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035B1 - 멀티플 오프셋이 적용된 버터플라이 밸브 - Google Patents

멀티플 오프셋이 적용된 버터플라이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035B1
KR102449035B1 KR1020210055861A KR20210055861A KR102449035B1 KR 102449035 B1 KR102449035 B1 KR 102449035B1 KR 1020210055861 A KR1020210055861 A KR 1020210055861A KR 20210055861 A KR20210055861 A KR 20210055861A KR 102449035 B1 KR102449035 B1 KR 102449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valve
disk
offse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규
Original Assignee
이춘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규 filed Critical 이춘규
Priority to KR1020210055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0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1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specially adapted opera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2Shaping of the valv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6Shaping or arrangements of the sealing
    • F16K1/228Movable sealing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2Valve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플 오프셋이 적용된 버터플라이 밸브에 관한 것으로,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바디시트가 배치되는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바디에 형성된 바디홀을 관통하며 배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중공부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외측 둘레를 따라 디스크시트가 형성되는 밸브디스크와, 상기 밸브바디와 상기 샤프트간에 연계되고 상기 샤프트가 회전할 때 상기 샤프트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수단 및, 상기 샤프트와 상기 밸브디스크간에 연계되고 상기 밸브디스크의 상기 바디시트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버터플라이 밸브의 기밀성을 향상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플 오프셋이 적용된 버터플라이 밸브{BUTTERFLY VALVE WITH MULTIPLE OFFSET-6 AXIS}
본 발명은 버터플라이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디스크의 회전운동 및 평행이동 운동에 대해 멀티플 오프셋(multiple offset)을 적용함으로써, 기밀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버터플라이 밸브에 관한 것이다.
버터플라이 밸브는 산업용수, 해수, 폐수, 화학물질 등의 각종 유체를 이송시키는 관로상에 설치되며, 별도의 구동장치 또는 핸들의 작동에 의해 유체의 흐름을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버터플라이 밸브는 동심형 또는 사다리꼴 모양의 밸브디스크를 사용하고, 밸브바디 또는 밸브디스크 중 어느 한 쪽에 탄성(예컨대 고무, 테프론, 합성수지 등)을 가지는 연질의 시트를 장착하여 기밀을 유지한다.
그런데, 버터플라이 밸브가 고온, 고압 또는 초저온 유체의 이송을 제어하는 관로상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시트 소재에 변형이 발생하게 되고, 기밀성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 이중편심구조, 삼중편심구조 더 나아가 사중편심구조를 적용하였으나, 양방향 유체 흐름의 반복적인 압력을 지속적으로 견디기 어려워, 탄성재질인 시트 소재의 변형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기밀성 및 내구성을 떨어뜨려 밸브의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다.
한국특허 등록번호 : 제10 - 221617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관련 기술분야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밸브디스크의 회전운동 및 평행이동 운동에 대해 멀티플 오프셋(multiple offset)을 적용하여, 기밀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버터플라이 밸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버터플라이 밸브에 관한 것으로,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바디시트가 배치되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에 형성된 바디홀을 관통하며 배치되는 샤프트; 상기 중공부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외측 둘레를 따라 디스크시트가 형성되는 밸브디스크; 상기 밸브바디와 상기 샤프트간에 연계되고, 상기 샤프트가 회전할 때 상기 샤프트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수단; 및 상기 샤프트와 상기 밸브디스크간에 연계되고, 상기 밸브디스크의 상기 바디시트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밸브바디의 일측부에는 지지블록이 배치되고,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지지빔 및 상기 제1 지지빔에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지지빔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빔에는 핀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빔에는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는 샤프트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가이드수단은,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라인; 및 일측부는 상기 핀홀에 삽입 고정되고, 타측부는 상기 가이드라인에 삽입 배치되는 가이드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라인은,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라인; 상기 제1 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의 외측 둘레 일부에 형성되는 제2 라인; 및 상기 제2 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3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라인과 상기 제2 라인은 상기 