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077B1 - 안경 - Google Patents
안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50077B1 KR102450077B1 KR1020200089085A KR20200089085A KR102450077B1 KR 102450077 B1 KR102450077 B1 KR 102450077B1 KR 1020200089085 A KR1020200089085 A KR 1020200089085A KR 20200089085 A KR20200089085 A KR 20200089085A KR 102450077 B1 KR102450077 B1 KR 1024500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ove
- position fixing
- pressing member
- glasses
- inclined surfac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02C5/12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with adjustable means
- G02C5/124—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with adjustable means for vertically varying the position of the len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02C5/12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with adjustable mean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1—Assembling; Repairing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02C5/126—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exchangeable or otherwise fitted to the shape of the nos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6—Locking element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18—Adjustment ridges or notche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32—Oblong ho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yeglasses (AREA)
- Las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테의 코다리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홈을 구비하는 안경에 관한 것이다. 안경의 코받침의 지지구간은 코받침의 위치고정구간의 단부에 연결되며, 위치고정구간은 홈에 슬라이딩 설치되고 복수개의 걸림홈 및 위치한정홈을 구비한다. 안경의 조정수단는 안경테에 설치되고, 조정수단의 누름부재는 홈에 수직되게 설치되며, 누름부재의 일단은 홈의 일측에 돌출되고, 타단은 홈 및 위치한정홈에 관통된다. 조정수단의 위치고정부재는 누름부재의 타단에 연결되고 누름부재에 의해 푸시되어 고정 위치로부터 릴리스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고정 위치에 있을 때 하나의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고, 릴리스 위치에 이동하면 코받침이 조정수단에 대한 위치한정홈의 제한에 의해 홈에서 이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절 가능한 코받침판을 구비하는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또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장치는 설계할 때 서양인과 동양인의 코 모양, 콧대 높이의 큰 차이, 또는 남성 및 여성의 코 모양, 콧대 높이 등으로 인해 각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서로 다른 장치를 설계하거나, 다수인에 대응되는 데이터로 안경장치의 코받침 위치 등을 조정하여 다수인에 적합한 안경장치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차이가 크기 때문에 다수인에 대응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여러 종류의 안경을 설계해야 한다. 예를 들면, 가정용 소비자 또는 상업용 회사의 경우, 실제 사용 대상(예를 들면 가정의 어른과 어린이, 또는 방문 온 각 연령층 및 나이가 다른 소비자 등)에 따라 사이즈가 다른 여러개의 안경을 구매해야 하고,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안경의 단가가 높으므로 소비자의 구매 욕망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문 내에 포함되어 있음.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여 다수인에 대응되도록 코받침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안경을 획득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서 안경테, 코받침 및 조정수단을 포함하는 안경을 제공한다. 안경테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홈을 구비하는 코다리를 포함한다. 코받침은 홈에 슬라이딩 설치되고 복수개의 걸림홈과 위치한정홈을 구비하는 위치고정구간, 및 위치고정구간의 단부에 연결되는 지지구간을 포함한다. 조정수단은 안경테에 설치되고, 누름부재 및 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누름부재는 홈에 수직되게 설치되며, 일단이 홈의 일측에 돌출되고, 타단이 홈 및 위치한정홈에 관통된다. 위치고정부재는 안경테에 설치되고 누름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며, 누름부재에 의해 푸시되어 고정 위치로부터 릴리스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고정 위치에 있을 때 하나의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며, 릴리스 위치로 이동하면 코받침이 조정수단에 대한 위치한정홈의 제한에 의해 홈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받침에 설치되는 조정 가능한 수단을 통해 코받침의 상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일 장치만으로 코 모양, 콧대 높이가 다른 사용자에 대응할 수 있고, 상업 용도의 경우에도 코 모양, 콧대 높이가 다른 각종 소비자를 위해 많은 안경장치를 구매하거나, 상이한 사이즈의 코받침을 교체할 필요가 없다. 또한, 누름부재를 눌러 코받침을 원하는 위치로 조정한 후 누름부재가 릴리스되고 위치고정부재를 원위치로 회복시켜 코받침에 삽입시키기만 하면 코받침을 원하는 위치로 고정시켜 코받침에 대한 조정을 구현할 수 있어, 조정방식이 아주 간단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정수단은 안경테와 위치고정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위치고정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소자를 더 포함한다. 