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101B1 - 부비동의 점액제거 기능을 갖는 듀얼바디 약물투여장치 - Google Patents

부비동의 점액제거 기능을 갖는 듀얼바디 약물투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101B1
KR102449101B1 KR1020200109190A KR20200109190A KR102449101B1 KR 102449101 B1 KR102449101 B1 KR 102449101B1 KR 1020200109190 A KR1020200109190 A KR 1020200109190A KR 20200109190 A KR20200109190 A KR 20200109190A KR 102449101 B1 KR102449101 B1 KR 102449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or
adapter
clip
hold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4030A (ko
Inventor
김대황
김승신
박양옥
김정욱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플루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플루켐 filed Critical 유한회사 플루켐
Priority to EP20891822.7A priority Critical patent/EP4066879A1/en
Priority to JP2022530826A priority patent/JP2023504007A/ja
Priority to PCT/KR2020/016876 priority patent/WO2021107616A1/ko
Priority to US17/779,457 priority patent/US20220395677A1/en
Priority to CN202080081835.8A priority patent/CN114761064A/zh
Publication of KR20210064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61M1/000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64Containers with integrated suction means
    • A61M1/67Containers incorporating a piston-type member to create suction, e.g. 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33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 A61M3/0254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the liquid being pumped
    • A61M3/0262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the liquid being pumped manually, e.g. by squeezing a bul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9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 A61M2205/071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hand operated
    • A61M2205/073Syringe, piston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81Sinus (maxillar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비동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해 콧구멍을 통해 부비동의 점액제거와 약물을 투여하는 듀얼바디 약물투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어댑터가 결합된 주입기 2개를 고정홀더에 의해 일체로 고정시키고, 고정된 주입기의 각 어댑터를 양 콧구멍에 동시에 밀착시킨 후 비강에 음압을 발생시켜 부비동의 점액을 뽑아내거나 부비동으로 약물을 투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비동의 점액제거 기능을 갖는 듀얼바디 약물투여장치{Dual body drug Iinjection device for mucus removal function of the sinuses}
본 발명은 부비동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콧구멍을 통해 부비동의 점액제거와 약물을 투여하는 듀얼바디 약물투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어댑터가 결합된 주입기 2개를 고정홀더에 의해 일체로 고정시키고, 고정된 2개의 주입기는 어댑터의 간격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양 콧구멍에 각각 밀착시킨 후 비강에 음압을 발생시켜 부비동의 점액을 뽑아내거나 부비동으로 약물을 투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비동은 두개골 내부, 이마 뒤, 비강 뼈, 뺨 및 눈 뒤에 공기가 채워진 공간이다. 공기가 가득 차면 진동하여 말을 돕는다. 작은 구멍을 통해 네 쌍의 부비동이 비강에 연결된다.
부비동은 사람이 건강할 때 섬모의 작용으로 점액을 자유롭게 배출시켜 내부를 깨끗하게 유지한다. 상기 점액은 얇고 수분이 많은 액체로 부비동에서 코 위쪽으로 자유롭게 흘러나오고, 코 입구와 목 뒤쪽으로 배출된다. 점액이 배출됨에 따라 코는 촉촉하게 유지되며 먼지, 박테리아 및 기타 세균이 씻겨나간다.
그러나 부비동에 염증이 생기면 점액이 두껍고 끈적거리기 때문에 코로 이어지는 작은 구멍(ostia)을 통해 흐를 수 없게 된다. 부비동에 체액이 쌓여 압력과 통증을 유발하며 부비동염이 된다. 본질적으로, 부비동염의 정의는 부비동 감염과 동일하다.
부비동의 공기주머니가 막히면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또는 곰팡이와 같은 세균이 번식한다. 감기나 독감과 같이 상기도 호흡기 감염이나, 알레르기 또는 막힘으로 인해 점액의 자연적인 배출이 차단되면 정체된 점액은 박테리아가 자라고 염증이 발생할 수 있는 완벽한 장소가 된다. 두껍거나 노랗거나 또는 변색된 점액은 이러한 감염의 전형적인 예이다.
상기 감염에 의해 발생된 부비동염에는 급성 및 만성의 두 가지 주요 형태가 있다. 급성부비동 감염은 10 일에서 8 주까지 지속되며, 만성부비동 감염은 급성 부비동 감염보다 더 오랜 시간동안 감염이 지속된다.
만성 부비동 감염은 한 번에 몇 달 동안 지속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곰팡이 감염이 오래 지속된다. 급성 부비동염은 안면 통증과 압력을 유발하는 일반적인 문제를 갖고 있고, 부비동 위의 피부 발적, 코 막힘, 비후 점적액, 열 및 두통도 발생할 수 있다.
부비동 염에 걸리게 되면 항생제, 코충혈 제거제, 항히스타민제, 코 코르티코 스테로이드제, 비강 식염수 세척 등 여러 가지 방법과 약으로 치료를 한다. 급성 부비동염은 보통 항생제와 항울혈제로 치료한다. 만성 부비동염의 권장되는 치료법으로는 휴식과 점액을 가늘게 하기 위한 충분한 물을 마시는 것이다. 항생제 치료는 약 8-12주 이상의 긴 기간을 투여해야만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긴 투여기간에 의한 부작용 유발 가능성이 높아 대부분 권장되지 않는다. 또한, 지속적으로 항생제와 항히스타민제 등을 복용해도 부비동염이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는 최후의 수단으로 수술이 권장 된다.
오늘날 가장 흔히 수행되는 수술은 기능적 내시경 부비동 수술(FESS)이다. FESS의 목표는 상악동 및 전두동의 개구부를 넓히고, 직접 보면서 사골봉소를 제거하여 사골동 영역을 개방함으로써 부비동의 배액을 개선하는 것이다.
그러나, FESS 자체가 염증을 일으키기 쉽게 하기 때문에 수술 후 섬유증, 협착, 및/또는 폴립증이 유발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새로 개방된 부비동이 종종 폐쇄되어 개구부를 교정 및 개방된 영역을 유지하는 재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부비동 수술은 위험성을 갖고 있어 대부분 수술하지 않고 약으로 치료하는 것을 장려하고 있다.
상기 부비동염은 비강과 부비동에 국소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전신적 약을 투여하기보다 염증 발생 부위에 국소적으로 약제를 투여한다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특히 국소약물전달은 염증 부위에서 직접 약물이 작용하기 때문에 전신 부작용을 피할 수 있고, 표적 부위에서 더 높은 농도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부비동염을 치료하기 위한 국소적 약제 투여는 비세정 기구, 스프레이 펌프 기구, 점비액 기구 및 연무 기구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의 장치와 방법이 제시되었다.
Snidvongs (Am J Rhinol. 2008 Sep-Oct;22(5):483-6) 등의 실험에 의하면 염증이 발생한 환자의 부비동 안으로 약물이 들어가는 양이 극히 적다. 이것이 부비동 치료 약물이 효과가 없는 큰 이유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47403호(2019.02.07.등록; 이하 '선행문헌1' 이라 함)는 비강 및 부비동 약물투여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선행문헌1은 약물저장용기의 주입구에 체적이 가변되는 어탭터를 장착하여 어댑터의 가압 및 해제를 통해서 어댑터 내부 부피를 변화시키고, 부피변화량의 전달로 콧구멍 내부공간에 압력변화가 발생되어 비강 및 부비동의 세척과 약물투여가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그러나 선행문헌1은 약물을 부비동으로 주입하는 것은 효과적이나, 부비동 내의 분비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적합하지 않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27610호(2016.05.31.등록; 이하 '선행문헌2'이라 함)는 비강 세척기를 제시하였다. 선행문헌2는 하나의 몸체부에 2개의 노즐부를 구비하여 양 콧구멍으로 동시에 식염수를 분사하여 세척되게 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압력변화에 의한 부비동까지의 세척이 어렵고, 노즐부가 2개로 형성되나 각각이 동일한 작용을 하기 때문에 각 노즐이 서로 다른 기능 예컨대 한쪽은 약물 주입 다른 쪽은 분비물 흡수등 서로 다른 기능을 제공하기 어렵다.