샤프트의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라인과 상기 제3 라인은 직선 형상이고, 상기 제2 라인은 곡선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공부의 일측에서 상기 바디홀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의 폭방향 위치를 고정하는 제1 샤프트하우징; 및 상기 중공부의 타측에서 상기 바디홀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의 폭방향 위치를 고정하는 제2 샤프트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가이드수단은,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며 배치되는 제1 홀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디스크에 결합되는 제1 디스크블록; 및 상기 제1 홀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상기 제1 디스크블록에 배치되는 디스크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디스크블록은 상기 바디시트 이동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이동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샤프트하우징의 단부는 상기 제1 이동홈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가이드수단은,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며 배치되는 제2 홀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디스크에 결합되는 제2 디스크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디스크블록은 상기 바디시트 이동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이동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샤프트하우징의 단부는 상기 제2 이동홈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가이드수단은,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디스크핀의 접촉부위에 형성되는 해제부; 및 상기 해제부에 연결되며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디스크핀의 접촉부위에 형성되는 밀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핀이 상기 밀폐부에 위치하면, 상기 밸브디스크는 상기 바디시트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중공부를 폐쇄하고, 상기 디스크핀이 상기 해제부에 위치하면, 상기 밸브디스크는 상기 바디시트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중공부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밀폐부는, 상기 샤프트에서 상기 밸브디스크를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는 경사턱; 상기 샤프트에서 상기 밸브디스크를 마주하는 반대면에 형성되는 밀폐홈; 및 상기 밀폐홈에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 승강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샤프트하우징에 인접하여 상기 바디홀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샤프트홀더; 상기 샤프트홀더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홀을 실링하는 제1 패킹; 상기 제2 샤프트하우징에 인접하여 상기 바디홀의 단부에 배치되는 엔드블록; 및 상기 엔드블록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홀을 실링하는 제2 패킹;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샤프트의 회전중심선을 제1 오프셋(A1)으로 지정하고, 상기 밸브바디의 중심선(V1)을 지정하면, 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오프셋(A1)과 상기 밸브바디의 중심선(V1)은 불일치하고, 상기 제1 오프셋(A1)은 상기 밸브바디의 중심선(V1)에 대해 편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샤프트의 회전중심선을 제2 오프셋(A2)으로 지정하고, 상기 밸브바디의 중심선(V2)을 지정하면, 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오프셋(A2)과 상기 밸브바디의 중심선(V2)은 불일치하고, 상기 제2 오프셋(A2)은 상기 밸브바디의 중심선(V2)에 대해 편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중공부를 밀폐할 때 상기 디스크시트의 실링 중심선을 제3 오프셋(A3)으로 지정하고, 상기 중공부를 개방할 때 상기 디스크시트의 실링 중심선을 제4 오프셋(A4)으로 지정하면, 상기 중공부를 밀폐할 때, 상기 제3 오프셋(A3)은 상기 바디시트의 실링 중심선에 일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 오프셋(A3)과 상기 제4 오프셋(A4)간의 간격은 상기 샤프트에 형성되는 경사부의 높이(M) 또는 밀폐홈의 높이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밸브디스크가 상기 중공부를 밀폐할 때 상기 샤프트의 위치를 제5 오프셋(A5)으로 지정하고, 상기 밸브디스크가 상기 중공부를 개방할 때 상기 샤프트의 위치를 제6 오프셋(A6)으로 지정하면, 상기 제5 오프셋(A5)과 상기 제5 오프셋(A6)간의 간격(L5-L6)은 상기 샤프트에 형성되는 제1 라인의 길이(N)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멀트 오프셋(multiple offset) 구성을 통해 샤프트를 편심 회전운동 및 승강운동을 구현하고, 이를 통해 안정적으로 밸브디스크가 회전운동 및 평행이동 운동을 하도록 하여 밸브디스크와 바디시트간의 실링력 및 내구성을 높이게 된다.
이는 밸브의 기밀성 및 내구성을 높여, 궁극적으로 버터플라이 밸브의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멀티플 오프셋이 적용된 버터플라이 밸브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멀티플 오프셋이 적용된 버터플라이 밸브의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멀티플 오프셋이 적용된 버터플라이 밸브의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멀티플 오프셋이 적용된 버터플라이 밸브의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멀티플 오프셋이 적용된 버터플라이 밸브의 실시예를 나타낸 하면도.
도 6은 도 2에 개시된 E-E 단면도.
도 7은 도 2에 개시된 G-G 단면도.
도 8은 도 2에 개시된 F-F 단면도.
도 9는 도 1에 개시된 본 발명에서 샤프트, 승강가이드수단 및 이동가이드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1에 개시된 본 발명에서 샤프트, 승강가이드수단 및 이동가이드수단을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도 1에 개시된 본 발명에서 샤프트, 승강가이드수단 및 이동가이드수단을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도 10에 개시된 K-K 단면도.