누름부재를 눌러 위치고정부재를 푸시하는 경우에는 누름부재를 별도로 조작하여 위치고정부재를 원위치로 회복시킬 필요 없이 제1 탄성소자에 의해 위치고정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위치고정부재를 고정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조작 시, 사용자는 누름부재를 릴리스시키기만 하면 제1 탄성소자에 의해 위치고정부재를 고정 위치로 회복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위치고정부재는 일단부의 바닥면에 제1 경사면을 구비하고, 각 걸림홈의 바닥면에 제2 경사면을 구비하며, 위치고정부재가 복수개의 걸림홈 중 하나에 삽입되면 제1 경사면이 제2 경사면에 대응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소자를 함께 설치함으로써, 사용자는 안경을 착용하기 전에 먼저 누름부재를 눌러 코받침을 최대 길이 인출한 상태로 조정할 수 있다. 그 후, 안경을 착용하고 안경을 아래로 누르면 코가 코받침에 작용력을 인가하기 때문에 코받침을 위로 푸시할 수 있고, 이때 걸림홈 바닥부의 제2 경사면은 위치고정부재의 제1 경사면을 푸시하여 위치고정부재를 릴리스 위치로 푸시시키고 코받침을 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코받침이 위로 위치고정부재가 다른 한 쌍의 걸림홈에 대응될 때까지 이동하면, 위치고정부재는 제1 탄성소자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 위치로 회복되어 위치고정부재를 걸림홈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이때 코받침이 여전히 정확한 위치에 조정되지 못한 경우, 코받침을 계속 푸시하여 코받침이 원하는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술한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정수단은 홈에 설치되고 안경테와 코받침의 위치고정구간 사이에 설치되어 위치고정구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소자를 더 포함한다. 제2 탄성소자를 안경테와 코받침의 위치고정구간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코받침을 밖으로 푸시하는 작용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누름부재를 누른 후에는 코받침을 인위적으로 인출시키지 않아도 코받침이 제2 탄성소자의 탄성력에 의해 홈으로부터 밀려나오기 때문에 사용자의 조정 절차를 감소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위치고정부재는 푸시부 및 삽입부를 포함한다. 푸시부는 누름부재에 저촉되며, 삽입부는 푸시부에 연결되고 푸시부와 상호 수직된다. 위치고정부재가 고정 위치에 있을 때, 삽입부는 복수개의 걸림홈 중 하나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푸시부를 설치함으로써 누름부재가 위치고정부재에 확실히 눌려지게 된다. 삽입부는 걸림홈의 형상 및 위치에 대응하게 설치되어 위치고정부재가 걸림홈에 더욱 용이하고 정확하게 삽입되되록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누름부재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푸시부는 스루홀을 포함하며, 오목부는 스루홀에 대응하게 관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름부재가 위치고정부재에 확실하게 연결되어 위치고정부재를 확실하게 푸시하거나, 위치고정부재를 고정 위치로 회복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삽입부는 푸시부의 좌우 양측으루부터 연장되고, 복수개의 걸림홈은 위치한정홈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며, 위치고정부재가 고정 위치에 있을 때 삽입부는 위치한정홈의 좌우 양측에서 동일 높이에 위치하는 2개의 걸림홈에 대응하게 삽입된다.
상기 일부 실시예에서, 삽입부의 일단부의 바닥면에는 제1 경사면이 구비되고, 각 걸림홈의 바닥면에는 제2 경사면이 구비되며, 삽입부가 복수개의 걸림홈 중 하나에 삽입되면 제1 경사면이 제2 경사면에 대응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경사면 및 제2 경사면을 설치함으로써, 안경을 착용한 후 안경을 아래로 누르면 코가 코받침에 대해 작용력을 인가하기 때문에 코받침을 위로 푸시할 수 있고, 이때 걸림홈의 바닥부의 제2 경사면은 위치고정부재의 제1 경사면을 푸시하여 위치고정부재를 릴리스 위치까지 푸시시키고, 코받침을 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위치고정부재는 삽입 저촉부 및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 저촉부는 누름부재에 저촉되며, 스토퍼는 삽입 저촉부에 연결되고 삽입 저촉부의 두 측변으로부터 연장된다. 위치고정부재가 고정 위치에 있을 때, 삽입 저촉부는 복수개의 걸림홈 중 하나에 삽입하게 되고, 스토퍼가 위치고정구간에 저촉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푸시부를 별도로 설치하여 누름부재를 푸시하는 것 외에, 누름부재를 직접 삽입 저촉부에 저촉시킬 수도 있다. 푸시부를 생략하면 위치고정구간에 저촉되어 위치고정부재를 고정 위치에 정지시키는 수단이 결핍하게 되므로, 스토퍼를 설치함으로써 마찬가지로 위치고정부재를 위치고정구간에 저촉시켜 저지시키는 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일부 실시예에서, 삽입 저촉부 일단부의 바닥면에는 제3 경사면이 구비되고, 각 걸림홈의 바닥면에는 제4 경사면이 구비되며, 삽입 저촉부가 복수개의 걸림홈 중 하나에 삽입되면 제3 경사면이 제4 경사면에 대응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경사면 및 제4 경사면을 설치함으로써, 안경을 착용하고 안경을 아래로 누르면 코가 코받침에 대해 작용력을 인가하기 때문에 코받침을 위로 푸시할 수 있으며, 이때 걸림홈의 바닥부의 제4 경사면은 위치고정부재의 제3 경사면을 푸시하여 위치고정부재를 릴리스 위치로 푸시시키고 코받침을 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일부 실시예에서, 누름부재와 위치고정부재는 일체형 구조이고, 위치고정구간은 위치한정홈 위에 설치되는 조립구를 더 포함하며, 누름부재는 조립구를 통해 위치한정홈에 관통된다. 누름부재 및 위치고정부재는 일체형 구조이므로, 제작 시 하나의 소자를 제작하기만 하면 되고, 조립 시에도 단일 소자를 조립하기만 하면 조정구조의 조립을 구현할 수 있고, 조립 시의 절차, 소자의 개수와 제작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상세한 특징 및 장점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는데, 당업자라면 그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내용, 청구의 범위 및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관련 목적 및 장점을 이해할 수 있다.