일본공개특허 특개평9-253208호(1997.09.30.공개; 이하 '선행문헌3'이라 함)는 비강용 투약기를 제시하였다. 선행문헌3은 하나의 몸통에 2개의 분무구가 형성된 형태로 선행문헌2와 유사한 구조이다. 이 역시 양쪽 콧구멍에 균일한 약물분사는 가능하나, 음압을 이용한 부비동 내의 분비물을 흡입 제거하는데 적합하지 않다.
이상과 같이 부비동염 치료를 효과적으로 이루기 위해서는 약물을 처리하기 전에 부비동에 들어차 있는 점액을 먼저 빼내는 공정을 먼저 시행하여야 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수술 이외에는 부비동 안의 점액을 빼내기가 어렵고, 부비동 중 상악동은 배출구멍이 높은 위치에 있어 분비물의 중력배출도 잘 안되어 쉽게 감염되고, 감염요인들의 제거도 매우 어렵다.
즉, 부비동염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부비동 안의 점액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나 아직까지는 과다한 비용이 초래되는 수술방법 이외에는 부비동 내부 점액 제거 방법이 없다.
따라서, 수술방식 이외에 치료비용을 낮추면서 효과적으로 부비동 내의 점액을 빼낼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47403호(2019.02.07.등록) : 비강 및 부비동 약물투여장치 및 방법 한국등록특허 제10-1627610호(2016.05.31.등록) : 비강 세척기 일본공개특허 특개평9-253208호(1997.09.30.공개) : 비강용 투약기
상기한 바와같이 종래의 부비동 내 점액제거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비동의 점액제거기능을 갖는 듀얼바디 약물투여장치는,
어댑터를 갖춘 주입기 2개를 양 콧구멍에 밀착되도록 사용하되, 머리를 측면으로 기울였을 때 2개의 주입기를 상하로 배치하여 비강을 밀폐시키고, 연구개를 올려 비강호흡을 차단한 상태에서 주입기 밀대를 당겨 비강에 음압을 형성하고, 음압형성으로 상부 부비동의 분비물을 상부 비강으로 배출되게 하거나 하부 비강의 약물이 음압 해소에 따라 하부 부비동으로 주입되게 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하부 부비동으로의 약물 주입과정에서 상부 비강으로 유입된 분비물도 즉시 제거할 수 있는 등 약물주입과 분비물 흡입제거를 동시에 또는 분비물 제거와 약물 주입을 각각 수행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고정홀더를 이용하여 종래의 단일 비강 세척 장치 2개를 일체로 연결하면서, 약물주입과 분비물을 흡입하는 어댑터 부분의 간격을 쉽게 조절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의 콧구멍으로의 밀착성을 높여 부비동 점액 제거 또는 약물 투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비동의 점액제거기능을 갖는 듀얼바디 약물투여장치는,
콧구멍을 통해 비강으로 약물을 주입하는 듀얼바디 약물투여장치에 있어서, a) 전단에 형성된 결합구에 제1어댑터가 결합되고,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된 제1주입기와; b) 전단에 형성된 결합구에 제2어댑터가 결합되고,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된 제2주입기와; c) 상기 제1주입기와 제2주입기를 장착하고, 상기 제1어댑터의 입출구 중심과 제2어댑터의 입출구 중심 사이의 거리가 0.5 cm 내지 10 cm 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홀더;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홀더는, 제1주입기 및 제2주입기가 평행하게 장착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의 양 콧구멍에 밀착되거나; 제1주입기 및 제2주입기가 전방보다 후방 간격이 넓도록 예각으로 배치된 경사형태로 장착하여 제1어댑터 및 제2어댑터의 입출구 간격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양 콧구멍에 밀착되어 폐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홀더는, 제1주입기와 제2주입기의 몸체를 내포하도록 덮는 케이스형 또는 양측으로 제1주입기와 제2주입기를 끼워서 고정시키는 클립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홀더는, 제1주입기와 제2주입기를 각각 안치하는 안치홈이 형성된 홀더본체와; 상기 홀더본체의 안치홈을 덮어 안치된 제1주입기와 제2주입기를 고정시키도록 파지하는 홀더덮개로 이루어지는 케이스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홀더는, 홀더본체의 두 안치홈 사이에 간격조절부를 더 형성하되 상기 안치홈 사이의 간격조절부를 분리구성하고, 전방측에는 힌지핀에 의해 분리된 간격조절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방측에는 일측 간격조절부면에는 내면에 다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호형가이드공이 형성되고 타측 간격조절부면에는 상부로 돌출된 걸림대가 형성되어, 걸림대를 호형가이드공에 내입되도록 겹친 다음 좌우 회동에 의해 두 안치홈 사이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홀더는, 제1주입기와 제2주입기를 각각 안치하는 안치홈이 형성된 클립본체와; 상기 클립본체의 축방향 양 단부에서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제1주입기와 제2주입기의 전단측과 후단측을 각각 파지하여 측면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클립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홀더는, 상기 클립본체 전단의 클립부에는, 안치홈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안치되는 제1주입기와 제2주입기의 전단부분이 걸려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클립본체 후단의 클립부에는, 장착된 제1주입기 및 제2주입기 각각의 후단에 형성된 손잡이부가 내입되어 끼워지도록 안치홈 중심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끼움홈;이 더 형성된다.
이때 상기 끼움홈의 깊이는, 안치홈의 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더 깊게 형성하여 안치홈에 안치된 주입기의 돌출된 손잡이부가 걸림없이 축회전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립본체는, 전방본체와 후방본체로 분리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방본체는, 후단에서 전방측으로 길이조절홈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조절홈과 직교되는 측면방향으로 결합공이 형성되어 결합핀이 삽통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후방본체는, 전단에서 전방측으로 상기 길이조절홈의 단면과 대응되는 단면을 갖는 길이조절대가 돌출되어 길이조절홈에 내입되고, 길이조절대 내측에는 측면방향으로 관통되되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결합장공이 형성되어 결합핀이 삽통되도록 구성하여 결합핀이 결합장공 내의 결합위치에 따라 길이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주입기 또는 제2주입기의 전후 이동에 의해 비강내 음압을 형성하여 부비동 내의 점액을 배출시키거나 부비동으로 약물이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듀얼바디 약물투여장치에 포함되는 장치로서, 고정홀더에는 2개의 주입기를 장착하여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듀얼바디 약물투여장치에 포함되는 장치로서, 비강내부 음압생성과 비강 내부 물질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어댑터의 입출구의 단부면에 측면 방향으로 유통홈을 형성하여 어댑터 내외부가 연통되게 할 수 있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부비동의 점액제거기능을 갖는 듀얼바디 약물투여장치는,
주입기를 2개 구비하고, 이를 고정하는 고정홀더로 연결시켜 일체화하여 사용자의 콧구멍 2개를 동시에 막아 2개의 비강 내부를 밀폐시키고, 어느 하나의 주입기의 피스톤 밀대를 전후 이동시켜 비강 내부에 압력을 변화시키고, 압력변화에 의해 부비동에서 비강으로 배출된 분비물을 주입기를 통해 흡입 배출시킨다. 또한 비강에 약물을 주입한 상태에서 비강 압력을 변화시키면 압력변화에 의해 비강의 약물이 부비동 안으로 용이하게 들어가게 할 수 있다. 이는 비강으로 주입한 약물을 부비동 내로 이동시켜 약물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홀더를 통해 2개의 주입기를 일체로 고정시키되 주입기 전단의 주입구 또는 흡입구 사이의 간격을 사용자의 콧구멍 간격에 맞춰 조절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콧구멍 내부의 비강 폐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비강폐구와 동시에 일측 비강으로 압력변화에 의한 분비물제거 또는 약물주입이 이루어지게 하거나, 양측 비강에 압력변화에 의한 분비물제거와 약물주입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는 등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비강을 통해 부비동으로 약물을 주입하기 때문에 감기 독감 비염 등 여러 가지 호흡기 감염 발생에 의해 비강 및 부비동에 발생하는 질환들을 예방 및 치료하고 증상들을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완화 또는 소멸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듀얼바디 약물투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수평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어댑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b는 어댑터의 입출구 전단에 V형 유통홈이 형성된 어댑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c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어댑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고정홀더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수직단면도.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격조절부가 형성된 고정홀더를 도시한 평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간격조절부를 갖는 고정홀더를 도시한 저면도 및 분리사시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고정홀더를 도시한 사시도 및 개략도.