도 13a 내지 도 13b는 도 1에 개시된 본 발명에서 밸브디스크와 바디시트간의 개폐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4a 및 도 14b는 도 1에 개시된 본 발명에서 이동가이드수단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터플라이 밸브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복수의 실시예들은 서로 상충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중복하여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4에는 본 발명인 버터플라이 밸브(100)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버터플라이 밸브(100)의 실시예는 밸브바디(200), 샤프트(400), 밸브디스크(300), 승강가이드수단(500) 및 이동가이드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바디(200)는 본 발명인 버터플라이 밸브(100)의 몸체를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밸브바디(200)에는 유체가 통과하는 중공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공부(210)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바디시트(2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디시트(220)에는 원판 형태의 플랜지 부위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랜지 부위에는 복수의 볼트홀(220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트홀(220a)에 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밸브바디(200)에 상기 바디시트(220)를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바디시트(220)는 탄성이 없는 금속재질일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계 사양에 따라 탄성이 있는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바디시트(220)와 밸브디스크(300)가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접촉되는 형상은 원뿔 또는 구형일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계 사양에 따라 여러가지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밸브바디(200)의 일측부에는 지지블록(25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블록(250)은 제1 지지빔(251)과 제2 지지빔(25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빔(251)은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샤프트(40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빔(251)에는 핀홀(25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빔(252)은 상기 샤프트(40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볼트홀(25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빔(252)은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빔(251)에 볼트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지지빔(252)의 중앙부에는 상기 샤프트(400)가 관통하며 배치되는 샤프트홀(25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샤프트(400)는 상기 밸브바디(200)에 형성된 바디홀(230)을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400)의 일측부에는 구동부연결부(4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나사산 형태일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계 사양에 따라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400)의 타측부는 상기 중공부(210)까지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400)와 상기 바디홀(230) 사이에는 공차를 제거하며 상기 샤프트(400)를 지지하기 위해 샤프트홀더(4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홀더(450)가 상기 바디홀(230)에 삽입되고, 상기 샤프트홀더(450)의 관통홀로 상기 샤프트(400)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홀더(450)에는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제1 패킹(450a)이 배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패킹(450a)은 V 자 형태의 패킹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바디홀(230)의 하단부에는 엔드블록(43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엔드블록(430)에는 나사산(430b)이 가공되어 있어, 상기 바디홀(230)의 하단부에 나사산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계 사양에 따라 다른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엔드블록(430)에는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제2 패킹(430a)이 배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패킹(430a)은 V 자 형태의 패킹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바디홀(23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제1,2 패킹(430a,450a)이 배치되므로, 상기 중공부(210)를 흐르는 유체가 상기 바디홀(230)을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공부(210)의 상부에 형성된 바디홀(230)에는 제1 샤프트하우징(411)이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중공부(210)의 하부에 형성된 바디홀(230)에는 제2 샤프트하우징(412)이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400)는 상기 제1,2 샤프트하우징(411,412)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샤프트(400)의 제1 회전중심선을 제1 오프셋(A1)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오프셋(A1)과 상기 밸브바디(200)(또는 상기 중공부(210))를 정면에서 바라본 중심인 제1 중심선(V1)은 서로 불일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샤프트(400)의 제2 회전중심선을 제2 오프셋(A2)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Y축 방향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오프셋(A2)과 상기 밸브바디(200)(또는 상기 중공부(210))의 측면에서 바라본 중심인 제2 중심선(V2)은 서로 불일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1,2 중심선(V1,V2)은 상기 밸브바디(200)(또는 상기 중공부(210))의 중심 위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 오프셋(A1,A2)은 상기 샤프트(400)의 회전중심 위치일 수 있으며, 상기 제1,2 중심선(V1,V2)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상기 제1,2 오프셋(A1,A2)은 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밸브바디(200)의 일측부로부터 L1 길이, 타측부로부터 L2 길이만큼 이격되어 위치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L1, L2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2 중심선(V1,V2)은 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밸브바디(200)의 양측부에서 동일 간격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2 오프셋(A1,A2)은 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밸브바디(200)의 일측부로부터 L3 길이, 타측부로부터 L4 길이만큼 이격되어 위치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L3, L4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2 중심선(V1,V2)은 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밸브바디(200)의 양측부에서 동일 간격에 위치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2 중심선(V1,V2)에서 편심을 두어 상기 제1,2 오프셋(A1,A2)을 구성하였고, 이는 상기 밸브디스크(300)의 회전범위를 감안한 것이다.
만약 상기 샤프트(400)의 회전중심을 상기 제1,2 중심선(V1,V2)에 두는 경우, 상기 밸브디스크(300)가 완전히 회전하기 전에 상기 바디시트(220)에 간섭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밸브디스크(300)가 상기 바디시트(220)에 완전히 접촉되지 않게 되며, 상기 중공부(210)를 폐쇄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샤프트(400)의 회전중심을 상기 제1,2 오프셋(A1,A2)에 두어, 상기 밸브디스크(300)가 편심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디스크시트(310)가 상기 바디시트(220)에 완전히 접촉되도록 한 것이다.
