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335B1 - 지압기 - Google Patents

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335B1
KR102449335B1 KR1020210153880A KR20210153880A KR102449335B1 KR 102449335 B1 KR102449335 B1 KR 102449335B1 KR 1020210153880 A KR1020210153880 A KR 1020210153880A KR 20210153880 A KR20210153880 A KR 20210153880A KR 102449335 B1 KR102449335 B1 KR 102449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upressure
fragrance
support plate
coupled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3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향수
Original Assignee
블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블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3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3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61H2201/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with aroma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61H2201/1261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 A61H2201/1284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using own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5Enhanced pressure effect, e.g. substantially sharp projections, needles or pyram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판 및 지지판의 상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고 측면 둘레에 수용부와 연통하는 향기 발산홀이 형성되는 복수의 지압돌기를 포함하고, 수용부에는 향기 발산홀을 통해 지압돌기의 외측으로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부재가 구비되는 지압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지압기{AN ACUPRESSURE DEVICE}
본 발명은 지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체 근육을 지압하여 근육 관련 통증과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지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압(指壓)은 엄지손가락과 손바닥 등으로 몸 표면의 일정 부위를 압박함으로써 생체의 변조를 바로잡기도 하고 건강 증진이나 질환 치료를 도모하는 수기요법을 말한다.
이러한 지압은 말 그대로 손가락을 이용하여 힘 혹은 체중을 실어 신체의 일부에 압박을 가하는 요법이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장시간 지압을 하는 경우 시술자는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될 뿐 아니라 손가락의 통증을 유발하여 시술에 어려움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사람의 손을 대신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지압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지압기는 사용자가 인체의 특정 부위를 올려놓으면 전동기에 의한 진동을 가하여 경혈을 자동적으로 자극하는 자동식 지압기와, 일정하게 배치된 다수의 지압용 돌기에 인체의 특정 부위를 가압하여 수동적으로 경혈을 자극할 수 있는 수동식 지압기 등의 다양한 종류로 구분된다.
자동식 지압기는 지압력을 미세하게 조절하기가 어려우므로 신체에 과도한 힘을 가하여 오히려 건강을 저해할 수 있는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가격이 고가이므로 대중적으로 널리 이용되기에는 한계가 있다.
반면에, 수동식 지압기는 별도의 전동기가 구비될 필요 없이 다양하게 형성된 지압돌기를 이용하여 지압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여 그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33470호(등록일: 2003.11.06) "다용도 지압기"
본 발명에서는 지압기,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지압기를 대고 누워있는 것만으로 신체 근육을 지압하여 근육 관련 통증과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고, 지압기 사용 중에는 지압돌기의 향기 발산홀에서 인체에 유익한 향기가 배출됨으로써 사용자의 심신을 안정시킬 수 있는 지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지판 및 지지판의 상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고 측면 둘레에 수용부와 연통하는 향기 발산홀이 형성되는 복수의 지압돌기를 포함하고, 수용부에는 향기 발산홀을 통해 지압돌기의 외측으로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부재가 구비되는 지압기를 제공한다.
또한, 지지판에는 향기부재가 주입되는 주입구, 주입구로부터 지압돌기의 수용부까지 관통하는 주입라인이 형성되어, 주입구와 주입라인을 통해 지압돌기의 수용부로 향기부재를 주입할 수 있는 지압기를 제공한다.
또한, 주입라인은 복수로 분기되어 복수의 지압돌기와 각각 연결되어, 주입구를 통해 향기부재가 주입되면, 주입된 향기부재가 복수로 분기된 주입라인을 통하여 복수의 지압돌기에 각각 형성된 수용부에 채워지는 지압기를 제공한다.
또한, 주입구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부재 및 향기 발산홀에서 향기만 방출되도록 마감하는 멤브레인 필름을 더 포함하는 지압기를 제공한다.
또한, 지지판의 상면에 구비되고 지압돌기가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릿부를 더 포함하고, 슬릿부는, 지지판의 상면에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지압돌기의 하부가 삽입되는 슬릿홈, 슬릿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지압돌기가 슬릿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재 및 슬릿홈에 구비되고, 지압돌기를 슬릿홈 내 소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부재를 포함하는 지압기를 제공한다.
또한, 지압돌기는, 지지판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단에 수직 나사봉이 형성된 하부몸체 및 하부에 형성된 나사홈을 통해 수직 나사봉과 결합되어, 하부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몸체를 포함하여, 하부몸체의 수직 나사봉에 결합된 상부몸체를 조이거나 풀어, 상부몸체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지압기를 제공한다.