도 6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고정홀더의 후방측 일부 단면도.
도 6f는 도 6d의 B-B단면도로서 끼움홈에 의해 주입기 손잡이부가 자유롭게 회전되는 것을 도시한 개략도.
도 6g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입기의 회전에 의해 주입기 전단의 결합구의 위치변화를 도시한 개략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홈과 길이조절대가 형성된 클립본체를 도시한 평면도 및 주요부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g는 본 발명의 듀얼바디 약물투여장치의 사용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a과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듀얼바디 약물투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수평 단면도이다.
참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듀얼바디 약물투여장치(10)는 제1주입기(20a), 제2주입기(20b)로 이루어지는 두 개의 주입기(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주입기(20a)와 제2주입기(20b)는 내부에 공간부(252a,252b)가 형성된 몸체(25,25a,25b)와,
상기 몸체 공간부에 내입되어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피스톤밀대(26,26a,26b)로 구성된 주사기 형태이며, 몸체 전방에는 결합구(251a,251b)가 돌출되고, 결합구에 제1어댑터(40a) 및 제2어댑터(40b)가 각각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피스톤밀대(26,26a,26b)를 축방향인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결합구(251a,251b)와 피스톤밀대(26,26a,26b) 사이의 공간부 부피가 축소 또는 확대된다.
상기 공간부(252a,252b)에 약물이 저장되면 약물이 전방으로 토출되게 하고, 빈 공간일 경우 비강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비강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게 하거나, 비강 내의 분비물을 흡입하여 제거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주입기(20a)와 제2주입기(20b)는 5 ml 내지 50 ml 부피의 플라스틱, 유리 또는 금속재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어댑터(40a)와 제2어댑터(40b)는 전방에 입출구(41,41a,41b)가 형성되고 후방은 제1주입기 및 제2주입기의 몸체(25,25a,25b)에 형성된 결합구(251a,251b)에 결합된다.
또한, 제1어댑터(40a) 및 제2어댑터(40b)는 전방측이 콧구멍에 밀착 및 일부 내입되도록 돌출되고 후방측은 넓은 하트형, 반구형, 원뿔 또는 원뿔대 형태, 삼각형 또는 다각형 용기에 전방 단부측 일부를 원뿔 또는 원뿔대로 형성한 형태, 다각형 용기에 전방 단부측 일부를 원뿔 또는 원뿔대로 경사면을 갖게 하되 경사면을 볼록 또는 오목하게 형성된 형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콧구멍에 밀착되어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어댑터의 입출구(41,41a,41b)는 원형, 각형 또는 이형(異形)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댑터는, 도 2a를 참조한 바와같이 어댑터(40)를 분리형태로 구성하여 내부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즉, 어댑터는 입출구(41)가 형성된 전방어댑터부(42)와 주입기의 결합구에 결합되는 후방어댑터부(43)로 구분하고, 상기 전방어댑터부와 후방어댑터부는 나사결합방식 또는 끼움방식 등 다양한 결합방식에 의해 탈착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댑터는, 도 2b를 참조한 바와 같이 어댑터의 입출구(41) 전방 단부면에 V형 유통홈(41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통홈(411)은 어댑터를 비강 내에 밀착시켰을 때 어댑터의 입출구 단부가 비강 내벽에 접하여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어댑터 내외부 물질의 유통이 잘 이루어지게한 것이다. 즉, 입출구(41) 단부가 비강 내벽에 폐구되어도 입출구 면에 형성된 유통홈(411)에 의해 측면이 개방되어 내외부 물질의 유통이 이루어져 음압형성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유통홈(411)은 도시된 바와같이 V자 형태 외에 U자 반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유통홈은 어댑터 입출구 단면에 하나 또는 다수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콧구멍을 밀폐시키면 제1주입기(20a) 또는 제2주입기(20b)의 피스톤밀대(26) 작용에 따라 밀폐된 비강 내부로 약물을 주입하거나 비강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비강내를 음압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어댑터(40a) 및 제2어댑터(40b)는 플라스틱, 실리콘, 고무, 또는 탄성 재질의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조되어 콧구멍 외면과의 밀착성을 향상시켜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어댑터(40,40a,40b)들은 주입기(20,20a,20b)들로부터 착탈 가능한 형태로 서술하였으나 이 외에 어댑터와 주입기가 일체로 형성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주입기(20a)와 제2주입기(20b)는 고정홀더(30)에 의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c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어댑터(40c)는 내부에 수용공간없이 이동유로(44)만 형성되어 입출구(41c)로부터 후방에 결합되는 주입기에 직접 연통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이전 어댑터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일부 분비물이나 약물이 임시적으로 수용될 수 있으나, 본 형태에서는 단순히 이동유로만 형성됨으로 분비물 또는 약물이 비강에서 주입기로 주입기에서 비강으로의 즉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어댑터(40c)는 외측부분이 갓형태로 확장구성되어 사용자 콧구멍에 밀착시 콧구멍 밀폐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를 참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홀더(30)는 제1주입기(20a)와 제2주입기(20b)를 각각 안치시키는 안치홈(311)이 형성된 홀더본체(31)와, 상기 홀더본체의 측면에서 연장 형성되어 회동에 의해 안치홈에 안치된 제1주입기 및 제2주입기의 상부를 덮는 홀더 덮개(32)로 구성된다. 여기서 홀더덮개(32)의 외측단은 회동에 의해 홀더본체의 두 안치홈 사이부분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홀더본체(31)와 홀더덮개(32)의 결합수단으로는 걸림돌기와 걸림홈, 버튼, 벨크로테이프, 자석 등 공지된 다양한 결합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홀더본체(31)와 홀더덮개(32)의 구조도, 도 3a을 참조한 바와 같이 홀더본체(31) 양측면에 각각 하나의 주입기를 덮을 수 있는 홀더덮개(32)를 연장 형성하는 형태로 제공하거나, 도 3b를 참조한 바와 같이 홀더본체(31) 일측에 2개의 주입기를 덮을 수 있는 홀더덮개(32) 연장형성하는 형태로 제공하거나, 도 3c와 같이 홀더본체(31)와 홀더덮개(32)가 완전분리되어 착탈이 이루어지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홀더(30)는 제1주입기와 제2주입기의 외면일부를 감싸는 것으로, 고정홀더와 제1주입기 및 제2주입기를 일체로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고정홀더(30)의 홀더본체(31) 안치홈 내면과, 홀더덮개(32) 내면에는 안치된 주입기가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하여 마찰력을 제공하는 코팅층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고무와 같은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주입기와 같은 길이의 고정 홀더(30)인 경우 홀더 양 끝단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주입기의 축방향 이동이 제한할 수 있다.