한편, 도 13a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샤프트(400)의 제1 오프셋(A1)과 상기 밸브디스크(300)의 중심선(B)은 불일치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400)와 상기 밸브디스크(300)는 제1 디스크블록(610)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어, 상기 샤프트(400)의 회전 중심과 상기 밸브디스크(300)의 회전 중심은 서로 다르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샤프트(400)의 회전 중심인 제1 오프셋(A1)과 상기 밸브디스크(300)의 중심선(B)이 일치한다면, 상기 밸브디스크(300)가 상기 바디시트(220)에 접촉할 때, 회전으로 인한 간섭이 발생하여 상기 디스크시트(310) 또는 상기 바디시트(220)에 마모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샤프트(400)의 제1 오프셋(A1)과 밸브디스크(300)의 중심선(B)을 불일치하게 배치하였다. 이 경우 샤프트(400)를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 밸브디스크(300)의 단반경(D1)이 바디시트(220)를 접촉없이 통과하고, 다음 밸브디스크(300)의 장반경(D2)이 바디시트(220)에 위치하게 되므로, 회전하는 동안 간섭없이 상기 디스크시트(310)와 상기 바디시트(220)가 평형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밸브디스크(300)는 상기 중공부(210)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400)에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디스크(30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디스크시트(31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크시트(310)는 탄성이 없는 금속재질일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계사양에 따라 탄성이 있는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가이드수단(500)은 상기 밸브바디(200)와 상기 샤프트(400)간에 연계되고, 상기 샤프트(400)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승강가이드수단(500)은 가이드라인(510) 및 가이드핀(5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가이드라인(510)은 상기 샤프트(400)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라인(510)은 제1 라인(511), 제2 라인(512) 및 제3 라인(5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라인(511)은 상기 샤프트(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직선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 라인(512)은 상기 제1 라인(511)에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400)의 외측 둘레 일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곡선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3 라인(513)은 상기 제2 라인(512)에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직선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라인(511)과 상기 제3 라인(513)은 상기 샤프트(400)의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른 위치에 두 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핀(520)의 일측부는 상기 핀홀(253)에 삽입 고정되고, 타측부는 상기 가이드라인(510)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핀(520)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400)가 회전하면 상기 가이드라인(510)이 상기 가이드핀(520)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샤프트(400)의 승강및 회전 범위를 가이드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이동가이드수단(600)은 상기 샤프트(400)와 상기 밸브디스크(300)간에 연계되고, 상기 밸브디스크(300)의 상기 바디시트(220) 방향으로의 평행 이동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이동가이드수단(600)은 제1 디스크블록(610), 디스크핀(620), 제2 디스크블록(660), 밀폐부(630) 및 해제부(6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크블록(610)은 상기 밸브디스크(300)에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400)가 관통하며 배치되는 제1 홀(6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핀(620)은 상기 제1 디스크블록(610)의 내부에서 상기 제1 홀(612)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크핀(620)은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계 요건에 따라 두 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디스크블록(610)은 상기 바디시트(220)의 이동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이동홈(6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홈(614)의 내측으로는 상기 제1 샤프트하우징(411)의 단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크블록(610) 및 상기 밸브디스크(300)가 상기 바디시트(220) 방향 전후로 이동할 때, 상기 제1 샤프트하우징(411)은 고정되어 있어, 이동에 따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이동홈(61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샤프트하우징(411)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이동홈(614)이 형성된 상기 제1 디스크블록(610)을 포함한 상기 밸브디스크(300)가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 디스크블록(660)은 상기 밸브디스크(300)에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400)가 관통하며 배치되는 제2 홀(66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디스크블록(660)은 상기 바디시트(220)의 이동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이동홈(66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홈(664)의 내측으로는 상기 제2 샤프트하우징(412)의 단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디스크블록(660) 및 상기 밸브디스크(300)가 상기 바디시트(220) 방향 전후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샤프트하우징(412)은 고정되어 있어, 이동에 따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 이동홈(66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샤프트하우징(412)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이동홈(664)이 형성된 상기 제2 디스크블록(660)을 포함한 상기 밸브디스크(300)가 이동할 수 있다.
도 14a를 참고하면, 상기 해제부(640)는 상기 샤프트(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디스크핀(620)의 접촉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해제부(640)는 상기 샤프트(400)의 외측면을 절삭 가공하여 평면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밀폐부(630)는 상기 해제부(640)에 연결되며 상기 샤프트(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디스크핀(620)의 접촉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밀폐부(630)는 상기 해제부(640)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상기 밀폐부(630)는 경사부(633), 밀폐홈(631) 및 걸림턱(6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633)는 상기 샤프트(400)에서 상기 밸브디스크(300)를 마주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Y축 방향으로 경사져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디스크핀(620) 중 하나가 상기 경사부(633)를 올라가는 경우 상기 밸브디스크(300)를 상기 바디시트(220) 방향으로 밀게 된다.