본문 내에 포함되어 있음.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착용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부분 투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2의 4-4 단면선을 따라 바라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5-5 단면선을 따라 바라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에서 누름부재를 눌러 위치고정부재를 릴리스 위치로 이동시킨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부분 투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다른 시각에서 바라본 부분 분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10-10 단면선을 따라 바라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부분 투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2의 4-4 단면선을 따라 바라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5-5 단면선을 따라 바라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에서 누름부재를 눌러 위치고정부재를 릴리스 위치로 이동시킨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부분 투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다른 시각에서 바라본 부분 분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10-10 단면선을 따라 바라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착용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부분 투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부분 분해도이고, 도 4는 도 2의 4-4 단면선을 따라 바라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5-5 단면선을 따라 바라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에서 누름부재를 눌러 위치고정부재를 릴리스 위치로 이동시킨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안경(100)은 서로 다른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안경으로서, 일반적으로 착용할 수 있는 안경(100)일 수 있고, 가상현실 안경 또는 증강현실 안경 등일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안경(100)은 안경테(10), 코받침(20) 및 조정수단(30)을 포함한다. 안경테(10)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홈(11)을 구비하는 코다리(13)를 포함한다. 코다리(13)는 안경테(10)에서 양측에 위치하는 렌즈구조 사이의 연결부재와 같은 것을 말한다. 여기서 말하는 수직방향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경(100)을 착용한 상태에서 지면의 수평방향에 수직되는 상하방향을 말한다. 코받침(20)은 위치고정구간(21), 및 위치고정구간(21)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지지구간(22)을 포함한다. 지지구간(22)은 코에 접촉되는 수단으로서,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인 코받침판 형상이고, 좌우 대칭되는 2개의 코받침판을 구비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고정구간(21)은 홈(11)에 슬라이딩 설치된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고정구간(21)은 복수개의 걸림홈(211) 및 위치한정홈(212)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걸림홈(211)은 2개씩 쌍을 이루면서 좌우에 배열되고 상하로 여러 쌍이 설치되며, 좌우 걸림홈(211) 중간에 위치한정홈(212)이 설치된다. 위치한정홈은 상하방향의 통로로서, 코받침(20)이 조정수단(30)의 누름부재(31)에 의해 저지되지 않고 상하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구체적인 내용을 후술한다.
조정수단(30)은 안경테(10)에 설치되고, 누름부재(31) 및 위치고정부재(32)를 포함한다. 누름부재(31)는 홈(11)에 수직되게 설치되며, 일단이 홈(11)의 일단에 돌출되고 타단이 홈(11) 및 위치한정홈(212)에 관통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누름부재(31)는 일단이 편원형이고, 타단이 장원주형인 소자이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 시 누름부재(31)는 홈(11)에 수직되는 방향(즉, 수평면에 평행되는 방향)으로 관통되고, 위치한정홈(212)에 대응하게 관통된다. 코받침(20)이 상하로 이동할 때 누름부재(31)는 위치한정홈(212)에 의해 위치한정홈(212)의 위치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코받침(20)이 관통된 누름부재(31)로 인해 상하로 이동하지 못하는 것이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위치한정홈(212)의 길이를 통해서도 코받침(20)의 상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코받침(20)이 아래로 위치한정홈(212)의 상부 경계까지 이동되어 누름부재(31)에 저촉되면, 더이상 아래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코받침(20)을 위로 푸시할 때, 코받침(20)이 위로 위치한정홈(212)의 하부 경계까지 이동되어 누름부재(31)에 저촉되면, 더이상 위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코받침(20)이 지나치게 인출되어 파손되는 문제 등을 방지할 수도 있다.