또한, 고정홀더(30)에 의해 고정된 제1주입기와 제2주입기의 제1어댑터(40a)와 제2어댑터(40b)의 각 입출구(41a,41b) 중심 사이의 거리는 0.5~10cm 이내로 형성하여 사용자의 양 콧구멍으로 삽입이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홀더(30)는, 플라스틱, 실리콘, 고무, 또는 금속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조되고 제1주입기(20a) 및 제2주입기(20b)에 장착된 제1어댑터(40a) 및 제2어댑터(40b)의 입출구(41a,41b)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각 주입기를 평행하거나 내각이 예각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홀더(30)는, 제1주입기와 제2주입기를 장착한 상태에서 피스톤밀대를 밀거나 당겼을 때 제1주입기 또는 제2주입기가 고정홀더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구조를 갖는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형으로 고정홀더(30)를 제공하여 홀더본체에 제1주입기와 제2주입기를 안치한 다음 홀더덮개로 덮어서 결합시키되 고정홀더의 전단과 후단이 제1주입기와 제2주입기 몸체(25,25a,25b)의 전단과 후단에 걸리는 구조로 제공되는 것 이외에, 박스형 고정홀더로 제공되어 박스형 본체에 제1주입기와 제2주입기를 축방향으로 끼워서 고정시키는 구조로 제공되거나, 도6a 내지 도6d를 참조한 바와 같이 클립형 고정홀더로 제공되어 클립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혼합한 구조로도 제공되는 등 고정홀더 내에서 제1주입기와 제2주입기가 걸리거나 끼워서 고정되어 이동을 제한하는 다양한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도 4a와 도 4b를 참조한 바와같이 홀더본체(31)에는 두 안치홈 사이에 간격조절부(33)를 더 형성하여 안치홈(311) 사이의 간격이 일정폭 이격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간격조절부(33)는 직사각형으로 형성하여 두 안치홈이 형성하는 축간격을 서로 평행하게 하거나, 간격조절부를 사다리꼴 형태로 제공하여 안치홈의 두 축이 일정각도의 내각으로 교차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축각인 내각은 예각으로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5~45도 각도로 형성하여 제1주입기와 제2주입기의 후단측인 피스톤밀대측 간격이 과도하게 이격되어 조작이 불편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5a와 도 5b는 고정홀더의 저면도이고, 도 5c는 분해사시도이다. 참조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홀더(30)는 간격조절부(33,33a,33b)를 분리 구성하여 축각도가 가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홀더는 제1고정홀더(30a)와 제2고정홀더(30b)로 분리구성하여 각각에 안치홈이 형성되도록 하고, 제1고정홀더(30a)와 제2고정홀더(30b)는 대향된 측면으로 연장된 간격조절부(33a,33b)가 각각 형성되되 제1고정홀더와 제2고정홀더에 형성된 간격조절부의 형태를 다르게 형성한다.
예컨대, 제1고정홀더(30a)의 간격조절부(33a)는 전방에는 좁은 폭으로 연장되고 후방에는 넓은 폭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간격조절부 내측면 중 전방측에는 힌지핀(34)이 삽설되는 힌지공(331a)이 형성되고, 후방측에는 힌지공을 회전 중심으로 하고 호형으로 길게 통공된 호형가이드공(332)이 형성되어 간격조절핀(39)이 삽통되도록 한다.
또한 제2고정홀더(30b)의 간격조절부(33b)는 전방과 후방 모두 좁은 폭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간격조절부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힌지핀(34)과 간격조절핀(39)이 내입되는 힌지공(331b)과 고정공(333)이 형성된다. 따라서 간격조절후 호형가이드공(332)과 고정공(333)을 삽통하여 설치된 간격조절핀(39)을 조여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1고정홀더(30a)와 제2고정홀더(30b)는 연장된 간격조절부(33a,33b)를 겹치게 하되 각각의 힌지공(331)을 동일 수직축 상에 배치하여 힌지핀(3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일체로 결합하고, 제2고정홀더의 고정공(333)과 제1고정홀더의 호형가이드공(332)은 간격조절핀(39)을 삽통시킴으로써 힌지핀(34)을 중심으로 간격조절핀(39)이 호형가이드공(332) 내에서 회동되면서 제1고정홀더와 제2고정홀더의 안치홈이 형성되는 중심축 사이 각도가 가변되어 제1어댑터(40a) 및 제2어댑터(40b)의 입출구(41a,41b)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간격조절대는 고정홀더의 바닥면에 형성하여 회동에 의해 서로 겹침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5d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호형가이드공(332)의 내면에는 다수개의 걸림돌기(332a)를 형성하여 간격조절핀(39)가 호형가이드공 내에서의 다단으로 걸림이 발생되어 위치고정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와같이 제1고정홀더(30a)와 제2고정홀더(30b) 사이의 각도가 조절되면 사람마다 두 콧구멍 사이의 간격이 다름에 따라 어댑터 사이의 간격을 조절해 콧구멍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주입기(20a) 또는 제2주입기(20b)의 결합구(251a, 251b)가 주입기의 축 중심이 아닌 일측으로 편향된 경우 고정홀더에 결합된 상태에서 주입기 몸체를 회전시켜 주입기 간 결합구의 간격 조절에 의해 제1어댑터(40a) 및 제2어댑터(40b)의 입출구(41a,41b)의 간격이 조절되게 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고정홀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참조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홀더(30)는, 제1주입기와 제2주입기를 각각 안치하는 안치홈(351)이 양 측면으로 형성된 클립본체(35)와; 상기 클립본체의 축방향 양 단부에서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제1주입기와 제2주입기의 전단측과 후단측을 각각 파지하는 클립부(36a,36b);로 구성된다.
즉, 클립본체(35)는 양측에 각각 축방향으로 안치홈(351)이 형성되고, 안치홈에 주입기의 측면이 접촉되도록 안치된다. 또한 클립본체의 축방향 상단과 하단 부분에는 안치홈을 형성하는 축과 직교되는 측면방향으로 양측에 클립부(36a,36b)가 한 쌍으로 각각 돌출된다.