또한, 복수의 지압돌기는, 지지판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신체의 적용 부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지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압기는, 사용자가 지압기에 누워있는 것만으로 사용자의 척추, 목, 복부 및 골반 부위 등의 근육을 이완시켜줄 수 있어, 신체의 통증과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하는데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고, 지압기 사용 중에는 지압돌기의 향기 발산홀에서 인체에 유익한 향기가 배출됨으로써 사용자의 심신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판에 형성된 주입구 및 주입라인을 통해 지지판에 결합된 복수의 지압돌기에 향기부재를 주입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고,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지지판에서 지압돌기의 위치 및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체형이 다른 남녀 또는 노인 구분 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압기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압기를 분해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압기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압기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압기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압기의 A-A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압기(100)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압기(100)를 분해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일 예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예로써, 척추 주변의 근육을 지압하여 풀어주는 형태의 척추용 지압기(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압기(100)는, 지지판(110) 및 복수의 지압돌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110)은 목재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상면에 지압돌기(120)가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지압돌기(120)는 복수로 구비되어 지지판(110)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홈(111)에 각각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지압돌기(120) 역시, 목재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압돌기(120)는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지압을 위하여 상단이 뭉툭하게 형성되고, 하단에는 지지판(110)의 결합홈(111)에 대응하게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지압기(100)의 경우, 지지판(110)이 사용자의 허리 또는 등 부위에 적용할 수 있는 넓이로 형성되고, 복수의 지압돌기(120)는 지지판(110)의 상면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되어, 사용자의 척추를 중심으로 주변 근육을 풀어주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의 지압기(100) 사용에 있어, 지지판(110)에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복수의 지압돌기(12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높이가 다른 지압돌기(120)를 복수개 구비하여, 신체의 적용 부위에 따라 높이가 다른 지압돌기(120)를 선택적으로 지지판(11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지압돌기(120)의 측면 둘레에는 향기가 방출되는 향기 발산홀(123)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압돌기(120)의 내부에는 향기부재(130)가 수용되는 수용부(122)가 형성되고, 지압돌기(120)의 측면 둘레에는 수용부(122)와 연통하는 향기 발산홀(12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향기부재(130)는 인체에 유익한 영향을 주거나 심신을 안정시킬 수 있는 향기를 발산하는 약제나 방향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향기부재(130)는 고체 또는 액체로 형성된 것을 이용할 수 있는데, 지압돌기(120)의 향기 발산홀(123)을 통하여 내측의 수용부(122)로 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써, 액체나 분말 형태로 형성된 향기부재(130)의 경우, 지압돌기(120) 내의 수용부(122)로 주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향기부재(130)를 별도의 용기나 주머니에 넣어 향기만 배출되도록 밀봉한 상태로 지압돌기(120) 내의 수용부(122)에 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지압기(100)는, 사용자의 허리 또는 등 부분의 척추 주변의 근육을 이완시켜, 척추 관련 통증과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하는데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고, 지압기(100) 사용 중에는 지압돌기(120)의 향기 발산홀(123)에서 인체에 유익한 향기가 배출됨으로써 사용자의 심신을 안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척추 주변의 근육을 지압하여 풀어주는 형태의 척추용 지압기(100)에 대해 설명하지만, 지지판(110)의 형상과 지압돌기(120)의 배치 구조에 따라, 복부용, 골반용, 뒷목용 또는 압목용 지압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압기(100)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 3의 (a)는 복부용 지압기(100a)로서 사용자가 업드린 상태로 복부를 지압돌기(120)에 위치시켜 복부의 근육을 풀어주는데 사용될 수 있고, 도 3의 (b)는 골반용 지압기(100b)로서 사용자가 옆으로 누워 골반 주변을 지압돌기(120)로 가압하여 근육을 풀어주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4의 (a)는 뒷목용 지압기(100c)로서 사용자가 누운 상태로 뒷목을 지압돌기(120)에 배치시켜 경추와 그 주변 근육을 풀어주는데 사용될 수 있고, 도 4의 (b)는 앞목용 지압기(100d)로서 사용자가 업드린 상태로 앞목을 지압돌기(120)에 위치시키거나, 사용자가 지압기(100d)를 파지한 상태로 지압돌기(120)를 이용하여 앞목 쪽 근육을 풀어주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압기(200)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압기(200)는, 지지판(210)에 주입구(211)와 주입라인(212)이 형성되고, 이를 이용하여 지압돌기(220)로 향기부재(230)를 주입할 수 있다.
