기하도록 구성된 배기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조절기, 상기 습도 조절기, 상기 조명 장치 및 상기 배기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컨테이너 장치 내의 온도, 습도, 조도 및 암모니아 농도를 제어하고,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컨테이너 장치 내의 온도, 습도, 조도 및 암모니아 농도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굼벵이를 자동으로 생산하기 위한 컨테이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 정보와, 상기 굼벵이에 대한 비전 정보, 사료 정보 및 약품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에 대한 배지 교환 정보, 교배 정보, 폐사 정보, 입고 정보 및 출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로부터 수집하여, 빅데이터로써 관리하고, 상기 빅데이터에 기초하여, 소정의 크기를 갖는 양품의 굼벵이가 수확될 때의 데이터를 표준 조건으로 정하고, 상기 빅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크기 및 무게를 초과하는 굼벵이가 수확될 때의 데이터를 새로운 표준 조건으로 정하고, 정해진 상기 표준 조건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굼벵이를 자동으로 생산하기 위한 컨테이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 정보, 상기 비전 정보, 상기 사료 정보, 상기 약품 정보, 상기 배지 교환 정보, 상기 교배 정보, 상기 폐사 정보, 상기 입고 정보 및 상기 출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를 QR 데이터에 기록하고, 상기 QR 데이터에 기초하여 QR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QR 코드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인식될 때, 상기 환경 정보, 상기 비전 정보, 상기 사료 정보, 상기 약품 정보, 상기 배지 교환 정보, 상기 교배 정보, 상기 폐사 정보, 상기 입고 정보 및 상기 출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QR 코드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인식될 때, 굼벵이 생산자 정보를 포함하는 생산 정보, 굼벵이의 생산 이력 및 배송 이력을 포함하는 이력 정보, 굼벵이 관련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추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굼벵이를 자동으로 생산하기 위한 컨테이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딥러닝 영상 분석을 행할 때, 촬영된 상기 굼벵이의 크기가 상기 표준 조건에 따른 상기 소정의 크기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촬영된 상기 굼벵이의 크기가 상기 소정의 크기 이상인 경우에, 상기 굼벵이에 대한 상기 출하 메시지가 포함된 상기 푸시 알람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발생시키고, 촬영된 상기 굼벵이의 크기가 상기 소정의 크기 미만인 경우에, 배지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굼벵이를 자동으로 생산하기 위한 컨테이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정 기간은 15일이고, 상기 제1 주기는 5일이고, 상기 제2 소정 기간은 30일이고, 상기 제2 주기는 5일이고, 상기 성충 사육 기간은 45일이고,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성충의 적어도 일부는 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굼벵이를 자동으로 생산하기 위한 컨테이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에 대한 제어 상태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입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푸시 알람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굼벵이를 자동으로 생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배지가 주입되고, 굼벵이가 생산되는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가 각각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에 배지를 주입하도록 구성된 배지 주입 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에 주입된 배지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배지 배출 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를 반송하도록 구성된 반송 장치; 및 상기 배지 주입 장치, 상기 배지 배출 장치 및 상기 반송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장치에서, 성충 및 배지가 주입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에 배치한 후, 제1 소정 기간 이후에 그리고 상기 제1 소정 기간 이후 제1 주기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에 주입된 배지를 자동으로 교환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로부터 알을 수확하는 단계; 및 수확된 알 및 배지가 주입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에 배치한 후, 제2 소정 기간 이후에 그리고 상기 제2 소정 기간 이후 제2 주기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에 주입된 배지를 자동으로 교환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로부터 굼벵이를 수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굼벵이를 자동으로 생산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있어서, 배지가 주입되고, 굼벵이가 생산되는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가 각각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에 배지를 주입하도록 구성된 배지 주입 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에 주입된 배지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배지 배출 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를 반송하도록 구성된 반송 장치; 및 상기 배지 주입 장치, 상기 배지 배출 장치 및 상기 반송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장치에서, 성충 및 배지가 주입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에 배치한 후, 제1 소정 기간 이후에 그리고 상기 제1 소정 기간 이후 제1 주기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에 주입된 배지를 자동으로 교환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로부터 알을 수확하는 단계; 및 수확된 알 및 배지가 주입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에 배치한 후, 제2 소정 기간 이후에 그리고 상기 제2 소정 기간 이후 제2 주기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에 주입된 배지를 자동으로 교환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로부터 굼벵이를 수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해 기록 매체에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에 기재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빅데이터, 딥러닝과 같은 인공지능과 IoT 센서 등을 이용하여, 품질이 좋은 굼벵이를 지속적으로 생산하고, 기계 학습에 의해 품질이 더 좋은 굼벵이도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교배 알고리즘에 의해 근친 교배를 막아서, 개체의 감소, 기형 등을 줄이고, 생산량을 증가시키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딥러닝 영상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굼벵이의 표본을 추출하고, 배지 교환 시기를 판단 후 자동으로 배지를 교체하며, 품질이 좋은 굼벵이를 수확할 수 있다. 게다가, 굼벵이의 표본에 이르게 하는 표준 조건 등을 정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IoT 센서 등에 의한 환경 정보(온도, 습도, 조도 및 암모니아 농도 등), 비전 정보, 사료 정보, 약품 정보, 배지 교환 정보, 교배 정보, 폐사 정보, 입고 정보 및 출하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함으로써 HACCP 시스템에 대응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경 정보, 비전 정보, 사료 정보, 약품 정보, 배지 교환 정보, 교배 정보, 폐사 정보, 입고 정보 및 출하 정보 등을 QR 코드에 기록함으로써,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인식될 경우, 굼벵이 생산자 정보를 포함하는 생산 정보, 굼벵이의 생산 이력 및 배송 이력을 포함하는 이력 정보, 굼벵이 관련 상품 정보 등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테이너 장치가 와이파이(wifi) 등으로 무선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굼벵이가 3령이 되어 수확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면, 굼벵이에 대한 출하 메시지가 포함된 푸시(Push) 알람을 사용자 단말 또는 컨테이너 장치에 포함된 표시부에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지 주입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지 배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지를 교환하고, 성충으로부터 알을 수확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지를 교환하고, 굼벵이를 수확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배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기술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a 내지 10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프로그램 화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러닝 영상 분석을 행하는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굼벵이를 자동으로 생산하기 위한 컨테이너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한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표현되는 각 구성부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구성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교시들이 다양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기술되지만, 본 교시들이 그러한 실시예들로 한정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교시들은 다양한 대안들, 수정들, 및 동등물들을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예컨대, 스마트 안경, 시계 등), IoT 단말기, 개인 휴대 단말기(PDA), 태블릿 PC, 랩탑 컴퓨터 또는 서버와 통신할 수 있고, 카메라가 내장되어 있어 QR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기록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와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프로그램'은 상술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것으로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이하, 도 1a 내지 1c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장치(1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장치(10)의 정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장치(10)의 평면도이며,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장치(10)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장치(10)는, 배지가 주입되고, 굼벵이가 생산되는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100),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100)가 각각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200),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 배지를 주입하도록 구성된 배지 주입 장치(300),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 주입된 배지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배지 배출 장치(400),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100)를 반송하도록 구성된 반송 장치(500), 및 배지 주입 장치(300), 배지 배출 장치(400) 및 반송 장치(50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컨테이너 장치(10)는 150 내지 250개의, 예를 들어 200개의 굼벵이 생산 박스(100)를 배치할 수 있는 150 내지 250개의, 예를 들어 200개의 선반(200)을 포함할 수 있다.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 주입될 배지는, 예를 들어 수분이 60 내지 65% 함유되고 숙성된 톱밥일 수 있다.