누름부재(31)는 안경테(10)의 내측에 돌출되는 편원형의 일단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누름부재(31)를 누를 수 있도록 하면서도 안경테(10)의 외부를 향하는 일측의 미관을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위치고정부재(32)는 안경테(10)에 설치되고 누름부재(31)의 타단에 연결되며, 누름부재(31)에 의해 푸시되어 고정 위치로부터 릴리스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고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걸림홈(211) 중 하나에 삽입하게 되며, 릴리스 위치로 이동하면 코받침(20)이 조정수단(30)에 대한 위치한정홈(212)의 제한에 의해 홈(11)에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고정부재(32)는 초기에 고정 위치에 위치하는데, 이때 누름부재(31)는 단지 위치고정부재(32)에 연결되어 있기만 하고 위치고정부재(32)를 푸시하지 않으며, 위치고정부재(32)는 복수개의 걸림홈(211) 중 한 쌍의 걸림홈(211)에 삽입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는 단일 변에만 걸림홈(211)을 설치하고, 위치고정부재(32)를 그 중 하나의 걸림홈(211)에 삽입시킬 수도 있다.
도 6은 누름부재(31)가 눌릴 때의 작동 모식도이다. 위치고정부재(32)는 누름부재(31)에 의해 푸시되어 고정 위치로부터 릴리스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위치고정부재(32)가 릴리스 위치로 이동하면 코받침(20)은 조정수단(30)에 대한 위치한정홈(212)의 제한에 의해 위치고정부재(32)가 하나의 걸림홈(211)에 대응될 때까지 누름부재(31)에 대해 홈(11)에서 이동할 수 있다. 코받침(20)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한 후 위치고정부재(32)를 다시 고정 위치로 이동시키기만 하면 코받침(20)을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제1 탄성소자(40)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여전히 누름부재(31)를 조작함으로써 위치고정부재(32)를 변위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코받침(20)을 조정할 수 있는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코받침(20)의 상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일 장치만으로 코 모양, 콧대 높이가 다른 사용자에 대응할 수 있고, 상업 용도에서도 코 모양, 콧대 높이가 다른 각종 소비자를 위해 많은 안경(100)을 구매하거나, 서로 다른 사이즈의 코받침(20)을 교체할 필요가 없다. 또한, 누름부재(31)를 눌러 코받침(20)을 원하는 위치로 조정한 후 누름부재(31)를 릴리스시키고 위치고정부재(32)를 원위치로 회복시켜 코받침(20)의 걸림홈(211)에 삽입시키기만 하면 코받침(20)을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켜 코받침(20)에 대한 조정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안경(100)의 조정 방식이 아주 간단하다.
나아가,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조정수단(30)은 안경테(10)와 위치고정부재(32) 사이에 설치되고 위치고정부재(3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소자(40)를 더 포함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탄성소자(40)의 일단은 안경테(10)에 저촉되고, 타단은 위치고정부재(32)의 후측에 저촉된다. 위치고정부재(32)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부재(31)의 저촉으로 인해 릴리스 위치로 이동하면, 위치고정부재(32)는 제1 탄성소자(40)를 눌러 제1 탄성소자(40)가 압축으로 인해 탄성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누름부재(31)의 푸시력이 사라지면, 위치고정부재(32)는 제1 탄성소자(4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 위치로 푸시될 수 있다. 조작 시, 사용자는 누름부재(31)를 릴리스시키기만 하면 제1 탄성소자(40)를 통해 위치고정부재(32)를 고정 위치로 회복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위치고정부재(32)의 일단부의 바닥면에는 제1 경사면(3222)이 구비되고, 각 걸림홈(211)의 바닥면에는 제2 경사면(2111)이 구비되며, 위치고정부재(32)가 하나의 걸림홈(211)에 삽입되면 제1 경사면(3222)이 제2 경사면(2111)에 대응하게 된다. 사용자는 안경을 착용하기 전에 누름부재(31)를 눌러 코받침(20)을 최대 길이 인출시킨 상태로 조정할 수 있다. 그 후, 이 상태에서 안경(100)을 바로 착용하고 안경(100)을 아래로 누르면 코가 코받침(20)에 작용력을 인가하게 되어 코받침(20)을 위로 푸시할 수 있다. 이때, 걸림홈(211) 바닥부의 제2 경사면(2111)은 위치고정부재(32)의 제1 경사면(3222)을 푸시하게 됨으로써 위치고정부재(32)를 릴리스 위치로 푸시시킬 수 있고,코받침(20)을 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코받침(20)이 위로 위치고정부재(32)가 다른 한 쌍의 걸림홈(211)에 대응될 때까지 이동하면, 위치고정부재(32)는 제1 탄성소자(4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 위치로 회복하게 되고, 걸림홈(211)에 삽입하게 된다. 이때, 코받침(20)이 여전히 정확한 위치에 조정되지 못한 경우, 코받침(20)을 계속 푸시하여 코받침(20)이 원하는 위치에 위치할 때까지 상술한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조정할 때 더욱 용이하고 손의 조작 동작을 감소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 조정수단(30)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11)에 설치되고 안경테(10)와 코받침(20)의 위치고정구간(21) 사이에 설치되어 위치고정구간(2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소자(50)를 더 포함한다. 제2 탄성소자(50)를 안경테(10)와 코받침(20)의 위치고정구간(21)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코받침(20)을 밖으로 푸시하는 작용력을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누름부재(31)를 누른 후에는 코받침(20)을 인위적으로 인출시키지 않아도 코받침(20)이 제2 탄성소자(50)의 탄성력에 의해 홈(11)으로부터 밀려나오기 때문에, 사용자의 조정 절차를 감소할 수 있다.