일 예로써, 도 5를 참조하면, 지지판(210)의 저면에는 액상의 향기부재(230)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211)가 형성되고, 주입구(211)로부터 지압돌기(220)의 수용부(222)까지 관통하는 주입라인(2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판(210)의 저면에는 지지판(210) 상면의 지압돌기(220)와 대응하는 위치마다 각각 주입구(2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주입구(211)에는 밀봉을 위한 밀봉테이프 또는 마개 등의 밀봉부재(213)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압돌기(220)에 형성된 향기 발산홀(223)은 멤브레인 필름(미도시) 등에 의해 밀봉되어, 향기 발산홀(223)을 통해 액상의 향기부재(230)가 누출되지 않고, 향기만 발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지압돌기(220)에 액상의 향기부재(230)를 주입함에 있어서는, 지압기(200)를 뒤집어 지지판(210)의 저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주입구(211)에 액상의 향기부재(230)를 주입함으로써, 주입라인(212)을 통하여 지압돌기(220) 내의 수용부(222)에 향기부재(230)가 주입될 수 있다.
이때, 지압돌기(220)에서 수용부(222)와 연통하는 향기 발산홀(223)은 멤브레인 필름(미도시)에 의해 밀봉되어 있어, 수용부(222)로 주입된 액상의 향기부재(230)가 향기 발산홀(223)을 통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압기(200)에 구비된 복수의 지압돌기(220)에 향기부재(230)를 주입한 다음에는 지지판(210) 저면의 주입구(211)를 밀봉테이프 또는 마개 등의 밀봉부재(213)로 밀봉하여 마감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도 6을 참조하면, 지지판(210)의 저면이나 상면 또는 측면에 하나의 주입구(211)가 형성되고, 지지판(210) 내부에는 주입구(211)로부터 분기되어 지지판(210) 상면의 복수의 지압돌기(220)와 연결되는 분기형 주입라인(2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주입기구(I)를 이용하여 소정 압력으로 지지판(210)에 형성된 주입구(211)에 액상의 향기부재(230)를 주입하게 되면, 향기부재(230)가 복수로 분기된 주입라인(212)을 따라 이송되어 복수의 지압돌기(220) 내의 각 수용부(222)에 주입될 수 있다.
이때, 지지판(210)은 상판과 하판이 상호 마주보게 결합된 형태로서, 상판과 하판 사이에 분기형 주입라인(21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압기(300)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압기(300)의 A-A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압기(300)는, 지지판(310)에 결합되는 지압돌기(320)의 위치 및 높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판(310)의 상면에는 지압돌기(320)가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릿부(340)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지지판(310)의 슬릿부(340)에는 지압돌기(320)의 하단이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지압돌기(320)의 하부 측면에는 슬릿부(340)에 구비된 가이드부재(332)와 결합되는 가이드홈(3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압돌기(320)가 결합되는 슬릿부(340)는, 지지판(310)의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형성되고 지압돌기(320)의 하부가 삽입되는 슬릿홈(341)과, 슬릿홈(34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지압돌기(320)의 가이드홈(321)과 결합되는 가이드부재(332)와, 슬릿홈(341)에 구비되어 지압돌기(320)를 슬릿홈(341) 내 소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부재(34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슬릿홈(341)은 세로폭에 비해 가로폭이 크게 형성된 장형의 홈으로서, 지압돌기(320)의 하부가 슬릿홈(341)에 삽입되면, 지압돌기(320)가 지지판(310)의 상면에서 슬릿홈(341)을 따라 가로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332)는 슬릿홈(3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홈(341)의 양측에 형성되고, 지압돌기(320)의 하부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321)과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압돌기(320)는 하부의 가이드홈(321)이 슬릿부(340)의 가이드부재(332)에 결합된 상태로 슬릿홈(34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지압돌기(320)의 가이드홈(321)이 슬릿부(340)의 가이드부재(332)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슬릿홈(341)에서 지압돌기(3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지지판(310)은 슬릿부(340)에 지압돌기(32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조립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부재(343)는 슬릿홈(3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슬릿홈(341)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지압돌기(320)를 설정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일 예로써, 스토퍼부재(343)는 "∧" 형태의 판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슬릿홈(341) 내에서 세로방향 양측에 구비될 수 있고, 슬릿홈(341)에 배치된 지압돌기(320)의 하부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지압돌기(320)가 선택적으로 슬릿홈(341) 