굼벵이 생산 박스(100)는 약 15 내지 40 리터(L), 바람직하게는 25 리터(L)의 크기를 갖고, 이는 약 40 내지 120 마리의 성충을 사육하거나, 또는 약 40 내지 120 마리의 알을 사육하는 최적의 환경일 수 있다.
반송 장치(500)는 굼벵이 생산 박스(100)를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반송시킬 수 있다. 반송 장치(500)는, 예를 들어 컨테이너 장치(10)의 하부에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RAM(Random Access Memory), 메모리, 통신 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RAM, 메모리 및 통신 포트는 내부 버스를 통해서 CPU와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예를 들어 터치 패널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입출력 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배지 주입 장치(300), 배지 배출 장치(400) 및 반송 장치(50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성충 및 배지가 주입된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100)를 적어도 하나의 선반(200)에 배치한 후, 제1 소정 기간 이후에 그리고 제1 소정 기간 이후 제1 주기마다,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 주입된 배지를 자동으로 교환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100)로부터 알을 수확하고, 수확된 알 및 배지가 주입된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100)를 적어도 하나의 선반(200)에 배치한 후, 제2 소정 기간 이후에 그리고 제2 소정 기간 이후 제2 주기마다,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 주입된 배지를 자동으로 교환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100)로부터 굼벵이를 수확할 수 있다. 이하에서, 자세한 공정을 후술하기로 한다.
도 1b에 도시된 세정 장치(7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독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된 소독수 분사 장치(710) 및 에어를 분사하도록 구성된 건조 장치(72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정 장치(700)는, 소독수 분사 장치(710)에 의해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 대해 소독수를 분사하고, 건조 장치(720)에 의해 굼벵이 생산 박스(100) 에어로 건조시키는 방식으로 굼벵이 생산 박스(100)를 세정할 수 있다. 이 때, 굼벵이 생산 박스(100)가 뒤집혀진 상태에서, 소독수 분사 장치(710)가 굼벵이 생산 박스(100)를 향해 상방으로 소독수를 분사하고, 건조 장치(720)가 굼벵이 생산 박스(100)를 향해 상방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방식으로, 굼벵이 생산 박스(100)를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세정 장치(700) 역시 제어부(6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세정 장치(700)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1a 내지 1c에 도시된 컨테이너 장치(10)에 포함된 굼벵이 생산 박스(100), 선반(200), 배지 주입 장치(300), 배지 배출 장치(400), 반송 장치(500), 제어부(600) 및 세정 장치(700)의 구성 및 배치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하, 도 2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지 주입 장치(3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배지 주입 장치(300)는, 배지를 보관하도록 구성된 하우징(310) 및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사이드 월(side wall)(320)을 포함하고, 하우징(310)에 보관된 배지를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 운반하도록 구성된 컨베이어 벨트(3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컨베이어 벨트(330)와 함께 하방을 향하여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컨베이어 벨트(330)가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하우징(310) 내에서 상방으로 움직이면서, 하우징(310)에 포함된 배지가 사이드 월(320)에 의해 걸려서 상방으로 운반되게 할 수 있다. 상방으로 운반된 배지는 컨베이어 벨트(330)의 상단에서, 컨베이어 벨트(330)가 상방으로 움직임에 따라, 그 하부에 배치된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 떨어지는 방식으로 주입될 수 있다.
사이드 월(320)은 컨베이어 벨트에 대해 약 90°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월(320)은 하우징(310)의 하부면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 이하의 경사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이드 월(320)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는, 하우징(310)의 하부면, 즉 컨베이어 벨트(330)와 함께 테이퍼 형상을 형성하는 하부면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 이하일 수 있다. 이는 하우징(310)의 하단에 있는 배지까지 사이드 월(320)에 걸려서 운반되게 하므로, 하우징(310)의 하단에 배지가 계속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지 주입 장치(300)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하, 도 3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지 배출 장치(4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배지 배출 장치(400)는, 철망 형태를 갖는 필터(410), 및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430) 및 필터(410)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회전 장치(4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지 배출 장치(400)는, 굼벵이를 촬영하도록 구성되고, 필터(410)의 상방에 배치된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410)는 철망 형태를 갖고, 3령의 굼벵이 및 성충이 필터 상에서 필터링되고, 알 및 배지가 필터를 통과할 정도의 구멍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회전 장치(420)는, 예를 들어 유압 장치를 사용하여 굼벵이 생산 박스(430) 또는 필터(4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카메라는 도 7에 도시된 카메라(810)일 수 있고, 필터(410) 상에 놓인 굼벵이를 촬영하여 후술하는 딥러닝 영상 분석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에서부터 굼벵이 생산 박스(430), 필터(410), 굼벵이 생산 박스(440)의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굼벵이 생산 박스(430)가 회전 장치(420)에 의해 회전하면, 필터(410)의 구멍보다 큰 것은 필터(410) 상에 걸러지고, 필터(410)의 구멍보다 작은 것은 필터(410)를 관통하여 굼벵이 생산 박스(440)에 주입되게 할 수 있다. 또한, 필터(410)가 회전하면, 필터(410) 상에 걸러진 것이 굼벵이 생산 박스(440)에 주입되게 할 수 있다. 굼벵이를 생산하는 각 공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100)가 필요에 따라 굼벵이 생산 박스(430) 또는 굼벵이 생산 박스(440)의 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배지 배출 장치(400)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배지 주입 및 굼벵이 생산 박스 입고 공정>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 배지를 주입하고, 성충을 주입하여 선반(200)에 배치하는 공정을 시작으로 굼벵이를 생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굼벵이 생산 박스(100)가 컨테이너 장치(10)에 입고되면, 반송 장치(500)에 의해 굼벵이 생산 박스(100)를 배지 주입 장치(300)의 하부에 반송하고, 배지 주입 장치(300)의 동작에 의해 배지를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 주입할 수 있다. 또한,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 성충 및 성충 먹이(예를 들어, 사과, 젤리 등)를 더 주입하고, 반송 장치(500)에 의해 굼벵이 생산 박스(100)를 선반(200)에 배치할 수 있다. 이 공정은 선반(200)의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선반(200)의 모두가 굼벵이 생산 박스(100)로 채워질 때까지 반복하여 행해질 수 있다.
이 공정은 성충으로부터 알을 수확하기 위해 행해지는 것으로서, 컨테이너 장치(10)에 처음 입고된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 성충을 주입할 때, 암컷 30 내지 60 마리, 수컷 15 내지 30마리를 주입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암수 비율을 2:1로 하여 주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입된 암컷 및 수컷의 성충이 교미하여 알을 낳고, 이를 수확하게 할 수 있다.