상기 밀폐홈(631)은 상기 샤프트(400)에서 상기 밸브디스크(300)를 마주하는 반대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Y축 방향으로 함몰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디스크핀(620) 중 하나가 상기 경사부(633)를 올라가면 상기 한 쌍의 디스크핀(620)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밀폐홈(631)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걸림턱(632)은 상기 밀폐홈(631)에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400)의 길이방향 승강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걸림턱(632)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밸브디스크(300)가 상기 바디시트(220)를 접촉하여 밀폐하는 이상으로 상기 샤프트(400)가 상하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해제부(640)와 상기 밀폐부(630)의 작동방식은, 상기 디스크핀(620)이 상기 밀폐부(630)에 위치하면, 상기 밸브디스크(300)는 상기 바디시트(22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중공부(210)를 폐쇄하고, 상기 디스크핀(620)이 상기 해제부(640)에 위치하면, 상기 밸브디스크(300)는 상기 바디시트(22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중공부(210)를 개방하는 방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와 같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작동방식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a 내지 도 13d에는 밸브디스크(300)의 회전운동 및 평행 이동 운동하며 중공부(210)를 개폐하는 작동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13a를 참고하면, 밸브디스크(300)가 개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샤프트(400)는 상승된 상태에 있고, 가이드핀(520)은 제3 라인(513)에 위치한다.
다음으로, 도 13b을 참고하면, 밸브디스크(300)가 일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샤프트(400)는 하강하는 상태에 있고, 가이드핀(520)은 제2 라인(512)상에서 이동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13c를 참고하면, 밸브디스크(300)가 회전운동을 완료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샤프트(400)는 하강을 완료하기 직전의 상태에 있고, 가이드핀(520)은 제1 라인(511)에 진입하기 직전의 위치에 있다.
여기서, 도 13c 및 도 13d에 도시된 제3,4 오프셋(A3,A4)은, 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중공부(210)를 밀폐할 때 상기 디스크시트(310)의 실링 중심선을 제3 오프셋(A3)으로 지정하고, 상기 중공부(210)를 개방할 때 상기 디스크시트(310)의 실링 중심선을 제4 오프셋(A4)으로 지정할 수 있다.
도 13c에 개시된 상기 제4 오프셋(A4)의 위치는 상기 밸브디스크(300)(또는 상기 디스크시트(310))가 회전운동을 완료하고, 평행 이동 운동을 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아직 상기 중공부(210)는 개방된 상태에 있다.
다음으로, 도 13d를 참고하면, 밸브디스크(300)가 평행 이동 운동을 완료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샤프트(400)는 하강을 완료하고 가이드핀(520)은 제1 라인(511)에 위치하게 된다.
도 13d에 개시된 상기 제3 오프셋(A3)의 위치는 상기 밸브디스크(300)(또는 상기 디스크시트(310))가 평행 이동 운동을 완료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오프셋(A3)은 상기 바디시트(220)의 실링 중심선에 일치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디스크시트(310)의 실링 중심선과 상기 바디시트(220)의 실링 중심선이 완전하게 접촉되며 실링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13a 내지 도 13d에 개시된 밸브디스크(300)의 회전운동 및 평행 이동 운동을 반대 순서로 하면, 즉 샤프트(400)를 회전 및 상승시켜 밸브디스크(300)를 제3 오프셋(A3)에서 제4 오프셋(A4)로 이동시키고 제1,2 오프셋(A1,A2)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면, 밸브디스크(300)가 중공부(210)를 개방하는 작동과정이 된다.
다음으로, 도 14a 및 도 14b에는 샤프트(400)의 승강에 따라 밸브디스크(300)가 평행 이동 운동을 하여 중공부(210)를 개폐하는 작동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14a를 참고하면, 밸브디스크(300)가 회전운동을 마치고 평행 이동 운동을 하기 직전의 샤프트(400)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샤프트(400)는 밸브디스크(300)가 회전운동을 마치는 범위까지만 하강한 상태이고, 가이드핀(520)은 제1 라인(511)에 진입하기 직전에 위치한다.
이때, 한 쌍의 디스크핀(620)은 샤프트(400)에서 평탄하게 절삭가공된 해제부(640)에 접촉되며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한 쌍의 디스크핀(620)간의 연장선(H)을 지정하면, 샤프트(400)의 상하방향 위치를 지정하는 제6 오프셋(A6)은 연장선(H)로부터 일정 간격(L6)만큼 이격되어 위치한다. 이러한 제6 오프셋(A6)의 위치를 밸브디스크(300)가 평행 이동 운동을 하기 직전 샤프트(400)의 상하방향(또는 Z 방향) 오프셋 위치로 정의할 수 있다.