이어서, 본 실시예의 위치고정부재(32)의 세부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고정부재(32)는 푸시부(321) 및 삽입부(322)를 포함한다. 푸시부(321)는 누름부재(31)에 저촉되고, 푸시부(321)와 누름부재(31)의 저촉이 더욱 확실해지도록 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 누름부재(31)는 오목부(311)를 포함하고, 푸시부(321)는 스루홀(3211)을 포함하며, 오목부(311)는 스루홀(3211)에 대응하게 관통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는 오목부(311) 및 스루홀(3211)을 생략하고, 단지 푸시부(321)와 누름부재(31)를 상호 저촉시킬 수도 있다. 또한, 푸시부(321)는 위로 수직하게 연장되고, 위치고정부재(32)가 릴리스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이동할 때 푸시부(321)는 안경테(10)에 의해 저지되어 위치고정부재(32)를 고정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삽입부(322)는 푸시부(321)에 연결되고 푸시부(321)와 상호 수직되며, 위치고정부재(32)가 고정 위치에 있을 때 삽입부(322)는 한 쌍의 걸림홈(211)에 삽입하게 된다. 도 3의 분해도를 참조하면, 삽입부(322)는 푸시부(321)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연장된 팔과 같은 수단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걸림홈(211)은 2개씩 대응되면서 위치한정홈(212)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고, 위치고정부재(32)가 고정 위치에 있을 때 삽입부(322)는 위치한정홈(212)의 좌우 양측에서 동일 높이에 위치하는 걸림홈(211)에 대응하게 삽입된다. 나아가, 걸림홈(211)과 삽입부(322)의 형상은 위치고정부재(32)가 걸림홈(211)에 더욱 용이하고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상호 대응할 수도 있다.
또한, 위치고정부재(32)와 제1 탄성소자(40) 사이의 연결이 더욱 정확해지도록 하기 위해, 위치고정부재(32)는 삽입부(322) 후방에 연결되는 판부재(323)를 포함할 수 있다. 판부재(323)의 형상 또는 크기는 제1 탄성소자(40)의 형상에 따라 설치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 단면이 원형인 스프링인 경우, 판부재(323)는 제1 탄성소자(40)에 정확하게 저촉되도록 제1 탄성소자(40)의 직경보다 약간 큰 원형일 수 있다.
또한, 안경테(10)의 판부재(323)와 근접한 위치에 오목부(12)를 설치할 수 있으며, 판부재(323)는 제1 탄성소자(40)의 탄성력에 의해 도면 우측으로 밀려나올 때 오목부(12)의 저지로 인해 고정 위치에 정지될 수 있고, 일정한 완충 및 저지 작용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부분 투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부분 분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다른 시각에서 바라본 부분 분해도이고, 도 10은 도 7의 10-10 단면선을 따라 바라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소자 및 연결관계를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더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는 주로 코받침(20a) 및 위치고정부재(32a)의 구조 면에서 상기 실시예와 차이가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경(100a)의 코받침(20a)의 위치고정구간(21a)의 복수개의 걸림홈(211a)은 각각 바닥부에 제4 경사면(2111a)이 구비되고,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 좌우 2개의 걸림홈(211a) 및 위치한정홈(212a)은 상기 실시예와 같이 걸림홈(211)이 각각 위치한정홈(212)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고 연통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서로 연통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위치고정구간(21a)은 위치한정홈(212a)과 대응하는 상부에 설치되는 조립구(213a)를 더 포함하는데, 이는 누름부재(31a)가 조립구(213a)를 거쳐 위치한정홈(212a)에 관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위치고정부재(32a)는 삽입 저촉부(321a) 및 스토퍼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는 균일하게 힘을 받도록 좌우로 설치된 2개의 스토퍼부(322a)를 예로 한다. 일부 실시태양에서는 단지 하나의 스토퍼부를 설치하여 저지 작용을 제공할 수도 있다. 삽입 저촉부(321a)는 누름부재(31a)에 저촉되고, 삽입 저촉부(321a)의 전단 바닥면에 제3 경사면(3211a)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누름부재(31a)와 위치고정부재(32a)는 일체형 구조이므로, 삽입 저촉부(321a) 전단에 직접 누름부재(31a)가 연결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누름부재(31a) 및 위치고정부재(32a)는 누름부재(31a)가 삽입 저촉부(321a)에 저촉될 수 있다면 분리형 구조를 유지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2개의 스토퍼부(322a)는 삽입 저촉부(321a)에 연결되고 각각 삽입 저촉부(321a)의 두 측변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위치고정부재(32a)가 고정 위치에 있을 때 삽입 저촉부(321a)는 하나의 걸림홈(211a)에 삽입되고, 2개의 스토퍼부(322a)는 각각 걸림홈(211a)에 근접한 안경테(10)에 저촉된다. 위치고정부재(32a)가 릴리스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이동할 때, 2개의 스토퍼부(322a)는 안경테(10)의 저지에 의해 위치고정부재(32a)를 고정 위치에 정지시킨다. 