이 공정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배지 교환 및 알 수확 공정>
이하, 도 4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지를 교환하고, 성충으로부터 알을 수확하는 공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공정은, 성충이 주입된 굼벵이 생산 박스(100) 중에서 후술하는 교배 알고리즘에 의해 선택된 제1 굼벵이 생산 박스(100) 및 제2 굼벵이 생산 박스(100)로부터 성충과 알을 분리하는 공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배지 주입 및 굼벵이 생산 박스 입고 공정> 이후 10일이 지나면, 제1 굼벵이 생산 박스(100) 및 제2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 주입된 암컷 및 수컷의 성충이 교미하여 알을 낳기 시작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 성충이 최초로 주입된 이후 제1 소정 기간, 예를 들어 15일 이후에, 교배 알고리즘에 의해 제1 굼벵이 생산 박스(100) 및 제2 굼벵이 생산 박스(100)이 선택될 수 있다. 우선, 반송 장치(500)에 의해 제1 굼벵이 생산 박스(100)를 선반(200)에서 배지 배출 장치(400)의 필터(410) 위에, 즉 굼벵이 생산 박스(430)의 위치에 반송할 수 있다. 그 후, 회전 장치(420)에 의해 제1 굼벵이 생산 박스(100)를 회전시켜서, 제1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 포함된 성충이 필터(410)에 의해 필터링되게, 즉 필터(410) 상에 놓이게 하고, 제1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 포함된 알 및 배지가 필터(410)를 관통하여, 필터(410) 아래에 배치된 제3 굼벵이 생산 박스(100), 즉 굼벵이 생산 박스(440)에 주입되게 할 수 있다. 그 후, 제1 굼벵이 생산 박스(100)는 반송 장치(500)에 의해 세정 장치(700)로 반송되어, 뒤집혀 진 상태로 세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 대해서도, 위 공정과 동시에 또는 적어도 일부 공정이 중복되도록 행해질 수 있다. 즉, 반송 장치(500)에 의해 제2 굼벵이 생산 박스(100)를 선반(200)에서 배지 배출 장치(400)의 필터(410) 위에, 즉 굼벵이 생산 박스(430)의 위치에 반송할 수 있다. 그 후, 회전 장치(420)에 의해 제2 굼벵이 생산 박스(100)를 회전시켜서, 제2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 포함된 성충이 필터(410)에 의해 필터링되게, 즉 필터(410) 상에 놓이게 하고, 제2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 포함된 알 및 배지가 필터(410)를 관통하여, 필터(410) 아래에 배치된 제3 굼벵이 생산 박스(100), 즉 굼벵이 생산 박스(440)에 주입되게 할 수 있다. 그 후, 제2 굼벵이 생산 박스(100)는 반송 장치(500)에 의해 세정 장치(700)로 반송되어, 뒤집혀 진 상태로 세정될 수 있다.
위 공정에 의해, 필터(410) 아래에 배치된 제3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는, 제1 굼벵이 생산 박스(100) 및 제2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서 사육된 알과 배지가 주입될 수 있고, 반송 장치(500)에 의해 제3 굼벵이 생산 박스(100)를 선반(200), 예를 들어 제2 굼벵이 생산 박스(100)가 배치됐던 선반(200)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위 공정에 의해, 필터(410) 위에는 제1 굼벵이 생산 박스(100) 및 제2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서 사육된 성충이 놓일 수 있다. 제어부(600)는 이 성충에 대해 제1 굼벵이 생산 박스(100) 및 제2 굼벵이 생산 박스(100) 중 적어도 하나에 주입된 이후 성충 사육 기간, 예를 들어 30일 내지 60일, 바람직하게는 45일이 도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성충 사육 기간은 성충이 산란 후 소정의 기간 후에 폐사하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만약 성충 사육 기간이 도과하지 않았다고 판단했다면, 필터(410) 위에 놓인 성충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50%를 폐기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서 최적의 환경으로 사육될 수 있는 성충의 수를 고려한 것이고, 필터(410) 위에 놓인 성충은 두 개의 굼벵이 생산 박스(100), 즉 제1 굼벵이 생산 박스(100) 및 제2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서 사육된 성충이므로, 그 절반을 폐기하는 것이다. 폐기하는 방식은 수동 방식, 또는 필터(410)의 회전에 의한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세정된 제1 굼벵이 생산 박스(100)는 뒤집혀 진 상태이므로, 이를 다시 회전한 후, 반송 장치(500)에 의해 배지 주입 장치(300)의 하부에 반송하여, 배지를 주입할 수 있다. 그 후, 반송 장치(500)에 의해 제1 굼벵이 생산 박스(100)를 필터(410) 아래에, 즉 굼벵이 생산 박스(440)의 위치에 반송하고, 회전 장치(420)에 의해 필터(410)를 회전시켜서, 필터(410)에 의해 필터링된 성충의 적어도 일부를 제1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 주입할 수 있다. 그 후, 반송 장치(500)에 의해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50%의 성충이 주입된 제1 굼벵이 생산 박스를 선반(200), 예를 들어 제1 굼벵이 생산 박스(100)가 배치됐던 선반(200)에 배치할 수 있다.
만약 성충 사육 기간이 도과했다고 판단했다면, 필터(410)에 의해 필터링된 성충, 즉 필터(410) 위에 놓인 성충을 폐기할 수 있다.
한편, 세정된 제2 굼벵이 생산 박스(100)는 뒤집혀 진 상태이므로, 이를 다시 회전한 후, 반송 장치(500)에 의해 필터(410) 아래에 반송할 수 있다. 이 제2 굼벵이 생산 박스(100)는 굼벵이 생산 박스(440)의 역할, 즉 추후 굼벵이 생산 박스(430) 또는 필터(410)가 회전했을 때 배지, 알, 굼벵이, 성충 중 적어도 하나가 떨어지는 것을 받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공정은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 성충이 최초로 주입된 이후 제1 소정 기간 이후에 행해지고, 그 이후, 제1 주기, 예를 들어 5일 마다 반복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제1 주기는, 예를 들어 25 리터(L) 크기의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서 알이 약 100개 생산되는 기간을 고려한 것이다. 이 공정을 반복할수록, 컨테이너 장치(10) 내의 굼벵이 생산 박스(100) 중에서 알이 사육되는 굼벵이 생산 박스(100) 대비 성충이 사육되는 굼벵이 생산 박스(100)의 비율이 줄어들게 되고, 최종적으로, 예를 들어 약 10%의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서 성충이 사육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공정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배지 교환 및 굼벵이 수확 공정>
이하, 도 5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지를 교환하고, 굼벵이를 수확하는 공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공정은, 알이 주입된 굼벵이 생산 박스(100)로부터 3령으로 자란 굼벵이를 수확하는 공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배지 교환 및 알 수확 공정> 이후 제2 소정 기간, 예를 들어 30일 이후에, 배지를 교환한다. 제2 소정 기간은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서 성장하는 알이 배지를 상당 부분 섭취한 기간을 고려한 것이다. 상술한 <배지 교환 및 알 수확 공정>에서 제3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 알 및 배지가 주입된 이후 제2 소정 기간이 지나면, 반송 장치(500)에 의해 제3 굼벵이 생산 박스(100)를 선반(200)에서 배지 배출 장치(400)의 필터(410) 위에, 즉 굼벵이 생산 박스(430)의 위치에 반송할 수 있다. 그 후, 회전 장치(420)에 의해 제3 굼벵이 생산 박스(100)를 회전시켜서, 제3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 포함된 굼벵이가 필터(410)에 의해 필터링되게, 즉 필터(410) 상에 놓이게 하고, 제3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 포함된 배지가 필터(410)를 관통하여, 필터(410) 아래에 배치된 굼벵이 생산 박스(440)에 주입되거나, 필터(410) 아래에 배치된 별도의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컨테이너 장치(10)의 외부로 배출되게 할 수 있다. 그 후, 제3 굼벵이 생산 박스(100)는 반송 장치(500)에 의해 세정 장치(700)로 반송되어, 뒤집혀 진 상태로 세정될 수 있다.