즉, 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밸브디스크(300)가 상기 중공부(210)를 밀폐할 때 상기 샤프트(400)의 위치는 제5 오프셋(A5)일 수 있으며, 상기 밸브디스크(300)가 상기 중공부(210)를 개방할 때 상기 샤프트(400)의 위치는 제6 오프셋(A6)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5 오프셋(A5)과 상기 제5 오프셋(A6)간의 간격(L5-L6)은 상기 샤프트(400)에 형성되는 제1 라인의 길이(N)에 대응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b를 참고하면, 샤프트(400)가 하강을 완료하고 밸브디스크(300)가 바디시트(220)에 접촉되며 중공부(210)를 폐쇄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연장선(H)과 샤프트(400)의 상하방향 위치를 지정하는 제5 오프셋(A5)은 연장선(H)로부터 일정 간격(L5)만큼 이격되어 위치한다. 이러한 제5 오프셋(A5)의 위치를 밸브디스크(300)가 평행 이동 운동을 완료한 후 샤프트(400)의 상하방향(또는 Z 방향) 오프셋 위치로 지정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를 비교하면, 샤프트(400)는 제6 오프셋(A6)에서 제5 오프셋(A5)만큼 이동, 즉 L5-L6 만큼 하강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핀(520)은 제1 라인(511)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 14a 및 도 14b에 개시된 샤프트(400)를 상승시켜 제5 오프셋(A5)에서 제6 오프셋(A6) 위치로 이동시키면, 밸브디스크(300)의 평행 이동 운동을 반대방향으로 이뤄지고, 밸브디스크(300)가 중공부(210)를 개방하는 작동과정이 된다.
상기 구조에 따라 상기 제3 오프셋(A3)과 상기 제4 오프셋(A4)간의 간격은 상기 샤프트(400)에 형성되는 경사부(633)의 높이(M) 또는 밀폐홈(631)의 깊이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샤프트(400)의 승강에 따라 경사부(633)의 높이 또는 밀폐홈(631)의 깊이 만큼 디스크핀(620)이 이동하고, 밸브디스크(300)의 디스크시트(310)가 제3,4 오프셋(A3,A4) 사이를 평행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멀티 오프셋 구성을 통해 샤프트(400)를 회전 및 승강시킴으로써, 밸브디스크(300)가 회전운동 및 평행 이동운동을 하도록 하여, 밸브디스크(300)와 바디시트(220)간의 실링력을 높이게 된다.
이상의 사항은 버터플라이 밸브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100:버터플라이 밸브
200:밸브바디 210:중공부
220:바디시트 250:지지블록
251:제1 지지빔 252:제2 지지빔
253:핀홀 254:샤프트홀
300:밸브디스크 310:디스크시트
400:샤프트 411:제1 샤프트하우징
412;제2 샤프트하우징 420:구동부연결부
430:엔드블록 450:샤프트홀더
500:승강가이드수단 510:가이드라인
511:제1 라인 512:제2 라인
513:제3 라인 520:가이드핀
600:이동가이드수단 610:제1 디스크블록
612:제1 홀 614:제1 이동홈
620:디스크핀 630:밀폐부
631:밀폐홈 632:걸림턱
633:경사부 640:해제부
660:제2 디스크블록 662:제2 홀
664:제2 이동홈

Claims (18)

  1.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바디시트가 배치되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에 형성된 바디홀을 관통하며 배치되는 샤프트;
    상기 중공부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외측 둘레를 따라 디스크시트가 형성되는 밸브디스크;
    상기 밸브바디와 상기 샤프트간에 연계되고, 상기 샤프트가 회전할 때 상기 샤프트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수단; 및
    상기 샤프트와 상기 밸브디스크간에 연계되고, 상기 밸브디스크의 상기 바디시트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바디의 일측부에는 지지블록이 배치되고,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지지빔 및 상기 제1 지지빔에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지지빔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빔에는 핀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빔에는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는 샤프트홀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가이드수단은,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라인; 및
    일측부는 상기 핀홀에 삽입 고정되고, 타측부는 상기 가이드라인에 삽입 배치되는 가이드핀;
    을 포함하는 멀티플 오프셋이 적용된 버터플라이 밸브.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라인은,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라인;
    상기 제1 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의 외측 둘레 일부에 형성되는 제2 라인; 및
    상기 제2 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3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라인과 상기 제3 라인은 상기 샤프트의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멀티플 오프셋이 적용된 버터플라이 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인과 상기 제3 라인은 직선 형상이고,
    상기 제2 라인은 곡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플 오프셋이 적용된 버터플라이 밸브.