상기 한쌍의 클립부(36a,36b) 각각은 안치되는 주입기의 외면을 일부 감싸도록 한쌍의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안치홈으로의 주입기 고정력을 향상시키면서 탈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클립부(36a,36b)는 클립본체의 측면 중 상단과 하단 이외에 중간에 추가로 1개 내지 다수개 형성하거나, 측면전체로부터 돌출시켜 긴 길이의 클립부로 형성할 수 있다. 안치홈 양측으로 돌출된 클립부는 양측을 동일하게 돌출되도록 형성하거나, 비대칭길이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되는 주입기의 형태에 따라 클립부의 돌출길이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립부 및 안치홈의 내측곡면이 형성하는 내경은 사용되는 주입기의 크기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한다. 즉, 용량이 큰 주입기를 사용할 경우 클립부 및 안치홈의 내경을 크게 형성하고, 용량이 작은 주입기를 사용할 경우 클립부 및 안치홈의 내경을 작게 형성하여 주입기 장착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으며, 일측에는 큰 용량의 주입기를 장착하게 하고 다른 측면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용량의 주입기를 장착하는 서로 다른 주입기를 사용하는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홀더는 전단측에 형성된 클립부(36a)의 내측면에 안치되는 주입기가 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37)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37)은 장착된 제1주입기 및 제2주입기 몸체 전단부분에 걸림을 발생시켜 피스톤 밀대 가압시 제1주입기 또는 제2주입기가 안치홈 내에서 슬라이딩되어 전방으로 밀려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고정홀더는 클립본체 후단의 클립부(36b)에 안치홈의 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끼움홈(38)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홈(38)은 제1주입기 또는 제2주입기의 몸체 후단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손잡이부를 내입시켜 제1주입기 또는 제2주입기에 축방향으로 외력 작용시 손잡이부가 끼움홈에 걸려 제1주입기 또는 제2주입기가 전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c는 도 6b의 A-A단면도로서, 참조한 바와 같이 클립본체(35)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안치홈(351)에는 안치홈의 양측으로 각각 전방 클립부(36a)가 형성되고, 전방 클립부(36a) 끝단에는 내측으로 L자 형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내설된 주입기의 전방 단부에 걸림이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상기 클립부는 안치된 주입기 외면의 만곡부(f: 주입기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과 외면이 교차하는 지점)가 내포되도록 갈고리 형태로 형성하여 안치홈(351)에 주입기(20) 장착시 전방으로의 밀림은 물론 측면방향으로의 탈거도 방지한다.
아울러 클립본체의 후방 클립부(36b)에 형성된 끼움홈은 제1주입기와 제2주입기가 동일한 크기일 경우 서로 동일한 선상에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제1주입기와 제2주입기의 크기가 다를 경우 도 6a와 도 6d를 참조한 바와 같이 서로 어긋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클립부 양측의 끼움홈이 어긋나도록 형성하는 것은 용량이 서로 다른 주입기의 사용이 가능하게 하면서 두 주입기 사이의 간격을 좁게 형성하여 한손으로 취급이 용이하게 한 것이다. 여기서 용량이 각기 다른 주입기를 사용하는 것은 각각 주입기의 사용역할이 다르게 형성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음압 형성용과 약물 주입용이 용량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음압 형성용으로는 20ml 용량의 주입기를 사용하고 약물 주입용으로는 30ml 용량의 주입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용량으로 사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용량을 증가하거나 감소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클립본체(35)의 두 안치홈(351)은 안치홈의 축 간격이 평행하거나, 예각으로 교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치홈의 축간격을 조절하면 장착되는 주입기(20)의 전단에 장착된 어댑터(40a)와 어댑터(40b)의 입출구(41a,41b)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6e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끼움홈(38)의 깊이는, 안치홈(351)에 주입기를 안착했을 때 주입기 몸체측면의 손잡이부(253) 돌출된 길이보다 더 깊도록 직선 또는 만곡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깊이로 끼움홈을 형성하면, 안치홈에 주입기가 안착된 상태에서 주입기를 축회전시켜도 주입기의 손잡이부가 끼움홈에 걸림없이 회전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도 6f참조).
이와 같이 고정홀더에 장착된 주입기의 축회전은, 주사기 몸체(25a, 25b)의 전방단부에 형성된 결합구(251a,251b)도 같이 회전시킨다. 즉, 용량이 큰 주입기의 경우 결합구가 몸체의 축중심에서 일측으로 편향되어 위치한다. 따라서, 결합구가 편향 형성된 주입기를 축회전시키면,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주입기에 형성된 결합구(251a,251b) 간의 간격이 변화됨으로 최종적으로 각 결합구에 장착되는 어댑터의 입출구 사이 간격도 변화된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콧구멍 사이의 간격에 맞춰 어댑터 입출구 간격의 조절이 가능하여 콧구멍을 용이하게 밀폐시킨 후 점액 제거와 약물 주입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립본체(35)는 전방본체(35a)와 후방본체(35b)로 분리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분리된 전방본체에 후방본체가 일부 내입되거나 내입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전체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홈과 길이조절대가 형성된 클립본체를 도시한 평면도 및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클립본체(35)는 전방본체(35a)와 후방본체(35b)로 분리구성된다.
상기 전방본체(35a)는, 내부에 후단에서 전방측 방향으로 길이조절홈(351)이 형성된다. 상기 길이조절홈(351)은 클립본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후술되는 길이조절대(352)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내입하는 홈이다. 상기 길이조절홈(351)이 형성된 전방본체에는 길이조절홈을 직교하여 관통되는 결합공(353)이 형성되어 결합핀(355)이 삽통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후방본체(35b)는, 전단에서 전방측으로 길이조절홈(351)의 단면과 대응되는 단면을 갖는 길이조절대(352)가 돌출된다. 상기 길이조절대(352)에는 직교되는 방향으로 결합장공(354)이 관통하여 형성되되, 상기 결합장공(354)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방본체의 길이조절홈(351)에 후방본체의 길이조절대(352)를 삽입하면 길이조절대(352)의 내입깊이와 관계없이 전방본체의 결합공(353)은 길이조절대에 형성된 결합장공(354)과 연통된다. 즉, 결합핀(355)은 전방본체의 일측벽 결합공(353)과, 후방본체의 길이조절대 결합장공(354)과, 전방본체의 타측벽 결합공(353)을 순차적으로 삽통하여 결합되고, 조임에 의해 길이조절대(352)를 길이조절홈(351) 내에서 견고하게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고정과정에서 결합장공(354) 내의 결합핀(355)의 결합위치에 따라 클립본체(35) 전체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가능함으로 다양한 길이를 갖는 주입기에 대응하여 클립본체의 길이조절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핀(355)은 볼트로 구성하고 별도의 너트를 추가 제공하여 체결이 이루어지거나, 결합공 내면에 암나사산을 형성하여 결합핀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볼트 너트 방식 이외에도 후크에 의한 걸림방식등 다양한 공지결합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부비동의 점액제거 기능을 갖는 듀얼바디 약물투여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8g)
상기 부비동(90)은 매우 좁은 통로를 통하여 비강(80)과 연결된 공간이다. 부비동(90)은 공기로 채워진 공간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비강을 통해서 약물 주입이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 듀얼바디 약물투여장치는 압력차이를 발생시켜 부비동과 비강 사이에 점액과 공기 또는 약물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한 것이며,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전단에 제1어댑터(40a)와 제2어댑터(40b)가 각각 결합된 제1주입기(20a)와 제2주입기(20b)를 고정홀더(30)의 안치홈에 각각 안치하여 일체로 결합시킨다.
2) 제1주입기와 제2주입기의 각 어댑터 입출구(41a,41b)의 간격이 두 콧구멍에 적합하도록 제1주입기와 제2주입기를 축방향으로 전후진시키거나 고정홀더의 간격조절부 간격을 조절하거나 또는 토출구가 일측으로 편향된 주입기인 경우 주입기 자체를 축회전시켜 어댑터 입출구(41a,41b)의 간격이 두 콧구멍에 적합하도록 조절하여 고정시킨다.
3) 고정홀더에 일체로 결합된 제1주입기와 제2주입기의 제1어댑터와 제2어댑터를 사용자 콧구멍에 밀착시킨다.
4) 사용자의 머리를 옆으로 수평이되도록 기울이되 점액을 제거하려는 부비동(90)이 위쪽에 위치하도록 기울인다.
5) 사용자의 입을 벌려 입으로 호흡을 하면서 연구개를 닫히게 하여 비강 호흡을 차단한다.
6) 제1주입기와 제2주입기 중 어느 하나의 주입기 피스톤밀대를 천천히 뒤로 후퇴시킨다. (도 8a 참조)
7) 비강의 공기를 빼내어 비강 전체에 음압이 형성되도록 한다.