내 좌측의 제1 위치(S1)와 우측의 제2 위치(S2)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경우, 스토퍼부재(343)는 슬릿홈(341) 내의 제1 위치(S1)와 제2 위치(S2)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스토퍼부재(343)는 슬릿홈(341) 내 제1 위치(S1) 또는 제2 위치(S2)에 배치된 지압돌기(320)의 하부 측면을 지지하여, 지압돌기(320)를 해당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일 예로써, 지압돌기(320)가 슬릿홈(341) 내 좌측의 제1 위치(S1)에 배치된 경우, 스토퍼부재(343)는 지압돌기(320)의 하부 우측면을 지지하여, 지압돌기(320)를 제1 위치(S2)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스토퍼부재(343)는 "∧" 형태의 판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슬릿홈(341) 내 제1 위치(S1)에 배치된 지압돌기(320)를 강제로 힘을 주어 제2 위치(S2)로 이동시키면 판스프링이 눌리면서 지압돌기(320)가 제2 위치(S2)로 이동될 수 있고, 지압돌기(320)가 제2 위치(S2)에 배치되면 판스프링이 복원되면서 지압돌기(320)의 하부 좌측면을 지지하여, 지압돌기(320)를 제2 위치(S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지지판(310)에 구비된 복수의 지압돌기(320) 중, 지지판(310) 중앙쪽에 구비된 지압돌기(320)만 위치 조절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보여주고 있으나, 지지판에서 모든 지압돌기가 위치 조절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가로 형태의 슬릿부(340)를 통해 지지판(310)에서 지압돌기(320)를 가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한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슬릿부를 세로형태로 형성하여 지압돌기를 세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고, 또는 슬릿부를 십자 형태로 형성하여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지압돌기(320)는 하부몸체(320a)와 상부몸체(320b)를 포함하고, 하부몸체(320a)에 상부몸체(320b)가 높이 조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지압돌기(320)의 하부몸체(320a) 상단에는 수직 나사봉(324)이 형성될 수 있고, 상부몸체(320b)의 하부에는 수직 나사봉(324)이 결합되는 나사홈(32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몸체(320a)의 수직 나사봉(324)에 결합된 상부몸체(320b)를 조이거나 풀어, 상부몸체(320b)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지압기(300)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지지판(310)에 구비된 지압돌기(320)의 위치와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체형이 다른 남녀 또는 노인 구분 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지압돌기(320)의 상부몸체(320b)에는 내부에 향기부재(330)가 수용되는 수용부(322)가 형성되고, 측면 둘레에 수용부(322)와 연통하는 향기 발산홀(32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지압기(300)에도 앞서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지압돌기에 향기부재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 및 주입라인이 형성된 지지판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압기(100,200,300)는, 사용자가 지압기(100,200,300)에 누워있는 것만으로 사용자의 척추, 목, 복부 및 골반 부위 등의 근육을 이완시켜줄 수 있어, 신체의 통증과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하는데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고, 지압기(100,200,300) 사용 중에는 지압돌기(120,220,320)의 향기 발산홀(123,223,323)에서 인체에 유익한 향기가 배출됨으로써 사용자의 심신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판(110,210,310)에 형성된 주입구(211) 및 주입라인(212)을 통해 지지판(110,210,310)에 결합된 복수의 지압돌기(120,220,320)에 향기부재(130,230,330)를 주입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고,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지지판(110,210,310)에서 지압돌기(120,220,320)의 위치 및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체형이 다른 남녀 또는 노인 구분 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200,300 : 지압기 110,210,310 : 지지판
120,220,320 : 지압돌기 130,230,330 : 향기부재
122,222,322 : 수용부 123,223,323 : 향기 발산홀
221 : 주입구 222 : 주입라인
340 : 슬릿부 341 : 슬릿홈
342 : 가이드부재 343 : 스토퍼부재

Claims (7)

  1.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고 측면 둘레에 상기 수용부와 연통하는 향기 발산홀이 형성되는 복수의 지압돌기; 및
    상기 향기 발산홀을 마감하는 멤브레인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향기 발산홀을 통해 상기 지압돌기의 외측으로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멤브레인 필름에 의해 상기 향기부재가 누출되지 않고 향기만 방출되는 지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향기부재가 주입되는 주입구와, 상기 주입구로부터 상기 지압돌기의 수용부까지 관통하는 주입라인이 형성되어,