배지 배출 장치(400)에 포함된 카메라가 필터(410) 상에 놓인 굼벵이를 촬영하고, 제어부(600)가 후술하는 딥러닝 영상 분석을 행함으로써, 굼벵이가 3령으로 성장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굼벵이가 3령으로 성장하지 않았다고 판단했다면, 세정된 제3 굼벵이 생산 박스(100)는 뒤집혀 진 상태이므로, 이를 다시 회전한 후, 반송 장치(500)에 의해 배지 주입 장치(300)의 하부에 반송하여, 배지를 주입할 수 있다. 그 후, 반송 장치(500)에 의해 제3 굼벵이 생산 박스(100)를 필터(410) 아래에, 즉 굼벵이 생산 박스(440)의 위치에 반송하고, 회전 장치(420)에 의해 필터(410)를 회전시켜서, 필터(410)에 의해 필터링된 굼벵이를 제3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 주입할 수 있다. 그 후, 반송 장치(500)에 의해 제3 굼벵이 생산 박스를 선반(200), 예를 들어 제3 굼벵이 생산 박스(100)가 배치됐던 선반(200)에 배치할 수 있다.
만약 굼벵이가 3령으로 성장했다고 판단했다면, 제어부(600)에 의해 굼벵이에 대한 출하 메시지가 포함된 푸시(Push) 알람을 사용자 단말(도시하지 않음)에 발생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공정은 제3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 알 및 배지가 주입된 이후 제2 소정 기간이 이후에 행해지고, 그 이후, 제2 주기, 예를 들어 5일 마다 반복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제2 주기는 굼벵이가 1령 이상으로 성장하여, 배지를 많이 섭취하게 되는 것을 고려한 기간이다. 1령에서 3령까지 약 40일이 소요되는 것을 고려하면, 제2 소정 기간(예를 들어, 30일) 이후에 이 공정이 1회 행해지고 나서, 제2 주기(예를 들어, 5일) 간격으로 이 공정이 2회 행해질 수 있다.
이 공정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하, 도 6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배 알고리즘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농가들이 무작위 교배를 통하여 개체의 감소, 기형 등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교배 알고리즘을 통해 무작위 교배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교배 알고리즘은, 굼벵이 생산 박스(100) 중에서, 제1 품종 군의 성충이 주입된 제1 굼벵이 생산 박스(100)와, 제1 품종 군과 상이한 제2 품종 군의 성충이 주입된 제2 굼벵이 생산 박스(100)의 조합을 선택하는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따르면, 첫 번째 교배 시, 품종 (1) 및 품종 (2)를 교배하고, 품종 (2) 및 품종 (3)을 교배하고, 품종 (3) 및 품종 (4)를 교배하는 등과 같이, 서로 상이한 품종 군의 조합끼리 선택하여 교배시킬 수 있다. 또한, 두 번째 교배 시, 품종 (1, 2) 및 품종 (3, 4)를 교배하고, 품종 (2, 3) 및 품종 (4, 5)를 교배하고, 품종 (3, 4) 및 품종 (5, 6)을 교배하는 등과 같이, 서로 상이한 품종 군의 조합끼리 선택하여 교배시킬 수 있다. 또한, 세 번째 교배 시, 품종 (1, 2, 3, 4) 및 품종 (5, 6, 7, 8)을 교배하고, 품종 (2, 3, 4, 5) 및 품종 (6, 7, 8, 1)을 교배하고, 품종 (3, 4, 5, 6) 및 품종 (7, 8, 1, 2)를 교배하는 등과 같이, 서로 상이한 품종 군의 조합끼리 선택하여 교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조합을 선택하여 교배시키면, 두 개의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 주입된 성충의 품종 군 간에 중복되는 품종 없이 교배시킬 수 있으므로, 근친 교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교배 횟수를 늘리다가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 포함된 성충의 품종 군의 개수가 소정의 품종 군의 개수를 초과하면, 근친 교배 안전권에 속하게 되어 근친 교배가 발생할 확률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근친 교배 안전권은, 예를 들어 하기의 수식에 의해 산출될 수도 있다.
Figure 112021102121442-pat00001
<수식>
제어부(600)는, 굼벵이 생산 박스(100)의 각각에 포함된 성충의 품종 군의 개수가 소정의 품종 군의 개수에 이르기 전까지는, 제1 소정 기간 이후에 그리고 제1 소정 기간 이후 제1 주기마다 교배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서로 상이한 품종 군의 조합끼리 선택하여 교배시킬 필요가 있다. 이로써, 근친 교배를 막을 수 있으므로, 개체의 감소, 기형 등을 줄이고, 생산량을 증가시키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교배 알고리즘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하, 도 7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컨테이너 장치(10)는, 필터(410) 상에 놓인 굼벵이를 촬영하도록 구성된 카메라(810), 컨테이너 장치(10) 내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온도 조절기(820), 컨테이너 장치(10) 내의 습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습도 조절기(830), 컨테이너 장치(10) 내의 조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조명 장치(840), 컨테이너 장치(10) 내를 배기하도록 구성된 배기 장치(850) 및 컨테이너 장치(10) 내의 온도, 습도, 조도 및 암모니아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센서(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810)는 필터(410) 상에 놓인 굼벵이를 촬영하여 후술하는 딥러닝 영상 분석을 행하게 할 수 있다.
온도 조절기(820)는, 예를 들어 항온 장치일 수 있고, 컨테이너 장치(10) 내의 온도를 소정의 온도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소정의 온도는, 예를 들어 25 내지 30℃일 수 있다. 온도가 너무 높으면, 예를 들어 30℃를 초과하면, 발육기간이 단축될 수 있고, 온도가 너무 낮으면, 예를 들어 25℃ 미만이면, 발육속도가 감소할 수 있다.