8) 다시 주입기의 후퇴된 피스톤밀대를 밀어 비강의 공기압이 정상이 되도록 한다.
9) 어느 하나의 주입기 피스톤밀대의 밀고 당기기를 수차례 반복하여 상부 부비동의 점액이 비강으로 나오게 한다.
10) 비강으로 상부 부비동의 점액이 나오면 상단에 위치하는 주입기의 피스톤밀대를 천천히 당겨 점액을 상단에 위치한 주입기로 포집하여 제거한다. 또한 상부 비강이 점액으로 차면 하단의 주입기의 피스톤밀대를 밀고 당기기를 반복하여 상부 비강에 압력변화를 발생시켜 상부 부비동의 점액을 추가로 빠져나오게 하여 상단주입기로 포집한다. (도 8b 참조)
11) 제1주입기와 제2주입기를 코에서 떼고 받은 점액을 버린다.
12) 반대편 부비동도 머리를 반대편으로 기울이고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여 점액을 제거한다.(도 8c 참조)
13) 고정홀더에 약액이 들어있는 주입기를 장착하여 어댑터가 약물을 주입할 콧구멍을 폐구하도록 밀착시킨다.
14) 약액을 주입할 부비동이 하부로 위치하도록 머리를 수평으로 기울이고, 하부에 위치하는 약액이 들어있는 주입기의 피스톤밀대를 천천히 밀어서 약액이 비강 하부공간에 채워지도록 한다. (도 8d 참조)
15) 입을 벌리고 연구개를 닫히게 하여 비강 호흡을 차단시킨다.
16) 상부 주입기의 피스톤밀대를 천천히 당기고 밀기를 반복하여 하부 비강의 약액이 점액이 제거된 하부 부비동으로 들어가게 한다. 약액이 들어있는 하단 주입기의 피스톤밀대를 천천히 밀어서 약액이 비강 하부공간에 보충되도록 반복 한다.
17) 하부 부비동이 약액으로 채워지면 비강에 채워진 잔여 약액은 하부 주입기를 통해 흡입제거하고, 제1주입기와 제2주입기를 사용자의 코에서 분리하고, 부비동에 채워진 약액은 머리를 수직으로 또는 상단으로 배치하면 자중에 의해 흘러내려 제거된다. (도 8e 참조) 또는 부비동 점액 제거와 같은 방식으로 머리를 반대편으로 기울이고 밀착된 주입기 밀대를 당기를 반복하면 상부 부비동의 약액이 상부 주입기로 빠져 나오게 한다.
여기서 비강의 압력 변화가 주입기의 피스톤 밀대에 의해서가 아닌 주입기의 전후가압에 의한 주입기 어댑터의 체적변화에 의해 이루어지면 하부 비강에 압력이 변화될 때 상부 비강도 같이 압력변화가 발생됨으로 하부비강에서 하부부비동으로 약물주입과정에서 상부부비동에서 상부비강으로의 점액 배출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18) 반대편 부비동도 상기 방법에 따라 약물을 주입하는 방식으로 동일하게 처리한다. (도 8f 및 도 8g 참조)
상기 방법은 양쪽 부비동이 모두 점액이 있을 때 실행하는 방법이며, 어느 한쪽 부비동만 점액이 있을 경우에는 한쪽의 부비동 점액 제거후 약물을 주입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부비동에 점액이 없을 경우에도 부비동에 약물을 투여하고자 하는 경우 동일하게 실행하여 부비동에 약액을 투여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가 선택에 의해 다양한 방법으로 실행이 가능하다.
상기 사용하는 약물로는 0.6 내지 5 w/v% 소금물 또는 0.01~0.3 w/v% 농도의 포비돈 요오드 함유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항바이러스제 함유 용액, 항생제나 스테로이드 함유 용액, 백신 함유 용액을 사용하는 등 필요한 어떤 종류의 액상 약물 투여에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비염, 알러지 비염, 부비동염, 만성 축농증, 콧물, 코막힘, 감기, 독감 또는 covid-19의 예방과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요오드제 약물을 투여하면 소독 효과뿐만 아니라 감염부위에서 발생하는 사이토카인을 억제하여 소염효과도 나타내기 때문에 각종 부비동 감염 병원균들을 박멸함과 더불어 이들 염증들과 이들로 인한 증상들도 신속히 경감 또는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사용목적으로 부비동에 생리식염수를 주입하여 부비동을 세척할 수 있고, 포비돈 요오드를 포함하는 용액을 주입하여 비염, 만성 비염, 감기, 독감을 치료할 수 있고, 항바이러스제를 포함하는 용액을 주입하여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고, 항생제 또는 스테로이드 함유 용액을 주입하여 비염, 부비동염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고, 백신을 포함하는 용액을 주입하여 면역을 생성하게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각종 약물의 비강을 통한 투여의 목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비강 및 부비동에 감염을 유발하는 라이노 바이러스, 코로나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데노 바이러스, 인간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호흡기 세포 융합 바이러스, 라이노바이러스 이외의 엔테로바이러스, 메타뉴모바이러스 및 MERS 및 SARS 바이러스들과;
감염이 박테리아 기원 인 경우, 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 인플루엔자균(Haemophilus influenzae) 및 모락셀라 카타랄리스(Moraxella catarrhalis)와, 부비동염을 유발하는 세균성 병원균인 황색 포도상 구균 (Staphylococcus aureus) 및 다른 연쇄상 구균 (streptococci) 종 , 혐기성 세균 및 흔히는 그람 음성 박테리아들을 퇴치와: 또한 먼지나 꽃가루 등에 의한 알러지 증상의 개선에 탁월한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실시예 1
약물투여장치 1
제1주입기 및 제2주입기의 전단에는 제1어댑터와 제2어댑터를 각각 장착하였다.
제1주입기 및 제2주입기는 20ml의 플라스틱 주사기를 사용하였고, 고정홀더로 일체로 결합시키되, 제1어댑터와 제2어댑터의 전단에 형성된 입출구 중심 사이의 간격은 20mm 되도록 하였다.
실시예 2
약물투여장치 2
제1주입기 및 제2주입기의 전단에는 제1어댑터와 제2어댑터를 각각 장착하였다.
제1주입기는 20ml 와 제2주입기는 30ml의 플라스틱 주사기를 사용하였고, 클립형 고정홀더로 일체로 결합시키되, 제1어댑터와 제2어댑터의 전단에 형성된 입출구 중심 사이의 간격은 20mm 되도록 하였다.
시험예 1 - 부비동 세척
먼저 세면대에서 코를 가볍게 풀어 비강을 깨끗하게 비운 다음 실시예1 또는 실시예2의 약물투여장치를 왼 손에 잡고, 주입기 내부공기를 모두 밀어낸 다음 두 콧구멍에 각각 밀착시켰다.
머리를 왼쪽으로 수평이 되도록 기울이고, 입을 벌려 연구개를 닫고 입술을 휘파람 불 듯이 하여 구강 호흡을 하면서 상단 주입기의 피스톤밀대를 천천히 뒤로 당기고 다시 원위치로 미는 과정을 통해 비강 내부 압력을 음압과 정압을 반복시켰다.
머리를 수평으로 배치된 상태에서의 상부 부비동에서 점액이 흘러나오면 상단 주입기를 당겨 점액을 상단 주입기에 포집한다. 상단 주입기의 피스톤밀대를 왕복하면서 상부 부비동에서 비강으로 점액이 더 이상 나오지 않을 때까지 비강에 음압과 정압을 반복 가한다. 점액이 더 이상 모이지 않으면 연구개를 열고 장치를 코에서 떼어내어 모아진 점액을 버리고 주입기를 흐르는 수돗물로 세척한다.