    상기 주입구와 상기 주입라인을 통해 상기 지압돌기의 수용부로 상기 향기부재를 주입할 수 있는 지압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라인은 복수로 분기되어 상기 복수의 지압돌기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주입구를 통해 상기 향기부재가 주입되면, 상기 주입된 향기부재가 상기 복수로 분기된 주입라인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지압돌기에 각각 형성된 수용부에 채워지는 지압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부재를 더 포함하는 지압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지압돌기가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릿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릿부는,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압돌기의 하부가 삽입되는 슬릿홈;
    상기 슬릿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지압돌기가 상기 슬릿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슬릿홈에 구비되고, 상기 지압돌기를 상기 슬릿홈 내 소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부재를 포함하는 지압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돌기는,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단에 수직 나사봉이 형성된 하부몸체; 및
    하부에 형성된 나사홈을 통해 상기 수직 나사봉과 결합되어,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몸체를 포함하여,
    상기 하부몸체의 수직 나사봉에 결합된 상기 상부몸체를 조이거나 풀어, 상부몸체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지압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압돌기는,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신체의 적용 부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지압기.
KR1020210153880A 2021-11-10 2021-11-10 지압기 KR102449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880A KR102449335B1 (ko) 2021-11-10 2021-11-10 지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880A KR102449335B1 (ko) 2021-11-10 2021-11-10 지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9335B1 true KR102449335B1 (ko) 2022-09-30

Family

ID=83451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3880A KR102449335B1 (ko) 2021-11-10 2021-11-10 지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933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5954A (ja) * 2000-03-07 2001-09-11 Kiyoshi Yamada 足踏み指圧具
JP2003290314A (ja) * 2002-04-05 2003-10-14 Shuzo Okada 携帯用足踏み器
KR200333470Y1 (ko) 2003-08-21 2003-11-14 조우도 다용도 지압기
KR20110120142A (ko) * 2010-04-28 2011-11-03 고선숙 발 받침대
JP2018134225A (ja) * 2017-02-22 2018-08-30 岡本 真澄 指圧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5954A (ja) * 2000-03-07 2001-09-11 Kiyoshi Yamada 足踏み指圧具
JP2003290314A (ja) * 2002-04-05 2003-10-14 Shuzo Okada 携帯用足踏み器
KR200333470Y1 (ko) 2003-08-21 2003-11-14 조우도 다용도 지압기
KR20110120142A (ko) * 2010-04-28 2011-11-03 고선숙 발 받침대
JP2018134225A (ja) * 2017-02-22 2018-08-30 岡本 真澄 指圧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324611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sensation loss
US5005563A (en) Mobile-cervical extension and supporting apparatus
KR101531338B1 (ko) 손발 마사지 장치
US20140276280A1 (en) Massage device
IL185348A (en) Back Massage Device
EP0106224B1 (de) Massagegerät
KR102449335B1 (ko) 지압기
US10869803B1 (en) Chiropractic adjustment device
KR102054805B1 (ko) 공압 조절을 이용해 압력 조절이 가능한 신체 미용용 마사지구
JPH11253524A (ja) 腰部指圧具、およびそれを組み込んだ腰部指圧用ベルト
KR20100013017U (ko) 휴대용 세라믹볼 마사지기
CN213250278U (zh) 一种腰椎治疗仪
US20170080225A1 (en) System for administering therapeutic electrical stimulation
TWM569626U (zh) Massage aid
RU2033132C1 (ru) Обувь для воздействия на активные точки ступни ног
KR102604596B1 (ko) 요근 안마기
RU205288U1 (ru) Массажер для разгрузки мышц спины
KR20190087773A (ko) 용천혈 지압부를 갖는 깔창
CN209630125U (zh) 一种睑板腺按摩夹
US20240058196A1 (en) Foot support system for a foot module of a rehabilitation mechanism
KR101545679B1 (ko) 지압기능을 갖는 의자
KR20130002021U (ko) 키성장 자극용 무릎 밴드
RU91297U1 (ru) Подставка под ноги с активной флюктуирующей поверхностью
JP2005058349A (ja) 首部のマッサージ装置
JP3398180B2 (ja) 携帯用足の揉み解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