도 11을 참조하면, 위치고정부재(32a)가 고정 위치에 있을 때, 2개의 스토퍼부(322a)는 위치고정부재(32a)가 더이상 홈(11)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각각 안경테(10)의 홈(11)의 일측벽에 저촉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삽입 저촉부(321a)의 일단부의 바닥면에는 제3 경사면(3211a)이 구비되고, 각 걸림홈(211a)의 바닥면에는 제4 경사면(2111a)이 구비되며, 삽입 저촉부(321a)가 복수개의 걸림홈(211a) 중 하나에 삽입되면 제3 경사면(3211a)이 제4 경사면(2111a)에 대응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경사면(3211a) 및 제4 경사면(2111a)을 설치함으로써, 안경(100a)을 착용한 후 안경(100a)을 아래로 누르면 코받침(20a)에 대한 코의 작용력에 의해 코받침(20a)을 위로 푸시할 수 있는데, 이때 걸림홈(211a) 바닥부의 제4 경사면(2111a)은 위치고정부재(32a)의 제3 경사면(3211a)을 푸시하여 위치고정부재(32a)를 릴리스 위치로 푸시시키고 코받침(20a)이 위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는 모두 조정 가능한 코받침(20, 20a)을 설치함으로써 코받침(20, 20a)의 상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 모양, 콧대 높이가 다른 사용자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누름부재(31, 31a)를 눌러 코받침(20, 20a)을 원하는 위치로 조정한 후 누름부재(31, 31a)를 릴리스시키고 위치고정부재(32, 32a)를 원위치로 회복시켜 코받침(20, 20a)에 삽입시키기만 하면 코받침(20, 20a)을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켜 코받침(20, 20a)에 대한 위치 조정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조정 방식이 아주 간단하다. 이에 따라, 하나의 안경(100, 100a)만으로 코 모양, 콧대 높이가 다른 사용자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개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약간의 변경과 수정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본 명세서에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1)
-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홈을 구비하는 코다리를 포함하는 안경테;
상기 홈에 슬라이딩 설치되고 복수개의 걸림홈과 위치한정홈을 구비하는 위치고정구간, 및 상기 위치고정구간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지지구간을 포함하는 코받침 -상기 걸림홈은 상기 위치한정홈의 두 개의 대향 측에 두 개의 쌍으로 배열되고, 상기 위치한정홈은 상부 경계 및 하부 경계를 포함함 -; 및
상기 안경테에 설치되는 조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홈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홈의 일측에 돌출되고 타단이 상기 홈 및 상기 위치한정홈에 관통되는 누름부재; 및
상기 안경테에 설치되고 상기 누름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누름부재에 의해 푸시되어 고정 위치로부터 릴리스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위치에 위치할 때 하나의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고, 상기 릴리스 위치로 이동되면 코받침이 상기 조정수단에 대한 상기 위치한정홈의 제한에 의해 상기 홈에서 이동될 수 있는 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안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안경테와 상기 위치고정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위치고정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재의 일단부의 바닥면에는 제1 경사면이 구비되고, 각 상기 걸림홈의 바닥면에는 제2 경사면이 구비되며, 상기 위치고정부재가 하나의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면 상기 제1 경사면이 상기 제2 경사면에 대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홈에 설치되고 상기 안경테와 상기 코받침의 상기 위치고정구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위치고정구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재는,
상기 누름부재에 맞닿는(abut) 푸시부; 및
상기 푸시부에 연결되고 상기 푸시부와 상호 수직되며, 상기 위치고정부재가 상기 고정 위치에 있을 때 하나의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푸시부는 스루홀을 포함하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스루홀에 대응하게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푸시부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위치고정부재가 상기 고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삽입부는 상기 위치한정홈의 좌우 양측에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상기 걸림홈에 대응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일단부의 바닥면에는 제1 경사면이 구비되고, 각 상기 걸림홈의 바닥면에는 제2 경사면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부가 하나의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면 상기 제1 경사면이 상기 제2 경사면에 대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홈을 구비하는 코다리를 포함하는 안경테;