습도 조절기(830)는, 예를 들어 항습 장치일 수 있고, 컨테이너 장치(10) 내의 습도를 소정의 습도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소정의 습도는, 예를 들어 60~70%일 수 있다. 수분이 너무 많으면, 예를 들어 습도가 70%를 초과하면, 각종 곰팡이 균이나 세균이 많아져 사육 환경이 극도로 나빠질 뿐 아니라 각종 병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고, 수분이 너무 적으면, 예를 들어 습도가 60% 미만이면, 산란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컨테이너 장치(10)와 같은 하우스형 사육 시설에서 굼벵이가 사육될 때 실내 온도 및 습도에 민감한 점을 고려하여, 자동 점적관수 시설, 안개 분무 시설, 대형 환풍 시설, 선풍기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조명 장치(840)는, 예를 들어 LED일 수 있고, 컨테이너 장치(10) 내의 조도를 소정의 조도로 조절할 수 있다. 소정의 조도는, 예를 들어 1.5 룩스(lx)의 조도로, 하루에 최소 12시간, 예를 들어 16시간 밝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조명 장치(840)의 온/오프 시간을, 예를 들어 16시간/8시간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테이너 장치(10) 내의 조도를 자연광과 같은 조건으로 함으로써, 굼벵이가 사육될 최적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직사광선은 피하는 것이 좋지만, 자연광이 약간 있으면 사육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 전체적으로 자연광이 비춰질 수 있도록 컨테이너 장치(10)에, 예를 들어 여닫이창, 자연광 차단 막 등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배기 장치(850)는, 예를 들어 환풍기일 수 있고, 컨테이너 장치(10) 내를 배기할 수 있다. 컨테이너 장치(10)는 컨테이너 장치(10) 내의 분위기 전환을 위해, 예를 들어 대기 분위기로의 전환을 위해, 대기 유입 장치, 흡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굼벵이가 사육되기 위한 최적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센서(900)는, 예를 들어 센서 부착형 보드로 구성될 수 있고, 컨테이너 장치(10) 내의 온도, 습도, 조도 및 암모니아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할 수 있다.
카메라(810), 온도 조절기(820), 습도 조절기(830), 조명 장치(840) 및 배기 장치(850)는 모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고, 무선 통신,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에 의해 서로 연결되거나, 제어부(6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카메라(810), 온도 조절기(820), 습도 조절기(830), 조명 장치(840) 및 배기 장치(85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굼벵이를 촬영하거나, 컨테이너 장치(10) 내의 온도, 습도, 조도 및 암모니아 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센서(900)로부터 컨테이너 장치(10) 내의 온도, 습도, 조도 및 암모니아 농도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IoT 기술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하, 도 8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기술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굼벵이를 사육하는데 있어서, 컨테이너 장치(10) 내의 온도, 습도, 조도 및 암모니아 농도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 외에도, 카메라(810)에 의해 촬영된 굼벵이의 비전 정보,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 주입된 굼벵이에게 제공되는 사료 정보 및 약품 정보와,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 대한 배지 교환 정보,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 주입된 성충들의 교배 정보, 폐사 정보,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 대한 입고 정보 및 굼벵이에 대한 출하 정보 등이 더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600)는, 환경 정보, 비전 정보, 사료 정보, 약품 정보, 배지 교환 정보, 교배 정보, 폐사 정보, 입고 정보 및 출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굼벵이 생산 박스(100)로부터 수집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빅데이터로써 관리할 수 있다.
빅데이터로써 관리하는 구체적인 예시로서,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하여, Batch Processing을 행하고, 수집된 데이터에 대해 실시간 처리하여, Stream Processing을 행함으로써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이러한 빅데이터에 기초하여, 소정의 크기를 갖는 양품의 굼벵이가 수확될 때의 데이터를 표준 조건으로 정할 수 있다. 소정의 크기를 갖는 양품의 굼벵이는, 예를 들어 크기가 3cm 이상인 굼벵이일 수 있다. 또한, 양품의 굼벵이로서, 소정의 무게를 갖는 굼벵이인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고, 이 때의 굼벵이는, 예를 들어, 무게가 3g 이상인 굼벵이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빅데이터에 기초하여, 소정의 크기 및/또는 무게를 초과하는 굼벵이가 수확될 때의 데이터를 새로운 표준 조건으로 정할 수 있다. 표준 조건이 정해지면, 제어부(600)는 정해진 표준 조건을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100), 바람직하게는 모든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 적용할 수 있다. 정해진 표준 조건이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 적용되면, 가장 최근에 설정된 소정의 크기 및/또는 무게를 갖는 양품의 굼벵이가 생산될 조건, 예를 들어 컨테이너 장치(10) 내의 온도, 습도, 조도, 암모니아 농도가 조정되어, 전체적으로 굼벵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빅데이터 기술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하, 도 9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QR 코드에 대한 실시예로서, 도 10a 내지 10f에 도시된 프로그램 화면을 설명한다.
제어부(600)는, 환경 정보, 비전 정보, 사료 정보, 약품 정보, 배지 교환 정보, 교배 정보, 폐사 정보, 입고 정보 및 출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QR 데이터에 기록하고, QR 데이터에 기초하여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QR 데이터는 QR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예를 들어 base64-string 기술이 적용된 데이터일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스트링에 대해 하나의 코드가 매칭되므로, 해당 QR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에 대응하는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QR 코드가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에 의해 인식되면, QR 코드에 대응하는 QR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600)는, 굼벵이 생산 박스(100) 마다 환경 정보, 비전 정보, 사료 정보, 약품 정보, 배지 교환 정보, 교배 정보, 폐사 정보, 입고 정보 및 출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QR 데이터로 기록하고, 이 QR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QR 코드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인식될 때, 환경 정보, 비전 정보, 사료 정보, 약품 정보, 배지 교환 정보, 교배 정보, 폐사 정보, 입고 정보 및 출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QR 코드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인식될 때, 굼벵이 생산자 정보를 포함하는 생산 정보, 굼벵이의 생산 이력 및 배송 이력을 포함하는 이력 정보, 굼벵이 관련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는 QR 코드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인식될 때,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제공되는 메뉴 화면이다. 도 10b는 굼벵이 생산자 정보를 포함하는 생산 정보가 제공되는 화면으로서, 상품명, 생산번호, 작업일시, 유통기간, 품종, 등급, 업체명, 전화번호, 홈페이지, 주소, 대표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c는 환경 정보가 제공되는 화면으로서, 굼벵이가 사육된 환경의 날짜별 온도, 습도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d는 굼벵이의 생산 이력 및 배송 이력을 포함하는 이력 정보가 제공되는 화면으로서, 날짜 및 시간별 생산 정보, 출하 정보, 집하 정보, 배송 정보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택배'란에서는 배송 정보를 조회하거나 배송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지도'란에서는 현재 위치 또는 배송 경로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0e는 굼벵이 관련 상품 정보가 제공되는 화면으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굼벵이 관련 상품을 직접 쇼핑할 수 있게 한다. 도 10f는 굼벵이 관련 뉴스 등이 제공되는 화면으로서, 굼벵이 관련 뉴스, 팁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 밖에, 굼벵이 사육 시의 비전 정보, 사료 정보, 약품 정보, 배지 교환 정보, 교배 정보, 폐사 정보, 레시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제공할 수도 있고, 사용자 리뷰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QR 코드의 구성 및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하, 도 11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러닝 영상 분석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제어부(600)는, 카메라(810)로 하여금 필터(410) 상에 놓인 굼벵이를 촬영하게 하고, 촬영된 굼벵이의 크기가 빅데이터에 기초하여 정해진 표준 조건에 따른 소정의 크기 이상인지, 예를 들어 길이 및 폭이 소정의 길이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소정의 길이는, 예를 들어 3cm일 수 있다. 이 때, Template Matching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제어부의 메모리에 굼벵이의 영상 데이터를 빅데이터로써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 데이터의 표본과 카메라(810)에 의해 촬영된 굼벵이의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딥러닝 영상 분석을 행할 수 있다. 카메라(810)에 의해 촬영된 굼벵이의 영상 데이터, 즉 비전 정보가 계속해서 저장되고 학습되므로, 딥러닝 영상 분석은 점점 정교하게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촬영된 굼벵이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 이상인 경우에, 굼벵이에 대한 출하 메시지가 포함된 푸시 알람을 사용자 단말에 발생시키고, 촬영된 상기 굼벵이의 크기가 상기 소정의 크기 미만인 경우에, 상술한 <배지 교환 및 굼벵이 수확 공정>에 의해 배지를 교환할 수 있다.