생리 식염수 20ml를 채운 제1주입기와 내부가 빈 제2주입기를 고정홀더에 장착하고, 제1주입기와 제2주입기를 콧구멍에 각각 밀착시킨 다음 머리를 오른쪽으로 수평이 되도록 숙여 비강이 수평이 되도록 한다. 이때 하부 비강에 제1주입기가 배치되어 제1주입기의 피스톤밀대를 천천히 밀어 저장된 식염수를 비강 안으로 주입하되 목뒤로 넘어가지 않도록 하면서 최대한 비강 안을 채운다.
이 상태에서 연구개를 닫고 비강 호흡을 차단한 상태에서 구강 호흡을 하면서 상단에 위치하는 주입기의 피스톤밀대를 천천히 뒤로 당기거나 밀어서 하부비강의 압력 변화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이때 하부 비강의 식염수가 없어지는 느낌이 들면 하단 식염수가 들어 있는 하단 주입기의 피스톤밀대를 조금씩 더 밀어 하부 비강에 식염수를 계속 공급한다.
식염수 공급 후 다시 하부 비강의 압력변화를 반복한다. 이때 상단 주입기로 식염수가 넘어오거나 하단에 위치하는 주입기의 피스톤밀대 왕복시 공기만 왕복하게 되면 식염수가 부비동으로 모두 들어간 것이다. 연구개를 열고 장치를 코에서 떼어내고 주입기를 흐르는 수돗물로 세척한다.
내부 공기를 모두 밀어낸 장치를 다시 콧구멍에 각각 밀착시키고 머리를 왼쪽으로 수평이 되도록 숙이고 연구개를 닫고 입으로 호흡을 하면서 상단에 위치하는 주입기의 피스톤밀대를 천천히 왕복하면서 비강에 음압과 정압을 반복 발생시킨다.
상부 부비동에서 액체가 흘러나오면 상단 주입기의 피스톤밀대를 천천히 당겨 액체를 수집한다.
상단 주입기의 피스톤밀대를 왕복하면서 상단 주입기에 액체가 더 이상 모이지 않을 때까지 비강 압력 변화를 반복 가한다. 용액이 더 이상 모이지 않으면 연구개를 열고 장치를 코에서 떼어내어 모아진 용액을 버리고 코를 가볍게 푼다.
주입기는 흐르는 수돗물로 세척한다.
반대편 부비동에도 동일하게 반복하여 부비동을 세척한다.
시험예 2 - 부비동 소독
0.2w/v%의 포비돈 요오드를 함유하는 식염수 용액을 사용하여 시험예 1과 같이 시행하여 부비동을 소독한다.
시험예 3 - 비염 치료
0.2w/v%의 포비돈 요오드와 2.0w/v%의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용액을 사용하여 시험예 1과 같이 시행하여 비염을 갖는 성인남여 10명을 상대로 1일 2회 2일간 치료한 바 증상완화가 현저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4 - 감기 치료
0.2w/v%의 포비돈 요오드와 2.2w/v%의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용액을 사용하여 시험예 1과 같이 시행하여 감기에 걸린 성인남여 10명을 상대로 1일 2회 2일간 치료한 바 증상완화가 현저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5 - 독감 치료
0.2w/v%의 포비돈 요오드와 2.4w/v%의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용액을 사용하여 시험 예 1과 같이 시행하여 인플루엔자에 감염된 성인남여 10명을 상대로 1일 2회 2일간 치료한 바 증상이 현저히 완화됨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6
클립형 듀얼 바디 약물 투여 장치를 사용하여 동일한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동일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듀얼바디 약물투여장치는, 비부비동염이 특징인 코분비물, 코 막힘, 얼굴의 정체, 얼굴의 동통/압력, 냄새의 손실 및 열병과 같은 해당 주요 증상 및 두통, 돌기부 동통/압력, 악취나는 숨, 치과 통증, 징후와 피로와 같은 증상들과 감기 독감들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10 : 약물투여장치
20 : 주입기
20a : 제1주입기 20b : 제2주입기
25,25a,25b : 몸체 26,26a,26b : 피스톤밀대
251a,251b : 결합구 252a,252b : 공간부
253 : 손잡이부
30 : 고정홀더
30a : 제1고정홀더 30b : 제2고정홀더
31 : 홀더본체 32 : 홀더덮개
33,33a,33b : 간격조절부 34 : 힌지핀
35 : 클립본체 35a : 전방본체
35b : 후반본체 36a,36b : 클립부
37 : 걸림턱 38 : 끼움홈
39 : 간격조절핀
311,351 : 안치홈 331a,331b : 힌지공
332 : 호형가이드공 332a : 걸림돌기
333 : 고정공
351 : 길이조절홈 352 : 길이조절대
353 : 결합공 354 : 결합장공
355 : 결합핀
40,40c : 어댑터
40a : 제1어댑터 40b : 제2어댑터
41,41a,41b,41c : 입출구 42 : 전방어댑터부
43 : 후방어댑터부 44 : 이동유로
411 : 유통홈
80 : 비강
90 : 부비동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콧구멍을 통해 비강으로 약물을 주입하는 듀얼바디 약물투여장치에 있어서,
    a) 전단에 형성된 결합구(251a)에 제1어댑터(40a)가 결합되고, 내부에 공간부(252a)가 형성된 제1주입기(20a)와;
    b) 전단에 형성된 결합구(251b)에 제2어댑터(40b)가 결합되고, 내부에 공간부(252b)가 형성된 제2주입기(20b)와;
    c) 상기 제1주입기와 제2주입기를 평행하게 또는 전방보다 후방 간격이 넓도록 예각으로 배치된 경사형태로 장착하고, 상기 제1어댑터(40a)의 입출구(41a) 중심과 제2어댑터(40b)의 입출구(41b) 중심 사이의 거리가 0.5 cm 내지 10cm 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홀더(30);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홀더(30)는,
    제1주입기와 제2주입기의 몸체를 내포하도록 각각 안치하는 안치홈(311)이 형성된 홀더본체(31)와; 상기 홀더본체의 안치홈을 덮어 안치된 제1주입기와 제2주입기를 고정시키도록 파지하는 홀더덮개(32)로 이루어지는 케이스형으로 제공하고,

    상기 홀더본체(31)의 두 안치홈 사이에 간격조절부를 더 형성하되 상기 안치홈 사이의 간격조절부(33a,33b)는 분리구성하여 서로 겹쳐지게 배치하고,
    전방측에는 힌지핀(34)에 의해 분리된 간격조절부(33a,33b)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방측에는 일측 간격조절부(33a)면에는 내면에 다수의 걸림돌기(332a)가 형성된 호형가이드공(332)이 형성되고, 타측 간격조절부(33b)면에는 고정공(333)이 형성되고, 간격조절핀(39)으로 호형가이드공과 고정공을 삽통하여 연결시키고, 두 간격조절부(33a,33b)의 좌우 회동에 의해 두 안치홈 사이의 각도 조절를 조절한 다음 간격조절핀(39)을 조여서 고정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을 하는 듀얼바디 약물투여장치.