상기 홈에 슬라이딩 설치되고 복수개의 걸림홈과 위치한정홈을 구비하는 위치고정구간, 및 상기 위치고정구간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지지구간을 포함하는 코받침 -상기 걸림홈은 상기 위치한정홈의 두 개의 대향 측에 두 개의 쌍으로 배열됨 -; 및
상기 안경테에 설치되는 조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홈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홈의 일측에 돌출되고 타단이 상기 홈 및 상기 위치한정홈에 관통되는 누름부재; 및
상기 안경테에 설치되고 상기 누름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누름부재에 의해 푸시되어 고정 위치로부터 릴리스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고정부재는,
상기 누름부재에 맞닿는(abut) 삽입 저촉부; 및
상기 삽입 저촉부에 연결되고, 상기 위치고정부재가 상기 고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삽입 저촉부가 하나의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며, 상기 걸림홈에 근접한 상기 안경테에 맞닿는(abut)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고정부재가 상기 릴리스 위치로 이동되면 코받침이 상기 조정수단에 대한 상기 위치한정홈의 제한에 의해 상기 홈에서 이동될 수 있는, 안경.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저촉부 일단부의 바닥면에는 제3 경사면이 구비되고, 각 상기 걸림홈의 바닥면에는 제4 경사면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 저촉부가 하나의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면 상기 제3 경사면이 상기 제4 경사면에 대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와 상기 위치고정부재는 일체형 구조이고, 상기 위치고정구간은 상기 위치한정홈 상부에 설치되는 조립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재는 상기 조립구를 거쳐 상기 위치한정홈에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TW108128812 | 2019-08-13 | ||
TW108128812A TWI692657B (zh) | 2019-08-13 | 2019-08-13 | 眼鏡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0772A KR20210020772A (ko) | 2021-02-24 |
KR102450077B1 true KR102450077B1 (ko) | 2022-09-30 |
Family
ID=71894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9085A KR102450077B1 (ko) | 2019-08-13 | 2020-07-17 | 안경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1662604B2 (ko) |
EP (1) | EP3779566B1 (ko) |
JP (1) | JP7013530B2 (ko) |
KR (1) | KR102450077B1 (ko) |
CN (1) | CN112394513A (ko) |
TW (1) | TWI692657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093391A (zh) * | 2021-04-23 | 2021-07-09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可穿戴设备 |
RU2766396C1 (ru) * | 2021-04-30 | 2022-03-15 | Александр Григорьевич ВИЛЛЕР |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чрескожной сосудистой пункции |
CN113819942A (zh) * | 2021-08-24 | 2021-12-21 | 歌尔光学科技有限公司 | 眼镜用人机工学数据测量工具 |
TWI836719B (zh) * | 2022-11-11 | 2024-03-21 | 宏達國際電子股份有限公司 | 穿戴裝置 |
KR20240087083A (ko) | 2022-12-12 | 2024-06-19 |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 높이 및 방향조절이 가능한 코받침대를 구비한 안경 |
WO2024142942A1 (ja) * | 2022-12-28 | 2024-07-04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装着装置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80059434A1 (en) * | 2016-08-29 | 2018-03-01 | Osterhout Group, Inc. | Adjustable nose bridge assembly for headworn computer |
Family Cites Families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653238B2 (fr) * | 1988-12-15 | 1992-01-17 | Essilor Int | Monture de lunettes. |
US5971538A (en) * | 1998-10-30 | 1999-10-26 | Hewlett-Packard Company | Articulated nose bridge for head mounted display |
US6554422B2 (en) * | 2000-12-06 | 2003-04-29 | John L. Bell | Neck-saver eyeglass frames for bi-focals |
US7048371B1 (en) * | 2004-05-27 | 2006-05-23 | Moore Gregory S | Sports training glasses |
US7497570B2 (en) * | 2006-05-11 | 2009-03-03 | Bushnell, Inc. | Adjustable nose pad system |
US9158116B1 (en) * | 2014-04-25 | 2015-10-13 | Osterhout Group, Inc. | Temple and ear horn assembly for headworn computer |
US7631967B1 (en) * | 2008-07-23 | 2009-12-15 | High Rainbow Ent. Co., Ltd. | Eyeglass nose-pad, eyeglass assembly an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