딥러닝 영상 분석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하, 도 13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예를 들어 터치 패널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입출력 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디스플레이 및 입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부(610)가 컨테이너 장치(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부착될 수 있다. 표시부(610)는 굼벵이 생산 박스(100)에 대한 제어 상태, 예를 들어 배지를 주입하는 상태(예를 들어, "톱밥"), 선반에 배치하는 상태(예를 들어, "투입"), 배지를 교체하는 상태(예를 들어, "교체"), 배지, 성충 및 굼벵이 중 적어도 하나를 배출하는 상태(예를 들어, "배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610)는 컨테이너 장치(10)의 동작을 자동으로 할지, 수동으로 할지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컨데이너 장치(10)의 동작 시에 이상 발생 시, 예를 들어 배지 주입 장치(300), 배지 배출 장치(400) 및 반송 장치(50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이상, 굼벵이 생산 박스(100)의 선반(200), 배지 주입 장치(300), 배지 배출 장치(400) 및 반송 장치(5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이탈 등의 발생 시에, 동작 정지 또는 계속을 선택하게 하는 메시지 또는 메인터넌스가 필요하다는 메시지가 포함된 푸시 알람을 사용자 단말 또는 표시부(61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이상 발생 시 뿐만 아니라, 굼벵이 출하 시, 즉 굼벵이가 3령으로 성장했다고 판단된 경우(촬영된 굼벵이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 이상인 경우)에 출하 메시지가 포함된 푸시 알람을 사용자 단말 또는 표시부(61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610)는 입출력 장치를 포함하고, 입력 장치는 디스플레이의 터치 또는 버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컨테이너 장치(10)의 동작을 정지 또는 계속하게 하거나, 일부 장치의 동작을 정지 또는 계속하게 하거나, 메인터넌스를 행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에게 컨테이너 장치(10)의 이상 시기, 굼벵이 출하 시기를 즉시 알리고, 사용자의 신속한 대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에 기재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빅데이터, 딥러닝과 같은 인공지능과 IoT 센서 등을 이용하여, 품질이 좋은 굼벵이를 지속적으로 생산하고, 기계 학습에 의해 품질이 더 좋은 굼벵이도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교배 알고리즘에 의해 근친 교배를 막아서, 개체의 감소, 기형 등을 줄이고, 생산량을 증가시키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딥러닝 영상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굼벵이의 표본을 추출하고, 배지 교환 시기를 판단 후 자동으로 배지를 교체하며, 품질이 좋은 굼벵이를 수확할 수 있다. 게다가, 굼벵이의 표본에 이르게 하는 표준 조건 등을 정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IoT 센서 등에 의한 환경 정보(온도, 습도, 조도 및 암모니아 농도 등)와 사료 정보, 약품 정보, 배지 교환 정보, 교배 정보, 폐사 정보, 입고 정보 및 출하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함으로써 HACCP 시스템에 대응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경 정보, 비전 정보, 사료 정보, 약품 정보, 배지 교환 정보, 교배 정보, 폐사 정보, 입고 정보 및 출하 정보 등을 QR 코드에 기록함으로써,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인식될 경우, 굼벵이 생산자 정보를 포함하는 생산 정보, 굼벵이의 생산 이력 및 배송 이력을 포함하는 이력 정보, 굼벵이 관련 상품 정보 등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테이너 장치가 와이파이(wifi) 등으로 무선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굼벵이가 3령이 되어 수확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면, 굼벵이에 대한 출하 메시지가 포함된 푸시(Push) 알람을 사용자 단말에 발생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컨테이너 장치
100: 굼벵이 생산 박스
200: 선반
300: 배지 주입 장치
310: 하우징
320: 사이드 월
330: 컨베이어 벨트
400: 배지 배출 장치
410: 필터
420: 회전 장치
430: 굼벵이 생산 박스
440: 굼벵이 생산 박스
500: 반송 장치
600: 제어부
610: 표시부
700: 세정 장치
710: 소독수 분사 장치
720: 건조 장치
810: 카메라
820: 온도 조절기
830: 습도 조절기
840: 조명 장치
850: 배기 장치
900: 센서

Claims (14)

  1. 인공지능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굼벵이를 자동으로 생산하기 위한 컨테이너 장치에 있어서,
    배지가 주입되고, 굼벵이가 생산되는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가 각각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에 배지를 주입하도록 구성된 배지 주입 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에 주입된 배지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배지 배출 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를 반송하도록 구성된 반송 장치; 및
    상기 배지 주입 장치, 상기 배지 배출 장치 및 상기 반송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성충 및 배지가 주입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에 배치한 후, 제1 소정 기간 이후에 그리고 상기 제1 소정 기간 이후 제1 주기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에 주입된 배지를 자동으로 교환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로부터 알을 수확하고, 수확된 알 및 배지가 주입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에 배치한 후, 제2 소정 기간 이후에 그리고 상기 제2 소정 기간 이후 제2 주기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에 주입된 배지를 자동으로 교환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로부터 굼벵이를 수확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지 주입 장치는,
    배지를 보관하도록 구성된 하우징; 및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사이드 월(side wall)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 보관된 배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에 운반하도록 구성된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월은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 이하의 경사로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배지 주입 장치에 반송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에 배지를 주입하고,
    성충 및 성충 먹이가 더 주입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에 각각 배치하고,
    상기 배지 배출 장치는,
    철망 형태를 갖는 필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 및 상기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회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소정 기간 이후에 그리고 상기 제1 소정 기간 이후 상기 제1 주기마다,
    상기 성충이 주입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 중에서 교배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선택된 제1 굼벵이 생산 박스 및 제2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필터 위에 반송하고,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 및 상기 제2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필터 위에서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 및 상기 제2 굼벵이 생산 박스에 포함된 성충이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되게 하고,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 및 상기 제2 굼벵이 생산 박스에 포함된 알 및 배지가 상기 필터를 관통하여 상기 필터 아래에 배치된 제3 굼벵이 생산 박스에 주입되게 하고,
    상기 알 및 배지가 주입된 상기 제3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에 배치하고,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 및 상기 제2 굼벵이 생산 박스를 세정하고,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성충이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 및 상기 제2 굼벵이 생산 박스 중 적어도 하나에 최초로 주입된 이후 성충 사육 기간이 도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성충 사육 기간이 도과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세정된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배지 주입 장치에 반송하여,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에 배지를 주입하고,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필터 아래에 반송하고, 상기 필터를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성충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에 주입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의 성충이 주입된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에 배치하고,
    상기 성충 사육 기간이 도과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성충을 폐기하고,
    세정된 상기 제2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필터 아래에 반송하는,
    컨테이너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 배출 장치는,
    굼벵이를 촬영하도록 구성된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소정 기간 이후에 그리고 상기 제2 소정 기간 이후 상기 제2 주기마다,
    상기 제3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필터 위에 반송하고,
    상기 제3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필터 위에서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제3 굼벵이 생산 박스에 포함된 굼벵이가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되게 하고,