  6. 삭제
  7. 콧구멍을 통해 비강으로 약물을 주입하는 듀얼바디 약물투여장치에 있어서,
    a) 전단에 형성된 결합구(251a)에 제1어댑터(40a)가 결합되고, 내부에 공간부(252a)가 형성된 제1주입기(20a)와;
    b) 전단에 형성된 결합구(251b)에 제2어댑터(40b)가 결합되고, 내부에 공간부(252b)가 형성된 제2주입기(20b)와;
    c) 상기 제1주입기와 제2주입기를 양측에서 끼우는 클립형으로 전방보다 후방 간격이 넓도록 예각의 경사형태로 끼워서 장착하고, 상기 제1어댑터(40a)의 입출구(41a) 중심과 제2어댑터(40b)의 입출구(41b) 중심 사이의 거리가 0.5 cm 내지 10cm 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홀더(30);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홀더(30)는,
    제1주입기와 제2주입기를 각각 안치하는 안치홈(351)이 형성된 클립본체(35)와;
    상기 클립본체의 축방향 양 단부에서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제1주입기와 제2주입기의 전단측과 후단측을 각각 파지하여 측면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클립부(36a,36b)와;
    상기 클립본체(35) 전단의 클립부(36a)에 형성되고, 안치홈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안치되는 제1주입기와 제2주입기의 전단부분이 걸려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37)과;
    상기 클립본체(35) 후단의 클립부(36b)에 형성되고, 장착된 제1주입기 및 제2주입기 각각의 후단에 형성된 손잡이부가 내입되어 끼워지도록 안치홈 중심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끼움홈(3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바디 약물투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38)의 깊이는,
    안치홈의 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더 깊게 형성하여 안치홈에 안치된 주입기의 돌출된 손잡이부가 걸림없이 축회전이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바디 약물투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본체(35)는,
    전방본체(35a)와 후방본체(35b)로 분리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바디 약물투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본체(35a)는, 후단에서 전방측으로 길이조절홈(351)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조절홈과 직교되는 측면방향으로 결합공(353)이 형성되어 결합핀(355)이 삽통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후방본체(35b)는, 전단에서 전방측으로 상기 길이조절홈(351)의 단면과 대응되는 단면을 갖는 길이조절대(352)가 돌출되어 길이조절홈(351)에 내입되고, 길이조절대 내측에는 측면방향으로 관통되되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결합장공(354)이 형성되어 결합핀(355)이 삽통되도록 구성하여 결합장공(354)내에 결합핀(355)의 결합위치에 따라 길이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바디 약물투여장치.
  11.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입기 또는 제2주입기의 밀대 전후 이동에 의해 비강내 음압을 형성하여 부비동 내의 점액을 배출시키거나 부비동으로 약물이 주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바디 약물투여장치.
  12. 2개의 주입기를 장착하는 고정홀더에 있어서,
    제1주입기와 제2주입기를 각각 안치하는 안치홈(351)이 형성되되 두 안치홈의 축간격을 예각으로 형성한 클립본체(35)와;
    상기 클립본체의 축방향 양 단부에서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제1주입기와 제2주입기의 전단측과 후단측을 각각 파지하여 측면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클립부(36a,36b)와;
    상기 클립본체(35) 전단의 클립부(36a)에 형성되고, 안치홈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안치되는 제1주입기와 제2주입기의 전단부분이 걸려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37)과;
    상기 클립본체(35) 후단의 클립부(36b)에 형성되고, 장착된 제1주입기 및 제2주입기 각각의 후단에 형성된 손잡이부가 내입되어 끼워지도록 안치홈 중심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끼움홈(3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홀더.
  13. 제5항 또는 제7항에 기재된 어댑터에 있어서,
    제1 또는 제2 주입기의 전단에 결합되는 제1 또는 제2 어댑터의 입출구 단부면에는 측면방향으로 유통홈(411)을 형성하여 제1 또는 제2 어댑터 내외부를 연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KR1020200109190A 2019-11-25 2020-08-28 부비동의 점액제거 기능을 갖는 듀얼바디 약물투여장치 KR102449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891822.7A EP4066879A1 (en) 2019-11-25 2020-11-25 Dual-body drug administration device having function of removing mucus from paranasal sinus
JP2022530826A JP2023504007A (ja) 2019-11-25 2020-11-25 副鼻腔の粘液除去機能を有するデュアルボディー薬物投与装置
PCT/KR2020/016876 WO2021107616A1 (ko) 2019-11-25 2020-11-25 부비동의 점액제거 기능을 갖는 듀얼바디 약물투여장치
US17/779,457 US20220395677A1 (en) 2019-11-25 2020-11-25 Dual-body drug administration device having function of removing mucus from paranasal sinus
CN202080081835.8A CN114761064A (zh) 2019-11-25 2020-11-25 具有鼻窦粘液去除功能的双体给药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049 2019-11-25
KR20190152049 2019-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030A KR20210064030A (ko) 2021-06-02
KR102449101B1 true KR102449101B1 (ko) 2022-09-29

Family

ID=76372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190A KR102449101B1 (ko) 2019-11-25 2020-08-28 부비동의 점액제거 기능을 갖는 듀얼바디 약물투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91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45062B (zh) * 2022-09-16 2023-12-05 南阳市口腔医院 一种医用鼻腔给药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16646A1 (en) * 2004-06-28 2006-06-01 Weiss Jennifer J Bi-inoculator dual syringe clip
WO2009124407A1 (en) * 2008-04-10 2009-10-15 Medmix Systems Ag Connectable double syringe
KR101947403B1 (ko) * 2018-05-11 2019-02-13 김대황 비강 및 부비동 약물투여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3208A (ja) 1996-03-21 1997-09-30 Unisia Jecs Corp 鼻腔用投薬器
KR101627610B1 (ko) 2014-07-04 2016-06-07 강정길 비강 세척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16646A1 (en) * 2004-06-28 2006-06-01 Weiss Jennifer J Bi-inoculator dual syringe clip
WO2009124407A1 (en) * 2008-04-10 2009-10-15 Medmix Systems Ag Connectable double syringe
KR101947403B1 (ko) * 2018-05-11 2019-02-13 김대황 비강 및 부비동 약물투여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030A (ko) 202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89337B2 (ja) 鼻洗浄システム及び方法
US9433724B2 (en) Irrigation assembly
EP2335759B1 (en) Apparatus for nasal rinse
US5928190A (en) Sinus vacuum flush
KR101947403B1 (ko) 비강 및 부비동 약물투여장치 및 방법
US668849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issue rinse
CN103079631A (zh) 用于脓肿冲洗的装置和方法
US10478547B2 (en) Irrigation assembly
US911420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asal rinsing
KR102449101B1 (ko) 부비동의 점액제거 기능을 갖는 듀얼바디 약물투여장치
US11179513B2 (en) Irrigation assembly
BRPI0721044A2 (pt) Dispositivos e métodos para distribuir agentes ativos a locais-alvo
CA2892322C (en) Paranasal sinus access implant devices and related tools and kits
EP4066879A1 (en) Dual-body drug administration device having function of removing mucus from paranasal sinus
WO2016014453A1 (en) Foam applicator for in-ear use
US20140054189A1 (en) Nasal flushing device
US20170360831A1 (en) Non-nasal treatment methods using carbon dioxide and saline
JP2023552549A (ja) 鼻腔及び副鼻腔への液体溶液の制御下投与のためのデバイス
US20170224936A1 (en) Nasal treatment delivery device with carbon dioxide and saline, and methods
US10029054B2 (en) Lower body cavity treatment methods and devices using carbon dioxide and saline
US20040073178A1 (en) Nasal irrigation fitting
JP2024505998A (ja) 使い捨ての点鼻液ディスペンサデバイス
WO2017136087A1 (en) Nasal treatment delivery device with carbon dioxide and saline, and methods, including low flow rates
BR122013027798B1 (pt) Sistema para lavar uma passagem nasal huma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