EP2705402A4 (en) * | 2011-05-05 | 2014-09-24 | Ziba Labs Llc | ADJUSTABLE GLASSES |
CN202583611U (zh) * | 2011-10-15 | 2012-12-05 | 付祖家 | 鼻托高度可调式镜架 |
CN203275807U (zh) | 2013-05-15 | 2013-11-06 | 陈建男 | 一种自由搭配副镜框新型眼镜 |
US9052531B2 (en) * | 2013-06-25 | 2015-06-09 | Injextech Inc. | Pair of glasses with an adjustable nose pad for fine-tuning adjustment |
US8931894B1 (en) * | 2013-07-10 | 2015-01-13 | Lin Yun Chen | Glasses and nose pad assembly thereof |
US9672210B2 (en) | 2014-04-25 | 2017-06-06 | Osterhout Group, Inc. | Language translation with head-worn computing |
CN203981994U (zh) | 2014-08-21 | 2014-12-03 | 陈建男 | 眼镜鼻垫调整结构 |
WO2018066245A1 (ja) | 2016-10-03 | 2018-04-12 | 則雄 関 |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
TWM544017U (zh) * | 2017-03-02 | 2017-06-21 | Prohero Group Co Ltd | 眼鏡鼻托調整結構 |
TWI639039B (zh) | 2017-09-08 | 2018-10-21 | 雅德視國際股份有限公司 | 眼鏡之鼻托調整結構 |
JP6833051B2 (ja) | 2017-09-22 | 2021-02-24 |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
US20190196226A1 (en) * | 2017-12-22 | 2019-06-27 | North Inc. | Wearable heads-up displays employing a core wire communicatively coupled to a radio as an antenna |
CN108761791A (zh) | 2018-05-31 | 2018-11-06 | 深圳市零度智控科技有限公司 | Ar眼镜 |
CN208224625U (zh) | 2018-06-21 | 2018-12-11 | 宜视智能科技(苏州)有限公司 | Ar智能眼镜 |
KR101933627B1 (ko) | 2018-10-31 | 2018-12-28 | 박영보 | 스포츠용 고글 |
-
2019
- 2019-08-13 TW TW108128812A patent/TWI692657B/zh active
-
2020
- 2020-05-28 CN CN202010465401.XA patent/CN112394513A/zh active Pending
- 2020-07-06 JP JP2020116341A patent/JP7013530B2/ja active Active
- 2020-07-10 US US16/925,458 patent/US11662604B2/en active Active
- 2020-07-17 KR KR1020200089085A patent/KR10245007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07-30 EP EP20188618.1A patent/EP377956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80059434A1 (en) * | 2016-08-29 | 2018-03-01 | Osterhout Group, Inc. | Adjustable nose bridge assembly for headworn compu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1662604B2 (en) | 2023-05-30 |
TWI692657B (zh) | 2020-05-01 |
EP3779566B1 (en) | 2024-01-17 |
TW202107160A (zh) | 2021-02-16 |
JP2021033261A (ja) | 2021-03-01 |
EP3779566A1 (en) | 2021-02-17 |
CN112394513A (zh) | 2021-02-23 |
EP3779566C0 (en) | 2024-01-17 |
KR20210020772A (ko) | 2021-02-24 |
US20210048685A1 (en) | 2021-02-18 |
JP7013530B2 (ja) | 2022-01-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50077B1 (ko) | 안경 | |
EP1168036A1 (en) | Adjustable eye glass frame | |
AU3797299A (en) | Integral vertical plane adjusting mechanism for an eyeglass frame with multifocal lenses | |
KR101598932B1 (ko) | 고글의 렌즈 탈부착장치 | |
US20140285764A1 (en) | Fitness adjustment mechanism for eyeglass temple | |
US3610743A (en) | Adjustable interpupillary distance | |
KR20190064744A (ko) | 안경 다리 길이 조절장치 | |
CA2738528C (en) | Multiple lens geometries for safety glasses | |
CN107678163B (zh) | 智能眼镜的耳挂机构 | |
CN101442165A (zh) | 用于通用插座的保险活门 | |
CN111308734A (zh) | 一种可调镜框间距的眼镜 | |
US2121336A (en) | Bifocal eyeglass mounting | |
CN219349270U (zh) | 眼镜 | |
CN219799922U (zh) | 一种耳托可调节的防近视眼镜 | |
JPH032892Y2 (ko) | ||
JPH07294857A (ja) | 多焦点用眼鏡枠用鼻当て部材 | |
US2471338A (en) | Interchangeable eye lens frame | |
WO2020216162A1 (zh) | 鼻托组件及头戴式显示设备 | |
CN211826775U (zh) | 一种眼镜铰链结构 | |
CN211269626U (zh) | 适用于儿童攀爬玩耍的沙发 | |
CN207318879U (zh) | 眼镜组装结构 | |
JPH0199019A (ja) | 多焦点用眼鏡枠 | |
CN207663465U (zh) | 一种推进式计算机usb接口 | |
CN110579890A (zh) | 一种适合多种脸部轮廓的眼镜架 | |
TWM525457U (zh) | 眼鏡結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