    상기 제3 굼벵이 생산 박스를 세정하고,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굼벵이를 촬영하고, 딥러닝 영상 분석을 행함으로써, 상기 굼벵이가 3령으로 성장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굼벵이가 3령으로 성장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세정된 상기 제3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배지 주입 장치에 반송하여, 상기 제3 굼벵이 생산 박스에 배지를 주입하고,
    상기 제3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필터 아래에 반송하고, 상기 필터를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굼벵이를 상기 제3 굼벵이 생산 박스에 주입하고,
    상기 제3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에 배치하고,
    상기 굼벵이가 3령으로 성장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굼벵이에 대한 출하 메시지가 포함된 푸시(Push) 알람을 사용자 단말에 발생시키는,
    컨테이너 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소독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된 소독수 분사 장치 및 에어를 분사하도록 구성된 건조 장치를 포함하는 세정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정 장치는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 내지 상기 제3 굼벵이 생산 박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소독수를 분사하고, 에어로 건조시킴으로써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 내지 상기 제3 굼벵이 생산 박스 중 적어도 하나를 세정하는,
    컨테이너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배 알고리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 중에서, 제1 품종 군의 성충이 주입된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와, 상기 제1 품종 군과 상이한 제2 품종 군의 성충이 주입된 상기 제2 굼벵이 생산 박스의 조합을 선택하는 알고리즘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의 각각에 포함된 성충의 품종 군의 개수가 소정의 품종 군의 개수에 이르기 전까지, 상기 제1 소정 기간 이후에 그리고 상기 제1 소정 기간 이후 상기 제1 주기마다 상기 교배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컨테이너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장치 내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온도 조절기;
    상기 컨테이너 장치 내의 습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습도 조절기;
    상기 컨테이너 장치 내의 조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조명 장치;
    상기 컨테이너 장치 내의 온도, 습도, 조도 및 암모니아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센서; 및
    상기 컨테이너 장치 내를 배기하도록 구성된 배기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조절기, 상기 습도 조절기, 상기 조명 장치 및 상기 배기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컨테이너 장치 내의 온도, 습도, 조도 및 암모니아 농도를 제어하고,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컨테이너 장치 내의 온도, 습도, 조도 및 암모니아 농도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컨테이너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 정보와, 상기 굼벵이에 대한 비전 정보, 사료 정보 및 약품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에 대한 배지 교환 정보, 교배 정보, 폐사 정보, 입고 정보 및 출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로부터 수집하여, 빅데이터로써 관리하고,
    상기 빅데이터에 기초하여, 소정의 크기를 갖는 양품의 굼벵이가 수확될 때의 데이터를 표준 조건으로 정하고,
    상기 빅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크기 및 무게를 초과하는 굼벵이가 수확될 때의 데이터를 새로운 표준 조건으로 정하고,
    정해진 상기 표준 조건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에 적용하는,
    컨테이너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 정보, 상기 비전 정보, 상기 사료 정보, 상기 약품 정보, 상기 배지 교환 정보, 상기 교배 정보, 상기 폐사 정보, 상기 입고 정보 및 상기 출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를 QR 데이터에 기록하고,
    상기 QR 데이터에 기초하여 QR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QR 코드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인식될 때, 상기 환경 정보, 상기 비전 정보, 상기 사료 정보, 상기 약품 정보, 상기 배지 교환 정보, 상기 교배 정보, 상기 폐사 정보, 상기 입고 정보 및 상기 출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QR 코드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인식될 때, 굼벵이 생산자 정보를 포함하는 생산 정보, 굼벵이의 생산 이력 및 배송 이력을 포함하는 이력 정보, 굼벵이 관련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추가로 제공하는,
    컨테이너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딥러닝 영상 분석을 행할 때,
    촬영된 상기 굼벵이의 크기가 상기 표준 조건에 따른 상기 소정의 크기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촬영된 상기 굼벵이의 크기가 상기 소정의 크기 이상인 경우에, 상기 굼벵이에 대한 상기 출하 메시지가 포함된 상기 푸시 알람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발생시키고,
    촬영된 상기 굼벵이의 크기가 상기 소정의 크기 미만인 경우에, 배지를 교환하는,
    컨테이너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정 기간은 15일이고,
    상기 제1 주기는 5일이고,
    상기 제2 소정 기간은 30일이고,
    상기 제2 주기는 5일이고,
    상기 성충 사육 기간은 45일이고,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성충의 적어도 일부는 50%인,
    컨테이너 장치.
  12. 제4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에 대한 제어 상태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입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푸시 알람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컨테이너 장치.
  13. 제1항의 컨테이너 장치를 이용하여, 굼벵이를 자동으로 생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성충 및 배지가 주입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에 배치한 후, 제1 소정 기간 이후에 그리고 상기 제1 소정 기간 이후 제1 주기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에 주입된 배지를 자동으로 교환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로부터 알을 수확하는 단계; 및
    수확된 알 및 배지가 주입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에 배치한 후, 제2 소정 기간 이후에 그리고 상기 제2 소정 기간 이후 제2 주기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에 주입된 배지를 자동으로 교환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로부터 굼벵이를 수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알을 수확하는 단계 및 상기 굼벵이를 수확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배지를 자동으로 교환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배지 주입 장치에 반송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에 배지를 주입하는 단계; 및
    성충 및 성충 먹이가 더 주입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에 각각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알을 수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소정 기간 이후에 그리고 상기 제1 소정 기간 이후 상기 제1 주기마다,
    상기 성충이 주입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 중에서 교배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선택된 제1 굼벵이 생산 박스 및 제2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필터 위에 반송하는 단계;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 및 상기 제2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필터 위에서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 및 상기 제2 굼벵이 생산 박스에 포함된 성충이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되게 하고,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 및 상기 제2 굼벵이 생산 박스에 포함된 알 및 배지가 상기 필터를 관통하여 상기 필터 아래에 배치된 제3 굼벵이 생산 박스에 주입되게 하는 단계;
    상기 알 및 배지가 주입된 상기 제3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 및 상기 제2 굼벵이 생산 박스를 세정하는 단계;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성충이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 및 상기 제2 굼벵이 생산 박스 중 적어도 하나에 최초로 주입된 이후 성충 사육 기간이 도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성충 사육 기간이 도과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세정된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배지 주입 장치에 반송하여,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에 배지를 주입하고,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필터 아래에 반송하고, 상기 필터를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성충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에 주입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의 성충이 주입된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성충 사육 기간이 도과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성충을 폐기하고, 세정된 상기 제2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필터 아래에 반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굼벵이를 자동으로 생산하기 위한 방법.