  6.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바디시트가 배치되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에 형성된 바디홀을 관통하며 배치되는 샤프트;
    상기 중공부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외측 둘레를 따라 디스크시트가 형성되는 밸브디스크;
    상기 밸브바디와 상기 샤프트간에 연계되고, 상기 샤프트가 회전할 때 상기 샤프트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수단; 및
    상기 샤프트와 상기 밸브디스크간에 연계되고, 상기 밸브디스크의 상기 바디시트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의 일측에서 상기 바디홀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의 폭방향 위치를 고정하는 제1 샤프트하우징; 및
    상기 중공부의 타측에서 상기 바디홀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의 폭방향 위치를 고정하는 제2 샤프트하우징;
    을 포함하는 멀티플 오프셋이 적용된 버터플라이 밸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이드수단은,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며 배치되는 제1 홀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디스크에 결합되는 제1 디스크블록; 및
    상기 제1 홀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상기 제1 디스크블록에 배치되는 디스크핀;
    을 포함하는 멀티플 오프셋이 적용된 버터플라이 밸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크블록은 상기 바디시트 이동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이동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샤프트하우징의 단부는 상기 제1 이동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플 오프셋이 적용된 버터플라이 밸브.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이드수단은,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며 배치되는 제2 홀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디스크에 결합되는 제2 디스크블록;을 더 포함하는 멀티플 오프셋이 적용된 버터플라이 밸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크블록은 상기 바디시트 이동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이동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샤프트하우징의 단부는 상기 제2 이동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플 오프셋이 적용된 버터플라이 밸브.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이드수단은,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디스크핀의 접촉부위에 형성되는 해제부; 및
    상기 해제부에 연결되며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디스크핀의 접촉부위에 형성되는 밀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핀이 상기 밀폐부에 위치하면, 상기 밸브디스크는 상기 바디시트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중공부를 폐쇄하고, 상기 디스크핀이 상기 해제부에 위치하면, 상기 밸브디스크는 상기 바디시트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중공부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플 오프셋이 적용된 버터플라이 밸브.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는,
    상기 샤프트에서 상기 밸브디스크를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는 경사턱;
    상기 샤프트에서 상기 밸브디스크를 마주하는 반대면에 형성되는 밀폐홈; 및
    상기 밀폐홈에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 승강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
    을 포함하는 멀티플 오프셋이 적용된 버터플라이 밸브.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하우징에 인접하여 상기 바디홀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샤프트홀더;
    상기 샤프트홀더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홀을 실링하는 제1 패킹;
    상기 제2 샤프트하우징에 인접하여 상기 바디홀의 단부에 배치되는 엔드블록; 및
    상기 엔드블록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홀을 실링하는 제2 패킹;
    를 더 포함하는 멀티플 오프셋이 적용된 버터플라이 밸브.
  14.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바디시트가 배치되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에 형성된 바디홀을 관통하며 배치되는 샤프트;
    상기 중공부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외측 둘레를 따라 디스크시트가 형성되는 밸브디스크;
    상기 밸브바디와 상기 샤프트간에 연계되고, 상기 샤프트가 회전할 때 상기 샤프트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수단; 및
    상기 샤프트와 상기 밸브디스크간에 연계되고, 상기 밸브디스크의 상기 바디시트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수단;을 포함하고,
    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샤프트의 회전중심선을 제1 오프셋(A1)으로 지정하고, 상기 밸브바디의 중심선(V1)을 지정하면,
    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오프셋(A1)과 상기 밸브바디의 중심선(V1)은 불일치하고, 상기 제1 오프셋(A1)은 상기 밸브바디의 중심선(V1)에 대해 편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플 오프셋이 적용된 버터플라이 밸브.
  15.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바디시트가 배치되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에 형성된 바디홀을 관통하며 배치되는 샤프트;
    상기 중공부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외측 둘레를 따라 디스크시트가 형성되는 밸브디스크;
    상기 밸브바디와 상기 샤프트간에 연계되고, 상기 샤프트가 회전할 때 상기 샤프트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수단; 및
    상기 샤프트와 상기 밸브디스크간에 연계되고, 상기 밸브디스크의 상기 바디시트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수단;을 포함하고,
    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샤프트의 회전중심선을 제2 오프셋(A2)으로 지정하고, 상기 밸브바디의 중심선(V2)을 지정하면,
    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오프셋(A2)과 상기 밸브바디의 중심선(V2)은 불일치하고, 상기 제2 오프셋(A2)은 상기 밸브바디의 중심선(V2)에 대해 편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플 오프셋이 적용된 버터플라이 밸브.