  14. 제1항의 컨테이너 장치를 이용하여, 굼벵이를 자동으로 생산하는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성충 및 배지가 주입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에 배치한 후, 제1 소정 기간 이후에 그리고 상기 제1 소정 기간 이후 제1 주기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에 주입된 배지를 자동으로 교환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로부터 알을 수확하는 단계; 및
    수확된 알 및 배지가 주입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에 배치한 후, 제2 소정 기간 이후에 그리고 상기 제2 소정 기간 이후 제2 주기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에 주입된 배지를 자동으로 교환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로부터 굼벵이를 수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알을 수확하는 단계 및 상기 굼벵이를 수확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배지를 자동으로 교환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배지 주입 장치에 반송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에 배지를 주입하는 단계; 및
    성충 및 성충 먹이가 더 주입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에 각각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알을 수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소정 기간 이후에 그리고 상기 제1 소정 기간 이후 상기 제1 주기마다,
    상기 성충이 주입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굼벵이 생산 박스 중에서 교배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선택된 제1 굼벵이 생산 박스 및 제2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필터 위에 반송하는 단계;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 및 상기 제2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필터 위에서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 및 상기 제2 굼벵이 생산 박스에 포함된 성충이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되게 하고,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 및 상기 제2 굼벵이 생산 박스에 포함된 알 및 배지가 상기 필터를 관통하여 상기 필터 아래에 배치된 제3 굼벵이 생산 박스에 주입되게 하는 단계;
    상기 알 및 배지가 주입된 상기 제3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 및 상기 제2 굼벵이 생산 박스를 세정하는 단계;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성충이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 및 상기 제2 굼벵이 생산 박스 중 적어도 하나에 최초로 주입된 이후 성충 사육 기간이 도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성충 사육 기간이 도과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세정된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배지 주입 장치에 반송하여,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에 배지를 주입하고,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필터 아래에 반송하고, 상기 필터를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성충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에 주입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의 성충이 주입된 상기 제1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성충 사육 기간이 도과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성충을 폐기하고, 세정된 상기 제2 굼벵이 생산 박스를 상기 필터 아래에 반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해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117374A 2021-07-30 2021-09-03 인공지능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굼벵이를 자동으로 생산하기 위한 컨테이너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4503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00399 2021-07-30
KR1020210100399 2021-07-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382B1 true KR102450382B1 (ko) 2022-10-05

Family

ID=83596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374A KR102450382B1 (ko) 2021-07-30 2021-09-03 인공지능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굼벵이를 자동으로 생산하기 위한 컨테이너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3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3010B1 (ko) * 2022-10-31 2023-08-04 농업회사법인 푸디웜 주식회사 동애등에 애벌레 사육 먹이 건조 다단 컨베이어 장치 수단
KR102629776B1 (ko) * 2023-04-14 2024-01-25 최기재 동애등에 사육 컨베이어 자동화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5920A (ko) * 2015-04-13 2017-12-08 와이엔섹트 곤충 사육 방법
KR20180059988A (ko) * 2016-11-28 2018-06-07 송광수 IoT 기반의 곤충생육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90138126A (ko) * 2018-06-04 2019-12-12 황성민 굼벵이사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굼벵이 사육방법
KR20200079752A (ko) * 2018-12-26 2020-07-06 농업회사법인 푸디웜 주식회사 곤충의 사육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00094586A (ko) * 2019-01-30 2020-08-07 이봉학 곤충 사육을 위한 스마트팜 시스템 및 운용방법
KR20210102002A (ko) * 2020-02-11 2021-08-19 주식회사 엘림아이씨티 영상인식 및 사육케이지 모듈기반 대량생산용 공장형 곤충사육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5920A (ko) * 2015-04-13 2017-12-08 와이엔섹트 곤충 사육 방법
KR20180059988A (ko) * 2016-11-28 2018-06-07 송광수 IoT 기반의 곤충생육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90138126A (ko) * 2018-06-04 2019-12-12 황성민 굼벵이사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굼벵이 사육방법
KR20200079752A (ko) * 2018-12-26 2020-07-06 농업회사법인 푸디웜 주식회사 곤충의 사육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00094586A (ko) * 2019-01-30 2020-08-07 이봉학 곤충 사육을 위한 스마트팜 시스템 및 운용방법
KR20210102002A (ko) * 2020-02-11 2021-08-19 주식회사 엘림아이씨티 영상인식 및 사육케이지 모듈기반 대량생산용 공장형 곤충사육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3010B1 (ko) * 2022-10-31 2023-08-04 농업회사법인 푸디웜 주식회사 동애등에 애벌레 사육 먹이 건조 다단 컨베이어 장치 수단
KR102629776B1 (ko) * 2023-04-14 2024-01-25 최기재 동애등에 사육 컨베이어 자동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0382B1 (ko) 인공지능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굼벵이를 자동으로 생산하기 위한 컨테이너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NL2019344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climate of an insect rearing climate area.
US202001379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ultivating and distributing aquatic organisms
JP2020505072A (ja) 農業管理システム
KR102127516B1 (ko) 생육 레시피를 생성 및 제공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KR20200029459A (ko) 식물 성장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33076A (ko) 곤충 사육장치와 그 사육장치의 사육관리시스템 및 그 사육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
TW201904388A (zh) 經由複數個生長儲罐傳遞資料的系統及方法
US2021012759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personal grow pod
KR20230136125A (ko) 밀폐된 성장 환경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
KR101740556B1 (ko) 중앙 제어 장치 및 이에 의한 사육 환경의 조절 방법
CN107549052A (zh) 一种蜜蜂养殖管理方法和装置
KR101923804B1 (ko) 뱀장어 양식장용 자동사료 공급량 판별장치 및 그 방법
CN1179639C (zh) 用麦蛾卵工厂化生产赤眼蜂工艺
KR102125330B1 (ko) IoT 기반의 실내용 수경재배 장치
US20220159918A1 (en) Multiple produce growth support apparatus
CN115171036A (zh) 一种智能农业大棚的植物管理控制方法和系统
KR102265790B1 (ko) Ict를 활용한 화분매개곤충 뒤영벌의 사육 장치 및 방법
CN207882962U (zh) 一种动物养殖电子信息管理设备
KR20210010749A (ko) 양한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Thalwatte et al. Fully Automatic Hydroponic Cultivation Growth System
Parameswari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OT Enabled Whiteflies Monitoring and Controlling System
US11726439B1 (en) Rapid disease response via particle monitoring
US20220015281A1 (en) Seed development environment system
CN115242842A (zh) 一种基于温室多传感器环境的自适应定位机构及管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