  16.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바디시트가 배치되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에 형성된 바디홀을 관통하며 배치되는 샤프트;
    상기 중공부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외측 둘레를 따라 디스크시트가 형성되는 밸브디스크;
    상기 밸브바디와 상기 샤프트간에 연계되고, 상기 샤프트가 회전할 때 상기 샤프트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수단; 및
    상기 샤프트와 상기 밸브디스크간에 연계되고, 상기 밸브디스크의 상기 바디시트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수단;을 포함하고,
    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중공부를 밀폐할 때 상기 디스크시트의 실링 중심선을 제3 오프셋(A3)으로 지정하고, 상기 중공부를 개방할 때 상기 디스크시트의 실링 중심선을 제4 오프셋(A4)으로 지정하면,
    상기 중공부를 밀폐할 때, 상기 제3 오프셋(A3)은 상기 바디시트의 실링 중심선에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플 오프셋이 적용된 버터플라이 밸브.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오프셋(A3)과 상기 제4 오프셋(A4)간의 간격은 상기 샤프트에 형성되는 경사부의 높이(M) 또는 밀폐홈의 높이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플 오프셋이 적용된 버터플라이 밸브.
  18. 제16항에 있어서,
    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밸브디스크가 상기 중공부를 밀폐할 때 상기 샤프트의 위치를 제5 오프셋(A5)으로 지정하고, 상기 밸브디스크가 상기 중공부를 개방할 때 상기 샤프트의 위치를 제6 오프셋(A6)으로 지정하면,
    상기 제5 오프셋(A5)과 상기 제6 오프셋(A6)간의 간격(L5-L6)은 상기 샤프트에 형성되는 제1 라인의 길이(N)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플 오프셋이 적용된 버터플라이 밸브.
KR1020210055861A 2021-04-29 2021-04-29 멀티플 오프셋이 적용된 버터플라이 밸브 KR102449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861A KR102449035B1 (ko) 2021-04-29 2021-04-29 멀티플 오프셋이 적용된 버터플라이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861A KR102449035B1 (ko) 2021-04-29 2021-04-29 멀티플 오프셋이 적용된 버터플라이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9035B1 true KR102449035B1 (ko) 2022-09-28

Family

ID=83461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861A KR102449035B1 (ko) 2021-04-29 2021-04-29 멀티플 오프셋이 적용된 버터플라이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903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4709A (ja) * 2002-04-22 2003-11-06 Toyo Valve Co Ltd バタフライ弁
KR200364539Y1 (ko) * 2004-07-26 2004-10-15 서영기계주식회사 버터 플라이밸브의 작동축 연결장치
KR20140040903A (ko) * 2012-09-27 2014-04-04 노민지 일축 디스크 가압형 버터플라이 밸브
KR20200002533U (ko) * 2019-05-14 2020-11-24 (주)씨엔제이 핀이 없는 고성능 버터플라이 밸브
KR102216171B1 (ko) 2020-02-17 2021-02-16 (주)제로엔텍 가변시트형 버터플라이밸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4709A (ja) * 2002-04-22 2003-11-06 Toyo Valve Co Ltd バタフライ弁
KR200364539Y1 (ko) * 2004-07-26 2004-10-15 서영기계주식회사 버터 플라이밸브의 작동축 연결장치
KR20140040903A (ko) * 2012-09-27 2014-04-04 노민지 일축 디스크 가압형 버터플라이 밸브
KR20200002533U (ko) * 2019-05-14 2020-11-24 (주)씨엔제이 핀이 없는 고성능 버터플라이 밸브
KR102216171B1 (ko) 2020-02-17 2021-02-16 (주)제로엔텍 가변시트형 버터플라이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3921B2 (ja) 真空バルブ
US6158718A (en) Gate valve
JPWO2019139005A1 (ja) 偏心型バタフライバルブ
KR20200083799A (ko) 더블 디스크 버터플라이 밸브
KR102449035B1 (ko) 멀티플 오프셋이 적용된 버터플라이 밸브
KR950003668A (ko) 회전밸브와 나비밸브
US3531075A (en) Butterfly valve
JP6523734B2 (ja) バタフライ弁
JPS6149538B2 (ko)
US4150694A (en) Rotary plug valve
CA1096355A (en) Eccentrically rotatable valve
KR101848858B1 (ko) 누설방지용 밸브 구동조립체
US4482128A (en) High pressure cam seal valve
US3698686A (en) Butterfly type fluid control valves
KR101404656B1 (ko) 볼 밸브
KR900000625A (ko) 밸브폐쇄부재를 조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216171B1 (ko) 가변시트형 버터플라이밸브
CA1041072A (en) Cock having a rotating valve removable from above
KR100287815B1 (ko) 버터플라이 밸브
JP4560290B2 (ja) ステム又はシャフトシール構造
JP6692167B2 (ja) バルブ
US10107413B2 (en) Self-contained gate valve column loading prevention mechanism
KR102580216B1 (ko) 상승 회전형 플러그 밸브
KR101446488B1 (ko) 폴리에틸렌 볼밸브
KR200167189Y1 (ko) 그랜드 패킹이 제거된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